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369A -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 Google Patents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369A
KR20160025369A KR1020140112545A KR20140112545A KR20160025369A KR 20160025369 A KR20160025369 A KR 20160025369A KR 1020140112545 A KR1020140112545 A KR 1020140112545A KR 20140112545 A KR20140112545 A KR 20140112545A KR 20160025369 A KR20160025369 A KR 20160025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her
vent
airbag cushion
vent cover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979B1 (ko
Inventor
권해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2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979B1/ko
Priority to US14/656,779 priority patent/US9187056B1/en
Priority to CN201510171258.2A priority patent/CN105365742B/zh
Publication of KR20160025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60R2021/239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comprising means to control the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가 분출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가 유입되어 승객을 향하여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과, 상기 에어백 쿠션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일부 배출하도록 형성된 벤트홀과,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기 벤트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설치된 벤트커버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상기 벤트커버가 상기 벤트홀을 폐쇄하되, 상기 에어백 쿠션의 만개시 장력이 발생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중앙부로 상기 벤트커버가 집중되도록하여 상기 벤트홀을 개방시키는 테더;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Passenger Airbag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 쿠션의 내압유지시점을 조절하여 에어백 쿠션에 승객 충돌시 승객을 보호하는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승석 에어백 장치는, 동승석에 전방에 배치되는 글로브박스의 상측에 설치되어서, 자동차 사고시에 에어백 쿠션이 내부로 유입된 가스에 의해 팽창 전개되어서 상기 동승석에 앉은 승객을 쿠션력으로 보호해주는 장치이다.
상기 글로브박스는 계기판, 공조장치, 오디오장치 등이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게 되는 데, 상기 동승석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쿠션은 전개시에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측을 찢고 윈드쉴드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 사이로 나온 후, 승객을 향하는 전방으로 전개되며, 전개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하측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접해 지지되고, 상측은 상기 윈드쉴드에 접해 지지된다.
이러한 동승석 에어백은 차체 충돌시 에어백이 전개되어 승객을 보호하게 될 경우 에어백 내부에 충진되는 가스량이 필요이상으로 많아져 승객 머리가속도(HIC)를 증가 시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TRU(Tether Release Unit)에 엑티브 벤트를 연결시켜 내압이 필요이상으로 쿠션 내부에 채워질 경우 TRU를 작동시켜 고정되어 있던 벤트커버가 사이드 판넬에서 분리되어, 상기 벤트커버에 의해 폐쇄되었던 벤트홀을 통하여 내부의 가스가 배출된다. 이에 따라, 승객의 머리 가속도를 줄여 승객의 머리 상해를 저감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 액티브 벤트는 내압을 줄여주는 작용으로 머리 상해를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목 상해율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차량이 고속 충돌시 충돌 후반부에는 내압이 낮게되면 목 상해에 불리한 조건이 되어 목 상해율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는 액티브 벤트의 적용시 일반벤트 크기를 줄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 액티브 벤트는 내압을 줄여주는 작용으로 머리 상해와, 목 상해율을 동시에 낮출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또, 충돌 후반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압력을 승객의 목 상해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압력으로 유지하여 승객을 보호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일반 벤트 크기를 비조절 또는 일반벤트 크기를 크게 함에도 액티브벤트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은, 가스가 분출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가 유입되어 승객을 향하여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과, 상기 에어백 쿠션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일부 배출하도록 형성된 벤트홀과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기 벤트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설치된 벤트커버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상기 벤트커버가 상기 벤트홀을 폐쇄하되, 상기 에어백 쿠션의 만개시 장력이 발생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중앙부로 상기 벤트커버가 집중되도록하여 상기 벤트홀을 개방시키는 테더;를 더 포함한다.
상기 테더는, 일단 및 타단이 동일 위치에 봉재되어 고정부가 형성되되, 상기 테더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서 상기 벤트커버가 상기 벤트홀의 개방시 슬라이딩되도록 통과하여 상기 벤트커버를 당기게 된다.
또한, 상기 테더의 일단 및 타단 사이의 중심은 상기 고정부와 대향되게 연결될 수있다.
