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907B1 - 차량용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1907B1 KR102181907B1 KR1020140097357A KR20140097357A KR102181907B1 KR 102181907 B1 KR102181907 B1 KR 102181907B1 KR 1020140097357 A KR1020140097357 A KR 1020140097357A KR 20140097357 A KR20140097357 A KR 20140097357A KR 102181907 B1 KR102181907 B1 KR 1021819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shion
- opening
- closing
- coupled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0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the individual compartments defin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ba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60R2021/239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comprising means to control the ven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021/2612—Gas guiding means, e.g.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플레이터부와, 인플레이터부에서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되어 탑승객을 보호하는 쿠션부와, 쿠션부에 형성되고 가스가 배출되는 가변홀부와, 쿠션부에 장착되고 쿠션부의 전개 여부에 따라 가변홀부를 개폐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쿠션부의 전개 상태에 따라 쿠션부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여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비용으로 탑승객의 위치에 따라 가스 배출량을 조절하여 탑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충돌 사고 발생시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착좌된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차량용 에어백 장치는 크게 탑승자를 보호하는 쿠션과, 쿠션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며, 기존에는 쿠션의 저압 및 고압 전개가 가능하도록 듀얼 인플레이터가 사용된다.
종래 듀얼 인플레이터는 이중 화약실 구조이므로, 단일 인플레이터 대비 무겁고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탑승객 착좌 확인을 위해 센서와 같은 별도의 감지수단이 필요하여 부품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13361호(2014.02.05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의 에어백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저비용으로 탑승객의 위치에 따른 가스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는: 인플레이터부; 상기 인플레이터부에서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되어 탑승객을 보호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에 형성되고, 가스가 배출되는 가변홀부; 상기 쿠션부에 장착되고, 상기 쿠션부의 전개 여부에 따라 상기 가변홀부를 개폐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쿠션부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가변홀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개폐부; 상기 쿠션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유도부; 및 상기 쿠션부의 내측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유도부를 관통하여 상기 개폐부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쿠션부의 외측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에 타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가변홀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센터개폐부; 및 상기 중앙개폐부의 양측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쿠션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사이드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부는: 상기 쿠션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를 안내하는 연결유도부; 및 상기 연결유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쿠션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단부로 갈수록 확장된 형상을 하여 상기 개폐부가 삽입되는 개폐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는 상기 쿠션부의 중앙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변홀부는 상기 쿠션부의 중앙부를 제외한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쿠션부는: 상기 인플레이터부에서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되는 주쿠션부; 및 상기 주쿠션부의 중앙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주쿠션부와 연통되는 보조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는 상기 보조쿠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는 쿠션부의 전개 상황에 따라 조절부가 가변홀부를 개폐하여, 비정상 착좌 탑승객을 위한 저압 전개와 정상 착좌 탑승객을 위한 고압 전개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쿠션부의 초기 전개시 가변홀부가 개방되어 비정상 착좌 탑승객을 보호하고, 비정상 착좌 탑승객이 쿠션부에 충돌되는 경우 쿠션부의 전개가 지연되어 저압 전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주쿠션부와 연통되는 보조쿠션부가 주쿠션부에서 돌출됨으로써, 보조쿠션부에 연결된 연결부의 이동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듀얼 인플레이터와 상응하는 기능을 가지면서 경량화와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연결유도부에 개폐부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므로, 추후 연결부의 장력이 약화되더라도 개폐부는 연결유도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가변홀부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저압 상태의 쿠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고압 상태의 쿠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가 저압 상태일 때의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가 저압 상태일 때의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가 고압 상태일 때의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가 고압 상태일 때의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연결부와 가변홀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보조쿠션부를 포함하는 쿠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고압 상태의 쿠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가 저압 상태일 때의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가 저압 상태일 때의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가 고압 상태일 때의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가 고압 상태일 때의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연결부와 가변홀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보조쿠션부를 포함하는 쿠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저압 상태의 쿠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고압 상태의 쿠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1)는 인플레이터부(10)와, 쿠션부(20)와, 가변홀부(30)와, 조절부(40)를 포함한다. 가변홀부(30)는 쿠션부(20)에 형성되고, 조절부(40)는 쿠션부(20)에 장착되며, 쿠션부(20)는 인플레이터부(10)와 함께 에어백하우징(50)에 내장된다. 이러한 차량용 에어백 장치(1)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
인플레이터부(10)는 에어백하우징(50)에 장착되고, 차량의 충돌 발생시 충돌신호를 수신하여 가스를 분출한다. 쿠션부(20)는 인플레이터부(10)에서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되어 탑승객을 보호한다. 일 예로, 에어백하우징(50)에 포개어져 보관되고, 인플레이터부(10)의 가스 공급에 의해 부풀어 오를 수 있다.
