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511A - 카트리지, 및 인쇄재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및 인쇄재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511A
KR20160007511A KR1020157030868A KR20157030868A KR20160007511A KR 20160007511 A KR20160007511 A KR 20160007511A KR 1020157030868 A KR1020157030868 A KR 1020157030868A KR 20157030868 A KR20157030868 A KR 20157030868A KR 20160007511 A KR20160007511 A KR 20160007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printing material
printing
contact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8215B1 (ko
Inventor
다쿠미 나가시마
유지 아오키
유키 다케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7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B41J2/1753Details of contacts on the cartridge, e.g. protection of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Abstract

카트리지는 인쇄재 수용부와; 인쇄재 수용부의 인쇄재를, 인쇄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인쇄재 공급부와; 서로 대향하는 제 1 면 및 제 2 면과;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과 교차하는 제 3 면과; 제 3 면과 대향하는 제 4 면과; 제 3 면 중, 제 2 면보다 제 1 면측에 설치된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로서, 인쇄 장치의 장치측 결합 구조체와 결합하기 위한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와; 제 1 면의 제 4 면측의 일 단부와, 제 4 면의 제 1 면측의 일 단부가 위치하는 영역에 설치되고, 인쇄 장치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를 포함한다. 접촉부에 의해서 규정되는 접촉면은 제 4 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Description

카트리지, 및 인쇄재 공급 시스템{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본 출원은 2013년 5월 15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3-103008 호 및 2014년 2월 12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4-24059 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이들 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원에 인용한다.
본 발명은 인쇄재를 수용하기 위한 카트리지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인쇄 장치의 일례인 프린터에 잉크를 공급하는 기술로서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카트리지(간단히 "카트리지"라고도 한다)를 이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카트리지는, 인쇄재로서의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인쇄재 수용부와, 인쇄재 수용부의 잉크를 프린터에 공급하기 위한 인쇄재 공급부를 구비한다. 또한, 카트리지는 인쇄 장치에 대해서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측면에 배치된 회로 기판과, 제 1 측면과 대향하는 제 2 측면에 배치된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를 구비하는 카트리지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8-137376 호 공보). 회로 기판은 인쇄 장치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한다.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는 프린터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된 장치측 결합 구조체와 결합하고,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과는 반대 방향에의 이동을 해제 가능하게 규제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8-137376 호 공보
여기서,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를 구비한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하는 경우에,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생길 가능성이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었을 경우에, 카트리지의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에서 카트리지를 협지하도록 카트리지 장착부로부터 외력이 가해진다. 이 외력이 너무 커지면,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로부터 꺼내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카트리지를 협지하는 외력이 편중하면 카트리지에 기울기나 회전이 생겨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부로부터 꺼내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이 기울기나 회전에 의해, 회로 기판의 접촉부와 인쇄 장치와의 접촉이 불량이 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의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뤄진 것이며, 이하의 형태로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인쇄 장치에 인쇄재를 공급하기 위한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는, 상기 인쇄재를 수용 가능한 인쇄재 수용부와, 상기 인쇄재 수용부의 상기 인쇄재를, 상기 인쇄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인쇄재 공급부와, 서로 대향하는 제 1 면 및 제 2 면과,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과 교차하는 제 3 면과, 상기 제 3 면과 대향하는 제 4 면과, 상기 제 3 면 중, 상기 제 2 면보다 상기 제 1 면측에 설치된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로서, 상기 인쇄 장치의 장치측 결합 구조체와 결합하기 위한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와, 상기 제 1 면의 상기 제 4 면측의 일 단부와, 상기 제 4 면의 상기 제 1 면측의 일 단부가 위치하는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인쇄 장치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에 의해서 규정되는 접촉면은 상기 제 4 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이 형태의 카트리지에 의하면, 접촉면이 제 4 면과 평행이 아니고, 제 4 면에 대해서 소정 방향에 따라서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가 인쇄 장치와 접촉하거나, 또한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가 인쇄 장치의 장치측 결합 구조체와 결합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 인쇄 장치로부터 카트리지에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서도, 카트리지를 협지하는 방향으로 카트리지에 대해서 가해지는 힘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를 인쇄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2) 상기 형태의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 1 면, 상기 제 2 면, 상기 제 3 면, 및 상기 제 4 면과 교차하는 제 5 면과, 상기 제 5 면과 대향하는 제 6 면과, 상기 접촉부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한다. 복수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 5 면과 상기 제 6 면이 대향하는 폭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 1 접촉부를 구비하는 제 1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 중 상기 장치측 결합 구조체와 결합하기 위한 부분인 결합부는, 상기 제 1 단자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폭 방향에 대해 수직인 가상 평면을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형태의 카트리지에 의하면, 결합부가, 제 1 단자를 통과하고 또한 폭 방향에 대해 수직인 가상 평면을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카트리지의 인쇄 장치에 대한 위치는, 결합부와 장치측 결합 구조체와의 결합에 의해서 어느 정도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결합부가, 가상 평면을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복수의 단자의 인쇄 장치에 대한 위치 결정을 정밀도 좋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가 가상 평면을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가상 평면상에 있어서 결합부와 제 1 단자로 카트리지를 협지할 수 있고, 카트리지의 회전이나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를 인쇄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예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인쇄재 공급부의 일단에 공급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구는 상기 가상 평면을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공급구를 통해 인쇄 장치의 일부분인 유통관이 인쇄재 공급부 내로 삽입된다. 유통관이 인쇄재 공급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인쇄 장치에 대한 카트리지의 위치 결정을 한다. 따라서, 이 형태의 카트리지에 의하면, 공급구가 가상 평면을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복수의 단자의 인쇄 장치에 대한 위치 결정을 정밀도 좋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공급구에 의해서, 인쇄 장치에 대한 카트리지의 위치 결정이 정밀도 좋게 행해지는 것으로, 가상 평면을 통과하는 결합부 및 제 1 단자가 설계된 위치에 정밀도 좋게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결합부 및 제 1 단자로 카트리지를 안정되어 협지할 수 있으므로, 카트리지의 회전이나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회전이나 기울기를 억제하는 것으로, 카트리지를 인쇄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4) 상기 실시예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는 상기 가상 평면을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형태의 카트리지에 의하면, 복수의 접촉부 중 폭 중앙에 위치하는 제 1 접촉부가 가상 평면을 통과하는 것으로, 복수의 단자의 각각의 인쇄 장치에 대한 위치 결정을 정밀도 좋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공급구가 가상 평면을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가상 평면상에 있어서 결합부, 및 제 1 접촉부에서 카트리지를 협지할 수 있고, 카트리지의 회전이나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를 인쇄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5) 상기 형태의 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쇄재 공급부의 일단에 공급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구는 상기 제 4 면보다 상기 제 3 면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형태의 카트리지에 의하면, 공급구가 제 4 면보다 제 3 면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공급구와, 제 1 면과 제 4 면이 교차하는 코너부에 배치된 접촉부와의 거리를 벌릴 수 있다. 따라서, 공급구로부터 인쇄재가 누출한 경우에서도, 접촉부에 인쇄재가 부착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와 인쇄 장치와의 접촉을 양호하게 도모할 수 있다.
(6) 상기 형태의 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면은 상기 제 2 면에 접속된 일 단부면과, 상기 제 1 면에 접속된 타 단부면으로서, 상기 일 단부면보다 상기 제 4 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타 단부면을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는 상기 타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실시예의 카트리지에 의하면,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는 일 단부면보다 제 4 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타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3 면과 제 4 면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대한 카트리지의 제 1 면측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제 1 면측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것으로, 인쇄 장치 중 장치측 결합 구조체가 위치하는 부분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인쇄 장치와 회로 기판의 접촉부와의 접촉 불량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7) 상기 형태의 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인쇄재 공급부에 삽입되는 유통관과, 상기 인쇄재를 포착하기 위한 인쇄재 리시버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재 공급부는 일단에 공급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구는, 상기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가 상기 장치측 결합 구조체와 결합하기 전에, 상기 인쇄재 리시버의 상방에 위치해도 좋다.
이 형태의 카트리지에 의하면,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와 장치측 결합 구조체가 결합하기 전에, 공급구가 인쇄재 리시버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쇄재가 공급구로부터 제 3 면측으로 누출되었다고 해도, 인쇄재 리시버에 의해서 누출된 인쇄재를 포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공급구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와 장치측 결합 구조체가 인쇄재에 의해서 오염될 가능성을 억제하고, 카트리지를 적절히 협지할 수 있고, 카트리지의 회전이나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다.
(8) 상기 형태의 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인쇄재를 받아들이는 유통관과, 상기 인쇄재를 포착하기 위한 인쇄재 리시버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재 공급부는 일단에 공급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면은, 상기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가 상기 장치측 결합 구조체와 결합하기 전에, 상기 인쇄재 리시버를 사이에 두는 위치 관계가 되어도 좋다.
이 형태의 카트리지에 의하면,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와 장치측 결합 구조체가 결합하기 전에, 공급구와 제 3 면이 인쇄재 리시버를 사이에 두는 위치 관계가 된다. 이 위치 관계에 의해서, 인쇄재가 공급구로부터 제 3 면측으로 누출되었다고 해도, 인쇄재 리시버에 의해서 누출된 인쇄재를 포착할 수 있다. 공급구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와 장치측 결합 구조체가 인쇄재에 의해서 오염될 가능성을 억제하고, 카트리지를 적절히 협지할 수 있고, 카트리지의 회전이나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다.
(9) 상기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는 상기 제 3 면에 형성된 홈 구조체이다. 상기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는,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제 2 면으로 향해 연장되어 상기 장치측 결합 구조체를 받아들이는 리시버부와, 상기 리시버부에 접속되고,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의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로서, 상기 장치측 결합 구조체를, 상기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와 결합하는 결합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안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인쇄재 리시버보다 짧아도 좋다.
이 형태의 카트리지에 의하면, 안내부는 인쇄재 리시버보다 짧기 때문에, 적어도 안내부에 장치측 결합 구조체가 위치하는 동안은, 인쇄재 리시버에 의해서 공급구로부터 제 3 면측으로 향해 누출된 인쇄재를 포착할 수 있다. 공급구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와 장치측 결합 구조체가 인쇄재에 의해서 오염될 가능성을 억제하고, 카트리지를 적절히 협지할 수 있고, 카트리지의 회전이나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다.
(10) 상기 형태의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제 4 면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인쇄재 수용부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를 더 구비한다.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제 1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을 포함하지 않는 제 1 용기 본체와, 상기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면을 포함하지 않는 제 2 용기 본체로서, 상기 제 1 용기 본체와 분리 가능한 제 2 용기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는 상기 제 1 용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제 2 용기 본체의 덜컹거림 등에 기인하는 인쇄 장치와 회로 기판의 접촉부와의 접촉 불량, 또는 카트리지의 회전이나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다.
(11) 상기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기 본체는 상기 제 2 용기 본체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 2 용기 본체와의 사이에는 유격(play)이 있어도 좋다.
상기 형태의 카트리지에 의하면, 제 2 용기 본체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와 제 2 용기 본체와의 사이에는 유격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용기 본체의 덜컹거림 등에 기인하는 인쇄 장치와 회로 기판의 접촉부와의 접촉 불량, 또는 카트리지의 회전이나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다.
(12)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의하면, 인쇄 장치와 카트리지를 구비한 인쇄재 공급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 형태의 인쇄재 공급 시스템에 의하면, 상술된 형태 및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와, 상기 인쇄재 공급 부내에 삽입되는 유통관을 구비하는 인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를 결합하기 위한 장치측 결합 구조체와, 상기 접촉부와 접촉하는 접촉 기구를 구비한다.
이 형태의 인쇄재 공급 시스템에 의하면, 카트리지를 인쇄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각 형태가 갖는 복수의 구성요소는 모든 것이 필수의 것이 아니고, 상술의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서, 적당,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의 일부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그 변경, 삭제,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와의 교환, 한정 내용의 일부 삭제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의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서, 상술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포함되는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포함되는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와 조합하고, 본 발명의 독립한 한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인쇄재 수용부와, 인쇄재 공급부와, 제 1 면과, 제 2 면과, 제 3 면과, 제 4 면과,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와, 접촉부와의 복수의 요소 중의 1개 이상의 요소를 구비한 장치로 해도 실현 가능하다. 즉, 이 장치는 인쇄재 수용부를 갖고 있어도 좋고,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 장치는 인쇄재 공급부를 갖고 있어도 좋고,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 장치는, 제 1 면을 갖고 있어도 좋고,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 장치는 제 2 면을 갖고 있어도 좋고,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 장치는 제 3 면을 갖고 있어도 좋고,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 카트리지는 제 4 면을 갖고 있어도 좋고,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 장치는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를 갖고 있어도 좋고,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 장치는 접촉부를 구비해도 좋고,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러한 장치는, 예를 들면 카트리지로서 실현될 수 있지만, 카트리지 이외의 다른 장치로서도 실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카트리지, 인쇄재 공급 시스템,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인쇄 공급 시스템의 제조 방법, 카트리지와 카트리지를 착탈 자재로 장착할 수 있는 카트리지 장착부를 구비한 유닛 등의 태양으로 실현될 수 있다.
도 1은 인쇄재 공급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 장착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F2-F2 단면도이다.
도 4는 카트리지 장착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카트리지 장착부의 제 1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카트리지 장착부의 제 2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카트리지 장착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F4-F4 단면도이다.
도 9는 장치측 결합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카트리지의 제 1 외관 사시도이다.
도 11은 카트리지의 제 2 외관 사시도이다.
도 12는 회로 기판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회로 기판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카트리지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카트리지의 상면도이다.
도 16은 카트리지의 제 1 측면도이다.
도 17은 카트리지의 저면도이다.
도 18은 카트리지의 배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0은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유로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 1 설명도이다.
도 23은 제 2 설명도이다.
도 24는 제 3 설명도이다.
도 25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제 1 도면이다.
도 26은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제 2 도면이다.
도 27은 제 2 실시형태의 인쇄재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도 27의 F27-F27 단면도이다.
도 29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카트리지의 접촉면에 관한 변형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a는 카트리지의 접촉면에 관한 변형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b는 가상적인 접촉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c는 도 31b를 -X축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1d는 가상적인 접촉면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카트리지의 형상에 관한 변형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카트리지의 형상에 관한 변형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4는 회로 기판의 단자 형상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5는 회로 기판의 단자 형상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6은 회로 기판의 단자 형상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7은 제 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은 제 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이하의 순서로 설명한다.
