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494A - 차량용 전방에어백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방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494A
KR20180062494A KR1020160161257A KR20160161257A KR20180062494A KR 20180062494 A KR20180062494 A KR 20180062494A KR 1020160161257 A KR1020160161257 A KR 1020160161257A KR 20160161257 A KR20160161257 A KR 20160161257A KR 20180062494 A KR20180062494 A KR 20180062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tor
collision
door
side chamb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5345B1 (ko
Inventor
김태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1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3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9Oblique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60R2021/239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comprising means to control the venting

Abstract

센터페시아측으로 굴곡되어 전개되는 베이스 및 베이스의 센터페시아측 단부에서 탑승자 방향으로 전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실내측 챔버; 탑승자 방향으로 전개되되 센터페시아측으로 돌출되어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돌출지지부를 포함하는 도어측 챔버; 실내측 챔버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1인플레이터; 및 도어측 챔버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2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방에어백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방에어백 {FRONT AIRBAG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탑승자 정면에 위치하는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경사충돌시 탑승자가 크래시패드나 센터페시아 등과 같은 구조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머리의 회전을 통해 목이나 뇌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기능성 및 편의성과 더불어 탑승객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사고 발생시 탑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안전과 관련된 장치들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탑승객 보호를 위한 안전장치 중에서, 특히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충돌상황에서 탑승객의 충격을 분산시키는 가장 기본이 되는 보호장치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전방 에어백으로써, 탑승자의 정면에 위치하여 충돌상황에서 탑승 차량내부의 각종 구조물과의 직접충돌을 방지하며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종래의 에어백은 경사충돌의 상황에서는 탑승자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고 센터페시아와 직접충돌하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전개된 에어백의 표면을 탑승자의 머리가 타고 흐르는 과정에서 목과 뇌에 상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2-0122744 A
본 발명은 차량의 경사 충돌 상황에서 탑승자의 머리가 센터페시아 등의 구조물과 직접 충돌하거나 에어백 챔버의 표면을 타고 흐르는 과정에서 목에 상해를 입게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전방 에어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방에어백은 센터페시아측으로 굴곡되어 전개되는 베이스 및 베이스의 센터페시아측 단부에서 탑승자 방향으로 전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실내측 챔버; 탑승자 방향으로 전개되되 센터페시아측으로 돌출되어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돌출지지부를 포함하는 도어측 챔버; 실내측 챔버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1인플레이터; 및 도어측 챔버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2인플레이터;를 포함한다.
도어측 챔버에 마련되며 도어측 챔버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엑티브 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의 탑승자 방향 전개량은 도어측 챔버의 탑승자 ?향 전개량보다 많을 수 있다.
충돌모드, 차량의 속도 및 안전벨트의 착용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제1인플레이터, 제2인플레이터 및 엑티브 벤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정면충돌상황이고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른 속도의 충돌이며 안전벨트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인플레이터와 제2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고 액티브 벤트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정면충돌상황이고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른 속도의 충돌이며 안전벨트를 미착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인플레이터와 제2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고 액티브 벤트를 미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정면충돌상황이고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느린 속도의 충돌로 판단되는 경우 제1인플레이터를 미작동시키고 제2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며 액티브 벤트를 