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5317A - 차량용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5317A
KR20150125317A KR1020140052471A KR20140052471A KR20150125317A KR 20150125317 A KR20150125317 A KR 20150125317A KR 1020140052471 A KR1020140052471 A KR 1020140052471A KR 20140052471 A KR20140052471 A KR 20140052471A KR 20150125317 A KR20150125317 A KR 20150125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vehicle
sub
panel
ai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4988B1 (ko
Inventor
유완동
함정식
이성우
김동영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140052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988B1/ko
Publication of KR20150125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Abstract

차량용 에어백 장치가 제공된다.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전단부로부터 차량의 후단부를 향하여 팽창하도록 구성된 메인 에어백, 메인 에어백의 적어도 일 측면에 연통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에어백; 및 서브 에어백과 연통되며 차체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서프트 에어백을 포함한다. 서브 에어백은 차량의 정면 충돌로 인해 차량이 급속히 회전된 경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중앙부 또는 측부로 쏠리는 탑승객의 두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백 장치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충돌 시 승객을 보호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충돌 시 차량내의 승객, 예를 들면 전방 승객석에 착좌한 운전자 또는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용 에어백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충돌 또는 급속한 감속(deceleration)과 같은 위험한 상태에서 팽창하고 에어백이 전개되어 탑승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에어백 장치는 통상 절첩되고, 위험 상황(emergency)시 팽창하고 전개하는 에어백, 에어백 내로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 에어백 및 인플레이터를 고정하는 리테이너 및 에어백을 커버하는 에어백 커버를 포함한다.
차량의 충돌 또는 급속한 감속 시, 인플레이터로부터 생성된 가스는 에어백으로 공급되고, 에어백이 팽창하고, 에어백 커버는 개방하고 파열되고, 에어백이 차량 내로 팽창 전개한다. 특히, 전방 승객석에서 에어백이 팽창 전개되는 전방 승객석용(front passenger seat) 에어백 장치의 경우 인스트루 먼트 패널, 윈드 실드 및 탑승객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 에어백이 팽창 전개되어 탑승객을 보호한다.
정면 차량 충돌 시, 차량이 소정 각도로 급속히 회전될 수 있다. 차량 회전 시 탑승객의 두부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중앙부 또는 측부로 쏠릴 수 있다. 이 경우 탑승객의 두부는 상술한 전방 승객석용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에 의해 보호되지 못한다.
US 2014/0028006 A1 US 2013/0292928 A1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충돌로 인한 차량의 회전 시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중앙부 또는 측부로 쏠리는 승객의 두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차량의 전단부로부터 차량의 후단부를 향하여 팽창하도록 구성된 메인 에어백,
상기 메인 에어백의 적어도 일 측면에 연통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에어백; 및
상기 서브 에어백과 연통되며 차체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 에어백을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서브 에어백은 상기 메인 에어백의 측방 패널의 후부에 연통되고 상기 측방 패널의 수직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 에어백은 상기 서브 에어백과 연통되는 일단과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접촉하는 타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에어백은 상기 메인 에어백의 측방 패널의 후부에 연통되고 상기 측방 패널의 수직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 에어백은 상기 서브 에어백과 연통되는 일단과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접촉하는 타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에어백은 상기 메인 에어백의 측방 패널에 구비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기 중앙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 장치는 상기 메인 에어백의 측방 패널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벤트홀, 상기 메인 에어백의 내부에서 특정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부재에 의해 상기 벤트홀을 폐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폐부재; 및 상기 인장부재의 인장력을 해제하여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벤트홀을 개방하도록 구성된 해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메인 에어백의 상기 측방 패널의 상기 벤트홀 주위에 일단이 결합된 벤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인장 부재는 상기 해제 유닛에 인장력이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 일단 및 상기 벤트 패널에 연결된 타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벤트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트 패널은 상기 벤트홀의 일부를 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 장치는 상기 차량 충돌 시 상기 차량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제 유닛은 상기 센서에 응답하여 상기 벤트 스트랩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 장치는 상기 벤트홀을 통해 가스가 상기 서브 에어백 내부로 공급되는 동안 상기 벤트홀을 개방하고, 상기 서브 에어백이 팽창되면 상기 벤트홀을 막아 상기 서브 에어백 내의 가스가 상기 메인 에어백 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한 방향 밸브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방향 밸브 부재는 상기 벤트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메인 에어백의 측면 패널에 결합된 유연성을 갖는 판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차량이 정면 충돌하여 차량이 회전될 경우 승객의 두부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중앙부에 부딪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서브 에어백을 메인 에어백의 측면 패널의 후방에 대응하도록 형성함에 따라 서브 에어백의 내부 체적(internal volume)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인플레이터의 용량을 최소화하면서 서브 에어백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서브 에어백의 전방 측에 차체, 예컨대,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접촉하는 서포트 에어백을 구비하여 서브 에어백의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차량 충돌로 인한 차량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고, 센서에 응답하여 해제 유닛이 동작되어 벤트 스트랩을 절단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차량 충돌 상태에 따라 서브 에어백을 적절히 팽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메인 에어백 및 서브 에어백을 연통시키는 벤트홀이 한 방향 밸브 부재를 통해 커버되도록 구성되어 팽창된 서브 에어백의 내부 용적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중앙측 또는 측부로 충돌하는 승객의 두부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이 차량 내에서 완전히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Ⅱ를 따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이 차량 내에서 완전히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Ⅸ를 따른 정면도이다.
