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014A - 챠량의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챠량의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014A
KR20160008014A KR1020140087345A KR20140087345A KR20160008014A KR 20160008014 A KR20160008014 A KR 20160008014A KR 1020140087345 A KR1020140087345 A KR 1020140087345A KR 20140087345 A KR20140087345 A KR 20140087345A KR 20160008014 A KR20160008014 A KR 20160008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ushion
vent hole
tether
main
main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0174B1 (ko
Inventor
최준열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7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174B1/ko
Priority to JP2014205686A priority patent/JP6502052B2/ja
Priority to US14/550,113 priority patent/US9393924B2/en
Priority to DE102014118667.2A priority patent/DE102014118667B4/de
Priority to CN201510032622.7A priority patent/CN105313830B/zh
Publication of KR20160008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ther means for limitation of cover motion during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60R2021/23384Internal tether means having ends which are movable or detachable during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60R2021/239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comprising means to control the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쿠션에 형성되며, 내부의 팽창가스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메인벤트홀; 상기 에어백쿠션의 외측면에 마련되며, 제공되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메인벤트홀과 이격되어 상기 메인벤트홀을 개방한 상태와, 상기 메인벤트홀에 밀착되어 상기 메인벤트홀을 폐쇄한 상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에어백쿠션 내부의 팽창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보조벤트홀이 형성된 덮개; 상기 덮개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에어백쿠션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벤트홀을 통해 상기 덮개에 인장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테더; 및 상기 에어백쿠션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테더를 지지하며, 상기 테더가 에어백쿠션의 내측면에 슬라이딩되면서 통과하도록 구성된 테더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에어백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챠량의 에어백 장치{AIRBA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백쿠션의 전개 초기에는 신속한 전개가 이루어지고 탑승자 로딩시에는 적절한 완충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어린이나 에어백 장치에 근접하게 위치한 탑승자의 상해를 저감하기 위한 LRD성능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은 차량의 사고 발생시 에어백쿠션의 적절한 팽창으로 탑승자의 충격을 완충하여 상해를 저감 내지는 방지하도록 하는바, 에어백쿠션의 팽창 거동은 탑승자의 안전성 확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요구되는 에어백쿠션의 팽창 거동은, 그 전개 초기에는 신속한 팽창으로 탑승자를 신속하게 구속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탑승자가 에어백쿠션에 접촉하기 시작하면서 하중을 인가하는 로딩시에는 에어백쿠션 내부의 팽창가스를 적절히 배출시켜서, 탑승자를 적절히 완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예컨대 북미의 LRD(Low Risk Deployment)법규 등과 같은 각종 법규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만족할 수 있어야 하는바, 상기 LRD법규의 경우, 에어백쿠션의 전개 초기에도 벤트홀을 통해 팽창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어린이나 에어백 장치에 근접하게 위치한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것을 요구하는 바,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LRD법규를 만족하기 위한 성능을 LRD성능이라 칭하기로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LRD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에어백쿠션의 전개 초기에도 에어백쿠션의 벤트홀이 개방되어 팽창가스의 일부가 방출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의 신속한 팽창을 위해서는 에어백쿠션의 