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742A -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742A
KR20190044742A KR1020170137019A KR20170137019A KR20190044742A KR 20190044742 A KR20190044742 A KR 20190044742A KR 1020170137019 A KR1020170137019 A KR 1020170137019A KR 20170137019 A KR20170137019 A KR 20170137019A KR 20190044742 A KR20190044742 A KR 20190044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guide
airbag cushion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7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4742A/ko
Publication of KR20190044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가스가 배출되는 벤트홀부를 구비하는 에어백 쿠션; 에어백 쿠션에 장착되고, 벤트홀부에서 가스의 배출을 조절하는 개폐조절부를 포함하고, 개폐조절부는, 에어백 쿠션에 벤트홀부를 개방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부; 및 에어백 쿠션의 전개에 따라 가이드부를 개폐하는 벤트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AIR BAG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으로부터 가스의 배출을 조절하는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사고시에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기를 유입받아 에어백이 팽창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인 에어백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필요에 따라 자동차의 각 부위에 설치되는데,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있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DAB, Driver Air Bag), 조수석에 앉은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글로브 박스 상측에 장착되어 있는 조수석 에어백 장치(PAB, Passenger Air Bag),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루프레일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커튼 에어백 장치(CAB, Curtain Air Bag) 등이 제안되고 있다.
에어백 장치들은 각각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와, 인플레이터와 연결되어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 전개됨으로서 탑승자를 보호하는 에어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존의 조수석 에어백에는 에어백이 만개시 가스가 빠져나가는 구멍인 벤트(Vent)는 액티브 벤트(Active Vent), LRD 벤트(Low Risk Deployment Vent), 일반 벤트 등으로 이루어진다. 액티브 벤트는 TRU(Tether Release Unit)에 신호 입력시 액티브 벤트 테더(Active Vent Tether)에 달려있는 끈이 떨어져 나가 개방되고, LRD 벤트는 조수석에 유아 승객이 착좌될 때 에어백에 의해 부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일반 벤트는 항상 개방된 상태로 있고, 에어백이 만개 후 가스가 빠져나가는 역할을 한다.
종래기술에서 에어백 전개시 각각의 벤트가 여러개로 나뉘어져 에어백 제작에 필요한 공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티브 벤트를 구현하기 위해 별도의 TRU 구조가 적용되므로 제작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으로부터 가스의 배출을 조절하는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가스가 배출되는 벤트홀부를 구비하는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에 장착되고, 상기 벤트홀부에서 가스의 배출을 조절하는 개폐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조절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에 상기 벤트홀부를 개방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를 개폐하는 벤트 개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에 고정되는 가이드 고정부; 상기 가이드 고정부의 일측에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벤트 개폐부에 의해 개폐되는 가이드 배출홀부; 및 상기 벤트 개폐부가 상기 에어백 쿠션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고정부의 타측에 개구되게 형성되는 가이드 관통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 관통홀부는 상기 가이드 고정부에 편측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벤트 개폐부는, 상기 가이드 배출홀부를 개폐하는 벤트 패널부; 및 일측이 상기 벤트 패널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에어백 쿠션에 고정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에 따라 상기 벤트 패널부가 상기 가이드 배출홀부를 개폐되게 하는 스트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트랩부는 상기 벤트 패널부에 복수 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트랩부는 각각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트랩부 중 가장 긴 길이를 가지는 상기 스트랩부는 상기 가이드 관통홀부를 통해 벤트 패널부와 상기 에어백 쿠션을 연결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벤트 개폐부는 패브릭(fabric)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면서 벤트홀부를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조절하여 승객의 목, 머리 등을 상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 쿠션의 벤트홀부를 통한 가스의 배출 및 차단이 조절되어 별도의 벤트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품의 중량을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 쿠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개폐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벤트 개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벤트홀부의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벤트홀부의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벤트홀부의 폐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벤트홀부의 폐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 쿠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개폐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벤트 개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벤트홀부의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벤트홀부의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벤트홀부의 폐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벤트홀부의 폐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쿠션(100)과 개폐조절부(200)를 포함한다. 에어백 큐션(100)은 차량의 구조물 내에 접혀 수용되어 있어 긴급시에 가스가 공급되어 팽창 전개함과 동시에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방출 가능한 벤트홀부(110)를 구비한다. 에어백 쿠션(100)은 차량 사고시 인플레이터(미도시)에 의해 가스를 공급받아 전개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개폐조절부(200)는 벤트홀부(110)에 장착되고, 벤트홀부(110)에서 가스의 배출을 조절한다. 개폐조절부(200)는 가이드부(210)와 벤트개폐부(23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210)는 벤트홀부(110)에 벤트홀부(110)가 개방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가이드 고정부(211), 가이드 배출홀부(213), 가이드 관통홀부(215)를 포함한다.
