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881A - 무인 헬리콥터 - Google Patents

무인 헬리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881A
KR20160003881A KR1020157035802A KR20157035802A KR20160003881A KR 20160003881 A KR20160003881 A KR 20160003881A KR 1020157035802 A KR1020157035802 A KR 1020157035802A KR 20157035802 A KR20157035802 A KR 20157035802A KR 20160003881 A KR20160003881 A KR 20160003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body
members
frames
componen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6800B1 (ko
Inventor
마사노리 요시하라
요시키 나가사키
Original Assignee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3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7Heli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06Frames; Stringers; Longerons ; Fuselage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0/00Constructional aspects of UAVs
    • B64U20/7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UAV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0/00Constructional aspects of UAVs
    • B64U20/80Arrangement of on-board electronics, e.g. avionics systems or wiring
    • B64C2201/024
    • B64C2700/629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oy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무인 헬리콥터(10)는 구동원(36)을 지지하는 메인 보디(12)와, 메인 보디(12)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테일 보디(18)와, 메인 보디(12)에 지지되는 전장박스(44)를 구비한다. 전장박스(44)는 메인 보디(12)의 프레임(46, 48) 사이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불능이 되도록 연결 부재(64, 76)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고, 연결 부재(66, 78)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지지된다. 연결 부재(64, 66)는 보강 부재(68, 70)에 의해 프레임(46, 48)을 끼운 상태에서 연결되어, 연결 부재(76, 78)은 보강 부재(80, 82)에 의해 프레임(46, 48)을 끼운 상태에서 연결된다. 전장박스(44)의 상면에 있어서의 후단부(164)는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무인 헬리콥터{UNMANNED HELICOPTER}
본 발명은 무인 헬리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전장박스를 구비하는 무인 헬리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종래 기술의 일례가 특허문헌 1에 있어서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무인 헬리콥터는 엔진을 지지하는 프론트 보디(메인 보디)와 프론트 보디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테일 보디를 구비하고, 전장박스는 프론트 보디의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전장박스는 프레임의 후방 또는 측방으로부터 프론트 보디 내로 출납된다.
일본 특허 제4140004호
이러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무인 헬리콥터에서는 프론트 보디로부터 테일 보디를 분리하거나, 프론트 보디를 덮는 카울링(보디 커버)을 분리하지 않으면, 프론트 보디에 대하여 전장박스를 출납할 수 없어서, 그 작업에 매우 수고가 들게 되어 버린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메인 보디에 대한 전장박스의 착탈이 용이해진 무인 헬리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어느 견지에 의하면, 구동원을 지지하는 메인 보디와, 메인 보디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테일 보디와, 메인 보디에 지지되는 전장박스와를 구비하고, 메인 보디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서로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각각 한 쌍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 1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전장박스는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 1 연결 부재는 전장박스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불능하게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무인 헬리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연결 부재는 프레임의 연결과 전장박스의 지지에 겸용되므로, 전장박스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 준비할 필요가 없어서 부품 점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으로부터 제 1 연결 부재를 분리하면 분리된 제 1 연결 부재에 의한 전장박스의 지지가 해제되므로, 전장박스를 메인 보디로부터 하방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으로부터 제 1 연결 부재를 분리한 상태에서, 하방으로부터 메인 보디의 소정의 위치에 전장박스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렇게, 메인 보디에 대한 전장박스의 착탈이 용이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전장박스의 상면에 있어서의 전단부 및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무인 헬리콥터에서는 전장박스를 메인 보디의 한 쌍의 프레임 사이로부터 하방으로 인출할 경우, 전장박스의 모따기 형상으로(둥그스름하도록) 형성된 단부를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전장박스를 회전시켜서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서 하방으로 인출한다. 이때, 전장박스의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된 단부는 메인 보디에 접촉하지 않고, 또는 메인 보디에 접촉해도 메인 보디에 대해서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보디에 간섭되는 일 없이 전장박스를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전장박스를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도록 메인 보디에 장착할 경우, 전장박스의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된 단부를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전장박스를 분리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때, 전장박스의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된 단부는 메인 보디에 접촉하지 않거나, 또는 메인 보디에 접촉해도 메인 보디에 대하여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보디에 간섭되는 일 없이 전장박스를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도록 메인 보디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메인 보디는 각각 복수의 제 1 연결 부재보다 상방에 설치되고, 또한 한 쌍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 2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제 2 연결 부재는 전장박스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불능하게 상방으로부터 지지한다. 이 경우, 복수의 제 1 연결 부재가 전장박스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불능하게 하방으로부터 지지함과 아울러, 복수의 제 2 연결 부재가 전장박스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불능하게 상방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전장박스를 보다 확실하게 전후 방향으로 이동 불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 1 연결 부재 및 제 2 연결 부재에 의해 결과적으로 전장박스의 상하 방향의 이동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인 보디는 한 쌍의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일방의 보강 부재는 제 1 연결 부재와 제 2 연결 부재의 일단부끼리를 일방의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연결하고, 타방의 보강 부재는 제 1 연결 부재와 제 2 연결 부재의 타단부끼리를 타방의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연결한다. 이 경우, 제 1 연결 부재와 제 2 연결 부재와 한 쌍의 보강 부재에 의해서 한 쌍의 프레임을 사이에 둔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 구조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연결 부재 및 제 2 연결 부재는 각각 프레임에 복수의 개소에서 접속된다. 이 경우, 제 1 연결 부재 및 제 2 연결 부재는 각각 프레임에 복수의 개소에서 접속됨으로써 프레임에 강고하게 접속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전장박스는 그 상면에 돌출부를 갖고, 메인 보디는 복수의 제 2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압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압박 부재는 돌출부를 끼우는 구멍을 갖는다. 이 경우, 전장박스의 돌출부가 구멍에 끼워지도록 압박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전장박스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프레임은 판상 부재를 포함한다. 이 경우, 프레임의 강도를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전장박스를 측방으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기타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 관련하여 행해지는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무인 헬리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메인 프레임 및 테일 보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메인 프레임 및 테일 보디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좌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메인 프레임 및 테일 보디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우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메인 프레임 및 테일 보디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메인 프레임 및 테일 보디의 요부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메인 프레임 및 테일 보디의 요부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메인 프레임 및 테일 보디의 요부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전장박스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전장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의 (a)는 전장박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b)는 전장박스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의 (a)는 전장박스, 연결 부재 및 압박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b)는 전장박스, 연결 부재 및 압박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 도해도이다.
