KR20160021065A - 웹 수납용기 - Google Patents

웹 수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065A
KR20160021065A KR1020157000565A KR20157000565A KR20160021065A KR 20160021065 A KR20160021065 A KR 20160021065A KR 1020157000565 A KR1020157000565 A KR 1020157000565A KR 20157000565 A KR20157000565 A KR 20157000565A KR 20160021065 A KR20160021065 A KR 20160021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holding frame
web
frame bod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쿠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기쿠오 야마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쿠오 야마다 filed Critical 기쿠오 야마다
Publication of KR20160021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0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185Holders for boxes of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front or sides of the dispen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1/00External frames or supports adapted to be assembled around, or applied to,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77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a planar surface of the package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리필이 용이하고, 미관에도 뛰어나며, 또한 취출구의 방향을 위쪽, 수평방향, 아래쪽 중 어디로 향하여도 웹의 취출과 뚜껑의 개폐가 용이하고, 보유틀체의 내부공간을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웹 수납용기를 제공한다.
내부에 웹 적층체를 수납한 봉투형상 용기와, 상기 봉투형상 용기를 수납 보유 가능하게 구성된 보유틀체를 구비한 웹 수납용기에 있어서, 보유틀체는, 앞부분과 뒷부분과 옆부분과 바닥부분을 가지고 있고, 상기 봉투형상 용기에는, 앞면부에 웹 취출구와, 상기 봉투형상 용기의 앞면부 또는 옆면부로부터 돌출되는 계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유틀체의 옆부분으로부터 보유틀체 안쪽으로 돌출된 지지부에서 지지되는 피계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계합부가 상기 보유틀체의 앞부분으로부터 뒷부분측을 향하여 간격을 둔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계합부와 상기 피계합부가 계합함으로써, 상기 봉투형상 용기가 상기 보유틀체에 보유된다.

Description

웹 수납용기{Web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물티슈나 물시트 등과 같은 웹을 수납하는 웹 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물티슈, 청소시트, 아기의 엉덩이 닦기, 안경 클리너라고 불리는 섬유시트에 약액을 함침시킨 것의 총칭으로서 웹이라는 개념이 이용된다. 또한, 웹이란 대략 직사각형상의 섬유시트를 의미하고, 웹 적층체란, 독립된 웹을 일부분을 중복시켜 접어 적층한 것, 및 장척의 섬유시트에 등간격의 칼집을 넣고, 분단 예정부를 구성한 것을 접어 적층한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현재 물티슈나 물시트 등과 같이 수분, 알코올, 또는 그 밖의 약액을 웹에 함침시킨 제품이 청소용이나 닦기용 등 각종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액체를 함침시킨 웹의 포장형태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으며, 다수매의 웹을 적층하여 원통형의 플라스틱제의 보틀 내에 수납한 것(보틀 타입)이나, 봉투형상의 플라스틱 필름 내에 수납한 것(봉투 타입) 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116200호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9-156676호
봉투형상의 플라스틱 필름(봉투체) 내에 웹을 수납한, 이른바 '봉투 타입'의 것은, 수납되어 있는 웹의 잔량이 적어져 가면, 봉투체, 즉 플라스틱 필름에 주름이 형성되기 쉬워, 외관이 손상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물티슈 수납체로서는, 봉투 타입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웹을 플라스틱제의 물티슈 수납체에 수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플라스틱제의 물티슈 수납체는, 이른바 리필 용기로 되어 있다. 하지만, 내용물을 리필하는 것은 번거롭다.
