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282A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282A
KR20160004282A KR1020157031024A KR20157031024A KR20160004282A KR 20160004282 A KR20160004282 A KR 20160004282A KR 1020157031024 A KR1020157031024 A KR 1020157031024A KR 20157031024 A KR20157031024 A KR 20157031024A KR 20160004282 A KR20160004282 A KR 20160004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mass
parts
acid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332B1 (ko
Inventor
노부타카 후지모토
기요시 니시오카
도모키 가와키타
고헤이 닛타
마키코 나카하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4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2Aliphatic polycarbonates
    • C08G64/0208Aliphatic polycarbonates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Abstract

기계 강도 및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0.05~10질량부 및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0.01~2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Description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POLYOLEFIN-TYP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 강도 및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해당 조성물로 성형된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으로 대표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저가이고, 가공하기 쉬우며, 견고하고 가벼운 것이나 제조 비용의 저렴함에서, 현재 범용의 폴리머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폴리프로필렌은, 그 우수한 내열성, 투명성 및 양호한 성형성을 갖는 것에서, 자동차 부품, 전기ㆍ전자 기기 부품, 공업 자재, 가구, 문방구, 일용ㆍ잡화용품, 용기ㆍ포장용품, 완구, 레저용품 및 의료용품 등, 폭넓은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의 성능은 결정 형태와 그 결정화도, 결정 모폴로지(구정(spherulites)의 크기) 등과 밀접히 관계되어 있으며, 폴리프로필렌의 분자 구조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결정부와 비결정부의 구조를 나노미터 오더로 제어하여, 내열성, 내손상성이나 고무 탄성 등의 기계 물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한편, 폴리머의 분자 구조를 바꾸지 않고, 항복 응력, 네킹(necking) 응력, 파단 응력 및 파단 변형 등의 기계 물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가공 방법을 연구하는 방법, 폴리프로필렌에 엘라스토머나 무기 충전제 등을 첨가하여 복합재로 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첨가제를 이용한 고성능화의 어프로치에서는 기계 물성의 제어 범위가 넓고, 또 폴리프로필렌의 분자 구조를 제어하는 방법에 비하여 경제적이다.
특허문헌 1에는 폴리프로필렌과, 특정한 프로필렌ㆍ부텐ㆍ에틸렌 공중합체의 조성물이 기재되고, 공업용 슈링크(shrink) 필름이나 업무용 랩 필름에 이용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2-348417호 공보
이와 같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의 역학 강도에 관해 여러 가지 개량이 제안되어 있지만, 항복 응력, 네킹 응력 및 파단 응력 등의 기계 강도를 유지하면서 파단 변형 등의 신축성을 개선하는 것은 어렵다. 특허문헌 1의 조성물에서는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조성물 중에서의 프로필렌ㆍ부텐ㆍ에틸렌 공중합체의 함량을 높일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조성물 중에서의 폴리프로필렌의 결정 영역의 함유 비율이 저하하는 것으로 조성물의 강도가 저하한다.
본 발명은 기계 강도와 신축성의 양쪽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해당 조성물로 성형된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해 왔다. 그 결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특정한 비율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 기계 강도 및 신축성의 양쪽에 뛰어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이하의 항에 기재된 주제를 포함한다.
항 1.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0.05~10질량부 및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0.01~2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항 2.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인 항 1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항 3.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이산화탄소와 알킬렌옥시드를 금속 촉매의 존재 하에서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것인 항 1 또는 2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항 4.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인 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항 5.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이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인 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항 6.
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성형된 성형체.
항 7.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신축성 개선제.
항 8.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0.05~10질량부에 대하여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0.01~2질량부의 비율로 포함하는 항 7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신축성 개선제.