도 5a는 도 3의 에어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3의 개폐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개폐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d는 도 5c의 스트랩 고정 패널의 일부가 구부러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도 3의 해제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블레이드를 통해 벤트 스트랩이 절단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한 방향 밸브 부재가 구부러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선 Ⅸ-Ⅸ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10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한 방향 밸브 부재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선 ⅩⅠ-ⅩⅠ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에어백 장치는 차량 충돌 시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폭넓게 이용된다. 에어백 모듈은 차량 내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고, 그 위치는 스티어링 휠, 인스트루먼트 패널, 사이드 도어의 내부 또는 사이드 시트의 내부, 차량의 루프 레일에 인접한 위치, 오버 헤드 위치, 무릎 또는 다리 위치가 포함되며 이에 국한 되지는 않는다.
전방 에어백 장치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스티어링 휠에 설치된다. 설치 중에 에어백은 말려지거나(rolled) 접혀지고(folded), 패키지 상태(packaged)로 커버의 뒤에 보유된다.
이하에서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뒤에 설치된 전방 에어백 장치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이 차량 내에서 완전히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살표 Ⅱ를 따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백 장치(1)는 에어백(100)을 포함한다. 에어백 장치(1)는 인플레이터(11)를 가지는 하우징(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장치(1)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7)의 뒤에 설치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에어백 장치는 스티어링 휠(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백 장치(1)는 차량의 충돌 또는 급속한 감속과 같은 위험 상황을 감지하거나 차량의 정면 충돌 시 차량이 소정 각도로 회전 되는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센서(9)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장치(1)는 차량 센서(9)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인플레이터(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충돌 시 적어도 하나의 차량 센서(9)에 의해 에어백(100)은 인스트루먼트 패널(7) 또는 스티어링 휠로부터 의도된 승객 위치를 향하여 전개될 수 있다.
하우징(5)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후술될 메인 에어백(110)의 전방 패널(111)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5)은 차체 내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에어백(100)을 절첩 상태로 수용한다. 하우징(5)은 인스트루먼트 패널(7)에 장착된다. 또 다르게는 하우징(5)은 스티어링 휠에 장착될 수 있다.
에어백(100)은 비 전개 상태에서 하우징(5) 내에 보유되도록 말려지거나 접혀진다. 하우징(5)은 에어백(100)의 내부 빈 공간과 인플레이터(11)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구성된다.
인플레이터(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인플레이터(11)는 하우징(5)에 장착되지 않고 팽창 가스의 이동 경로는 하우징(5)을 통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인플레이터(11)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9)에 의해 결정된 소정의 차량 상태에 반응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에어백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인플레이터(11)를 가질 수 있다. 팽창 가능한 에어백(100)의 내부 체적에 따라 인플레이터의 수가 조절될 수 있다.
에어백(100)은 메인 에어백(110)과 서브 에어백(130)을 포함한다.
메인 에어백(110)은 조수석(S)과 대략 마주하도록 팽창 전개한다. 서브 에어백(130)은 메인 에어백(110)과 연통하며, 인스트루먼트 패널(7)의 중앙부(7a)와 대략 마주하도록 팽창 전개한다. 인스트루먼트 패널(7)의 중앙부(7a)는 대략 조수석과 운전석의 사이에 위치하는 인스트먼트 패널(7)의 일 부분을 의미한다.
에어백(100)은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 에어백(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에어백(150)은 일단(151)이 서브 에어백(130)과 연통하며, 타단(153)이 차체, 예컨대, 인스트루먼트 패널(7)의 중앙부(7a)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서포트 에어백(150)은 일단(151)이 인스트루먼트 패널(7)의 중앙부(7a)와 접촉되어 서브 에어백(130)의 지지 강도를 향상시킨다.
메인 에어백(110)은 차량의 전단부를 향하는 전방 패널(111), 차량의 후단부를 향하는 후방 패널(112), 제1 측방 패널(113), 제1측방 패널(113)과 마주하는 제2 측방 패널(114), 상방 패널(115), 하방 패널(116) 등을 포함한다. 에어백 전개 상태에서, 상방 패널(115)은 차량의 헤드 라이너에 근접하고, 하방 패널(116)은 차량의 바닥에 근접한다. 다양한 에어백의 패널들은 인플레이터(11)와 연통하는 내부 팽창 공간을 형성한다.
