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919B1 -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919B1
KR101875919B1 KR1020120059679A KR20120059679A KR101875919B1 KR 101875919 B1 KR101875919 B1 KR 101875919B1 KR 1020120059679 A KR1020120059679 A KR 1020120059679A KR 20120059679 A KR20120059679 A KR 20120059679A KR 101875919 B1 KR101875919 B1 KR 101875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ushion
coupled
gas generator
airba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102A (ko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9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919B1/ko
Priority to CN201310185974.7A priority patent/CN103448663B/zh
Publication of KR20130136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60R2021/239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comprising means to control the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Abstract

가스가 배출되는 벤트홀을 폐쇄 또는 개방시켜서, 에어백 쿠션의 전개압을 조절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는, 가스발생기에 내부의 가스압에 의해 찢어질 수 있는 테어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테어라인이 형성된 테어부에 상기 벤트홀을 폐쇄 또는 개방하는 개폐유닛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테어부가 내부의 가스압에 의해 상기 테어라인을 기준으로 벌어져서 상기 개폐유닛과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가스발생기의 작동과 동시에 상기 개폐유닛이 분리되므로, 에어백 쿠션의 전개압 조절에 대한 응답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어, 에어백 쿠션의 전개압을 정확한 시점에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개압 조절 실패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 쿠션의 가스배출량을 조절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압을 조절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 사고시에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가스가 에어백 쿠션으로 유입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이 상기 가스에 의해 팽창전개되어서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상기 에어백 쿠션에 승객이 로딩된 후, 상기 에어백 쿠션의 지나친 전개압에 의해 승객의 머리 및 목부분이 상해를 입는 사례가 발생되고 있다. 특히, 북미에서는 이러한 에어백 장치의 상품성에 대한 법규를 마련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압에 의해 승객의 머리 및 목부분이 상해를 입는지를 엄격히 평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초기에는 가스의 과다한 배출을 막아 전개압을 유지하고 조기 전개를 도모하며, 상기 에어백 쿠션에 승객이 로딩되기 전후의 적절한 시점에 가스를 추가 배출하여 승객의 목 상해 및 가슴 상해를 저감시킬 수 있는 에어백 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시트에 앉은 탑승자가 유아인지, 어린이인지, 체구가 작은 성인인지, 체구가 큰 성인인지에 따라, 에어백 쿠션의 전개압을 달리하여, 상기 탑승자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지나친 전개압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고, 적절한 전개압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는 에어백 장치도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가스가 배출되는 벤트홀을 폐쇄 또는 개방시켜서, 에어백 쿠션의 전개압을 조절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는,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되고, 상기 가스가 배출되는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 쿠션과, 상기 벤트홀을 폐쇄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에 결합된 개폐유닛과, 상기 개폐유닛과 결합되되,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됨에 따라 상기 개폐유닛이 상기 벤트홀을 폐쇄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가스를 발생시키면서 상기 개폐유닛과 분리되는 가스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발생기는, 상기 개폐유닛과 결합되는 테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어부에 내부의 가스압에 의해 파단되는 테어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테어부가 내부의 가스압에 의해 상기 테어라인을 기준으로 벌어져서 상기 개폐유닛과 분리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가스발생기에 내부의 가스압에 의해 파손되는 테어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테어라인이 형성된 테어부에 상기 벤트홀을 폐쇄 또는 개방하는 개폐유닛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테어부가 내부의 가스압에 의해 상기 테어라인을 기준으로 벌어져서 상기 개폐유닛과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가스발생기의 작동과 동시에 상기 개폐유닛이 분리되므로, 에어백 쿠션의 전개압 조절에 대한 응답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어, 에어백 쿠션의 전개압을 정확한 시점에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개압 조절 실패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벤트커버 및 테더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이드패널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하우징의 정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테더, 가스발생기 및 커버를 나타내는 결합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스발생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가스발생기의 작동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주요부 정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배면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에어백 장치에서 가스발생기의 작동 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작동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 쿠션이 팽창되고 가스발생기가 작동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 쿠션이 팽창되고 가스발생기가 작동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에어백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 사고시 조수석에 앉은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이다. 다만,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기술은 후술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발생기(50)에 테어라인(57)을 형성하여, 이 테어라인(57)이 형성된 테어부(55)에, 에어백 쿠션(30)의 가스배출량을 조절하는 개폐유닛(40)을 직접 결함으로써, 가스발생기(50)의 작동과 동시에 개폐유닛(40)이 가스발생기(5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에어백 쿠션(30)의 전개압 조절에 대한 응답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는 바, 테어부(55)에 테어라인(57)이 형성된 가스발생기(50)를, 운전자 에어백 장치, 무릎 에어백 장치를 비롯한 다른 에어백 장치들에 적용하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조수석 에어백 장치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하우징(10)과, 인플레이터(20)와, 에어백 쿠션(30)과, 개폐유닛(40)과, 가스발생기(50)를 포함한다.