항 9.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병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신축성 개선 조제.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해당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해 특정한 비율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기계 강도 및 신축성을 나타낸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시험편을 이용하여 소각(小角) X선 산란 측정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폴리올레핀게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추가하여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특정한 비율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올레핀에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이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계 수지, 에틸렌-카르복시산 알케닐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시산 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부텐계 수지, 폴리(4-메틸-1-펜텐)계 수지 등이 예시된다.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에틸렌-카르복시산 알케닐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의 "카르복시산 알케닐에스테르"로서는, 초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틸비닐, 초산이소프로페닐, 초산알릴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초산비닐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카르복시산 알케닐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시산 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의 "불포화 카르복시산 알킬에스테르"로서는,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프로필,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프로필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메틸이 바람직하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시산 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에틸렌-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메틸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여기에서의 "다른 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 부텐, 펜텐, 헥센, 옥텐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이들 "다른 올레핀"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즉,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체로 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헥센 공중합체, 프로필렌-옥텐 공중합체 등이 바람직하고, 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가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도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 및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보다 바람직하고,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가 더욱 적합하게 이용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과산화물 등의 개시제를 사용하여 올레핀을 래디컬 중합하는 방법, 중합 촉매의 존재 하에 있어서 기상법, 용액법 등에 의해 올레핀을 중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촉매로서는, 치글러ㆍ나타 촉매 및 메탈로센 촉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중량 평균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20,000~6,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6,0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0~5,000,000의 범위 내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 이상이면,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기계 강도가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또,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0,000 이하이면,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성형 가공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해당 중량 평균 분자량은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또한, 해당 중량 평균 분자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농도가 0.5질량%인 클로로포름 용액을 조제하고,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동일 조건으로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주지의 폴리스티렌과 비교함으로써 산출한 값이다. 또한,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컬럼: GPC 컬럼
(도소 주식회사의 상품명, TSK GEL Multipore HXL-M)
컬럼 온도: 40℃
용출액: 클로로포름
유속: 1mL/min
수지의 유동성은 예를 들면, JIS K 7210:1999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되는 멜트 플로 레이트(MFR, 단위: g/10분)에 의하여 나타난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해당 방법에 의해 온도 230℃, 하중 2. 16㎏으로 측정된 값이 바람직하게는 0.5~10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75(g/10분)의 범위에 있는 것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MFR의 값이 0.5 이상이면,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 지나치게 낮은 일이 없어서,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MFR의 값이 100 이하이면,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이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알킬렌옥시드와 이산화탄소를 금속 촉매의 존재 하에서 중합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알킬렌옥시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옥시드, 프로필렌옥시드, 1-부텐옥시드, 2-부텐옥시드, 이소부티렌옥시드, 1-펜텐옥시드, 2-펜텐옥시드, 1-헥센옥시드, 1-옥텐옥시드, 1-데센옥시드, 시클로펜텐옥시드, 시클로헥센옥시드, 스티렌옥시드, 비닐시클로헥센옥시드, 3-페닐프로필렌옥시드, 3, 3, 3-트리플루오로프로필렌옥시드, 3-나프틸프로필렌옥시드, 3-페녹시프로필렌옥시드, 3-나프톡시프로필렌옥시드, 부타디엔모노옥시드, 3-비닐옥시프로필렌옥시드 및 3-트리메틸시릴옥시프로필렌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알킬렌옥시드 중에서도 이산화탄소와의 높은 중합 반응성을 갖는 관점에서, 에틸렌옥시드 및 프로필렌옥시드가 적합하게 이용되고, 프로필렌옥시드가 더욱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이들의 알킬렌옥시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에틸렌옥시드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폴리에틸렌카보네이트이고, 또, 프로필렌옥시드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이다.
상기 금속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촉매, 아연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알킬렌옥시드와 이산화탄소의 중합 반응에 있어서 높은 중합 활성을 갖는 것에서, 아연 촉매가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아연 촉매 중에서도 유기 아연 촉매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 유기 아연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초산아연, 디에틸아연, 디부틸아연 등의 유기 아연 촉매; 일급 아민, 2가의 페놀, 2가의 방향족 카르복시산, 방향족 히드록시산,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지방족 모노카르복시산 등의 화합물과 아연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유기 아연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유기 아연 촉매 중에서도 보다 높은 중합 활성을 갖는 것에서, 아연 화합물과, 지방족 디카르복시산과, 지방족 모노카르복시산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유기 아연 촉매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중합 반응에 이용되는 상기 금속 촉매의 사용량은 알킬렌옥시드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2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1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 촉매의 사용량이 0.001질량부 이상이면, 중합 반응이 보다 바람직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 금속 촉매의 사용량이 20질량부 이하이면, 사용량에 알맞은 효과가 바람직하게 얻어진다.
