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965A -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965A
KR20130068965A KR1020110136464A KR20110136464A KR20130068965A KR 20130068965 A KR20130068965 A KR 20130068965A KR 1020110136464 A KR1020110136464 A KR 1020110136464A KR 20110136464 A KR20110136464 A KR 20110136464A KR 20130068965 A KR20130068965 A KR 20130068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coupled
airbag
airbag cushion
restraint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석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6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8965A/ko
Publication of KR20130068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6Type of passenger
    • B60R2021/0062Type of passenger woman, e.g. pregn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체구가 큰 일반적인 성인뿐만 아니라,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까지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팽창되어 시트에 앉은 승객을 보호하는 에어백 쿠션과,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됨에 따라 상기 에어백 쿠션에 의해 당겨져서 팽팽해지는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에 결합되어, 상기 승객의 체구에 따라, 상기 스트랩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하는 스트랩구속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은, 상기 에어백 쿠션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력에 의해 당겨져서 길이가 확장되는 가변스트랩과, 상기 가변스트랩의 양단 사이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트랩구속기구에 결합된 연결스트랩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에 앉은 승객의 체구에 따라 에어백 쿠션의 전개형상을 달리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차량 사고시에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를 유입받아 에어백 쿠션이 팽창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인 에어백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백장치는 필요에 따라 차량의 각 부위에 설치되는데,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있는 운전석 에어백장치와, 조수석에 앉은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글로브 박스 상측에 장착되어 있는 에어백 장치와,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루프레일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커튼 에어백장치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에어백장치들은 차량 충돌시에 인플레이터의 내부에 포함된 가스발생매체의 폭발에 기인하여 발생된 가스가 에어백 쿠션으로 유입됨으로써, 에어백 쿠션이 팽창 전개되어 탑승자를 보호하게 된다.
그런데, 에어백 쿠션은 약 70Kg의 일반적인 성인을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등은 에어백 쿠션의 내압으로 인해 오히려 부상을 당하거나 목숨을 잃을 우려가 있다.
특히, 조수석에는 상기 일반적인 성인뿐만 아니라, 상기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등이 앉게 되므로,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쿠션은 이들을 모두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각국에서는 법규를 마련하여, 충돌시험을 통해 에어백 장치가 상기 일반적인 성인뿐만 아니라,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등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법규가 한층 강화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체구가 큰 일반적인 성인뿐만 아니라,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까지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팽창되어 시트에 앉은 승객을 보호하는 에어백 쿠션과,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됨에 따라 상기 에어백 쿠션에 의해 당겨져서 팽팽해지는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에 결합되어, 상기 승객의 체구에 따라, 상기 스트랩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하는 스트랩구속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은, 상기 에어백 쿠션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력에 의해 당겨져서 길이가 확장되는 가변스트랩과, 상기 가변스트랩의 양단 사이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트랩구속기구에 결합된 연결스트랩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시트에 앉은 승객이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일 경우에는, 연결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로부터 분리되어 가변스트랩의 길이가 확장되지 않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에 그루브가 형성되어서, 상기 시트에 앉은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지나친 전개압에 의해 상해를 입거나 목숨을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시트에 앉은 승객이 일반적인 체구의 성인일 경우에는, 상기 연결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가변스트랩이 상기 연결스트랩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력에 의해 길이가 확장되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 쿠션이 상기 승객을 향해 크게 전개되어서, 상기 시트에 앉은 일반적인 체구의 성인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적정 전개압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 쿠션이 크게 팽창될 때, 가변스트랩이 연결스트랩으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스트랩구속기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쿠션의 전개초기의 평단면도로서, 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변스트랩 및 연결스트랩의 상세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 평단면도로서, 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 평단면도로서, 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로부터 구속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스트랩구속기구 및 쿠션 리테이너의 결합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스트랩구속기구 및 쿠션 리테이너의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가 적용되는 자동차의 시트가 도시된 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 중 에어백 쿠션의 전개초기의 평단면도로서, 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 평단면도로서, 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 중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 평단면도로서, 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로부터 구속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쿠션의 전개초기의 평단면도로서, 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변스트랩 및 연결스트랩의 상세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 평단면도로서, 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 평단면도로서, 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로부터 구속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스트랩구속기구 및 쿠션 리테이너의 결합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스트랩구속기구 및 쿠션 리테이너의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가 적용되는 자동차의 시트가 도시된 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100)는 시트(50)로부터 전방에 배치된 글로브 박스(미도시)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백 장치(100)는 에어백 하우징(10)과, 에어백 하우징(10)에 수납되는 에어백 쿠션(20)과, 에어백 쿠션(20)이 전개될 수 있도록 가스를 발생시켜서 에어백 쿠션(20)에 상기 가스를 유입시키는 인플레이터(30)를 포함한다.