미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경사충돌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킨 후 제1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며 액티브 벤트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전방에어백에 따르면, 차량의 경사충돌 상황에서 도어측 챔버와 실내측 챔버의 순차전개 및 실내측 챔버의 돌출부에 의하여 탑승자가 차량구조물과 직접충돌을 막을 뿐만 아니라 머리의 회전에 의한 목 또는 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방에어백의 만개시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방에어백의 전개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방에어백 제어의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방에어백의 만개시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방에어백의 전개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방에어백 제어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방에어백은 센터페시아측으로 굴곡되어 전개되는 베이스(101) 및 베이스(101)의 센터페시아측 단부에서 탑승자 방향으로 전개되는 돌출부(103)를 포함하는 실내측 챔버(100); 탑승자 방향으로 전개되되 센터페시아측으로 돌출되어 베이스(101)에 의해 지지되는 돌출지지부(201)를 포함하는 도어측 챔버(200); 실내측 챔버(100)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1인플레이터(105); 및 도어측 챔버(200)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2인플레이터(205);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전방에어백의 경우 차량의 스티어링 휠 내부에 장착되거나 크래쉬패드 내부에 내장되어 있다. 에어백은 차량의 충돌센서 또는 ECU와 같은 각종 전자장비에서 얻어지는 신호값을 통해 충돌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신속하게 전개되어 탑승자가 차체 구조물들과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해주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탑승자에게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종래 차량의 경우 충돌상황이 발생하면 기존의 커튼 에어백과 전방에어백을 통해 운전자의 보호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만, 정면 또는 측면충돌이 아닌 경사충돌 상황에서는 예상치 못한 탑승자의 거동에 의하여 탑승객의 보호가 미흡해지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구체적으로 예를들어 살펴보면, 경사충돌 상황에서는 탑승자의 머리가 에어백 쿠션의 중앙에 로딩되지 않고 측면에 로딩된다. 이때 종래의 에어백 쿠션은 실내측면이 로딩되는 머리를 지지하지 못하고 주저앉으면서 머리가 에어백 쿠션의 표면을 따라 타고 내려가 크래쉬패드 또는 센터페시아와 직접충돌하여 상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머리가 에어백 쿠션의 실내측면을 따라 타고 내려가는 과정에서 머리가 회전하면서 목 또는 뇌가 손상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백 쿠션의 크기를 증가시켜 보호영역을 센터페시아까지 넓히게 되면 증가되는 에어백 쿠션의 부피에 따라 인플레이터 용량에 부담이 발생하고, 에어백의 전개속도가 늦어져 탑승자의 보호에 미흡함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내측 챔버(100)와 도어측 챔버(200)로 구분하여 각각의 챔버에 별도의 가스를 공급하는 제1인플레이터(105) 내지 제2인플레이터(205)를 마련해두고 있다. 기본적으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기본 챔버는 도어측 챔버(200)로 하되, 경사충돌 상황이 발생한 경우 크래쉬패드 또는 센터페시아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실내측 챔버(100)가 함께 전개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도어측 챔버(200)는 탑승자가 로딩되는 프런트 패널 부분이 센터페시아측으로 확장는 돌출지지부(201)를 갖으며 이를 통해 탑승자 보호영역을 증가시킨다. 다만, 경사충돌상황에서 탑승자의 머리가 중앙이 아닌 측면에 로딩되는 경우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내측 챔버(100)가 함께 전개되며 실내측 챔버(100)의 베이스(101) 부분이 도어측 챔버(200)의 돌출지지부(201)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어측 챔버(200)에 마련되며 도어측 챔버(200)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엑티브 벤트(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충돌상황은 경사충돌 상황 뿐만이 아니라 정면충돌, 측면충돌, 고속충돌 저속충돌 등의 다양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탑승자의 머리가 가장먼저 로딩되는 챔버는 압력을 조절하여 전달되는 충격력을 조절할 필요성이 있게된다. 따라서 액티브 벤트를 통해 도어측 챔버(200)의 내압을 높게 유지하거나 낮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액티브 벤트는 초기 설정에 따라 폐쇄를 기본상태로 하고 필요에 의해 개방시키거나 개방을 기본상태로하고 필요에 의해 폐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폐쇄를 기본상태로 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돌출부(103)의 탑승자 방향 전개량은 도어측 챔버(200)의 탑승자 ?향 전개량보다 많을 수 있다.
실내측 챔버(100)의 돌출부(103) 부분은 탑승자 방향으로 실내측 챔버(100)보다 돌출되도록 전개되어 탑승자의 머리와 센터페사이 사이에서 걸림턱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경사충돌상황에서 도어측 챔버(200)를 벗어나 센터페시아와의 직접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충돌모드, 차량의 속도 및 안전벨트의 착용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제1인플레이터(105), 제2인플레이터(205) 및 엑티브 벤트(20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300)는 정면충돌상황이고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른 속도의 충돌이며 안전벨트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인플레이터(105)와 제2인플레이터(205)를 작동시키고 액티브 벤트를 작동시킬 수 있다.
