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499A -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499A
KR20150007499A KR1020130081506A KR20130081506A KR20150007499A KR 20150007499 A KR20150007499 A KR 20150007499A KR 1020130081506 A KR1020130081506 A KR 1020130081506A KR 20130081506 A KR20130081506 A KR 20130081506A KR 20150007499 A KR20150007499 A KR 20150007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cushion
screen
vent hole
t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1276B1 (ko
Inventor
최준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81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276B1/ko
Priority to US14/097,106 priority patent/US20150014969A1/en
Priority to DE102013113834.9A priority patent/DE102013113834A1/de
Priority to CN201310722227.2A priority patent/CN104276129A/zh
Publication of KR20150007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60R2021/239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comprising means to control the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주입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벤트홀이 양 측면부에 형성된 쿠션; 상기 쿠션 내부에서 전단이 쿠션의 전면부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벤트홀 측으로 연장된 벤트 테더; 및 상기 벤트 테더에서 연장되어 상기 벤트홀의 후방측에 연결되고, 벤트홀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형성되되 폴딩된 상태를 이루며, 쿠션 전개시 벤트 테더에 의해 당겨져 전방을 향해 펼쳐짐에 따라 벤트홀을 덮어 폐쇄하고, 전개된 쿠션이 탑승자에 의해 가압시 벤트 테더의 장력이 감소되어 토출되는 가스에 의해 벤트홀이 개방되도록 하는 벤트 스크린;을 포함하는 에어백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 {AIRBAG DEVICE}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시 전개력에 의해 탑승자가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하고, 쿠션 만개시 에어백 내부의 압력을 높게 유지하여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탑승자를 충격으로 완충시킨 후 내부의 가스가 배출되어 에어백 압력을 낮춤으로써 에어백에 의한 탑승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충돌, 전복 등의 사고로부터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안전장치로는 탑승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안전벨트와 탑승자가 차체에 부딪히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에어백이 있다. 이러한 에어백으로는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는 운전석 에어백, 조수석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등 필요에 따라 차량 각 부위에 다양하게 설치되고 있다.
상기의 에어백은 일정한 지름을 갖는 벤트홀에 의해 가스를 배출시킴으로써 에어백의 압력을 조절하는데, 벤트홀 만으로 에어백의 압력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탑승자의 상해를 충분히 감소하지 못하였다.
즉, 차량의 충돌 초기에는 쿠션 내부의 가스 손실량을 최소화하여 압력을 높게 유지시킴으로써 쿠션이 가득 부풀어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고, 에어백이 탑승자를 구속한 후에는 쿠션 내부에서 외부로 가스가 배출되도록 하여 압력을 낮춤으로써 전개력에 의한 2차 상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최근에는, 에어백이 전개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상해치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해저감형 에어백(LRD:Lower Risk Deployment)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에어백 근처에 승객 착좌시 쿠션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여 전개력을 저감시킴으로써 에어백 전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에어백 쿠션에는 벤트홀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액티브 벤트, LRD 벤트로 구성하여 챔버 내의 압력을 조절하지만, 액티브 벤트의 경우 모터 장치가 설치됨에 따라 제작원가 및 중량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LRD 벤트의 경우 일관된 벤트홀의 개폐가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었고 과도한 쿠션 내압으로 인해 쿠션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에어백의 LRD 성능을 개선하고, 과도한 내압 발생으로 인한 쿠션의 손상을 해소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에너지의 흡수가 가능한 에어백 장치가 필요하였다.