에어백 하우징(10)은 에어백 쿠션(30)을 수납하여 상기 자동차에 장착된다.
인플레이터(20)는 에어백 쿠션(30)이 팽창 전개되어 상기 승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가스를 발생시켜서 에어백 쿠션(30)으로 공급한다. 즉, 인플레이터(20)로부터 가스가 발생되어 에어백 쿠션(30)으로 유입되면, 에어백 쿠션(30)은 그 가스압에 의해 팽창 전개되어 승객을 쿠션력으로 보호하게 된다.
인플레이터(20)는 머리부가 에어백 하우징(10)의 외측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에어백 쿠션(30)과 결합될 수 있다.
에어백 쿠션(30)은 팽창 전개되어 승객과 접촉되는 메인패널(32)과, 메인패널(3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패널(34)을 포함한다.
에어백 쿠션(30)은 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쿠션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충분한 압력으로 팽창되어야 하는 바, 인플레이터(20)는 에어백 쿠션(30)이 완전(FUll) 팽창될 수 있는 가스량보다 더 많은 양의 가스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인플레이터(20)로부터 발생되어 에어백 쿠션(30) 내로 유입된 가스가 배출되지 않으면, 에어백 쿠션(30)의 전개압이 지나치게 높아지게 되어, 에어백 쿠션(30)에 로딩된 승객은 에어백 쿠션(30)의 지나친 전개압에 의해 오히려 상해를 입게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에어백 쿠션(30)의 전개압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백 쿠션(30)에는 사이드패널(34)에 가스를 배출하는 메인벤트홀(35)이 형성된다. 에어백 쿠션(30)이 팽창 전개되었을 때 승객은 메인패널(32)에 로딩되게 되므로, 메인벤트홀(35)은 사이드패널(34)에 형성되어서, 고온/고압 상태의 가스가 메인벤트홀(35)을 통해 승객에게 직접적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에어백 쿠션(30)에는 사이드패널(34)에 메인벤트홀(35)뿐만 아니라 벤트홀(36)이 더 형성되고, 개폐유닛(40)은 벤트홀(36)을 폐쇄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에어백 쿠션(30)에 결합된다. 즉 개폐유닛(40)은 일단이 벤트홀(36)을 덮으면서 사이드패널(34)의 내측에 바느질되어 결합되고, 타단은 가스발생기(50)에 결합된다.
여기서, 가스발생기(50)는 인플레이터(20)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매체가 충진되어 있으며, 컨트롤러(미도시)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가스발생매체가 폭발되어 가스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가스발생기(50)의 내부에 가스가 발생되면, 가스발생기(50)는 내부의 가스압에 의해 개폐유닛(40)과 분리된다.
개폐유닛(40)은 벤트홀(36)을 폐쇄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에어백 쿠션(30)에 결합된다. 에어백 쿠션(30)이 팽창되기 전에는 느슨한 상태로 되고, 에어백 쿠션(30)이 소정 크기로 팽창되었을 때 팽팽해질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30)이 소정의 크기로 팽창되었을 때, 가스발생기(50)에서 가스가 발생되지 않으면, 개폐유닛(40)은 가스발생기(50)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어 팽팽해져서 벤트홀(36)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에어백 쿠션(30)이 소정의 크기로 팽창되었을 때, 가스발생기(50)에서 가스가 발생되면, 개폐유닛(40)은 가스발생기(50)로부터 분리되어 느슨한 상태가 되어서 벤트홀(36)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개폐유닛(40)은 가스발생기(5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 벤트홀(36)을 폐쇄하고, 가스발생기(5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벤트홀(36)을 개방되도록 하지만, 이에 한정을 두지는 않는다. 즉, 개폐유닛(40)이 가스발생기(5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 벤트홀(36)을 개방하고, 개폐유닛(40)이 가스발생기(5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벤트홀(36)을 폐쇄하도록, 당업자에 의해 개폐유닛(40)의 구조는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개폐유닛(40)은 가스발생기(5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 벤트홀(36)을 폐쇄하고, 가스발생기(5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벤트홀(36)을 개방하는 구조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개폐유닛(40)은, 벤트홀(36)을 차폐하면서 에어백 쿠션(30)의 내측에 바느질(42a)되어 결합되는 벤트커버(42)와, 에어백 쿠션(30) 내에 결합되어 벤트커버(42)를 안내하는 가이드패널(48)과, 벤트커버(42)에 일단이 결합되는 테더(44)와, 테더(44)의 타단에 결합되어 가스발생기(5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46)를 포함한다.
