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742A - Air bag apparatus - Google Patents

Air ba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742A
KR20190044742A KR1020170137019A KR20170137019A KR20190044742A KR 20190044742 A KR20190044742 A KR 20190044742A KR 1020170137019 A KR1020170137019 A KR 1020170137019A KR 20170137019 A KR20170137019 A KR 20170137019A KR 20190044742 A KR20190044742 A KR 20190044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guide
airbag cushion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0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7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4742A/en
Publication of KR20190044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7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irbag apparatus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bag apparatus comprises: an airbag cushion having a vent hole portion through which gas is discharged; and an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mounted on the airbag cushion and adjusting the discharge of the gas in the vent hole portion,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comprises: a guide unit mounted on the airbag cushion to open the vent hole portion; and a vent opening and closing unit opening and closing the guide unit according to deployment of the airbag cushion.

Description

에어백 장치{AIR BAG APPARATUS}{AIR BAG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으로부터 가스의 배출을 조절하는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ba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bag device for regulating the discharge of gas from an airbag.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사고시에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기를 유입받아 에어백이 팽창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인 에어백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필요에 따라 자동차의 각 부위에 설치되는데,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있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DAB, Driver Air Bag), 조수석에 앉은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글로브 박스 상측에 장착되어 있는 조수석 에어백 장치(PAB, Passenger Air Bag),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루프레일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커튼 에어백 장치(CAB, Curtain Air Bag) 등이 제안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n automobile is provided with an airbag device, which is a safety device that protects an occupant by inflating an airbag by inflowing air from an inflator when an accident occurs. Such an airbag device is installed in each part of the vehicle as needed. In order to protect the driver sitting on the driver's seat, a driver's seat airbag device (DAB)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a glove box A passenger air bag (PAB) mounted on the upper side, and a curtain air bag device (CAB, curtain air bag) mounted along the roof rail to protect the side of a passenger.

에어백 장치들은 각각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와, 인플레이터와 연결되어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 전개됨으로서 탑승자를 보호하는 에어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irbag apparatuses each include an inflator for generating a gas and an airbag connected to the inflator and protecting the occupant by being inflated and expanded when the gas is introduced.

기존의 조수석 에어백에는 에어백이 만개시 가스가 빠져나가는 구멍인 벤트(Vent)는 액티브 벤트(Active Vent), LRD 벤트(Low Risk Deployment Vent), 일반 벤트 등으로 이루어진다. 액티브 벤트는 TRU(Tether Release Unit)에 신호 입력시 액티브 벤트 테더(Active Vent Tether)에 달려있는 끈이 떨어져 나가 개방되고, LRD 벤트는 조수석에 유아 승객이 착좌될 때 에어백에 의해 부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일반 벤트는 항상 개방된 상태로 있고, 에어백이 만개 후 가스가 빠져나가는 역할을 한다.In the existing passenger airbag, the vent which is the hole through which the gas escapes when the airbag is full is composed of Active Vent, LRD Vent (Low Risk Deployment Vent) and general vent. The active vents are designed so that when a signal is input to the tether release unit (TRU), the string attached to the active vent tether is opened and the LRD vent is opened by the airbag when the infant passenger is seated in the passenger seat , The general vent is always open, and the airbag exits the gas after full bloom.

종래기술에서 에어백 전개시 각각의 벤트가 여러개로 나뉘어져 에어백 제작에 필요한 공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티브 벤트를 구현하기 위해 별도의 TRU 구조가 적용되므로 제작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vents required for manufacturing the airbag is increased because each ven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vents when the airbag is deployed in the prior art. In addition, since a separate TRU structure is applied to realize the active ven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으로부터 가스의 배출을 조절하는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bag device for regulating the discharge of gas from an airbag.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가스가 배출되는 벤트홀부를 구비하는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에 장착되고, 상기 벤트홀부에서 가스의 배출을 조절하는 개폐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조절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에 상기 벤트홀부를 개방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를 개폐하는 벤트 개폐부를 포함한다.An airba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bag cushion having a vent hole portion through which gas is discharged; And an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mounted on the airbag cushion and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gas in the venthole unit,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includes: a guide unit mounted on the airbag cushion to open the venthole unit; And a vent opening / closing part for opening / closing the guide part according to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cushion.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에 고정되는 가이드 고정부; 상기 가이드 고정부의 일측에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벤트 개폐부에 의해 개폐되는 가이드 배출홀부; 및 상기 벤트 개폐부가 상기 에어백 쿠션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고정부의 타측에 개구되게 형성되는 가이드 관통홀부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ortion may include: a guide fixing portion fixed to the airbag cushion; A guide discharge hole portion formed to open at one side of the guide fixing portion and opened / closed by the vent opening / closing portion; And a guide through hole formed to open at the other side of the guide fixing part so that the vent opening / closing part can be connected to the airbag cushion.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 관통홀부는 상기 가이드 고정부에 편측되게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through-hole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fixing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벤트 개폐부는, 상기 가이드 배출홀부를 개폐하는 벤트 패널부; 및 일측이 상기 벤트 패널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에어백 쿠션에 고정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에 따라 상기 벤트 패널부가 상기 가이드 배출홀부를 개폐되게 하는 스트랩부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 opening / closing part may include: a vent panel part for opening / closing the guide discharge hole part; And a strap part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vent panel part and the other side fixed to the airbag cushion and the vent panel part opening and closing the guide discharge hole part according to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cushion.