상기 중합 반응에 있어서, 알킬렌옥시드와 이산화탄소를 금속 촉매의 존재 하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오토클레이브에 상기 알킬렌옥시드, 금속 촉매 및 필요에 따라서 반응 용매를 넣고, 혼합한 후, 이산화탄소를 압입하여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 반응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이용되는 반응 용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유기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펜텐, 헥산, 옥탄, 데칸,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매;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클로로메탄, 메틸렌디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4염화탄소, 1,1-디클로로에탄, 1,2-디클로로에탄, 에틸클로라이드, 트리클로로에탄, 1-클로로프로판, 2-클로로프로판, 1-클로로부탄, 2-클로로부탄, 1-클로로-2-메틸프로판, 클로로벤젠, 브로모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매;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응 용매의 사용량은 반응을 원활하게 하는 관점에서, 알킬렌옥시드 100질량부에 대하여 300~10,0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 반응에 있어서 이용되는 이산화탄소의 사용 압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1~20MPa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0MP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5MPa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 반응에 있어서의 중합 반응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0~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 반응 온도가 30℃ 이상이면, 중합 반응이 보다 단시간에 진행될 수 있다. 또, 중합 반응 온도가 100℃ 이하이면, 부반응이 일어나기 어려워서, 수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중합 반응 시간은 중합 반응 온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지만, 통상 2~4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반응 종료 후에는 여과 등에 의해 여과 분별하고, 필요에 따라 용매 등으로 세정 후, 건조시킴으로써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0~2,000,0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1,000,000이고, 20,000~750,000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중량 평균 분자량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농도가 0.5질량%인 클로로포름 용액을 조제하고, 상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한 값이다.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미만인 경우,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기계 강도가 저하할 염려가 있다. 또,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00 이하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의 분산성이 보다 향상하여,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유량으로서는, 그 하한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질량부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5질량부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부 이상이다. 또, 그 상한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질량부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7.5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부 이하이다. 그 중에서도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유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10질량부이고, 0.5~1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5~7.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1~5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유량이 10질량부를 넘으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기계 강도가 저하할 염려가 있다. 또,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유량이 0.05질량부 미만인 경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신축성이 저하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예를 들면,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 무수물, 불포화 카르복시산의 유도체 등으로 그래프트 변성된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디카르복시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말레인산, 푸마르산 및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다. 또, 디카르복시산의 무수물로서는, 무수 말레인산, 무수 푸마르산, 무수 이타콘산 등이 예시된다. 불포화 카르복시산의 유도체로서는, 말레인산모노에틸에스테르, 말레인산디에틸에스테르, 푸마르산모노메틸에스테르, 푸마르산디메틸에스테르, 이타콘산모노에틸에스테르, 이타콘산디에틸에스테르, 말레인산모노아미드, 말레인산디아미드, 푸마르산모노아미드, 푸마르산디아미드, 이타콘산모노아미드, 이타콘산디아미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가소 효과가 우수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성형 가공이 용이해지는 관점에서,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분자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중량 평균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2,000~1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1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50,000의 범위 내이다.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이면,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중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분산 상태가 보다 균일하게 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이 보다 바람직하게 향상될 수 있다. 또,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 이하이면,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성형 가공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해당 중량 평균 분자량은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농도가 0.5질량%인 클로로포름 용액을 조제하고, 상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한 값이다.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MFR의 값(JIS K 7210:1999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은 온도 230℃, 하중 2.16㎏ 하에서 1~100(g/10분), 바람직하게는 2~50(g/10분)의 범위에 있는 것이다.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MFR의 값이 1 이상이면,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성형 가공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또,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MFR의 값이 100 이하이면,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중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분산 상태가 보다 균일하게 될 수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으로서는, 그 하한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질량부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1질량부 이상이다. 또, 그 상한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2질량부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5질량부 이하이다. 그 중에서도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2질량부이고, 0.1~2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1~1.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이 2질량부 이하이면, 사용량에 알맞은 효과가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또,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이 0.01질량부 이상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신축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임의의 순서로 헨셀(henschel) 믹서, 리본 블렌더, 블렌더 등에 의해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물을 생성시킨 후, 해당 혼합물을 용융 교반하는 방법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용매 등에 용해시켜서 혼합한 후, 상기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제조 방법 중에서도 조성물의 제조가 용이하고, 또한 균일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관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용융 교반하는 방법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예를 들면,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용융 교반하여 혼합물을 얻고,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추가하여 용융 교반하는 방법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용융 교반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벤트식 2축 압출기, 밴버리 (banbury) 믹서, 니더, 교반 롤 등을 이용하여 용융 교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형상에 제약은 없고, 스트랜드(strand)상, 시트상, 평판상, 또는 스트랜드를 적당한 길이로 재단한 펠릿상 등의 임의의 형상이 가능하다. 특히, 성형 가공이 용이한 사출 성형에 적용시키기 위해, 길이 2~50㎜의 펠릿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첨가제,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금속 불활성화제, 열 안정제, 중화제, 자외선 흡수 등의 안정제, 기포 방지제, 난연제, 난연 조제, 분산제, 대전 방지제, 활제, 실리카 등의 안티 블로킹제, 염료나 안료 등의 착색제, 고무, 가소제 등 및 유리 플레이크, 마이카, 유리 가루, 유리 비드, 탤크, 클레이, 알루미나, 카본 블랙, 규화석(wollastonite) 등의 판형상, 분립상의 무기 화합물 또는 위스커(whiskers)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배합하는 경우의 첨가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0.1~1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3질량부이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성형된 성형체이다.