다양한 패널(111 내지 116)들은 모든 적절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패널들은 하나 이상의 단일 직조편(single piece of fabric)으로 이루어 질 수 있고, 별도의 재료편(separate piece of materia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에어백(110)은 원 피스 직조 (one-piece weaving), 절단-재봉(cut-and sew) 또는 이러한 기술의 조합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메인 에어백(110)은 재봉, 접착제, 테이프, 고주파 용접, 열 봉합(heat sealing) 등 다양한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서브 에어백(130)은 메인 에어백(110)의 제2 측방 패널(114)에 연결된다. 서브 에어백(130)은 메인 에어백(110)과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서브 에어백(130)은 메인 에어백(110)의 후방 패널(112)과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서브 에어백(130)의 측방패널(131)은 제2 측방 패널(114)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브 에어백(130)은 메인 에어백(110)의 제2 측방 패널(114)의 후부에 배치되고, 제2 측방 패널(114)의 수직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서브 에어백(130)의 내부 체적을 줄이면서도 인스트루먼트 패널(7)의 중앙부(7a)로 쏠리는 탑승객의 두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서브 에어백(130)의 내부 체적을 줄이는 경우 인플레이터(11)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즉, 인플레이터(11)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서포트 에어백(150)은 서브 에어백(130)의 지지 강도를 보완하도록 구성된다. 서포트 에어백(150)의 일단(151)은 서브 에어백(130)과 연통되고, 서포트 에어백(150)의 타단(153)은 인스트먼트 패널(7)의 중앙부(7a)와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즉, 서포트 에어백(150)은 서브 에어백(130)과 직교된다. 복수개의 서포트 에어백(150)이 서브 에어백(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서포트 에어백(150)은 에어백이 전개된 상태에서 인스트루먼트 패널(7)의 중앙부(7a)와 접촉하여 서브 에어백(130)을 지지한다. 따라서, 차량 충돌 시 차량의 급속한 회전으로 인해 탑승객의 두부가 인스트루먼트 패널(7)의 중앙부로 쏠리는 경우 서브 에어백(130)이 탑승객의 두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도록 한다.
서브 에어백(130) 및 서포트 에어백(150)은 메인 에어백(110)과 유사하게 다양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패널들은 모든 적절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패널들은 하나 이상의 단일 직조편(single piece of fabric)으로 이루어 질 수 있고, 별도의 재료편(separate piece of materia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에어백(110)은 원 피스 직조 (one-piece weaving), 절단-재봉(cut-and sew) 또는 이러한 기술의 조합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음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차량 충돌 시 적어도 하나의 센서(9)는 차량의 충돌 또는 차량의 급속한 감속, 차량의 급속한 회전과 같은 위험 상태를 감지한다. 센서(9)에 응답하여 인플레이터(11)가 동작한다. 동작 시 인플레이터(11)는 급속히 가스를 생성 또는 배출한다. 인플레이터(11)로부터 생성된 가스는 메인 에어백(110)의 내부로 급속히 공급되어 메인 에어백(110)이 팽창한다. 메인 에어백(110)의 내부로 공급된 가스는 서브 에어백(130)의 내부로 흘러 서브 에어백(130)이 팽창한다.
이후 서브 에어백(130)의 내부로 공급된 가스는 서포트 에어백(150)으로 공급되어 서포트 에어백(150)이 팽창한다. 서포트 에어백(150)의 타단(153)은 인스트루먼트 패널(7)의 중앙부(7a)에 접촉되어 서브 에어백(130)을 지지한다. 따라서, 차량 충돌로 인해 차량이 일정 각도로 급속히 회전하는 경우 인스트루먼트 패널(7)의 중앙부(7a)로 쏠린 탑승객의 두부가 서브 에어백(130)에 의해 보호된다.
인플레이터(11)가 메인 에어백(110)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메인 에어백(110)이 서브 에어백(130)보다 먼저 팽창한다. 메인 에어백(110), 서브 에어백(130) 및 서포트 에어백(150)을 포함하는 에어백(100)은 하우징(5)에 절첩 상태로 보유된다. 따라서 인플레이터(11)가 메인 에어백(110)과 연결된 경우 메인 에어백(110)이 어느 정도 팽창된 상태에서 메인 에어백(110) 및 서브 에어백(130)의 연결부(벤트홀 이라 칭함)가 확장되고, 확장된 벤트홀을 통하여 메인 에어백(110)에 공급된 가스가 서브 에어백(130)으로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에어백(130)은 메인 에어백(110)보다 상대적으로 늦게 팽창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이 차량 내에서 완전히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화살표 Ⅸ를 따른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에어백 장치(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에어백 장치(1)에 비하여 메인 에어백(110)과 서브 에어백(230)을 연통시키는 벤트홀(114a)을 개폐하는 개폐 장치(50)를 더 포함한다. 에어백 장치(200)는 상술한 에어백 장치(100)의 메인 에어백(110), 하우징(5), 인플레이터(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의 에어백 장치(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명기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에어백 장치(2)는 하우징(5), 인플레이터(11), 에어백(200) 센서(9), 및 개폐 장치(50) 등을 포함한다.
에어백(200)은 메인 에어백(110)과, 메인 에어백(110)의 제2 측방 패널(114)에 연결된 서브 에어백(230)을 포함한다.
