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075A -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 - Google Patents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075A
KR20160013075A KR1020157035402A KR20157035402A KR20160013075A KR 20160013075 A KR20160013075 A KR 20160013075A KR 1020157035402 A KR1020157035402 A KR 1020157035402A KR 20157035402 A KR20157035402 A KR 20157035402A KR 20160013075 A KR20160013075 A KR 20160013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inal
benzoic acid
salt
acid
reti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3316B1 (ko
Inventor
가즈히로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야마구치 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야마구치 다이가쿠 filed Critical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야마구치 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160013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8Protective covers fo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 특히 망막상, 망막내, 또는 망막하 중 어느 하나의 조직에 있어서의 망막 맥락막 반흔의 형성 및 수축의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으로서, (E)-4-(2-{3-[(1H-피라졸-1-일)메틸]-5,5,8,8-테트라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비닐)벤조산, 이의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를 작제한다. 이러한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는, 망막 색소 상피 세포, 섬유아세포, 글리아 세포 등의 콜라겐 수축을 억제함으로써, 망막 맥락막 장해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INHIBITOR FOR RETINOCHOROIDAL DISORDERS}
본 발명은, (E)-4-(2-{3-[(1H-피라졸-1-일)메틸]-5,5,8,8-테트라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비닐)벤조산, 이의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를 맞이한 일본에 있어서, 당뇨병 망막증, 망막 박리, 가령 황반 변성 등의 망막 유리체 질환은, 앞으로도 실명 원인으로서 그 비율이 상승할 것으로 생각된다. 망막 유리체 수술의 발전이나 VERF 안내 주사 제제 등의 생물 제제의 도입에 의해, 이전에는 실명되었던 이들 질환의 예후가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초기 증례는 그렇다 하더라도, 장기간 방치·반복되는 등의 증증예의 시기능 예후는 아직 좋지 않다. 가령 수술에 의해 망막 복위가 수득되어도, 또한 약제에 의해 안내 신생 혈관의 소퇴(消退)를 도모할 수 있다고 해도, 망막 세포가 이미 불가역적인 2차적 손상(damage)을 받고 있으면, 시세포 기능이 저하된다. 눈은 가령 상처가 나아도, 시세포 기능이 소실되면 전혀 의미를 갖지 않는 기관이다. 따라서, 망막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얼마나 적은 손상으로 안염증과 이에 이어지는 2차적 반응을 제어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안염증의 침정화 또는 진행에 따라, 종종 망막상, 망막내 또는 망막하 중 어느 하나의 조직에 있어서, 망막 맥락막 섬유성 반흔이 형성되어, 시세포 기능에 장해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망막 맥락막 섬유성 반흔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세포 성분으로서 망막 색소 상피 세포 및 기질 성분의 하나인 콜라겐, 특히 타입 I 콜라겐이 알려져 있으며, 망막 맥락막 섬유성 반흔의 형성 및 수축에 의해 망막 맥락막 기능 장해가 발생한다. 그래서 망막 색소 상피 세포 등의 콜라겐, 특히 타입 I 콜라겐의 수축을 억제하여, 조직 구조의 변형이나 붕괴를 방지하는 것은 망막 맥락막 장해에 대해 유효한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까지, 레티노산 수용체(이하,「RAR」이라고도 한다)의 아고니스트(agonist)인 올 트랜스-레티노산 또는 4-[(5,6,7,8-테트라하이드로-5,5,8,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카르바모일]벤조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당뇨병성 망막증 또는 가령 황반 변성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이 개시되어 있지만(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RAR의 서브 타입인 RARα, RARβ에 대한 선택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망막 기능 개선에 대한 각 RAR 서브 타입의 기여도 불명하다. 한편, RAR은, 염증, 면역 및 구조 세포와 같은 많은 세포에서, 증식, 형태 형성 및 분화 등의 다양한 작용에 관여하고 있으며, 또한, RAR 서브 타입의 분포는, 포유 동물의 조직 및 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RAR의 작용에는, RARα에 의한 트리글리세리드 상승 등의 바람직하지 못한 작용도 있기 때문에, RAR의 아고니스트 활성을 갖는 화합물이 서브 타입에 대한 특이성 또는 선택성을 갖는 것은, 부작용 리스크의 저감으로 이어지는 것이 기대된다. 이상으로부터, 강력한 망막 맥락막 장해 억제 작용을 가지며, 서브 타입 선택성에 기초하는 높은 안전성을 갖는 RAR 아고니스트가 요구되고 있다.