본 발명의 성형체를 얻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사출 성형법, 압축 성형법, 사출 압축 성형법, 가스 주입 사출 성형법, 발포 사출 성형법, 인플레이션법, T다이법, 캘린더법, 블로 성형법, 진공 성형, 압공(pressure)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가 필름 또는 시트인 경우, 인플레이션법, T다이법, 캘린더법에 의해 다른 수지와의 다층 구성의 적어도 1층으로서 제막하는 것, 또는 압출 라미네이트법, 열 라미네이트법,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등으로 제막함으로써 다층화할 수 있다. 또, 얻어진 필름 또는 시트를 롤 연신법, 텐터(tenter) 연신법, 튜블라(tubular) 연신법 등에 의해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에는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오존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를 예를 들면, 전기ㆍ전자 부품, 건축 부품, 자동차 부품, 기계 부품, 일용품, 산업 자재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기ㆍ전자 부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복사기, 퍼스널 컴퓨터, 프린터, 전자 악기, 가정용 게임기, 휴대형 게임기 등의 하우징이나 내부 부품 등을 들 수 있고, 건축 부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커튼 부품, 블라인드 부품, 루프 패널, 단열벽, 어저스터(adjusters), 동바리(floor posts), 천장 권양구(ceiling hoisting attachments) 등을 들 수 있고, 자동차 부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펜더, 오버 펜더, 그릴 가드, 카울 루버(cowl louvers), 휠 캡, 사이드 프로텍터, 사이드 몰딩, 사이드 로어 스커트(side lower skirts), 프런트 그릴, 루프 레일, 리어 스포일러, 범퍼, 인스트루먼트 패널 로어(lower instrument panels), 트림(trim) 등을 들 수 있고, 기계 부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기어, 나사, 스프링, 베어링, 레버, 캠, 래칫, 롤러 등을 들 수 있고, 일용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각종 커트레이(cutlery), 각종 토일리트리(toiletry) 부품, 카톤 박스, 포장용 필름, 랩 필름, 라미네이트지 백(laminated paper bags), 프리페이드 카드, 가정용 랩의 톱날, 식품 트레이, 쓰레기 봉투, 라미네이트 백, 파우치, 라벨, 서모 포밍, 포장 밴드, 직편물(의류ㆍ인테리어), 카펫, 생활 위생 자재, 포장용 필름, 케이스, 식품용 컵 등을 들 수 있고, 산업 자재로서는 예를 들면, 섬유의 바인더, 종이의 코팅, 접착제, 농업용 필름, 방적사, 슬릿 얀(slit yarn), 로프, 네트, 필터, 직편물(산업 자재), 콤포스트 백(compost bags), 방수 시트, 토양용 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기계 강도 및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 얻어지는 기구는 확실하지는 않다. 한정적인 해석을 바라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결정 형태와 그 결정화도, 결정 모폴로지(구정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통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비결정부에 분산하고, 그 결과, 기계 강도가 유지되고, 신축 시에 있어서도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계면에서의 박리가 억제되는 것으로서 신축성을 겸비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 얻어지게 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또, 본 발명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신축성 개선제도 포함한다. 해당 신축성 개선제에 이용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이용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또, 해당 신축성 개선제를 적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이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해당 신축성 개선제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0.05~10질량부에 대하여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0.01~2질량부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질량부에 대하여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0.05~10질량부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5질량부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2~2질량부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해당 신축성 개선제는 예를 들면,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헨셀 믹서, 리본 블렌더, 블렌더 등에 의해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물을 생성시키는 방법, 또한 그 후에 해당 혼합물을 용융 교반하는 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해당 신축성 개선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추가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기계 특성은 유지하면서 신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기계 특성은 유지되고, 신축성이 개선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해당 신축성 개선제 1~20질량부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10질량부를 추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해당 신축성 개선제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추가하는 방법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용융 교반을 들 수 있다. 