본 발명에서 상기 스트랩부는 상기 벤트 패널부에 복수 개로 연결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p portion is connected to the bent panel portion in a plurality of ways.

본 발명에서 상기 스트랩부는 각각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p portions have different lengths.

본 발명에서 상기 스트랩부 중 가장 긴 길이를 가지는 상기 스트랩부는 상기 가이드 관통홀부를 통해 벤트 패널부와 상기 에어백 쿠션을 연결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p portion having the longest length of the strap portion connects the bent panel portion and the airbag cushion through the guide through-hole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벤트 개폐부는 패브릭(fabric)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 opening / closing part includes a fabric material.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면서 벤트홀부를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조절하여 승객의 목, 머리 등을 상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injury to the neck, head, etc. of the passenger by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gas through the vent hole portion while the airbag cushion is deploy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 쿠션의 벤트홀부를 통한 가스의 배출 및 차단이 조절되어 별도의 벤트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품의 중량을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and blocking of the gas through the vent hole portion of the airbag cushion is controlled, so that a separate vent configuration is not required,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 쿠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개폐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벤트 개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벤트홀부의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벤트홀부의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벤트홀부의 폐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벤트홀부의 폐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bag cushion in an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in an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nt opening / closing part in an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n state of a vent hole portion in an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n state of a vent hole portion in an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losed state of a vent hole portion in an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losed state of a vent hole portion in an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 쿠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개폐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벤트 개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벤트홀부의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벤트홀부의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벤트홀부의 폐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벤트홀부의 폐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bag cushion in an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irbag cush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nt opening / closing part in an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nt opening / clos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n state of a vent hole portion in an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ning state of a vent hole portion in an airbag device, Fig. 8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losed state of the vent hole portion in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8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losed state of the vent hole portion 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ampl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쿠션(100)과 개폐조절부(200)를 포함한다. 에어백 큐션(100)은 차량의 구조물 내에 접혀 수용되어 있어 긴급시에 가스가 공급되어 팽창 전개함과 동시에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방출 가능한 벤트홀부(110)를 구비한다. 에어백 쿠션(100)은 차량 사고시 인플레이터(미도시)에 의해 가스를 공급받아 전개된다.Referring to FIG. 1, an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bag cushion 100 and an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200. The airbag cushion 100 is folded and housed in the structure of a vehicle and has a vent hole portion 110 through which gas is supplied in an emergency and inflates and deploys and ga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airbag cushion 100 is deployed by supplying gas by an inflator (not shown) when a vehicle accident occurs.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개폐조절부(200)는 벤트홀부(110)에 장착되고, 벤트홀부(110)에서 가스의 배출을 조절한다. 개폐조절부(200)는 가이드부(210)와 벤트개폐부(23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210)는 벤트홀부(110)에 벤트홀부(110)가 개방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가이드 고정부(211), 가이드 배출홀부(213), 가이드 관통홀부(21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2 to 4,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200 is mounted on the vent hole part 110 and regulates the discharge of gas in the vent hole part 110. [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200 includes a guide part 210 and a vent opening / closing part 230. The guide part 210 is mounted on the vent hole part 110 so as to open the vent hole part 110 and includes a guide fixing part 211, a guide discharge hole part 213 and a guide through hole part 215.