가변홀부(30)는 쿠션부(20)에 형성되고, 가변홀부(30)를 통해 가스가 배출된다. 그 외, 쿠션부(20)에는 전개 완료된 가스의 과도한 압력 상승을 막기 위한 별도의 배출구(60)가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40)는 쿠션부(20)에 장착되고, 쿠션부(20)의 전개 여부에 따라 가변홀부(30)를 개폐한다. 즉, 쿠션부(20)의 전개 초기에는 조절부(40)가 가변홀부(30)를 개방하여 쿠션부(20)의 저압을 유도한다. 이로 인해 비정상 착좌 상태인 탑승객이 쿠션부(20)와 접촉시 탑승객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쿠션부(20)의 전개 중반 이후에는 조절부(40)가 가변홀부(30)를 폐쇄하여 쿠션부(20)의 고압을 유도한다. 이로 인해 쿠션부(20)의 신속한 팽창이 가능하여 정상 착좌 상태인 탑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가 저압 상태일 때의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가 저압 상태일 때의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가 고압 상태일 때의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가 고압 상태일 때의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40)는 개폐부(41)와, 유도부(42)와, 연결부(43)를 포함한다.
개폐부(41)는 쿠션부(20)의 외측에 결합되고, 가변홀부(3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개폐부(41)는 센터개폐부(411)와 사이드개폐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개폐부(411)는 쿠션부(20)의 외측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연결부(43)에 타단부가 결합된다. 센터개폐부(411)는 가변홀부(3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터개폐부(411)는 가변홀부(30)와 이격된 상태에서 가변홀부(30)를 커버할 수 있다. 일 예로, 센터개폐부(411)는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하단부가 쿠션부(20)의 외측에 제봉되며, 상단부가 연결부(43)에 제봉되어 가변홀부(3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개폐부(412)는 센터개폐부(411)의 양측단부에서 연장되고, 쿠션부(20)의 외측에 결합된다. 일 예로, 사이드개폐부(412)는 센터개폐부(411)의 양측단부에서 연장되는 삼각형 형상을 하고, 센터개폐부(411)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사이드개폐부(412)의 저면이 쿠션부(20)의 외측에 제봉될 수 있다.