전개 초기에는 가급적 벤트홀이 폐쇄되어야 하며, 일단 만개 상태에 이르러 탑승자가 로딩되기 시작하면 벤트홀이 열려서 팽창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는 바, 이와 같이 에어백쿠션의 전개 과정의 진행과 탑승자의 착좌 조건 등에 따라 적절한 시점에 벤트홀이 적절히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구현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에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76044호의 "가변 벤트를 갖는 에어백 쿠션"이 소개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 역시 에어백쿠션의 전개 과정의 진행과 탑승자의 착좌 조건 등에 따라 적절한 시점에 벤트홀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5-0076044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에어백쿠션의 전개 초기에는 신속한 전개가 이루어지고 탑승자 로딩시에는 적절한 완충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어린이나 에어백 장치에 근접하게 위치한 탑승자의 상해를 저감하기 위한 LRD성능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에어백쿠션 내부의 과도한 가스 압력을 줄여 에어백쿠션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차량의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에어백쿠션에 형성되며, 내부의 팽창가스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메인벤트홀; 상기 에어백쿠션의 외측면에 마련되며, 제공되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메인벤트홀과 이격되어 상기 메인벤트홀을 개방한 상태와, 상기 메인벤트홀에 밀착되어 상기 메인벤트홀을 폐쇄한 상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에어백쿠션 내부의 팽창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보조벤트홀이 형성된 덮개; 상기 덮개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에어백쿠션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벤트홀을 통해 상기 덮개에 인장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테더; 및 상기 에어백쿠션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테더를 지지하며, 상기 테더가 에어백쿠션의 내측면에 슬라이딩되면서 통과하도록 구성된 테더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메인벤트홀과 테더가이드 사이에 마련되어 테더를 지지하며, 상기 테더가이드를 통과한 테더가 상기 에어백쿠션의 내측면에 슬라이딩되면서 통과하도록 구성된 밀폐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벤트홀은 상기 덮개가 메인벤트홀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벤트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벤트홀은 상기 덮개가 메인벤트홀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벤트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벤트홀은 에어백쿠션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테더는 타단부가 상기 에어백쿠션의 전방에 고정되며; 상기 테더가이드는 상기 에어백쿠션에 탑승자의 머리가 접촉하게 되는 부분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상기 메인벤트홀 주위를 감싸도록 상기 에어백쿠션에 일부가 접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개방되어, 상기 에어백쿠션의 외측면과 함께 상기 메인벤트홀을 빠져 나온 팽창가스가 대기중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포켓 형상의 배출구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상기 메인벤트홀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사각형 형상의 메인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부의 전단 및 양측단에 사이드부가 연장 형성되면서 사이드부의 펼쳐짐에 의해 상기 에어백쿠션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메인부가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부로부터 연장된 사이드부의 전단 및 양측단이 상기 메인벤트홀의 주위를 감싸면서 에어백쿠션에 직접 접합되고, 상기 메인부의 전단 및 양측단 사이의 모서리부분과, 상기 사이드부의 전단 및 양측단 사이의 모서리부분이 소정반경을 갖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부의 후단이 자유 상태로 상기 에어백쿠션으로부터 이격되면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메인부의 후단은 상기 덮개가 메인벤트홀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부 후단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부의 후단이 중첩되어 재봉되며, 상기 메인부의 후단에 테더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부의 후단에 연결된 테더의 폭은 메인부의 후단 폭과 벤트홀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메인벤트홀과 근접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에어백쿠션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테더를 