그래서, 리필 작업을 생략하고, 웹을 수납한 봉투형상 용기를 종이상자와 플라스틱을 조합한 물티슈 포장체에 수납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특허문헌 2). 하지만, 이러한 수납체는,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취출구와의 거리가 증대되므로, 취출구에 웹의 선단을 보유할 수 없었던 경우, 다음의 웹을 취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이들의 수납체는 수평으로 놓여져 위쪽에 웹을 취출하는 것으로, 놓는 장소가 수평면으로 한정된다. 그리고, 이들의 수납체에서는, 물티슈 포장체의 내부공간 중 봉투형상 용기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제외한 잔여 공간부분이 데드 스페이스가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필이 용이하고, 미관에도 뛰어나며, 또한 취출구의 방향을 위쪽, 수평방향, 아래쪽 중 어느 곳으로 향하여도 웹의 취출과 뚜껑의 개폐가 용이한 웹 수납용기를 제공하는 동시에, 내부공간을 유효하게 활용 가능한 웹 수납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웹 수납용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음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웹의 취출방향을 수평방향으로 하기 위하여 봉투형상 용기의 짧은 변을 아래로 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물티슈 용기가 사용되는 경우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웹 적층체를 수납한 봉투형상 용기와 상기 봉투형상 용기를 수납 보유하기 위한 보유틀체를 구비한 웹 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유틀체는 뒷부분, 옆부분, 바닥부분을 가지고, 상기 봉투형상 용기에는 앞면부에 웹 취출구와, 상기 봉투형상 용기의 앞면부 또는 옆면부로부터 돌출되는 계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유틀체의 옆부분으로부터 보유틀체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부에서 지지되는 피계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계합부가 상기 보유틀체의 앞부분에서 뒷부분 쪽을 향하여 간격을 둔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계합부와 상기 피계합부가 계합함으로써, 상기 봉투형상 용기가 상기 보유틀체에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피계합부는 상기 계합부와 상기 피계합부가 계합한 상태에서 상기 계합부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보유틀체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옆부분을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보유틀체의 양옆부분 각각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지지부에서 지지되는 피계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보유틀체의 상기 피계합부의 앞면에는 상기 웹 취출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틀체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봉투형상 용기의 상기 계합부가 상기 봉투형상 용기의 상기 웹 취출구가 있는 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웹 수납용기에 의하면, 봉투형상 용기를 세로방향으로 보유한 상태에서, 보유틀체를 수평면 상에 안정된 상태로 놓을 수 있으므로, 웹을 탁상에 세로배치하여 안정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유틀체의 옆부분으로부터 보유틀체의 내부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부에서 피계합부가 지지되어 있고, 보유틀체의 앞부분과 피계합부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는 것으로부터, 보유틀체의 앞부분과 피계합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에 완충재를 설치하여 완충재로 뚜껑체를 은폐할 수 있어, 보유틀체의 내부공간을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즉, 웹 수납용기의 운반시나 반송시 등에 웹 수납용기를 잘못하여 보유틀체의 앞부분 측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낙하해버린 경우에도, 완충재에 의한 완충작용에 의하여 뚜껑체가 지켜져, 그 파손의 우려가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뚜껑체의 파손억제의 효과가 초래되도록 보유틀체의 내부공간을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보유틀체의 앞부분과 피계합부 사이의 공간에는 광고용지나 메모용지 등을 보유할 수 있는 동시에, 뚜껑체를 은폐할 수 있어, 미관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유틀체의 앞부분에서 피계합부가 덮인 상태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경우, 피계합부를 보호할 수 있다. 봉투형상 용기와 상기 보유틀체가 계합된 상태에서 웹 취출구로부터 웹을 틀체개구부의 바깥쪽을 향하여 인출할 때, 웹에 인출하는 힘이 강하게 부하되었다고 하더라도, 지지부에서 인출하는 힘을 흡수할 수 있어 수납용기에 부하되는 힘으로 보유틀체의 형상에 변형을 발생시키기 어렵다. 보유틀체의 형상에 변형이 발생되면, 보유틀체의 윗면의 개구로부터 봉투형상 용기가 튀어나오기 쉬워질 우려가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유틀체의 형상에 변형을 발생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이와 같은 우려가 저감된다.
