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702B1 -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 - Google Patents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702B1
KR101219702B1 KR1020100107642A KR20100107642A KR101219702B1 KR 101219702 B1 KR101219702 B1 KR 101219702B1 KR 1020100107642 A KR1020100107642 A KR 1020100107642A KR 20100107642 A KR20100107642 A KR 20100107642A KR 101219702 B1 KR101219702 B1 KR 101219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s
opening
closing
airbag cushion
low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5824A (ko
Inventor
임윤석
신평식
임우현
권혁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7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70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70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LOW BACK CRS 전해지는 충격량을 최소화한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이 소개된다.
본 발명에 따른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은 일측에 형성된 벤트홀(12)을 포함하는 개폐부(10); 차량 시트상에 LOW BACK CRS의 존재 유무에 따라 상기 벤트홀(12)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CRS LOW RISK DEPLOYMENT AIRBAG CUSHION}
본 발명은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에어백쿠션 전개시 LOW BACK CRS 전해지는 충격량을 최소화한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에어백은 심각한 차량 충돌이 발생한 경우, 인명을 구하거나 탑승자의 상해를 줄이는 효과적인 보호장치이다. 이러한 에어백은 차량 충돌시 팽창하여 쿠션 역할을 함으로써, 승객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승객을 보호한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서, 에어백은 차량 충돌시 승객의 정면 방향으로 최대한 신속하게 팽창되어야 하는 바, 에어백이 신속하게 팽창하는 경우,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승객은 때때로 심각한 상해를 입기도 한다. 예를 들면, 충돌 직전에 브레이크를 밟을 경우, 승객은 앞으로 쏠리게 되고, 에어백은 승객 방향으로 빠른 속도로 팽창하게 되는 바, 승객은 심각한 상해를 입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후방향 유아시트(Rear facing child seat)에 앉아 있는 유아에게 이러한 상황은 매우 치명적이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국 고속도로 교통안전국(NHTSA, The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에서는 진보된 에어백 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성능과 테스트 절차를 제정했다. 이 법규는 안전벨트를 착용한 승객이나 미착용 승객 모두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목적 이외에, 비정상적인 상태에 있는 승객, 특히
유아의 에어백으로 인한 상해를 줄이려는 것이 주요한 목적이다.
이 법규는 후방향 유아시트의 1세 유아, 3세, 6세 어린이가 탑승한 조건에서 에어백의 저위험 전개(LRD, Low Risk Deployment)를 위한 규격 및 이에 대한 테스트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자동차 제조업체는 이와 같은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 테스트를 받지 않을 수도 있으나, 이 테스트를 받지 않거나 통과하지 못하면 유아나
어린이가 있을 때는 작동되지 않는 에어백을 제조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
한 비작동식 에어백은 유아나 어린이를 감지하기 위한 승객감지시스템 등을 사용해야 하므로 차량의 가격을 상승될 뿐만 아니라 신뢰성 문제도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 장착 차량이 이 규정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후방향 유아시트의 1세 유아, 3세, 6세 어린이가 탑승한 다양한 조건들에 대하여 에어백 전개시험을 모두 통과해야 한다. 즉, 이 규정에서 각 조건들에 대하여 충돌에 의한 에어백 전개가 되었을 경우 더미가 받는 상해지수를 얻게 되고 그 상해지수가 기준이하일 때 이 법규를 통과하게 된다.
후방향 유아시트에 앉혀진 유아의 경우에는 그 탑승조건이 더욱 다양한데, 이 경우 유아시트의 규격별로 유형을 구별하고 이러한 유형에 따라 모든 테스트를 수행해야 한다. 또한, 유아시트의 유형뿐만 아니라, 유아시트를 묶는 안전벨트의 인장강도 등 유아시트가 보조석에 부착된 상태, 또는 운전대의 높낮이나 접이식 지붕의 개폐상태 등 차량의 상태, 유아시트에 담요의 유무나 그 위치 등 유아의 앉혀진 상태 등 탑승조건들에 대해서도 구별되어 시험되어야 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모든 탑승조건들이 조합되는 조건들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최소 약 300 ~ 1,000개 이상의 탑승상황들에 대해 모두 테스트를 하도록 되어 있다.