가이드패널(48)은 벤트커버(42)를 덮으면서 사이드패널(34)에 둘레가 바느질되어 에어백 쿠션(30)에 결합된다.
가스발생기(50)가 작동되지 않아서 결합부재(46)가 가스발생기(50)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면, 벤트커버(42)는 에어백 쿠션(30)이 팽창됨에 따라 팽팽해진 테더(44)에 의해 당겨져서 벤트홀(36)을 통해 에어백 쿠션(3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벤트홀(36)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가스발생기(50)가 작동되어 가스발생기(50)의 내부에 가스가 발생되면, 결합부재(46)가 가스발생기(50) 내부의 가스압에 의해 가스발생기(50)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결합부재(46)가 가스발생기(50)로부터 분리되면, 에어백 쿠션(30)이 팽창되어도 테더(44)가 느슨한 상태로 되므로, 벤트커버(42)는 벤트홀(36)을 통해 에어백 쿠션(30)의 외부로 돌출되어 벤트홀(36)을 개방시켜서, 에어백 쿠션(30)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벤트커버(42) 및 테더(44)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이드패널(48)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벤트커버(42)는 벤트홀(36)을 덮을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가지는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에어백 쿠션(30)에 둘레 일부가 바느질(42a)되어 결합되고, 일측에 테더(44)의 일단이 바느질되어 결합된다. 테더(44)도 벤트커버(42)에 바느질로 결합될 수 있도록 유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벤트커버(42)가 테더(44)에 의해 당겨지는 경우, 벤트커버(42)가 에어백 쿠션(3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벤트커버(42)는 에어백 쿠션(30)에 견고하게 바느질되고, 테더(44)의 일단도 벤트커버(42)에 견고하게 바느질된다.
가이드패널(48)은, 결합부재(46)가 가스발생기(5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벤트커버(42)가 가이드패널(48) 내에서 이동되어 벤트홀(36)을 통해 에어백 쿠션(3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벤트커버(42)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유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가이드패널(48)은 둘레 일부가 바느질(48b)되어 에어백 쿠션(30)에 결합된다. 여기서, 가이드패널(48)의 둘레 일부만이 바느질(48b)되는 이유는, 결합부재(46)가 가스발생기(50)로부터 분리되면 벤트커버(42)가 벤트홀(36)을 통해 에어백 쿠션(3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가이드패널(48) 중 에어백 쿠션(30)에 바느질되지 않은 부분과 에어백 쿠션(30)과의 틈을 통해 테더(44)가 이동가능토록 배치됨으로써, 테더(44)가 느슨한 상태가 되면 벤트커버(42)가 에어백 쿠션(30) 내의 가스압에 의해 벤트홀(36)을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가이드패널(48)에는 벤트홀(36)과 연통하는 연통홀(48a)이 형성된다. 연통홀(48a) 및 벤트홀(36)은 벤트커버(4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벤트홀(36) 및 연통홀(48a)은, 벤트커버(42)에 의해 서로 차단되어 있다가, 벤트커버(42)가 벤트홀(36)을 통해 에어백 쿠션(30)의 외부로 돌출되면 서로 통하게 되므로, 에어백 쿠션(30) 내의 가스가 연통홀(48a) 및 벤트홀(3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하우징(10)의 정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테더(44), 가스발생기(50) 및 커버(70)를 나타내는 결합도이다.