본 발명의 웹 수납용기는, 보유틀체의 뒷부분을 탁상에 올리면, 웹을 탁상에 가로 배치하여 안정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웹 수납용기는 보유틀체의 지지부와 피계합부에서 봉투형상 용기의 앞면부가 보유되므로, 봉투형상 용기 내의 웹이 점차 줄어가도, 봉투형상 용기가 흔들리지 않고 보유틀체 내에 안정된 상태로 보유되어, 웹을 최후까지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웹 수납용기 봉투형상 용기가 흔들리기 어렵기 때문에, 웹을 보유틀체 밖의 매다는 기구로 매단 상태 등이어도 봉투형상 용기를 보유틀체 내에 안정된 상태로 보유하여, 웹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웹 수납용기의 봉투형상 용기와 보유틀체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봉투형상 용기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보유틀체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웹 수납용기의 봉투형상 용기와 보유틀체가 계합한 상태의 부분평면단면을 나타내는 약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웹 수납용기의 봉투형상 용기와 보유틀체가 계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보유틀체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웹 수납용기의 봉투형상 용기와 보유틀체가 계합한 상태의 부분평면단면을 나타내는 약시도이다.
도 7의 (a), (b)는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유틀체의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웹 수납용기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봉투형상 용기(10)의 윗면, 바닥면(11f) 등의 상세한 구성의 기재는 생략한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웹 수납용기는 내부에 웹(즉, 물티슈 등)의 적층체(1)를 수납한 봉투형상 용기(10)와, 봉투형상 용기(10)를 수납 보유하기 위한 보유틀체(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봉투형상 용기(10)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봉투형상 용기(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연한 플라스틱 필름에 의하여 형성된 봉투체(11) 내에 웹의 적층체(1)가 수납 포장되어 있다. 봉투체(11)의 앞면(11a)에는 봉투형상 용기(10) 내의 적층체(1)로부터 물티슈를 1매씩 분리하여 인출하기 위한 웹 취출구(12)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한편, 봉투체(11)의 앞면(11a)이란, 봉투체(11)의 6면 중 웹 취출구(12)가 개구 배치되어 있는 면을 말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웹 취출구(12)가 수평방향을 향하여 개구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앞면(11a) 이외의 각 면을 배면(11b), 좌우 양옆면(11c, 11d), 윗면(11e), 바닥면(11f)이라고 하기로 한다. 한편, 봉투형상 용기(10)에 있어서 봉투체(11)의 앞면(11a)을 구성하는 부분이 앞면부(10a)를 이루고, 봉투체(11)의 옆면(11d)을 구성하는 부분, 봉투체(11)의 옆면(11c)을 구성하는 부분이 각각 옆면부(10d, 10c)를 이룬다.
봉투형상 용기(10)의 앞면(11a), 배면(11b), 좌우 양옆면(11c, 11d) 및 바닥면(11f)은, 봉투형상 용기(10)가 보유틀체(20)에 수납 보유된 상태일 때에 있어서, 각각 후술하는 보유틀체(20)의 앞부분(20a), 뒷부분(20b), 좌우 양옆부분(20c, 20d) 및 바닥부분(20f)에 대하여 서로 마주본다.