충돌모드의 판단은 차량에 장착된 다양한 충돌센서와 그 센서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를 처리하여 ECU 등에서 판단한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정면충돌상황이고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른 고속충돌상황이므로 탑승자의 크래쉬 패드 또는 센터페시아 등의 구조물과의 충돌을 막기 위해 제1인플레이터(105)와 제2인플레이터(205)를 모두 작동시켜 실내측 챔버(100) 및 도어측 챔버(200)를 모두 전개시킨다. 다만, 안전벨트에 의하여 탑승자의 조기구속이 이루어져 충돌상황 발생 직후의 충격은 많이 흡수되므로 도어측 챔버(200)로의 로딩강도는 약해질 것이다. 따라서에어백의 전개압력에 의한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액티브 벤트를 작동시켜 도어측 챔버(200)의 내압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정면충돌상황이고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른 속도의 충돌이며 안전벨트를 미착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인플레이터(105)와 제2인플레이터(205)를 작동시키고 액티브 벤트를 미작동시킬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정면충돌상황이고 고속충돌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제1인플레이터(105)와 제2인플레이터(205)를 모두 작동시킨다. 다만, 안전벨트를 미착용하여 충돌상황 발생 직후의 충격 흡수가 전혀 없이 도어측 챔버(200)로 로딩되므로 로딩강도가 매우 강할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구조물과의 충돌을 막기위해 도어측 챔버(200)의 내압을 높게 유지해야 하는바 액티브 벤트는 미작동시킨다.
제어부(300)는 정면충돌상황이고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느린 속도의 충돌로 판단되는 경우 제1인플레이터(105)를 미작동시키고 제2인플레이터(205)를 작동시키며 액티브 벤트를 미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정면충돌상황이되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느린 속도의 저속충돌로 판단되는 경우 제1인플레이터(105)를 미작동시키고 제2인플레이터(205)를 작동시켜 도어측 챔버(200)만을 전개되도록한다. 다만 실내측 챔버(100) 등에 의한 보조없이 도어측 챔버(200)만을 이용하여 탑승객의 로딩을 견뎌야 하는바 액티브 벤트는 미작동시켜 도어측 챔버(200)의 내압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경사충돌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인플레이터(205)를 작동시킨 후 제1인플레이터(105)를 작동시키며 액티브 벤트를 작동시킬 수 있다.
경사충돌상황의 경우 정면충돌과는 달리 도어측 챔버(200)의 중앙이 아닌 측면에 탑승자의 머리가 로딩된다. 이 경우 도어측 챔버(200)의 표면을 타고 미끄러져 센터페시아나 크래쉬 패드와 같은 구조물과의 직접충돌이 문제될 수 있다. 뿐만아니라 도어측 챔버(200)의 표면을 타고 미끄러지는 과정에서 머리가 회전하여 목 또는 뇌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측 챔버(200)를 먼저 전개한 뒤 실내측 챔버(100)가 전개되도록 제어하여 머리의 회전에 의한 목 및 뇌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탑승자의 머리가 로딩된 이후에는 액티브 벤트를 동작시켜 도어측 챔버(200)의 전개압력에 의한 충격을 줄이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실내측 챔버 101 : 베이스
103 : 돌출부 105 : 제1인플레이터
200 : 도어측 챔버 201 : 돌출지지부
203 : 엑티브 벤트 205 : 제2인플레이터
300 : 제어부

Claims (7)

  1. 센터페시아측으로 굴곡되어 전개되는 베이스 및 베이스의 센터페시아측 단부에서 탑승자 방향으로 전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실내측 챔버;
    탑승자 방향으로 전개되되 센터페시아측으로 돌출되어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돌출지지부를 포함하는 도어측 챔버;
    실내측 챔버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1인플레이터; 및
    도어측 챔버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2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방에어백.
  2. 청구항 1에 있어서,
    도어측 챔버에 마련되며 도어측 챔버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엑티브 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에어백.