도 13은 도 3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3의 Y-Y선 단면도이다.
도 15의 (a) 및 (b)는 메인 보디에 대한 전장박스의 착탈을 설명하기 위한 도해도이다.
도 16의 (a) 및 (b)는 메인 보디에 대한 전장박스의 착탈을 설명하기 위한 도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 에 있어서의 전후, 좌우, 상하란, 무인 헬리콥터(10)(이하, 헬리콥터(10)라고 약기함)의 기본 자세(마스트(14)가 연직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어 있을 때의 헬리콥터(10)의 자세)를 기준으로 한 전후, 좌우, 상하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 중에 있어서, 「Fr」은 전방을 나타내고, 「Rr」은 후방을 나타내고, 「R」은 우방을 나타내고, 「L」은 좌방을 나타내고, 「U」는 상방을 나타내고, 「Lo」는 하방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여, 헬리콥터(10)는 메인 보디(12), 마스트(14), 메인 로터(16), 테일 보디(18) 및 테일 로터(20)를 포함한다.
메인 보디(12)는 메인 프레임(22), 보디 커버(24), 다리부(26, 28), 한 쌍의 스키드(30)(도 1에서는 좌측의 스키드(30)만 도시함) 및 언더커버(32)를 포함한다.
테일 보디(18) 및 보디 커버(24)는 메인 프레임(22)에 지지된다.
다리부(26 및 28)는 각각 정면에서 볼 때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메인 프레임(22)에 지지된다.
한 쌍의 스키드(30)는 좌우로 정렬되도록 다리부(26 및 28)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일방(좌측)의 스키드(30)는 다리부(26, 28)의 일방측(좌측) 부분에 부착되고, 타방측(우측)의 스키드(30)(도시하지 않음)는 다리부(26, 28)의 타방측(우측) 부분에 부착된다.
언더커버(32)는 테일 보디(18) 및 메인 프레임(22)에 부착된다.
마스트(14)는 보디 커버(24)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또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마스트(14)의 상단부에 메인 로터(16)가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마스트(14)와 메인 로터(16)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테일 보디(18)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고, 메인 보디(12)보다 후방으로 연장된다. 테일 보디(18)의 전단부는 보디 커버(24) 내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22)의 후단부에 지지된다. 테일 로터(20)는 테일 보디(18)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메인 보디(12)에 있어서의 메인 프레임(22)의 둘레의 구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헬리콥터(10)는 표시장치(34), 구동원(36), 트랜스미션(38), 연료 탱크(40), 구동축(42) 및 전장박스(44)를 포함한다. 구동원(36), 트랜스미션(38) 및 연료 탱크(40)는 보디 커버(24)에 수용된다. 표시장치(34)는 언더커버(32)에 의해 유지된다.
구동원(36)은 메인 로터(16)의 하방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22)의 전단부에 지지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원(36)으로서 엔진이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동원(36)으로서, 예를 들면 수평 대향형 다기통 엔진이 사용된다.
트랜스미션(38)은 구동원(36)의 후방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22)에 지지된다. 트랜스미션(38)은 구동원(36)의 도시하지 않은 크랭크축에 연결된다. 트랜스미션(38)에 마스트(14)의 하단부가 연결된다. 메인 로터(16)는 구동원(36)으로부터 트랜스미션(38) 및 마스트(14)를 통해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거하여 회전한다.
트랜스미션(38)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동축(42)이 설치된다. 구동축(42)은 메인 보디(12) 내 및 테일 보디(18) 내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테일 로터(20)는 구동축(42)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테일 로터(20)는 구동원(36)으로부터 트랜스미션(38) 및 구동축(42)을 통해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거하여 회전한다.
마스트(14)의 후방에 연료 탱크(40)가 설치된다. 연료 탱크(40)의 상단부는 메인 보디(12)로부터 상방으로 노출된다.
메인 프레임(22) 내에 전장박스(44)가 설치된다. 전장박스(44)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 메인 보디(12)에 있어서의 메인 프레임(22)의 둘레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메인 프레임(22)은 판상의 한 쌍의 프레임(46, 48)을 포함한다. 한 쌍의 프레임(46, 48)은 서로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한 쌍의 프레임(46, 48)은 각각 대략 역사다리꼴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프레임(46, 48)은 각각 그 가장자리부가 전체 둘레에 걸쳐 중앙부에 비해서 두껍게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프레임(46, 48)은, 예를 들면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여, 프레임(46)에 있어서 상방 가장자리부(46a)와 하방 가장자리부(46b)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방 가장자리부(46a)는 하방 가장자리부(46b)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방 가장자리부(46a) 및 하방 가장자리부(46b)의 각각의 전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가장자리부(46c)에 의해 연결되고, 상방 가장자리부(46a) 및 하방 가장자리부(46b)의 각각의 후단부는 후방 가장자리부(46d)에 의해 연결된다. 후방 가장자리부(46d)는 하방 가장자리부(46b)로부터 상방 가장자리부(46a)를 향하여 후방으로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프레임(46)은 부착부(46e)와 부착부(46f)를 포함한다. 부착부(46e)는 프레임(46)의 전후 방향 중앙부로부터 전방 근처의 위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부착부(46e) 또는 그 근방에는 연결 부재(64, 66), 보강 부재(68) 및 가새(104)(각각 후술함)가 부착된다. 부착부(46f)는 하방 가장자리부(46b)의 후단부 근방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부착부(46f)에는 연결 부재(76, 78) 및 보강 부재(80)(각각 후술함)가 부착된다. 도 7을 참조하여, 프레임(46)에 있어서, 전방 가장자리부(46c), 부착부(46e) 및 부착부(46f)의 내면에는 각각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 부재(50a, 50b 및 50c)가 형성된다. 