또한, 상기 테더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둘레면 보다 짧게 구비되어, 상기 테더의 중심은 상기 에어백 쿠션에 승객이 충돌하는 전면과 근접하여 봉재되고, 상기 승객충돌면과 대향되게 상기 인플레이터가 설치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와 근접하여 상기 테더의 일단 및 타단이 봉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트커버는, 상기 벤트홀을 덮도록 구비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에 상기 벤트커버의 상측 및 하측이 고정되게 봉재부가 형성되고, 상측 및 하측 사이의 측벽의 미봉재부를 상기 테더가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더는, 상기 에어백 쿠션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벤트홀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벤트홀은 상기 벤트커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더는, 일단 및 타단이 동일 위치에 봉재되어 고정부가 형성되되, 상기 테더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서 상기 벤트커버와 상기 에어백 쿠션 사이로 통과하여, 상기 벤트커버의 양측에 봉재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만개시 상기 봉재부에 지지되어 상기 벤트커버가 개방된다.
상기 테더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벤트커버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테더의 일단 및 타단 사이의 중심부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방향에서 봉재된다.
또한, 상기 테더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벤트커버와 상기 에어백 쿠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벤트홀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상기 벤트커버에 봉재될 수 있다.
상기 테더는, 일단이 상기 승객충돌면과 대응되는 방향에 고정되고, 상기 테더의 타단이 상기 벤트커버에 상기 테더의 일단과 근접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더의 타단은 상기 승객충돌면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벤트커버에 연결되되, 상기 벤트커버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사이에서 상기 벤트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테더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둘레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벤트커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더는 상기 벤트커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결되도록 봉재될 수 있다.
상기 테더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벤트커버에 상기 테더가 각각 서로 대향되게 연결되어, 상기 벤트커버를 개방한다.
또한, 상기 벤트홀은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벤트홀을 덮는 상기 벤트커버가 구비되어, 상기 벤트커버에 각각 상기 테더가 연결되되, 상기 테더는 각각의 상기 벤트커버에 서로 대향되게 연결되어 상기 벤트커버에 장력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더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에어백 쿠션의 만개시 상기 벤트커버와 상기 에어백 쿠션에서 사선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더의 일단은 상기 에어백 쿠션과 상기 벤트커버의 사이에서 상기 벤트커버에 봉재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로, 본 발명의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에 따르면, 액티브 벤트는 충돌시 후반부에 벤트홀을 폐쇄하여 내압을 유지함에 따라 머리 및 목 등의 상해율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본 발명의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에 따르면, 충돌 후반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승객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충돌하게 되어 발생될 수 있는 상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로, 본 발명의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에 따르면, 일반 벤트 크기를 크게 적용하여 머리 상해율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a는 도 1의 차량의 에어백의 일실시예를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b는 도 2a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c는 도 2a의 A'-A' 및 도 2b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는 도 1의 차량의 에어백의 일실시예를 에어백 쿠션의 만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b는 도 3a의 B-B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c는 도 3a의 B'-B' 및 도 3b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는 도 1의 차량의 에어백의 일실시예를 에어백 쿠션의 만개시 승객의 충돌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b는 도 4a의 C-C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c는 도 4a의 C'-C' 및 도 4b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4d는 도 4b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를 제 2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를 제 3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를 제 4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8a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를 제 5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b는 도 8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9a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를 제 6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b는 도 9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a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를 제 7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b는 도 10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a는 도 1의 차량의 에어백의 일실시예를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와, 도 2b는 도 2a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2c는 도 2a의 A'-A' 및 도 2b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a는 도 1의 차량의 에어백의 일실시예를 에어백 쿠션의 만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B-B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3c는 도 3a의 B'-B' 및 도 3b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4a는 도 1의 차량의 에어백의 일실시예를 에어백 쿠션의 만개시 승객의 충돌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C-C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4c는 도 4a의 C'-C' 및 도 4b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d는 도 4b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a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를 제 2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5b는 도 5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a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를 제 3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6b는 도 6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a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를 제 4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7b는 도 7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a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를 제 5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8b는 도 8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a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를 제 6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9b는 도 9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a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를 제 7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10b는 도 10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바람직한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가스가 분출되는 인플레이터(5)와, 인플레이터(5)로부터 가스가 유입되어 승객을 향하여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10)과, 에어백 쿠션(10)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일부 배출하도록 형성된 벤트홀과, 에어백 쿠션(10)의 벤트홀을 개폐하도록 에어백 쿠션(10)의 내부에 설치된 벤트커버 및 에어백 쿠션(10)의 전개시 벤트커버가 벤트홀을 폐쇄시키도록 구비된 테더(30)를 포함한다.