웹 취출구(12)에는 비교적 경질의 플라스틱제 구조부재인 출구부재(13)가 고착되어 있다. 출구부재(13) 내에는 선두의 웹이 손가락 끝으로 집어 인출될 때, 그 웹에 당겨지는 2번째 웹에 마찰 저항을 부여하여 양 웹을 분리시켜, 선단의 웹만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한 공지의 저항부여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웹 취출구(12)를 밀폐 및 개방 가능한 뚜껑체(15)가 출구부재(13)의 중앙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보유틀체(20)는 봉투형상 용기(10)를 수납 보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유틀체(20)는 윗면이 전면 개구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부분(20f)와, 바닥부분(20f)로부터 상승하는 앞부분(20a)과 뒷부분(20b)과 옆부분(도 1의 예에서는, 좌우 양옆부분(20c, 20d))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우 양옆부분(20c, 20d)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어 있다. 앞부분(20a)과 뒷부분(20b)에 대하여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실시예의 보유틀체(20)는 두께 감량을 위한 각종 형상의 구멍이, 바닥부분(20f)과 앞부분(20a)과 뒷부분(20b)과 옆부분(20c,20d)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보유틀체(20)의 뒷부분(20b)의 상단부분에는, 위쪽으로 연장시켜 설치벽(21)이 형성되어 있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벽걸이용 후크나 흡착플레이트(미도시)에 계합시키기 위한 계합구멍(22)이 그 설치벽(21)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앞부분(20a)에는 봉투형상 용기(10)가 보유틀체(20)에 수납 보유된 상태일 때에 보유틀체(20)가 봉투형상 용기(10)의 웹 취출구(12)나 뚜껑체(15) 등과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틀체개구부(23)가 웹 취출구(12)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틀체개구부(23)는 보유틀체(20)의 윗면측으로부터 U자 형상으로 움푹 패인 절결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봉투형상 용기(10)와 보유틀체(20)를 계합시킨 상태로 웹을 인출하는 조작을 실시할 때에 지장이 없도록, 틀체개구부(23)는 봉투형상 용기(10)측(즉, 웹 취출구(12), 출구부재(13) 및 뚜껑체(15) 등)과 간섭하지 않도록, 웹 취출구(12)의 위치와 크기에 대응한 위치와 크기에 형성되어 있다.
보유틀체(20)의 좌우 양옆부분(20c, 20d)의 상단부분에는, 끈걸기구멍(30, 30)이 설치되어 있다. 끈걸기구멍(30, 30)에 끈을 통하여 보유틀체(20)로부터 끈이 간단하게 빠지지 않도록 묶음으로써, 끈을 벽걸이용 후크 등에 걸어 둘 수 있게 된다.
보유틀체(20)에는 2개의 지지부(32, 32)가 보유틀체(20)의 좌우 양옆부분(20c, 20d) 각각으로부터 보유틀체(20)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지지부(32)는 보유틀체(20)의 앞부분(20a)으로부터 안쪽으로 간격을 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2)와 앞부분(20a)의 간격의 크기는, 예를 들어 1~20mm 정도이다. 한편, 도 1 등의 보유틀체(20)의 예에서는, 2개의 지지부(32, 32)가 형성되어 있는데, 적어도 1개의 지지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32)는 보유틀체(20)의 옆부분(20c, 20d)의 적어도 한쪽에서 보유틀체(20)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각각의 지지부(32, 32)는 그 형상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 1과 같은 1매의 판형상이어도 좋고,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판형상부를 병렬 배치하여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지지부(32, 32)는 둥근봉 형상의 구조부 단독체로 구성되어도 좋으며,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둥근봉 형상의 구조부를 바닥부분(20f)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수 병렬 배치하여 구성된 것이어도 좋다.
봉투형상 용기(10)와 보유틀체(20)에는, 각각 계합부(18)와 피계합부(28)가 설치되어 있다. 계합부(18)와 피계합부(28)가 계합함으로써, 봉투형상 용기(10)와 보유틀체(20)가 계합 상태가 되어, 봉투형상 용기(10)가 보유틀체(20)에 수납 보유된다.
계합부(18)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L자형의 이른바 앵글 부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레일형상 부재라고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봉투형상 용기(10)의 앞면(11a)의 웹 취출구(12)를 사이에 끼우고 그 좌우 양측으로 나뉘어 평행하게 한쌍 설치되며, 봉투형상 용기(10)의 앞면(11a)부로부터 같은 높이에서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계합부(18)는 비교적 경질의 플라스틱재로 형성되어 있고,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출구부재(13)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도 좋으며, 출구부재(13)와는 별개로 설치되고, 봉투체(11)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된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도 1의 예에서는, 계합부(18)는 봉투형상 용기(10)의 앞면(11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봉투형상 용기(10)의 옆면(11c, 11d)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도 좋다(미도시).