도 1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에어백 하우징(10)은 에어백 쿠션(30)을 수납할 수 있도록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에어백 하우징(10)은 차체에 결합되기 위해, 양측에 측면 마운팅브래킷(12)이 배치되고, 하측에 하면 마운팅브래킷(14)이 배치되며, 전후에 후크부(16)가 형성된다. 측면 마운팅브래킷(12) 및 하면 마운팅브래킷(14)은 볼트를 통해 차체에 체결되고, 후크부(16)는 에어백 하우징(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차체에 후크결합된다.
에어백 하우징(10)의 내측에는 에어백 쿠션(30)을 에어백 하우징(10)에 결합하는 리테이너(60)가 배치된다. 리테이너(60)가 에어백 쿠션(30)의 하단으로 삽입된 후, 스터드볼트(65)가 리테이너(60), 에어백 쿠션(30), 에어백 하우징(10) 및 인플레이터(20)를 차례로 관통하여서 체결될 수 있다. 물론, 리테이너(60)가 에어백 쿠션(30)의 하단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된 후, 스터드볼트(65)가 에어백 쿠션(30), 리테이너(60), 에어백 하우징 및 인플레이터(20)를 차례로 관통하여 체결될 수도 있다.
인플레이터(20)는, 머리부가 에어백 하우징(10)의 하측에서부터 내부로 삽입된 후 리테이너(60)를 관통함으로써, 에어백 쿠션(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스발생기(50)는 커버(70)를 통해 리테이너(60)에 결합된다. 즉, 커버(70)는 가스발생기(50)와 결합되어, 리테이너(60)에 결합된다.
커버(70)는 몸체부(72), 제1 결합부(74) 및 제2 결합부(76)를 포함한다.
몸체부(72)는 가스발생기(50)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홀(72a)이 내측에 형성되고, 외측이 에어백 하우징(10)에 삽입된다.
제1 결합부(74)는 몸체부(7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가스발생기(50)의 양측에 탄성걸림됨으로써, 가스발생기(50)가 커버(70)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제2 결합부(76)는 몸체부(72)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리테이너(60)에 삽입된 후 탄성걸림됨으로써, 커버(70)가 리테이너(6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에어백 하우징(10)에는 몸체부(72)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18)이 형성된다. 즉, 커버(70)는 몸체부(72)가 에어백 하우징(10)에 형성된 제1 관통홀(18)로 삽입됨으로써, 반경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리테이너(60)에는 제1 결합부(74)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62)이 형성된다. 즉, 제1 결합부(74)가 가스발생기(50)의 양측에 탄성걸림된 채로 가스발생기(50)와 함께 제2 관통홀(62)로 삽입된다.
또한, 리테이너(60)에는 제2 관통홀(62)로부터 양측에 제2 결합부(76)가 삽입되는 제3 관통홀(64)이 형성된다.
테더(44)의 하단은 결합부재(46)를 통해 가스발생기(50)의 상측에 결합된다. 결합부재(46)는 유연한 테더(44)의 하단을 관통하여, 스틸 재질로 형성된 가스발생기(5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46)는 리벳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스발생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가스발생기의 작동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가스발생기(50)의 상측에는 개폐유닛(40)과 결합되는 테어부(55)가 형성된다. 즉, 테어부(55)에는 결합부재(46)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테어부(55)에는 내부의 가스압에 의해 파단되는 테어라인(57)이 형성된다. 가스발생기(50)가 작동되어 가스발생기(50)의 내부에 가스가 발생되게 되면, 테어라인(57)이 가스발생기(50)의 내부 가스압력에 의해 파단될 수 있도록, 테어라인(57)은 가스발생기(50)의 상측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가스발생기(50)에서 가스가 발생되면, 테어라인(57)이 가스발생기(50) 내부의 가스압력에 의해 파단되기 때문에, 테어부(55)가 테어라인(57)을 기준으로 벌어져서, 개폐유닛(40) 중 하나인 결합부재(46)와 분리되게 되므로, 에어백 쿠션(30)의 전개압을 조절하는 개폐유닛(40)의 응답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게 된다.