도 2a는 도 1의 차량의 에어백의 일실시예를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와, 도 2b는 도 2a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2c는 도 2a의 A'-A' 및 도 2b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에어백 쿠션(10)은 인플레이터(5)에서 가스가 분출되어 에어백 쿠션(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에어백 쿠션(10)의 내부에 가스가 유입되어 충진됨으로써 에어백 쿠션(10)은 팽창전개된다. 에어백 쿠션(10)은 가스의 유입시 펼쳐지면서 승객을 향하여 전개되도록 복수회 접혀져 에어백 하우징에 구비된다. 이러한 에어백 하우징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 쿠션(10)은 장방형의 메인패널(12)과, 메인패널(12)의 양측에서 각각 사이드패널(14,16)이 설치된다. 메인패널(12)에는 인플레이터(5) 및 에어백 쿠션(10)의 전개시 승객과 충돌하는 승객충돌면이 형성된다. 사이드패널(14,16)은 메인패널(12)의 좌, 우측에서 좌측 사이드패널(14)과 우측 사이드패널(16)이 각각 봉재되어 내부에 가스가 충진되도록 빈공간이 형성된다. 좌측 사이드 패널(14)과 우측 사이드패널(16) 각각에 벤트홀이 에어백 쿠션(10)의 내부와 에어백 쿠션(10)의 외부를 연통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패널(12)의 양측에서 좌, 우측 사이드패널(14,16)이 바느질 등에 의해 봉재되어 내부에 가스가 충진된다.
벤트홀은 에어백 쿠션(10)에 형성되어, 에어백 쿠션(10)의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벤트홀은 각각의 사이드패널(14,16)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벤트홀은 좌측 사이드패널(14)에 제1 벤트홀(15a)이 형성되고, 우측 사이드패널(16)에 제2 벤트홀(15b)이 형성된다. 이러한 벤트홀은 메인패널에도 형성될 수 있으나, 메인패널에 형성시 승객충돌면과 겹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벤트홀은 메인패널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승객충돌시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사이드패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벤트홀은 사이드패널에 형성되되, 승객이 충돌하는 승객충돌면과 근접하여 형성된다. 벤트홀은 에어백 쿠션(10) 내부의 가스를 조절하도록 벤트커버에 의해 개폐된다.
벤트커버는, 모서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구비된다. 벤트커버의 모서리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벤트커버는 정방형 및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벤트커버의 벤트홀을 덮도록 벤트홀보다 크게 형성되어 구비된다.
벤트커버는 벤트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벤트커버는 제 1벤트홀(15a)을 개폐하는 제 1벤트커버(22)와 제 2벤트홀(15b)을 개폐하는 제 2벤트커버(24)가 구비된다. 제 1벤트커버(22)는 좌측 사이드패널(14)에 고정될 때, 서로 대향되는 변이 고정되도록 봉재부가 형성된다. 또한, 제 2벤트커버(24)는 우측 사이드패널(15b)에 봉재된다. 이하에서 제 1벤트커버(22)와 제 2벤트커버(24)는 동일하게 봉재되므로 제 2벤트커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나, 도면 설명시 필요할 경우 따로 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 1벤트커버(22)의 일측(22a) 및 타측(22b)은 에어백 쿠션(10)에 제1 벤트홀(15a)을 덮도록 봉재된다. 제 1벤트커버(22)의 일측(22a) 및 타측(22b)을 제외한 일측(22a)과 타측(22b) 사이는 미봉재부분과 에어백 쿠션(10)과의 사이로 테더(30)가 통과한다. 마찬가지로, 제 2벤트커버(24)가 에어백 쿠션(10)에 봉재된 일측 및 타측을 제외한 미봉재부분을 통하여 테더(30)가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제1 벤트커버(22) 및 제 2벤트커버(24)의 미봉재부분은 테더(30)에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에어백 쿠션(10)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떨어져 공간이 형성되므로서, 공간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10)의 내부 가스가 배출된다.