피계합부(28)는 보유틀체(20)의 배면사시도인 도 3에도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보유틀체(20)의 지지부(32)에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개의 피계합부(28, 28)가 설치되고, 각각 지지부(32, 32)에 지지되어 있다. 각각의 피계합부(28)는 계합부(18)가 흔들리지 않고 계합하는 L자형의 단면 형상의 홈을 형성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한쌍의 계합부(18)의 배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피계합부(28)는 보유틀체(20)의 지지부(32)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도 좋고, 지지부(32)와 별개로 성형되어 지지부(32)에 고착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때, 피계합부(28) 중 옆부분(20c, 20d)에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서 지지부(32)의 선단에 고착되어 있어도 좋고, 피계합부(28) 중 앞부분(20a)에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서 지지부(32)의 선단에 고착되어 있어도 좋다.
피계합부(28)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유틀체(20)의 앞부분(20a)으로부터 뒷부분(20b)측을 향하여 간격을 둔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피계합부(28)는 계합부(18)와 피계합부(28)가 계합한 상태에서 계합부(18)보다 앞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피계합부(28)는 보유틀체(20)의 앞부분(20a)의 바깥면측에서 틀체개구부(23)를 본 경우에 틀체개구부(23) 안쪽으로 향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유틀체(20)의 앞부분(20a)에서 피계합부(28)가 덮인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피계합부(28)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보유틀체(20)의 옆부분으로부터 보유틀체(20)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부(32)에서 피계합부(28)가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유틀체(20)의 앞부분(20a)과 피계합부(28)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에 완충재 등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웹 수납용기를 틀체개구부(20)측을 아래로 향하여 떨어뜨린 경우에도, 완충재에 의하여 뚜껑체(15)의 파손 우려를 억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유틀체(20)의 앞부분(20a)과 피계합부(28) 사이의 공간에는, 광고용 종이나 메모용 종이 등을 보유할 수 있게 되어, 보유틀체(20)의 내부공간을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피계합부(28)는 봉투형상 용기(10)의 계합부(18)에 대하여 계합 상태를 형성할 수 있으면 좋고, 봉투형상 용기(10)의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점에서, 계합부(18)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계합부(18)와 피계합부(28)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봉투형상 용기(10)를 보유틀체(20)로부터 취출하여 주머니 등에 넣고, 옥외 등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4, 도 5 등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계합부(18)와 피계합부(28)를 계합시키면, 그 계합상태를 유지하여 봉투형상 용기(10)와 보유틀체(20)를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봉투형상 용기(10)의 바닥면(11f)이 보유틀체(20)의 바닥부분(20f)에 재치된 상태로 함으로써, 봉투형상 용기를 보유틀체(20)에서 아래방향으로 안정상태로 수납 보유할 수 있다.
웹 수납용기에 있어서는, 사용시에 뚜껑체(15)가 틀체개구부(23)의 바깥쪽을 향하여 개방되고, 봉투형상 용기(10)와 보유틀체(20)가 계합된 상태에서 웹 취출구(12)로부터 웹이 틀체개구부(23)의 바깥쪽을 향하여 손가락 등으로 집혀 나온다. 웹 수납용기에 있어서의 봉투형상 용기(10)와 보유틀체(20)의 위치관계는, 계합부(18)와 피계합부(28)의 계합관계에 의한 것이 크며, 손가락 등으로 웹을 취출할 때에도, 가급적 계합부(18)와 피계합부(28)의 계합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계합부(18)와 피계합부(28)의 계합구조부에 손가락이 스쳐버리는 것을 피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점, 본 실시예의 웹 수납용기에 있어서는, 웹은 순차 봉투형상 용기(10) 내로부터 취출될 때, 손가락 등이 피계합부(28)에 부딪히기 어렵고, 보유틀체(20)에 대한 봉투형상 용기(10)의 위치에 윗방향으로의 어긋남 등이 보다 한층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웹 수납용기는,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세운 상태나, 웹 취출구(12)가 위쪽을 향하도록 옆으로 눕힌 상태나, 어떠한 조건 하에서도 매우 안정된 상태로 배치할 수 있어, 웹을 용이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웹 수납용기는 실내외의 벽이나 기둥 등에 설치된 후크, 흡착플레이트 또는 매다는 끈 등(미도시)을 설치구멍(22)이나 끈걸이구멍(30, 30)에 설치하여도 매우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의 (a),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피계합부(28)를 그 내단측을 보다 안쪽방향으로 더 연장 돌출시키고, 그 연장돌출단의 위치에 안쪽으로 향하여 리브(31)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리브(31)가 설치됨으로써 피계합부(28)의 강도가 높아진다. 즉, 예를 들어 뚜껑체(15)를 폐쇄하였을 때, 뚜껑체(15) 앞쪽에서 힘이 가해진 경우, 리브(31)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피계합부(28)의 휘어짐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리브(31)의 구성을 제외하는 것 이외의 구성에 대하여는,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이면 좋다.