용융 교반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벤트식 2축 압출기, 밴버리 믹서, 니더, 교반 롤 등을 이용하여 용융 교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병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신축성 개선 조제도 포함한다. 해당 신축성 개선 조제는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과 조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적용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기계 특성은 유지하면서 신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 상기 신축성 개선제의 제조에도 이용할 수 있다. 해당 신축성 개선 조제에 이용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나 조합하여 이용하는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적용 대상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나아가서는 해당 조합 비율 또는 방법이나 해당 적용 비율 또는 방법 등에 대해서는, 상기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신축성 개선제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신축성 개선제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추가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신축성을 개선하는 방법 및 상기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병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신축성 개선 조제를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에 추가하여 상기 신축성 개선제를 제조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이들의 방법에 이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나아가서는 신축성 개선제나 신축성 개선 조제의 첨가 비율이나 방법 등에 대해서도, 상기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신축성 개선제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실시예)
이하에, 제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
제조예에 의해 얻어진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및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측정), 소각 X선 산란 측정(SAXS측정) 및 1축 인장 시험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실시했다.
(1) 중량 평균 분자량 측정(Mw)
측정 대상 수지의 농도가 0.5질량%인 클로로포름 용액을 조제하고,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동일 조건으로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주지의 폴리스티렌과 비교함으로써 분자량을 산출했다. 또, 마찬가지로, 수평균 분자량(Mn)을 구하고, 분자량 분포(Mw/Mn)를 산출했다. 또한,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측정기: HLC-8020(도소 주식회사제)
컬럼: GPC컬럼
(도소 주식회사의 상품명, TSK GEL Multipore HXL-M)
컬럼 온도: 40℃
용출액: 클로로포름
유속: 1mL/min
(2)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측정)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결정화 온도 및 융해 온도를 이하의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측정기: Perkin Elmer사제 Diamond DSC
승온 속도: 20℃/min
강온 속도: 20℃/min
측정 온도 범위: 0~230℃
(3) 소각 X선 산란 측정(SAXS측정)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결정화 상태를 이하의 장치를 이용하여 관측했다.
측정기: Rigaku사제 NANO-Viewer시스템
X선: CuKα선(λ=0.154㎚)
(4) 열프레스 성형
인장 시험용의 시험편을 열프레스 성형에 의해 작성했다.
장치: 테크노서플라이사제 탁상형 핫 프레스
프레스 온도: 230℃
프레스 압력: 20MPa
(5) 인장 시험
JIS K 7161:1994에 준거하여 이하의 시험편 및 측정 장치를 이용해서 항복 응력, 네킹 응력, 파단 응력 및 파단 변형을 측정했다. 또한, 항복 응력, 네킹 응력이 클수록 강도가 우수한, 단단한 재료라고 할 수 있다. 또, 파단 응력, 파단 변형이 클수록 신축성이 우수하고, 점착성이 강한 재료라고 할 수 있다. 네킹 응력은 측정 대상인 시험편에 네킹이 일어나고 있는 동안의 응력값이다. 또, JIS K 7161:1994에서 말하는 "인장 항복 응력", "인장 파괴 응력", "인장 파괴 변형"이 각각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항복 응력", "파단 응력", "파단 변형"에 대응한다.