테더(30)는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구비되어 벤트커버를 통과한다. 테더(30)는 에어백 쿠션(10)의 전개시 장력의 미발생으로 제 1벤트커버(22)가 벤트홀(15a)을 개방하여 내부 가스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테더(30)는 에어백 쿠션(10)의 만개시 장력이 발생되어 에어백 쿠션(10)의 만개시 중앙지점으로 제 1,2벤트커버(22,24)가 집중되도록하여 제 1,2벤트홀(15a,15b)을 개방시키도록 구비된다.
테더(30)는, 에어백 쿠션(10)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 1벤트홀(15a)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 1,2벤트홀(15a,15b)은 제 1,2벤트커버(22,24)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테더(30)가 제 1,2벤트커버(22,24)의 미봉재부분을 에어백 쿠션(10)의 중심지점으로 집중하도록 하게 되어 제 1,2벤트홀(15a,15b)의 일부가 개방되므로서 내부 가스의 일부를 배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테더(30)는 일단(32) 및 타단(34)이 인플레이터(5)와 근접하여 동일 위치에 봉재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테더(30)의 일단(32)이 먼저 인플레이터(5)와 근접하여 고정되고, 테더(30)의 타단(34)이 에어백 쿠션(10)과 제 1벤트커버(22)의 미봉재부를 통과한다.
다음, 에어백 쿠션(10)의 내부둘레를 따라 승객충돌면을 지나서 에어백 쿠션(10)과 제 2벤트커버(24)의 사이로 통과한 뒤, 테더(30)의 일단(32)과 함께 봉재되어 고정된다. 이 과정에서 제 1벤트커버(22)를 통과하고 제 2벤트커버(24)를 통과하지 못한 테더(30)의 중심부(36)는 승객충돌면과 봉재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테더(30)의 중심부(36)는 테더(30)의 일단(32) 및 타단(34)과 대향되는 위치이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의 전개에 의해 테더(30)의 일단(32) 및 타단(34)과 테더(30)의 중심부(36)는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어, 테더(30)가 팽팽해지는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테더(30)가 통과한 제 1,2 벤트커버(22,24)를 에어백 쿠션(10)의 중심으로 집중하게 된다.
그리고, 에어백 쿠션(10)의 승객충돌면에 승객 충돌시 테더(30)에 장력이 낮아지게 되어 제 1,2벤트커버(22,24)가 제 1,2벤트홀을 다시 차폐하게 되어 내부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도 1의 차량의 에어백의 일실시예를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와, 도 2b는 도 2a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2c는 도 2a의 A'-A' 및 도 2b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차량에 충돌 발생시, 충돌발생신호를 ACU(AirbagControlUnit)으로부터 인플레이터에서 신호를 받게 되어, 인플레이터 내부에 구비된 가스발생매체가 폭발하여 가스가 발생된다.
인플레이터(5)의 가스분출구를 통하여 가스가 분출하게 되어, 에어백 쿠션(10)에 유입된다. 에어백 쿠션(10)의 내부에 가스가 유입되므로서 접혀진 에어백 쿠션(10)이 펴지면서 승객을 향하여 전개된다. 에어백 쿠션(10)의 승객충돌면이 승객을 향하여 전개된다.
이때, 에어백 쿠션(10)은 아직 만개 되지 않은 상태로서 테더(30)에 장력이 아직 미발생 상태이다. 따라서, 도 2b 및 도 2c에서와 같이, 제 1,2벤트커버(22,24)에 전단력이 발생하여 제 1,2벤트홀(15a,15b)을 차폐하므로, 에어백 쿠션(10)의 내부에서 에어백 쿠션(10)의 외부로 제 1,2벤트홀(15a,15b)을 통하여 가스 배출되지 아니하는 상태이다.
도 3a는 도 1의 차량의 에어백의 일실시예를 에어백 쿠션의 만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와, 도 3b는 도 3a의 B-B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3c는 도 3a의 B'-B' 및 도 3b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에어백 쿠션(10)의 만개상태를 나타내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에어백 쿠션(10)의 전개에 따라 테더(30)의 중심부(36)가 에어백 쿠션(10)의 전개방향으로 펴지게 된다.