10-2009-0012740A (2009.02.04)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시 전개력에 의해 탑승자가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하고, 쿠션 만개시 에어백 내부의 압력을 높게 유지하여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탑승자를 충격으로 완충시킨 후 내부의 가스가 배출되어 에어백 압력을 낮춤으로써 에어백에 의한 탑승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에어백의 LRD 성능을 개선하고, 과도한 내압 발생으로 인한 쿠션의 손상을 해소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에너지의 흡수가 가능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주입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벤트홀이 양 측면부에 형성된 쿠션; 상기 쿠션 내부에서 전단이 쿠션의 전면부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벤트홀 측으로 연장된 벤트 테더; 및 상기 벤트 테더에서 연장되어 상기 벤트홀의 후방측에 연결되고, 벤트홀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형성되되 폴딩된 상태를 이루며, 쿠션 전개시 벤트 테더에 의해 당겨져 전방을 향해 펼쳐짐에 따라 벤트홀을 덮어 폐쇄하고, 전개된 쿠션이 탑승자에 의해 가압시 벤트 테더의 장력이 감소되어 토출되는 가스에 의해 벤트홀이 개방되도록 하는 벤트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쿠션에는 벤트홀의 주연부에 설치되어 상기 벤트 테더가 전후방향 이동 외의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크린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가이드는 상기 벤트홀과 벤트 스크린을 덮도록 형성되되 벤트홀과 대응되는 동일 직경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벤트 테더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전단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벤트 테더는 전단이 쿠션의 전면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쿠션 전개시 탑승자의 머리 부분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벤트 테더의 폭은 상기 벤트 스크린의 폭보다 좁게 형성됨으로써 벤트 스크린의 폴딩된 상태에서 벤트 테더가 벤트홀 내에 위치되어도 가스의 배출공간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벤트 스크린은 지그재그 형태로 폴딩되어 가접될 수 있다.
상기 벤트 스크린은 후방 측에서 전방 측으로 중심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전방을 향해 펼쳐져 벤트홀을 덮었을시 경사진 부분과 벤트홀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트 스크린은 전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벤트홀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트 스크린에 형성된 관통홀은 벤트홀의 직경 내에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에어백 장치는 쿠션의 초기 전개시 벤트홀이 개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외부로 가스 방출량을 극대화하여 전개력에 의한 상해를 방지하고, 쿠션이 만개되면 벤트홀을 폐쇄하여 압력을 유지시킴에 따라 탑승자에게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며, 에어백이 탑승자로 인해 가압되면 벤트홀을 개방시킴으로써 에어백에 의한 탑승자의 2차 상해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벤트 스크린과 벤트홀의 구조를 통해 쿠션 내부에 압력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것을 해소하여, 쿠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5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장치가 작동됨에 따른 벤트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7은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장치의 벤트 스크린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는 주입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벤트홀(120)이 양 측면부에 형성된 쿠션(100); 상기 쿠션(100) 내부에서 전단이 쿠션(100)의 전면부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벤트홀(120) 측으로 연장된 벤트 테더(200); 및 상기 벤트 테더(200)에서 연장되어 상기 벤트홀(120)의 후방측에 연결되고, 벤트홀(120)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형성되되 폴딩된 상태를 이루며, 쿠션(100) 전개시 벤트 테더(200)에 의해 