RARγ 선택적인 아고니스트로서는 (E)-4-(2-{3-[(1H-피라졸-1-일)메틸]-5,5,8,8-테트라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비닐)벤조산이, 폐기종, 암, 및 피부 질환에 유용한 것(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과, 신경성 동통에 유용한 것(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E)-4-(2-{3-[(1H-피라졸-1-일)메틸]-5,5,8,8-테트라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비닐)벤조산, 이의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염에 관해서 망막 맥락막 장해, 특히 망막 맥락막 반흔의 형성 및 수축에 대한 약리 작용에 관해서 검토한 보고는 없으며, 시사하는 문헌도 없다.
일본 재공표특허공보 재표2007/037188호 국제공개 제2002-028810호 팜플렛 국제공개 제2008-057930호 팜플렛
본 발명의 과제는,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 특히 망막상, 망막내, 망막하 중 어느 하나의 조직에 있어서의 망막 맥락막 반흔의 형성 및 수축의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안질환, 특히 망막 유리체 질환에 있어서의 망막 맥락막 장해에 유효한 약물을 탐색하는 것은, 안(眼) 분야에 있어서 중요하고 흥미로운 과제이다. 본 발명자는 망막 맥락막 장해, 특히 망막 맥락막 반흔의 형성 및 수축의 억제에 유효한 약물을 탐색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실시한 결과, RARγ 선택적인 아고니스트인 (E)-4-(2-{3-[(1H-피라졸-1-일)메틸]-5,5,8,8-테트라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비닐)벤조산이, 마우스 망막 색소 상피 세포를 사용한 약리 시험에 있어서, 콜라겐 수축 억제 작용을 나타내고, 또한, 마우스에 있어서 망막하 반흔 형성 및 수축의 억제 작용을 나타낸 점에서, 상기 벤조산은 망막 맥락막 반흔의 형성 및 수축의 억제에 대해 우수한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1] (E)-4-(2-{3-[(1H-피라졸-1-일)메틸]-5,5,8,8-테트라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비닐)벤조산, 이의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나, [2] (E)-4-(2-{3-[(1H-피라졸-1-일)메틸]-5,5,8,8-테트라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비닐)벤조산, 이의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염이, (E)-4-(2-{3-[(1H-피라졸-1-일)메틸]-5,5,8,8-테트라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비닐)벤조산 또는 이의 염인, 상기 [1]에 기재된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나, [3] 망막 맥락막 장해가, 망막상, 망막내, 또는 망막하 중 어느 하나의 조직에 있어서의 망막 맥락막 반흔의 형성 및 수축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나, [4] 투여 형태가 점안 투여 또는 경구 투여인, 상기 [1] 내지 [3]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나, [5] 제형이, 점안제, 안연고, 주사제, 정제, 과립제, 세립제, 산제 또는 캡슐제인, 상기 [1] 내지 [4]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의 유효 성분인 (E)-4-(2-{3-[(1H-피라졸-1-일)메틸]-5,5,8,8-테트라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비닐)벤조산, 이의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염은, 망막 색소 상피 세포, 섬유아세포, 글리아(glia) 세포 등의 콜라겐 수축을 억제함으로써,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 특히 망막 맥락막 반흔의 형성 및 수축의 억제제로서 유용하다.
