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208A -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208A
KR20080002208A KR1020060060882A KR20060060882A KR20080002208A KR 20080002208 A KR20080002208 A KR 20080002208A KR 1020060060882 A KR1020060060882 A KR 1020060060882A KR 20060060882 A KR20060060882 A KR 20060060882A KR 20080002208 A KR20080002208 A KR 20080002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airbag
airbag cushion
passenger
inf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진욱
임일상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0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208A/ko
Publication of KR20080002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60R2021/239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comprising means to control the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G01G19/414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safety devices, e.g. airba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으로, 인플레이터의 외주면에 감겨 에어백 쿠션의 형태를 한정시키는 쿠션 테더에 인플레이터의 배출공과 대응되는 홀을 형성시킴으로써, 에어백 쿠션의 후면에 형성된 벤트 홀을 통하여 압력을 조절가능하게 하며, 에어백 쿠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 접촉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승객과 에어백 쿠션이 접촉되었을 시 에어백 쿠션의 압력을 감소시키며, 웨이트 센서와 듀얼 인플레이터의 장착 및 전자 제어 유닛의 제어 프로그램 변경으로 인한 생산비 증가를 억제시키고, 상기한 구조와 같이 형성시킴으로써, 디자인의 변경만으로 비용 절감과 에어백 모듈로 인한 안전 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구성은 시트 내부에 장착되어 승객의 체중을 측정하는 웨이트 센서와, 내부에 충진된 고압 가스가 점화되어 배출됨으로써 에어백 쿠션을 전개시키되, 외주면에 관통되도록 배출공이 형성된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의 중앙외주면에 다수번 감겨있는 쿠션 테더와,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 승객과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접촉 유무를 감지하는 접촉 센서가 부착되는 에어백 쿠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외주면에 감기는 상기 쿠션 테더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수석, 에어백, 테더 형상, 인플레이터, 벤트 홀

Description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an Airbag Module of a Passenger Seat for a Vehicle}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승객의 정상 위치 및 에어백 쿠션 미 전개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도 2의 A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승객의 정상 위치 및 에어백 쿠션 전개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도 4의 B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정상인 대비 소형 체구 승객 위치 및 에어백 쿠션 전개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도 6의 C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도 7의 D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정상인 대비 소형 체구 승객 위치 및 에어백 쿠션 전개시의 상태 비교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10: 에어백 쿠션
11: 벤트 홀 20: 쿠션 테더
21: 관통공 30: 인플레이터
31: 인플레이터 고정구 33: 배출공
40: 웨이트 센서 50: 접촉 센서
본 발명은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플레이터의 외주면에 감겨 에어백 쿠션의 형태를 한정시키는 쿠션 테더에 인플레이터의 배출공과 대응되는 홀을 형성시킴으로써, 에어백 쿠션의 후면에 형성된 벤트 홀을 통하여 압력을 조절가능하게 하며, 에어백 쿠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 접촉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승객과 에어백 쿠션이 접촉되었을 시 에어백 쿠션의 압력을 감소시키며, 웨이트 센서와 듀얼 인플레이터의 장착 및 전자 제어 유닛의 제어 프로그램 변경으로 인한 생산비 증가를 억제시키고, 상기한 구조와 같이 형성시킴으 로써, 디자인의 변경만으로 비용 절감과 에어백 모듈로 인한 안전 사고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에어백은 안전 벨트와 더불어 자동차의 충돌시 탑승자를 부상으로부터 최대한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써, 자동차의 충돌 사고시 가스에 의해 순간적으로 부풀어지면서 운전자와 승객자의 머리, 그리고 가슴 부위를 충돌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이 설치되어 필요시 자동적으로 사용되며, 운전자와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이 장착되어 있어, 자동차가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던 중 정면 또는 측면 충돌하게 되면, 상기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작동에 