유도부(42)는 쿠션부(20)의 내측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도부(42)는 연결유도부(421)와 개폐유도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유도부(421)는 쿠션부(20)의 내측에 결합되고 연결부(43)를 안내한다. 일 예로, 연결유도부(421)의 양측단부가 쿠션부(20)의 내측에 제봉되고, 연결부(43)는 연결유도부(421)와 쿠션부(20)의 내측 사이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개폐유도부(422)는 연결유도부(421)에서 연장되어 쿠션부(20)의 내측에 결합된다. 개폐유도부(422)는 단부로 갈수록 확장된 형상을 하여 개폐부(41)가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개폐유도부(422)는 양측단부가 쿠션부(20)의 내측면에 제봉되고, 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형상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쿠션부(20) 전개시 연결부(43)의 장력에 의해 개폐부(41)가 개폐유도부(422)로 삽입된 후 연결유도부(421)에 삽입된다. 이때, 개폐유도부(422) 보다 연결유도부(421)의 폭이 좁으므로, 연결유도부(421)에 삽입된 개폐부(41)가 연결유도부(421)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연결유도부(421)에 개폐부(41)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므로, 추후 연결부(43)의 장력이 약화되더라도 개폐부(41)는 연결유도부(42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가변홀부(30)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연결부와 가변홀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43)는 쿠션부(20)의 내측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유도부(42)와 쿠션부(20)의 내측 사이를 통과하여 개폐부(41)에 타단부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43)의 일단부는 쿠션부(20)의 중앙 상부에 결합되고, 가변홀부(30)는 쿠션부(20)의 중앙부를 제외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차량 충돌시 비정상 착좌 상태의 탑승객이 쿠션부(20)의 중앙 상부에 접촉된다. 이때, 쿠션부(20)의 중앙 상부에 연결부(43)의 일단부가 결합되면, 쿠션부(20)의 초기 전개과정에서 비정상 착좌 상태의 탑승객에 의해 쿠션부(20)의 중앙 상부 전개가 지연되어 쿠션부(20)의 저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가변홀부(30)는 탑승객이 통상적으로 접촉되는 쿠션부(20)의 중앙부를 제외한 지점에 형성되어, 탑승객과의 접촉에 의한 가변홀부(30)의 의도되지 않은 개폐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쿠션부(20)는 탑승자와 접촉되는 전면쿠션(211)과, 전면쿠션(211)의 단부와 제봉되는 후면쿠션(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면쿠션(212)은 에어백하우징(50)에 장착될 수 있다. 연결부(43)는 전면쿠션(211)과 후면쿠션(212)의 제봉지점과 동시에 제봉될 수 있다. 가변홀부(30)는 후면쿠션(212)에 형성되어 가스 배출시 탑승자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탑승자의 머리에 의한 간섭을 배제하도록 가변홀부(30)는 후면쿠션(212)의 10시 또는 2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탑승자의 비정상 착좌시 탑승자의 머리 부분이 쿠션부(20)의 상부에 먼저 부딪힐 수 있다. 비정상 착좌 탑승자의 머리가 쿠션부(20)의 상부를 눌러줄 때 연결부(43)의 장력이 제한되어 가변홀부(30)가 개방된 저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부(43)는 전면쿠션(211)의 상부와 후면쿠션(212)의 상부 제봉지점에 제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보조쿠션부를 포함하는 쿠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20)는 주쿠션부(21)와 보조쿠션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주쿠션부(21)는 인플레이터부(10)에 결합되고, 인플레이터부(10)에서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된다. 보조쿠션부(22)는 주쿠션부(21)의 중앙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주쿠션부(21)와 연통된다. 이때, 연결부(43)의 일단부는 보조쿠션부(22)에 결합된다. 보조쿠션부(22)에 연결부(43)가 결합되면, 쿠션부(20) 전개시 연결부(43)의 이동거리가 길어져 연결부(43)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개폐부(41)의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주쿠션부(21)는 탑승자와 접촉되는 전면쿠션(211)과, 전면쿠션(211)의 단부와 제봉되는 후면쿠션(2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쿠션부(22)는 전면쿠션(211)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보조전면쿠션(221)과, 후면쿠션(212)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보조후면쿠션(22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43)는 보조전면쿠션(221) 그리고 보조후면쿠션(222)과 함께 제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포개어진 쿠션부(20)의 내측에는 연결부(43)의 일단부와 유도부(42)의 양측단부가 결합되고, 쿠션부(20)의 외측에는 개폐부(41)가 결합되어 가변홀부(30)를 감싼다. 이때, 연결부(43)는 유도부(42)의 연결유도부(421)와 개폐유도부(422)를 통과하고, 가변홀부(30)를 관통하여 개폐부(41)에 결합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인플레이터부(10)의 가스가 쿠션부(20)에 공급되어 쿠션부(20)의 전개가 시작된다.