지지하며, 상기 테더가 에어백쿠션의 내측면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밀폐가이드를 통과하고, 상기 밀폐가이드를 통과한 테더의 일단부가 상기 덮개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쿠션의 내부에 전후단 및 양단이 고정되어 에어백쿠션의 전개형상을 규제하는 형상유지테더가 더 마련되며, 상기 형상유지테더의 전단부가 상기 테더의 타단부와 함께 상기 에어백쿠션의 전방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쿠션은 에어백하우징의 내부에 폴딩된 상태로 구비되며, 에어백쿠션의 폴딩시 상기 덮개는 에어백쿠션의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에어백쿠션의 전개초기에는 덮개가 메인벤트홀을 막아 신속한 에어백쿠션의 전개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덮개에 형성된 보조벤트홀을 통해 에어백쿠션 내부의 압력이 과도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탑승자가 에어백쿠션에 로딩되는 상황이 되면 상기 덮개가 개방되면서 메인벤트홀을 열어 탑승자를 적절히 완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보조벤트홀을 통해서도 에어백쿠션 내의 가스를 신속하게 배출하도록 하여 적절한 완충성능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전개 초기시 테더에 의한 메인벤트홀 폐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에어백쿠션에 승객의 지지시, 메인벤트홀 개방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에어백쿠션 및 덮개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에어백쿠션 및 덮개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덮개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백쿠션이 에어백하우징에 폴딩되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메인벤트홀 내측에 형성된 보조벤트홀의 여러 실시예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메인벤트홀 외측에 형성된 보조벤트홀의 여러 실시예 형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에어백 장치는 크게, 메인벤트홀(3)과, 덮개(5)와, 테더(9)와, 테더가이드(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에어백쿠션(1)에 형성되며, 내부의 팽창가스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메인벤트홀(3); 상기 에어백쿠션(1)의 외측면에 마련되며, 제공되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메인벤트홀(3)과 이격되어 상기 메인벤트홀(3)을 개방한 상태와, 상기 메인벤트홀(3)에 밀착되어 상기 메인벤트홀(3)을 폐쇄한 상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에어백쿠션(1) 내부의 팽창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보조벤트홀(7)이 형성된 덮개(5); 상기 덮개(5)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에어백쿠션(1)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벤트홀(3)을 통해 상기 덮개(5)에 인장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테더(9); 및 상기 에어백쿠션(1)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테더(9)를 지지하며, 상기 테더(9)가 에어백쿠션(1)의 내측면에 슬라이딩되면서 통과하도록 구성된 테더가이드(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쿠션(1)은 전석의 동승석 전방에서 전개되는 에어백쿠션(1)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벤트홀(3)과 테더가이드(11) 사이에 마련되어 테더(9)를 지지하며, 상기 테더가이드(11)를 통과한 테더(9)가 상기 에어백쿠션(1)의 내측면에 슬라이딩되면서 통과하도록 구성된 밀폐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에어백쿠션(1)의 전개초기에는 상기 덮개(5)가 메인벤트홀(3)을 막아 신속한 에어백쿠션(1)의 전개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덮개(5)에 형성된 보조벤트홀(7)을 통해 에어백쿠션(1) 내부의 압력이 과도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탑승자가 에어백쿠션(1)에 로딩되는 상황이 되면 상기 덮개(5)가 개방되면서 메인벤트홀(3)을 열어 탑승자를 적절히 완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보조벤트홀(7)을 통해서도 에어백쿠션(1) 내의 가스를 신속하게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벤트홀(7)의 예시로서, 상기 보조벤트홀(7)은 상기 덮개(5)가 메인벤트홀(3)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벤트홀(3)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벤트홀(7)이 메인벤트홀(3)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 에어백쿠션(1)의 전개시 덮개(5)가 메인벤트홀(3)을 막아 에어백쿠션(1)이 신속하게 전개되는 것은 물론, 보조벤트홀(7)을 통해 에어백쿠션(1) 내부의 가스가 배출됨으로써, 에어백쿠션(1) 내압이 과다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에어백쿠션(1)의 파손을 방지하고, 또한 보조벤트홀(7)을 통한 지속적인 가스 배출에 의해 LRD성능에 더욱 유리하며, 에어백쿠션(1) 내부의 가스를 지속적으로 배출시킬 필요시 매우 유용하다.