당겨져 전방을 향해 펼쳐짐에 따라 벤트홀(120)을 덮어 폐쇄하고, 전개된 쿠션(100)이 탑승자(P)에 의해 가압시 벤트 테더(200)의 장력이 감소되어 토출되는 가스에 의해 벤트홀이 개방되도록 하는 벤트 스크린(300);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에어백이라 함은 차량 충돌시 쿠션 내부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인플레이터가 구비되며, 인플레이터의 폭발 신호를 보내는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지만, 이는 자명한 것인바 에어백 모듈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쿠션(100)은 차량 충돌시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것으로, 양 측면부에는 내부의 가스가 배출되는 벤트홀(120)이 형성된다. 여기서, 벤트홀(120)의 형성위치는 차량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 있으며, 쿠션(100)의 양 측면부 외 후면부에 형성하여 대시보드(미도시) 내로 가스가 분출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벤트홀(120)은 차량의 종류 및 필요 내압에 의해 다수개 형성이 가능하며, 이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쿠션(100) 내부에는 전단이 쿠션(100)의 전면부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벤트홀(120) 측으로 연장된 벤트 테더(200)가 설치된다. 여기서, 벤트 테더(200)는 쿠션(100)의 전개시 하기 설명할 벤트 스크린(300)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쿠션(100)이 전방으로 전개됨에 따라 벤트 테더(200)가 전방을 향해 당겨지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벤트 테더(200)는 상측과 하측에 각각 분할하여 설치할 수 있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상측에 위치하여 쿠션(100)의 전면부에서 벤트홀(120) 측으로 연장된 벤트 테더(200)는 제1테더(200a)라 하고, 하측에 위치되어 쿠션(100)의 전면부에서 쿠션 후방 하단부에 연결된 벤트 테더(200)는 제2테더(200b)로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제1테더(200a)와 제2테더(200b)의 전단은 서로 연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벤트 테더(200)를 상하로 분할하여 구성함으로써 쿠션(100)이 전방으로 전개됨에 벤트 테더(200)가 전방으로 당겨져 벤트 스크린(300)에 장력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쿠션(100)의 과도한 전개를 제한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벤트 테더(200)의 후단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벤트홀(120)을 지나 벤트홀(120)의 후방 측에 연결된 벤트 스크린(300)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벤트 스크린(300)은 벤트홀(120)을 폐쇄할 수 있도록 벤트홀(120)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형성되며, 쿠션(100)이 전개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벤트홀(120)의 후방 측에 폴딩되어 있다.
이렇게, 폴딩된 상태의 벤트 스크린(300)은 쿠션(100)이 전개되어 전방을 향해 당겨짐에 따라 전방을 향해 펼쳐져 벤트홀(120)을 덮어 폐쇄하고 쿠션(100) 내부의 압력이 높아짐으로써 쿠션(100)이 신속히 전개되어 탑승자(P)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전개된 쿠션(100)은 탑승자(P)에 의해 전면부가 가압되어 벤트 테더(200)를 후방으로 밀어주고, 벤트 테더(200)가 후방으로 밀리어 전방을 향해 당겨졌던 장력이 감소되어 벤트홀(120)로 토출되는 가스에 의해 벤트홀(120)을 덮은 벤트 스크린(300)이 이탈된다.
이에 대해서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벤트 스크린(300)의 동작됨에 대해서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스크린(300)은 벤트홀(120)의 후방 측에 폴딩되어 설치되고 벤트홀(120)은 개방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쿠션(100)이 전개됨에 따라 도 4와 같이, 벤트 스크린(300)이 전방으로 펼쳐져 벤트홀(120)을 덮음으로써 가스의 배출이 차단되어 쿠션(100) 내압이 신속히 상승된다.
이렇게, 쿠션(100)이 전개되어 탑승자(P)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탑승자(P)가 쿠션(100)의 전면부를 가압함에 따라 벤트 테더(200)의 장력이 감소되고, 쿠션(100) 내부의 가스가 벤트홀(120)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벤트 스크린(300)이 벤트홀(120)에서 이탈된다. 이로 인해, 쿠션(100)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어 내부 압력이 감소되는 것이다.