에어백 하우징(10)은, 그 하부에 인플레이터(30)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공간(15)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에어백 쿠션(20)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17)이 형성된다.
인플레이터(30)는 자동차의 충돌시에 내부에 포함된 가스발생매체의 폭발에 기인하여 발생된 가스를 에어백 쿠션(20)으로 유입시킨다.
에어백 쿠션(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30)와 연결되어 에어백 하우징(10)의 수납공간(17)에 복수번 접혀져서 수납되어 있다가, 인플레이터(30)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전개되어, 시트(50)에 앉은 승객을 보호한다.
에어백 쿠션(20) 및 인플레이터(30)는 쿠션 리테이너(4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쿠션 리테이너(40)는 중앙부에 인플레이터(30)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인플레이터 삽입홀(45)이 형성되고, 에어백 쿠션(20)의 하단으로 삽입 배치된다. 인플레이터 삽입홀(45)로 인플레이터(30)의 머리부를 삽입한 후, 볼트(42)로 쿠션 리테이너(40), 인플레이터(30)의 둘레면에 돌출된 플랜지부(35) 및 에어백 하우징(10)을 결합하는 것에 의해, 에어백 쿠션(20) 및 인플레이터(30)는 쿠션 리테이너(40)를 통해 에어백 하우징(10)에 결합된다.
또한, 에어백 쿠션(20)의 내부에는 스트랩(60)이 결합되어서, 에어백 쿠션(20)이 팽창됨에 따라 스트랩(60)은 에어백 쿠션(20)에 의해 당겨져서 팽팽해진다. 또한, 스트랩(60)은 스트랩구속기구(70)에 결합되어서 스트랩구속기구(70)에 의해 이동이 구속 또는 구속해제된다.
스트랩구속기구(70)는 스트랩(60)에 결합되어, 시트(50)에 앉은 승객의 체구에 따라 스트랩(60)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한다.
즉, 스트랩구속기구(70)는 시트(50)에 앉은 승객이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등일 경우에, 스트랩(60)의 이동을 구속하여서 스트랩(60)으로 하여금 에어백 쿠션(20)이 팽창 전개되는 크기를 구속하도록 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20)의 승객과 접촉하는 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60)에 의해 당겨져서 내부로 함입되는 그루브(22)가 형성되고, 이 그루브(22)에 의해 에어백 쿠션(20)은 전개된 후, 상기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등의 특정부위를 낮은 전개압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에어백 쿠션(20)은 상기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체구를 가지는 성인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에어백 쿠션(20)은 시트(50)에 앉은 승객이 상기 일반적인 체구를 가지는 성인일 경우에는 상기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일 경우에 비해 높은 전개압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따라서, 스트랩구속기구(70)는 에어백 쿠션(20)이 팽창될 때 상기 승객의 체구에 따라 스트랩(60)이 에어백 쿠션(20)의 상기 승객과 접촉되는 면을 구속하거나 구속해제하도록 해야 한다.
즉, 운전석에는 일반적인 체구를 가지는 성인만이 앉게 되지만, 조수석 시트(50)에는 일반적인 성인뿐만 아니라, 상기 성인에 비해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등이 앉게 되므로, 에어백 쿠션(20)은 시트(50)에 앉은 승객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전개압으로 전개될 필요가 있다. 만약, 에어백 쿠션(20)이 상기 일반적인 체구를 가지는 성인만을 보호할 수 있는 전개압으로 전개된다면, 상기 일반적인 성인에 비해 신체적 조건이 열악한 상기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등은 상기 에어백 쿠션(20)의 높은 전개압으로 인해 오히려 부상을 당하거나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반대로, 에어백 쿠션(20)이 상기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를 보호할 수 있도록 낮은 전개압으로만 전개된다면, 상기 일반적인 체구를 가지는 성인은 에어백 쿠션(20)의 낮은 전개압으로 인해 오히려 부상을 당하거나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스트랩구속기구(70)는 스트랩(60)과 결합되어 스트랩(60)의 이동을 구속하고 있다가, 후술할 컨트롤러(74)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트랩(60)을 놓아서 스트랩(60)의 이동을 구속해제할 수 있다.