가이드 고정부(211)는 에어백 쿠션(100)에 봉제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벤트홀부(110)가 개방되게 에어백 쿠션(100)에 고정된다. 가이드 배출홀부(211)는 가이드 고정부(211)의 일측(도 3 기준 상부 양측)에 개구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벤트 개폐부(230)에 의해 개폐되면서 벤트홀부(110)를 통해 가스가 배출 또는 차단된다. 가이드 배출홀부(213)는 벤트홀부(110)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
가이드 관통홀부(215)는 벤트 개폐부(230)의 스트랩부(237)가 관통되어 에어백 쿠션(100)의 내측면에 연결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가이드 고정부(211)의 타측에 개구되게 형성된다. 가이드 관통홀부(215)는 스트랩부(237)가 관통될 수 있는 크기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가이드 관통홀부(215)는 가이드 고정부(211)에 편측(도 3 기준 하측으로 편측)되게 형성된다. 가이드 관통홀부(215)가 가이드 고정부(211)에 편측되게 형성되어, 에어백 쿠션(100) 전개시 스트랩부(237)가 당겨지게 되면 스트랩부(237)의 상부에 배치된 벤트 패널부(231)가 가이드 배출홀부(213) 전체를 커버하게 되어 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벤트 개폐부(230)는 에어백 쿠션(100)의 전개에 따라 가이드부(210)의 가이드부(210)의 가이드 배출홀부(213)를 개폐한다. 가이드 배출홀부(213)가 개방 또는 폐쇄되면서 에어백 쿠션(100) 내부에 있는 가스의 배출 여부가 조절된다.
벤트 개폐부(230)는 벤트 패널부(231)와 스트랩부(237)를 포함한다. 벤트 패널부(231)와 스트랩부(237)을 포함하는 벤트 개폐부(230)는 패브릭(fabric)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벤트 개폐부(230)는 섬유로 이루어진 패브릭(fabric) 재질을 포함하여 에어백 쿠션(100)의 전개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진다.
벤트 패널부(231)는 가이드 배출홀부(231)를 개폐하는 것으로, 에어백 쿠션(100)의 전개에 따라 가이드 배출홀부(231)에 끼워져 가이드 배출홀부(231)와 벤틀홀부(110)를를 폐쇄하여 가스의 배출을 차단하거나, 가이드 배출홀부(231)와 벤트홀부(110)를 개방하여 가스가 배출되게 한다. 벤트 패널부(231)는 가이드 배출홀부(231)와 벤트홀부(110)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가이드 배출홀부(231)를 통해 벤트홀부(11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스트랩부(237)는 일측이 벤트 패널부(231)에 고정되고, 타측이 에어백 쿠션(100)에 고정된다. 스트랩부(237)는 에어백 쿠션(100)의 전개에 따라 벤트 패널부(231)가 가이드 배출홀부(213)를 개폐한다.
즉, 에어백 쿠션(100)이 전개되면서 에어백 쿠션(100)에 고정된 스트랩부(237)가 당겨지면서 벤트 패널부(231)가 가이드 배출홀부(231)에 끼워지면서 가이드 배출홀부(231)와 벤트홀부(110)를 커버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0)에서 벤트홀부(110)를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에어백 쿠션(100)이 폴딩되어 있거나 승객이 에어백 쿠션(100)에 로딩되어, 에어백 쿠션(100)의 형태가 내측으로 변형되면 스트랩부(237)가 느슨해져 에어백 쿠션(100) 내부 압력에 의해 벤트 패널부(231)가 밖으로 벌어지면서 벤트홀부(110)가 개방되어 가스가 배출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0)에서 벤트홀부(110)를 통해 가스가 배출되면서 승객이 에어백 쿠션(100)과의 접촉에 의한 부상 발생이 방지된다.
스트랩부(237)는 벤트 패널부(231)에 복수 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트랩부(237)는 제1스트랩부(233), 제2스트랩부(234), 제3스트랩부(235), 제4스트랩부(236)으로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한다. 스트랩부(237)의 제1스트랩부(233), 제2스트랩부(234), 제3스트랩부(235), 제4스트랩부(236)는 각각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진다. 제1스트랩부(233), 제2스트랩부(234), 제3스트랩부(235), 제4스트랩부(236)는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져 에어백 쿠션(100)의 전개시 벤트 패널부(231)가 가이드 배출홀부(213)와 벤트홀부(110)를 전체를 빠짐없이 커버할 수 있다. 제1스트랩부(233), 제2스트랩부(234), 제3스트랩부(235), 제4스트랩부(236)는 벤트 패널부(231)에 봉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스트랩부(233), 제2스트랩부(234), 제3스트랩부(235), 제4스트랩부(236)의 길이는 제1스트랩부(233) > 제2스트랩부(234) > 제3스트랩부(235) > 제4스트랩부(236)로 이루어진다.