아울러,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벤트홀(7)의 다른 예시로서, 상기 보조벤트홀(7)은 상기 덮개(5)가 메인벤트홀(3)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벤트홀(3)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벤트홀(7)이 메인벤트홀(3)의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 에어백쿠션(1)의 전개시 보조벤트홀(7)로 빠져나가는 가스를 최소화시켜 에어백쿠션(1)이 보다 신속하게 전개되고, 또한 탑승자의 로딩시 메인벤트홀(3)을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경우, 가스의 배출이 간섭되는 덮개(5) 면적을 최소화시키게 되는바, 탑승자의 완충성능 및 LRD성능에 유리한 것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벤트홀(3)은 에어백쿠션(1)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테더(9)는 타단이 상기 에어백쿠션(1)의 전방에 고정되며, 상기 테더가이드(11)는 상기 에어백쿠션(1)에 탑승자의 머리(h)가 접촉하게 되는 부분 내측에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테더가이드(11)는 중앙부가 상기 에어백쿠션(1)의 내측면과 함께 상기 테더(9)를 감싸는 상태로 양측이 에어백쿠션(1)에 재봉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5)는 상기 메인벤트홀(3) 주위를 감싸도록 상기 에어백쿠션(1)에 일부가 접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개방되어, 상기 에어백쿠션(1)의 외측면과 함께 상기 메인벤트홀(3)을 빠져 나온 팽창가스가 대기중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포켓 형상의 배출구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덮개(5)는 이중의 재봉라인(s)으로 에어백쿠션(1)에 재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5)는, 상기 메인벤트홀(3)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사각형 형상의 메인부(5a)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부(5a)의 전단 및 양측단에 사이드부(5b)가 연장 형성되면서 사이드부(5b)의 펼쳐짐에 의해 상기 에어백쿠션(1)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메인부(5a)가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부(5a)로부터 연장된 사이드부(5b)의 전단 및 양측단이 상기 메인벤트홀(3)의 주위를 감싸면서 에어백쿠션(1)에 직접 접합되고, 상기 메인부(5a)의 전단 및 양측단 사이의 모서리부분과, 상기 사이드부(5b)의 전단 및 양측단 사이의 모서리부분이 소정반경을 갖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부(5b)의 후단이 자유 상태로 상기 에어백쿠션(1)으로부터 이격되면서 개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부(5b)는 덮개(5)의 개방시 3D 형상을 구현하고, 조립 및 사양 변경시 용이성을 위하여 접혀져서 구비된다.
특히, 상기 덮개(5)의 모서리부분이 곡선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덮개(5) 개방시 에어백쿠션(1)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모서리부분 내측에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시키게 되는바, 덮개(5)의 작동성을 원활하게 하는 것은 물론, 과도한 가스 집중에 의한 덮개(5)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부(5a)의 후단은 상기 덮개(5)가 메인벤트홀(3)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부(5b) 후단보다 후방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부(5a)의 개방측 끝단에 테더(9)가 연결됨으로써, 테더(9)의 당겨짐에 의해 덮개(5)가 메인벤트홀(3)을 폐쇄하게 되는바, 메인벤트홀(3)을 폐쇄하는 메인부(5a)의 길이를 증대시켜 밀폐성능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에어백쿠션(1)의 초기 전개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부(5a)의 후단이 중첩되어 재봉되며, 상기 메인부(5a)의 후단에 테더(9)가 연결될 수 있다.
즉, 덮개(5)의 폐쇄 작동시, 테더(9)의 당겨짐에 의해 메인부(5a)의 후단 끝부분은 가장 많은 힘이 가해지게 되는 영역으로써, 메인부(5a)의 끝부분을 중첩되게 접어 재봉하여 덮개(5)의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메인부(5a)의 후단에 연결된 테더(9)의 폭(L1)은 메인부(5a)의 후단 폭(L2) 및 벤트홀(3)의 직경보다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덮개(5)의 폐쇄 작동시, 메인부(5a)의 양측으로 에어백쿠션(1)과의 사이에 공기가 새어나가는 리키지 공간이 형성되는바, 에어백쿠션(1)을 신속하게 전개시키면서도 에어백쿠션(1)의 내압이 과대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3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덮개(5)의 메인부(5a)는 에어백쿠션(1)의 외측에 위치하고, 테더(9)의 일단부는 에어백쿠션(1)의 내부로부터 벤트홀(3)을 통과하여 메인부(5a)의 단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덮개(5)가 폐쇄 작동되면, 테더(9)의 일단부에 연결된 메인부(5a)의 단부가 벤트홀(3)을 향하여 당겨지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테더(9)의 폭(L1)이 벤트홀(3)의 