쿠션부(20)의 초기 전개시에는 개폐부(41)가 가변홀부(30)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되므로, 가스가 가변홀부(30)로 배출되어 쿠션부(20)의 저압 전개를 유도한다(도 1, 도 4 및 도 5 참조). 이로 인해, 비정상 착좌 탑승객이 쿠션부(20)와 접촉되더라도 쿠션부(20)에 의한 보호가 가능하다.
쿠션부(20)가 지속적으로 전개되면, 쿠션부(20)의 내측에 결합되는 연결부(43)가 이동된다. 연결부(43)가 이동되면, 이와 결합된 개폐부(41)가 연결부(43)를 따라 이동되어 가변홀부(30)를 폐쇄한다(도 2, 도 6 및 도 7 참조). 즉, 연결부(43)를 따라 이동되는 개폐부(41)는 개폐유도부(422)와 연결유도부(421)에 삽입되면서 가변홀부(30)로의 가스 배출을 차단하여 쿠션부(20)의 고압 전개를 유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상 착좌 탑승객을 향하여 쿠션부(20)가 신속하게 전개된다.
한편, 주쿠션부(21)의 중앙 상부에 보조쿠션부(22)가 돌출 형성되고, 연결부(43)가 보조쿠션부(22)에 결합되면, 쿠션부(20)의 전개시 연결부(43)의 이동거리를 확보하여 개폐부(41)의 안정적인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도 9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1)는 쿠션부(20)의 전개 상황에 따라 조절부(40)가 가변홀부(30)를 개폐하여, 비정상 착좌 탑승객을 위한 저압 전개와 정상 착좌 탑승객을 위한 고압 전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1)는 쿠션부(20)의 초기 전개시 가변홀부(30)가 개방되어 비정상 착좌 탑승객을 보호하고, 비정상 착좌 탑승객이 쿠션부(20)에 충돌되는 경우 쿠션부의 전개가 지연되어 저압 전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1)는 주쿠션부(21)와 연통되는 보조쿠션부(22)가 주쿠션부(21)에서 돌출됨으로써, 보조쿠션부(22)에 연결된 연결부(43)의 이동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1)는 듀얼 인플레이터와 상응하는 기능을 가지면서 경량화와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1)는 연결유도부(421)에 개폐부(41)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므로, 추후 연결부(43)의 장력이 약화되더라도 개폐부(41)는 연결유도부(42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가변홀부(30)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인플레이터부 20 : 쿠션부
21 : 주쿠션부 22 : 보조쿠션부
30 : 가변홀부 40 : 조절부
41: 개폐부 42 : 유도부
43 : 연결부 50 : 에어백하우징
60 : 배출구 411 : 센터개폐부
412 : 사이드개폐부 421 : 연결유도부
422 : 개폐유도부
21 : 주쿠션부 22 : 보조쿠션부
30 : 가변홀부 40 : 조절부
41: 개폐부 42 : 유도부
43 : 연결부 50 : 에어백하우징
60 : 배출구 411 : 센터개폐부
412 : 사이드개폐부 421 : 연결유도부
422 : 개폐유도부
Claims (6)
- 인플레이터부;
상기 인플레이터부에서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되어 탑승객을 보호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에 형성되고, 가스가 배출되는 가변홀부;
상기 쿠션부에 장착되고, 상기 쿠션부의 전개 여부에 따라 상기 가변홀부를 개폐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쿠션부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가변홀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개폐부;
상기 가변홀부와 겹쳐지지 않도록 상기 쿠션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유도부; 및
상기 쿠션부의 내측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유도부를 관통하여 상기 개폐부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부는
상기 쿠션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를 안내하는 연결유도부; 및
상기 연결유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쿠션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단부로 갈수록 확장된 형상을 하여 상기 개폐부가 삽입되는 개폐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 인플레이터부;
상기 인플레이터부에서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되어 탑승객을 보호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에 형성되고, 가스가 배출되는 가변홀부;
상기 쿠션부에 장착되고, 상기 쿠션부의 전개 여부에 따라 상기 가변홀부를 개폐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쿠션부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가변홀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개폐부;
상기 쿠션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유도부; 및
상기 쿠션부의 내측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유도부를 관통하여 상기 개폐부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는 상기 쿠션부의 중앙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변홀부는 상기 쿠션부의 중앙부를 제외한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쿠션부의 외측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에 타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가변홀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센터개폐부; 및