판상 부재(50a)에는 프론트 패널(54)(후술함)이 부착되고, 판상 부재(50b)에는 연결 부재(64, 66)가 부착되고, 판상 부재(50c)에는 연결 부재(76, 78)가 부착된다. 또한, 프레임(46)의 상방 가장자리부(46a), 하방 가장자리부(46b), 전방 가장자리부(46c), 후방 가장자리부(46d), 부착부(46e) 및 부착부(46f)가 두껍게 형성된다. 판상 부재(50a, 50b 및 50c)를 형성하고, 프레임(46)의 가장자리부 전체 둘레 및 판상 부재(50b, 50c)가 형성되는 부착부(46e, 46f)를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프레임(46)에 있어서 높은 강도가 요구되는 개소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방 가장자리부(46a), 하방 가장자리부(46b), 전방 가장자리부(46c) 및 후방 가장자리부(46d)는 부착부(46e) 및 부착부(46f)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46)에 있어서, 상방 가장자리부(46a), 하방 가장자리부(46b), 전방 가장자리부(46c), 후방 가장자리부(46d), 부착부(46e) 및 부착부(46f) 이외의 개소, 즉 높은 강도가 요구되지 않는 개소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프레임(46)을 가볍게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프레임(48)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상방 가장자리부(48a)와 하방 가장자리부(48b)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방 가장자리부(48a)는 하방 가장자리부(48b)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방 가장자리부(48a) 및 하방 가장자리부(48b)의 각각의 전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가장자리부(48c)에 의해 연결되고, 상방 가장자리부(48a) 및 하방 가장자리부(48b)의 각각의 후단부는 후방 가장자리부(48d)에 의해 연결된다. 후방 가장자리부(48d)는 하방 가장자리부(48b)로부터 상방 가장자리부(48a)를 향하여 후방으로 경사져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프레임(48)은 부착부(48e)와 부착부(48f)를 포함한다. 부착부(48e)는 프레임(48)의 전후 방향 중앙부로부터 전방 근처의 위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부착부(48e) 또는 그 근방에는 연결 부재(64, 66), 보강 부재(70)(후술함) 및 가새(106)(후술함)가 부착된다. 부착부(48f)는 하방 가장자리부(48b)의 후단부 근방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부착부(48f)에는 연결 부재(76, 78) 및 보강 부재(82)(후술함)가 부착된다. 도 8을 참조하여, 프레임(48)에 있어서, 전방 가장자리부(48c), 부착부(48e) 및 부착부(48f)의 내면에는 각각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 부재(52a, 52b 및 52c)가 형성된다. 판상 부재(52a)에는 프론트 패널(54)이 부착되고, 판상 부재(52b)에는 연결 부재(64, 66)가 부착되고, 판상 부재(52c)에는 연결 부재(76, 78)가 부착된다. 또한, 프레임(48)의 상방 가장자리부(48a), 하방 가장자리부(48b), 전방 가장자리부(48c), 후방 가장자리부(48d), 부착부(48e) 및 부착부(48f)가 두껍게 형성된다. 판상 부재(52a, 52b 및 52c)를 형성하고, 프레임(48)의 가장자리부 전체 둘레 및 판상 부재(52b, 52c)가 형성되는 부착부(48e, 48f)를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프레임(48)에 있어서 높은 강도가 요구되는 개소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방 가장자리부(48a), 하방 가장자리부(48b), 전방 가장자리부(48c) 및 후방 가장자리부(48d)는 부착부(48e) 및 부착부(48f)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48)에 있어서, 상방 가장자리부(48a), 하방 가장자리부(48b), 전방 가장자리부(48c), 후방 가장자리부(48d), 부착부(48e) 및 부착부(48f) 이외의 개소, 즉 높은 강도가 요구되지 않는 개소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프레임(48)을 가볍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는 도면의 번잡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체결 부재 등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프레임(46)의 전방 가장자리부(46c)와 프레임(48)의 전방 가장자리부(48c)는 대략 장방형의 판상 프론트 패널(54)을 통해서 연결된다. 프론트 패널(54)은 판상 부재(50a)와 판상 부재(52a)에 접촉하도록 한 쌍의 프레임(46, 48)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프레임(46)의 전방 가장자리부(46c)의 외면과 프레임(48)의 전방 가장자리부(48c)의 외면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예를 들면 중공부를 갖는 막대 형상의 보강 부재(56, 58)가 배치된다. 보강 부재(56)와 보강 부재(58)는 서로 평행하고 또한 좌우 방향에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보강 부재(56)와 프론트 패널(54)의 좌단부는 프레임(46) 및 판상 부재(50a)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복수(이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볼트 등의 체결 부재(60a, 60b)에 의해 연결된다. 체결 부재(60a, 60b)는 각각 프레임(46)의 전방 가장자리부(46c)의 상부 및 하부에 부착된다. 마찬가지로, 도 4를 참조하여, 보강 부재(58)와 프론트 패널(54)의 우단부는 프레임(48) 및 판상 부재(52a)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복수(이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볼트 등의 체결 부재(62a, 62b)에 의해 연결된다. 체결 부재(62a, 62b)는 각각 프레임(48)의 전방 가장자리부(48c)의 상부 및 하부에 부착된다.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프레임(46)의 부착부(46e)와 프레임(48)의 부착부(48e)는 연결 부재(64, 66)를 통해서 연결된다. 연결 부재(64)와 연결 부재(66)는 서로 평행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설치된다. 연결 부재(64)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 단부에 돌출부(64a, 64b)를 갖는다. 그것에 의해서, 연결 부재(64)의 양 단부는 두꺼워져서 복수의 볼트 등의 체결 부재(72a, 72b, 74a 및 74b)(후술함)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연결 부재(64)는 판상 부재(50b)의 하단부와 판상 부재(52b)의 하단부에 접촉하고 또한 돌출부(64a, 64b)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프레임(46, 48)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연결 부재(66)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 단부에 팽출부(66a, 66b)를 갖는다. 