서브 에어백(230)은 메인 에어백(110)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서브 에어백(230)은 메인 에어백(110)의 제2 측방 패널(114)과 연결된 제1 서브 측방 패널(231) 및 제1 서브 측방 패널(231)과 마주하는 제2 서브 측방 패널(232)을 포함한다. 서브 에어백(230)은 서브 전방 패널(233), 서브 후방 패널(234), 서브 상방 패널(235), 및 서브 하방 패널(236)을 더 포함한다.
서브 에어백(230)은 에어백 전개 시 인스트루먼트 패널(7)의 중앙부(7a)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서브 에어백(230)의 서브 전방 패널(233) 및 서브 하방 패널(236) 사이의 코너부(237)가 인스트루먼트 패널(7)의 중앙부(7a)에 접촉된 상태가 도시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서브 에어백(230)의 서브 전방 패널(233)의 일부 또는 전체가 인스트루먼트 패널(7)의 중앙부(7a)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서브 에어백(230)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서포트 에어백에 의하지 않고 서브 에어백(230)이 직접 인스트루먼트 패널(7)의 중앙부(7a)에 지지될 수 있다.
메인 에어백(110)의 제2 측방 패널(114)에는 적어도 하나의 벤트홀(114a)이 형성되고, 벤트홀(114a)은 개폐 장치(50)에 의해 개폐된다. 개폐 장치(50)는 벤트홀(114a)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 부재(51) 및 개폐 부재(51)를 폐쇄하도록 개폐 부재(51)에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 부재(53) 및 인장 부재(53)의 인장력을 해제하는 해제 유닛(55)을 포함한다.
개폐 부재(51)는 메인 에어백(110)의 제2 측방 패널(114)의 벤트홀(114a) 주위에 결합되고 인장 부재(53)의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벤트홀(114a)을 폐쇄하여 메인 에어백(110) 내부로 공급된 가스가 서브 에어백(230)의 내부로 흐르는 것을 차단한다.
인장 부재(53)는 해제 유닛(55)에 연결된 일단(53a) 및 개폐 부재(51)에 연결된 타단(53b)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벤트 스트랩을 포함한다 (이하, “벤트 스트랩”이라 칭함). 해제 유닛(55)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개폐 부재(51)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해제 유닛(55)이 복수의 개폐부재(5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해제 유닛(55)은 차량의 소정의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9)에 응답하여 벤트 스트랩(53)을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벤트 스트랩(53)이 절단된 경우 벤트 스트랩(53)의 인장력이 해제된다. 벤트 스트랩(53) 해제 시, 개폐 부재(51)에 작용된 인장력이 해제되어 개폐부재(51)가 벤트홀(114a)을 개방한다.
개폐부재(51)는 벤트홀(114a)을 개폐하도록 판형, 튜브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9)는 차량의 정면 충돌로 인해 차량이 일정 각도로 급속히 회전된 경우 해제 유닛(55)을 작동시킬 수 있다. 해제 유닛(55)은 센서(9)에 응답하여 벤트 스트랩(53)을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a는 도 3의 에어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3의 개폐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메인 에어백(110)의 전방패널(111)의 외측에 해제 유닛(55)이 구비된다. 해제 유닛(55)은 벤트 스트랩(53)의 타단(53b)이 그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9)가 차량이 위험 상태에 있음을 판단하면, 인플레이터(11)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메인 에어백(110)의 내부로 공급되어 메인 에어백(110)이 팽창한다. 메인 에어백(110)이 완전히 또는 일부 팽창하면, 해제 유닛(55)은 벤트 스트랩(53)을 유지하여 벤트 스트랩(53)에서 인장력(tension force)이 발생한다. 벤트 스트랩(53)의 인장력에 의해 개폐부재(51)는 메인 에어백(110)의 내부에서 당겨져 벤트홀(114a)을 폐쇄한다.
벤트 스트랩(53)의 길이를 조절하여 벤트 스트랩(53)의 인장력 발생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벤트 스트랩(53)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길게 하면, 메인 에어백(110)이 완전히 팽창된 상태에서 벤트 스트랩(53)의 인장력이 발생되며, 벤트 스트랩(53)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하면, 메인 에어백(110)이 완전히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벤트 스트랩(53)의 인장력이 발생될 수 있다.
벤트홀(114a)이 폐쇄된 경우 메인 에어백(110)의 내부에 공급된 가스의 경로가 차단되어 가스는 서브 에어백(230)내로 공급되지 않는다. 벤트홀(114a)이 폐쇄된 경우 벤트홀(114a)은 실질적으로 슬롯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9)가 차량의 정면 충돌로 인해 차량이 회전된 것을 판단하면, 센서(9)에 응답하여 해제 유닛(55)이 작동한다. 해제 유닛(55)의 작동 시 벤트 스트랩(53)은 절단된다. 벤트 스트랩(53) 절단 시, 개폐 부재(51)에 가해진 인장력이 해제된다. 해제된 개폐 부재(51)에 의해 벤트홀(114a)이 개방되고 메인 에어백(110)의 내부에 수용된 가스의 압력에 의해 가스는 벤트홀(114a)을 통하여 서브 에어백(230) 내부로 공급된다. 서브 에어백(230) 내부로 공급된 가스에 의해 서브 에어백(230)이 팽창한다. 팽창된 서브 에어백(230)에 의해 급속한 차량 회전으로 인해 인스트루먼트 패널(7)의 중앙부(7a)로 기울어진 탑승객의 두부가 보호된다.