테어라인(57)은 테어부(55)에 삽입되어 결합된 결합부재(46)가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테어부(55)로 삽입된 결합부재(46)의 둘레에 인접하여 결합부재(46)의 둘레 외측에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다만, 테어라인(57)의 형상은 테어부(55)로 삽입된 결합부재(46)의 둘레에 인접하여, 원형, 타원형, 별형 및 마름모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또한, 가스발생기(50)의 양측에는 커버(70)의 제1 결합부(74)가 탄성걸림되는 단턱부(54)가 형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주요부 정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배면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서는 결합부재(46)가 하나로 형성되어 테더(44)를 관통한 후 테어부(55)에 결합되었으나, 본 제2 실시예에서는 결합부재(46)가 둘로 형성되어, 테더(44)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재(46a)와, 제1 결합부재(46a)를 관통하여 테어부(55)에 결합되어서 제1 결합부재(46a)를 가스발생기(50)에 결합하는 제2 결합부재(46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결합부재(46)가 제1 결합부재(46a)와 제2 결합부재(46b)로 형성되게 되면, 제1 실시예에 비해 테더(44)가 가스발생기(50)의 작동과 무관하게 결합부재(46)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46a)는, 테더(44)의 타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홀(46c)이 형성된 테더결합부(46d)와, 테어부(55)에 결합될 수 있도록 테더결합부(46d)로부터 절곡되고, 제2 결합부재(46b)가 관통하는 절곡부(46e)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가스발생기(50)가 리테이너(60)에 결합되었으나, 본 제2 실시예에서는 가스발생기(50)를 리테이너(60)의 측면에 결합하는 마운팅플레이트(80)를 더 포함한다.
마운팅플레이트(80)는, 리테이너(60)의 측면에 결합되는 리테이너결합부(82)와, 리테이너결합부(82)로부터 절곡되어, 가스발생기(50)가 결합되는 가스발생기결합부(84)를 포함한다.
또한, 커버(70)는 가스발생기(50)와 결합되어 마운팅플레이트(80)에 결합된다.
커버(70)는, 가스발생기(50)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홀(72a)이 내측에 형성되고, 외측이 마운팅플레이트(80)에 삽입되는 몸체부(72)와, 몸체부(72)의 상측 둘레에서 돌출되어, 마운팅플레이트(80)의 상측에 밀착되는 제1 결합부(74)와, 제1 결합부(74)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고 몸체부(72)의 상측 둘레에서 돌출되어, 마운팅플레이트(80)의 하측에 밀착되는 제2 결합부(76)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74) 및 제2 결합부(76)는, 몸체부(72)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형성되어, 서로 직교되게 배치된다.
마운팅플레이트(80)에는 커버(70)가 삽입되는 관통홀(85)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커버(70)를 관통홀(85)로 삽입한 후 회전시키면, 제1 결합부(74)가 마운팅플레이트(80)의 상측에 밀착되고, 제2 결합부(76)는 마운팅플레이트(80)의 하측에 밀착됨으로써, 커버(70)가 마운팅플레이트(8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동작을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에어백 장치에서 가스발생기(50)의 작동 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작동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 쿠션(30)이 팽창되고 가스발생기(50)가 작동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 쿠션(30)이 팽창되고 가스발생기(50)가 작동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가스발생기(50)의 내부에는 컨트롤러(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폭발되는 1차추진재(51)와, 1차추진재(51)의 폭발에 의해 폭발되어 가스를 발생시키는 2차추진재(53)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에어백 쿠션(30)의 전개초기에 가스발생기(50)를 작동시키지 않고, 에어백 쿠션(30)에 승객이 로딩되는 시점에 가스발생기(50)를 작동시킨다.
물론, 상기 컨트롤러는 조수석에 앉은 승객의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나, 승객에 의한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승객의 종류(예를 들면, 유아, 어린이, 체구가 작은 성인 및 체구가 큰 성인)를 구분하여서, 가스발생기(50)의 작동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에어백 쿠션(30)의 전개압이 승객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달라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조수석에 앉은 승객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승객과 에어백 쿠션(30)과의 거리에 따라, 가스발생기(50)의 작동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에어백 쿠션(30)의 전개압이 승객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달라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에어백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자동차에 배치되는 ACU(Airbag Control Unit)일 수도 있고, 상기 ACU의 기능이 탑재된 ECU(Electronic Control Unit)일 수도 있다.