도 1은, 마우스 망막 색소 상피 세포를 사용한 경우의 (E)-4-(2-{3-[(1H-피라졸-1-일)메틸]-5,5,8,8-테트라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비닐)벤조산(이하,「본건 벤조산」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의 농도(μM)와 콜라겐 수축(디쉬 중의 콜라겐 겔의 직경(mm))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면 중,「*」는, 통계적으로 유의차(p<0.05)가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2는, 마우스의 망막하 반흔 모델 제작에 있어서, 본건 벤조산을 주입한 경우의 망막하 반흔 형성의 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마크로파지 및 본건 벤조산 50㎍의 주입으로부터 7일후에 망막하를 관찰한 결과를 도시하고, 도 2B는, 마크로파지 및 본건 벤조산 1㎍, 5㎍, 50㎍을 주입한 경우에 있어서의, 주입으로부터 7일후에 망막하의 반흔 영역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면 중,「*」는, 통계적으로 유의차(p<0.05)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로서는, 이하의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본건 벤조산, 이의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본건 벤조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는, 본건 벤조산, 이의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 맥락막 장해의 치료 방법이나,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본건 벤조산, 이의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염이나, 본건 벤조산, 이의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염의,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의 조제에 있어서의 사용을 들 수 있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본 발명에 있어서, 망막 맥락막 장해란, 망막이나 맥락막에 있어서의 시세포, 신경절 세포, 망막 색소 상피 세포 및 상기 각 세포로 구성된 조직에 손상이 발생하고, 최종적으로는 세포사나 조직 기능 장해를 초래하여, 시력이나 시야 등의 시기능에 이상을 초래한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하고, 예를 들면, 망막 맥락막 반흔의 형성 및 수축이나, 당뇨병 망막증, 가령 황반 변성증, 망막 박리, 증식 유리체 망막증, 포도막염, 안감염증, 미숙아 망막증, 신생 혈관 황반증, 망막 맥락막염 등의 망막 유리체 질환을 적합하게 예시할 수 있고, 망막 맥락막 반흔의 형성 및 수축을 특히 적합하게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망막 맥락막 반흔이란, 안염증의 침정화 또는 진행에 따라, 망막상, 망막내 및 망막하의 손상 부위에서 발생한 섬유성 결합 조직, 바람직하게는 망막하의 손상 부위에서 발생한 섬유성 결합 조직이며, 주로 망막 색소 상피 세포, 섬유아세포, 글리아 세포 등과 콜라겐을 비롯한 세포외 매트릭스로 구성된 조직이다. 또한, 상기 망막상이란 망막면 위를 말하고, 망막하란, 망막과 맥락막 사이, 맥락막내 및 맥락막하를 말한다. 또한, 망막 맥락막 반흔의 형성이란, 안염증의 침정화 또는 진행에 따라, 망막상, 망막내 및 망막하의 손상 부위에서 섬유성 결합 조직이 형성되는 것을 말하고, 망막 맥락막 반흔의 수축이란, 형성된 망막 맥락막 반흔이 치유될 때에, 망막 맥락막 반흔 주변의 조직을 끌어당겨 수축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망막 맥락막 반흔의 형성 및 수축은 일련적으로 발생하고, 이 망막 맥락막 반흔의 형성 및 수축을 억제함으로써, 망막 맥락막 반흔의 황반부 및 주변 조직의 변형이 발생하여 망막 맥락막 기능에 장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망막 맥락막 장해의 치료제의 유효 성분인 본건 벤조산, 이의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염은,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제조할 수 있는 것 외에, 시판품을 구입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판품으로서, Shanghai Haoyuan Chemexpress사 제조 상품명: 파로바로텐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망막 맥락막 장해의 치료제의 유효 성분인 본건 벤조산, 이의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염에 있어서의 에스테르로서는, 생체 내에 있어서의 생리 조건하에서 효소 등에 의한 반응에 의해 본건 벤조산으로 변환되는 에스테르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이러한 에스테르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헥산올 또는 도데칸올 등의 1급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이소프로판올, s-부탄올 또는 1-에틸프로판올 등의 2급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t-부탄올 또는 1-메틸-1-에틸프로판올 등의 3급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또는 2-아미노에탄올 등의 아미노알코올과의 에스테르 등을 적합하게 들 수 있다.
상기의 에스테르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본건 벤조산 또는 이의 합성 중간체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의 유효 성분인 본건 벤조산, 이의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염에 있어서의 염으로서는, 의약으로서 허용되는 염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이러한 염에는, (1) 산부가염으로서,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요오드화수소산염, 질산염, 황산염 또는 인산염 등의 무기산염; 또는 아세트산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벤조산염, 옥살산염, 마론산염, 석신산염, 말레산염, 푸말산염, 타르타르산염, 시트르산염, 메탄설폰산염, 에탄설폰산염,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염, 벤젠설폰산염, p-톨루엔설폰산염, 글루탐산염 또는 아스파라긴산염 등의 유기산염, 또는 (2) 염기성 염으로서,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또는 마그네슘염 등의 금속염; 암모늄염 등의 무기염; 또는 트리에틸아민염 또는 구아니딘염 등의 유기 아민염 등을 적합하게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는, 적절한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와 혼합하여 제조되는, 연고제(바람직하게는, 안연고), 주사제, 정제, 과립제, 세립제, 산제, 캡슐제, 흡입제, 시럽제, 환제, 액제, 현탁제, 유제, 경피흡수제, 좌제, 로션 등의 형태로, 경구, 또는 비경구(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복강내 투여, 경피 투여, 경기도 투여, 피내 투여 또는 피하 투여)로 투여할 수 있다. 이들 제제는, 부형제, 활택제, 결합제, 붕괴제, 유화제, 안정제, 교미 교취제 또는 희석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여, 주지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부형제는, 예를 들면, 유기계 부형제 또는 무기계 부형제를 들 수 있다. 유기계 부형제는, 예를 들면, 유당, 자당, 포도당,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 등의 당 유도체;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α-전분 또는 덱스트린 등의 전분 유도체; 결정 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 유도체; 아라비아 고무; 덱스트란; 또는 플루란 등을 들 수 있다. 무기계 부형제는, 예를 들면, 경질 무수규산; 또는 황산칼슘 등의 황산염 등을 들 수 있다.