A, B. 실시형태
C, D. 변형예
A. 제 1 실시형태
A-1. 인쇄재 공급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인쇄재 공급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서로 직교하는 XYZ축이 도시되어 있다. 이 이후에 도시하는 도면에 대해서도 필요에 따라서 XYZ축을 부여하고 있다. 도 1의 XYZ축은 다른 도면 XYZ축에도 대응하고 있다. 인쇄재 공급 시스템(1)은 카트리지(4)와, 인쇄 장치로서의 프린터(10)를 구비한다. 인쇄재 공급 시스템(1)에 있어서, 프린터(10)의 카트리지 장착부(6)에, 카트리지(4)가 착탈 자재로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10)는 인쇄재로서의 잉크를 헤드(22)로부터 토출하는 잉크젯 프린터이다. 프린터(10)는 카트리지 장착부(6)와, 제어부(31)와, 캐리지(20)와, 헤드(22)와, 구동 기구(30)를 구비한다. 또한, 프린터(10)는 프린터(10)의 동작을 이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15)을 구비한다.
카트리지 장착부(6)에는, 복수의 카트리지(4)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색(블랙, 옐로우, 마젠다, 시안) 잉크에 대응해서 4 종류의 카트리지(4)가 1개씩, 즉 합계 4개의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10)에서는, 전면(+Y축 방향측의 면)에 교환용 커버(13)가 설치되어 있다. 교환용 커버(13)의 +Z축 방향측을 앞측(+Y축 방향측)으로 넘어뜨리면, 카트리지 장착부(6)의 개구가 나타나고, 카트리지(4)의 착탈이 가능해진다. 카트리지 장착부(6)에 카트리지(4)가 장착되면, 튜브(24)를 거쳐서 캐리지(20)에 설치된 헤드(22)에 잉크가 공급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린터(10)의 펌프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카트리지(4) 내의 잉크를 흡인하는 것으로, 잉크가 헤드(22)에 공급된다. 또한, 튜브(24)는 잉크의 종류마다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된 상태를 "장착 상태"라고도 부른다.
헤드(22)에는, 잉크의 종류마다 노즐이 설치되어 있다. 헤드(22)는, 분사 노즐로부터 인쇄 용지(2)로 향해 잉크를 분사해서 문자나 화상 등의 데이터를 인쇄한다. 또한,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하는 태양이나, 카트리지(4) 및 카트리지 장착부(6)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린터(10)는, 카트리지 장착부(6)가 캐리지(20)의 움직임과는 연동하지 않는, 이른바 "오프 캐리지 타입"이라고 불리는 프린터이다. 캐리지(20)에 카트리지 장착부(6)가 설치되고, 캐리지(20)와 함께 카트리지 장착부(6)가 이동하는, 이른바 "온 캐리지 타입"이라고 불리는 프린터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31)는 프린터(10)의 각 부(部)의 제어나, 카트리지(4)와의 사이에 신호의 주고받음을 실시한다. 캐리지(20)는 헤드(22)를 인쇄 용지(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구동 기구(30)는 제어부(3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해서 캐리지(20)를 왕복 이동시킨다. 구동 기구(30)는 타이밍 벨트(32)와 구동 모터(34)를 구비한다. 타이밍 벨트(32)를 거쳐서 구동 모터(34)의 동력을 캐리지(20)에 전달하는 것에 의해서, 캐리지(20)가 주 주사 방향(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또한, 프린터(10)는 인쇄 용지(2)를 부 주사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반송 기구를 구비한다. 인쇄가 행해질 때, 반송 기구에 의해서 인쇄 용지(2)가 부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고, 전면 커버(11)상에 인쇄 완료 후의 인쇄 용지(2)가 출력된다.
또한, 캐리지(20)를 주 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킨 인쇄 영역외의 위치에는, 홈 포지션으로 불리는 영역이 설치되어 있고, 홈 포지션에는, 정상적으로 인쇄 가능하도록 메인터넌스를 실시하는 메인터넌스 기구가 탑재되어있다. 메인터넌스 기구는 캡 부재(8)나, 승강 기구(도시하지 않음)나, 흡인 펌프(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캡 부재(8)는 헤드(22)의 저면측(인쇄 용지(2)와 서로 마주 보는 측)에서 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면(노즐면)에 가압되고, 분사 노즐을 둘러싸도록 폐공간을 형성한다. 승강 기구는 헤드(22)의 노즐면에 가압하기 위해서 캡 부재(8)를 승강시킨다. 흡인 펌프는 캡 부재(8)가 헤드(22)의 노즐면에 가압되는 것으로 형성되는 폐공간에 부압을 도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쇄재 공급 시스템(1)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인쇄 용지(2)를 반송하는 부 주사 방향에 따른 축을 Y축으로 하고, 중력 방향(상하 방향)에 따른 축을 Z축으로 하고, 캐리지(20)의 이동 방향(좌우 방향)에 따른 축을 X축으로 한다. 여기서, "인쇄재 공급 시스템(1)의 사용 상태"란, 수평인 면에 인쇄재 공급 시스템(1)이 설치된 상태를 말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 주사 방향(전 방향)을 +Y축 방향, 그 역 방향(후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하고, 중력 방향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하는 방향(상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그 역 방향(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한다. 또한, 인쇄재 공급 시스템(1)을 전측(+Y축 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하고, 그 역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될 때의 장착 방향이 -Y축 방향이며,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이 +Y축 방향이다. 따라서, 카트리지 장착부(6) 중, -Y축 방향측을 안쪽측이라고도 부르고, +Y축 방향측을 앞측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 내에 있어서의 배열 방향이 X축 방향이다.
도 2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정면도이다. 도 2에서는, 1개의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있어서, X축 방향을 "폭 방향", Z축 방향을 "높이 방향", Y축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고도 부른다.
카트리지 장착부(6)는 카트리지(4)를 수용하기 위한 카트리지 수용실(60)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카트리지 수용실(60) 중, 4개의 카트리지(4) 중 하나를 수용하는 부분을 각각 슬롯(61)이라고도 부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내지 제 4 슬롯(61a 내지 61d)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슬롯(61a)은 다른 슬롯(61b 내지 61d)에 비해 폭이 크다. 제 1 슬롯(61a)은, 카트리지(4)를 장착할 수 있는 것 외에, 카트리지(4)보다 X축 방향의 치수가 큰 카트리지("대용량 카트리지"라고도 한다)도 장착할 수 있다. X축 방향의 치수가 큰 카트리지는 카트리지(4)에 비해 많은 양의 잉크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 빈도가 높은 블랙 잉크를 수용하기 위해서 대용량 카트리지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대용량 카트리지와 카트리지(4)는 X축 방향의 치수 및 잉크의 수용량이 상이하며,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도 3은 도 2의 F2-F2 단면도이다. 도 3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일부와 카트리지(4)를 도시하고 있다.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된 후에, 펌프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서, 잉크가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의 인쇄재 수용부(7)로부터 인쇄 장치(10)로 유통한다. 상세하게는, 인쇄재 수용부(7)의 잉크가 카트리지(4)의 인쇄재 공급부(482)로부터 카트리지 장착부(6)의 유통관(702)으로 유통한다.
또한,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된 상태(장착 상태)에 있어서, 카트리지(4)의 회로 기판(52)의 표면(52a)에 설치된 복수의 접촉부(cp)(도 3에서는 1개만 도시함)와, 대응하는 카트리지 장착부(6)가 구비하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803)(도 3에서는 1개만 도시함)가 접촉한다. 복수의 접촉부(cp)에 의해서 규정되는 접촉면(529)은 소정 방향에 따라서 경사진 평면이다. 구체적으로는, 접촉면(529)은, +Z축 방향 성분(연직 상방향)과, -Y축 방향 성분(장착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해 경사져 있다. 환언하면, 접촉면(529)은, 카트리지(4)의 제 3 면(42)으로부터 제 4 면(44)으로 향함에 따라, 제 1 면(45)으로부터 제 2 면(46)에 가까워지도록 제 4 면(44)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촉면(529)은 접촉부가 배치된 평면(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로 기판(52)의 표면(52a))과 대략 동일 평면에 위치한다. 경사면(529)은, 예를 들면, 수평인 면인 제 4 면(44)과 경사면(529)과의 이루는 각도(a)가 30° 내지 60°의 범위이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4 면(44)과 경사면(529)이 이루는 각도(a)는 대략 40°이다.
또한, 장착 상태에서는, 카트리지 장착부(6)가 구비하는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와, 카트리지(4)의 제 3 면(42)에 설치된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가 결합한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의 +Y축 방향에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장착 상태에 있어서, 카트리지(4)는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외력(Fs, Ft, Fp, Fr)을 받는다. 외력(Fs)은 장치측 단자(803)로부터 카트리지(4)에 가해지는 힘이다. 외력(Fs)은 접촉면(529)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력(Fs)은 접촉면(529)(회로 기판(52)의 표면(52a))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가해지는 힘이다. 외력(Ft)은 장치측 결합 구조체(75)로부터 카트리지(4)에 가해지는 힘이다. 장치측 단자(803)와 접촉부(cp)와의 접촉을 양호하게 도모하기 위해서, 장치측 단자(803)의 탄성력을 접촉부(cp)에 대해서 충분히 가함으로써, 접촉부(cp)를 압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치측 단자(803)로부터 접촉부(cp)에 가해지는 외력(탄성력)은 접촉면(529)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설정된다.
외력(Ft)은 카트리지(4)를 밀어올리는 방향(+Z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다. 구체적으로, 외력(Ft)은 제 3 면(42)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가해지는 힘이다. 환언하면, 외력(Ft)의 방향은 대략 연직 상방향이다. 외력(Fr)은 장치측 결합 구조체(75)로부터 카트리지(4)에 가해지는 힘이다. 외력(Fr)은 카트리지(4)를 -Y축 방향(장착 방향)으로 누르는 힘이다. 외력(Fr)은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와,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가 결합하는 것으로 생긴다. 외력(Fp)은 카트리지 장착부(6)가 구비하는 커버 부재(706)로부터 카트리지(4)에 가해지는 힘이다. 외력(Fp)은 카트리지(4)의 제 1 면(45)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가해지는 힘이다. 즉, 외력(Fp)은 카트리지(4)를 +Y축 방향(분리 방향)으로 누르는 힘이다. 외력(Fp)과 외력(Fs)의 +Y축 방향의 분력(Fs1)과의 합력은 카트리지(4)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다. 이것에 대해서, 카트리지(4)에 대해서 외력(Ft)이 가해짐으로써, 카트리지(4)의 Y축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또한, 외력(Ft)과 외력(Fs)의 -Z축 방향의 분력(Fs2)은 각각 카트리지(4)를 협지하는 방향의 힘이다. 즉, 외력(Ft)과 분력(Fs2)은 각각 카트리지(4)의 분리 방향(+Y축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일하는 힘이다. 외력(Ft)이나, 분력(Fs2)이 커지면,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A-2. 카트리지 장착부의 상세 구성
다음에 카트리지 장착부(6)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9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4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1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2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F4-F4 단면도이다. 도 9는 장치측 결합 구조체(4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7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카트리지 장착부(6)의 내부의 구성이 나타나도록, 카트리지 장착부(6)의 일부의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9는, 장치측 결합 구조체의 구성이 나타나도록, 카트리지 장착부(6)의 일부의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6)는 이하에 기술하는 6개의 벽(62, 64, 65, 66, 67, 68)을 구비한다. 6개의 벽(62, 64, 65, 66, 67, 68)에 의해서, 카트리지 수용실(60)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6개의 벽(62, 64, 65, 66, 67, 68)의 외형은 각각 대략 장방형 형상이다. 여기서, 벽(65)을 " 장치측 제 1 벽(65)" 또는 "장치측 후벽(65)"이라고 부른다. 또한, 벽(66)을 "장치측 제 2 벽(66)" 또는 "장치측 전벽(66)"이라고 부른다. 또한, 벽(62)을 "장치측 제 3 벽(62)" 또는 "장치측 저벽(62)"이라고 부른다. 또한, 벽(64)을 "장치측 제 4 벽(64)" 또는 "장치측 상벽(64)"이라고 부른다. 또한, 벽(67)을 "장치측 제 5 벽(67)" 또는 "장치측 제 1 측벽(67)"이라고 부른다. 또한, 벽(68)을 "장치측 제 6 벽(68)" 또는 "장치측 제 2 측벽(68)"이라고 부른다. 또한, 각 벽(62, 64, 65, 66, 67, 68)은 각각 단일의 벽 부재에 의해서 형성되어도 좋고, 복수의 벽 부재가 조합되는 것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제 1 벽(65)과 장치측 제 2 벽(66)은 카트리지 수용실(6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한다. 장치측 제 3 벽(62)과 장치측 제 4 벽(64)은 카트리지 수용실(6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한다. 장치측 제 5 벽(67)과 장치측 제 6 벽(68)은 카트리지 수용실(6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한다. 장치측 제 1 벽(65)은 카트리지 수용실(60)에 대해서 -Y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장치측 제 2 벽(66)은 카트리지 수용실(60)에 대해서 +Y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장치측 제 3 벽(62)은 카트리지 수용실(60)에 대해서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장치측 제 4 벽(64)은 카트리지 수용실(60)에 대해서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장치측 제 5 벽(67)은 카트리지 수용실(60)에 대해서 +X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장치측 제 6 벽(68)은 카트리지 수용실(60)에 대해서 -X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6)의 외형은 대략 직방체 형상이다. 장치측 제 1 벽(65), 장치측 제 2 벽(66), 장치측 제 5 벽(67), 장치측 제 6 벽(68)은 각각 사용 상태에 대해 대략 수직인 벽이다. 장치측 제 3 벽(62)과 장치측 제 4 벽(64)은 각각 사용 상태에 대해 대략 수평인 벽이다.
장치측 제 2 벽(66)은,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될 때에 통과하는 개구(OP)(도 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4)를 착탈할 때, Y축 방향에 따라서 카트리지(4)가 이동한다. 상세하게는, -Y축 방향이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에의 장착 방향이다. 또한, +Y축 방향이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의 분리 방향이다.