한편, 리브(31)의 돌출 높이는, 계합부(18)와 피계합부(28)의 계합 상태가 형성된 상태에서, 출구부재(13)에 비접촉하는 높이로 되어 있다. 그리고, 리브(31)의 형성 위치는, 앞부분(20a)의 앞면으로부터 웹 수납용기를 본 경우에 틀체개구부(23) 안쪽으로 향하지 않는 소정 위치로 되어 있다. 그 이유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피계합부(28)의 위치를 틀체개구부(23) 안쪽으로 향하지 않는 위치로 하는 이유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의 태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모든 태양을 포함하는 것이다.
1: 적층체
10: 봉투형상 용기
11: 봉투체
12: 웹 취출구
13: 출구부재
14: 저항부여부
15: 뚜껑체
18: 계합부

Claims (5)

  1. 내부에 웹 적층체를 수납한 봉투형상 용기와, 상기 봉투형상 용기를 수납 보유 가능하게 구성된 보유틀체를 구비한 웹 수납용기에 있어서,
    보유틀체는, 앞부분과 뒷부분과 옆부분과 바닥부분을 가지고 있고,
    상기 봉투형상 용기에는, 앞면부에 웹 취출구와, 상기 봉투형상 용기의 앞면부 또는 옆면부로부터 돌출되는 계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유틀체의 옆부분으로부터 보유틀체 안쪽으로 돌출된 지지부에서 지지되는 피계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계합부가, 상기 보유틀체의 앞부분에서 뒷부분측을 향하여 간격을 둔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계합부와 상기 계합부가 계합함으로써, 상기 봉투형상 용기가 상기 보유틀체에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수납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계합부는, 상기 계합부와 상기 피계합부가 계합한 상태로 상기 계합부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웹 수납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보유틀체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옆부분을 가지고 있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보유틀체의 양 옆부분 각각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지지부에서 지지되는 상기 피계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웹 수납용기.
  4. 제 1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틀체의 상기 피계합부의 앞면에는, 상기 웹 취출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틀체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웹 수납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형상 용기의 상기 계합부가, 상기 봉투형상 용기의 상기 웹 취출구가 있는 면에 배치되어 있는 웹 수납용기.