상기 센터개폐부의 양측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쿠션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사이드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 삭제
- 삭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인플레이터부에서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되는 주쿠션부; 및
상기 주쿠션부의 중앙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주쿠션부와 연통되는 보조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는 상기 보조쿠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7357A KR102181907B1 (ko) | 2014-07-30 | 2014-07-30 | 차량용 에어백 장치 |
US14/750,712 US9573556B2 (en) | 2014-07-30 | 2015-06-25 | Airbag system for vehicle |
DE202015103373.7U DE202015103373U1 (de) | 2014-07-30 | 2015-06-26 | Airbagsystem für ein Fahrzeug |
CN201520537653.3U CN204870887U (zh) | 2014-07-30 | 2015-07-23 | 车辆用气囊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7357A KR102181907B1 (ko) | 2014-07-30 | 2014-07-30 | 차량용 에어백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5008A KR20160015008A (ko) | 2016-02-12 |
KR102181907B1 true KR102181907B1 (ko) | 2020-11-23 |
Family
ID=53884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7357A KR102181907B1 (ko) | 2014-07-30 | 2014-07-30 | 차량용 에어백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573556B2 (ko) |
KR (1) | KR102181907B1 (ko) |
CN (1) | CN204870887U (ko) |
DE (1) | DE202015103373U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523220B1 (en) | 2012-03-19 | 2013-09-03 | Amsafe, Inc. | Structure mounted airbag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
KR101620174B1 (ko) * | 2014-07-11 | 2016-05-24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에어백 장치 |
KR102195362B1 (ko) * | 2014-08-14 | 2020-12-2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의 에어백 |
US9714000B1 (en) * | 2014-08-29 | 2017-07-25 | Tk Holdings Inc. | Active vent actuation system |
US9944245B2 (en) | 2015-03-28 | 2018-04-17 | Amsafe, Inc. | Extending pass-through airbag occupant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
EP3283336B1 (en) | 2015-04-11 | 2019-11-20 | AmSafe, Inc. | Active airbag vent system |
US9725065B2 (en) | 2015-04-24 | 2017-08-08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Vehicle airbag with active vent |
US10604259B2 (en) | 2016-01-20 | 2020-03-31 | Amsafe, Inc. | Occupant restraint systems having extending restrai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
JP6402136B2 (ja) * | 2016-05-17 | 2018-10-10 |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
JP6792523B2 (ja) * | 2017-07-10 | 2020-11-2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エアバッグ装置 |
JP7246824B2 (ja) * | 2018-11-13 | 2023-03-28 | 芦森工業株式会社 | エアバッグ装置 |
WO2021002433A1 (ja) * | 2019-07-04 | 2021-01-07 |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
DE102020004920A1 (de) * | 2020-08-13 | 2020-10-08 | Daimler Ag | Seitenairbag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eitenairbagvorrichtung |
CN115402254A (zh) * | 2021-05-28 | 2022-11-29 | 宁波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 一种囊袋的展开调节机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37060A (ja) * | 2001-11-07 | 2003-05-14 | Toyoda Gosei Co Ltd |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