그것에 의해서, 연결 부재(66)의 양 단부는 두꺼워지고, 복수의 볼트 등의 체결 부재(72c, 72d, 72e, 72f, 74c, 74d, 74e 및 74f)(후술함)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연결 부재(66)는 판상 부재(50b)의 상단부와 판상 부재(52b)의 상단부에 접촉하고 또한 팽출부(66a, 66b)가 전후 및 하측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프레임(46, 48)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프레임(46)의 부착부(46e)의 외면과 프레임(48)의 부착부(48e)의 외면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예를 들면 중공부를 갖는 막대 형상의 보강 부재(68, 70)가 배치된다. 보강 부재(68)와 보강 부재(70)는 서로 평행하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보강 부재(68)의 하부와 연결 부재(64)의 좌단부는 프레임(46) 및 판상 부재(50b)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복수(이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체결 부재(72a, 72b)에 의해 연결된다. 보강 부재(68)의 상단부와 연결 부재(66)의 좌단부는 프레임(46) 및 판상 부재(50b)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복수(이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체결 부재(72c, 72d)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프레임(46)과 팽출부(66a)는 체결 부재(72e)에 의해 연결되고, 가새(104)와 프레임(46)과 팽출부(66a)는 체결 부재(72f)에 의해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도 4를 참조하여, 보강 부재(70)의 하부와 연결 부재(64)의 우단부는 프레임(48) 및 판상 부재(52b)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복수(이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체결 부재(74a, 74b)에 의해 연결된다. 보강 부재(70)의 상단부와 연결 부재(66)의 우단부는 프레임(48) 및 판상 부재(52b)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복수(이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체결 부재(74c, 74d)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프레임(48)과 팽출부(66b)는 체결 부재(74e)에 의해 연결되고, 가새(106)와 프레임(48)과 팽출부(66b)는 체결 부재(74f)에 의해 연결된다. 이렇게, 보강 부재(68)는 서로 대응하는 연결 부재(64, 66)의 일단부끼리를 프레임(46)을 사이에 두고 연결하고, 보강 부재(70)는 서로 대응하는 연결 부재(64, 66)의 타단부끼리를 프레임(48)을 사이에 두고 연결한다.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프레임(46)의 부착부(46f)와 프레임(48)의 부착부(48f)는 연결 부재(76, 78)를 통해서 연결된다. 연결 부재(76)와 연결 부재(78)는 서로 평행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설치된다. 연결 부재(76)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 단부에 돌출부(76a, 76b)를 갖는다. 그것에 의해서, 연결 부재(76)의 양 단부는 두꺼워져서, 복수의 볼트 등의 체결 부재(84a, 84b, 86a 및 86b)(후술함)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연결 부재(76)는 판상 부재(50c)의 하단부와 판상 부재(52c)의 하단부에 접촉하고 또한 돌출부(76a, 76b)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프레임(46, 48)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연결 부재(78)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 단부에 돌출부(78a, 78b)를 갖는다. 그것에 의해서, 연결 부재(78)의 양 단부는 두꺼워져서, 복수의 볼트 등의 체결 부재(84c, 84d, 86c 및 86d)(후술함)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연결 부재(78)는 판상 부재(50c)의 상단부와 판상 부재(52c)의 상단부에 접촉하고 또한 돌출부(78a, 78b)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프레임(46, 48)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프레임(46)의 부착부(46f)의 외면과 프레임(48)의 부착부(48f)의 외면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예를 들면 중공부를 갖는 막대 형상의 보강 부재(80, 82)가 배치된다. 보강 부재(80, 82)는 각각 프레임(46, 48)으로부터 상방까지 연장된다. 보강 부재(80, 82)는 서로 평행하고 또한 좌우 방향에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보강 부재(80)의 하부와 연결 부재(76)의 좌단부는 프레임(46) 및 판상 부재(50c)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복수(이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체결 부재(84a, 84b)에 의해 연결된다. 보강 부재(80)의 중앙부에서 약간 하방 근처의 개소와 연결 부재(78)의 좌단부는 프레임(46) 및 판상 부재(50c)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복수(이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체결 부재(84c, 84d)에 의해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도 4를 참조하여, 보강 부재(82)의 하부와 연결 부재(76)의 우단부는 프레임(48) 및 판상 부재(52c)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복수(이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체결 부재(86a, 86b)에 의해 연결된다. 보강 부재(82)의 중앙부로부터 약간 하방 근처의 개소와 연결 부재(78)의 우단부는 프레임(48) 및 판상 부재(52c)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복수(이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체결 부재(86c, 86d)에 의해 연결된다. 이렇게, 보강 부재(80)는 서로 대응하는 연결 부재(76, 78)의 일단부끼리를 프레임(46)을 사이에 두고 연결하고, 보강 부재(82)는 서로 대응하는 연결 부재(76, 78)의 타단부끼리를 프레임(48)을 사이에 두고 연결한다.
이상에서, 보강 부재(56, 58)는 프레임(46, 48)의 상부의 위치 및 하부의 위치에서 프론트 패널(54)을 통해서 연결된다. 보강 부재(68, 70)는 프레임(46, 48)의 하부의 위치에서 연결 부재(64)를 통해서 연결되고, 프레임(46, 48)의 상부의 위치에서 연결 부재(66)를 통해서 연결된다. 보강 부재(80, 82)는 프레임(46, 48)의 하부의 위치에서 연결 부재(76)를 통해서 연결되고, 프레임(46, 48)의 상부의 위치에서 연결 부재(78)를 통해서 연결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부재(64, 76)가 각각 제 1 연결 부재에 상당하고, 연결 부재(66, 78)가 각각 제 2 연결 부재에 상당한다.