상기 벤트 스크린(300)의 동작을 통해, 쿠션(100)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어 내부 압력이 감소됨으로써 과대한 쿠션(100) 내부의 압력으로 인한 쿠션(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쿠션(100) 전개력에 의한 2차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각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쿠션(100)에는 벤트홀(120)의 주연부에 설치되어 상기 벤트 테더(200)가 전후방향 이동 외의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크린 가이드(40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스크린 가이드(400)는 벤트 테더(200)가 전후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쿠션(100) 전개시 벤트 스크린(300)이 전방을 향해 펼쳐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의 벤트 스크린(300)은 벤트홀(120)의 후방측에 연결되고 전방 측으로 벤트 테더(2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쿠션(100) 전개시 벤트 테더(200)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전방을 향해 펼쳐진다. 그러나, 벤트 스크린(300)이 전방을 향해 펼쳐지되 그 위치가 벤트홀(120)에 위치되지 않으면 효율적인 가스의 차단이 이루어질 수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벤트 테더(200)의 움직임을 전후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의 움직임을 차단하여 쿠션(100)의 전개시 전방으로 당겨지는 벤트 테더(200)에 의해 벤트 스크린(300)이 전방을 향해 펼쳐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가이드 스크린(4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홀(120)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벤트 테더(200)를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의 가이드 스크린(400)은 다른 실시예로 도 4 또는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벤트홀(120)과 벤트 스크린(300)을 덮도록 형성되되 벤트홀(120)과 대응되는 동일 직경의 홀(400a)이 형성되고, 상기 벤트 테더(20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전단이 개방(400b)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벤트홀(120)과 벤트 스크린(300)을 덮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스크린(400)은 벤트 스크린(300)과 함께 쿠션(100)에 결합함으로써 벤트 스크린(3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스크린 가이드(400)는 벤트홀(120)의 주연부를 두르도록 쏘잉되어 쿠션(10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쿠션(100)이 전개됨에 따라 전후방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 움직이는 벤트 테더(200)의 동작에 의해 스크린 가이드(400)가 쿠션(100)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단, 스크린 가이드(400)는 벤트홀(120)과 벤트 스크린(300)을 덮도록 형성되는바, 벤트홀(120)과 대응되는 동일 직경의 홀(400a)을 형성하여 가스의 배출이 차단되지 않도록 하고, 전단부를 쿠션(100)과 결합시키지 않음으로써 전방이 개방(400b)되어 벤트 테더(20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가이드 스크린(400)은 실제 적용시 형상이 일부 변경되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벤트 테더(200)는 전단이 쿠션(100)의 전면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쿠션(100) 전개시 탑승자(P)의 머리 부분에 대응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탑승자(P)는 안전벨트를 착용하기 때문에 차량충돌이 발생되면 탑승자(P)의 상체가 쿠션(10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탑승자(P)의 허리 부분이 안전벨트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차량 충돌시 탑승자(P)의 머리 부분이 쿠션(100) 측으로 크게 이동하게 된다.
즉, 차량 충돌시 탑승자(P)의 머리 부분이 쿠션(100)을 가압하는바, 벤트 테더(200)의 전단은 쿠션(100) 전면부의 상측에 연결하여 탑승자(P)의 머리 부분에 대응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충돌시 탑승자(P)의 머리 부분이 쿠션을 가압하면 즉각적으로 벤트 테더(200)의 장력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전개된 쿠션(100)에 탑승자(P)의 머리 부분이 먼저 접촉되어 가압하고, 벤트 테더(200)의 장력이 즉각적으로 감소됨에 따라 배출되는 가스압력에 의해 벤트 스크린(300)이 벤트홀(120)로부터 이탈되어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된다. 이로 인해, 쿠션(100) 내부의 가스가 신속히 배출되어 고압의 쿠션(100)에 의한 탑승자의 2차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벤트 테더(200)의 폭은 상기 벤트 스크린(30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됨으로써 벤트 스크린(300)의 폴딩된 상태에서 벤트 테더(200)가 벤트홀(120) 내에 위치되어도 가스의 배출공간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벤트 스크린(300)을 통해 벤트홀(120)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에 따라 쿠션(100) 내부의 압력이 효율적으로 조절됨으로써 탑승자(P)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대한 완충하도록 구성된다. 