직경은 물론 메인부(L2)의 폭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메인부(5a)의 양측으로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을 통해서 에어백쿠션 내부의 공기가 소정량 누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더(9)는 상기 테더가이드(11)를 중심으로 하여 에어백쿠션(1)의 전방과 후방을 연결하는 제1부분(9a)과 상기 에어백쿠션(1)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덮개(5)로 연결되는 제2부분(9b)으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으며, 상기 덮개(5)의 개폐 작용은 에어백쿠션(1) 내부의 팽창가스의 압력과 상기 테더(9)의 제1부분(9a)과 제2부분(9b)의 상대길이 변화 등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메인벤트홀(3)과 근접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밀폐수단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에어백쿠션(1)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테더(9)를 지지하며, 상기 테더(9)가 에어백쿠션(1)의 내측면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밀폐가이드(13)를 통과하고, 상기 밀폐가이드(13)를 통과한 테더(9)의 일단부가 상기 덮개(5)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 장치는 상기 에어백쿠션(1)의 초기 전개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더가이드(11)가 장착된 에어백쿠션(1)의 후방부가 탑승자의 머리(h)를 향해 후방으로 진행하며, 이때 상기 테더(9)에는 상기 테더가이드(11)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따라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부분(9b)이 당겨져서 제1부분(9a)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므로 상기 덮개(5)는 상기 메인벤트홀(3)을 닫고 있는 상태가 되어, 에어백쿠션(1)의 신속한 초기 전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제2부분은 밀폐가이드(13)에 의해 메인벤트홀(3)과 근접한 위치에서 지지되면서 에어백쿠션(1)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당겨지게 됨으로써, 상기 메인벤트홀(3)이 밀폐되는바 메인벤트홀(3)을 통해 빠져나가는 팽창가스의 손실을 최소화시켜 에어백쿠션(1)의 초기 전개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다만, 보조벤트홀(7)이 메인벤트홀(3)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경우, 에어백쿠션(1) 내부의 팽창가스가 보조벤트홀(7)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에어백쿠션(1)의 초기 전개 성능을 일정 부분 유지시키면서도, 에어백쿠션(1) 내부의 과도한 압력 상승을 방지하여 에어백쿠션(1)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에어백쿠션(1)의 내부에 전후단 및 양단이 고정되어 에어백쿠션(1)의 전개형상을 규제하는 형상유지테더(1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형상유지테더(15)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형상유지테더(15)의 전후좌우단이 에어백쿠션(1) 내부의 전후좌우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에어백쿠션(1)의 전개시 에어백쿠션(1)의 전개 형상을 원하는 형상으로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형상유지테더(15)의 전단부가 상기 테더(9)의 타단부와 함께 상기 에어백쿠션(1)의 전방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형상유지테더(15)의 전단부와 테더(9)의 전단부가 에어백쿠션(1)의 전방에 함께 고정됨으로써, 테더(9) 및 형상유지테더(15)를 에어백쿠션(1)에 고정시키는 데 필요한 작업공수를 저감할 수 있다.
도 4는 에어백쿠션(1)의 전개가 이루어진 후 탑승자의 머리(h)가 에어백쿠션(1)에 로딩되는 상황을 설명한 것으로서, 탑승자의 머리(h)가 에어백쿠션(1)의 후방부를 전방으로 밀게 됨에 따라 상기 테더가이드(11)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팽창가스는 상기 덮개(5)를 외측으로 미는 힘을 작용하므로, 이에 의해 상기 테더(9)는 제1부분(9a)이 당겨져서 제2부분(9b)으로 이동하므로 결과적으로 테더(9)의 제2부분(9b)이 길어지게 되면서 상기 덮개(5)가 메인벤트홀(3)을 개방하도록 하고, 이에 의해 에어백쿠션(1) 내부의 팽창가스가 상기 메인벤트홀(3)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탑승자가 에어백쿠션(1)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덮개(5)에 보조벤트홀(7)이 형성됨으로써, 에어백쿠션(1)으로부터 배출되는 팽창가스가 덮개(5)에 간섭되는 부분을 저감시켜 보다 신속하게 팽창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완충 성능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에어백쿠션(1)은 에어백하우징(17)의 내부에 폴딩된 상태로 구비되며, 에어백쿠션(1)의 폴딩시 상기 덮개(5)는 에어백쿠션(1)의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에어백쿠션(1)이 에어백하우징(17)의 내부에 접혀진 상태로 구비될 때에, 덮개(5)는 에어백쿠션(1)의 안쪽으로 접혀지지 않고, 에어백쿠션(1)의 바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에어백하우징(17)에 수납된다.