프레임(46)의 후방 가장자리부(46d)와 프레임(48)의 후방 가장자리부(48d)는 막대 형상의 연결 부재(88)를 통해서 연결된다. 연결 부재(88)의 양 단부는 각각 후방 가장자리부(46d, 48d)에,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 부재(90a, 90b)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 부재(64, 66, 76, 78 및 88)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프레임(46, 48)의 후단부 근방에는 테일 보디(18)가 설치된다. 도 3∼도 5, 도 7을 참조하여, 테일 보디(18)의 전단부의 상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브래킷(92)의 후방부가,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 부재(94a, 94b)에 의해 부착된다. 테일 보디(18)의 전단부의 좌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브래킷(96)의 상부가,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 부재(98a, 98b)에 의해 부착되고, 테일 보디(18)의 전단부의 우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브래킷(100)의 상부가,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 부재(102a, 102b)에 의해 부착된다.
브래킷(92)의 좌우의 전방부가 각각 보강 부재(80, 82)의 중앙부로부터 상방 근처의 개소에 접속된다. 바꿔 말하면, 보강 부재(80, 82)는 브래킷(92)을 통해서 테일 보디(18)에 연결된다. 여기에서, 보강 부재(80)와 프레임(46)을 연결하도록 가새(104)가 설치되고, 보강 부재(82)와 프레임(48)을 연결하도록 가새(106)가 설치된다. 가새(104, 106)는 각각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져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새(104)의 후단부는 보강 부재(80)를 사이에 두고 브래킷(92)의 좌측부부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고, 가새(104)의 후단부와 보강 부재(80)와 브래킷(92)의 좌측부는 체결 부재(108)에 의해 연결된다. 가새(104)의 전단부는 프레임(46)을 사이에 두고 팽출부(66a)의 후방부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고, 가새(104)의 전단부와 프레임(46)과 팽출부(66a)의 후방부는 체결 부재(72f)에 의해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가새(106)의 후단부는 보강 부재(82)를 사이에 두고 브래킷(92)의 우측부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고, 가새(106)의 후단부와 보강 부재(82)과 브래킷(92)의 우측부는 체결 부재(110)에 의해 연결된다. 가새(106)의 전단부는 프레임(48)를 사이에 두고 팽출부(66b)의 후방부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고, 가새(106)의 전단부와 프레임(48)과 팽출부(66b)의 후방부는 체결 부재(74f)에 의해 연결된다.
테일 보디(18)에 부착된 브래킷(96)은 보강 부재(80)와 프레임(46)에 연결된다. 브래킷(96)의 전단부는 보강 부재(80)의 내측 또한 프레임(46)의 상방에 위치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브래킷(96)의 전단부의 내면에는 용수철 부재(112a)와 용수철 부재(112a)에 의해 압박되는 부시(114a)가 설치되고, 보강 부재(80)와 브래킷(96)을 사이에 두고 체결 부재(98c)가 부시(114a)에 부착된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여, 브래킷(96)의 후단 하부는 대략 L자 형상의 판상 부재(116)를 통해서 프레임(46)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브래킷(96)의 후단 하부의 내면에는 용수철 부재 (도시하지 않음)와 용수철 부재에 의해 압박되는 부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판상 부재(116)의 상부와 브래킷(96)을 사이에 두고 체결 부재(98d)가 상기 부시에 부착된다. 이들 용수철 부재 및 부시는 용수철 부재(112a) 및 부시(114a)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판상 부재(116)의 하부는 체결 부재(98e)에 의해 프레임(46)에 접속되고, 또한 체결 부재(98f)에 의해 가새(118)의 하단부와 함께 프레임(46)의 후단부에 접속된다. 가새(118)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져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가새(118)의 상부는 브래킷(92)의 중앙 좌단부에 체결 부재(98g)에 의해 연결된다. 이렇게 테일 보디(18)는 브래킷(96) 등을 통해서 프레임(46)에 부착된다. 또한, 가새(118)에 의해 프레임(46)에 대한 테일 보디(18)의 부착이 보강된다.
테일 보디(18)에 부착된 브래킷(100)은 보강 부재(82)와 프레임(48)에 연결된다. 브래킷(100)의 전단부는 보강 부재(82)의 내측 또한 프레임(48)의 상방에 위치한다. 도 8을 참조하여, 브래킷(100)의 전단부의 내면에는 용수철 부재(112b)와 용수철 부재(112b)에 의해 압박되는 부시(114b)가 설치되고, 보강 부재(82)와 브래킷(100)을 사이에 두고 체결 부재(102c)가 부시(114b)에 부착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브래킷(100)의 후단 하부는 대략 L자 형상의 판상 부재(120)를 통해서 프레임(48)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브래킷(100)의 후단 하부의 내면에는 용수철 부재(112c)와 용수철 부재(112c)에 의해 압박되는 부시(114c)가 설치되고(도 8 참조), 판상 부재(120)의 상부와 브래킷(100)을 사이에 두고 체결 부재(102d)가 부시(114c)에 부착된다. 판상 부재(120)의 하부는 체결 부재(102e)에 의해 프레임(48)에 접속되고, 또한 체결 부재(102f)에 의해 가새(122)의 하단부와 함께 프레임(48)의 후단부에 접속된다. 가새(122)는 후방으로부터 정방으로 경사져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가새(122)의 상부는 브래킷(92)의 중앙 우단부에 체결 부재(102g)에 의해 연결된다. 이렇게 테일 보디(18)는 브래킷(100) 등을 통해서 프레임(48)에 부착된다. 또한, 가새(122)에 의해 프레임(48)에 대한 테일 보디(18)의 부착이 보강된다.
도 5∼도 7을 참조하여, 한 쌍의 프레임(46, 48)과 프론트 패널(54)과 연결 부재(76)에 의해 둘러싸인 개소에는 대략 장방형의 판상 저부(124)가 설치된다. 저부(124)는,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 부재(126a, 126b)에 의해 프론트 패널(54)의 하면에,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 부재(126c, 126d)에 의해 연결 부재(64)의 하면에,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 부재(126e, 126f)에 의해 연결 부재(76)의 하면에 접속된다.
도 3∼도 7을 참조하여, 프론트 패널(54)의 전면에는 2개의 지지 부재(128, 130)가 좌우로 나란하도록 설치된다. 지지 부재(128)는 2개의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 부재(132a, 132b)에 의해 프론트 패널(54)에 부착되고, 지지 부재(130)는 2개의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 부재(134a, 134b)에 의해 프론트 패널(54)에 부착된다. 지지 부재(128, 130)에 의해 구동원(36)이 지지된다.