에어백 쿠션(10)의 만개시 테더(30)의 일단(32) 및 타단(34)과 테더(30)의 중심부(36)가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당기게 되어, 테더(30)에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테더(30)의 일단 및 타단이 전개방향과 타방에서 테더(30)를 잡게 되므로서 테더(30)의 일단(32) 및 타단(34)과 중심부(36)의 사이에서 제 1,2벤트커버(22,24)가 에어백 쿠션(10)의 중심으로 집중하게 된다.
이때, 제 1,2벤트커버(22,24)에 테더(30)가 봉재 등에 의해 연결되지 않게 되어 테더(30)의 장력발생 여부에 따라 제 1,2벤트커버(22,24)와 에어백 쿠션(10)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제 1,2벤트홀(15a,15b)을 개폐하도록 한다.
따라서, 벤트커버가 테더(30)의 장력에 의해 에어백 쿠션(10)의 중심으로 이동하면 제 1,2벤트홀(15a,15b)의 일부가 개방되어 에어백 쿠션(10)의 내부 가스가 외부로 배출된다.
도 4a는 도 1의 차량의 에어백의 일실시예를 에어백 쿠션의 만개시에 승객의 충돌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와, 도 4b는 도 4a의 C-C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4c는 도 4a의 C'-C' 및 도 4b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d는 도 4b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에어백 쿠션(10)이 만개된 상태에서 승객 충돌시점을 설명하면, 에어백 쿠션(10)의 만개에 따라 테더(30)에 장력이 발생된 상태에서, 승객이 충돌하게 되는 충돌면은 충돌속도 및 승객의 체적 여부에 따라 인플레이터(5)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테더(30)의 중심부(36)는 승객의 충돌면이 에어백 쿠션(10)의 중심을 향해 함께 이동하게 되면서 장력을 상실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에어백 쿠션(10) 내부의 가스는 에어백 쿠션(10) 내부에서 유동하게 되어 제 1,2벤트커버(22,24)에 전단력이 발생되어 제 1,2벤트홀(15a,15b)을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제 1,2벤트홀(15a,15b)을 제 1,2벤트커버(22,24)가 차폐하게 됨에 따라, 에어백 쿠션(10)의 내부에 가스가 유지하게 되어,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2벤트커버(22,24)에 설치되는 테더(30)의 위치를 다음과 같이 다양한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다.
도 5a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를 제 2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5b는 도 5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하면, 테더(230)는 일단(232) 및 타단(234)이 동일 위치에 봉재되어 고정형성된다. 테더(23)는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설치되므로 생략한다.
제 1,2벤트커버(222,224)를 통과한 테더(230)의 일부분은 제 1,2벤트커버(222,224)와 봉재된다. 따라서, 테더(230)는 에어백 쿠션(10)의 만개시 장력이 발생하여 제 1,2벤트커버(222,224)를 당기게 되어 제 1,2벤트홀(15a,15b)을 개방한다.
도 6a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를 제 3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6b는 도 6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제 3실시예를 설명하면, 테더(330)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벤트커버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연결된다. 즉, 테더(330)의 일단(332)은 제 1벤트커버(322)의 일측에 연결된다.
또, 테더(330)의 타단(334)는 제 2벤트커버(324)의 일측에 연결된다. 테더(330)의 일단(332) 및 타단(334)은 제 1,2벤트커버(322,324)와 에어백 쿠션(10)의 사이로 삽입되어 봉재된다. 벤트홀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벤트커버에 봉재된다. 테더(330)의 일단(332)은 제 1벤트커버(322)에 봉재되어지고, 테더(330)의 타단(334)은 제 2벤트커버(324)에 봉재된다.
이때, 테더(330)에 장력발생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테더(330)의 중심부(336)는 에어백 쿠션(10)의 전개방향에서 봉재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이 전개시에는 제 1,2벤트홀(15a,15b)을 제 1,2벤트커버(322,324)가 차폐하였다가 에어백 쿠션(10) 만개시 테더(330)에 장력이 발생되어 테더(330)는 '<'와 같은 형상이 된다.
따라서, 테더(330)가 제 1,2벤트커버(322,324) 봉재된 부분을 제외한 미봉재부분을 에어백 쿠션(10)의 중심으로 이동하면, 에어백 쿠션(10)의 내부 가스를 외부로 일부 배출할 수 있다.