스트랩부(237) 중 가장 긴 길이를 가지는 제1스트랩부(233)는 가이드 관통홀부(215)를 통해 벤트 패널부(231)와 에어백 쿠션(100)을 연결한다. 제1스트랩부(233)는 벤트 패널부(231)와 에어백 쿠션(100)에 봉제되어 고정된다. 제2스트랩부(234), 제3스트랩부(235), 제4스트랩부(236)는 제1스트랩부(233)에서 분기되어 벤트 패널부(231)에 봉제된다. 제1스트랩부(233), 제2스트랩부(234), 제3스트랩부(235), 제4스트랩부(236)는 길이가 서로 다르고, 벤트 패널부(231)에 비대칭 형상으로 봉제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에어백 쿠션(100)이 폴딩되어 있는 초기 상태이고, 도 7 및 도 8은 에어백 쿠션(100)이 계속 전개되어 만개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서 에어백 장치의 초기 상태는 에어백 쿠션(100)이 폴딩되어 있어 스트랩부(237)이 느슨해져 있고 벤트홀부(110)가 개방되어 있다. 벤트홀부(110)가 개방되어 가스가 배출되어 승객이 에어백 쿠션(100)과의 충격에 의해 부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벤트홀부(110)가 개방되어 가스가 배출되어, 이 상태에서 벤트홀부(110)는 LRD 벤트 기능을 한다.
에어백 쿠션(100)이 계속 전개되면, 에어백 쿠션(100)에 고정된 스트랩부(237)이 당겨져서 벤트 패널부(231)가 가이드 배출홀부(213)에 끼워지면서 벤트홀부(110)를 막게 된다. 에어백 쿠션(100)의 내부는 충분한 내압 상태로 있게 되어, 에어백 쿠션(100)은 승객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승객의 얼굴 등의 신체가 에어백 쿠션(100)에 로딩되는 경우, 팽창에 의해 닫혀 잇던 벤트홀부(110)는 승객의 로딩으로 스트랩부(237)가 느슨해지며, 에어백 쿠션(100) 내부 압력이 닫혀 있던 벤트 패널부(231)를 에어백 쿠션(100)의 외부로 밀어 낸다. 이때 벤트홀부(110)와 가이드 배출홀부(213)이 개방되어, 에어백 쿠션(100)은 소프트한 쿠션 상태를 이루게 되어 승객을 보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 쿠션(100)이 전개되면서 벤트홀부(110)를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조절하여 승객의 목, 머리 등을 상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 쿠션(100)의 벤트홀부(110)를 통한 가스의 배출 및 차단이 조절되어 별도의 벤트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품의 중량을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에어백 쿠션 110: 벤트홀부
200: 개폐조절부 210: 가이드부
211: 가이드 고정부 213: 가이드 배출홀부
215: 가이드 관통홀부 230: 벤트 개폐부
231: 벤트 패널부 233: 제1스트랩부
234: 제2스트랩부 235: 제3스트랩부
236: 제4스트랩부 237: 스트랩부

Claims (8)

  1. 가스가 배출되는 벤트홀부를 구비하는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에 장착되고, 상기 벤트홀부에서 가스의 배출을 조절하는 개폐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조절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에 상기 벤트홀부를 개방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를 개폐하는 벤트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에 고정되는 가이드 고정부;
    상기 가이드 고정부의 일측에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벤트 개폐부에 의해 개폐되는 가이드 배출홀부; 및
    상기 벤트 개폐부가 상기 에어백 쿠션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고정부의 타측에 개구되게 형성되는 가이드 관통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관통홀부는 상기 가이드 고정부에 편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개폐부는,
    상기 가이드 배출홀부를 개폐하는 벤트 패널부; 및
    일측이 상기 벤트 패널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에어백 쿠션에 고정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에 따라 상기 벤트 패널부가 상기 가이드 배출홀부를 개폐되게 하는 스트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는 상기 벤트 패널부에 복수 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는 각각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 중 가장 긴 길이를 가지는 상기 스트랩부는 상기 가이드 관통홀부를 통해 벤트 패널부와 상기 에어백 쿠션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개폐부는 패브릭(fabric)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KR1020170137019A 2017-10-23 2017-10-23 에어백 장치 KR20190044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019A KR20190044742A (ko) 2017-10-23 2017-10-23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019A KR20190044742A (ko) 2017-10-23 2017-10-23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742A true KR20190044742A (ko) 2019-05-02

Family

ID=6658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019A KR20190044742A (ko) 2017-10-23 2017-10-23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47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0925B2 (en) Airbag protection flap
JP6781118B2 (ja) 車の搭乗者拘束装置用の順応型膝用エアバッグ
US8430425B2 (en) Airbag assembly
CN110520333B (zh) 安全气囊装置
KR100999804B1 (ko) 사이드 에어백
JP2005186891A (ja) 車両の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150007499A (ko) 에어백 장치
KR20190084622A (ko) 파노라마 루프용 에어백장치
KR20190071509A (ko) 파노라마 루프용 에어백장치
KR20160025369A (ko)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US9352720B2 (en) Airbag for vehicle
KR20190071508A (ko) 파노라마 루프용 에어백장치
KR20130038692A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110129723A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160020880A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
KR20110138674A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120121614A (ko) 에어백 장치
US20210086717A1 (en) Airbag device
KR20190044742A (ko) 에어백 장치
US20040262898A1 (en) Vented air bag
KR20170136675A (ko) 상해 저감형 에어백장치
KR20140042496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20100004395A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 모듈
KR20190045613A (ko) 에어백 장치
KR101695221B1 (ko) 차량용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