도 4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제 1 벽(65)에는, 접촉 기구(80)와, 유통 유닛(70)과,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 부재(76, 78)가 설치되어 있다. 각 요소(80, 70, 76, 78, 75)는 각각 슬롯(61a 내지 61d)마다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제 4 벽(64)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접촉 기구(80), 제 1 위치 결정 부재(76), 유통 유닛(70), 제 2 위치 결정 부재(78)의 순서로 위치한다.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 부재(76, 78)는 유통 유닛(70)을 Z축 방향에 대해 사이에 두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 기구(80)는 장치측 단자 그룹(802)과, 커넥터 기판(804)(도 8), 단자 보지 부재(81)와, 부세 부재(806)(도 8)를 구비한다. 장치측 단자 그룹(802)은 9개의 장치측 단자(803)로 이루어져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9개의 장치측 단자(803)의 각각은 판형상 부재이며, 탄성 변형한다. 상세하게는, 굴곡부(818)를 중심으로 해서 일 단부(812)가 화살표(R1)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화살표(R1) 방향은 Y축 방향과 Z축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이다. 장치측 단자(803)는, 일 단부(812)가, 단자 보지 부재(81) 표면으로부터 노출하도록 단자 보지 부재(81)에 의해서 보지되어 있다. 타 단부(813)는 커넥터 기판(804)과 접촉하는 것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기판(804)은 프린터(10)의 제어부(3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일 단부(812)는, 카트리지(4)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카트리지(4)에 설치된 대응하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접촉하는 것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보지 부재(81)는 장치측 단자 그룹(802)을 보지한다. 상세하게는, 단자 보지 부재(81)는, Z축 방향과 X축 방향으로 미소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장치측 단자 그룹(802)(상세하게는, 장치측 단자 그룹(802)이 고정된 단자대)을 보지한다. 단자 보지 부재(81)의 X축 방향의 양 측면에는 각각 한쌍의 부재(810, 811)가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부재(810, 811)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형상 부재이다. 한쌍의 부재(810, 811)는,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할 때에, 카트리지(4)의 회로 기판(52)의 근방에 설치된 홈에 삽입된다. 도 8에 도시하는 부세 부재(806)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부세 부재(806)는 단자 보지 부재(81)를 +Y축 방향측으로 부세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축 방향의 양 측면에 설치된 결합 클로(807)와, 장치측 제 1 벽(65)에 설치된 결합 벽(651)이 결합하는 것으로, 단자 보지 부재(81)의 +Y축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또한, 단자 보지 부재(81)는, -Y축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부세 부재(806)의 부세력에 저항해서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장치측 단자(803)는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의 3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할 때에, 장치측 단자(803)가 3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카트리지측 단자의 장치측 단자(803)에 위치가 미조정된다. 따라서, 카트리지측 단자와 장치측 단자(803)와의 접촉을 확실히 도모할 수 있다.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 부재(76, 78)는 장치측 제 1 벽(65)으로부터 +Y축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기둥형상 부재이다.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 부재(76, 78)는 카트리지(4)에 설치된 후술하는 제 1 및 제 2 부재 관통 구멍에 삽입된다.
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통 유닛(70)은 유통관(702)과, 커버 부재(706)와, 부세 부재(712)(도 8)를 구비하고 있다. 유통관(702)은 카트리지(4)의 인쇄재 공급부(482)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유통관(702)과 카트리지(4)의 인쇄재 공급부(482)가 접속되고, 카트리지(4) 내의 잉크가 유통관(702)을 거쳐서 인쇄 장치(10)로 유통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통관(702)은 내부에 유로 단면이 원형의 유통 유로(702d)를 구비한다. 유통관(702)의 원주 중, -Z축 방향측에는 외부와 유통 유로(702d)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702c)이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4) 내의 잉크는 연통 구멍(702c)을 거쳐서 인쇄 장치(10)로 유통한다. 유통관(702)은 중심축(CA)을 구비한다. 중심축(CA)은 Y축 방향에 따라서 연장된다. 유통관(702)은 장치측 제 1 벽(65)측에 배치된 기단부(702a)와, 장치측 제 2 벽(66)측에 배치된 선단부(702b)를 구비한다. 기단부(702a)로부터 선단부(702b)로 향하는 방향이 +Y축 방향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706)는 유통관(702)의 일부분의 주위를 둘러싼다. 또한, 커버 부재(706)는 인쇄재 리시버(710)를 구비한다. 인쇄재 리시버(710)의 형상은 오목형상이다. 인쇄재 리시버(710)는, 유통관(702)이나 카트리지(4)의 인쇄재 공급부(482)로부터 잉크가 누출한 경우에, 누출된 잉크를 받아들이는 것으로 포착한다. 부세 부재(712)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부세 부재(712)는 커버 부재(706)를 +Y축 방향측으로 부세하고 있다. 커버 부재(706)는, -Y축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부세 부재(712)의 부세력에 저항해서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재 리시버(710)는, 카트리지(4)가 장착되기 전 상태로부터 장착 상태에 이르는 동안의 변위에 관계없이 인쇄재 공급관(642)의 -Z축 방향측(바로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인쇄재 리시버(710)는, 카트리지(4)가 장착되기 전의 상태로부터 장착 상태에 이르는 동안의 커버 부재(706)의 이동에 관계없이 연통 구멍(648)의 -Z축 방향측(바로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통관(702)으로부터 잉크가 누출한 경우에서도, 인쇄재 리시버(710)가 잉크를 포착하는 것으로 잉크가 광범위하게 걸쳐서 비산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Y축 방향으로 대해서, 인쇄재 리시버(710)의 길이는 L1이다. 길이(L1)는 후술하는 안내부(606)의 길이(L2)(도 19)보다 길다.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제 4 벽(64)에는, 제 1 레일 기구(89)와, 장치측 식별 부재(82)를 구비한다. 각 요소(89, 82)는 각각 슬롯(61a 내지 61d)마다 설치되어 있다. 제 1 레일 기구(89)는,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할 때에, 카트리지(4)의 폭 방향(X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면서, 카트리지(4)를 장착 위치까지 안내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레일 기구(89)는 X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한쌍의 레일 부재(86, 87)를 구비한다. 한쌍의 레일 부재(86, 87)는 장치측 제 4 벽(64)으로부터 카트리지 수용실(60)측으로 돌출된 부재이며, Y축 방향에 따라서 연장된다.
장치측 식별 부재(82)는, 카트리지 수용실(60)의 각 슬롯(61a 내지 61d)에 정확한 종류(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색)의 카트리지(4)가 삽입되었는지 아닌지를 식별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장치측 식별 부재(82)는 제 1 레일 기구(89)보다 장치측 제 1 벽(65)측(-Y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각 장치측 식별 부재(82)는, 장착되는 카트리지(4) 내의 잉크의 색에 따라서, 상이한 형상을 형성한다(도 6에서는 편의상, 동일 형상). 상세하게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장치측 식별 부재(82)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리브(돌기)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각 장치측 식별 부재(82)에 있어서, 리브의 수와 위치에 의해서 정해지는 패턴이 장착되는 카트리지(4)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 카트리지(4)에도, 리브에 의해서 형성된 식별 부재("카트리지측 식별 부재"라고도 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4)의 식별 부재는 수용하는 잉크의 색에 따라 상이한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정확한 종류의 카트리지(4)가 슬롯에 삽입되는 경우는, 장치측 식별 부재(82)와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24)가 충돌하는 일이 없이 끼워맞춰진다. 한편, 잘못된 종류의 카트리지(4)가 슬롯(61)에 삽입되었을 경우는, 장치측 식별 부재(82)와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24)가 충돌하고, 또한 카트리지(4)의 삽입이 저해된다. 이것에 의해, 잘못된 종류의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각 슬롯(61a 내지 61d)에 장착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제 3 벽(62)은 제 2 레일 기구(84)와, 장치측 결합 구조체(75)를 구비한다. 각 요소(84, 75)는 각각 슬롯(61a 내지 61d)마다 설치되어 있다. 제 2 레일 기구(84)는,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할 때에, 카트리지(4)의 폭 방향(X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면서, 카트리지(4)를 장착 위치까지 안내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레일 기구(84)는 X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한쌍의 레일 부재(88, 89)를 구비한다. 한쌍의 레일 부재(88, 89)는 장치측 제 3 벽(62)으로부터 카트리지 수용실(60)측으로 돌출된 부재이며, Y축 방향에 따라서 연장된다.
장치측 결합 구조체(75)는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도 9)와 결합한다. 이것에 의해,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Y축 방향에의 카트리지(4)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도 5,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결합 구조체(75)는 레버부(73)와, 부착부(72)(도 9)와, 부세 부재(79)를 구비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부(73)는 제 2 레일 기구(84)보다 장치측 제 1 벽(65)측에 위치한다. 레버부(73)는 레버 본체(77)와, 돌기부(74)와, 축부(71)를 구비한다. 레버 본체(77)는 판형상이며, 탄성을 구비한다. 레버 본체(77)는 카트리지(4)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축부(71)는 레버 본체(77) 중 장치측 제 1 벽(65)측(-Y축 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한다. 축부(71)는 원통 형상이며, 레버 본체(77)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71)의 축 구멍에는 장치측 제 3 벽(62)의 일부분인 돌기부(628)가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축부(71)를 회전축으로 해서 레버 본체(77)를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레버부(73) 중, 축부(71)측 부분은, 장치측 제 1 벽(65)과 장치측 제 3 벽(62)에 의해서 Z축 방향으로 협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레버부(73) 중, 돌기부(74)측 부분은 연직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RC)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다.
돌기부(74)는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도 9)와 결합하는 부분이다. 돌기부(74)는 레버 본체(77) 중 장치측 제 2 벽(66)(+Y축 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한다. 돌기부(74)는 레버 본체(77)에서 +Z축 방향측으로 돌출한다.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와 장치측 결합 구조체(75)가 결합한 상태("결합 상태"라고도 한다)에서는, 카트리지(4)로부터의 외력에 의해서, 레버부(73)의 돌기부(74)측은 -Z축 방향측으로 변위한다. 이것에 의해, 결합 상태에서는, 레버부(73)의 돌기부(74)에 의해서 카트리지(4)에 대해 대략 +Z축 방향측으로의 탄성력이 작용한다. 여기서, 결합 상태는 장착 상태와 동일한 상태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세 부재(79)는 인장 코일 스프링이다. 부세 부재(79)의 일단은 부착부(72)에 장착되고, 타단은 장치측 제 3 벽(62)의 일부분(627)에 장착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본체(77)에 부세 부재(79)에 저항한 외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레버 본체(77)는 화살표(+RB)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도 5에서는, 레버 본체(77)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상태(무하중 상태)의 레버 본체(77)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레버 본체(77)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레버 본체(77)는 화살표(-RB) 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와 같이, 레버 본체(77)의 회동은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평행한 평면(수평면) 내에서 행해진다.
A-3. 카트리지의 외관 구성
다음에, 도 10 내지 도 19를 이용해 카트리지(4)의 외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카트리지(4)의 제 1 외관 사시도이다. 도 11은 카트리지(4)의 제 2 외관 사시도이다. 도 12는 회로 기판(52)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회로 기판(52)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카트리지(4)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카트리지(4)의 상면도이다. 도 16은 카트리지(4)의 제 1 측면도이다. 도 17은 카트리지(4)의 저면도이다. 도 18은 카트리지(4)의 배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9는, 이해의 용이를 위해서,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의 돌기부(74)도 도시하고 있다. 카트리지(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된 XYZ축은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10)의 XYZ축에 대응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의 외형은 대략 직방체 형상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4)는 Y축 방향, Z축 방향, X축 방향의 순서로 치수가 작아진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X축 방향을 카트리지(4)의 "폭 방향"이라고도 부르고, Y축 방향을 카트리지(4)의 "길이 방향"이라고도 부르고, Z축 방향을 카트리지(4)의 "높이 방향"이라고도 부른다. 카트리지(4)는 내부에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 본체(450)를 구비한다. 용기 본체(450)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스티렌 등의 합성 수지를 성형하는 것으로 형성된 케이스이다. 용기 본체(450)는 카트리지의 외곽(외표면)(400)을 형성한다. 카트리지(4)는 제 1 면(45)과, 제 2 면(46)과, 제 3 면(42)과, 제 4 면(44)과, 제 5 면(47)과, 제 6 면(48)을 구비한다. 제 1 면 내지 제 6 면(45, 46, 42, 44, 47, 48)은 용기 본체(450)에 의해서 형성되는 카트리지(4)의 외곽(외표면)(400)을 구성한다. 외곽(400)의 내측에는, 잉크를 수용하는 인쇄재 수용부(7)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면 내지 제 6 면(45, 46, 42, 44, 47, 48)의 평면시에 있어서의 외형은 각각 대략 장방형장이다. 또한, 제 1 내지 제 6 면(45, 46, 42, 44, 47, 48)의 표면은 각각 대체로 평면이다. "대체로 평면"은, 면 전역이 완전하게 평탄한 경우와 면의 일부에 요철을 가지는 경우를 포함한다. 즉, "대체로 평면"은, 면의 일부에 다소의 요철이나 다소의 단차가 있어도, 카트리지(4)의 외표면을 파악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면(45)을 "전면(45)"이라고 부른다. 또한, 제 2 면(46)을 "후면(46)"이라고 부른다. 또한, 제 3 면(42)을 "저면(42)"이라고 부른다. 또한, 제 4 면(44)을 "상면(44)"이라고 부른다. 또한, 제 5 면(47)을 "제 1 측면(47)"이라고 부른다. 또한, 제 6 면(48)을 "제 2 측면(48)"이라고 부른다.