연결 부재(66)의 양 단부의 상면에는 2개의 지지 부재(136, 138)가 설치된다. 지지 부재(136)는 2개의,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 부재(140a, 140b)에 의해 연결 부재(66)에 부착되고, 지지 부재(138)는 2개의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 부재(142a, 142b)에 의해 연결 부재(66)에 부착된다. 지지 부재(136, 138)에 의해 트랜스미션(38)이 지지된다.
보강 부재(56, 58)의 하단부에 다리부(26)가 부착되고, 보강 부재(80, 82)의 하단부에 다리부(28)가 부착된다.
연결 부재(66)와 연결 부재(78)는 대략 장방형상의 압박 부재(144)에 의해 연결된다(도 12∼도 14 참조). 압박 부재(144)는 본체부(146a)와 환상 부재(146b)를 포함한다. 본체부(146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원상의 구멍(146c)을 갖고, 구멍(146c)에 타원의 환상 부재(146b)가 설치된다. 환상 부재(146b)의 구멍(146d)에는 후술하는 돌출부(174)가 끼워진다. 압박 부재(144)의 전단부가 연결 부재(66)의 상면에 2개의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 부재(148a, 148b)에 의해 연결되고, 압박 부재(144)의 후단부가 연결 부재(78)의 상면에 2개의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 부재(148c, 148d)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22)에 있어서, 한 쌍의 프레임(46, 48) 사이에 전장박스(44)가 배치된다. 전장박스(44) 내에는 헬리콥터(10)에 탑재되는 각종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이 수납된다.
도 9∼도 11을 참조하여, 전장박스(44)는 박스 본체(150)와 덮개부(152)를 포함한다.
박스 본체(150)는 중공상 또한 대략 케이스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개구를 갖는다. 덮개부(152)는 박스 본체(150)의 상면 개구를 덮도록 박스 본체(150)에 부착된다. 박스 본체(150)의 전단 하부와 후단 하부에는 각각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부(154, 156)가 형성된다. 단차부(154)의 측면의 좌우 양 단부에는 스트립 형상의 완충 부재(158a, 158b)가 설치된다. 단차부(154)의 상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스트립 형상의 완충 부재(158c, 158d)가 설치된다. 단차부(156)의 측면의 좌우 양 단부에는 스트립 형상의 완충 부재(160a, 160b)가 설치된다. 단차부(156)의 상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스트립 형상의 완충 부재(160c, 160d)가 설치된다.
덮개부(152)의 전단부(162)와 후단부(164)에는 각각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부(166, 168)가 형성된다. 단차부(166) 상의 좌우 방향 대략 중앙부에는 스트립 형상의 완충 부재(170)가 설치된다. 후단부(164)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덮개부(15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2개의 완충 부재(172a, 172b)가 설치된다. 완충 부재(172a, 172b)의 각각의 전방부는 단차부(168)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완충 부재(172a, 172b)의 각각의 후방부는 후단부(164)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즉, 후단부(164)가 하방으로 함몰된 오목부(173a, 173b)를 갖고, 오목부(173a, 173b)에 완충 부재(172a, 172b)의 각각의 후방부가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전장박스(44)를 부착할 때 및 분리할 때에 완충 부재(172a, 172b)의 후방부가 프레임 부재(78)와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완충 부재(172a, 172b)가 후단부(16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덮개부(152)의 후단부(164)는 모따기 형상으로, 즉 둥그스름하도록 형성된다. 덮개부(152)의 상면 중앙부의 약간 전방 근처의 개소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74)가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174)의 좌우 및 후방을 간격을 두고 둘러싸도록 U자 형상의 돌출부(176)가 형성된다.
상술한 완충 부재(158a, 158b, 158c, 158d, 160a, 160b, 160c, 160d, 170, 172a 및 172b)는, 예를 들면 실리콘계 스폰지로 이루어진다.
박스 본체(150)에는 복수(이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 부재(178a∼178d)에 의해 덮개부(152)가 부착된다.
도 12를 참조하여, 전장박스(44)가 한 쌍의 프레임(46, 48)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단차부(154)에는 연결 부재(64)가 위치하고, 단차부(156))에는 연결 부재(76)가 위치하고, 단차부(166)에는 연결 부재(66)가 위치하고, 단차부(168)에는 연결 부재(78)가 위치하고, 압박 부재(144)의 구멍(146d)에 돌출부(174)가 끼워진다. 이렇게, 전장박스(44)는 연결 부재(64, 66, 76, 78) 및 압박 부재(144)로 둘러싸인다.
이어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메인 보디(12)에 대한 전장박스(44)의 착탈에 대허서 설명한다.
우선, 메인 보디(12)로부터 전장박스(44)를 분리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장박스(44)의 하방에 저부(124)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저부(124)를 분리하여 두고,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보디(12)에 전장박스(44)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연결 부재(64)를 분리하여 도 15(b)에 나타내는 상태로 한다. 그리고, 도 1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76)를 지점으로 해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도 16(a)에서 말하면 반시계 방향)으로 전장박스(44)를 회전시키고, 도 1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장박스(44)를 하방으로부터 인출한다. 여기에서, 도 1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장박스(44)를 회전시켜서 인출할 때, 전장박스(44)의 후단부(164)는 연결 부재(78)에 접촉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전장박스(44)의 인출은 연결 부재(78)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다.
이어서, 메인 보디(12)에 전장박스(44)를 부착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상술한 설치시와는 역순서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우선,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재(64)가 분리된 메인 보디(12)에 대하여 전장박스(44)를 하방으로부터 삽입하고, 도 1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장박스(44)의 단차부(156)를 연결 부재(76)에 의해 지지시킨다. 그 상태로부터, 도 16(a)에 나타내는 화살표 B 방향(도 16(a)에서 말하면 시계 방향)으로 전장박스(44)를 회전시키고, 도 1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장박스(44)를 메인 보디(12)(한 쌍의 프레임(46, 48) 사이)에 삽입한다. 그리고, 도 1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64)를 부착한다. 여기에서, 도 1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장박스(44)를 회전시켜서 메인 보디(12)에 삽입할 때, 전장박스(44)의 후단부(164)는 연결 부재(78)에 접촉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전장박스(44)의 설치는 연결 부재(78)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다.