활택제는,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칼슘 또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등의 스테아르산 금속염; 활석; 콜로이드성 실리카; 비즈왁스 또는 경랍 등의 왁스류; 붕산; 아디프산; 황산나트륨 등의 황산염; 글리콜; 푸말산; 벤조산나트륨; D,L-류신; 라우릴황산나트륨; 무수규산 또는 규산 수화물 등의 규산류; 또는 상기의 부형제에 있어서의 전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마크로골 또는 상기의 부형제에서 나타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붕괴제는, 예를 들면,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칼슘 또는 내부 가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칼슘 등의 셀룰로스 유도체;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카르복시메틸 전분(starch) 또는 카르복시메틸 전분 나트륨 등의 화학 수식된 전분 또는 셀룰로스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유화제는, 예를 들면, 벤토나이트 또는 비검(veegum) 등의 콜로이드성 점토;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염화벤잘코늄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또는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안정제는, 예를 들면, 메틸파라벤 또는 프로필파라벤 등의 파라하이드록시벤조산에스테르류; 클로로부탄올, 벤질알코올 또는 페닐에틸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염화벤잘코늄; 페놀 또는 크레졸 등의 페놀류; 티메로살; 무수 아세트산; 또는 소르빈산을 들 수 있다.
교미 교취제는, 예를 들면, 사카린나트륨 또는 아스파르템 등의 감미료; 시트르산, 말산 또는 타르타르산 등의 산미료; 또는 멘톨, 레몬 추출액 또는 오렌지 추출액 등의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희석제는, 통상 희석제로서 사용되는 화합물이며, 예를 들면, 유당, 만니톨, 포도당, 자당, 황산칼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미결정성 셀룰로스, 물,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 전분,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연고제(바람직하게는, 안연고)의 경우에는, 백색 바세린 또는 유동 파라핀 등의 범용되는 기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는, 상기의 투여 제형에 추가하여, 점안제도 들 수 있고, 상기 점안제는 점안 투여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 등장화제, 완충제, pH 조절제, 가용화제, 증점제, 안정화제, 보존제(방부제) 등을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주지의 방법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pH 조절제, 증점제, 분산제 등을 첨가하고, 약물을 현탁화시킴으로써, 안정한 점안제를 수득할 수 있다.
등장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소르비톨 또는 만니톨 등을 들 수 있다.