제 1 면(45)과 제 2 면(46)이 대향하는 방향이 Y축 방향이다. 제 3 면(42)과 제 4 면(44)이 대향하는 방향이 Z축 방향이다. 제 5 면(47)과 제 6 면(48)이 대향하는 방향이 X축 방향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면(45)과 제 2 면(46)은, 인쇄재 수용부(7)(카트리지(4)의 내부 공간)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한다. 제 3 면(42)과 제 4 면(44)은 인쇄재 수용부(7)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한다. 도 10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5 면(47)과 제 6 면(48)은 인쇄재 수용부(7)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면(45)은 인쇄재 수용부(7)에 대해서 -Y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2 면(46)은 인쇄재 수용부(7)에 대해서 +Y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3 면(42)은 인쇄재 수용부(7)에 대해서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4 면(44)은 인쇄재 수용부(7)에 대해서 +Z축 방향측 위치한다. 도 10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5 면(47)은 인쇄재 수용부(7)에 대해서 +X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6 면(48)은 인쇄재 수용부(7)에 대해서 -X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3 면(42)은 제 1 면(45), 제 2 면(46), 제 5 면(47), 및 제 6 면(48)과 교차한다. 제 4 면(44)은 제 1 면(45), 제 2 면(46), 제 5 면(47), 및 제 6 면(48)과 교차한다. 제 5 면(47)은 제 1 면(45), 제 2 면(46), 제 3 면(42), 및 제 4 면(44)과 교차한다. 제 6 면(48)은 제 1 면(45), 제 2 면(46), 제 3 면(42), 및 제 4 면(44)과 교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교차한다"는, 2개의 면이 서로 교차해 실제로 교차하는 상태와, 한쪽의 면의 연장면이 다른쪽의 면에 실제로 교차하는 상태와, 상호의 연장면끼리가 실제로 교차하는 상태의 몇개의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면(45)은, 장착 상태에 있어서, 카트리지 장착부(6)와 대향하는 면이다. 제 1 면(45)은, 장착 상태에 있어서, 수평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이다. 제 3 면(42)은 일 단부면(426)과 타 단부면(423)을 구비한다. 일 단부면(426)은 제 2 면(46)에 접속되어 있다. 타 단부면(423)은 제 1 면(4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일 단부면(426)과 타 단부면(423)은 서로 접속되어 있다. Z축 방향으로 대해서, 타 단부면(423)은 일 단부면(426)보다 제 4 면(44)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타 단부면(423)은 일 단부면(426)보다 상측(+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또한, 카트리지(4)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면(45)과 제 4 면(44)이 교차하는 코너부(50)를 구비한다. 코너부(50)는 제 1 면(45)과 제 4 면(44)에 걸쳐서 형성된 오목부이다. 코너부(50)는 제 1 면(45)의 제 4 면(44)측의 일 단부(45a)와, 제 4 면(44)의 제 1 면(45)측의 일 단부(44a)가 위치하는 영역이다. 코너부(50)의 저부에는, 제 1 면(45)과 제 4 면(44)을 연결하는 경사면(51)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51)은 +Z축 방향 성분과 -Y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환언하면, 경사면(51)은, 제 3 면(42)으로부터 제 4 면(44)에 가까워짐에 따라, 제 1 면(45)으로부터 제 2 면(46)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경사면(51)에는, 회로 기판(52)이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52)의 표면(52a)은 경사면(51)과 대략 동일한 각도로 경사져 있다. 즉, 표면(52a)은 +Z축 방향 성분과, -Y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도 11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너부(50)의 양 측면에는, 제 1 홈(58)과, 제 2 홈(59)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홈(58)과 제 2 홈(59)은 각각 제 1 면(45)으로부터 +Y축 방향에 따라서 연장된다. 카트리지(4)를 장착할 때, 제 1 홈(58)에는 부재(811)(도 6)가 삽입되며, 제 2 홈(59)에는 부재(810)(도 6)가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측 단자 그룹(500)에 대한 장치측 단자 그룹(802)의 위치 결정을 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52)은 표면(52a)에 설치된 카트리지측 단자 그룹(500)과, 이면(52b)에 설치된 기억 장치(520)를 구비한다. 표면(52a) 및 이면(52b)은 모두 평면이다. 평면인 표면(52a) 중, 카트리지(4)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평면인 표면(52a) 중, 가장 +Z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부분(한변)을 기판 단부(505)라고도 부른다.
카트리지측 단자 그룹(500)은 9개의 카트리지측 단자(531 내지 539)로 이루어져 있다. 기억 장치(520)는 카트리지(4)의 잉크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잉크 잔량이나 수용하는 잉크색) 등을 기억한다. 카트리지측 단자 그룹(500)이 인쇄 장치(10)의 장치측 단자 그룹(802)(도 6)과 접촉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기억 장치(520)의 데이터 신호의 주고받음이 기억 장치(520)와 인쇄 장치(10)의 제어부(31)과와 사이에 행해진다. 또한, 카트리지측 단자 그룹(500)의 각 단자(531 내지 539)가 장치측 단자 그룹(802)의 각 단자(9개의 단자)에 접촉하는 것으로, 카트리지(4)가 인쇄 장치(10)에 장착되었다고 제어부(31)(도 1)가 판정한다. 이 판정 후, 인쇄 장치(10)의 제어부(31)에 의한 제어에 의해서, 인쇄 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9개의 카트리지측 단자(531 내지 539)는 각각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9개의 카트리지측 단자(531 내지 539)는 각각 접촉부(cp)를 구비한다. 9개의 카트리지측 단자(531 내지 539)는 2개의 열(R1, R2)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열(R1, R2)은 다른 높이에 위치한다. 또한, 2개의 열(R1, R2)은 각각 카트리지(4)의 제 5 면(47)과 제 6 면(48)이 대향하는 폭 방향(Y축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열이다. 2개의 열(R1, R2) 중, -Z축 방향측의 열을 제 1 단자 열(R1)이라고도 부르고, +Z축 방향측의 열을 제 2 단자 열(R2)이라고도 부른다. 제 1 단자 열(R1)은 5개의 카트리지측 단자(535, 536, 537, 538, 539)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 2 단자 열(R2)은 4개의 카트리지측 단자(531, 532, 533, 534)로 이루어져 있다. 각 단자(531 내지 539)의 각각의 중앙부에는, 접촉 기구(80)가 구비하는 장치측 단자(803)(도 6)에 접촉하는 접촉부(cp)가 존재한다. 제 1 및 제 2 단자 열(R1, R2)은 각각 복수의 접촉부(cp)에 의해서 형성되는 열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제 1 단자 열(R1)을 형성하는 단자(535 내지 539)의 각 접촉부(cp)와 제 2 단자 열(R2)을 형성하는 단자(531 내지 534)의 각 접촉부(cp)는 엇갈림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각 접촉부(cp)는 이른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단자 열(R1)을 형성하는 복수(5개)의 접촉부(cp) 중, 복수(5개)의 접촉부(cp)의 폭(Wa) 중앙에 위치하는 접촉부를 제 1 접촉부(537cp)라고도 부른다. 또한, 제 1 접촉부(537cp)를 가지는 단자를 제 1 단자(537)라고도 부른다. 제 1 단자(537)를 통과하고, 또한 폭 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인 가상 평면을 "평면(C1)"이라고도 부른다. 여기서, 평면(C1)은 제 1 접촉부(537cp)를 통과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면(C1)은 회로 기판(52)의 폭 중앙도 통과한다. 또한, 평면(C1)은 카트리지(4)의 폭 중앙도 통과한다. 여기서, 제 1 단자 열(R1)에 배치된 5개의 접촉부(cp)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기재의 "복수의 접촉부"에 상당한다. 제 1 단자 열(R1)을 형성하는 복수의 접촉부(cp)를 "복수의 접촉부(cpa)"라고도 부르고, 제 2 단자 열(R2)을 형성하는 복수의 접촉부(cp)를 "복수의 접촉부(cpb)"라고도 부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측 단자(531 내지 539)가 2개의 단자 열로 형성된다고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단자 열(R1)만 또는 제 2 단자 열(R2)만이여도 좋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52)의 +Z축 방향측의 단부에는 보스 홈(501)이 형성되고, 회로 기판(52)의 -Z축 방향측의 단부에는 보스 구멍(502)이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4)에 설치된 상태의 회로 기판(52)은 보스 홈(501) 및 보스 구멍(502)을 이용해 카트리지(4)의 경사면(51)(도 10)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보스 홈(401) 및 보스 구멍(402)의 적어도 한쪽을 회로 기판(52)으로부터 생략하고, 접착제를 이용해 회로 기판(52)을 경사면(51)에 고정해도 좋고, 경사면(51)에 마련한 결합 클로(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해 회로 기판(52)을 고정해도 좋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면(45)에는, 관통 구멍(452)과, 제 1 부재 관통 구멍(458)과, 제 2 부재 관통 구멍(459)과, 당접부(457)가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452)은 인쇄재 공급부(482)를 받아들이고 있다. 관통 구멍(452)에는, 적어도 인쇄재 공급부(482)의 일단인 공급구(480)가 배치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구(480)는 평면(C1)을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공급구(480)는 원형이다. 공급구(480)의 중심은 평면(C1)을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공급구(480)는, Z축 방향으로 대해서, 제 4 면(44)보다 제 3 면(42)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4)의 높이(T)의 절반보다 하측의 범위에 공급구(480)가 위치한다. 여기서,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초기 상태"라고도 한다)에서는, 공급구(480)를 시트 부재로 막아도 좋다. 시트 부재는 유통관(702)에 의해서 찢어지는 정도의 얇음을 갖는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 관통 구멍(458)과 제 2 부재 관통 구멍(459)은 Z축 방향에 대해 관통 구멍(452)을 사이에 두는 위치 관계에 있다. 제 1 부재 관통 구멍(458)에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제 1 위치 결정 부재(76)(도 8)가 삽입된다. 제 2 부재 관통 구멍(459)에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제 2 위치 결정 부재(78)(도 8)가 삽입된다. 한쌍의 부재 관통 구멍(458, 459)과, 한쌍의 위치 결정 부재(76, 78)가 협동하는 것으로,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할 때에 있어서의,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으로 수직인 면내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면내 방향은 X축 방향과 Z축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이다. 제 1 부재 관통 구멍(458)은 Y축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 형상이다. 한편, 제 2 부재 관통 구멍(459)은 Y축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이 Z축 방향으로 길다란 타원 형상이다. 제 2 부재 관통 구멍(456)의 Y축 방향의 길이는 제 2 위치 결정 부재(78)의 Y축 방향의 길이보다 크다. 제 2 부재 관통 구멍(456)에 제 2 위치 결정 부재(78)가 삽입되면, Y축 방향으로 미소한 틈새가 생긴다. 이와 같이, 제 2 부재 관통 구멍(456)의 Y축 방향의 길이를 크게 하는 것으로, 위치 결정 정밀도를 유지하는 한편 치수 공차를 허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즉, 슬롯(61) 내에 있어서의 카트리지(4)의 위치 결정 정밀도는 제 1 부재 관통 구멍(458)에 의해서 담보된다. 또한, 치수 공차 등에 의한 제 2 부재 관통 구멍(459)과 제 2 위치 결정 부재(78)와의 위치 차이는 제 2 부재 관통 구멍(459)에 의해서 흡수된다.
당접부(457)는 4개 설치되어 있다. 당접부(457)는 제 1 면(45)으로부터 돌출된 원판 형상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당접부(457)는 관통 구멍(452)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있다. 4개의 당접부(457)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커버 부재(706)(도 8)의 +Y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단면(703)(도 5)과 당접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4 면(44)에는, 홈부(445)와,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24)가 설치되어 있다. 홈부(445)는 제 4 면(44)의 도중부터 제 2 면(46)측 단부까지 연장된다. 홈부(445)를 구획 형성하는 한쌍의 측벽(442, 444)은 카트리지(4)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측벽(442, 444)은 홈부(445) 내에 한쌍의 레일 부재(86, 87)(도 6)가 삽입되어 끼워맞춰지는 정도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24)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리브(돌기)에 의해서 형성된다. 리브의 수와 위치에 의해서 정해지는 카트리지 식별 부재(424)의 패턴은 카트리지(4)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 Y축 방향으로 대해서,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24)는 홈부(445)의 제 1 면(45)측 단부에 위치하는 홈 입구(447)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Y축 방향으로 대해서,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24)는 회로 기판(52)보다 제 2 면(46)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면(42)에는, 홈부(425)와,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가 설치되어 있다. 홈부(425)는 제 3 면(42)의 도중부터 제 2 면(46)측 단부까지 연장된다. 홈부(425)를 구획 형성하는 한쌍의 측벽(422, 424)은 카트리지(4)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측벽(422, 424)은 홈부(425) 내에 한쌍의 레일 부재(88, 89)(도 5)가 삽입되어 끼워맞춰지는 정도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는 홈부(425)(홈 입구(427))보다 제 1 면(45)측에 배치되어 있다.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는 홈 형상(홈 구조체)이다.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는,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와 결합하는 것으로,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가해지는 분리 방향(+Y축 방향)으로의 외력(Fp, Fs1)(도 3)에 저항하고, 카트리지(4)의 +Y축 방향에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는 리시버부(601)와, 안내부(606)와, 접속부(608)와, 결합부(612)와, 출구부(616)를 구비한다.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할 때, 돌기부(74)는 리시버부(601), 안내부(606), 접속부(608), 결합부(612)의 순서로 이동한다. 장착 상태에서는, 돌기부(74)는 결합부(612)의 소정의 결합 위치(St)에서 결합부(612)와 결합한다.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분리할 때, 돌기부(74)는 결합부(612), 출구부(616), 리시버부(601)의 순서로 이동한다.
리시버부(601)는 제 1 면(45)으로부터 제 2 면(46)으로 향해 연장되고,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의 돌기부(74)를 수용한다. 리시버부(601)는 제 1 면(45)에 개구(605)를 형성하고 있다. 개구(605)를 거쳐서 돌기부(74)를 리시버부(601) 내에 수용한다. 리시버부(601)는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의 다른 부분(606, 608, 612, 616)보다 깊다. 따라서, 돌기부(74)가 다른 부분(606, 608, 612, 616)에 위치하는 동안은, 레버 본체(77)의 돌기부(74)측이 눌려 내려진다. 이것에 의해, 레버 본체(77)의 탄성력에 의해서, 돌기부(74)를 거쳐서 카트리지(4)가 밀어 올림 방향(+Z축 방향)으로 외력(Ft)(도 3)을 받는다.
안내부(606)는,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의 돌기부(74)를, 결합 위치(St)(결합부(612)가 형성된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부분이다. 안내부(606)는 리시버부(601)에 접속되어 있다. 안내부(606)는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될 때의 카트리지(4)의 장착 방향(-Y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는, 안내부(606)는 장착 방향에 대해서 카트리지(4)의 폭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안내부(606)는 리시버부(60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홈이 얕아지는 경사부(606a)를 구비한다. 안내부(606)와 리시버부(601)와의 경계에는 단차는 없다. 여기서, 제 1 면(45)과 제 2 면(46)이 대향하는 방향(장착 방향 및 분리 방향)에 있어서의 안내부(606)의 길이는 L2이다. 여기서, 길이 L2는 인쇄재 리시버(710)의 길이 L1(도 8)보다 짧다.