따라 에어백 쿠션이 팽창된면서 탑승자가 차체에 직접적으로 부딪히는 것을 막아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한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은 자동차가 정면 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스티어링 휠이나 전면 패널상에 설치되며, 자동차의 측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이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side air back)은 충돌 사고시 순간적으로 가스를 주입하고 팽창시킬 수 있도록 조수석 좌석 등받이의 일측에 설치된 인플레이터 리테이너(inflator retainer)가 설치되며, 자동차의 충돌시 순간적으로 가스를 사이드 에어백의 내부로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사이드 에어백과 별도의 결합 구조로 되기 때문에, 고가의 이중 스터드(stud)가 여러개 설치되어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과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한편, 상기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작동은 주행 중 자동차가 충돌 또는 추돌과 동시에 충격 센서에 의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전면 상측 내부에 설치된 인플레이터 하우징 내의 작약 점화제 그리고, 가스 발생제 순서로 점화가 진행되며, 이로 인해 고압의 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가스압에 의해 다단으로 접혀져 있던 에어백 쿠션이 에어백 커버를 찢으면서 앞쪽으로 부풀려져 승객의 신체가 차내에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은 전자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내부의 가스를 방출하는 가스 발생기와, 하부에는 가스 발생기가 고정되며, 상부에는 아웃 커버가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가스 발생기에서 방출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하우징에 접힌 상태로 내장되는 에어백 쿠션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가스 발생기는 전자 제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인플레이터가 하우징에 내설되어 있고, 하우징은 엔진 룸과 차 실내를 나누는 대시 패널(dash panel)에 하부 및 양측이 고정 수단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는 다수개의 분출공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로 에어백 쿠션이 고정되며, 에어백 쿠션은 가스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가스압에 의해 팽창되어 승객을 구속시킴으로써,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천을 박음질하여 유입부와 팽창부를 가 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양측면에는 가스의 과도한 팽창 압력이 승객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출홀이 형성되어있다.
또한, 에어백 쿠션의 팽창부 내부에는 에어백 쿠션이 일정한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쿠션 테더를 구비하여 사용하며, 상기 쿠션 테더(20)는 쿠션과 동일한 천으로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도록 되어있고, 팽창부의 내부를 구속하도록 상기 쿠션 테더의 양단이 박음질 되어 있다.
여기서, 인플레이터에 고정된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장착된 쿠션 테더(20)는 굽힘 및 휨이 자유로우며, 에어백 쿠션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일종의 격판으로써, 상기 쿠션 테더의 중앙부에는 에어백 튜브에 재봉되는 원형의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의 양단부에는 가스 주입구측의 에어백 쿠션내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재봉되는 지지부가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이 에어백 쿠션에 설치된 쿠션 테더는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작동시에 팽창되는 에어백 쿠션와 같이 펼쳐지며, 상기 에어백 튜브가 정면으로 더이상 부풀어 나아가지 않도록 에어백 튜브를 잡아당김으로써, 에어백 튜브가 가스 주머니 즉, 풍선과 같은 형상을 유지하게 하여 탑승자를 보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은 주행 중 충격력이 발생하게 되면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신호가 가스 발생기로 인가되고, 동시에 가스가 발생되며, 가스는 하우징(housing)의 확개부 내측에 설치된 플레이트의 분출공과 에어백 쿠션에 구비되어 있는 유입부를 통해 팽창부로 토출됨으로써, 에어백 쿠션이 전개 되어 승객을 구속하게 된다.
이때, 팽창부를 부풀리면서 유입되는 가스 중 일부가 양측에 형성된 압력 배출홀을 통해 차내로 빠져나가게 됨으로써, 승객에게 과도한 가스 팽창 압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쿠션 테더에 의해 전개되는 과정에서 한쪽 방향으로 쏠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에어백 쿠션의 유입부를 통하여 에어백 쿠션 내측으로 유입될 시, 정체 시간없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므로 가스 유입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전개 시 승객과 에어백 쿠션이 접촉되어 구속 될 시, 승객은 쿠션의 전개에 따른 내부 팽창 압력에 의해 큰 충격(big slap)을 받게되며, 승객이 정상적이지 못한 승차 상태에서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이 작동하면 에어백 쿠션의 직선적인 전개에 따라 승객이 안전 사고에 노출되는 위험이 있었고, 자동차의 시트 내에 웨이트 