가스발생기(5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46)가 테어부(55)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가스가 발생되면, 내부의 가스압력에 의해 테어라인(57)이 파손되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어부(55)가 벌어짐으로써, 결합부재(46)를 분리시킨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자동차가 사고가 초래되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 인플레이터(20)에서 가스가 발생되어 에어백 쿠션(30) 내로 유입되며, 이로 인해 에어백 쿠션(30)은 팽창 전개되기 시작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에어백 쿠션(30)의 전개 초기나, 조수석에 앉은 승객의 종류 및 위치가 에어백 쿠션(30)의 전개압이 높아야 하는 조건이라면, 에어백 쿠션(30)이 팽창되는 도중에 가스발생기(50)에서 가스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유닛(40)은 가스발생기(5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므로, 벤트커버(42)가 벤트홀(36)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서, 벤트홀(30)을 통해 에어백 쿠션(30) 내의 가스가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30)의 전개압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에어백 쿠션(30)에 승객이 로딩되는 시점이나, 조수석에 앉은 승객의 종류 및 위치가 에어백 쿠션(30)의 전개압이 낮아야 하는 조건이라면, 에어백 쿠션(30)이 팽창되는 도중에 가스발생기(50)에서 가스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유닛(40)은 가스발생기(50)로부터 분리되게 되므로, 벤트커버(42)가 에어백 쿠션(30) 내의 가스압에 의해 벤트홀(36)을 통해 에어백 쿠션(30)의 외부로 돌출되게 되어서, 에어백 쿠션(30) 내의 가스는 연통홀(48a) 및 벤트홀(36)을 차례로 통과한 후, 벤트커버(42)의 양옆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30)의 전개압이 낮아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가스발생기(50)에 내부의 가스압에 의해 파손되는 테어라인(5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테어라인(57)이 형성된 테어부(55)에 벤트홀(36)을 폐쇄 또는 개방하는 개폐유닛(40)을 결합함으로써, 테어부(55)가 내부의 가스압에 의해 테어라인(57)을 기준으로 벌어져서 개폐유닛(40)과 분리되기 때문에, 가스발생기(50)의 작동과 동시에 개폐유닛(40)이 분리되므로, 에어백 쿠션(30)의 전개압 조절에 대한 응답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어, 에어백 쿠션(30)의 전개압을 정확한 시점에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개압 조절 실패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에어백 하우징 18: 제1 관통홀
20: 인플레이터 30: 에어백 쿠션
36: 벤트홀 40: 개폐유닛
42: 벤트커버 44: 테더
46: 결합부재 46a: 제1 결합부재
46b: 제2 결합부재 46c: 결합홀
46d: 테더결합부 46e: 절곡부
48: 가이드패널 48a: 연통홀
50: 가스발생기 55: 테어부
57: 테어라인 60: 리테이너
62: 제2 관통홀 64: 제3 관통홀
70: 커버 72: 몸체부
72a: 삽입홀 74: 제1 결합부
76: 제2 결합부 80: 마운팅플레이트
82: 리테이너결합부 84:가스발생기결합부
85: 관통홀

Claims (16)

  1.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되고, 상기 가스가 배출되는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 쿠션;
    상기 벤트홀을 폐쇄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에 결합된 개폐유닛; 및
    상기 개폐유닛과 결합되되,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됨에 따라 상기 개폐유닛이 상기 벤트홀을 폐쇄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가스를 발생시키면서 상기 개폐유닛과 분리되는 가스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발생기는, 상기 개폐유닛과 결합되는 테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어부에 내부의 가스압에 의해 파단되는 테어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테어부가 내부의 가스압에 의해 상기 테어라인을 기준으로 벌어져서 상기 개폐유닛과 분리되는 에어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벤트홀을 차폐하면서 상기 에어백 쿠션 내에 결합되는 벤트커버;
    상기 벤트홀과 연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 내에 결합되어, 상기 벤트커버를 안내하는 가이드패널;
    상기 벤트커버에 일단이 결합되는 테더; 및
    상기 테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테어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벤트커버는,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테어부에서 분리되면, 상기 벤트홀을 통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백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벤트커버는 상기 벤트홀 및 연통홀이 서로 차단되거나 통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 및 가이드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백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테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테어라인은 상기 테어부로 삽입된 상기 결합부재의 둘레로부터 외측에 배치되는 에어백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수납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 쿠션을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결합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발생기와 결합되어, 상기 리테이너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가스발생기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내측에 형성되고, 외측이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스발생기의 양측에 탄성걸림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리테이너에 삽입되어 탄성걸림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는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에는, 상기 제1 결합부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 양측에 상기 제2 결합부가 삽입되는 제3 관통홀이 형성되는 에어백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테더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1 결합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테어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를 상기 가스발생기에 결합하는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테더의 타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된 테더결합부와,
    상기 테어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테더결합부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제2 결합부재가 관통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수납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 쿠션을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결합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발생기를 상기 리테이너에 결합하는 마운팅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는,
    상기 리테이너의 측면에 결합되는 리테이너결합부와,
    상기 리테이너결합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가스발생기가 결합되는 가스발생기결합부를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기와 결합되어,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가스발생기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내측에 형성되고, 외측이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측 둘레에서 돌출되어,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상측에 밀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측 둘레에서 돌출되어,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하측에 밀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형성되는 에어백 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가 삽입되는 타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관통홀로 삽입한 후 회전시키면,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상측에 밀착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하측에 밀착되는 에어백 장치.