따라서, 에어백쿠션(1)의 초기 전개시 덮개(5)의 수납구조로 인해 테더(9)에 의한 덮개(5)의 폐쇄작동 이전까지는 벤트홀(5)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팽창가스가 벤트홀(3)을 통해 방출되는바, 어린이와 같은 탑승자로 하더라도 적절한 LRD성능을 발휘하여 어린이와 같은 탑승자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에어백쿠션 3 : 메인벤트홀
5 : 덮개 7 : 보조벤트홀
9 : 테더 11 : 테더가이드
13 : 밀폐가이드 15 : 형상유지테더
17 : 에어백하우징

Claims (14)

  1. 에어백쿠션에 형성되며, 내부의 팽창가스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메인벤트홀;
    상기 에어백쿠션의 외측면에 마련되며, 제공되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메인벤트홀과 이격되어 상기 메인벤트홀을 개방한 상태와, 상기 메인벤트홀에 밀착되어 상기 메인벤트홀을 폐쇄한 상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에어백쿠션 내부의 팽창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보조벤트홀이 형성된 덮개;
    상기 덮개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에어백쿠션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벤트홀을 통해 상기 덮개에 인장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테더; 및
    상기 에어백쿠션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테더를 지지하며, 상기 테더가 에어백쿠션의 내측면에 슬라이딩되면서 통과하도록 구성된 테더가이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벤트홀과 테더가이드 사이에 마련되어 테더를 지지하며, 상기 테더가이드를 통과한 테더가 상기 에어백쿠션의 내측면에 슬라이딩되면서 통과하도록 구성된 밀폐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의 에어백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벤트홀은 상기 덮개가 메인벤트홀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벤트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백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벤트홀은 상기 덮개가 메인벤트홀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벤트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백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벤트홀은 에어백쿠션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테더는 타단부가 상기 에어백쿠션의 전방에 고정되며;
    상기 테더가이드는 상기 에어백쿠션에 탑승자의 머리가 접촉하게 되는 부분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백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메인벤트홀 주위를 감싸도록 상기 에어백쿠션에 일부가 접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개방되어, 상기 에어백쿠션의 외측면과 함께 상기 메인벤트홀을 빠져 나온 팽창가스가 대기중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포켓 형상의 배출구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백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메인벤트홀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사각형 형상의 메인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부의 전단 및 양측단에 사이드부가 연장 형성되면서 사이드부의 펼쳐짐에 의해 상기 에어백쿠션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메인부가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부로부터 연장된 사이드부의 전단 및 양측단이 상기 메인벤트홀의 주위를 감싸면서 에어백쿠션에 직접 접합되고, 상기 메인부의 전단 및 양측단 사이의 모서리부분과, 상기 사이드부의 전단 및 양측단 사이의 모서리부분이 소정반경을 갖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부의 후단이 자유 상태로 상기 에어백쿠션으로부터 이격되면서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백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의 후단은 상기 덮개가 메인벤트홀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부 후단보다 후방으로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에어백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의 후단이 중첩되어 재봉되며, 상기 메인부의 후단에 테더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백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의 후단에 연결된 테더의 폭은 메인부의 후단 폭과 벤트홀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백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메인벤트홀과 근접된 위치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백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에어백쿠션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테더를 지지하며, 상기 테더가 에어백쿠션의 내측면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밀폐가이드를 통과하고, 상기 밀폐가이드를 통과한 테더의 일단부가 상기 덮개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백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의 내부에 전후단 및 양단이 고정되어 에어백쿠션의 전개형상을 규제하는 형상유지테더가 더 마련되며,