개폐 부재(51)는 튜브 형태(이하, “벤트 튜브”라 칭함)를 가질 수 있다. 벤트 튜브(51)는 메인 에어백(110)의 제2 측방 패널(114)의 벤트홀(114a) 주위에 결합된 근단부(51a, proximal end) 및 원단부 개구(51b, distal aperture)를 형성하는 원단부(51c, distal end)를 갖는다.
벤트 스트랩(53)의 일단(53a)은 적어도 2가닥을 포함하여 벤트 튜브(51)의 원단부(51c)의 두 개소에 결합될 수 있다.
벤트 튜브(51)는 벤트홀(114a)을 통과하는 가스압에 의하여 원단부(51c)가 메인 에어백(110)의 외부, 즉 서브 에어백(230)의 내부로 돌출되고 원단부 개구(51b)가 개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에어백 장치(2)에 의하면, 차량 충돌 시 메인 에어백(110)이 먼저 팽창되고, 메인 에어백(110)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팽창된 상태에서 벤트홀(114a)이 폐쇄된 상태를 이룬다.
메인 에어백(110)은 차량 충돌 시 조수석측 인스트루먼트 패널(7), 윈드 실드 및 탑승객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 먼저 팽창되어 차량의 전단을 향하여 튕겨져 나가는 탑승객을 1차적으로 보호한다.
이후, 센서(9)가 차량이 회전된 상태를 판단하면, 해제 유닛(55)이 동작되어 벤트 스트랩(53)을 절단하여 개폐 부재(51)가 개방된다. 개폐 부재(51) 개방 시 메인 에어백(110) 내부에 채워진 가스가 서브 에어백(230)으로 흘러 서브 에어백(230)이 팽창한다. 서브 에어백(230)이 완전히 팽창되면, 메인 에어백(110)은 상대적으로 오므라든다. 서브 에어백(230)은 차량 정면 충돌 시 차량의 전방을 향하면서 급속하게 인스트루먼 패널(7)의 중앙부(7a)로 쏠리는 탑승객의 두부를 보호한다. 위의 설명에서 개폐부재(51)는 튜브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개폐부재(51)는 그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도 5c는 개폐부재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d는 도 5c의 스트랩 고정 패널의 일부가 구부러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면, 벤트홀(114b)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61, 이하 “벤트 패널”이라 칭함)가 판형으로 구성된다.
벤트 패널(61)은 메인 에어백(110)의 제2 측방패널(114)의 벤트홀(114b)의 주위에 일측단이 연결된다. 벤트 패널(61)은 벤트 스트랩(53)에 연결되어 메인 에어백(110)의 팽창 시 벤트 스트랩(53)에 의해 구속되어 벤트홀(114b)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벤트 패널(61)의 양측에는 벤트홀(114b)의 주위를 에워싸는 홀보강편(61a)이 연장된다.
홀보강편(61a)은 대략 반원형의 재봉 라인(S1)을 통해 메인 에어백(110)의 제2 측방 패널(114)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제2 측방 패널(114)의 재질의 취약함을 보강하여 벤트홀(114b) 주위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벤트 스트랩(53)은 스트랩 고정 패널(62)에 의해 구속된다. 스트랩 고정 패널(62)은 벤트 패널(61)에 연결된 벤트 스트랩(53)이 관통하도록 그 양측이 제2 측방 패널(114)에 결합된다.
스트랩 고정 패널(62) 및 벤트 패널(61)에는 정렬홀(62d, 61d)이 형성되어 스트랩 고정 패널(62)이 벤트 패널(61)과 용이하게 정렬 가능토록 한다.
벤트 패널(61)은 사각 패널부(61b)와, 사각 패널부(61b)로부터 연장된 사다리꼴 패널부(61c)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벤트 패널(61)이 폐쇄된 상태에서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스트랩 고정 패널(62)은 벤트 패널(61)의 사각 패널부(61b)와 대응하도록 사각 형상을 갖는다.
제2 측방 패널(114)은 벤트홀(114b)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대략 벤트 패널(61)의 사각 패널부(61b)와 대응하는 제1 벤트 커버부(114c)와 대략 벤트 패널(61)의 사다리꼴 패널부(61c)와 대응하는 제2 벤트 커버부(114d)를 포함한다.
스트랩 고정 패널(62)은 재봉라인(S2)에 의하여 제2 벤트 커버부(114d)에 결합된다. 여기서, 벤트 패널(61)의 사다리꼴 패널부(61c)는 재봉라인(S2)에 의해 스트랩 고정 패널 (62) 및 제2 벤트 커버부(114d)와 결합되지 않고, 단순히 스트랩 고정 패널(62) 및 제1 벤트 커버부(114d)의 사이에 개재된다.