센서를 장착하여 승객의 무게만을 센싱함으로써, 과체중의 키가 작은 어린이 및 저체중의 키가 큰 어른등의 다양한 승객의 상태를 감지하지 못하여 에어백 쿠션의 전개로 승객의 상해의 증가가 발생하는 요인이 되었고, 승객의 무게에 따라 어린이와 어른으로 양분하여 인플레이터의 압력을 두 단계로 나누어 에어백 쿠션을 전개시킴으로써, 모듈의 복잡화로 인한 비용 증가와 정확한 에어백 전개를 구현하지 못하여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위험성이 있으며, 듀얼 인플레이터를 사용하는 구조 변경으로 생산비 증가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인플레이터의 외주면에 감겨 에어백 쿠션의 형태를 한정시키는 쿠션 테더에 인플레이터의 배출공과 대응되는 홀을 형성시킴으로써, 에어백 쿠션의 후면에 형성된 벤트 홀을 통하여 압력을 조절가능하게 하며, 에어백 쿠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 접촉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승객과 에어백 쿠션이 접촉되었을 시 에어백 쿠션의 압력을 감소시키며, 웨이트 센서와 듀얼 인플레이터의 장착 및 전자 제어 유닛의 제어 프로그램 변경으로 인한 생산비 증가를 억제시키고, 상기한 구조와 같이 형성시킴으로써, 디자인의 변경만으로 비용 절감과 에어백 모듈로 인한 안전 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 내부에 장착되어 승객의 체중을 측정하는 웨이트 센서와, 내부에 충진된 고압 가스가 점화되어 배출됨으로써 에어백 쿠션을 전개시키되, 외주면에 관통되도록 배출공이 형성된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의 중앙외주면에 다수번 감겨있는 쿠션 테더와,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 승객과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접촉 유무를 감지하는 접촉 센서가 부착되는 에어백 쿠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외주면에 감기는 상기 쿠션 테더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웨이트 센서 및 듀얼 인플레이터는 삭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정상인 위치 및 에어백 쿠션 미 전개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1)은 웨이트 센서(40)와 접촉 센서(50)와 충격 센서와 전자 제어 유닛와 인플레이터(30)와 에어백 쿠션(1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웨이트 센서(40)는 승객의 몸무게를 감지하기 위하여 승객의 하중이 실리는 무게 중심의 좌석의 하부 내면 소정 위치에 장착되며, 승객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전자 제어 유닛에 기 정해진 무게를 기준으로 정상인(N), 소형 체구 승객(N')으로 구분하여, 상기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1)의 구동을 조절하는 변수로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 센서(50)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에 기 정해진 무게를 기준으로 정상인(N) 및 소형 체구 승객(N')으로 구분시켜 구동시키는 상기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1)이 작동되었을 시 상기 에어백 쿠션(10)이 전개됨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10) 전개의 압력에 의하여 승객이 상해를 입는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 센서(50)가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전개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충격 센서는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로부터 전자 제어 유닛에 기 정해진 일정 속도 범위 내에서 자동차에 충격이 가해지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충격 센서와 속도가 기 정해진 전자 제어 유닛의 프로그램에 부합되면 상기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1)이 온(on)된다.
그리고, 전자 제어 유닛은 상기 웨이트 센서(40)와 상기 접촉 센서(50)와 상기 충격 센서로부터 자동차의 구동 상태와 승객의 탑승 상태를 감지하여 기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1)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인플레이터(30)는 전자 제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인플레이터(30)가 하우징에 내설되어 있고, 하우징의 상부는 확단부를 구비하여 다수개의 배출공(33)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로 에어백 쿠션(10)이 고정되어 있다.
이때, 하우징은 상기 인플레이트를 내설시키며, 엔진 룸과 자동차의 실내를 나누는 대쉬 패널에 하부 및 양측에 고정 수단으로 부착되어 있고, 하우징의 상부는 확단부를 구비하여 다수개의 분출공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로 에어백 쿠션(10)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에어백 쿠션(10)은 인플레이터(30)에서 발생하는 가스압에 의해 팽창되면서 승객을 구속시킴으로써,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천을 박음질하여 유입부와 팽창부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아울러 전개시 양측면에는 가스의 과도한 팽창 압력이 승객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벤트 홀(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백 쿠션(10)의 팽창부 내부에는 일정한 방향으로 상기 에어백 쿠 션(10)이 전개되도록 쿠션 테더(20)를 구비하여 사용하며, 상기 쿠션 테더(20)(20)는 에어백 쿠션(10)과 동일한 천으로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며 형성되고, 상기 팽창부의 내부를 구속하도록 양단이 박음질되어 있다.