스트랩(60)은, 에어백 쿠션(20)에 양단이 결합되어 에어백 쿠션(20)의 팽창력에 의해 당겨져서 길이가 확장되는 가변스트랩(62)과, 가변스트랩(62)의 양단 사이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스트랩구속기구(70)에 결합된 연결스트랩(64)을 포함한다.
가변스트랩(62)은 에어백 쿠션(20)이 팽창되어 돌출되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가변스트랩(62)은, 제1 스트랩(62a), 제2 스트랩(62b) 및 제3 스트랩(62c)을 포함한다. 제1 스트랩(62a) 및 제2 스트랩(62b)은, 에어백 쿠션(20)의 내측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서로 이격되어 연결스트랩(64)에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또한, 제3 스트랩(62c)은 접혀져서, 제1 스트랩(62a)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제2 스트랩(62b)에 결합되어, 제1 스트랩(62a) 및 제2 스트랩(62b)이 에어백 쿠션(20)의 팽창력에 의해 연결스트랩(64)으로부터 분리되면 펼쳐짐으로써, 가변스트랩(62)의 길이가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스트랩(64)은, 스트랩구속기구(70)에 결합되는 스트랩구속기구 연결부(64a)와, 스트랩구속기구 연결부(64a)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스트랩구속기구 연결부(64a)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제1 스트랩(62a) 및 제2 스트랩(62b)에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가변스트랩 연결부(64b)를 포함한다.
스트랩구속기구 연결부(64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분한 면적을 가지는 판재형으로 형성되고, 가변스트랩 연결부(64b)는 질긴 실로 형성되어 스트랩구속기구 연결부(64a)에 견고하게 재봉되고, 제1 스트랩(62a) 및 제2 스트랩(62b)과는 분리될 수 있도록 재봉될 수 있다.
스트랩구속기구(70)는, 시트(50)에 앉은 승객이 일반적인 체구의 성인일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스트랩(64)을 붙들어서 가변스트랩(62) 및 연결스트랩(64)이 서로 분리되도록 하여 가변스트랩(62)의 길이가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트랩구속기구(70)는, 시트(50)에 앉은 승객이 상기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등일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스트랩(64)과 분리되어 가변스트랩(62)의 길이가 확장될 수 없도록 한다.
에어백 쿠션(20)이 전개되는 초기에 스트랩(60)은 에어백 쿠션(20)을 따라 이동되어 팽팽지면서 에어백 쿠션(20)을 당기기 시작하는데, 이 때 가변스트랩(62) 및 연결스트랩(64)이 서로 분리되지 않으면, 스트랩(60)의 인장력에 의해 스트랩구속기구(70)가 파손되어 스트랩(60)의 이동을 구속해제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에어백 쿠션(20)의 팽창력에 의해 가변스트랩(62) 및 연결스트랩(64)이 서로 분리됨으로써, 스트랩구속기구(7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는, 스트랩(60)이 스트랩구속기구(70)와 분리되지 않으면 에어백 쿠션(20)의 팽창이 구속되지 않아서 일반적인 체구의 성인을 보호할 수 있고, 스트랩(60)이 스트랩구속기구(70)와 분리되면 에어백 쿠션(20)의 팽창이 구속되어 상기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를 보호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스트랩구속기구(7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100)는, 시트(50)에 앉은 상기 승객의 체구를 감지하는 승객감지센서(72)와, 승객감지센서(72)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승객의 체구를 판별한 후 스트랩구속기구(7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74)를 더 포함한다.
승객감지센서(72)는 시트(50)에 내부에 배치된다.
승객감지센서(72)는 시트(50)에 앉은 대상의 중량을 감지하는 방식과,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 예시된 것은 중량을 감지하는 방식의 승객감지센서(72)이다.
컨트롤러(74)는 자동차의 대표적인 제어장치인 ECU(Electronic Control Unit)일 수도 있고, 스트랩구속기구(70)만을 제어하기 위해 별도로 마련된 제어장치일 수도 있다.