벤트 패널(61)의 사각 패널부(61c)는 대략 역 “U”자형의 재봉라인(S3)에 의하여 제1 벤트 커버부(114c)에 결합된다.
벤트홀(114b)은 장공 형상을 가지고, 벤트 패널(61)은 벤트홀(114b)의 일부를 막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승객이 메인 에어백(110)에 충돌할 때 메인 에어백(110) 내부의 압력을 낮추어 메인 에어백(110)에 의한 승객의 상해를 방지하고 완충작용을 하도록 한다.
한편, 센서(9)가 차량이 회전한 상태를 판단하면 센서(9)에 응답하여 해제 유닛(55)이 작동된다. 해제 유닛(55) 작동되고 벤트 스트랩(53)이 절단되면, 벤트 패널(61)은 메인 에어백(110)의 내부에 채워진 가스에 의해 가압되어 서브 에어백(230)의 내부로 밀리면서 벤트홀(114b)을 완전히 개방한다. 따라서, 벤트홀(114b)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양이 증대되어 서브 에어백(230)이 신속히 팽창되도록 한다.
도 6a는 도 3의 해제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블레이드를 통해 벤트 스트랩이 절단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해제 유닛(55)은 스트랩 커터를 포함한다. 스트랩 커터는 몸체(55a), 개구(55b), 블레이드 에지(55c)를 갖는 블레이드(55d), 액튜에이터(55e )를 포함한다.
벤트 스트랩(53)은 개구(55b)를 관통한다. 벤트 스트랩(53)은 센서(9)에 반응하여 액튜에이터(55e)가 동작하는 경우 절단된다. 블레이드(55d)는 액튜에이터(55e) 동작 시 몸체(55a)내에서 슬라이딩되어 벤트 스트랩(53)을 절단하여 벤트 스트랩(53)을 해제한다.
액튜에이터(55e)는 부품, 예를 들면, 센서, 자동차 컴퓨터, 또는 전기 릴레이 장치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선(55f) 및 제2 전선(55g)을 포함한다.
액튜에이터(55e)는 불꽃 방식의 폭약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르게, 액튜에이터(55e)는 블레이드(55d)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른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에어백 장치(3)는 위에서 언급한 에어백 장치(2)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한 방향 밸브 부재(7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술한 에어백 장치들 (1 및 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명기하며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한 방향 밸브 부재(70)에 주안점을 두고 설명한다.
에어백 장치(3)는 하우징(5), 인플레이터(11), 에어백(200) 센서(9), 및 개폐 장치(50) 등을 포함한다. 에어백 장치(3)는 한 방향 밸브 부재(70)를 더 포함한다.
한 방향 밸브 부재(70)는 측방 패널(114)에 형성된 벤트홀(114a)을 커버한다. 한 방향 밸브 부재(70)는 메인 에어백(110)으로부터 서브 에어백(230)으로의 가스 흐름을 허용하고, 서브 에어백(230)으로부터 메인 에어백(110)으로의 가스 흐름을 차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한 방향 밸브 부재가 구부러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선 Ⅸ-Ⅸ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3)는 메인 에어백(110)의 측방 패널(114)의 벤트홀(114a) 주위에 구비된 한 방향 밸브 부재 (70, one-way valve)를 포함한다.
한 방향 밸브 부재(70)는 메인 에어백(110)의 내부로 공급된 가스가 서브 에어백(230)의 내부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고, 서브 에어백(230)이 완전히 팽창된 상태에서 벤트홀(114a)을 폐쇄하여 서브 에어백(230) 내부에 채워진 가스가 메인 에어백(110)의 내부로 흐르는 것을 차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 방향 밸브 부재(70)는 메인 에어백(110)의 측방 패널(114)의 외측에 결합되고 벤트홀(114a)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에어백(110)이 조수석측에서 전개되도록 배치될 경우 측방패널(114)은 도 1,2에 도시된 제2 측방 패널(114)에 대응된다. 벤트홀(114a)에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폐장치(50)가 채용될 수 있다. 즉 벤트홀(114a)에는 다양한 형태의 개폐부재, 예컨대 벤트 튜브(51) 또는 벤트 패널(61)이 구비될 수 있다.
한 방향 밸브 부재(70)는 유연성을 갖는 판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이하 “판형 부재”라 칭함). 판형 부재(70)는 벤트홀(114a)보다 큰 사이즈를 갖도록 구성되고, 벤트홀(114a) 둘레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연결부(71)를 통해 메인 에어백(110)의 측방 패널(114)에 결합된다.