이러한 헬리콥터(10)에 의하면, 연결 부재(64, 76)는 프레임(46, 48)의 연결과 전장박스(44)의 지지에 겸용되므로, 전장박스(44)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 준비할 필요가 없어서 부품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46, 48)으로부터 연결 부재(64)를 분리하면, 분리된 연결 부재(64)에 의한 전장박스(44)의 지지가 해제되므로, 전장박스(44)를 메인 보디(12)로부터 하방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46, 48)으로부터 연결 부재(64)를 분리한 상태에서, 하방으로부터 메인 보디(12)의 소정의 위치에 전장박스(44)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렇게, 메인 보디(12)에 대한 전장박스(44)의 착탈이 용이해진다.
전장박스(44)를 메인 보디(12)의 프레임(46, 48) 사이로부터 하방으로 인출할 경우, 전장박스(44)의 모따기 형상으로(둥그스름하도록) 형성된 후단부(164)를 프레임(46, 48)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결 부재(76)를 지점으로 해서 전장박스(44)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전장박스(44)를 프레임(46, 48) 사이로부터 하방으로 인출한다. 이때, 전장박스(44)의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된 후단부(164)는 메인 보디(12)(연결 부재(78))에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가령 후단부(164)가 메인 보디(12)(연결 부재(78))에 접촉했다고 해도 후단부(164)를 메인 보디(12)(연결 부재(78))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보디(12)에 간섭되지 않고, 전장박스(44)를 프레임(46, 48) 사이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전장박스(44)를 프레임(46, 48) 사이에 위치하도록 메인 보디(12)에 부착할 경우, 전장박스(44)의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된 후단부(164)를 프레임(46, 48) 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연결 부재(76)를 지점으로 해서 전장박스(44)를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인출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전장박스(44)를 프레임(46, 48)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때, 전장박스(44)의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된 후단부(164)는 메인 보디(12)(연결 부재(78))에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가령 후단부(164)가 메인 보디(12)(연결 부재(78))에 접촉했다고 해도 메인 보디(12)(연결 부재(78))에 대하여 슬라딩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보디(12)에 간섭되지 않고 전장박스(44)를 프레임(46, 48) 사이에 위치하도록 메인 보디(12)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2개의 연결 부재(64, 76)가 전장박스(44)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불능하게 하방으로부터 지지함과 아울러, 2개의 연결 부재(66, 78)가 전장박스(44)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불능하게 상방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전장박스(44)를 보다 확실하게 전후 방향으로 이동 불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64, 66, 76, 78)에 의해, 결과적으로 전장박스(44)의 상하 방향의 이동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64, 66)와 보강 부재(68, 70)에 의하여, 프레임(46, 48)을 사이에 둔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 구조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76, 78)와 보강 부재(80, 82)에 의하여, 프레임(46, 48)을 사이에 둔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 구조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 부재(64, 66, 76, 78)는 각각 프레임(46)에 복수의 개소에서 접속됨으로써 프레임(46)에 강고하게 접속됨과 아울러, 연결 부재(64, 66, 76, 78)는 각각 프레임(48)에 복수의 개소에서 접속됨으로써 프레임(48)에 강고하게 접속된다.
전장박스(44)의 돌출부(174)가 환상 부재(146b)의 구멍(146d)에 끼워지도록 압박 부재(144)를 설치함으로써, 전장박스(44)의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프레임(46, 48)을 판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프레임(46, 48)의 강도를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전장박스(44)를 측방으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프레임(46, 48)에 있어서, 보강 부재(80, 82)보다 후방의 부분은 프레임(46, 48)의 후단을 향해서 가늘어지도록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부분을 직사각형상으로 형성할 경우에 비해서 프레임(46, 48)을 가볍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전장박스(44)에 있어서 덮개부(152)의 후단부(164)를 모따기 형상으로(둥그스름하도록) 형성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장박스에 있어서, 덮개부의 전단부를 모따기 형상으로(둥그스름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전장박스를 메인 보디(12)에 대하여 착탈할 때, 메인 보디(12)로부터 연결 부재(76)가 분리되고, 연결 부재(64)를 지점으로 해서 전장박스가 회전된다. 또한, 이 경우 덮개부의 전단부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단부(164)와 동 정도로 모따기 형상으로(둥그스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장박스에 있어서 덮개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양쪽을 모따기 형상으로(둥그스름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덮개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양쪽 모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단부(164)와 동 정도로 모따기 형상으로(둥그스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장박스(44)를 메인 보디(12)에 대하여 착탈할 때, 메인 보디(12)로부터 2개의 연결 부재(64, 76)를 분리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경우도, 전장박스(44)를 메인 보디(12)에 대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만 의해 한정된다.