도 7a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를 제 4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7b는 도 7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제 4실시예를 설명하면, 테더(430)는 에어백 쿠션(10)의 내둘레면을 따라 배치되어 제 1,2벤트커버(422,424)에 연결된다. 테더(430)의 일단(432) 및 타단(434)은 인플레이터(5)와 근접하여 봉재되어 고정된다. 테더(430)의 일단(432) 및 타단(434)과 대향되는 테더(430)의 중심부(436)는 에어백 쿠션(10)의 승객충돌면에 봉재되어 고정된다.
테더(30)는 벤트커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결되도록 봉재된다. 테더(30)는 제 1,2벤트커버(422,424)가 에어백 쿠션(10)에 봉재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 제 1,2벤트커버(422,424)에 봉재된다. 테더(30)가 제 1,2벤트커버(422,424)에 봉재된 부분이 제 1,2벤트커버(422,424)의 양측을 에어백 쿠션(10)을 향한 내측으로 당기게되어 개방됨으로써 에어백 쿠션(10)의 내부 가스가 외부로 배출된다.
도 8a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를 제 5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8b는 도 8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제 5실시예를 설명하면, 테더는, 복수개로 구비된다. 제 1테더(530)는 일단(532)이 인플레이터(5)와 근접하여 연결되고, 즉, 메인패널(12)의 승객이 충돌하는 방향으로부터 대응되는 방향에 고정되고, 테더(530)의 타단(534)이 제 1벤트커버(522)에 봉재된다. 이때, 테더(530)의 타단(534)은 제 1벤트커버(522)에서 인플레이터(5)와 근접하여 봉재된다. 벤트커버와 에어백 쿠션(10)의 사이에서 벤트커버에 연결된다.
제 2테더(540)의 타단(544)은 제 2벤트커버(524)에 봉재된다. 이때, 제 1 테더(530)과 동일하게 제 2테더(540)의 타단(544)은 제 2벤트커버(524)에서 인플레이터(5)와 근접하여 봉재된다. 제 2테더(540)의 타단(544)은 에어백 쿠션(10)의 우측 사이드 패널(16)과 제 2벤트커버(524)의 사이로 삽입되어 봉재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의 만개시 제 1,2테더(530,540)이 각각 제 1,2 벤트커버(522,524)를 당기게 되어 제 1,2벤트홀(15a,15b)을 개방하였다가 승객 충돌시 제 1,2벤트홀(15a,15b)을 폐쇄하여 에어백 쿠션(10)의 내부에 소정의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도 9a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를 제 6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9b는 도 9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a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를 제 7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10b는 도 10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b 및 도 10a 내지 도 10b에서 와 같이 제 6,7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면, 테더(3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벤트커버에 테더(30)가 각각 서로 대향되게 연결되어, 벤트커버를 개방한다.
벤트홀은 복수개로 형성되고, 벤트홀을 덮는 벤트커버가 구비되어, 벤트커버에 각각 상기 테더가 연결되되, 테더(630)는 각각의 벤트커버에 서로 대향되게 연결되어 벤트커버에 장력이 전달된다. 테더(630)의 일단 및 타단은 에어백 쿠션(10)의 만개시 벤트커버와 에어백 쿠션(10)에서 사선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테더(630)의 일단은 에어백 쿠션(10)과 벤트커버의 사이에서 벤트커버에 봉재된다.
우선,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보다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1테더(630)의 일단(634)이 제1 벤트커버(622)의 일측에 봉재되어 고정되고, 제 1테더(630)의 타단(632)이 에어백 쿠션(10)의 승객이 충돌하는 충돌면과 근접하여 봉재되어 고정된다.
이와 반대로, 제 2테더(640)의 일단(644)은 제2 벤트커버(624)의 인플레이터(5)와 근접한 일측에 봉재되어 고정되고, 제 2테더(640)의 타단(642)은 인플레이터(5)와 근접하여 에어백 쿠션(10)의 중심에 봉재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제 1,2테더(630,640)의 장력 발생여부에 따라 제 1,2벤트커버(622,624)가 제 1,2벤트홀(15a,15b)을 개방 및 폐쇄하게 된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도 9a와 도 9b에서와 같이 제 1,2테더(30)의 위치를 서로 반대로 설치하여 동일 작용을 이룰 수 있다.