그리고, 쿠션 테더(20)는 굽힘 및 휨이 자유로운 에어백 쿠션(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일종의 격판으로서, 상기 쿠션 테더(20)의 중앙부에는 에어백 쿠션(10)에 재봉되는 원형의 접합부가 형성되고 , 상기 접합부의 양단부에는 가스 주입구 측의 에어백 튜브내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재봉되는 지지부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 제어 유닛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내부의 가스를 방출하는 인플레이터(30)와, 상기 인플레이터(30)의 상부에는 아웃 커버로 장착되는 하우징과, 인플레이터(30)에서 방출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하우징에 접힌 상태로 내장되는 에어백 쿠션(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1)은 주행 중 충격력이 발생하게 되면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시그널이 인플레이터(30)로 인가되고, 동시에 가스에 발생하게 되며, 상기 가스는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된 플레이트의 분출공과 에어백 쿠션(10)에 구비되어 있는 유입부를 통해 팽창부로 토출됨으로써, 에어백 쿠션(10)이 전개되어 승객을 구속하게 되며, 상기 팽창부를 부풀리면서 유입되는 가스 중 일부가 양측에 형성된 벤트 홀(11)을 통해 자동차의 내부로 빠져나가게 됨으로써, 승객에게 과도한 가스 팽창 압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쿠션 테더(20)에 의해 상기 에어백 쿠션(10)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한쪽 방향으로 쏠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더불어, 정상인(N)이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1)에 기 정해진 정상인(N)의 무게 범위인지 또는 초과 및 미만인지의 여부를 웨이트 센서(40)로 감지하여 상기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1)의 에어백 쿠션(10)의 전개에 변수로 작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도 2의 A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정상인의 탑승 및 에어백 쿠션의 미 전개시의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단면 부분 확대도를 보면 에어백 쿠션(10)이 다수번 접혀서 상기 인플레이트의 외주면에 감겨있으며, 상기 인플레이트는 다수개의 배출공(33)이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플레이트의 외부에는 상기 인플레이트를 감싸도록 형성된 하우징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정상인 위치 및 에어백 쿠션 전개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이 전개 되었을 시 상기 속도 센서로부터 전자 제어 유닛에 기 정해진 일정 속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후, 일정 속도 이상이면 충격 센서가 가해지는 경우에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을 전개하게 된다.
상기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의 에어백 쿠션(10)이 전개되면, 정상인(N)의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에어백 쿠션(10)의 전개는 도 4와 같이 전개된다.
여기서, 에어백 쿠션(10)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접촉 센서(50)에 의하여 상기 인플레이터(30)의 폭발된 가스의 압력으로 상해를 입는 일이 없도록 접촉 센서(50)에서 상기 에어백 쿠션(10)과 정상인(N)과의 접촉이 감지되면, 에어백 쿠션(10)의 후면 소정의 곳에 위치한 벤트 홀(11, vent hole)에 의하여 압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리고, 쿠션 테더(20)는 에어백 쿠션(10)의 전개 시 일정한 방향으로 상기 에어백 쿠션(10)이 전개되도록 사용하며, 상기 쿠션 테더(20)는 에어백 쿠션(10)과 동일한 천으로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팽창부 내부를 구속하도록 양단이 박음질 되어 있다.
더불어, 쿠션 테더(20)는 굽힘 및 휨이 자유로운 에어백 쿠션(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일종의 격판으로서, 상기 쿠션 테더(20)의 중앙부에는 에어백 쿠션(10)에 재봉되는 원형의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의 양단부에는 가스 주입구 측의 에어백 쿠션(10) 내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재봉되는 지지부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도 4의 B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10)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접촉 센서(50)에 의하여 상기 인플레이터(30)의 폭발된 가스의 압력으로 상해를 입는 일이 없도록 접촉 센서(50)에서 상기 에어백 쿠션(10)과 정상인(N)과의 접촉이 감지되면, 에어백 쿠션(10)의 후면 소정의 곳에 위치하며, 관통되도록 형성된 벤트 홀(11, vent hole)에 의하여 압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플레이터(30)의 외주면을 관통되도록 형성된 배출공(33)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후면 소정 위치에 형성된 벤트 홀(11)로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압력이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형태를 잡아주기 위한 쿠션 테더(20)가 상기 에어백 쿠션(10)과 동일한 재질로 박음질로 이어지도록 연결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정상인 대비 소형 체구 승객 위치 및 에어백 쿠션 