접속부(608)는 안내부(606)와 결합부(612)를 접속한다. 접속부(608)는 홈을 구획 형성하는 +Y축 방향측의 벽으로부터 -Y축 방향측으로 돌출하는 돌기 벽(615)을 구비한다. 결합부(612)는 돌기 벽(615)과 대향한다. 결합부(612)는 결합 벽(614)을 구비한다. 결합 벽(614)은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의 홈을 구획 형성하는 복수의 벽부의 하나인 벽부(633)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612)는 평면(C1)을 통과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출구부(616)는 결합부(612)와 리시버부(601)를 접속한다. 출구부(616)는 리시버부(601)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홈이 깊어지는 경사부(616a)를 구비한다. 출구부(616)와 리시버부(601)와의 경계에는 단차(620)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19를 이용해 카트리지(4)의 착탈 조작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 내에서의 돌기부(74)의 움직임에 대해 설명한다. 장착 동작시에 있어서, 제 1 부재 관통 구멍(458)(도 11)에 제 1 위치 결정 부재(76)가 삽입되기 시작하고, 또한 제 2 부재 관통 구멍(459)(도 11)에 제 2 위치 결정 부재(78)가 삽입되기 시작한 후에, 돌기부(74)는 리시버부(601)로부터 안내부(606)로 이동한다. 안내부(606)를 돌기부(74)가 이동할 때에는, 부세 부재(79)(도 9)의 부세력에 저항해 레버 본체(77)가 -X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도 5의 화살표(+RB) 방향)으로 회동한다. 돌기부(74)가 안내부(606)를 이동하고 있는 기간에, 카트리지(4)의 제 1 면(45)(상세하게는, 당접부(457))이 커버 부재(706)의 단면(703)(도 5)에 당접한다. 카트리지(4)를 부세 부재(712)(도 8)의 부세력에 저항해 장착 방향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돌기부(74)가 접속부(608)에 도달한다. 접속부(608)에 도달한 돌기부(74)는,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의 부세 부재(79)의 부세력에 의해서 +X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도 5의 화살표(-RB)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돌기부(74)가 돌기 벽(615)에 충돌해 멈춘다. 이 때, 클릭음이 생긴다. 이 클릭음에 의해 이용자는 카트리지(4)가 장착 방향으로 충분히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용자에 의한 장착 방향으로의 카트리지(4)의 압압이 해제되면, 카트리지(4)는, 유통 유닛(70)의 부세 부재(712)(도 8)의 부세력에 의해서, 분리 방향(+Y축 방향)으로 약하게 밀어낸다. 이것에 의해, 돌기 벽(615)에 의한 결합이 해제되어 돌기부(74)가 결합부(612)에 도달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결합부(612)의 결합 벽(614)에 돌기부(74)가 충돌하는 것으로, 부세 부재(79)(도 9)의 부세력에 의한 +X축 방향에의 돌기부(74)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결합 벽(614)에 돌기부(74)가 충돌할 때, 클릭음이 생긴다. 이 클릭음에 의해 이용자는, 카트리지(4)가 결합 위치(St)에 도달하고, 카트리지 장착부(6)의 장착이 완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장착 상태에 있어서는, 부세 부재(712)(도 8)가 분리 방향(+Y축 방향)으로의 외력(Fp)을 가하고 있다(도 3). 그러나, 돌기부(74)가 결합 벽(614)에 당접하는 것으로, 카트리지(4)의 분리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분리할 때, 이하의 순서로 된다. 우선, 이용자에 의해서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4)가 장착 방향에 밀어넣는다. 이것에 의해, 돌기부(74)가 결합 벽(614)으로부터 멀어져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와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러면, 커버 부재(706)의 부세 부재(712)의 부세력에 의해서, 카트리지(4)가 분리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돌기부(74)가 출구부(616)를 통해서 리시버부(601)에 도달한다. 이용자는, 부세 부재(712)의 부세력에 의해서 분리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한 카트리지(4)를 잡아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분리한다.
A-4. 카트리지의 내부 구성
도 20은 카트리지(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유로 유닛(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450)는 제 1 용기 본체(5a)와 제 2 용기 본체(5b)에 의해서 구성된다. 제 1 용기 본체(5a)와 제 2 용기 본체(5b)는 끼워맞춤을 해제하는 것으로 서로 분리할 수 있다. 즉, 제 1 용기 본체(5a)와 제 2 용기 본체(5b)는 별체이다. 제 1 용기 본체(5a)는 제 1 면(45)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용기 본체(5a)는 제 2 면(46)을 포함하지 않는다. 제 2 용기 본체(5b)는 제 2 면(46)을 포함한다. 또한, 제 2 용기 본체(5b)는 제 1 면(45)을 포함하지 않는다. 인쇄재 수용부(7)는, 주로, 제 2 용기 본체(5b)에 수용되어 있다. 코너부(50)는 제 1 용기 본체(5a)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용기 본체(5a)는, Z축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제 2 용기 본체(5b)측으로 돌출된 돌출부(55, 56)를 구비한다.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 중, 결합부(612)(도 19)를 포함한 일부분은 돌출부(55)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용기 본체(5a)가 구비하는 돌출부(55, 56)가 제 2 용기 본체(5b)와 서로 끼워맞춰지는 것으로, 제 1 용기 본체(5a)에 제 2 용기 본체(5b)가 장착된다. 또한, 돌출부(55, 56)와 제 2 용기 본체(5b)와의 사이에는 유격이 있다. 이 유격에 의해서, 제 2 용기 본체(5b)는 제 1 용기 본체(5a)에 대해서 미소하게 움직일 수 있다.
인쇄재 수용부(7)는 봉지체(bag member)이다. 인쇄재 수용부(7) 내에는 잉크가 충전되어 있다. 인쇄재 수용부(7)는 수지 필름층의 위에 알루미늄층이 적층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복층 필름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인쇄재 수용부(7)는 가요성을 갖는다. 인쇄재 수용부(7)는, 인쇄재 수용부(7)의 잉크 잔량이 적게 되는 것에 따라, 인쇄재 수용부(7) 내부의 용적이 감소한다. 인쇄재 수용부(7) 중, 제 1 면(45)측의 측면에는 인쇄재 수용부(7) 내와 연통하는 유로 유닛(9)이 장착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로 유닛(9)은 유로 본체(90)와, 밸브(94)와, 밸브 시트(92)를 구비한다. 유로 본체(90)와 밸브 시트(92)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스티렌 등의 합성 수지를 성형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94)는 합성 수지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유로 본체(90)는 인쇄재 공급부(482)와, 감압부(91)를 구비한다. 인쇄재 공급부(482)는 인쇄재 수용부(7)의 잉크를 인쇄 장치(10)에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인쇄재 공급부(482) 내에는, 유통관(702)의 선단부(702b)측이 삽입된다. 인쇄재 공급부(482) 내에 유통관(702)이 삽입되는 것으로, 카트리지(4)의 장착 방향에 수직인 면내 방향에 있어서의 움직임이 어느 정도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한 장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한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재 공급부(482)의 일단은 공급구(480)이며, 타단은 연통구(483)이다. 공급구(480)는 외부로 향해 개구되어 있다. 연통구(483)는 인쇄재 수용부(7)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재 공급부(482)는 유로 본체(90) 중 제 1 면(45)측에 위치하는 면(95)으로부터 연장되는 유로 형성 부재(481)를 구비한다. 유로 형성 부재(481)는 면(95)으로부터 -Y축 방향에 따라서 연장된다. 유로 형성 부재(481)는 원통 형상이다. 유로 형성 부재(481)는, 인쇄재 공급부(482) 중, 공급구(480)를 포함한 일단측 부분이다. 유로 형성 부재(481)의 중심축(CB)은 Y축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인쇄재 공급부(482)의 유로 중, 공급구(480)를 포함한 일단측 유로는 유로 형성 부재(481)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즉, 인쇄재 공급부(482) 중, 공급구(480)를 포함한 일단측 부분의 내부 유로는 Y축 방향에 따라서 연장된다.
유로 형성 부재(481) 내에는, 밸브 유닛(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밸브 유닛은 밸브와, 밸브 구멍을 가지는 밸브 시트를 구비한다. 밸브 시트는 합성 고무 등의 탄성 부재이다. 유통관(702)이 공급구(480)를 거쳐서 인쇄재 공급부(482)에 삽입되면 밸브를 밸브 시트로부터 이간시킨다. 이것에 의해, 밸브 유닛이 밸브개방 상태가 되고, 인쇄재 공급부(482)의 내부 유로가 개방된다. 또한, 유통관(702)의 외주는 밸브 시트에 의해서 기밀로 둘러싸여진다. 즉, 유통관(702)이 인쇄재 공급부(482)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한 위치 결정을 한다. 상세하게는, 카트리지(4)의 장착 방향에 수직인 면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유통관(702)의 외주가 밸브 시트에 의해서 기밀로 둘러싸여 있다. 그러나, 유통관(702)과 인쇄재 공급부(482)와의 틈새로부터 잉크가 외부로 누출이 없는 모든 다른 적당한 구성이면 좋다. 예를 들면, 유통관(702)이 인쇄재 공급부(482)에 삽입되어 끼워맞춰져도 좋다. 즉, 유통관(702)의 외주의 둘레 방향 전역에 인쇄재 공급부(482)의 내주가 접촉해도 좋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시트(92)는 잉크가 흐르는 밸브 구멍(93)을 구비한다. 잉크가 인쇄재 수용부(7)로부터 인쇄 장치(10)로 흐르는 경우는, 밸브(94)는 밸브 시트(92)로부터 멀어진다. 이것에 의해, 밸브개방 상태가 되어 인쇄재 공급부(482) 내를 잉크가 유통한다. 인쇄재 공급부(482)를 흐르는 잉크는 인쇄 장치(10)로 유통한다. 한편, 인쇄재 수용부(7)로 역류하는 방향으로의 잉크의 흐름이 생겼을 경우는, 밸브(94)는 밸브 시트(92)에 착좌하는 것으로 밸브 구멍(93)을 막는다. 이것에 의해, 잉크의 역류를 억제한다. 상기와 같이, 인쇄재 공급부(482)는 인쇄재 수용부(7)와 인쇄 장치(10)를 연통시킨다.
감압부(91)는, 인쇄재 수용부(7)에 잉크를 충전할 때에, 인쇄재 수용부(7) 내를 감압하기 위해서 이용한다. 감압부(91)의 일단(91a)은 외부로 향해 개구되어 있다. 감압부(91)의 타단(91b)은 인쇄재 수용부(7) 내에서 개구되어 있다. 인쇄재 수용부(7)에 잉크를 충전하기 전에, 감압부(91)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인쇄재 수용부(7)를 감압한다. 감압 후에, 잉크를 인쇄재 공급부(482)로부터 인쇄재 수용부(7)에 유통시킨다. 감압부(91)의 유로는 잉크가 인쇄재 수용부(7)에 충전된 후에, 예를 들어 열 용착 등에 의해서 폐색된다.
A-5. 카트리지의 장착 태양
도 22 내지 도 24를 이용하여,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될 때의 태양을 설명한다. 도 22는 제 1 설명도이다. 도 23은 제 2 설명도이다. 도 24는 제 3 설명도이다. 도 22, 도 23 및 도 24의 순서로,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에의 장착 동작이 진행된다. 도 22는 제 1 위치 결정 부재(76)의 제 1 부재 관통 구멍(458)에의 삽입과, 제 2 위치 결정 부재(78)의 제 2 부재 관통 구멍(459)에의 삽입이 개시된 시점("제 1 시점"이라고도 한다)을 도시하고 있다. 도 23은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24)가 장치측 식별 부재(82)에 도달한 시점("제 2 시점"이라고도 한다)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3은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24)와 장치측 식별 부재(82)와의 끼워맞춤이 개시되는 시점이다. 도 24는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된 시점("제 3 시점"이라고도 한다)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4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F2-F2 단면도이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시점에서는, 장치측 식별 부재(82)와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24)와의 끼워맞춤이 아직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제 1 시점에서는, 커버 부재(706)와 카트리지(4)는 접촉하는 일이 없이 떨어져 있다. 제 1 시점에 있어서, 인쇄재 공급부(482)와 유통관(702)은 Y축 방향으로 거리(DA) 떨어져 있다. 제 1 시점에 있어서,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24)와 장치측 식별 부재(82)는 Y축 방향으로 거리(DB) 떨어져 있다. 제 1 시점에 있어서, 인쇄재 공급 시스템(1)은 거리 DA> 거리 DB의 관계를 갖는다. 또한, 제 1 시점에서는, 공급구(480)는 인쇄재 리시버(710)의 상방(바로 위, 제 4 면(44)측,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즉, 제 1 시점에서는, 공급구(480)와 제 3 면(42)은 Z축 방향에 대해 인쇄재 리시버(710)를 사이에 두는 위치 관계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시점은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와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가 결합하기 전의 시점이다. 제 1 시점에서는,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의 돌기부(74)가 리시버부(601)에 위치한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시점에서는, 카트리지(4)의 제 1 면(45)이 커버 부재(706)와 당접하는 것으로, -Y축 방향(장착 방향)으로의 힘을 커버 부재(706)에 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부세 부재(712)의 부세력에 저항해서 커버 부재(706)가 -Y축 방향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 2 시점으로부터 제 3 시점까지 도달하는 동안에, 유통관(702)이 인쇄재 공급부(482) 내에 삽입된다. 즉, 장치측 단자(803)와 회로 기판(52)의 접촉부(cp)가 접촉하기 전에, 유통관(702)이 인쇄재 공급부(482) 내에 삽입된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시점에서는, 장치측 단자(803)와 회로 기판(52)의 접촉부(cp)가 접촉한다. 또한, 제 3 시점에서는, 유통관(702)이 인쇄재 공급부(482) 내에 삽입되고, 인쇄재 공급부(482)로부터 유통관(702)에의 잉크의 유통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세하게는, 유통관(702)이 인쇄재 공급부(482) 내에 삽입된 후에, 장치측 단자(803)와 회로 기판(52)의 접촉부(cp)가 접촉한다. 또한, 제 3 시점에서는,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의 돌기부(74)와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의 결합부(612)가 결합한다. 즉, 결합부(612)는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와 결합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할 때는, 인쇄재 공급 시스템(1)의 각 요소는 이하의 관계를 구비한다. 즉, 한쌍의 위치 결정 부재(76, 78)의 한쌍의 부재 관통 구멍(458, 459)에의 삽입이 개시된 후에, 장치측 식별 부재(82)와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24)와의 끼워맞춤이 개시된다. 또한, 장치측 식별 부재(82)와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24)와의 끼워맞춤이 개시된 후에, 유통관(702)이 인쇄재 공급부(482) 내에 삽입된다. 또한, 유통관(702)이 인쇄재 공급부(482)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인쇄재 공급부(482)로부터 유통관(702)에의 잉크의 유통이 가능해진 후에, 장치측 단자(803)와 회로 기판(52)의 접촉부(cp)가 접촉한다.