  3. 청구항 1에 있어서,
    돌출부의 탑승자 방향 전개량은 도어측 챔버의 탑승자 ?향 전개량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에어백.
  4. 청구항 2에 있어서,
    충돌모드, 차량의 속도 및 안전벨트의 착용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제1인플레이터, 제2인플레이터 및 엑티브 벤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정면충돌상황이고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른 속도의 충돌이며 안전벨트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인플레이터와 제2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고 액티브 벤트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에어백.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어부는 정면충돌상황이고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른 속도의 충돌이며 안전벨트를 미착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인플레이터와 제2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고 액티브 벤트를 미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에어백.
  6. 청구항 4에 있어서,
    제어부는 정면충돌상황이고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느린 속도의 충돌로 판단되는 경우 제1인플레이터를 미작동시키고 제2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며 액티브 벤트를 미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에어백.
  7. 청구항 4에 있어서,
    제어부는 경사충돌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킨 후 제1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며 액티브 벤트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방에어백.
KR1020160161257A 2016-11-30 2016-11-30 차량용 전방에어백 KR102565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257A KR102565345B1 (ko) 2016-11-30 2016-11-30 차량용 전방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257A KR102565345B1 (ko) 2016-11-30 2016-11-30 차량용 전방에어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494A true KR20180062494A (ko) 2018-06-11
KR102565345B1 KR102565345B1 (ko) 2023-08-16

Family

ID=6260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257A KR102565345B1 (ko) 2016-11-30 2016-11-30 차량용 전방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3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123A (ko) 2018-10-17 2020-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전방에어백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전개시스템
CN112172731A (zh) * 2019-07-05 2021-01-05 标致雪铁龙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主动气帘设备及车辆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0369B2 (ja) * 2005-03-17 2012-02-08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134286B1 (ko) * 2010-07-30 2012-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제어시스템
KR20120122744A (ko) 2011-04-29 2012-11-07 (주)에스케이티 저상해 전개식 차량 조수석 에어백
KR101338061B1 (ko) * 2011-11-15 2013-12-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벤트 에어백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7997A (ko) * 2014-08-07 2016-02-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동승석 에어백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0369B2 (ja) * 2005-03-17 2012-02-08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134286B1 (ko) * 2010-07-30 2012-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제어시스템
KR20120122744A (ko) 2011-04-29 2012-11-07 (주)에스케이티 저상해 전개식 차량 조수석 에어백
KR101338061B1 (ko) * 2011-11-15 2013-12-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벤트 에어백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7997A (ko) * 2014-08-07 2016-02-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동승석 에어백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123A (ko) 2018-10-17 2020-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전방에어백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전개시스템
US10836337B2 (en) 2018-10-17 2020-11-17 Hyundai Motor Company Multi-frontal airbag for vehicle and airbag deployment system using the same
CN112172731A (zh) * 2019-07-05 2021-01-05 标致雪铁龙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主动气帘设备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345B1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110B1 (ko) 프리크래쉬 사이드에어백 장치
KR101756005B1 (ko) 차량용 전방 에어백 및 그 제어방법
JP5850011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2922001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4999843B2 (ja) 自動車用サイドエアバッグユニット
KR20100127982A (ko) 도어 회전이 제한되는 루프 에어백 장치
KR20180032226A (ko) 차량용 커튼에어백
CN111284441A (zh) 用于车辆的乘客保护系统
KR20160035344A (ko) 차량의 에어백
JP2008018917A (ja) 助手席エアバックハウジング構造
JP2020152206A (ja) 乗員保護装置
KR101807660B1 (ko)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KR20160020878A (ko) 차량의 에어백
KR101931125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1241159B1 (ko) 자동차용 통합 에어백 장치
KR101542851B1 (ko) 차량의 에어백
US6814372B1 (en) Method for apparatus for venting an inflatable restraint assembly
KR20180062494A (ko) 차량용 전방에어백
KR20160009967A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KR102263721B1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US8924089B2 (en) Automobile and method of controlling automobile
US20220017037A1 (en) Roof mounted airbag
JP2915380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6673643B2 (ja) 乗員保護装置
JPH07267038A (ja) 車両用安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