전개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하여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속도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속도가 전자 제어 유닛에 기 정해진 일정 속도 이상이면 상기 충격 센서와 상기 웨이트 센서(4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1)은 정상인(N) 및 정상인 대비 소형 체구 승객(N')의 위치에 따른 에어백 쿠션(10)의 전개는 도 3을 참조하면, 정상인(N)이 에어백 쿠션(10)에 접촉할 시에는 안면과 각부등의 표면과 접촉되지만, 종래의 소형 체구이면서 정상인(N)의 체중을 가지고 있는 승객일 경우에는 웨이트 센서(40)로부터 일정 무게 이상으로 측정되어 일반적인 에어백 쿠션(10) 전개를 발생시켜 소형 체구 승객(N')의 목 사이에 에어백 쿠션(10)이 끼는 등의 압력 으로 인한 상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웨이트 센서(40) 및 접촉 센서(50)를 사용하여 소형 체구 승객(N')과 상기 에어백 쿠션(10)이 접촉될 시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후면에 벤트 홀(11)로 에어백 쿠션(10)의 압력을 제거시키기 위한 상기 인플레이터(30)의 외주면에 관통되도록 배출공(33)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일부의 압력을 배출공(33)을 통하여 상기 벤트 홀(11)로 배출시켜 소형 체구 승객(N')이면서 정상인(N)의 무게를 가지는 승객일지라도 상기와 같은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도 6의 C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쿠션 테더 소정의 위치에 상기 쿠션 테더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공(21)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인플레이터(30)의 배출공(33)으로부터 빠져나온 압축된 가스를 상기 쿠션 테더(20)의 관통공(21) 및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벤트 홀(11)로 통과되도록 방출시켜 소형 체구 승객(N')이면서 정상인(N)의 무게를 갖는 승객 및 키 작은 어린이와 같이 안면의 위치를 감지하기 어려운 승객일지라도 상기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1)의 작동에 있어 안전 사고를 제거시키고, 더욱 정확한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작동을 구현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도 7의 D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 쿠션(10)에 재봉되는 쿠션 테더(20)는 에어백 쿠션의 전개 초기에 팽창되는 에어백 쿠션(10)과 함께 펼쳐지며, 모두 펼쳐진 쿠션 테더(20)들은 에어백 쿠션(10)의 정면이 더 이상 부풀려지지 않도록, 상기 쿠션 테더(20)의 직물의 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10)을 잡아당김으로써, 에어백 쿠션(10)으로 하여금 가스 주머니 형상을 유지하게 하고, 부가적으로 펀치 아웃 포스와 같은 탑승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돌발적인 충격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쿠션 테더(20)의 소정 위치에 관통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공(21)은 상기 인플레이터(30)의 일부 압축된 가스가 상기 관통공(21)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플레이터(30)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인플레이터(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공(33)이 형성되어 조수석에 착석한 승객과 상기 에어백 쿠션(10)이 접촉하였을 시, 승객의 안면과 각부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인플레이터(30)로부터 상기 에어백 쿠션(10)으로 분사되는 압축된 가스를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후면 소정 위치에 관통되도록 형성된 벤트 홀(11)로 통과시켜 제거시킨다.
따라서, 상기 인플레이터(30)의 배출공(33)으로 분사된 일부 가스는 상기 쿠션 테더(20)의 다수개의 관통공(21)을 지나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후면 소정 위치에 관통되도록 형성된 벤트 홀(11)을 통하여 방출되어 승객에게 가해질 수 있는 돌발적인 충격을 예방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정상인 대비 소형 체 구 승객 위치 및 에어백 쿠션 전개시의 상태 비교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조수석 하부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웨이트 센서(40)에 의하여 측정된 무게가 전자 제어 유닛에 설정된 일정 무게 이상인 경우에는 정상인(N)으로 분류되면서,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접촉 센서(50)로 승객의 안면과 상기 에어백 쿠션(10)이 접촉되었을 시 상기 인플레이터(30)의 배출공(33)으로 방출되는 가스의 일부를 상기 쿠션 테더(20)의 관통공(21)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10) 후면에 위치하는 벤트 홀(11)로 방출된다.
여기서, 승객의 무게에 따라 전자 제어 유닛에 기 설정된 안면의 높이에 대한 테이블에서 승객의 안면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인플레이터(30)로부터 방출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과정을 설명 한다.
자동차의 충돌 시, 충돌 감지 센서가 충돌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전자 제어 유닛으로 출력하고, 상기 충격 감지 센서는 전자 제어 유닛에 기 정해진 충격 강도에 따라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1)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1)을 작동시킬 필요가 있을 시 인플레이터(30)를 작동시켜 에어백 쿠션(10)을 팽창시킨다.