A-6. 효과
도 25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제 1 도면이다. 도 26은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제 2 도면이다. 도 25는 접촉면(529p)이 제 4 면(44p)에 대해서 경사지는 일이 없이, 수평면인 경우의 카트리지(4p)의 예이다. 도 25는 카트리지(4p)의 장착 상태에 대해서 카트리지(4p)가 카트리지 장착부로부터 받는 힘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6은, 장착 상태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받는 힘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5 및 도 26에서는, 카트리지(4, 4p)를 Z축 방향으로 협지하는 방향의 성분을 갖는 힘을 도시하고 있다.
도 25 및 도 26에 있어서, 회로 기판의 표면(52a)에 배치된 접촉부(cp)에 장치측 단자(803)로부터 가해지는 외력(Fs, Fd)은 각각 접촉면(529, 529p)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25 및 도 26에서는, 외력(Fs, Fd)은 접촉면(529, 529p)에 대략 수직이다. 또한, 외력(Fs, Fd)의 크기는 동일하다. 또한, 외력(Ft, Ftd)은 각각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의 돌기부(74)로부터 제 3 면(42)에 가해지는 힘이다. 외력(Ft, Ftd)의 방향은 각각 대략 연직 상방향이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면(529p)은 제 4 면(44p)에 대해서 경사하고 있지 않다. 이 경우, 분리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이며, 또한 카트리지(4p)를 협지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힘(Fd, Ftd)이다. 힘(Fd)과 힘(Ftd)은 동일한 크기이며, 카트리지(4p)의 연직 방향(Z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균형잡혀 있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면(529)은 제 4 면(44)에 대해서 소정 방향에 따라서 경사져 있다. 이 경우, 힘(Fs)은 연직 하방향의 힘(Fs2)과 분리 방향의 힘(Fs1)으로 분해할 수 있다. 연직 하방향은 제 4 면(44)으로부터 제 3 면(42)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분리 방향은 제 1 면(45)으로부터 제 2 면(46)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힘(F2s)과 힘(Ft)은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어, 카트리지(4)의 연직 방향(Z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균형잡혀 있다. 여기서, Fs=Fd이기 때문에, Fs2<Fd의 관계를 만족한다. 또한, Ft<Ftd의 관계를 만족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촉면(529)이 제 4 면(44)에 대해서 소정 방향에 따라서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접촉부(cp)에 가해지는 힘(Fs) 중 카트리지(4)가 협지되는 방향(-Z축 방향)의 힘(Fs2)을 접촉면(529p)이 경사하고 있지 않는 경우보다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와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와의 결합이 해제되었을 경우에, 커버 부재(706)의 부세 부재(712)(도 8)에 의해서 생기는 부세력에 의해서 카트리지(4)를 분리 방향으로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부세 부재(712)의 부세력에 의해서, 장치측 단자(803)로부터 접촉부(cp)가 충분히 떨어지는 정도로 카트리지(4)를 분리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는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접촉면(529)이 제 4 면(44)에 대해서 소정 방향에 따라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접촉부(cp)에 가해지는 힘(Fs)은 분리 방향으로의 힘(Fs1)을 발생시킨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카트리지(4)를 보다 한층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와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와의 결합이 해제된 직후 상태에서는, 부세 부재(712)의 부세력(Fp)(도 3)과 힘(Fs1)이 카트리지(4)의 분리 방향으로 가해진다. 이것에 의해, 분리 방향에 가해지는 힘을 크게 할 수 있고, 카트리지(4)를 보다 부드럽게 분리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힘(Ft)은 힘(Fs2)과 균형잡혀 있기 때문에, 힘(Fs2)이 작아지는 것으로, 힘(Ft)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장치측 결합 구조체(75)로부터 카트리지(4)에 대략 연직 상방향으로 가해지는 힘(Ft)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카트리지(4)의 결합부(612)가, 제 1 단자(537)를 통과하고, 또한 폭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C1)을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19). 결합부(612)와 돌기부(74)가 결합하는 것으로, 카트리지(4)의 분리 방향(+Y축 방향)에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즉, 결합부(612)에 의해서,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한 위치가 어느 정도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결합부(612)가 평면(C1)을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 1 단자 열(R1)을 형성하는 복수의 단자(535 내지 539)의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한 위치 결정을 정밀도 좋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자 열(R1)을 형성하는 복수의 단자(535 내지 539)에 대한 제 2 단자 열(R2)을 형성하는 복수의 단자(531 내지 534)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일정하다. 따라서, 카트리지(4)가 갖는 모든 단자(531 내지 539)의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한 위치 결정을 정밀도 좋게 실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측 단자 그룹(500)과 장치측 단자 그룹(802)과의 접촉 불량(도통 불량)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장착 상태에 있어서, 카트리지(4)를 협지하는 외력이 편중하면, 외력에 의해서, 카트리지(4)가 정확한 장착 자세로부터 기울거나 회전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카트리지(4)가 정확한 장착 자세로부터 기울거나 회전하거나 하는 것으로,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취출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생긴다. 또한, 카트리지(4)가 정확한 장착 자세로부터 기울거나 회전하거나 하는 것으로, 접촉부(cp)와 인쇄 장치(10)(상세하게는 장치측 단자(803))와의 접촉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결합부(612)가 평면(C1)을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평면(C1)상에 있어서 결합부(612)와 제 1 단자(537)에 의해서 카트리지(4)를 협지할 수 있다. 즉, 장착 상태에 있어서, 돌기부(74)에 의해서 결합부(612)에 가해지는 힘과, 장치측 단자(803)에 의해서 제 1 단자(537)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카트리지(4)가 협지된다. 이것에 의해, 정확한 장착 자세에 대해서, 카트리지(4)가 기울거나 회전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cp)와 장치측 단자(803)와의 접촉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제 1 단자(537)의 제 1 접촉부(537cp)는 평면(C1)을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12). 제 1 접촉부(537cp)는 카트리지측 단자 그룹(500)과 장치측 단자 그룹(802)이 실제로 접촉하는 부분이다. 또한, 제 1 접촉부(537cp)는 카트리지(4)의 폭 방향(X축 방향)에 따라서 늘어선 복수의 접촉부(cpa)의 폭(Wa) 중앙에 위치한다(도 12). 즉, 제 1 접촉부(537cp)가 평면(C1)을 통과하는 것으로, 제 1 단자 열(R1)을 형성하는 복수의 단자(535 내지 539)의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한 위치 결정을 한층 더 정밀도 좋게 실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가 가지는 모든 단자(531 내지 539)의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한 위치 결정을 한층 더 정밀도 좋게 실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측 단자 그룹(500)과 장치측 단자 그룹(802)과의 접촉 불량의 발생을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유통관(702)이 인쇄재 공급부(482)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한 카트리지(4)의 위치 결정을 한다. 여기서, 상기 실시형태의 카트리지(4)의 공급구(480)는 평면(C1)을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14).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단자 열(R1)을 형성하는 복수의 단자(535 내지 539)의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한 위치 결정을 한층 더 정밀도 좋게 실시할 수 있다. 즉, 카트리지(4)가 갖는 모든 단자(531 내지 539)의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한 위치 결정을 한층 더 정밀도 좋게 실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측 단자 그룹(500)과 장치측 단자 그룹(802)과의 접촉 불량의 발생을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공급구(480)에 의해서, 인쇄 장치(10)에 대한 카트리지(4)의 위치 결정이 정밀도 좋게 행해지는 것으로, 평면(C1)을 통과하는 결합부(612) 및 제 1 단자(537)가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설계된 위치에 정밀도 좋게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결합부(612) 및 제 1 단자(537)를 이용해서 카트리지(4)를 안정되게 협지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4)의 회전이나 기울기를 억제하는 것으로, 카트리지(4)를 인쇄 장치(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공급구(480)가 제 4 면(44)보다 제 3 면(42)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14). 이것에 의해, 제 1 면(45)과 제 4 면(44)이 교차하는 코너부(50)에 배치된 접촉부(cp)와 공급구(480)와 거리를 벌릴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공급구(480)로부터 잉크가 누출한 경우에서도, 접촉부(cp)에 잉크가 부착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cp)와 인쇄 장치(10)(상세하게는, 장치측 단자 그룹(802))와의 접촉을 양호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가 제 3 면(42) 중 타 단부면(423)에 형성되어 있다(도 16). 타 단부면(423)은 일 단부면(426)보다 제 4 면(44)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타 단부면(423)은 일 단부면(426)보다 연직 상방향측(+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제 3 면(42)과 제 4 면(44)이 대향하는 방향(Z축 방향)에 있어서의, 카트리지(4)의 제 1 면(45)측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4)의 인쇄재 수용부(7)는 용기 본체(450) 중 제 1 면(45)보다 제 2 면(46)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16). 용기 본체(450)의 제 2 면(46)측은 용기 본체(450)의 제 1 면(45)측보다 Z축 방향으로 길기 때문에, 내부의 용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재 수용부(7)의 용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가 배치된 측인 제 1 면(45)측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것으로,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있어서의 장치측 결합 구조체(75)가 위치하는 부분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의 방향(RC)(도 8)으로의 탄성 변형이 극단적으로 제한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의 구성요소(레버부(73) 및 부세 부재(79))를 배치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와 장치측 결합 구조체(75)가 결합하기 전의 시점(도 22의 제 1 시점)으로부터 결합하는 시점(도 24의 제 3 시점)까지의 사이, 공급구(480)가 인쇄재 리시버(710)의 상방(바로 위)에 위치한다. 환언하면, 제 1 시점에 있어서, 공급구(480)와 제 3 면(42)은 인쇄재 리시버(710)를 사이에 두는 위치 관계에 있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착탈할 때에, 잉크가 공급구(480)로부터 하부측(제 3 면(42)측)을 향해 누출한 경우에서도, 인쇄재 리시버(710)에 의해서 잉크를 포착할 수 있다. 잉크가 포착되는 것으로, 공급구(480)로부터 잉크가 광범위에 걸쳐서 비산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시점에서는,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의 돌기부(74)가 리시버부(601)에 위치한다(도 22). 또한, 제 1 시점에서는, 인쇄재 리시버(710)의 상방에 공급구(480)가 위치한다(도 22). 즉,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할 때에,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의 돌기부(74)가 안내부(606)에 위치하는 동안은 인쇄재 리시버(710)의 상방(바로 위)에 공급구(480)가 위치하는 관계가 된다. 이것에 의해, 공급구(480)로부터 잉크가 하부측(제 3 면(42)측)을 향해 누출한 경우에서도, 적어도 돌기부(74)가 안내부(606)에 위치하는 동안은, 공급구(480)로부터 잉크가 광범위에 걸쳐서 비산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 용기 본체(5b)는 제 1 용기 본체(5a)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다(도 20). 또한,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는 제 2 용기 본체(5b)보다 장착 방향측(-Y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1 용기 본체(5a)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와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와의 결합의 해제 동작을 실시해도,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와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와의 결합을 해제할 수 없는 상태(고장 상태)가 생길 수 있다. 이 경우에서도, 제 2 용기 본체(5b)를 제 1 용기 본체(5a)로부터 분리하는 것으로, 이용자는 제 1 용기 본체(5a)측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상태를 확인하기 쉬운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고장 상태가 발생한 원인을 조사하기 쉬워진다. 고장 상태의 발생 원인이 해명되는 것으로, 이용자에 의해서 고장 상태가 해소될 가능성을 향상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재 수용부(7)는 주로 제 2 용기 본체(5b)에 수용되어 있고, 제 2 용기 본체(5b)측은 제 1 용기 본체(5a)측보다 무겁다. 따라서,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제 2 용기 본체(5b)측은 중력의 영향을 받기 쉽고, 중력에 의해서 연직 하방향으로 기울어지려 한다. 또한, 제 2 용기 본체(5b)가 외력에 의해서 덜컹거리는 경우가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450)는, 제 1 용기 본체(5a)측에,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와 접촉부(cp)가 배치되어 있다(도 10, 도 12 및 도 20). 따라서, 인쇄 장치(10)에 의해서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 및 접촉부(cp)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카트리지(4)가 협지되는 것으로, 제 1 용기 본체(5a)측의 장착 위치는 안정된다. 즉, 제 2 용기 본체(5b)가 덜컹거림 등에 의해서 변위했을 경우에서도, 인쇄 장치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가 위치되는 제 1 용기 본체(5a)는 설계된 장착 위치로부터 어긋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cp)와 인쇄 장치(10)(상세하게는, 장치측 단자(803))와의 접촉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55, 56)와 제 2 용기 본체(5b)와의 사이에는 유격이 있다. 이 유격에 의해서, 제 2 용기 본체(5b)가 덜컹거림 등에 의해서 변위했을 경우에서도, 제 1 용기 본체(5a)는 설계된 장착 위치로부터 어긋날 가능성을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cp)와 인쇄 장치(10)(상세하게는, 장치측 단자(803))와의 접촉 불량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유격에 의해서, 카트리지(4) 전체가 정확한 장착 자세로부터 기울거나 회전하거나 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의 결합부(612)를 포함한 일부분은 돌출부(55)에 형성되어 있다(도 20). 여기서 돌출부(55)는 제 1 용기 본체(5a) 중 분리 방향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2 용기 본체(5b)를 제 1 용기 본체(5a)로부터 분리하는 것으로, 이용자는 고장 상태가 발생한 원인을 보다 한층 조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에 의해서 고장 상태가 해소될 가능성을 보다 한층 향상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재 수용부(7)는 주로 제 2 용기 본체(5b)에 수용되어 있고, 제 2 용기 본체(5b)측은 제 1 용기 본체(5a)측보다 무겁다. 따라서,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제 2 용기 본체(5b)측은 중력의 영향을 받기 쉽고, 중력에 의해서 연직 하방향으로 기울어지려 한다. 또한, 제 2 용기 본체(5b)가 외력에 의해서 덜컹거리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55, 56)와 제 2 용기 본체(5b)와의 사이에는 유격이 있다. 이 유격에 의해서, 제 2 용기 본체(5b)가 덜컹거림 등에 의해서 변위했을 경우에서도, 제 1 용기 본체(5a)는 설계된 장착 위치로부터 어긋날 가능성을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cp)와 인쇄 장치(10)(상세하게는, 장치측 단자(803))와의 접촉 불량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유격에 의해서, 카트리지(4) 전체가 정확한 장착 자세로부터 기울거나 회전하거나 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유격은 2개의 돌출부(55, 56)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할 때, 인쇄재 공급 시스템(1)의 각 요소는 이하의 관계를 갖는다.