US20070145729A1 (en) * | 2005-11-28 | 2007-06-28 | Toyoda Gosei Co., Ltd. | Airba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448646B2 (en) * | 2005-11-04 | 2008-11-11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Airbag system for out-of-position occupant protection and adaptive venting |
US20070170710A1 (en) * | 2006-01-24 | 2007-07-26 | Benoit Bouquier | Venting systems for inflatable objects |
JP5286673B2 (ja) * | 2007-02-19 | 2013-09-11 | タカタ株式会社 |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
JP5186832B2 (ja) * | 2007-08-09 | 2013-04-24 | タカタ株式会社 |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
JP5286825B2 (ja) * | 2008-02-25 | 2013-09-11 | タカタ株式会社 |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
JP4992853B2 (ja) * | 2008-08-06 | 2012-08-08 | タカタ株式会社 | エアバッグ装置 |
KR101532057B1 (ko) * | 2008-12-08 | 2015-06-29 |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 에어백 시스템 |
DE102011118209A1 (de) | 2011-11-12 | 2013-05-16 | Dorst Technologies Gmbh & Co. Kg | Keramik- und/oder Metallpulverpresse mit einem Füllschuh und Füllleitungen und Verfahren zum Pressen eines Presskörpers in einer solchen Presse |
KR20140013361A (ko) | 2012-07-23 | 2014-02-05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의 에어백 장치 |
KR101438965B1 (ko) * | 2012-12-26 | 2014-09-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에어백 장치 |
KR20140124231A (ko) * | 2013-04-16 | 2014-10-2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에어백 모듈의 승객 목 상해 방지장치 |
-
2014
- 2014-07-30 KR KR1020140097357A patent/KR10218190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6-25 US US14/750,712 patent/US9573556B2/en active Active
- 2015-06-26 DE DE202015103373.7U patent/DE202015103373U1/de active Active
- 2015-07-23 CN CN201520537653.3U patent/CN204870887U/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37060A (ja) * | 2001-11-07 | 2003-05-14 | Toyoda Gosei Co Ltd |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
US20070145729A1 (en) * | 2005-11-28 | 2007-06-28 | Toyoda Gosei Co., Ltd. | Airba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5008A (ko) | 2016-02-12 |
DE202015103373U1 (de) | 2015-08-04 |
US9573556B2 (en) | 2017-02-21 |
CN204870887U (zh) | 2015-12-16 |
US20160031408A1 (en) | 2016-0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81907B1 (ko) | 차량용 에어백 장치 | |
US10543800B2 (en) | Side airbag device for a vehicle | |
KR101189467B1 (ko) | 차량용 듀얼챔버 에어백의 가스압 조절시스템 | |
US8651515B2 (en) |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and occupant protection method | |
KR100941262B1 (ko) | 에어백 쿠션 | |
KR101491276B1 (ko) | 에어백 장치 | |
US20120217730A1 (en) |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and occupant protection method | |
US9027962B1 (en) | Airbag apparatus | |
CN112406772B (zh) | 安全气囊装置 | |
US9205799B2 (en) | Airbag and airbag device | |
KR20180026854A (ko) | 커튼 에어백 장치 | |
US9352720B2 (en) | Airbag for vehicle | |
KR102088737B1 (ko) | 차량용 에어백 | |
KR20170120743A (ko) |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US20170349134A1 (en) | Airbag apparatus for reducing injury | |
US20140097603A1 (en) | Exterior Airbag Cushion for Vehicle | |
JP2007137225A (ja) | 車両用エアベルト装置 | |
JP6408826B2 (ja) | エアバッグを有する車両 | |
KR102501381B1 (ko) | 에어백 장치 | |
KR20130136102A (ko) | 에어백 장치 | |
JP6408827B2 (ja) | エアバッグを有する車両 | |
US11066040B2 (en) | Airbag device | |
KR20190025775A (ko) | 차량용 커튼 에어백 | |
KR101573842B1 (ko) | 에어백 장치 | |
KR102454011B1 (ko) |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