이때, 인플레이터(30)는 다단으로 접어져 설치된 에어백 쿠션(10)에 연결되고,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작동될 시에는 상기 인플레이터(30) 내부의 히터가 발 열하여 화약을 착화시키며, 가스 발생제를 연소시켜 순간적으로 발생된 다량의 질소 가스가 에어백 쿠션(10)으로 신속하게 분사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10)을 팽창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쿠션 테더(20)의 소정 위치에 관통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공(21)은 상기 인플레이터(30)의 일부 압축된 가스가 상기 관통공(21)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플레이터(30)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인플레이터(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공(33)이 형성되어 조수석에 착석한 승객과 상기 에어백 쿠션(10)이 접촉하였을 시, 승객의 안면과 각부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인플레이터(30)로부터 상기 에어백 쿠션(10)으로 분사되는 압축된 가스를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후면 소정 위치에 관통되도록 형성된 벤트 홀(11)로 통과시켜 제거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작동되는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1)은 자동차의 충돌 시 팽창되면서 승객의 머리와 흉부 부위 및 각부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의 외주면에 감겨 에어백 쿠션의 형태를 한정시키는 쿠션 테더에 인플레이터의 배출공과 대응되는 홀을 형성시킴으로써, 에어백 쿠션의 후면에 형성된 벤트 홀을 통하여 압력을 조절가능하게 하며, 에어백 쿠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 접촉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승객과 에어백 쿠션이 접촉되었을 시 에어백 쿠션의 압력을 감소시키며, 웨이트 센서와 듀얼 인플레이터의 장착 및 전자 제어 유닛의 제어 프로그램 변경으로 인한 생산비 증가를 억제시키고, 상기한 구조와 같이 형성시킴으로써, 디자인의 변경만으로 비용 절감과 에어백 모듈로 인한 안전 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 할 것이다.

Claims (2)

  1. 시트 내부에 장착되어 승객의 체중을 측정하는 웨이트 센서(40)와, 내부에 충진된 고압 가스가 점화되어 배출됨으로써 에어백 쿠션(10)을 전개시키되, 외주면에 관통되도록 배출공(33)이 형성된 인플레이터(30)와, 상기 인플레이터(30)의 중앙외주면에 다수번 감겨있는 쿠션 테더(20)와,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 승객과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접촉 유무를 감지하는 접촉 센서(50)가 부착되는 에어백 쿠션(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1)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30) 외주면에 감기는 상기 쿠션 테더(20)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다수개의 관통공(21)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센서(40) 및 듀얼 인플레이터는 삭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20060060882A 2006-06-30 2006-06-30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20080002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882A KR20080002208A (ko) 2006-06-30 2006-06-30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882A KR20080002208A (ko) 2006-06-30 2006-06-30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208A true KR20080002208A (ko) 2008-01-04

Family

ID=39214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882A KR20080002208A (ko) 2006-06-30 2006-06-30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2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491B1 (ko) * 2008-03-31 2010-10-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조수석 에어백과 그 전개방법
KR101013907B1 (ko) * 2008-05-20 2011-0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KR101459767B1 (ko) * 2008-03-20 2014-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767B1 (ko) * 2008-03-20 2014-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989491B1 (ko) * 2008-03-31 2010-10-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조수석 에어백과 그 전개방법
KR101013907B1 (ko) * 2008-05-20 2011-0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9030B2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6923483B2 (en) Bumper airbag and system
JP5651788B2 (ja) シートボルスタ室
KR100805438B1 (ko) 분리형 에어백 장치
KR20110026326A (ko) 자동차
JP2020114687A (ja)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1341611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6729454B2 (ja) エアバッグシステム
KR20080002208A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0986471B1 (ko) 차량용 에어백 어셈블리
WO2019073826A1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7365507B2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CN110871765B (zh) 气囊装置
KR19990041304A (ko)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쿠션구조
KR20090012740A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20070113831A (ko) 에어백 쿠션
JP2022186427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235731B1 (ko) 자동차의 충돌에 따른 승객 하락 방지장치
JP6249680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0305927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KR20030026468A (ko) 자동차용 테더 및 벤트홀 연결형 에어백 쿠션
KR100512856B1 (ko) 자동차용 2단 운전석 에어백
KR19990026012U (ko) 자동차의 뒷좌석용 에어백
KR100654679B1 (ko) 차량의 에어백 장치
KR100260735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