완충제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 인산염, 시트르산, 아세트산 또는 ε-아미노카프론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절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시트르산, 말산, 아세트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붕산, 붕사, 인산수소2나트륨, 인산2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가용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 마크로골 4000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 및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계 고분자;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안정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데트산 또는 에데트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보존제(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범용의 소르빈산, 소르빈산칼륨,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또는 클로로부탄올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보존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점안제의 pH는 안과 제제에 허용되는 범위내에 있으면 되는데, 4.0 내지 8.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의 투여량은, 제형, 투여해야 하는 환자의 증상의 경중, 연령, 체중, 의사의 판단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지만, 경구제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성인에 대해 1일당 0.01 내지 5000m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00mg,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0mg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점안제의 경우에는, 0.000001 내지 10%(W/V), 바람직하게는 0.00001 내지 3%(W/V),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W/V)의 유효 성분 농도의 것을 1일 1회 또는 수회 투여할 수 있고, 안연고의 경우에는, 0.00001 내지 10%(W/W),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3%(W/V),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W/W)의 유효 성분 농도의 것을 1일 1회 또는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시험예 및 처방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마우스 망막 색소 상피 세포의 3차원 콜라겐 겔 수축 억제 시험)
마우스 망막 색소 상피 세포를 사용하여, Nishida 등의 방법(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42, 1247-1253(2001))에 준하여, 3차원 콜라겐 겔 수축에 대한 피험 화합물의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마우스 안구로부터 망막 색소 상피 세포를 포함하는, 망막하의 시트상의 색소 상피 세포를 채취하여, 초기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를 0.05% 트립신-EDTA에 의해 배양 슬라이드로부터 박리하여 회수하고, 혈청 없는 배지(MEM: 제품 번호 11095; Gibco사 제조)로 2회 세정후, 혈청 없는 배지를 가하여 세포 현탁액을 작제하였다. 타입 I 콜라겐(3mg/ml; 제품 번호 637-00653; 닛타젤라틴사 제조), 10×MEM, reconstitution buffer(제품 번호 635-00791; 닛타젤라틴사 제조), 세포 현탁액(1.1×107cells/ml in MEM)과 물을, 용량비 7:1:1:0.2:1.8로 얼음 위에서 혼합하였다. 이 혼합액(0.5ml)을 1% BSA로 코트한 배양 디쉬에 파종하고, 37℃에서 1시간 인큐베이션하여 콜라겐 겔을 작제하였다. 이어서, TGF-β2(R&D사 제조) 1ng/ml 및 본건 벤조산을 0, 0.01, 0.1, 1μM 첨가한 혈청 없는 배지를 콜라겐 겔 위에 각각 0.5ml 가하고 37℃에서 인큐베이트하여, 겔의 직경을 24시간 후에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서 혈청 없는 배지만을 0.5ml 가하고 마찬가지로 인큐베이트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도시한다.
(결과)
도 1로부터, 본건 벤조산은, 마우스 망막 색소 상피 세포를 사용한, TGF에 의한 콜라겐 겔 수축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본건 벤조산이 콜라겐의 턴오버에 기여하여,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에 유효하고, 안조직에서의 염증, 출혈, 감염, 수술, 외상 등의 후에 일어나는 조직 리모델링, 즉, 망막 조직 섬유화, 망막 맥락막 반흔 형성 및 수축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
(마우스의 망막하 반흔 형성의 억제 시험)
마우스의 망막하 반흔 모델을 제작함으로써, 본건 벤조산이 망막하 반흔 형성의 억제 효과를 갖는지를 조사하였다. 마우스에 있어서의 망막하 반흔 모델은, Young-joon 등의 방법(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52 6089-6095(2001)에 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마우스에 있어서의 망막하 반흔 모델의 작제)
우선, 마우스 C57BL/6(SLC사로부터 구입)의 안저 후극부에, 1개소 레이저 조사(0.05초, 200mW, 532nm)를 실시하여, 브루흐(Bruch) 막을 파괴하였다. 이것에 의해, 맥락막으로부터의 염증 세포 침윤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망막하에 에어버블을 생성시켰다.
다음에, 모양체 편평부로부터 33G 바늘을 찔러 넣고, 망막하에 4×107ml의 티오글리콜레이트 유도 복강 마크로파지 0.5μl, 및 본건 벤조산 1㎍, 5㎍, 또는 50㎍을 주입하였다. 대조군으로서는 본건 벤조산 주입 없음(0㎍)으로 하였다.
상기 마크로파지 및 본건 벤조산의 주입으로부터 7일후에 망막하를 관찰함과 동시에, 망막하 반흔 영역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2에 도시한다.
(결과)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건 벤조산을 50㎍ 주입한 경우에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반흔의 형성이 억제되어 있었다. 또한,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건 벤조산의 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반흔 영역(섬유화 영역)이 좁아지고 있으며, 본건 벤조산에 의해 망막하 반흔의 형성 및 수축을 억제 가능한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 3
[처방예]
(처방예 1) 점안제
100ml 중
본건 벤조산 100mg
염화나트륨 800mg
폴리솔베이트 80 적량
인산수소2나트륨 적량
인산2수소나트륨 적량
멸균 정제수 적량
멸균 정제수에 본건 벤조산 및 그 이외의 상기 성분을 가하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하여 점안액을 조제한다. 본건 벤조산 등의 첨가량을 변경함으로써, 농도가 0.05%(W/V), 0.3%(W/V), 0.5%(W/V) 또는 1%(W/V)의 점안제를 조제할 수 있다.