즉, 도 10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보다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1테더(730)의 일단(734)은 제1 벤트커버(722)의 인플레이터(5)와 근접한 일측에 봉재되어 고정되고, 제 1테더(730)의 타단(732)은 인플레이터(5)와 근접하여 에어백 쿠션(10)의 중심에 봉재되어 고정된다.
이와 반대로, 제 2테더(740)의 일단(744)이 제2 벤트커버(724)의 일측에 봉재되어 고정되고, 제 2테더(740)의 타단(742)이 에어백 쿠션(10)의 승객이 충돌하는 충돌면과 근접하여 봉재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제 1,2테더(730,740)의 장력 발생여부에 따라 제 1,2벤트커버(722,724)가 제 1,2벤트홀(15a,15b)을 개방 및 폐쇄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에어백 쿠션 15a,15b: 제 1,2벤트홀
22,24: 제 1,2벤트커버 30: 테더

Claims (17)

  1. 가스가 분출되는 인플레이터;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가 유입되어 승객을 향하여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일부 배출하도록 형성된 벤트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기 벤트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설치된 벤트커버;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상기 벤트커버가 상기 벤트홀을 폐쇄하되, 상기 에어백 쿠션의 만개시 장력이 발생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중앙부로 상기 벤트커버가 집중되도록하여 상기 벤트홀을 개방시키는 테더;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는,
    일단 및 타단이 동일 위치에 봉재되어 고정부가 형성되되
    상기 테더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서 상기 벤트커버가 상기 벤트홀의 개방시 슬라이딩되도록 통과하여 상기 벤트커버를 당기는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의 일단 및 타단 사이의 중심은 상기 고정부와 대향되게 연결되는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둘레면 보다 짧게 구비되어,
    상기 테더의 중심은 상기 에어백 쿠션에 승객이 충돌하는 전면과 근접하여 봉재되고, 상기 승객충돌면과 대향되게 상기 인플레이터가 설치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와 근접하여 상기 테더의 일단 및 타단이 봉재되는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커버는,
    상기 벤트홀을 덮도록 구비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에 상기 벤트커버의 상측 및 하측이 고정되게 봉재부가 형성되고, 상측 및 하측 사이의 측벽의 미봉재부를 상기 테더가 통과하는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는, 상기 에어백 쿠션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벤트홀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벤트홀은 상기 벤트커버보다 작게 형성되는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는,
    일단 및 타단이 동일 위치에 봉재되어 고정부가 형성되되
    상기 테더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서 상기 벤트커버와 상기 에어백 쿠션 사이로 통과하여, 상기 벤트커버의 양측에 봉재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만개시 상기 봉재부에 지지되어 상기 벤트커버가 개방되는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벤트커버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테더의 일단 및 타단 사이의 중심부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방향에서 봉재되는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벤트커버와 상기 에어백 쿠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벤트홀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상기 벤트커버에 봉재되는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는, 일단이 상기 승객충돌면과 대응되는 방향에 고정되고, 상기 테더의 타단이 상기 벤트커버에 상기 테더의 일단과 근접하여 연결되는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의 타단은 상기 승객충돌면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벤트커버에 연결되되, 상기 벤트커버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사이에서 상기 벤트커에 연결되는 차랴야의 동승석 에어백.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둘레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벤트커버에 연결되는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는 상기 벤트커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결되도록 봉재되는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벤트커버에 상기 테더가 각각 서로 대향되게 연결되어, 상기 벤트커버를 개방하는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은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벤트홀을 덮는 상기 벤트커버가 구비되어, 상기 벤트커버에 각각 상기 테더가 연결되되, 상기 테더는 각각의 상기 벤트커버에 서로 대향되게 연결되어 상기 벤트커버에 장력이 전달되는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에어백 쿠션의 만개시 상기 벤트커버와 상기 에어백 쿠션에서 사선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의 일단은 상기 에어백 쿠션과 상기 벤트커버의 사이에서 상기 벤트커버에 봉재되는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KR1020140112545A 2014-08-27 2014-08-27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KR101720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545A KR101720979B1 (ko) 2014-08-27 2014-08-27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US14/656,779 US9187056B1 (en) 2014-08-27 2015-03-13 Airbag apparatus
CN201510171258.2A CN105365742B (zh) 2014-08-27 2015-04-10 气囊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545A KR101720979B1 (ko) 2014-08-27 2014-08-27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369A true KR20160025369A (ko) 2016-03-08
KR101720979B1 KR101720979B1 (ko) 2017-03-29

Family

ID=54434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545A KR101720979B1 (ko) 2014-08-27 2014-08-27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87056B1 (ko)