시험편: 덤벨형(네킹부의 치수: 길이 10㎜ 및 폭 4㎜, 두께 0.2㎜)(덤벨형)
측정기: INSTRON사제 인장 시험기 MODEL4466
인장 속도: 40,80,120㎜/min
측정 온도: 25℃
[제조예 1](유기 아연 촉매의 제조)
교반기, 질소 가스 도입관, 온도계,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300mL 용적의 4구 플라스크에 산화아연 8.1g(100밀리몰), 글루타르산 12.7g(96밀리몰), 초산 0.1g(2밀리몰) 및 톨루엔 130g(150mL)을 넣었다. 다음으로, 반응계 내를 질소 분위기로 치환한 후, 55℃까지 승온하고, 동일 온도로 4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그 후, 110℃까지 승온하고, 또한 동일 온도로 4시간 교반하여 공비 탈수시키고, 수분만을 제거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유기 아연 촉매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얻었다.
이 반응액의 일부를 분리하고, 여과하여 얻은 유기 아연 촉매에 대하여, 서모 니콜렛 재팬(thermo nicolet japan) 주식회사제 장치(상품명: AVATAR360)를 이용하여 IR을 측정한 결과, 카르복시산기에 기초하는 피크는 인정되지 않았다.
[제조예 2](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의 제조)
교반기, 가스 도입관, 온도계를 구비한 1L 용적의 오토클레이브의 계내를 미리 질소 분위기로 치환한 후, 제조예 1에 의해 얻어진 유기 아연 촉매를 포함하는 반응액 8.0mL(유기 아연 촉매를 1.0g포함한다), 헥산 131g(200mL), 프로필렌옥시드 46.5g(0.80몰)을 넣었다. 다음으로, 교반 하, 이산화탄소를 첨가하고, 반응계 내를 이산화탄소 분위기로 치환하고, 반응계 내가 1.5MPa로 될 때까지 이산화탄소를 충전했다. 그 후, 60℃로 승온하고, 반응에 의해 소비되는 이산화탄소를 보급하면서 6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했다.
반응 종료 후, 오토클레이브를 냉각하여 탈압하고, 여과한 후, 감압 건조하여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 80.8g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36, 000(Mw/Mn=9. 02)이었다.
[ 실시예 1]
표 1의 측정예 1의 배합에 따라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산 변성 PP)(미츠이 화학 주식회사제, 상품명 애드머(admer)QE800,MFR=9.1g/10min) 0.62질량부 및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PPC) 3.11질량부를 교반기(DSM사제 Micro 15cc Twin Screw Compounder)를 이용하여 설정 온도 160℃, 회전수 50rpm으로 15분간 교반해서 용융 혼합물을 얻은 후, 열프레스 성형하는 것으로서 펠릿을 얻었다.
다음으로, 얻어진 펠릿 3.73질량부와 폴리프로필렌(PP)(일본 폴리프로필렌 주식회사제, Mw=380,000, Mw/Mn=4.9) 100질량부를 설정 온도 180℃, 회전수 50rpm으로 3분간 교반하여 용융 혼합물을 얻은 후, 열프레스 성형하여 인장 시험용의 시험편을 작성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과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를 용융 혼합한 펠릿을 이용하지 않고, 폴리프로필렌만으로 시험편을 작성했다.