본 출원인은 HIGH BACK CRS 및 LOW BACK CRS를 차량 시트에 올려 놓고, CRS 중심면과 시트 중심면을 맞춘 상태에서, 크래쉬패드와 접촉할 때까지 시트를 앞으로 이동시킨 후에 1세 더미를 CRS에 올려 LRD 시험을 수행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HIGH BACK CRS는 CRS의 높이가 높아서 에어백쿠션(1)이 CRS와 크래쉬패드 사이를 파고 들어 에어백쿠션이 정상적으로 전개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OW BACK CRS는 CRS의 높이가 낮아서 에어백쿠션(1)이 1세 더미의 머리를 누르는 바, 에어백쿠션(1)의 압력에 의해 상해치가 증가되는 모습을 보였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시트에 성인이 착좌한 경우에는 가스의 분출을 막아 정상적으로 에어백쿠션을 전개시키고, LOW BACK CRS가 놓인 경우에는 벤트홀을 통해서 가스를 분출하여 LOW BACK CRS에 전해지는 에어백쿠션 압력을 최소화한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은 일측에 형성된 벤트홀을 포함하는 개폐부; 차량 시트상에 LOW BACK CRS의 존재 유무에 따라 상기 벤트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수단은 LOW BACK CRS 존재시 상기 LOW BACK CRS와 접촉되는 면의 내측면과 상기 개폐부를 연결하는 테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는 'V' 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벤트홀은 상기 개폐부의 저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LOW BACK CRS와 접촉하는 면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고정부와, 상기 개폐부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더는 상기 제1,2고정부를 연결하여 상기 LOW BACK CRS의 존재 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개폐부의 마주보는 면 사이 간격을 조임으로써 상기 벤트홀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개폐부의 마주보는 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 좌측고정부 및 우측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더의 일단은 상기 좌측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고정부를 지나 상기 우측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의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테더의 양 끝단이 통과할 수 있도록 수 개의 매듭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LOW BACK CRS에 전해지는 에어백쿠션 압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차량 충돌 사고시 에어백쿠션 압력에 의한 유아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성인이 착좌한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에어백쿠션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에어백쿠션을 적용함으로써 성인과 유아를 별도로 구분할 필요가 없는 바, 별도의 승객 식별 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차량의 시트에 HIGH BACK CRS가 놓인 경우, 에어백쿠션 전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차량의 시트에 LOW BACK CRS가 놓인 경우, 에어백쿠션 전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매듭홀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차량의 시트에 LOW BACK CRS가 놓인 경우, 본 발명의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이 전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차량의 시트에 LOW BACK CRS가 놓이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이 전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은 개폐부(10)와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개폐부(10)는 벤트홀(12)을 포함하는 바, 차량의 시트에 LOW BACK CRS가 놓인 경우, 에어백쿠션에 공급되는 가스를 방출한다.
개폐수단은 차량 시트상에 LOW BACK CRS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벤트홀(12)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바, LOW BACK CRS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벤트홀(12)을 개방시키고, LOW BACK CRS가 존재하지 않으면 벤트홀(12)을 폐쇄하여 가스 분출을 막는다.
개폐부(10)는 에어백쿠션의 상부에 형성된다. 또한 개폐수단은 테더(20)를 포함하는데, 이 테더(20)의 일단은 LOW BACK CRS와 접촉되는 면의 내측면 즉, 에어백쿠션의 내측 저면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개폐부(10)에 고정되는 바, LOW BACK CRS가 놓인 경우에는 테더(20)가 충분히 늘어나지 못하여 텐션을 유지하지 못하고, LOW BACK CRS가 없는 경우에는 테더(20)가 충분히 늘어나 텐션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LOW BACK CRS가 접촉되는 면(에어백쿠션의 저면)과 개폐부(10)의 방향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가스 분출도 상하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개폐부(10)는 'V' 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벤트홀(12)은 개폐부(10)의 저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10)를 'V' 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힘으로써, 손쉽게 벤트홀(12)을 개방, 밀폐시킬 수 있다.