KR1020157000565A 2013-06-21 2013-06-21 웹 수납용기 KR201600210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67741 WO2014203405A1 (ja) 2013-06-21 2013-06-21 ウェブ収納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065A true KR20160021065A (ko) 2016-02-24

Family

ID=5210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565A KR20160021065A (ko) 2013-06-21 2013-06-21 웹 수납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137392A1 (ko)
EP (1) EP3012212A4 (ko)
JP (1) JP5732179B1 (ko)
KR (1) KR20160021065A (ko)
CN (1) CN105263818A (ko)
WO (1) WO20142034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0734B1 (ja) 2016-09-30 2017-11-29 大王製紙株式会社 フィルム包装ティシューの製造方法およびフィルム包装ティシュー集合包装体の製造方法
US11478319B1 (en) * 2017-02-13 2022-10-25 Dorothy Ressel Intellectual Properties, Inc. Glove dispenser supported on a rack
CN208481195U (zh) * 2017-09-12 2019-02-12 上海久连环保材料有限公司 一种防溢胶湿巾盒盖
USD912513S1 (en) 2018-06-29 2021-03-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d with push-button
USD912514S1 (en) * 2018-06-29 2021-03-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d with push-button
EP3628200A1 (en) * 2018-09-28 2020-04-01 Ali Temel Dispensing apparatus and holder
USD964860S1 (en) * 2021-02-24 2022-09-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ckage with li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577B2 (ja) * 1992-12-28 2000-09-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ウエットティッシュ容器
JP3666958B2 (ja) 1995-10-06 2005-06-29 株式会社ベルサンテ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JPH09226861A (ja) * 1996-02-29 1997-09-02 O K:Kk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JP3218187B2 (ja) * 1996-03-29 2001-10-15 株式会社ヨコオ 車載用アンテナ装置
JPH11227853A (ja) * 1998-02-18 1999-08-24 Daiichi Shiko Kk 軟質包装体の保護装置
JP3751451B2 (ja) * 1998-10-01 2006-03-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紙状物入りパウチのスタンド
JP2000142842A (ja) * 1998-10-30 2000-05-23 Pigeon Corp ウエット材料の収容容器
JP3980338B2 (ja) * 2001-11-27 2007-09-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ホルダー
JP2004210327A (ja) * 2002-12-27 2004-07-29 Dipro:Kk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用のホルダー
WO2008044152A2 (en) * 2006-09-12 2008-04-17 Apg Asia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wipes
JP5512116B2 (ja) 2008-11-14 2014-06-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閉自在容器
NL2006341C2 (nl) * 2011-03-04 2012-09-05 Asmopak B V Verpakking met vochtige doekjes, houder voor een dergelijke verpakking en samenstel van een dergelijke houder met een dergelijke verpak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3405A1 (ja) 2014-12-24
JP5732179B1 (ja) 2015-06-10
JPWO2014203405A1 (ja) 2017-02-23
US20160137392A1 (en) 2016-05-19
CN105263818A (zh) 2016-01-20
EP3012212A4 (en) 2017-01-18
EP3012212A1 (en)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1065A (ko) 웹 수납용기
RU2641946C2 (ru) Диспенсер для салфеток, вложенных друг в друга
KR101548472B1 (ko) 과충전 방지 장치를 갖는 절첩 시트 디스펜서
US20120111751A1 (en) Container with mounting bracket
JP6588713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US20080289974A1 (en) Hat box
JP6363364B2 (ja) 薄葉紙収納容器
CN106956853B (zh) 一种用于显示器挂架的纸质缓冲包装装置
JP3176203U (ja) 包装用緩衝材
KR20090011345U (ko) 미닫이형 포장 상자
CN217456870U (zh) 包装盒
KR20130003541U (ko) 위생용품 수납박스
JP2015147580A (ja) 衛生紙の収納容器
WO2014141429A1 (ja) ウェブ収納容器
KR102511308B1 (ko) 지지대를 포함하는 승강기 거치용 함
KR200466436Y1 (ko) 원형 케이크 상자
KR101382411B1 (ko) 일체형 슬라이드 뚜껑을 갖는 포장케이스
JP5018956B2 (ja) 梱包陳列兼用箱体
JP2011219127A (ja) 仕切材
JP3141190U (ja) 底上げ式ティッシュボックス
JP2011111203A (ja) ティッシュ用の収納ケース
KR20070000963U (ko) 낚싯바늘 및 소품 수납함
JP2006254939A (ja) ハンドバッグの収納容器
KR200486463Y1 (ko) 접이식 일회용 종이봉투 컵 케이스
JP2014091576A (ja) ラップ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