이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에어백의 LRD(Lower Risk Deployment) 성능도 개선되어야 하는바, 탑승자(P)가 쿠션 근처에 착좌한 상태에서 쿠션(100)의 전개시 쿠션(100) 전개에 의한 충격을 감소하기 위해 쿠션(100) 내부의 가스를 신속히 외부로 배출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벤트 테더(200)의 폭을 상기 벤트 스크린(300)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여 쿠션(100)이 전개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벤트 테더(200)가 벤트홀(120) 내에 위치되어도 벤트홀(120)의 가스 통로를 막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벤트 테더(200)의 폭이 좁게 형성됨에 따라 벤트 스크린(300)이 폴딩되어 있는 초기 상태에서도 벤트홀(120)이 개방되어 가스의 배출공간이 확보됨으로써 쿠션(100) 초기 전개시 쿠션(100)이 탑승자(P)에 접촉되어 가압되면 벤트홀(120)을 통해 쿠션(100) 내부의 가스가 즉각적으로 배출되어 쿠션(100) 전개력을 감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쿠션(100)의 전개 초기에 탑승자(P)가 쿠션에 충돌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상해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쿠션(100) 전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벤트 스크린(300)은 지그재그 형태로 폴딩되어 가접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벤트 스크린(300)은 벤트홀(120)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형성되고, 쿠션(100)의 전개 전에는 벤트홀(120)이 폐쇄되지 않도록 폴딩된 상태를 이루며, 쿠션(100) 전개시 벤트홀(120)의 후방 측에서 전방으로 펼쳐져 벤트홀(120)을 덮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벤트 스크린(300)은 다양한 형태로 폴딩될 수 있지만, 벤트홀(120)을 덮을 수 있도록 소정면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바, 벤트홀(120)의 후방측에서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은 후 양 단부를 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벤트 스크린(300)의 양 단부를 접합하되 쿠션(100) 전개시 벤트 테더(200)에 의해 당겨지는 장력에 의해 쉽게 뜯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쿠션(100)이 전개됨에 따라 벤트 스크린(300)이 즉각적으로 개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벤트 스크린(300)은 후방 측에서 전방 측으로 중심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전방을 향해 펼쳐져 벤트홀(120)을 덮었을시 경사진 부분(320)과 벤트홀(120) 사이에 틈(120a)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도 4 및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벤트 스크린(300)이 벤트홀(120)의 후방 측에사 전방 측으로 중심을 향해 경사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벤트 스크린(300)이 전방으로 펼쳐져 벤트홀(120)을 덮었을 시 경사진 부분(320)과 벤트홀(120) 사이에 틈(120a)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벤트 스크린(300)과 벤트홀(120) 사이에 틈(120a)으로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쿠션(100) 전개시 내부의 가스가 틈(120a)으로 배출됨에 따라 내부 압력이 조절되어 과도한 쿠션(100) 내부의 압력으로 인한 쿠션(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쿠션(100)의 전개압에 인한 탑승자(P)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쿠션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벤트 스크린(300)은 전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벤트홀(120)에 대응되는 관통홀(34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벤트 스크린(300)에 형성된 관통홀(340)은 벤트홀(120)의 직경 내에서 다수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벤트 스크린(300)의 중앙에 벤트홀(120)에 대응되는 관통홀(340)을 형성하여 쿠션(100)이 전개됨에 따라 벤트 스크린(300)이 벤트홀(120)을 폐쇄하되 관통홀(340)을 통해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쿠션(100)의 압력이 조절되어 쿠션(100) 내부에 과도한 압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벤트 스크린(300)에 형성되는 관통홀(340)을 벤트홀(120)의 직경 내에서 다수개 형성함으로써 쿠션(100) 내부의 압력 조절을 에어백 사양에 따라 알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벤트 스크린(300)에 벤트홀(120)에 대응되는 관통홀(340)을 형성하여 쿠션(100)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쿠션(100) 내부의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쿠션(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에어백 장치는 쿠션(100)의 초기 전개시 벤트홀(120)이 개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외부로 가스 방출량을 극대화하여 전개력에 의한 상해를 방지하고, 쿠션(100)이 만개되면 벤트홀(120)을 폐쇄하여 압력을 유지시킴에 따라 탑승자(P)에게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며, 에어백이 탑승자로 인해 가압되면 벤트홀(120)을 개방시킴으로써 에어백에 의한 탑승자(P)의 2차 상해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벤트 스크린(300)과 벤트홀(120)의 구조를 통해 쿠션(100) 내부에 압력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것을 해소하여, 쿠션(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벤트홀(120)의 개방 및 폐쇄를 기구적으로 간단하게 선택되도록 하여,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원가절감의 효과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쿠션 120:벤트홀
200:벤트 테더 300:벤트 스크린
400:가이드 스크린

Claims (9)