판형 부재(70)는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연결부(71)는 판형 부재(70)의 모서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71)는 재봉, 접착제, 테이프, 고주파 용접, 열 봉합(heat sealing) 등 다양한 기술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벤트홀(114a)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벤트홀(114a)은 대략 슬롯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판형 부재(70)는 유연한 재질을 포함하여 판형 부재(70)는 서브 챔버(230)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판형 부재(70)가 돌출된 경우 연결부(71)의 사이에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즉, 개폐 장치(50)가 동작되어 벤트홀(114a)이 개방된 경우, 메인 에어백(110)에 채워진 가스의 압력에 의해 가스는 벤트홀(114a)을 통과하고, 화살표 A방향을 따라 판형 부재(70) 및 메인 에어백(110)의 측방 패널(114) 사이를 통과하여 서브 에어백(230)의 내부로 공급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한 방향 밸브 부재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선 ⅩⅠ-ⅩⅠ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7,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벤트홀(114a)을 통하여 메인 에어백(110) 내부로부터 가스가 공급된다. 서브 에어백(230)이 완전히 팽창된 경우 판형 부재(70)는 완전히 펼쳐져 판형 부재(70)는 메인 에어백(110)의 측방 패널(114)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서브 에어백(230)의 가스 내압은 화살표 B방향으로 작용하여 판형 부재(70)는 측방 패널(114)에 대하여 가압한다. 따라서, 벤트홀(114a)은 판형 부재(70)에 의해 차단되어 서브 에어백(230)에 채워진 가스가 메인 에어백(110) 내부로 흐르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 장치(3)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에어백의 팽창 원리는 에어백 장치(1 및 2)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한 방향 밸브(7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차량 충돌 시, 적어도 하나의 센서(9)에 응답하여 인플레이터(11)가 동작하여 가스가 생성된다. 생성된 가스는 메인 에어백(110)의 내부로 공급되어 메인 에어백(110)이 팽창한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9)가 차량이 회전된 것으로 판단하면, 센서(9)에 응답하여 개폐장치(50)가 동작하고 벤트홀(114a)이 개방된다. 벤트홀(114a) 개방 시 메인 에어백(110) 내로 공급된 가스는 벤트홀(114a)을 관통하고, 화살표 A를 따라 메인 에어백(110)의 제2 측방 패널(114) 및 판형 부재(70)의 사이의 유로를 통과하여 서브 에어백(230)의 내부로 공급된다.
메인 에어백(110)이 완전히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판형 부재(70)가 서브 에어백(230)의 내부로 돌출되어 메인 에어백(110)의 제2측방 패널(114) 및 판형 부재(70)의 사이의 유로가 크게 형성되어 가스가 유로를 원활하게 통과한다.
한편, 메인 에어백(110)이 완전히 팽창되어 판형 부재(70)가 메인 에어백(110)의 제2측방 패널(114)에 밀착되더라도 메인 에어백(110) 내부의 가스압력에 의하여 판형 부재(70)를 서브 에어백(230)의 내부를 향하여 가압되어 판형 부재(70) 및 제2 측방 패널(114)의 사이에 유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 에어백(110)내의 가스는 메인 에어백(110)이 완전히 팽창되더라도 원활하게 서브 에어백(230)의 내부로 공급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서브 에어백(230)의 내부로 공급된 가스는 판형 부재(70)를 제2 측방 패널(114)에 대하여 가압한다. 따라서, 서브 에어백(230)이 완전히 팽창된 경우 판형 부재(70)는 서브 에어백(230)내에 공급된 가스압에 의해 제2측방 패널(114)에 밀착된다.
그 결과, 제2 측방 패널(114) 및 판형 부재(70) 사이의 유로 및 벤트홀(114a)이 판형 부재(70)에 의하여 폐쇄되어 서브 에어백(230)으로부터 메인 에어백(110)으로의 가스 흐름이 차단된다. 따라서, 서브 에어백(230)은 팽창력을 유지하여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7)의 중앙부(7a)로 쏠리는 승객의 두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 서브 에어백(130, 230, 도 2 및 도 4참조)이 메인 에어백(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7)의 중앙부(7a)를 커버하도록 된 에어백(100,200)이 기술되었다. 그러나 에어백은 그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메인 에어백(100)의 양측에 구비된 서브 에어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서브 에어백은 메인 에어백의 차량의 사이드 도어와 마주하는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에어백(300)은 상술한 에어백(100,200)과 비교하여, 사이드 서브 에어백(330)을 더 포함하며, 다른 구성요소는 위의 에어백(100,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에어백(100,200)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명기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사이드 서브 에어백(330)은 메인 에어백(110)의 제1 측방 패널(113)에 연결된다. 제1 측방 패널(113)은 차량의 사이드 도어(D)와 마주한다. 사이드 서브 에어백(330)은 차량의 메인 에어백(110)의 제1 측방패널(113) 및 사이드 도어(D)의 사이에서 전개되어 메인 에어백(110) 및 사이드 도어(D)의 사이로 쏠리는 승객의 두부를 보호한다.