[측정예 1]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시험편을 이용하여 결정화 온도 및 융해 온도, 결정화 상태를 측정했다. 또, 상기 [평가] (5)에서 서술한 방법에 의해 시험편을 이용하여 인장 속도를 120㎜/min으로 해서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항복 응력, 네킹 응력, 파단 응력 및 파단 변형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평가] (3)에서 서술한 방법에 의해 소각 X선 산란 측정을 실시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비교 측정예 1]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시험편을 이용하여 결정화 온도 및 융해 온도, 결정화 상태를 측정했다. 또, 측정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각 물성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측정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소각 X선 산란 측정을 실시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측정예 2]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시험편을 이용하여 인장 속도를 120㎜/min으로부터 8㎜/min으로 바꾼 이외는, 측정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각 물성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 측정예 2]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시험편을 이용하여 인장 속도를 120㎜/min으로부터 80㎜/min으로 바꾼 이외는, 측정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각 물성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측정예 3]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시험편을 이용하여 인장 속도를 120㎜/min으로부터 40㎜/min으로 바꾼 이외는, 측정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각 물성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 측정예 3]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시험편을 이용하여 인장 속도를 120㎜/min으로부터 40㎜/min으로 바꾼 이외는, 측정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각 물성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배합 처방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인장 시험
(질량부)
인장
속도
(㎜/min)
PP PPC 산 변성
(PP)
결정화
온도
(℃)
융해
온도
(℃)
항복
응력
(MPa)
네킹
응력
(MPa)
파단
응력
(MPa)
파단
변형
측정예 1 120 100 3.11 0.62 115 164 37 24.4 44.7 9.4
비교 측정예 1 120 100 - - 114 164 38.3 24.8 38.7 6.7
측정예 2 80 100 3.11 0.62 - - 38.3 26.1 48.5 10.5
비교 측정예 2 80 100 - - - - 37.4 25.2 43.8 8.9
측정예 3 40 100 3.11 0.62 - - 37.5 28.2 48.3 11
비교 측정예 3 40 100 - - - - 36.6 28.5 46.1 10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0.62질량부에 대신하여 그래프트계 상용화제(니치유 주식회사제, 상품명 모디퍼(modiper)A4300,에틸렌에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와 메타크릴산글리시딜에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부분쇄(메타크릴산글리시딜 함량 15중량%)를 주쇄로 하고, 아크릴산 n-부틸에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와 메타크릴산메틸에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부분쇄(메타크릴산메틸 함량 30중량%)를 주쇄로 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측쇄가 차지하는 비율 함량 30중량%, [η]=0.76dl/g) 0.62질량부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인장 시험용의 시험편을 작성했다.
[비교 측정예 4]
비교예 2에서 얻어진 시험편을 이용하여 측정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각 물성을 측정하고자 시도했지만, 측정 중에 시험편이 끊어져 버려서 물성을 구할 수는 없었다.
표 1에 나타낸 실시예 1 및 비교예 1로부터,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서는 결정화 온도 및 융해 온도가 변화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1에 나타낸 소각 X선 산란 측정의 결과로부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서의 패턴은 폴리프로필렌의 패턴과 동일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결정 형태와 그 결정화도, 결정 모폴로지(구정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표 1에 나타낸 인장 시험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기계 특성 및 신축성이 우수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과 비교한 경우, 기계 강도가 동등 이상이고, 또한 신축성이 현저히 우수해 있으며, 이 경향은 인장 속도가 빠를수록 현저했다.

Claims (9)

  1.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0.05~10질량부 및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0.01~2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이산화탄소와 알킬렌옥시드를 금속 촉매의 존재 하에서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이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성형된
    성형체.
  7.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신축성 개선제.
  8. 제7항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0.05~10질량부에 대하여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0.01~2질량부의 비율로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신축성 개선제.
  9.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병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신축성 개선 조제.
KR1020157031024A 2013-04-25 2014-04-24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2128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92242 2013-04-25
JPJP-P-2013-092242 2013-04-25
PCT/JP2014/061512 WO2014175364A1 (ja) 2013-04-25 2014-04-24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282A true KR20160004282A (ko) 2016-01-12
KR102128332B1 KR102128332B1 (ko) 2020-06-30

Family

ID=51791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024A KR102128332B1 (ko) 2013-04-25 2014-04-24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83665B2 (ko)
EP (1) EP2990439B1 (ko)
JP (1) JP6336441B2 (ko)
KR (1) KR102128332B1 (ko)