KR (1) KR101720979B1 (ko)
CN (1) CN10536574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9316B2 (en) 2017-05-19 2019-11-19 Hyundai Motor Company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3220B1 (en) 2012-03-19 2013-09-03 Amsafe, Inc. Structure mounted airbag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622094B1 (ko) * 2014-05-26 2016-05-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US9944245B2 (en) 2015-03-28 2018-04-17 Amsafe, Inc. Extending pass-through airbag occupant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07428308A (zh) 2015-04-11 2017-12-01 Am-安全公司 主动气囊排气系统
US10093270B2 (en) * 2016-01-13 2018-10-09 Autoliv Asp, Inc. Multi-flap vents for inflatable chambers
US10604259B2 (en) 2016-01-20 2020-03-31 Amsafe,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s having extending restrai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08860048B (zh) * 2018-05-21 2020-09-22 江苏大学 一种两段式汽车安全气囊
DE102019201443B4 (de) * 2019-02-05 2023-01-05 Audi Ag Insassenschut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KR20200108134A (ko) 2019-03-06 2020-09-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2329A (ko) * 2007-03-08 2008-09-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장치
KR20080112001A (ko) * 2007-06-20 2008-12-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JP4622651B2 (ja) * 2005-02-25 2011-02-02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186832B2 (ja) * 2007-08-09 2013-04-2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6859A1 (de) * 2002-08-07 2004-02-19 Takata Corp. Gassack für ein Airbagmodul
CN101107152A (zh) * 2005-02-01 2008-01-16 关键安全体系股份有限公司 具有可控制系带的安全气囊模块
US7448646B2 (en) * 2005-11-04 2008-11-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system for out-of-position occupant protection and adaptive venting
US8191925B2 (en) * 2008-04-14 2012-06-05 Autoliv Asp, Inc. Dynamic safety vent
US8696022B2 (en) * 2010-10-27 2014-04-1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variable venting
US8684407B2 (en) * 2010-10-27 2014-04-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height adaptive tether
US8684404B2 (en) * 2010-10-27 2014-04-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variable venting
KR101356178B1 (ko) * 2011-11-28 2014-0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장치
US8727377B2 (en) * 2012-02-23 2014-05-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daptive vent and method for airbag
US9108590B2 (en) * 2013-04-03 2015-08-18 Autoliv Asp, Inc. Airbag with active vent
KR20140124231A (ko) * 2013-04-16 2014-10-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모듈의 승객 목 상해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2651B2 (ja) * 2005-02-25 2011-02-02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20080082329A (ko) * 2007-03-08 2008-09-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장치
KR20080112001A (ko) * 2007-06-20 2008-12-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JP5186832B2 (ja) * 2007-08-09 2013-04-2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9316B2 (en) 2017-05-19 2019-11-19 Hyundai Motor Company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65742B (zh) 2017-12-19
CN105365742A (zh) 2016-03-02
KR101720979B1 (ko) 2017-03-29
US9187056B1 (en) 201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979B1 (ko)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JP6491739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9027962B1 (en) Airbag apparatus
US7584987B2 (en) Housing structure of an airbag
JPH1191477A (ja) 自動車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US8684403B2 (en) Active airbag venting system
KR100999804B1 (ko) 사이드 에어백
US9352721B2 (en) Airbag apparatus
JP4569310B2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KR102310283B1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장치
EP3613641A1 (en) Airbag device
KR20160035344A (ko) 차량의 에어백
KR20160020881A (ko)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US8888128B1 (en) Airbag for vehicle
KR20160020878A (ko) 차량의 에어백
KR102195363B1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
KR101542851B1 (ko) 차량의 에어백
JP6420989B2 (ja) 乗員保護装置
KR102263721B1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JP2007137225A (ja) 車両用エアベルト装置
KR20180062494A (ko) 차량용 전방에어백
KR102501381B1 (ko) 에어백 장치
JP2022056092A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KR102293581B1 (ko) 에어백 장치
JP7053888B2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