사이드 서브 에어백(330)은 서브 에어백(130,230)과 유사하게 인스트루먼트 패널(7)의 측부에 일단이 지지되는 서포트 에어백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2,3: 에어백 장치 7: 인스트루먼트 패널
7a: 인스트루먼트패널 중앙부 100,200,300: 에어백
110: 메인 에어백 114: 측방(제2 측방)패널
114a, 114b: 벤트홀 130,230: 서브 에어백
150: 서포트 에어백 50: 개폐 장치
51: 개폐부재(벤트 튜브) 53: 인장 부재(벤트 스트랩)
61: 개폐 부재(벤트 패널) 62: 스트랩 고정 패널
55: 해제 유닛 70: 한 방향 밸브 부재(판형부재)
71: 연결부

Claims (9)

  1. 차량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후단부를 향하여 팽창하도록 구성된 메인 에어백;
    상기 메인 에어백의 적어도 일 측면에 연통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에어백; 및
    상기 서브 에어백과 연통되며 차체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 에어백을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에어백은 상기 메인 에어백의 측방 패널의 후부에 연통되고 상기 측방 패널의 수직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 에어백은 상기 서브 에어백과 연통되는 일단과 상기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접촉하는 타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에어백은 상기 메인 에어백의 측방 패널에 구비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중앙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에어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에어백의 측방 패널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벤트홀;
    상기 메인 에어백의 내부에서 특정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부재에 의해 상기 벤트홀을 폐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폐부재; 및
    상기 인장부재의 인장력을 해제하여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벤트홀을 개방하도록 구성된 해제 유닛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메인 에어백의 상기 측방 패널의 상기 벤트홀 주위에 일단이 결합된 벤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인장 부재는 상기 해제 유닛에 연결된 일단 및 상기 벤트 패널에 연결된 타단을 갖는 벤트 스트랩을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충돌 시 상기 차량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제 유닛은 상기 센서에 응답하여 상기 벤트 스트랩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용 에어백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패널은 상기 벤트홀의 일부를 막도록 구성된 차량용 에어백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을 통해 가스가 상기 메인 에어백으로부터 상기 서브 에어백 내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벤트홀을 개방하고, 상기 서브 에어백이 팽창되면 상기 벤트홀을 막아 상기 서브 에어백 내의 가스가 상기 메인 에어백 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한 방향 밸브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방향 밸브 부재는 상기 벤트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메인 에어백의 상기 측방 패널에 결합된 유연성을 갖는 판형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20140052471A 2014-04-30 2014-04-30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1684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471A KR101684988B1 (ko) 2014-04-30 2014-04-30 차량용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471A KR101684988B1 (ko) 2014-04-30 2014-04-30 차량용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317A true KR20150125317A (ko) 2015-11-09
KR101684988B1 KR101684988B1 (ko) 2016-12-09

Family

ID=5460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471A KR101684988B1 (ko) 2014-04-30 2014-04-30 차량용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9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7963A (ko) * 2015-12-08 2017-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장치
WO2017222223A1 (ko) * 2016-06-21 2017-12-2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WO2018084479A1 (ko) * 2016-11-03 2018-05-1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20180066409A (ko) * 2016-12-09 2018-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9749A (ja) * 2004-05-18 2005-12-02 Toyoda Gosei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ッグ
KR20100089666A (ko) * 2009-02-04 2010-08-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120010716A (ko) * 2010-07-27 2012-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듀얼챔버 에어백의 가스압 조절시스템
US20130292928A1 (en) 2011-01-14 2013-11-07 Takata Corporation Airbag and airbag device
US20140028006A1 (en) 2012-07-27 2014-01-30 Chrysler Group Llc Variable volume airba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9749A (ja) * 2004-05-18 2005-12-02 Toyoda Gosei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ッグ
KR20100089666A (ko) * 2009-02-04 2010-08-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120010716A (ko) * 2010-07-27 2012-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듀얼챔버 에어백의 가스압 조절시스템
US20130292928A1 (en) 2011-01-14 2013-11-07 Takata Corporation Airbag and airbag device
US20140028006A1 (en) 2012-07-27 2014-01-30 Chrysler Group Llc Variable volume airba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7963A (ko) * 2015-12-08 2017-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장치
WO2017222223A1 (ko) * 2016-06-21 2017-12-2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WO2018084479A1 (ko) * 2016-11-03 2018-05-1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20180049623A (ko) * 2016-11-03 2018-05-1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20180066409A (ko) * 2016-12-09 2018-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988B1 (ko) 2016-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4255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車両の乗客を衝突から保護するための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を製造する方法及び車両の乗客を衝突から保護する方法
EP3134297B1 (en) Multi-chamber airbag with unidirectional vent
JP4980056B2 (ja) エアバッグシステム用のガス流方向変更装置およびガス流方向変更方法
JP4805914B2 (ja) 重なり合うチャンバを備えた膨張可能なエアバッグ
US10730472B2 (en) Airbag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occupant of a vehicle
CN111819113A (zh) 安装在车顶上的乘员约束系统
JP6294952B2 (ja) Icのための二重折りにして巻かれたクッション
JP2015143086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6509977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ためのトップテザー
US7213837B2 (en) Airbag module
CN109383440B (zh) 车辆用帘式气囊装置
JP2016008023A (ja) エアバッグ
US8888128B1 (en) Airbag for vehicle
WO2013090111A1 (en) Active airbag venting system
KR101684988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US7618059B2 (en) Tether venting system for airbag module
KR20150078934A (ko) 차량의 에어백
KR20160020880A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
KR102263721B1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JP2017065483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915380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2008195190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7083909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6151139A (ja) 乗員保護装置
KR101627120B1 (ko) 차량용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