가이드 고정부(211)는 에어백 쿠션(100)에 봉제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벤트홀부(110)가 개방되게 에어백 쿠션(100)에 고정된다. 가이드 배출홀부(211)는 가이드 고정부(211)의 일측(도 3 기준 상부 양측)에 개구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벤트 개폐부(230)에 의해 개폐되면서 벤트홀부(110)를 통해 가스가 배출 또는 차단된다. 가이드 배출홀부(213)는 벤트홀부(110)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 The guide fixing portion 211 is sewn and fixed to the airbag cushion 100 and is fixed to the airbag cushion 100 so that the vent hole portion 110 is opened. The guide discharge hole portion 211 is formed to open at one side of the guide fixing portion 211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FIG. 3) and is opened / closed by the vent opening / closing portion 230, do. The guide discharge hole portion 213 is formed to be smaller in size than the vent hole portion 110.

가이드 관통홀부(215)는 벤트 개폐부(230)의 스트랩부(237)가 관통되어 에어백 쿠션(100)의 내측면에 연결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가이드 고정부(211)의 타측에 개구되게 형성된다. 가이드 관통홀부(215)는 스트랩부(237)가 관통될 수 있는 크기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가이드 관통홀부(215)는 가이드 고정부(211)에 편측(도 3 기준 하측으로 편측)되게 형성된다. 가이드 관통홀부(215)가 가이드 고정부(211)에 편측되게 형성되어, 에어백 쿠션(100) 전개시 스트랩부(237)가 당겨지게 되면 스트랩부(237)의 상부에 배치된 벤트 패널부(231)가 가이드 배출홀부(213) 전체를 커버하게 되어 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guide through hole 215 is formed to penetrate the strap portion 237 of the vent opening and closing part 230 and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irbag cushion 100 and to open at the other side of the guide fixing part 211. The guide through hole 215 is formed to be open to such an extent that the strap portion 237 can penetrate. The guide through hole 21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fixing portion 211 (one side toward the lower side of FIG. 3). The guide through hole 215 is formed on the guide fixing part 211 so that the vent panel part 231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rap part 237 when the strap part 237 is pulled when the airbag cushion 100 is deployed Can cover the entire guide discharge hole 213 and can prevent gas from being discharged.

벤트 개폐부(230)는 에어백 쿠션(100)의 전개에 따라 가이드부(210)의 가이드부(210)의 가이드 배출홀부(213)를 개폐한다. 가이드 배출홀부(213)가 개방 또는 폐쇄되면서 에어백 쿠션(100) 내부에 있는 가스의 배출 여부가 조절된다. The vent opening and closing part 230 opens and closes the guide discharge hole 213 of the guide part 210 of the guide part 210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airbag cushion 100. The guide discharge hole portion 213 is opened or closed to control whether or not the gas inside the airbag cushion 100 is exhausted.

벤트 개폐부(230)는 벤트 패널부(231)와 스트랩부(237)를 포함한다. 벤트 패널부(231)와 스트랩부(237)을 포함하는 벤트 개폐부(230)는 패브릭(fabric)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벤트 개폐부(230)는 섬유로 이루어진 패브릭(fabric) 재질을 포함하여 에어백 쿠션(100)의 전개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진다.The vent opening / closing part 230 includes a vent panel part 231 and a strap part 237. The vent opening / closing part 230 including the vent panel part 231 and the strap part 237 includes a fabric material. The vent opening / closing part 230 includes a fabric material made of fibers and is folded or unfolded according to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cushion 100.

벤트 패널부(231)는 가이드 배출홀부(231)를 개폐하는 것으로, 에어백 쿠션(100)의 전개에 따라 가이드 배출홀부(231)에 끼워져 가이드 배출홀부(231)와 벤틀홀부(110)를를 폐쇄하여 가스의 배출을 차단하거나, 가이드 배출홀부(231)와 벤트홀부(110)를 개방하여 가스가 배출되게 한다. 벤트 패널부(231)는 가이드 배출홀부(231)와 벤트홀부(110)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가이드 배출홀부(231)를 통해 벤트홀부(11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vent panel section 231 opens and closes the guide discharge hole section 231 and is fitted into the guide discharge hole section 231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f the airbag cushion 100 to close the guide discharge hole section 231 and the vent hole section 110 The gas discharge is blocked or the guide discharge hole portion 231 and the vent hole portion 110 are opened to discharge the gas. The vent panel part 231 is formed to have a size capable of closing the guide discharge hole part 231 and the vent hole part 110 and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vent hole part 110 through the guide discharge hole part 231.