스트랩구속기구(70)는 쿠션 리테이너(40)에 배치된다. 스트랩구속기구(70)는 컨트롤러(7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부(71)와, 가스발생부(71)가 삽입 배치되는 바디부(73)와, 바디부(73)의 하단을 밀봉하는 캡(75)과, 바디부(73)의 상단을 밀봉하여 스트랩(60)과 연결되는 스트랩 연결부(77)를 포함한다.
스트랩 연결부(77)는 가스발생부(71)에서 발생된 상기 가스에 의해 바디부(73)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스트랩 연결부(77)가 바디부(73)로부터 분리되면, 스트랩(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20)이 팽창되는 것을 구속한다. 이러한 경우에, 에어백 쿠션(20)은 그루브(22)가 형성된다.
스트랩 연결부(77)가 가스발생부(71)에서 발생된 상기 가스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스트랩 연결부(77)에는 상기 가스에 의해 파손되는 절개부(77c)가 형성된다.
스트랩 연결부(77)는 바디부(73)와 결합된 바디부 결합부(77a)와, 바디부 결합부(77a)로부터 돌출되어 스트랩(60)과 후크방식으로 연결되는 후크부(77b)를 포함한다. 바디부 결합부(77a)에는 상기 절개부(77c)가 형성된다.
바디부(73)는 외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된 단턱부(73a)가 형성된다. 바디부(73)는 단턱부(73a)를 기준으로 하단에 캡(75)이 결합되는 캡 결합부(73b)가 형성되고, 단턱부(73a)를 기준으로 상단에 스트랩 연결부(77)가 결합되는 스트랩 연결부 결합부(73c)가 형성된다. 캡(75)은 캡 결합부(73b)의 둘레면에 씌워져서 결합되고, 스트랩 연결부(77)는 스트랩 연결부 결합부(73c)의 둘레면에 씌워져서 결합된다.
가스발생부(71)는 인플레이터(30)와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가스발생부(71)의 내부에는 컨트롤러(74)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가스발생매체가 포함되어 있어서, 컨트롤러(7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스발생매체가 폭발하여 가스를 발생시키고, 그 발생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스트랩 연결부(77)의 절개부(77c)가 파손되어서, 스트랩 연결부(77)가 바디부(73)로부터 분리된다.
스트랩구속기구(70)는 에어백 쿠션(20) 내에서 스트랩(60)을 붙들고 있다가 컨트롤러(74)의 제어신호에 의해 파손되어 스트랩(60)을 놓아주는 기능만을 수행하면 되기 때문에, 가스발생부(71)는 인플레이터(30)에 비해 크기가 훨씬 작게 제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트랩구속기구(70)는 결합부재(80)을 통해 쿠션 리테이너(4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에어백 쿠션(20)의 내부에 배치된다.
결합부재(80)에는 바디부(73)의 캡 결합부(73b)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관통홀(85)이 형성되어서, 캡 결합부(73b)가 관통홀(85)로 삽입된 후 캡(75)이 캡 결합부(73b)의 둘레면에 씌워된다.
스트랩(60)은 스트랩 연결부(77)의 후크부(77b)의 둘레면에 걸림되어 스트랩 연결부(77)와 후크방식으로 결합된다.
스트랩(60)은 스트랩 연결부(77)에 결합된 채로 에어백 쿠션(20)을 붙들고 있으면 되기 때문에, 인플레이터(30)의 가스 온도 및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재질이면 가능하다. 즉, 에어백 쿠션(2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가죽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승객감지센서(72)에서 감지된 값은 컨트롤러(74)로 입력되고, 컨트롤러(74)는 승객감지센서(72)로부터 입력된 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승객감지센서(72)로부터 입력된 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시트(50)에 앉은 대상이 일반적인 체구를 가지는 성인인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시트(50)에 앉은 대상이 상기 일반적인 성인에 비해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등인 것으로 판별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는 컨트롤러(74)에 상기 임계값을 하나만 미리 설정해놓고, 승객감지센서(7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지 아닌지에 따라 컨트롤러(74)가 시트(50)에 앉은 승객을 에어백 쿠션(20)이 높은 전개압으로 전개되어도 무방한 일반적인 체구를 가지는 승객과, 에어백 쿠션(20)이 높은 전개압으로 전개되지 말아야 할 신체조건이 열악한 체구를 가지는 승객으로 구분한다.