    상기 형상유지테더의 전단부가 상기 테더의 타단부와 함께 상기 에어백쿠션의 전방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은 에어백하우징의 내부에 폴딩된 상태로 구비되며, 에어백쿠션의 폴딩시 상기 덮개는 에어백쿠션의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20140087345A 2014-07-11 2014-07-11 차량의 에어백 장치 KR101620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345A KR101620174B1 (ko) 2014-07-11 2014-07-11 차량의 에어백 장치
JP2014205686A JP6502052B2 (ja) 2014-07-11 2014-10-06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US14/550,113 US9393924B2 (en) 2014-07-11 2014-11-21 Airbag device for vehicle
DE102014118667.2A DE102014118667B4 (de) 2014-07-11 2014-12-15 Airbag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CN201510032622.7A CN105313830B (zh) 2014-07-11 2015-01-22 用于车辆的安全气囊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345A KR101620174B1 (ko) 2014-07-11 2014-07-11 차량의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014A true KR20160008014A (ko) 2016-01-21
KR101620174B1 KR101620174B1 (ko) 2016-05-24

Family

ID=5486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345A KR101620174B1 (ko) 2014-07-11 2014-07-11 차량의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93924B2 (ko)
JP (1) JP6502052B2 (ko)
KR (1) KR101620174B1 (ko)
CN (1) CN105313830B (ko)
DE (1) DE10201411866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3220B1 (en) 2012-03-19 2013-09-03 Amsafe, Inc. Structure mounted airbag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655526B1 (ko) 2014-08-20 2016-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장치
US9944245B2 (en) 2015-03-28 2018-04-17 Amsafe, Inc. Extending pass-through airbag occupant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WO2016168124A1 (en) 2015-04-11 2016-10-20 Amsafe, Inc. Active airbag vent system
US20170161234A1 (en) * 2015-12-08 2017-06-08 Beth Mickle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fanciful fonts for messaging services
US10604259B2 (en) 2016-01-20 2020-03-31 Amsafe,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s having extending restrai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0293779B2 (en) * 2016-09-30 2019-05-21 Key Safety Systems, Inc. External tether airbag
KR102391011B1 (ko) * 2017-05-19 2022-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JP7053304B2 (ja) * 2018-02-20 2022-04-12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10766449B2 (en) * 2018-11-28 2020-09-08 Key Safety Systems, Inc. Airbag module assembly
KR20210155255A (ko) * 2020-06-15 2021-1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6044A (ko) 2004-01-19 2005-07-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가변 벤트를 갖는 에어백 쿠션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7715A (ja) * 2004-04-09 2005-10-27 Takata Corp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CN1997536A (zh) * 2004-06-07 2007-07-11 Cis技术有限公司 具有低展开危险的乘客气囊系统
EP1757495B1 (en) * 2005-08-24 2008-05-21 Takata Corporation Airbag and airbag apparatus
EP1790538A3 (en) * 2005-11-28 2008-09-03 Toyoda Gosei Co., Ltd. Airbag apparatus
DE102006031542A1 (de) * 2006-07-07 2008-01-10 Trw Automotive Gmbh Gassack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JP4878952B2 (ja) * 2006-08-03 2012-02-15 セーレン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79337A (ja) * 2006-08-04 2008-08-07 Takata Corp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4931512B2 (ja) 2006-08-22 2012-05-1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7992897B2 (en) * 2006-10-26 2011-08-09 Ashimori Industry Co., Ltd. Airbag device
WO2008084605A1 (ja) * 2007-01-12 2008-07-17 Autoliv Development Ab エアバッグ装置
JP5286673B2 (ja) * 2007-02-19 2013-09-11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5053658B2 (ja) * 2007-02-23 2012-10-17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8419058B2 (en) * 2008-03-21 2013-04-1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ual volume air bag