스트랩부(237)는 일측이 벤트 패널부(231)에 고정되고, 타측이 에어백 쿠션(100)에 고정된다. 스트랩부(237)는 에어백 쿠션(100)의 전개에 따라 벤트 패널부(231)가 가이드 배출홀부(213)를 개폐한다. One side of the strap portion 237 is fixed to the vent panel portion 231,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airbag cushion 100. The strap portion 237 opens and closes the guide discharge hole portion 213 with the vent panel portion 231 according to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cushion 100.

즉, 에어백 쿠션(100)이 전개되면서 에어백 쿠션(100)에 고정된 스트랩부(237)가 당겨지면서 벤트 패널부(231)가 가이드 배출홀부(231)에 끼워지면서 가이드 배출홀부(231)와 벤트홀부(110)를 커버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0)에서 벤트홀부(110)를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것이 차단된다.That is, when the airbag cushion 100 is deployed and the strap portion 237 fixed to the airbag cushion 100 is pulled, the vent panel portion 231 is fitted into the guide discharge hole portion 231, and the guide discharge hole portion 231, And covers the hole portion 110. Therefore, gas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airbag cushion 100 through the vent hole portion 110.

에어백 쿠션(100)이 폴딩되어 있거나 승객이 에어백 쿠션(100)에 로딩되어, 에어백 쿠션(100)의 형태가 내측으로 변형되면 스트랩부(237)가 느슨해져 에어백 쿠션(100) 내부 압력에 의해 벤트 패널부(231)가 밖으로 벌어지면서 벤트홀부(110)가 개방되어 가스가 배출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0)에서 벤트홀부(110)를 통해 가스가 배출되면서 승객이 에어백 쿠션(100)과의 접촉에 의한 부상 발생이 방지된다.When the airbag cushion 100 is folded or a passenger is loaded on the airbag cushion 100 and the shape of the airbag cushion 100 is deformed inward, the strap portion 237 is loosened, The ventilation hole portion 110 is opened and the gas is exhausted. Accordingly, while the gas is discharged from the airbag cushion 100 through the vent hole 110, the occurrence of injury due to the contact of the passenger with the airbag cushion 100 is prevented.

스트랩부(237)는 벤트 패널부(231)에 복수 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트랩부(237)는 제1스트랩부(233), 제2스트랩부(234), 제3스트랩부(235), 제4스트랩부(236)으로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한다. 스트랩부(237)의 제1스트랩부(233), 제2스트랩부(234), 제3스트랩부(235), 제4스트랩부(236)는 각각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진다. 제1스트랩부(233), 제2스트랩부(234), 제3스트랩부(235), 제4스트랩부(236)는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져 에어백 쿠션(100)의 전개시 벤트 패널부(231)가 가이드 배출홀부(213)와 벤트홀부(110)를 전체를 빠짐없이 커버할 수 있다. 제1스트랩부(233), 제2스트랩부(234), 제3스트랩부(235), 제4스트랩부(236)는 벤트 패널부(231)에 봉제된다.A plurality of strap portions 237 are connected to the vent panel portion 231. The strap portion 237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strap portion 233, the second strap portion 234, the third strap portion 235, and the fourth strap portion 236 . The first strap portion 233, the second strap portion 234, the third strap portion 235 and the fourth strap portion 236 of the strap portion 237 have different lengths. The first strap portion 233, the second strap portion 234, the third strap portion 235 and the fourth strap portion 236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so that the vent panel portion 231 Can completely cover the guide discharge hole portion 213 and the vent hole portion 110. The first strap portion 233, the second strap portion 234, the third strap portion 235 and the fourth strap portion 236 are sewn to the vent panel portion 23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스트랩부(233), 제2스트랩부(234), 제3스트랩부(235), 제4스트랩부(236)의 길이는 제1스트랩부(233) > 제2스트랩부(234) > 제3스트랩부(235) > 제4스트랩부(236)로 이루어진다. The length of the first strap portion 233, the second strap portion 234, the third strap portion 235 and the fourth strap portion 236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such that the length of the first strap portion 233> A second strap portion 234, a third strap portion 235, and a fourth strap portion 236. [