· 제 1 관계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위치 결정 부재(76, 78)의 한쌍의 부재 관통 구멍(458)에의 삽입이 개시된 후에, 장치측 식별 부재(82)와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24)와의 끼워맞춤이 개시된다(제 1 관계). 한쌍의 위치 결정 부재(76, 78)가 한쌍의 부재 관통 구멍(458, 459)에 삽입되는 것으로,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으로 수직인 면내 방향의 카트리지(4)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한 삽입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한다. 이것에 의해, 장치측 식별 부재(82)에 대한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24)의 위치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장착부(6)에 정확한 종류의 카트리지(4)가 장착될 때에,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24)가 장치측 식별 부재(82)에 해당되고, 끼워맞춤 저해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잘못된 종류의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되려고 했을 경우에는,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24)가 장치측 식별 부재(82)에 확실하게 접촉해서, 카트리지(4)의 한층 더 삽입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장착부(6)의 각 슬롯(61a 내지 61d)에 잘못된 종류의 카트리지(4)가 장착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 제 2 관계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식별 부재(82)와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24)와의 끼워맞춤이 개시된 후에, 유통관(702)이 인쇄재 공급부(482) 내에 삽입된다(제 2 관계).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부(6)의 각 슬롯(61a 내지 61d)에 잘못된 종류의 카트리지(4)가 장착된 채의 상태로, 잉크가 카트리지(4)로부터 인쇄 장치(10)에 공급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 제 3 관계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통관(702)이 인쇄재 공급부(482)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인쇄재 공급부(482)로부터 유통관(702)에의 잉크의 유통이 가능해진 후에, 장치측 단자(803)와 회로 기판(52)의 접촉부(cp)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인쇄재 공급부(482)로부터 유통관(702)에의 잉크의 유통이 가능해지기 전 상태로, 인쇄 장치(10)가 인쇄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22)로부터 공기를 토출하는 동작인 소위 아이들링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면(45)이 구비하는 당접부(457)가 커버 부재(706)의 단면(703)에 당접한다(도 23). 이것에 의해, 제 1 면(45) 전체의 정밀도에 대신에 당접부(457)를 정밀도 좋게 제작하는 것으로, 커버 부재(706)에 카트리지(4)를 당접시키는 타이밍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B. 제 2 실시형태
B-1. 인쇄재 수용부(7a)의 상세
도 27은 제 2 실시형태의 인쇄재 수용부(7a)를 설명하기 위한 제 1 도면이다. 도 28은 도 27의 F27-F27 단면도이다. 도 27은 인쇄재 수용부(7a)를 Y축 방향과 Z축 방향으로 평행한 평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모식도이다. 또한, 이해의 용이를 위해서, 유로 유닛(9)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카트리지(4)와 제 2 실시형태의 카트리지(4a)와의 상이한 점은 인쇄재 수용부(7a)의 구성이다. 그 이외의 카트리지(4a)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카트리지(4)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는 동시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카트리지(4a)가 장착되는 인쇄 장치는 제 1 실시형태의 인쇄 장치(10)와 동일한 구성이다. 제 1 실시형태의 인쇄재 수용부(7)는 후술하는 제 2 시일부(705)를 갖지 않는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재 수용부(7a)는 외곽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시트 부재(732, 734)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시트 부재(732, 734)는 수지 필름층의 위에 알루미늄층이 적층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복층 필름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재 수용부(7a)는 제 1 시일부(704)와 제 2 시일부(705)를 구비한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시일부(704)는 2개의 시트 부재(732, 734)의 외주부끼리를 용착한 부분이다. 제 2 시일부(705)는 2개의 시트 부재(732, 734)의 일부분끼리를 X축 방향 양측에서 사이에 두고 넣어 용착한 부분이다. 제 2 시일부(705)는 유로 형성 부재(481)의 중심축(CB)에 수직인 방향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인쇄재 수용부(7a)의 내부 공간이 제 1 실(720)과 제 2 실(722)로 구획 형성된다. 제 1 실(720)에는 잉크가 충전된다. 제 2 실(722)은 잉크가 충전되지 않는 밀폐 공간이다. 제 1 실(720)은 인쇄재 공급부(482)와 연통한다.
인쇄재 수용부(7a)는 예를 들면 이하의 순서로 제작할 수 있다. 우선, 제 1 및 제 2 시트 부재(732, 734)의 외주부끼리를 용착한다. 이 때에, 유로 유닛(9)을 제 1 및 제 2 시트 부재(732, 734)의 각 일 측면에 부착한다. 다음에, 제 1 및 제 2 시트 부재(732, 734) 중 유로 유닛(9)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떨어진 일부분끼리를 사이에 넣어서 용착하는 것으로 제 2 시일부(705)를 형성한다. 다음에, 유로 유닛(9)을 이용해서 제 1 실(720)에 잉크를 충전한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인쇄재 수용부(7a)는 잉크가 충전되는 제 1 실(720)과 잉크가 수용되지 않는 밀폐 공간인 제 2 실(722)을 구비한다. 여기서, 카트리지(4a)의 종류(잉크색이나 사용되는 인쇄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인쇄재 수용부(7a)에 주입하는 잉크량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서도, 제 2 시일부(705)의 위치를 간단히 변경하는 것으로, 공통의 타입의 제 1 및 제 2 시트 부재(732, 734)를 이용하고, 수용하는 잉크량이 상이한 복수종의 인쇄재 수용부(7a)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a)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시일부(705)를 형성한 후에, 잉크를 제 1 실(720)에 주입함으로써, 제 2 시일부(705)에는 잉크가 주입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인쇄에 이용되지 않는 잉크량(잉크 잔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 1 및 제 2 시트 부재(732, 734)의 내면에는 잉크가 부착한다. 부착한 잉크는 인쇄에 이용되는 일이 없이 인쇄재 수용부(7a) 내에 잔류한다. 제 2 시일부(705)를 형성하는 일이 없이, 인쇄재 수용부(7a)에 적은 양의 잉크가 충전되는 경우, 충전량에 대해서 제 1 및 제 2 시트 부재(732, 734)의 내면에 부착하는 잉크량의 비율이 높아진다. 즉, 인쇄에 이용되지 않는 잉크량의 비율이 높게 된다. 한편, 인쇄재 수용부(7a)가 제 2 시일부(705)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잉크에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시트 부재(732, 734)의 면적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충전량에 대한 제 1 및 제 2 시트 부재(732, 734)에 부착하는 잉크량의 비율을 저감할 수 있다.
B-2.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도 29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에 도시하는 카트리지(4b)의 인쇄재 수용부(7b)와, 제 2 실시형태의 인쇄재 수용부(7a)와의 상이한 점은 제 2 시일부(705b)의 형성 위치이다.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2 실시형태의 카트리지(4a)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는 동시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시일부(705b)를 중심축(CB)에 따라서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해도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한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4b)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시일부(705b)를 중심축(CB)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에 따라서 형성해도 좋다.
C.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태양에 대해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C-1. 카트리지의 접촉면에 관한 변형예
도 30 및 도 31a에 카트리지의 접촉면에 관한 변형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도 30 및 도 31a는 회로 기판(52)의 설치 태양이 제 1 실시형태의 카트리지(4)와는 상이하다. 그 이외의 카트리지의 구성, 및 인쇄 장치(10)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는 동시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30에 나타내는 카트리지(4c)는 회로 기판(52)을 가동할 수 있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회로 기판(52)의 일 측면에, 경사면(51)에 회로 기판(52)을 장착하기 위한 부착부(527)가 설치되어 있다. 부착부(527)를 회전축으로 해서 회로 기판(52)을 가동할 수 있다. 카트리지(4c)의 장착 상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촉면(529)이 형성된다.
도 31a에 도시되는 카트리지(4d)는, 회로 기판(52)이 스프링(600)에 의해서 경사면(51)에 장착되어 있다. 카트리지(4d)의 장착 상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촉면(529)이 형성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면"(plane)이라고 하는 용어는 가상적인 면(비실재 면)과, 실재 면의 양쪽 모두를 포함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단자 열(R1)을 형성하는 접촉부(cpa)와 제 2 단자 열(R2)을 형성하는 접촉부(cpb)를 포함한 3개 이상의 접촉부에 의해서 규정되는 접촉면(529)은 소정 방향으로 경사진 가상의 평면과 실재의 평면의 양쪽 모두를 포함한다.
도 31b는 소정 방향으로 경사진 가상적인 접촉면(529)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c는 도 31b를 -X축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1b는 제 1 단자 열(R1)과 제 2 단자 열(R2)과의 사이에 단차부(S)가 설치되어 있는 회로 기판(52)의 예이다. 이 예에서는, 제 1 단자 열(R1)을 형성하는 단자(534)의 접촉부(534cp), 제 2 단자 열(R2)을 형성하는 단자(538, 539)의 각각의 접촉부(538cp, 539cp)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서 가상의 접촉면(529)이 규정된다. 도 3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접촉부(534cp, 538cp, 539cp)에 의해서 규정된 가상의 접촉면(529)은 소정 방향으로 경사진다.
도 31d는 소정 방향에 따라서 경사진 가상적인 접촉면(529)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d에 나타내는 회로 기판(52)은 절곡 가능(플렉서블)한 필름을 이용해 형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52)이 절곡 가능하기 때문에 도 31b 및 도 31c에 도시한 단차부(S)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가상의 접촉면(529)은 소정 방향에 따라서 경사진다.
상기와 같이, 접촉부(cp)에 의해서 형성되는 경사면(가상적인 접촉면(529), 실재하는 접촉면(529)의 양쪽 모두를 포함한다)은, 적어도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제 4 면(44)에 대해서 소정 방향에 따라서 경사되어 있으면 좋다. 예시한 이외의 형태이여도, 가상적 또는 실재하는 접촉면(529)이 경사만 하고 있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카트리지(4)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C-2. 카트리지의 형상에 관한 변형예
도 32 및 도 33에 카트리지의 형상에 관한 변형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도 32 및 도 33은 카트리지의 외관 형상이 제 1 실시형태의 카트리지(4)와는 상이하다. 그 이외의 카트리지의 구성, 및 인쇄 장치(10)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는 동시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32에 도시하는 카트리지(4e)의 외곽은 대략 타원형 또는 대략 장원형의 측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카트리지(4e)는, 제 1 면(45)측에 공급구(480)와 제 1 및 제 2 부재 관통 구멍(458, 459)과, 제 3 면(42)측에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를 구비하고, 코너부(50)에 회로 기판(52)을 구비한다. 또한, 이 카트리지(4e)를 제 1 면(45)측에서 보면, 일정한 폭을 갖고 있다. 이 카트리지(4e)에서도, 카트리지 장착부(6)의 각 요소(예를 들면,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와 대응하는 요소(예를 들면,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를 구비하고 있으면, 제 1 실시형태의 카트리지(4)로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하는 카트리지(4f)는 외곽을 구성하는 부재 중 제 1 용기 본체(5a)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 카트리지(4f)는 제 2 용기 본체(5b)의 외곽이 곡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카트리지(4f)는 제 1 면(45)측에 공급구(480)와 제 1 및 제 2 부재 관통 구멍(458, 459)과, 제 3 면(42)측에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를 구비하고, 코너부(50)에 회로 기판(52)을 구비한다. 또한, 이 카트리지(4f)를 제 1 면(45)측에서 보면, 일정한 폭을 갖고 있다. 이 카트리지(4f)에서도, 카트리지 장착부(6)의 각 요소(예를 들면, 장치측 결합 구조체(75))와 대응하는 요소(예를 들면,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420))를 구비하고 있으면, 제 1 실시형태의 카트리지(4)로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의 외형의 형상에는, 여러가지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 카트리지의 외형의 형상이 대략 직방체 이외의 형상을 갖고 있는 경우에도, 예를 들면 도 32 및 도 33에 점선이나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의 6개의 면,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제 1 면(45), 제 2 면(46), 제 3 면(42), 제 4 면(44), 제 5 면(47), 제 6 면(48)을 가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면"이라고 하는 용어는, 이러한 가상적인 면(가상면)과, 도 10 및 도 11에 기재한 것 같은 실재 면의 양쪽 모두를 포함한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면"이라고 하는 용어는 평면과 곡면의 양쪽 모두를 포함한 의미로 사용된다.
C-3. 카트리지측 단자 그룹의 변형예
도 34 내지 도 36은 회로 기판의 단자 형상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회로 기판(52g 내지 52i)은 도 12에 도시한 회로 기판(52)과 카트리지측 단자(531 내지 559)의 표면 형상이 상이한 것 뿐이다. 도 34 및 도 35의 회로 기판(52g, 52h)은 개개의 단자의 형상이 대략 장방형이 아니고, 불규칙적인 형상을 갖고 있다. 도 36의 회로 기판(52i)에서는, 9개의 단자(531 내지 539)가 일렬로 배열되고 있다. 이러한 회로 기판(52g 내지 52i)에 있어서도 각 단자(531 내지 539)에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의 접촉부(cp)의 배치는 도 12의 회로 기판(52)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개개의 단자의 표면 형상으로서는, 접촉부(cp)의 배치가 동일한 것으로 한정하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D. 그 이외의 변형예
D-1. 제 1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인쇄재 수용부(7)가 봉지체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인쇄재 수용부(7)는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구성이면 좋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4)의 외곽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용기 본체(5a, 5b) 자체로 인쇄재 수용부(7)를 형성해도 좋다.
D-2. 제 2 변형예
도 37은 제 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에 도시하는 카트리지(4j)는 장착 부재(904)와, 수용 부재(900)와, 접속 부재(902)를 구비한다. 장착 부재(904)는 제 1 실시형태의 카트리지(4)와 동일한 구성이다. 수용 부재(900)는 잉크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탱크이다. 접속 부재(902)는 수용 부재(800)와 인쇄재 수용부(7)를 연통시키는 호스이다. 접속 부재(902)는 제 2 면(46)을 관통해서 인쇄재 수용부(7)에 접속되어 있다. 수용 부재(900)는, 예를 들면 인쇄 장치(10)의 외부에 배치된다. 인쇄 장치(10)에 의해서 잉크가 소비되면, 수용 부재(900)로부터 인쇄재 수용부(7)에 잉크가 보충된다. 수용 부재(900)의 잉크가 없어지면, 이용자는 수용 부재(900)를 교환하거나 수용 부재(900)에 잉크를 보충하거나 할 수 있다.