CN (1) CN105209538B (ko)
TW (1) TWI615432B (ko)
WO (1) WO20141753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5563B2 (ja) * 2016-06-15 2020-12-23 凸版印刷株式会社 蓄電装置用外装材
TWI619754B (zh) * 2016-11-01 2018-04-01 Chen Jin Fu 環保材料及使用該環保材料所製成之窗簾葉片
CN111434714A (zh) * 2019-01-11 2020-07-21 盛嘉伦橡塑(深圳)股份有限公司 热塑性弹性体材料及其制备方法和其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5911A (ja) * 1998-02-17 1999-08-24 Idemitsu Petrochem Co Ltd 便座、便蓋又はその付属部品
JP3016601B2 (ja) * 1990-12-14 2000-03-06 三井化学株式会社 耐放射線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2002348417A (ja) 2000-11-30 2002-12-04 Sumitomo Chem Co Ltd オレフィン重合体およびそれからな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10138326A (ja) * 2008-12-12 2010-06-24 Toudai Tlo Ltd ポリ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当該組成物から成形された成形体
JP2012241047A (ja) * 2011-05-17 2012-12-10 Sumitomo Chemical Co Ltd 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4315A (en) * 1974-09-09 1977-12-20 Mobil Oil Corporation Maleic anhydride-modified polymer lager coated with polymeric composition derived from vinylidene chloride
JPS6121143A (ja) 1984-07-10 1986-01-29 Karupu Kogyo Kk 複合樹脂組成物
JPH0819297B2 (ja) 1987-03-05 1996-02-28 三菱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EP0545902B1 (en) 1987-09-17 1996-12-27 Tonen Sekiyukagaku K.K.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R2628115B1 (fr) * 1988-03-04 1990-07-13 Atochem Composition permettant de rendre compatibles au moins deux polymeres thermoplastiques incompatibles, son application a la fabrication d'alliages thermoplastiques, alliages thermoplastiques obtenus
JPH03269034A (ja) 1990-03-19 1991-11-29 Idemitsu Petrochem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H04248857A (ja) 1991-01-24 1992-09-04 Toyoda Gosei Co Ltd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DE19849186A1 (de) * 1997-11-13 2000-04-27 Buna Sow Leuna Olefinverb Gmbh Additive zur Verbesserung der Barriereeigenschaften von Polymeren
JP2002146120A (ja) * 2000-11-10 2002-05-22 Sumitomo Wiring Syst Ltd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被覆材として用いた難燃性絶縁電線
CN1243056C (zh) 2002-10-18 2006-02-22 上海氯碱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聚碳酸酯的共混材料及其制备方法
CN101724239B (zh) 2008-10-24 2012-09-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聚碳酸酯/聚丙烯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01555347B (zh) 2009-05-15 2011-05-11 华南理工大学 导热绝缘聚碳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HUE046261T2 (hu) * 2010-10-11 2020-02-28 Novomer Inc Polimerkeverékek
KR101903659B1 (ko) 2011-09-30 2018-10-04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의 난연성 열가소성 조성물
CN102850747A (zh) 2012-09-20 2013-01-02 常熟市凯力达蜂窝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聚丙烯增韧的聚碳酸酯合金材料
CN102850751A (zh) 2012-09-21 2013-01-02 常熟市凯力达蜂窝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无卤阻燃的聚丙烯改性的聚碳酸酯合金材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601B2 (ja) * 1990-12-14 2000-03-06 三井化学株式会社 耐放射線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H11225911A (ja) * 1998-02-17 1999-08-24 Idemitsu Petrochem Co Ltd 便座、便蓋又はその付属部品
JP2002348417A (ja) 2000-11-30 2002-12-04 Sumitomo Chem Co Ltd オレフィン重合体およびそれからな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10138326A (ja) * 2008-12-12 2010-06-24 Toudai Tlo Ltd ポリ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当該組成物から成形された成形体
JP2012241047A (ja) * 2011-05-17 2012-12-10 Sumitomo Chemical Co Ltd 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02188A (zh) 2015-01-16
CN105209538A (zh) 2015-12-30
CN105209538B (zh) 2018-01-05
US20160280898A1 (en) 2016-09-29
EP2990439A1 (en) 2016-03-02
WO2014175364A1 (ja) 2014-10-30
EP2990439A4 (en) 2016-11-02
EP2990439B1 (en) 2020-12-23
TWI615432B (zh) 2018-02-21
KR102128332B1 (ko) 2020-06-30
JPWO2014175364A1 (ja) 2017-02-23
US9783665B2 (en) 2017-10-10
JP6336441B2 (ja) 2018-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13536C (zh) 热塑性树脂组合物和多层层压体
KR102128332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CN106604959B (zh) 聚烯烃树脂组合物、成型体和聚烯烃树脂膜
US20220315743A1 (en) Recycled polyolefin compositions comprising random alpha-olefinic copolymers and additional polymers
US20240124691A1 (en) Process for improving the viscosity of recycled polyethylene
JP6124666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KR101962771B1 (ko) 열가소성 수지 블렌드 조성물
JP3714054B2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3646581B2 (ja) 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941300B2 (ja) 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
CN117157354A (zh) 包含再生聚烯烃的聚烯烃组合物
CA3229235A1 (en) Dynamically crosslinkable polymeric compositions, articles, and method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