개폐수단은 제1고정부(30)와, 제2고정부(40)를 포함하고, 이 제2고정부(40)는 'V' 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개폐부(1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의 좌,우측에 형성된 좌측고정부(42)와 우측고정부(4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고정부(30)는 LOW BACK CRS와 접촉하는 면의 내측면 즉, 에어백쿠션의 내측 저면에 형성된다. 테더(20)의 일단은 좌측고정부(42)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고정부(30)를 지나 우측고정부(44)에 고정된다. 즉, 테더(20)는 일단, 중간부, 타단이 각각 좌측고정부(42), 제1고정부(30) 및 우측고정부(44)에 각각 고정되는 바, 3개의 고정점을 갖는다. 따라서, LOW BACK CRS가 놓인 상태에서, 에어백쿠션이 전개되면, 제1고정부(30)는 제2고정부(40)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그러나, 제1고정부(30)가 테더(20)에 충분히 텐션을 줄 정도로 멀어지지는 못하기 때문에, 개폐부(10)의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 간격은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가스는 벤트홀(12)을 통해 분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1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테더(20)의 양 끝단이 각각 통과할 수 있도록 수 개의 매듭홀(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더(20)의 일단이 수 개의 매듭홀(14)을 통과하여 좌측고정부(42)에 고정되고, 테더(20)의 타단이 또 다른 수 개의 매듭홀(14)을 통과하여 우측고정부(44)에 고정되면, 차량 시트에 LOW BACK CRS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개폐부(10)의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의 간격을 더 견고하게 밀폐할 수 있는 바, 벤트홀(12)을 용이하게 밀폐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 저면이 LOW BACK CRS에 닿게 되면, 테더(20)가 충분히 펴지지 않는 바, 개폐부(10)의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의 간격이 충분이 좁아지지 않게 되어 벤트홀(12)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가스가 방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LOW BACK CRS가 없는 경우, 예를 들면, 성인이 시트에 앉아 있는 경우에는 에어백쿠션 저면에 접촉되는 방해물이 없기 때문에 테더(20)가 충분히 펴져, 충분한 텐션 상태를 유지하는 바, 개폐부(1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이 서로 접하게 된다. 따라서, 벤트홀(12)은 밀폐되고 에어백쿠션은 만개하는 바, 시트에 앉아 있는 성인을 보호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개폐부 12 : 벤트홀
14 : 매듭홀 20 : 테더
30 : 제1고정부 40 : 제2고정부
42 : 좌측고정부 44 : 우측고정부

Claims (6)

  1. 일측에 형성된 벤트홀(12)을 포함하는 개폐부(10); 및
    차량 시트상에 LOW BACK CRS의 존재 유무에 따라 상기 벤트홀(12)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10)는 'V' 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벤트홀(12)은 상기 개폐부(10)의 저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10)는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수단은 LOW BACK CRS 존재시 상기 LOW BACK CRS와 접촉되는 면의 내측면과 상기 개폐부(10)를 연결하는 테더(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LOW BACK CRS와 접촉하는 면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고정부(30)와, 상기 개폐부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제2고정부(40)를 포함하고, 상기 테더(20)는 상기 제1,2고정부(30,40)를 연결하여 상기 LOW BACK CRS의 존재 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개폐부(10)의 마주보는 면 사이 간격을 좁힘으로써 상기 벤트홀(12)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40)는 상기 개폐부(10)의 마주보는 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 좌측고정부(42) 및 우측고정부(44)를 포함하고, 상기 테더(20)의 일단은 상기 좌측고정부(4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고정부(30)를 지나 상기 우측고정부(4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10)의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테더(20)의 양 끝단이 통과할 수 있도록 수 개의 매듭홀(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
KR1020100107642A 2010-11-01 2010-11-01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 KR101219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642A KR101219702B1 (ko) 2010-11-01 2010-11-01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642A KR101219702B1 (ko) 2010-11-01 2010-11-01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824A KR20120045824A (ko) 2012-05-09
KR101219702B1 true KR101219702B1 (ko) 2013-01-21

Family

ID=46265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642A KR101219702B1 (ko) 2010-11-01 2010-11-01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174B1 (ko) * 2014-07-11 2016-05-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2043A (ja) * 2007-03-13 2008-09-25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2043A (ja) * 2007-03-13 2008-09-25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824A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0685B1 (ko) 차량용 에어백
US7904997B2 (en) Buckles for inflatable personal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498512B2 (en) Airbag assembly for a vehicle seat of a motor vehicle
KR101230828B1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장치
JP5901915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
US20160229370A1 (en) Vehicle Side Curtain Airbag Device Having Front Protection Function
KR100757626B1 (ko) 에어백 장치의 쿠션
KR101081274B1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US20130020788A1 (en) Knee Airbag with Passive Venting for Out of Position Occupant Protection
KR102556814B1 (ko) 승차인 구속 장치
KR20120013714A (ko) 프리크래쉬 사이드에어백 장치
JP2001505160A (ja) 乗車中の乗員を保護する装置
KR20160035344A (ko) 차량의 에어백
CN203543883U (zh) 一种改进的具有正面保护功能的车辆侧气帘装置
CN107757544B (zh) 具有包括孔的拉带的车辆侧面气帘
JP4931512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219702B1 (ko) Crs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쿠션
KR101250569B1 (ko)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력 시험장치
KR20160002102A (ko) 차량의 에어백
Yaniv et al. Rollover ejection mitigation using an inflatable tubular structure (ITS)
KR20130068965A (ko) 에어백 장치
KR20080007723A (ko) 차량의 도어 록/언록 제어 방법
KR101781381B1 (ko) 자동차의 전방 에어백 장치
KR20080112001A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110100062A (ko) 조수석 에어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