KR1020120059679A 2012-06-04 2012-06-04 에어백 장치 KR101875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679A KR101875919B1 (ko) 2012-06-04 2012-06-04 에어백 장치
CN201310185974.7A CN103448663B (zh) 2012-06-04 2013-05-20 安全气囊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679A KR101875919B1 (ko) 2012-06-04 2012-06-04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102A KR20130136102A (ko) 2013-12-12
KR101875919B1 true KR101875919B1 (ko) 2018-07-09

Family

ID=49731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679A KR101875919B1 (ko) 2012-06-04 2012-06-04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5919B1 (ko)
CN (1) CN1034486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1142A1 (de) * 2016-02-03 2017-08-03 Trw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Montage einer Aktuatorbaugruppe sowie Gassackmodul mit einer montierten Aktuatorbaugrupp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1411A (ja) * 2006-03-28 2007-10-11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10023592A (ja) * 2008-07-16 2010-02-04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10083175A (ja) * 2008-09-29 2010-04-15 Toyota Motor Corp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20100201107A1 (en) * 2007-06-18 2010-08-12 Takata Corporation Airbag, airbag device and airbag exhaust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8371B2 (en) * 2001-07-12 2003-11-18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venting air bag assembly
US6832778B2 (en) * 2002-07-19 2004-12-21 Delphi Technologies, Inc. Air bag restraint including selectively operable venting elements
US6773030B2 (en) * 2002-07-24 2004-08-1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vent
JP5194579B2 (ja) * 2007-06-19 2013-05-0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及び乗員拘束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1411A (ja) * 2006-03-28 2007-10-11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20100201107A1 (en) * 2007-06-18 2010-08-12 Takata Corporation Airbag, airbag device and airbag exhausting method
JP2010023592A (ja) * 2008-07-16 2010-02-04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8181988B2 (en) * 2008-07-16 2012-05-22 Toyoda Gosei Co., Ltd. Airbag apparatus
JP2010083175A (ja) * 2008-09-29 2010-04-15 Toyota Motor Corp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48663B (zh) 2016-08-17
CN103448663A (zh) 2013-12-18
KR20130136102A (ko)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5678B2 (en) Airbag device
KR100760407B1 (ko) 팽창 가능한 쿠션의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7347444B2 (en) Inflatable airbag with overlapping chamber
WO2014017211A1 (ja) サイドエアバッグの展開方向規制構造
US20080217887A1 (en) Airbag protection flap
EP1695878A1 (en) Passenger restraint system
US8684403B2 (en) Active airbag venting system
JP2004538208A (ja) エアバッグ装置
US9452730B2 (en) Vehicle far side airbag device
JP4569310B2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KR101931317B1 (ko) 에어백 장치
KR101940724B1 (ko) 에어백 장치
KR101542851B1 (ko) 차량의 에어백
KR20150125317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1875919B1 (ko) 에어백 장치
JP5549577B2 (ja) 後席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0986471B1 (ko) 차량용 에어백 어셈블리
KR101405381B1 (ko) 승객의 상해를 저감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
JP2008222043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140042496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0835942B1 (ko) 에어백용 테더의 설치구조
KR101316897B1 (ko)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
KR101905876B1 (ko) 에어백 장치
KR20160061188A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쿠션
KR20120122581A (ko)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