컨트롤러(74)는 승객감지센서(7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시트(50)에 앉은 승객이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등인 것으로 판별하여, 가스발생부(71)를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스트랩 연결부(77)의 절개부(77c)가 파손되고, 이에 따라 스트랩 연결부(77)가 바디부(73)로부터 분리되므로, 스트랩(60)은 에어백 쿠션(20)이 팽창 전개될 때 에어백 쿠션(20)의 상기 승객과 접촉하는 면을 구속한다. 이로 인해, 에어백 쿠션(20)이 작은 크기로 전개되도록 하여서 시트(50)에 앉은 체구가 작은 승객을 낮은 전개압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74)는 승객감지센서(7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시트(50)에 앉은 승객이 일반적인 체구를 가지는 성인으로 판별하여, 가스발생부(71)에서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가스발생부(71)에서 가스가 발생되지 않으면 스트랩(60)이 스트랩구속기구(70)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스트랩(60)은 가변스트랩(62)이 연결스트랩(64)로부터 분리되어서, 에어백 쿠션(20)이 팽창 전개될 때 에어백 쿠션(20)의 상기 승객과 접촉되는 면을 구속해제한다. 이로 인해, 에어백 쿠션(20)이 크게 전개되도록 하여서 시트(50)에 앉은 일반적인 체구를 가지는 승객을 체구가 작은 승객에 비해 높은 전개압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 중 에어백 쿠션의 전개초기의 평단면도로서, 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 평단면도로서, 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 중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 평단면도로서, 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로부터 구속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가변스트랩(62)이 제1 스트랩(62a), 제2 스트랩(62b) 및 제3 스트랩(62c)를 포함하여 형성되었으나, 본 제2 실시예에서는 가변스트랩(62)은 하나로 형성되어, 에어백 쿠션(20)의 내측에 양단이 결합되고, 양단 사이가 접혀져서 접힘부(65)가 형성되며, 접힘부(65)가 에어백 쿠션(20)의 팽창력에 의해 펼쳐질 수 있게 연결스트랩(64)에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연결스트랩(64)은 가변스트랩 연결부(64b)가 접힘부(65)의 접혀진 사이로 삽입되어 접힘부(65)와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시트(50)에 앉은 승객이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일 경우에는, 연결스트랩(64)이 스트랩구속기구(70)로부터 분리되어 가변스트랩(62)의 길이가 확장되지 않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20)에 그루브(22)가 형성되어서, 시트(50)에 앉은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가 에어백 쿠션(20)의 지나친 전개압에 의해 상해를 입거나 목숨을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50)에 앉은 승객이 일반적인 체구의 성인일 경우에는, 연결스트랩(64)이 스트랩구속기구(7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가변스트랩(62)이 연결스트랩(64)으로부터 분리되어 에어백 쿠션(20)의 팽창력에 의해 길이가 확장되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20)이 상기 승객을 향해 크게 전개되어서, 시트(50)에 앉은 일반적인 체구의 성인이 에어백 쿠션(20)의 적정 전개압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다.
또한, 에어백 쿠션(20)이 크게 팽창될 때, 가변스트랩(62)이 연결스트랩(64)으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스트랩구속기구(7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에어백 하우징 20: 에어백 쿠션
22: 그루브 30: 인플레이터
40: 쿠션 리테이너 60: 스트랩
62: 가변스트랩 62a: 제1 스트랩
62b: 제2 스트랩 62c: 제3 스트랩
64: 연결스트랩 64a: 스트랩구속기구 연결부
64b: 가변스트랩 연결부 65: 접힘부
70: 스트랩구속기구 71: 가스발생부
72: 승객감지센서 73: 바디부
73a: 단턱부 73b: 캡 결합부
73c: 스트랩 연결부 결합부 74: 컨트롤러
75: 캡 77: 스트랩 연결부
77a: 바디부 결합부 77b: 후크부
77c: 절개부 80: 결합부재
85: 관통홀

Claims (13)

  1. 팽창되어 시트에 앉은 승객을 보호하는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됨에 따라 상기 에어백 쿠션에 의해 당겨져서 팽팽해지는 스트랩; 및
    상기 스트랩에 결합되어, 상기 승객의 체구에 따라, 상기 스트랩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하는 스트랩구속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은, 상기 에어백 쿠션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력에 의해 당겨져서 길이가 확장되는 가변스트랩과, 상기 가변스트랩의 양단 사이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트랩구속기구에 결합된 연결스트랩을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스트랩은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되어 돌출되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에어백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변스트랩은,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측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서로 이격되어 상기 연결스트랩에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1 스트랩 및 제2 스트랩과,
    상기 제1 스트랩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스트랩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스트랩 및 제2 스트랩이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연결스트랩으로부터 분리되면 펼쳐지는 제3 스트랩을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스트랩은,
    상기 스트랩구속기구에 결합되는 스트랩구속기구 연결부와,
    상기 스트랩구속기구 연결부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스트랩구속기구 연결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스트랩 및 제2 스트랩에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가변스트랩 연결부를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변스트랩은,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측에 양단이 결합되고, 양단 사이가 접혀져서 접힘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힘부가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력에 의해 펼쳐질 수 있게 상기 연결스트랩에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에어백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스트랩은,