(처방예 2) 안연고
100g 중
본건 벤조산 0.3g
유동 파라핀 10.0g
백색 바세린 적량
균일하게 용융된 백색 바세린 및 유동 파라핀에, 본건 벤조산을 가하고, 이들을 충분히 혼합한 후에 서서히 냉각시킴으로써 안연고를 조제하였다. 본건 벤조산 등의 첨가량을 변경함으로써, 농도가 0.05%(W/W), 0.1%(W/W), 0.5%(W/W) 또는 1%(W/W)인 안연고를 조제할 수 있다.
(처방예 3) 정제
100mg 중
본건 벤조산 1mg
유당 66.4mg
옥수수 전분 20m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칼슘 6mg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6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0.6mg
본건 벤조산, 옥수수 전분 및 유당을 혼합기 중에서 혼합하고, 이의 혼합물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칼슘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를 가하여 조립(造組)하고, 수득된 과립을 건조 후 정립(整粒)하고, 그 정립 과립에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가하여 혼합하고, 타정기로 타정한다. 또한, 본건 벤조산 등의 첨가량을 변경함으로써, 100mg 중의 함유량이 0.1mg, 10mg 또는 50mg인 정제를 조제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의 유효 성분인 (E)-4-(2-{3-[(1H-피라졸-1-일)메틸]-5,5,8,8-테트라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비닐)벤조산, 이의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염은, 망막 맥락막에 있어서의 망막 색소 상피 세포, 섬유아세포, 글리아 세포 등에 있어서의 콜라겐 수축을 강력하게 억제함으로써,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 특히 망막 맥락막 반흔의 형성 및 수축의 억제제로서 유용하다.

Claims (5)

  1. (E)-4-(2-{3-[(1H-피라졸-1-일)메틸]-5,5,8,8-테트라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비닐)벤조산, 이의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E)-4-(2-{3-[(1H-피라졸-1-일)메틸]-5,5,8,8-테트라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비닐)벤조산, 이의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염이, (E)-4-(2-{3-[(1H-피라졸-1-일)메틸]-5,5,8,8-테트라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비닐)벤조산 또는 이의 염인,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망막 맥락막 장해가, 망막상, 망막내, 또는 망막하 중 어느 하나의 조직에 있어서의 망막 맥락막 반흔의 형성 및 수축인,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 형태가 점안 투여 또는 경구 투여인,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이, 점안제, 안연고, 주사제, 정제, 과립제, 세립제, 산제 또는 캡슐제인,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
KR1020157035402A 2013-05-22 2014-05-21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 KR102303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07706 2013-05-22
JPJP-P-2013-107706 2013-05-22
PCT/JP2014/002667 WO2014188716A1 (ja) 2013-05-22 2014-05-21 網脈絡膜障害の抑制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075A true KR20160013075A (ko) 2016-02-03
KR102303316B1 KR102303316B1 (ko) 2021-09-23

Family

ID=51933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402A KR102303316B1 (ko) 2013-05-22 2014-05-21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2) US10702502B2 (ko)
EP (2) EP3446690A1 (ko)
JP (2) JP6407145B2 (ko)
KR (1) KR102303316B1 (ko)
CN (1) CN105377258B (ko)
AU (1) AU2014269762B2 (ko)
BR (1) BR112015029114B1 (ko)
CA (1) CA2913005C (ko)
CY (1) CY1121036T1 (ko)
DK (1) DK3000466T3 (ko)
ES (1) ES2694831T3 (ko)
HK (1) HK1221909A1 (ko)
HR (1) HRP20181876T1 (ko)
LT (1) LT3000466T (ko)
MX (1) MX362239B (ko)
PL (1) PL3000466T3 (ko)
PT (1) PT3000466T (ko)
RS (1) RS58045B1 (ko)
RU (1) RU2672057C2 (ko)
SI (1) SI3000466T1 (ko)
WO (1) WO2014188716A1 (ko)
ZA (1) ZA2015089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6570B2 (ja) 2010-09-01 2016-09-06 トーマス・ジェファーソン・ユニバーシティThomas Jefferson University 筋修復および再生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CN109589324B (zh) 2012-11-08 2022-06-14 国立大学法人山口大学 角结膜病症的治疗剂
KR102303316B1 (ko) * 2013-05-22 2021-09-23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야마구치 다이가쿠 망막 맥락막 장해의 억제제
EA201892497A1 (ru) 2016-06-08 2019-05-31 Клементиа Фармасьютикалз Инк.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гетеротопической оссификации