  1. 주입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벤트홀이 양 측면부에 형성된 쿠션;
    상기 쿠션 내부에서 전단이 쿠션의 전면부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벤트홀 측으로 연장된 벤트 테더; 및
    상기 벤트 테더에서 연장되어 상기 벤트홀의 후방측에 연결되고, 벤트홀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형성되되 폴딩된 상태를 이루며, 쿠션 전개시 벤트 테더에 의해 당겨져 전방을 향해 펼쳐짐에 따라 벤트홀을 덮어 폐쇄하고, 전개된 쿠션이 탑승자에 의해 가압시 벤트 테더의 장력이 감소되어 토출되는 가스에 의해 벤트홀이 개방되도록 하는 벤트 스크린;을 포함하는 에어백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에는 벤트홀의 주연부에 설치되어 상기 벤트 테더가 전후방향 이동 외의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크린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가이드는 상기 벤트홀과 벤트 스크린을 덮도록 형성되되 벤트홀과 대응되는 동일 직경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벤트 테더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전단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트 테더는 전단이 쿠션의 전면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쿠션 전개시 탑승자의 머리 부분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트 테더의 폭은 상기 벤트 스크린의 폭보다 좁게 형성됨으로써 벤트 스크린의 폴딩된 상태에서 벤트 테더가 벤트홀 내에 위치되어도 가스의 배출공간이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트 스크린은 지그재그 형태로 폴딩되어 가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트 스크린은 후방 측에서 전방 측으로 중심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전방을 향해 펼쳐져 벤트홀을 덮었을시 경사진 부분과 벤트홀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트 스크린은 전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벤트홀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벤트 스크린에 형성된 관통홀은 벤트홀의 직경 내에서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KR20130081506A 2013-07-11 2013-07-11 에어백 장치 KR101491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1506A KR101491276B1 (ko) 2013-07-11 2013-07-11 에어백 장치
US14/097,106 US20150014969A1 (en) 2013-07-11 2013-12-04 Airbag device
DE102013113834.9A DE102013113834A1 (de) 2013-07-11 2013-12-11 Airbagvorrichtung
CN201310722227.2A CN104276129A (zh) 2013-07-11 2013-12-24 气囊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1506A KR101491276B1 (ko) 2013-07-11 2013-07-11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499A true KR20150007499A (ko) 2015-01-21
KR101491276B1 KR101491276B1 (ko) 2015-02-06

Family

ID=52107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1506A KR101491276B1 (ko) 2013-07-11 2013-07-11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014969A1 (ko)
KR (1) KR101491276B1 (ko)
CN (1) CN104276129A (ko)
DE (1) DE1020131138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3220B1 (en) 2012-03-19 2013-09-03 Amsafe, Inc. Structure mounted airbag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327674B2 (en) * 2014-04-02 2016-05-0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Passive air bag vent with guide
KR101620174B1 (ko) 2014-07-11 2016-05-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장치
DE102015202045A1 (de) * 2015-02-05 2016-08-11 Takata AG Airbageinheit
US9944245B2 (en) 2015-03-28 2018-04-17 Amsafe, Inc. Extending pass-through airbag occupant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07428308A (zh) 2015-04-11 2017-12-01 Am-安全公司 主动气囊排气系统
US9731678B2 (en) * 2015-11-06 2017-08-15 Hyundai Motor Company Passenger air bag apparatus for vehicle
US10604259B2 (en) 2016-01-20 2020-03-31 Amsafe,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s having extending restrai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08032830B (zh) * 2016-10-31 2019-11-0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侧气囊装置和车辆
KR102399622B1 (ko) * 2017-08-24 2022-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11254273B2 (en) * 2018-10-19 2022-02-2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nting of airbag for adjustment of cushioning surface position
CN112896088B (zh) * 2021-03-05 2022-04-22 宁波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囊袋及采用其的安全气囊装置