    상기 스트랩구속기구에 결합되는 스트랩구속기구 연결부와,
    상기 스트랩구속기구 연결부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스트랩구속기구 연결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접힘부에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가변스트랩 연결부를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객의 체구를 감지하는 승객감지센서와, 상기 승객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승객의 체구를 판별한 후 상기 스트랩구속기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구속기구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부와,
    상기 가스발생부가 삽입 배치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단을 밀봉하는 캡과,
    상기 바디부의 타단을 밀봉하고, 상기 스트랩과 연결되며, 상기 가스에 의해 상기 바디부로부터 분리되는 스트랩 연결부를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연결부에는 상기 가스에 의해 파손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에어백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고,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바디부 결합부와,
    상기 바디부 결합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스트랩과 후크방식으로 연결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외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된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를 기준으로 일단에 상기 캡이 결합되는 캡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를 기준으로 타단에 상기 스트랩 연결부가 결합되는 스트랩 연결부 결합부가 형성되는 에어백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가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 내에 결합되는 쿠션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구속기구를 상기 쿠션 리테이너에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가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 내에 결합되는 쿠션 리테이너;와, 상기 스트랩구속기구를 상기 쿠션 리테이너에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캡 결합부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에어백 장치.
KR1020110136464A 2011-12-16 2011-12-16 에어백 장치 KR20130068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464A KR20130068965A (ko) 2011-12-16 2011-12-16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464A KR20130068965A (ko) 2011-12-16 2011-12-16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965A true KR20130068965A (ko) 2013-06-26

Family

ID=48864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464A KR20130068965A (ko) 2011-12-16 2011-12-16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89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1151A1 (de) 2013-06-17 2014-12-31 Hyundai Motor Company Verfahren zur Diagnostizierung eines EGR-Systems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r Kraftstoffeinspritzung mittels desselben
CN108583500A (zh) * 2018-06-26 2018-09-28 汽-大众汽车有限公司 一种安全气囊的分级展开控制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1151A1 (de) 2013-06-17 2014-12-31 Hyundai Motor Company Verfahren zur Diagnostizierung eines EGR-Systems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r Kraftstoffeinspritzung mittels desselben
CN108583500A (zh) * 2018-06-26 2018-09-28 汽-大众汽车有限公司 一种安全气囊的分级展开控制装置
CN108583500B (zh) * 2018-06-26 2023-10-10 一汽-大众汽车有限公司 一种安全气囊的分级展开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3500B2 (en) Airbag device
US8342573B2 (en) Passenger airbag system
US20080001446A1 (en)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6306366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6160200A (ja) 乗員保護装置、乗員保護装置付車両
JP4931512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H11189117A (ja) 乗員拘束装置
KR101931317B1 (ko) 에어백 장치
KR101940724B1 (ko) 에어백 장치
KR101542851B1 (ko) 차량의 에어백
US7758072B2 (en) Pressure control apparatus of air bag
JP6729454B2 (ja) エアバッグシステム
KR20130068965A (ko) 에어백 장치
KR20090026413A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KR20110093133A (ko) 자동차
JP3881760B2 (ja) 乗員拘束装置
KR101890615B1 (ko) 에어백 장치
KR20130048534A (ko) 에어백 장치
KR100698682B1 (ko) 에어백장치
KR101430194B1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 모듈
KR20120020966A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080002208A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20110100062A (ko) 조수석 에어백장치
KR101875919B1 (ko) 에어백 장치
KR20090026415A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