CN110381939B (zh) 2016-11-16 2022-12-02 同理制药公司 用于治疗多发性骨软骨瘤(mo)的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855B1 (ko) * 1993-01-11 2001-11-30 윌리암 엘. 레스페스 레티노이드x수용체에대한선택성을갖는화합물
WO2002028810A2 (en) 2000-10-02 2002-04-11 F. Hoffmann-La Roche Ag Retinoids for the treatment of emphysema
KR20070037188A (ko) 2005-09-30 2007-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에서 유량 제어구조
WO2008057930A2 (en) 2006-11-02 2008-05-15 Aestus Therapeutics, Inc. Methods of treating neuropathic pain with retinoic acid receptor agonists
EP1938815A1 (en) * 2005-09-27 2008-07-02 Sapporo Medical University Pharmaceutical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phthalmic disease induced by increase in vasopermeability
EP3000466A1 (en) * 2013-05-22 2016-03-30 Yamaguchi University Inhibitor for retinochoroidal disorder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4685A (en) 1995-02-01 1998-10-20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Method of preventing proliferation of retinal pigment epithelium by retinoic acid receptor agonists
US5624957A (en) 1995-06-06 1997-04-2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Rary-specific retinobenzoic acid derivatives
US5919970A (en) 1997-04-24 1999-07-06 Allergan Sales, Inc. Substituted diaryl or diheteroaryl methanes, ethers and amines having retinoid agonist, antagonist or inverse agonist type biological activity
US7514074B2 (en) 1997-07-14 2009-04-07 Osiris Therapeutics, Inc. Cardiac muscle regeneration using mesenchymal stem cells
US6204288B1 (en) 1999-03-08 2001-03-20 The University Of Mississippi 1,2-dithiolane derivatives
US6313168B1 (en) 1999-12-15 2001-11-06 Allergan Sales, Inc. Use of retinoid receptor antagonists in the treatment of cartilage and bone pathologies
US20030114482A1 (en) 1999-12-15 2003-06-19 Maurizio Pacifici Use of retinoid receptor antagonists or agonists in the treatment of cartilage and bone pathologies
WO2001068135A2 (en) 2000-03-14 2001-09-20 The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ffecting osteogenesis
JP4421293B2 (ja) 2001-09-18 2010-02-24 エフ.ホフマン−ラ ロシュ アーゲー アルキル尿素レチノイドアゴニストi
MXPA04002305A (es) 2001-09-18 2004-06-29 Hoffmann La Roche Agonistas ii de retinoides de urea sustituida.
AUPR892501A0 (en) 2001-11-16 2001-12-13 Peter Maccallum Cancer Institute, The Method of enhancing self renewal of stem cells and uses thereof
US20050101581A1 (en) 2002-08-28 2005-05-12 Reading Christopher L. Therapeutic treatment methods 2
JP2005206544A (ja) 2004-01-23 2005-08-04 Yasuyoshi Uchida 筋肉再生剤
AU2005240078A1 (en) 2004-04-30 2005-11-17 Allergan, Inc. Retinoid-containing sustained release intraocular drug delivery systems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EP1868576A2 (en) * 2005-03-17 2007-12-26 Elan Pharma International Limited Injectable compositions of nanoparticulate immunosuppressive compounds
US7345931B2 (en) 2005-08-01 2008-03-18 Infineon Technologies Ag Maintaining internal voltages of an integrated circuit in response to a clocked standby mode
WO2007113122A1 (en) * 2006-03-31 2007-10-11 F. Hoffmann-La Roche Ag Process for preparing retinoid compounds
CA2651487A1 (en) 2006-05-16 2007-11-29 Vitae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treating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side effects
CN101687031B (zh) 2006-10-27 2014-05-14 勒帕斯公司 用于治疗眼疾和眼病的组合物及方法
US9119777B2 (en) 2008-05-30 2015-09-01 Microdose Therapeutx,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administration of oxybutynin
JP2009235031A (ja) 2008-03-28 2009-10-15 Nano Egg:Kk 角膜組織の再生促進剤
WO2010071583A1 (en) 2008-12-18 2010-06-24 Astrazeneca Ab Pharmaceutical product comprising a p38 kinase inhibitor and a second active ingredient