스트랩부(237) 중 가장 긴 길이를 가지는 제1스트랩부(233)는 가이드 관통홀부(215)를 통해 벤트 패널부(231)와 에어백 쿠션(100)을 연결한다. 제1스트랩부(233)는 벤트 패널부(231)와 에어백 쿠션(100)에 봉제되어 고정된다. 제2스트랩부(234), 제3스트랩부(235), 제4스트랩부(236)는 제1스트랩부(233)에서 분기되어 벤트 패널부(231)에 봉제된다. 제1스트랩부(233), 제2스트랩부(234), 제3스트랩부(235), 제4스트랩부(236)는 길이가 서로 다르고, 벤트 패널부(231)에 비대칭 형상으로 봉제된다.The first strap portion 233 having the longest length among the strap portions 237 connects the bent panel portion 231 to the airbag cushion 100 through the guide through hole portion 215. The first strap portion 233 is sewn and fixed to the vent panel portion 231 and the airbag cushion 100. The second strap portion 234, the third strap portion 235 and the fourth strap portion 236 are branched at the first strap portion 233 and sewed to the vent panel portion 231. [ The first strap portion 233, the second strap portion 234, the third strap portion 235 and the fourth strap portion 236 have different lengths and are sewn to the bent panel portion 231 in an asymmetrical shape.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에어백 쿠션(100)이 폴딩되어 있는 초기 상태이고, 도 7 및 도 8은 에어백 쿠션(100)이 계속 전개되어 만개된 상태를 나타낸다.The operation of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Figs. 5 and 6 show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airbag cushion 100 is folded, and Figs. 7 and 8 show a state in which the airbag cushion 100 is continuously expanded and fully opened.

본 발명의 일 실시에서 에어백 장치의 초기 상태는 에어백 쿠션(100)이 폴딩되어 있어 스트랩부(237)이 느슨해져 있고 벤트홀부(110)가 개방되어 있다. 벤트홀부(110)가 개방되어 가스가 배출되어 승객이 에어백 쿠션(100)과의 충격에 의해 부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벤트홀부(110)가 개방되어 가스가 배출되어, 이 상태에서 벤트홀부(110)는 LRD 벤트 기능을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itial state of the airbag apparatus is such that the airbag cushion 100 is folded so that the strap portion 237 is loosened and the vent hole portion 110 is opened. The vent hole portion 110 is opened so that the gas is discharged and the passenger is prevented from being floated by the impact with the airbag cushion 100. That is, the vent hole portion 110 is opened and the gas is discharged. In this state, the vent hole portion 110 functions as an LRD vent.

에어백 쿠션(100)이 계속 전개되면, 에어백 쿠션(100)에 고정된 스트랩부(237)이 당겨져서 벤트 패널부(231)가 가이드 배출홀부(213)에 끼워지면서 벤트홀부(110)를 막게 된다. 에어백 쿠션(100)의 내부는 충분한 내압 상태로 있게 되어, 에어백 쿠션(100)은 승객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airbag cushion 100 continues to be deployed, the strap portion 237 fixed to the airbag cushion 100 is pulled so that the vent panel portion 231 fits into the guide discharge hole portion 213 and blocks the vent hole portion 110 . The inside of the airbag cushion 100 is in a sufficient pressure-resistant state so that the airbag cushion 100 can protect the passenger from impact.

그리고, 승객의 얼굴 등의 신체가 에어백 쿠션(100)에 로딩되는 경우, 팽창에 의해 닫혀 잇던 벤트홀부(110)는 승객의 로딩으로 스트랩부(237)가 느슨해지며, 에어백 쿠션(100) 내부 압력이 닫혀 있던 벤트 패널부(231)를 에어백 쿠션(100)의 외부로 밀어 낸다. 이때 벤트홀부(110)와 가이드 배출홀부(213)이 개방되어, 에어백 쿠션(100)은 소프트한 쿠션 상태를 이루게 되어 승객을 보호한다. When the body of the passenger or the like is loaded on the airbag cushion 100, the strap portion 237 is loosened due to the loading of the passenger in the vent hole portion 110 closed by the inflation, The vent panel part 231 that has been closed is pushed out of the airbag cushion 100. At this time, the vent hole portion 110 and the guide discharge hole portion 213 are opened, and the airbag cushion 100 is softly cushioned to protect the passenger.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 쿠션(100)이 전개되면서 벤트홀부(110)를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조절하여 승객의 목, 머리 등을 상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injury to the neck, head, etc. of the passenger by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gas through the vent hole portion 110 while the airbag cushion 100 is deploy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 쿠션(100)의 벤트홀부(110)를 통한 가스의 배출 및 차단이 조절되어 별도의 벤트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품의 중량을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and blocking of gas through the vent hole 110 of the airbag cushion 100 is controlled so that a separate vent configuration is not required,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에어백 쿠션 110: 벤트홀부
200: 개폐조절부 210: 가이드부
211: 가이드 고정부 213: 가이드 배출홀부
215: 가이드 관통홀부 230: 벤트 개폐부
231: 벤트 패널부 233: 제1스트랩부
234: 제2스트랩부 235: 제3스트랩부
236: 제4스트랩부 237: 스트랩부
100: air bag cushion 110: vent hole portion
200: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210: guide part
211: guide fixing portion 213: guide discharge hole portion
215: Guide through hole 230: Vent opening /
231: vent panel portion 233: first strap portion
234: second strap portion 235: third strap portion
236: fourth strap portion 237: strap portion