US7954850B2 (en) * 2007-06-21 2011-06-0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adaptive venting
JP5186832B2 (ja) * 2007-08-09 2013-04-2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5125847B2 (ja) * 2008-07-23 2013-01-23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4992853B2 (ja) * 2008-08-06 2012-08-0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4666059B2 (ja) * 2008-11-12 2011-04-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US8590927B2 (en) 2010-04-19 2013-11-26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KR20110129723A (ko) 2010-05-26 2011-1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장치
US8678431B2 (en) * 2010-10-27 2014-03-25 Trw Vehicle Safety Systems Air bag with tether and pulley arrangement
US8684407B2 (en) * 2010-10-27 2014-04-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height adaptive tether
US8696022B2 (en) * 2010-10-27 2014-04-1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variable venting
KR101219702B1 (ko) * 2010-11-01 2013-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
JP5516362B2 (ja) * 2010-11-19 2014-06-11 タカタ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体及び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356178B1 (ko) * 2011-11-28 2014-0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장치
JP5883325B2 (ja) 2012-03-28 2016-03-15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エアバッグ装置及びベントホール開閉制御方法
KR101940724B1 (ko) 2012-09-13 2019-01-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JP6026249B2 (ja) * 2012-11-29 2016-11-16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JP2014184951A (ja) * 2012-11-30 2014-10-02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KR101438965B1 (ko) * 2012-12-26 2014-09-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장치
KR101491276B1 (ko) 2013-07-11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WO2015048762A1 (en) * 2013-09-30 2015-04-02 Tk Holdings Inc. Dual-chambered passenger airbag
KR101542851B1 (ko) * 2013-12-31 2015-08-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KR102181907B1 (ko) * 2014-07-30 2020-1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6044A (ko) 2004-01-19 2005-07-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가변 벤트를 갖는 에어백 쿠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13830A (zh) 2016-02-10
US9393924B2 (en) 2016-07-19
JP2016020195A (ja) 2016-02-04
CN105313830B (zh) 2019-08-16
JP6502052B2 (ja) 2019-04-17
US20160009240A1 (en) 2016-01-14
KR101620174B1 (ko) 2016-05-24
DE102014118667B4 (de) 2022-03-10
DE102014118667A1 (de)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174B1 (ko) 차량의 에어백 장치
KR101438965B1 (ko) 차량의 에어백 장치
KR101655526B1 (ko) 차량의 에어백 장치
KR101356178B1 (ko) 차량의 에어백 장치
JP6781118B2 (ja) 車の搭乗者拘束装置用の順応型膝用エアバッグ
KR101223793B1 (ko) 위치이탈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한 신치 튜브를 갖는 에어백쿠션
US7883109B2 (en) Dynamic airbag venting
US20060071462A1 (en) Airbag cushion with tether deactivated venting for reduced out-of-position effects
US9815429B2 (en) Adaptive vent for knee airbag
JP5302049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100132731A (ko) 에어백 시스템
KR20160020880A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
US10501046B2 (en)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KR102412358B1 (ko) 에어백 장치
KR101684987B1 (ko) 능동 벤트를 갖는 에어백
JP2017094913A (ja) 車両の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4590468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6604474B2 (ja) 車両の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1695221B1 (ko) 차량용 에어백
KR20230091578A (ko) 에어백 장치
KR20220112421A (ko) 에어백 장치
KR20220031415A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KR101549970B1 (ko) 시트백 커버링
KR101695219B1 (ko) 차량용 에어백
KR20190044742A (ko)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