US20120121546A1 (en) 2009-02-05 2012-05-17 Vishal Bhasin Method of Producing Progenitor Cells from Differentiated Cells
JP5986570B2 (ja) 2010-09-01 2016-09-06 トーマス・ジェファーソン・ユニバーシティThomas Jefferson University 筋修復および再生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WO2012047674A2 (en) 2010-09-27 2012-04-12 Microdose Therapeutx,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isease treatment using inhalation
CN103702967A (zh) 2011-03-14 2014-04-02 貝丝以色列女执事医疗中心 用于治疗增殖性病症的方法和组合物
WO2012129562A2 (en) 2011-03-24 2012-09-27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Compounds and methods for inducing chondrogenesis
US8772273B2 (en) 2011-10-04 2014-07-08 Quretino Therapeutics, Inc. Formulations and uses of retinoic acid receptor selective agonists
CN109589324B (zh) 2012-11-08 2022-06-14 国立大学法人山口大学 角结膜病症的治疗剂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855B1 (ko) * 1993-01-11 2001-11-30 윌리암 엘. 레스페스 레티노이드x수용체에대한선택성을갖는화합물
WO2002028810A2 (en) 2000-10-02 2002-04-11 F. Hoffmann-La Roche Ag Retinoids for the treatment of emphysema
EP1938815A1 (en) * 2005-09-27 2008-07-02 Sapporo Medical University Pharmaceutical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phthalmic disease induced by increase in vasopermeability
KR20070037188A (ko) 2005-09-30 2007-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에서 유량 제어구조
WO2008057930A2 (en) 2006-11-02 2008-05-15 Aestus Therapeutics, Inc. Methods of treating neuropathic pain with retinoic acid receptor agonists
EP3000466A1 (en) * 2013-05-22 2016-03-30 Yamaguchi University Inhibitor for retinochoroidal disor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77258B (zh) 2020-08-28
MX2015016083A (es) 2016-03-21
PL3000466T3 (pl) 2019-04-30
US20210121442A1 (en) 2021-04-29
HK1221909A1 (zh) 2017-06-16
CY1121036T1 (el) 2019-12-11
SI3000466T1 (sl) 2019-02-28
EP3000466A4 (en) 2017-01-25
NZ715245A (en) 2021-04-30
WO2014188716A1 (ja) 2014-11-27
CN105377258A (zh) 2016-03-02
JP2018115221A (ja) 2018-07-26
US10702502B2 (en) 2020-07-07
JPWO2014188716A1 (ja) 2017-02-23
AU2014269762A1 (en) 2016-01-07
LT3000466T (lt) 2019-02-11
EP3000466B1 (en) 2018-08-15
RS58045B1 (sr) 2019-02-28
US20160120843A1 (en) 2016-05-05
MX362239B (es) 2019-01-09
BR112015029114A8 (pt) 2020-03-17
EP3446690A1 (en) 2019-02-27
BR112015029114B1 (pt) 2020-11-24
DK3000466T3 (en) 2018-11-26
CA2913005A1 (en) 2014-11-27
KR102303316B1 (ko) 2021-09-23
HRP20181876T1 (hr) 2019-03-08
ZA201508940B (en) 2017-11-29
PT3000466T (pt) 2018-11-27
ES2694831T3 (es) 2018-12-27
RU2015154741A (ru) 2017-06-28
JP6407145B2 (ja) 2018-10-17
BR112015029114A2 (pt) 2017-07-25
JP6749962B2 (ja) 2020-09-02
RU2672057C2 (ru) 2018-11-09
US11730718B2 (en) 2023-08-22
AU2014269762B2 (en) 2019-09-12
CA2913005C (en) 2021-08-10
EP3000466A1 (en)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0718B2 (en) Inhibitor for retinochoroidal disorders
JP2008308489A (ja) ロピニロール又はその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後眼部疾患の予防又は治療剤
JP6462836B2 (ja) 角結膜障害の治療剤
WO2011149012A1 (ja) イソキノリンスルホニル誘導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網脈絡膜変性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剤、網脈絡膜変性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方法、イソキノリンスルホニル誘導体またはその医薬的に許容される塩、ならびにその使用
US20240180873A1 (en) Inhibitor for retinochoroidal disorders
KR20150119861A (ko) 테트라히드로피라닐 아미노 시클로펜틸카르보닐 테트라히드로피리도피리딘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후안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NZ715245B2 (en) Inhibitor for retinochoroidal disor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