Claims (8)

가스가 배출되는 벤트홀부를 구비하는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에 장착되고, 상기 벤트홀부에서 가스의 배출을 조절하는 개폐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조절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에 상기 벤트홀부를 개방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를 개폐하는 벤트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An airbag cushion having a vent hole portion through which gas is discharged;
And an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mounted on the airbag cushion and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gas in the vent hole part,
The opening /
A guide portion mounted on the airbag cushion to open the vent hole portion; And
And a vent opening / closing part for opening / closing the guide par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airbag cush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에 고정되는 가이드 고정부;
상기 가이드 고정부의 일측에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벤트 개폐부에 의해 개폐되는 가이드 배출홀부; 및
상기 벤트 개폐부가 상기 에어백 쿠션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고정부의 타측에 개구되게 형성되는 가이드 관통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portion
A guide fixing part fixed to the airbag cushion;
A guide discharge hole portion formed to open at one side of the guide fixing portion and opened / closed by the vent opening / closing portion; And
And a guide through hole formed i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fixing part so that the vent opening / closing part can be connected to the airbag cush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관통홀부는 상기 가이드 고정부에 편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uide hole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fix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개폐부는,
상기 가이드 배출홀부를 개폐하는 벤트 패널부; 및
일측이 상기 벤트 패널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에어백 쿠션에 고정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에 따라 상기 벤트 패널부가 상기 가이드 배출홀부를 개폐되게 하는 스트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ent opening /
A vent panel part for opening / closing the guide discharge hole part; And
And a strap part for fixing the vent panel part to the vent panel part and fixing the other part to the airbag cushion an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uide vent hole par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airbag cush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는 상기 벤트 패널부에 복수 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rap portions are connected to the bent panel portion in a plurality of way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는 각각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rap portions have different length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 중 가장 긴 길이를 가지는 상기 스트랩부는 상기 가이드 관통홀부를 통해 벤트 패널부와 상기 에어백 쿠션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rap portion having the longest length of the strap portion connects the bent panel portion and the airbag cushion through the guide through hol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개폐부는 패브릭(fabric)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nt opening / closing part includes a fabric material.
KR1020170137019A 2017-10-23 2017-10-23 Air bag apparatus KR201900447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019A KR20190044742A (en) 2017-10-23 2017-10-23 Air ba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019A KR20190044742A (en) 2017-10-23 2017-10-23 Air ba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742A true KR20190044742A (en) 2019-05-02

Family

ID=6658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019A KR20190044742A (en) 2017-10-23 2017-10-23 Air ba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474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0925B2 (en) Airbag protection flap
JP6781118B2 (en) Adaptive knee airbags for car passenger restraints
US8430425B2 (en) Airbag assembly
CN110520333B (en) Airbag device
KR100999804B1 (en) Side air bag
JP2005186891A (en)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KR20150007499A (en) Airbag device
KR20190084622A (en) Air bag device for panorama roof
KR20190071509A (en) Air bag device for panorama roof
KR20160025369A (en) Passenger Airbag of Vehicle
US9352720B2 (en) Airbag for vehicle
KR20190071508A (en) Air bag device for panorama roof
KR20130038692A (en) Passenger airbag apparatus
KR20110129723A (en) Passenger airbag apparatus
KR20160020880A (en) Driven Airbag Of Vehicle
KR20110138674A (en) Passenger airbag apparatus
KR20120121614A (en) An airbag apparatus
US20210086717A1 (en) Airbag device
KR20190044742A (en) Air bag apparatus
US20040262898A1 (en) Vented air bag
KR20140042496A (en) Air-bag apparatus for vehicles
KR20170136675A (en) Airbag apparatus for reducing injury
KR20100004395A (en) Driver seat air bag module of vehicles
KR20190045613A (en) Air bag apparatus
KR101695221B1 (en) Airbag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