D-3. 제 3 변형예
도 38은 제 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에 도시하는 카트리지(4k)는 제 1 용기 본체(5a)와, 공급 유닛(910)을 구비한다. 제 1 용기 본체(5a)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용기 본체(5a)와 동일하다(도 20). 제 1 용기 본체(5a)는 회로 기판(52)(도시하지 않음)이나 관통 구멍(452) 등의 카트리지 장착부(6)의 각 요소(예를 들면, 장치측 단자 그룹(802))에 대응하는 요소를 구비한다. 유통관(702)이 삽입되는 인쇄재 공급부(482)는 공급 유닛(910)이 구비한다. 공급 유닛(910)은 인쇄재 공급부로서의 공급 부재(914)와, 접속 부재(912)와, 수용 부재(911)를 구비한다. 공급 부재(914)에는, 유통관(702)이 삽입된다. 공급 부재(914)는 제 1 실시형태의 유로 형성 부재(481)(도 20)와 동일한 구성이다. 수용 부재(911)는 잉크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탱크이다. 접속 부재(912)는 수용 부재(911)와 공급 부재(914)를 연통시키는 호스이다. 수용 부재(911)는, 예를 들면 인쇄 장치(10)의 외부에 배치된다. 인쇄 장치(10)에 의해서 잉크가 소비되면, 수용 부재(911)로부터 직접 잉크가 공급 부재(914)를 거쳐서 인쇄 장치(10)에 공급된다. 수용 부재(911)의 잉크가 없어지면, 이용자는 수용 부재(911)를 교환하거나 수용 부재(911)에 잉크를 보충하거나 할 수 있다.
D-4. 제 4 변형예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잉크 카트리지에 한정하지 않고, 잉크 이외의 다른 액체를 분사하는 임의의 인쇄 장치(액체 분사 장치) 및 그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카트리지(액체 수용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각종의 액체 분사 장치 및 그 액체 수용 용기에 적용 가능하다:
(1) 팩시밀리 장치 등의 화상 기록 장치;
(2)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용의 칼라 필터의 제조에 이용되는 색재 분사 장치;
(3)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나, 면발광 디스플레이 (Field Emission Display:FED) 등의 전극 형성에 이용되는 전극재 분사 장치;
(4) 바이오칩 제조에 이용되는 생체 유기물을 포함한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5) 정밀 피펫으로서의 시료 분사 장치;
(6) 윤활유의 분사 장치;
(7) 수지액의 분사 장치;
(8) 시계나 카메라 등의 정밀 기계에 핀 포인트로 윤활유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9) 광통신 소자 등에 이용되는 미소 반구 렌즈(광학 렌즈) 등을 형성하기 위해서 자외선 경화 수지액 등의 투명 수지액을 기판상에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10) 기판 등을 에칭 하기 위해서 산성 또는 알칼리성의 에칭액을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및
(11) 다른 임의의 미소량의 액체방울을 토출시키는 액체 분사 헤드를 구비하는 액체 분사 장치.
또한, "액체 방울"은 액체 분사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액체 상태를 말하고, 입자 형상, 눈물방울 형상, 테이퍼형 실형 형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액체"는 액체 분사 장치가 분사시킬 수 있는 재료이면 좋다. 예를 들면, "액체"는 물질이 액상일 때 상태의 재료이면 좋고, 점성이 높은 또는 낮은 액 상태의 재료, 및 졸, 겔수, 그 이외의 무기 용제, 유기 용제, 용액, 액상 수지, 액상 금속(금속 융액)과 같은 액 상태의 재료도 "액체"에 포함된다. 또한, 물질의 일 상태로서의 액체 뿐만 아니라, 안료나 금속 입자 등의 고형물로 이루어지는 기능 재료의 입자가 용매에 용해, 분산 또는 혼합된 것 등도 "액체"에 포함된다. 또한, 액체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 같은 잉크나 액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잉크는 일반적인 수성 잉크 및 유성 잉크 및 젤 잉크, 핫멜트 잉크 등의 각종의 액체 형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나 실시예,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구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명의 개요의 란에 기재한 각 형태 중의 기술적 특징에 대응하는 실시형태, 실시예, 변형예 중의 기술적 특징은 상술의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또는 상술의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서, 적당, 교환이나, 편성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기술적 특징이 본 명세서 중에 필수적인 것으로 해서 설명되어 있지 않으면, 적당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2)

  1. 인쇄 장치에 인쇄재를 공급하기 위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인쇄재를 수용 가능한 인쇄재 수용부;
    상기 인쇄재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인쇄재를 상기 인쇄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인쇄재 공급부;
    서로 대향하는 제 1 면 및 제 2 면;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과 교차하는 제 3 면;
    상기 제 3 면과 대향하는 제 4 면;
    상기 제 3 면 중, 상기 제 2 면보다 상기 제 1 면측에 설치된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로서, 상기 인쇄 장치의 장치측 결합 구조체와 결합하기 위한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 및
    상기 제 1 면의 상기 제 4 면측의 일 단부와, 상기 제 4 면의 상기 제 1 면측의 일 단부 양자가 위치하는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인쇄 장치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에 의해서 규정되는 접촉면은 상기 제 4 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 상기 제 2 면, 상기 제 3 면, 및 상기 제 4 면과 교차하는 제 5 면;
    상기 제 5 면과 대향하는 제 6 면; 및
    상기 접촉부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들은 상기 제 5 면과 상기 제 6 면이 서로 대향하는 폭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 1 접촉부를 구비하는 제 1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 중 상기 장치측 결합 구조체와 결합하기 위한 부분인 결합부는, 상기 제 1 단자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폭 방향에 대해 수직인 가상 평면을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재 공급부는 일단에 공급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구는 상기 가상 평면을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는 상기 가상 평면을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재 공급부는 일단에 공급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구는 상기 제 4 면보다 상기 제 3 면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면은,
    상기 제 2 면에 접속된 일 단부면; 및
    상기 제 1 면에 접속된 타 단부면으로서, 상기 일 단부면보다 상기 제 4 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타 단부면을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는 상기 타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인쇄재 공급부에 삽입되는 유통관; 및
    상기 인쇄재를 포착하기 위한 인쇄재 리시버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재 공급부는 일단에 공급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구는, 상기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가 상기 장치측 결합 구조체와 결합하기 전에, 상기 인쇄재 리시버의 상방에 위치하는
    카트리지.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인쇄재를 받아들이는 유통관; 및
    상기 인쇄재를 포착하기 위한 인쇄재 리시버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재 공급부는 일단에 공급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구 및 상기 제 3 면은, 상기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가 상기 장치측 결합 구조체와 결합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인쇄재 리시버를 사이에 두는 위치 관계가 되는
    카트리지.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는 상기 제 3 면에 형성된 홈 구조체이며,
    상기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는,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제 2 면으로 향해 연장되고, 상기 장치측 결합 구조체를 받아들이는 리시버부;
    상기 리시버부에 접속되고,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의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로서, 상기 장치측 결합 구조체를 상기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와 결합하는 결합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인쇄재 리시버보다 짧은
    카트리지.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 내지 상기 제 4 면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인쇄재 수용부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제 1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을 포함하지 않는 제 1 용기 본체;
    상기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면을 포함하지 않는 제 2 용기 본체로서, 상기 제 1 용기 본체와 분리 가능한 제 2 용기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는 상기 제 1 용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기 본체는 상기 제 2 용기 본체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 2 용기 본체와의 사이에는 유격(play)이 있는
    카트리지.
  12. 인쇄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트리지; 및
    상기 인쇄재 공급부 내에 삽입되는 유통관을 구비하는 인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측 결합 구조체를 결합하기 위한 장치측 결합 구조체; 및
    상기 접촉부와 접촉하는 접촉 기구를 구비하는
    인쇄재 공급 시스템.
KR1020157030868A 2013-05-15 2014-05-14 카트리지, 및 인쇄재 공급 시스템 KR102188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03008 2013-05-15
JPJP-P-2013-103008 2013-05-15
JPJP-P-2014-024059 2014-02-12
JP2014024059A JP6476551B2 (ja) 2013-05-15 2014-02-12 カートリッジ、および、印刷材供給システム
PCT/JP2014/002553 WO2014185071A1 (en) 2013-05-15 2014-05-14 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511A true KR20160007511A (ko) 2016-01-20
KR102188215B1 KR102188215B1 (ko) 2020-12-08

Family

ID=5068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868A KR102188215B1 (ko) 2013-05-15 2014-05-14 카트리지, 및 인쇄재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139013B2 (ko)
EP (1) EP2803488B1 (ko)
JP (1) JP6476551B2 (ko)
KR (1) KR102188215B1 (ko)
AU (1) AU2014266700B2 (ko)
BR (1) BR112015028503A2 (ko)
ES (1) ES2695373T3 (ko)
PH (1) PH12015502228A1 (ko)
RU (1) RU2667582C2 (ko)
TW (1) TWI641504B (ko)
WO (1) WO20141850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6686A (ja) * 2015-09-18 2017-03-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端子接続部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2017056706A (ja) * 2015-09-18 2017-03-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端子接続部及びカートリッジ
JP6665649B2 (ja) * 2016-04-15 2020-03-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US11148426B2 (en) 2016-05-27 2021-10-19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and liquid ejection system
US11097549B2 (en) 2016-08-12 2021-08-24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CN107718891B (zh) 2016-08-12 2021-04-2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液体容纳体
EP3300904B1 (en) * 2016-09-30 2021-09-01 Seiko Epson Corporation Cartridge and connector
JP6870265B2 (ja) * 2016-09-30 2021-05-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消費装置
JP6844178B2 (ja) * 2016-09-30 2021-03-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接続体
CN206938197U (zh) * 2016-09-30 2018-01-30 兄弟工业株式会社 喷墨打印机
JP6891488B2 (ja) * 2016-12-27 2021-06-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2018161759A (ja) 2017-03-24 2018-10-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6930165B2 (ja) 2017-03-24 2021-09-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液体供給ユニット
JP7035417B2 (ja) 2017-09-29 2022-03-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システム
JP7035678B2 (ja) * 2018-03-22 2022-03-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EP3546225B1 (en) * 2018-03-29 2021-10-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Liquid cartridge
JP7183823B2 (ja) * 2019-01-29 2022-1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023A (ko) * 2003-08-08 2005-02-2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수용체 및 잉크 카트리지
JP2008137376A (ja) 2006-11-06 2008-06-19 Seiko Epson Corp 容器ホルダ、液体消費装置及び液体収容容器
JP2011051321A (ja) * 2009-09-04 2011-03-17 Ricoh Co Ltd 液体収容容器、液体収容容器の組立て方法、液体収容容器の分解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071577A (ja) * 2010-09-03 2012-04-12 Seiko Epson Corp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7213B2 (ja) * 1996-10-01 2005-02-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ユニット、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086887B2 (ja) * 2003-12-26 2008-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収納容器、該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プリンタシステム
JP4058436B2 (ja) * 2003-12-26 2008-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収納容器
US7384116B2 (en) * 2004-10-20 2008-06-10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ntainer and ink jet printing apparatus
JP4352019B2 (ja) * 2005-04-22 2009-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および該ヘッド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8011768B2 (en) * 2006-08-23 2011-09-06 Canon Kabushiki Kaisha Ink tank
JP5094273B2 (ja) * 2006-08-23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
JP2010208038A (ja) * 2009-03-06 2010-09-24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装置及び液体収容容器
JP2012000862A (ja) * 2010-06-17 2012-01-05 Brother Industries Ltd 液体抽出ユニット
BR112012005682A2 (pt) * 2010-07-15 2016-02-23 Seiko Epson Corp recipiente de líquido e sistema de ejeção de líquido
JP5720148B2 (ja) * 2010-09-03 2015-05-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材カートリッジ、及び、印刷材供給システム
JP5630157B2 (ja) * 2010-09-03 2014-11-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ES2796610T3 (es) * 2010-10-22 2020-11-27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Cartucho de fluido
US8567932B2 (en) * 2010-11-17 2013-10-29 Funai Electric Co., Ltd. Fluid container having fluid interface for micro-fluid applications
JP2012210726A (ja) * 2011-03-30 2012-11-01 Brother Industries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023A (ko) * 2003-08-08 2005-02-2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수용체 및 잉크 카트리지
JP2008137376A (ja) 2006-11-06 2008-06-19 Seiko Epson Corp 容器ホルダ、液体消費装置及び液体収容容器
JP2011051321A (ja) * 2009-09-04 2011-03-17 Ricoh Co Ltd 液体収容容器、液体収容容器の組立て方法、液体収容容器の分解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071577A (ja) * 2010-09-03 2012-04-12 Seiko Epson Corp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5028503A2 (pt) 2017-07-25
JP6476551B2 (ja) 2019-03-06
EP2803488A2 (en) 2014-11-19
RU2015148541A3 (ko) 2018-03-22
US20140340453A1 (en) 2014-11-20
EP2803488A3 (en) 2016-06-29
EP2803488B1 (en) 2018-10-10
CN104163044A (zh) 2014-11-26
ES2695373T3 (es) 2019-01-04
WO2014185071A1 (en) 2014-11-20
JP2014240182A (ja) 2014-12-25
RU2015148541A (ru) 2017-06-20
AU2014266700A1 (en) 2015-10-29
US9139013B2 (en) 2015-09-22
TW201446546A (zh) 2014-12-16
AU2014266700B2 (en) 2017-12-21
RU2667582C2 (ru) 2018-09-21
PH12015502228B1 (en) 2016-02-01
TWI641504B (zh) 2018-11-21
PH12015502228A1 (en) 2016-02-01
KR102188215B1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7511A (ko) 카트리지, 및 인쇄재 공급 시스템
JP7044194B2 (ja) 印刷材供給システム
CN111356591B (zh) 容器以及液体喷射装置
JP2016049772A (ja) 液体供給ユニット
JP5533560B2 (ja) 液体消費装置
JP2022148023A (ja) カートリッジ
JP2017056686A (ja) 端子接続部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2022144519A (ja) カートリッジ
JP2019069624A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印刷材供給システム
WO2022065203A1 (ja) カートリッジ、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装置
WO2022264958A1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印刷システム
WO2022091759A1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2022154024A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2017056705A (ja) 端子接続部及び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