10: 무인 헬리콥터 12: 메인 보디
18: 테일 보디 22: 메인 프레임
36: 구동원 44: 전장박스
46, 48: 프레임
56, 58, 68, 70, 80, 82: 보강 부재
60a, 60b, 62a, 62b, 72a∼72f, 74a∼74f, 84a∼84d, 86a∼86d, 90a, 90b, 94a, 94b, 98a∼98g, 102a∼102g, 108, 110, 126a∼126f, 132a, 132b, 134a, 134b, 140a, 140b, 142a, 142b, 148a∼148d, 178a∼178d: 체결 부재
64, 66, 76, 78: 연결 부재 144: 압박 부재
162: 전장박스의 전단부 164: 전장박스의 후단부
174: 돌출부 146c, 146d: 구멍

Claims (7)

  1. 구동원을 지지하는 메인 보디와,
    상기 메인 보디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테일 보디와,
    상기 메인 보디에 지지되는 전장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보디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서로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각각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 1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장박스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연결 부재는 상기 전장박스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불능하게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박스의 상면에 있어서의 전단부 및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디는 각각 상기 복수의 제 1 연결 부재보다 상방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 2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연결 부재는 상기 전장박스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불능하게 상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디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방의 보강 부재는 상기 제 1 연결 부재와 상기 제 2 연결 부재의 일단부끼리를 상기 일방의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연결하고, 상기 타방의 보강 부재는 상기 제 1 연결 부재와 상기 제 2 연결 부재의 타단부끼리를 상기 타방의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 2 연결 부재는 각각 상기 프레임에 복수의 개소에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박스는 그 상면에 돌출부를 갖고,
    상기 메인 보디는 상기 복수의 제 2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압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은 판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
KR1020157035802A 2013-06-28 2014-06-26 무인 헬리콥터 KR101636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37409A JP5856106B2 (ja) 2013-06-28 2013-06-28 無人ヘリコプタ
JPJP-P-2013-137409 2013-06-28
PCT/JP2014/067031 WO2014208682A1 (ja) 2013-06-28 2014-06-26 無人ヘリコプ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881A true KR20160003881A (ko) 2016-01-11
KR101636800B1 KR101636800B1 (ko) 2016-07-06

Family

ID=5214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802A KR101636800B1 (ko) 2013-06-28 2014-06-26 무인 헬리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56106B2 (ko)
KR (1) KR101636800B1 (ko)
CN (1) CN105324304B (ko)
WO (1) WO20142086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0690B1 (fr) * 2015-09-04 2020-01-17 Safran Helicopter Engines Helicoptere equipe d'un dispositif d'assistance d'urgence a la sustentation
JP6847703B2 (ja) * 2017-02-17 2021-03-24 株式会社クボタ 農業用マルチコプター
CN112829954B (zh) * 2021-01-11 2023-01-20 宏洋电机(威海)有限公司 一种油动无人机发动机保护装置
WO2023135275A1 (fr) * 2022-01-14 2023-07-20 Roze Mobility Aeronef a voilure tournante a usage mixte, a chaine cinematique alignee
FR3131905A1 (fr) * 2022-01-14 2023-07-21 Roze Mobility Aeronef a voilure tournante a usage mixte, a chaine cinematique aligne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4429A (ja) * 1989-06-22 1991-02-26 Noranda Inc 白金及びパラジウム回収方法
JPH04140004A (ja) 1990-09-28 1992-05-14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結合装置
JPH10508500A (ja) * 1994-08-18 1998-08-25 アールトン,ポール・イー モデルヘリコプター
WO2012175187A1 (en) * 2011-06-20 2012-12-27 Cassidian Sas System for integrating a diesel engine in a drone
US20130105619A1 (en) * 2011-11-01 2013-05-02 Vanguard Defense International, Llc Camera stabilization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8842B2 (ja) * 1990-05-21 1999-03-1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ヘリコプタのラジエータ配設構造
JP3044429B2 (ja) 1993-06-03 2000-05-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用キャリア
JP3383828B2 (ja) * 1996-08-28 2003-03-1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無人ヘリコプタ
JP2007038929A (ja) * 2005-08-04 2007-02-15 Yamaha Motor Co Ltd 無人ヘリコプタの自律制御ボックス構造
US8905351B2 (en) * 2011-11-01 2014-12-09 Vanguard Defense Industries, Llc Airframe
CN202609079U (zh) * 2012-05-14 2012-12-19 乐清市飓风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组合式无人直升机
CN102774492B (zh) * 2012-06-08 2016-03-30 无锡汉和航空技术有限公司 一种小型无人直升机机身
JP5707367B2 (ja) * 2012-07-20 2015-04-3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無人ヘリコプ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4429A (ja) * 1989-06-22 1991-02-26 Noranda Inc 白金及びパラジウム回収方法
JPH04140004A (ja) 1990-09-28 1992-05-14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結合装置
JPH10508500A (ja) * 1994-08-18 1998-08-25 アールトン,ポール・イー モデルヘリコプター
WO2012175187A1 (en) * 2011-06-20 2012-12-27 Cassidian Sas System for integrating a diesel engine in a drone
US20130105619A1 (en) * 2011-11-01 2013-05-02 Vanguard Defense International, Llc Camera stabilization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800B1 (ko) 2016-07-06
WO2014208682A1 (ja) 2014-12-31
JP5856106B2 (ja) 2016-02-09
JP2015009708A (ja) 2015-01-19
CN105324304A (zh) 2016-02-10
CN105324304B (zh)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800B1 (ko) 무인 헬리콥터
US8910737B2 (en) Service hole cover mounting structure, and vehicular battery mounting structure provided therewith
CA2495436C (en) Joint member for wiper blade and wiper blade
JP2019119282A (ja) アッパーフレーム
JP7169817B2 (ja) 車両
CN110316038B (zh) 无人搬送车
CN107128265B (zh) 电池支承结构
JP2014037174A (ja) 車両用電源装置
JP6166581B2 (ja) 乗り物用シート装置
CN113910846B (zh) 拖车挂接装置及牵引装置
JP3712625B2 (ja) 振動源を有する機器の防振取付構造
CN110030252B (zh) 车身部件的紧固连结结构及车身部件安装用的垫圈
CN115107883A (zh) 车身前部构造
JP2013256146A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の締結構造
CN113459801A (zh) 吸附罐的安装构造
CN110949521A (zh) 前副车架结构
JP5989428B2 (ja) 乗り物用シート装置
JP6014510B2 (ja) バッテリパック
CN216554792U (zh) 一种阻燃抗形变的复合型ixpe泡棉
JP2013082389A (ja) 車両用シートのコネクタの着脱構造
JP2006069276A (ja) リヤカメラの取付け構造
KR101821994B1 (ko) 엘리베이터 표시장치의 결합구조
KR20120124308A (ko) 전기 자동차의 차량 시트 장착부 보강 장치
JP2008074387A (ja) 作業車両
JP2016205208A (ja) 挿入ガイド、燃料タンク、タンク装置及びタンク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