DE102021113620A1 (de) 2021-05-26 2022-12-01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mit einer adaptiven Entlüftungs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7355B2 (en) * 2004-04-27 2009-10-06 Autoliv Asp, Inc. Airbag cushions with optional venting for out-of-position conditions
US7722080B2 (en) * 2006-09-27 2010-05-25 Autoliv Asp, Inc. Airbag cushion with a flap vent to optionally vent gas for out-of-position conditions
US7261319B2 (en) * 2005-01-07 2007-08-28 Autoliv Asp, Inc. Airbag cushion with adaptive venting for reduced out-of-position effects
US7931299B2 (en) * 2005-09-21 2011-04-26 Tk Holdings, Inc. Low risk deployment airbag cushion
EP1790538A3 (en) * 2005-11-28 2008-09-03 Toyoda Gosei Co., Ltd. Airbag apparatus
DE102006031542A1 (de) * 2006-07-07 2008-01-10 Trw Automotive Gmbh Gassack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US7658407B2 (en) * 2006-07-19 2010-02-09 Key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active vent
US7878537B2 (en) * 2006-09-20 2011-02-01 Tk Holdings Inc. Airbag cushion
US7445237B2 (en) * 2006-09-28 2008-11-04 Chrysler Llc Air bag vent
US20100102542A1 (en) * 2007-01-12 2010-04-29 Autoliv Developement Ab Airbag device
JP5286673B2 (ja) * 2007-02-19 2013-09-11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8262130B2 (en) * 2007-07-30 2012-09-1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improved tear stitch
US8419058B2 (en) * 2008-03-21 2013-04-1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ual volume air bag
US7770926B2 (en) * 2007-08-09 2010-08-10 Autoliv Asp, Inc. Airbag adaptive venting for out-of-position occupants
KR100980931B1 (ko) * 2007-12-15 2010-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인너벤트홀을 구비한 에어백쿠션 구조
JP5125847B2 (ja) * 2008-07-23 2013-01-23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DE102008052566B4 (de) * 2008-10-21 2010-07-22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für ein Fahrzeuginsassen-Sicherheitssystem
JP4666059B2 (ja) * 2008-11-12 2011-04-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071735B1 (ko) * 2009-04-28 2011-10-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US8226118B2 (en) * 2009-08-05 2012-07-24 Autoliv Asp, Inc. Safety venting with passively closeable vents
US8491004B2 (en) * 2010-04-19 2013-07-23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US8590927B2 (en) * 2010-04-19 2013-11-26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US8696022B2 (en) * 2010-10-27 2014-04-1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variable venting
KR101356178B1 (ko) * 2011-11-28 2014-0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장치
KR101633373B1 (ko) 2012-01-09 2016-06-24 삼성전자 주식회사 Cof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76129A (zh) 2015-01-14
DE102013113834A1 (de) 2015-01-15
KR101491276B1 (ko) 2015-02-06
US20150014969A1 (en)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276B1 (ko) 에어백 장치
EP2263921B1 (en) Airbag device
KR101406409B1 (ko) 사이드에어백
US8573642B2 (en) Airbag device
KR100941262B1 (ko) 에어백 쿠션
KR102324152B1 (ko) 에어백 장치
KR100999804B1 (ko) 사이드 에어백
JP2013086708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160035344A (ko) 차량의 에어백
WO2016158022A1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180120448A (ko) 에어백 장치
US9352720B2 (en) Airbag for vehicle
KR102182901B1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KR20140136747A (ko) 사이드 에어백
KR101071735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2263721B1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KR20100031370A (ko) 에어백 모듈
KR102501381B1 (ko) 에어백 장치
KR101371621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220010181A (ko) 루프 마운팅 에어백
KR100862504B1 (ko) 사이드 에어백 쿠션
KR20170004512A (ko) 낙상방지 에어백 장치
KR20130017293A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20140042496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1020547B1 (ko) 벤트홀 조절기구가 마련된 에어백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