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347A - 열선 차폐막,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자동차 및 건조물 - Google Patents

열선 차폐막,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자동차 및 건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347A
KR20150138347A KR1020157031491A KR20157031491A KR20150138347A KR 20150138347 A KR20150138347 A KR 20150138347A KR 1020157031491 A KR1020157031491 A KR 1020157031491A KR 20157031491 A KR20157031491 A KR 20157031491A KR 20150138347 A KR20150138347 A KR 20150138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und
heat
ray shielding
heat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3882B1 (ko
Inventor
케이스케 마치다
히로키 나카야마
켄이치 후지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3/071907 external-priority patent/WO2014162619A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70175A external-priority patent/JP6265003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8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2Radiation-absorbing pa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14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particles for purposes other than dyeing
    • B32B17/10633Infrared radiation absorbing or reflec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5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colorants, e.g. dyes or pi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7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UV absorbers or stabilizers, e.g. antioxid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88Adjustment of the adherence to the glass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 C03C17/00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comprising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C03C17/02, C03C17/06, C03C17/22 and C03C17/28
    • C03C17/009Mixtures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e.g. ormosils and ormoc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08K5/3475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70Properties of coatings
    • C03C2217/74UV-absorb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58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ungst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뛰어난 차열 특성과 색조, 내후성을 발휘하는 열선 차폐막, 상기 열선 차폐막을 이용한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 및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상기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가 창문재로서 탑재되어 있는 자동차, 상기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가 창문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건조물을 제공한다. 일반식 MyWOZ로 표시되며, 또한 육방정의 결정 구조를 갖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선택 파장 흡수 재료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열선 차폐막으로서,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는, 파장 550nm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이며, 또한 파장 460nm의 광의 투과율이 90% 이상일 때의 파장 420nm의 광 투과율이 40% 이하의 투과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및 상기 열선 차폐막,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를 이용한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선 차폐막,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자동차 및 건조물{Heat-ray-shielding film, heat-ray-shielding transparent substrate, heat-ray-shielding resin sheet material, vehicle, and building}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면서, 뛰어난 차열 특성과 색조, 내후성을 발휘하는 열선 차폐막, 상기 열선 차폐막을 이용한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상기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나 상기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가 창문재로서 탑재되어 있는 자동차, 상기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나 상기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가 창문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건조물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조물이나 차량의 창 등의 이른바 개구부는, 태양광선을 받기 위해서 투명한 유리판이나 수지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태양광선에는 가시광선 외에 자외선이나 적외선이 포함되며, 특히 적외선 중 파장 800∼2500㎚의 근적외선은 열선으로 불리며, 개구부분에서 진입함으로써 실내 등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각종 건조물이나 차량의 창문재 등으로서, 가시광선을 충분히 받으면서 열선을 차폐하고, 밝기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실내 등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열선 차폐재가 검토되고, 이를 위한 각종 수단이 제안되고 있다.
그리고 차량 또는 건조물 등의 창문재에 이용되는 안전 유리로서, 대향하는 복수장 (예를 들면 2장)의 판유리 사이에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나 에틸렌·아세트비닐 중합체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 중간층을 사이에 두어 적층 유리를 구성한 투명기재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중간층에 열선 차폐 기능을 갖게 하는 것으로 입사하는 태양 에너지를 차단하고, 냉방 부하나 사람의 무더위 느낌의 경감을 목적으로 한 투명기재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2장의 대향하는 판 유리 사이에 0.1㎛ 이하의 미세한 입경의 산화 주석 또는 산화 인듐으로부터 이루어진 열선 차폐성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연질 수지층을 사이에 끼운 적층 유리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는, 적어도 2장의 대향하는 판유리의 사이에 Sn, Ti, Si, Zn, Zr, Fe, Al, Cr, Co, Ce, In, Ni, Ag, Cu, Pt, Mn, Ta, W, V, Mo의 금속, 상기 금속 산화물, 상기 금속의 질화물, 상기 금속의 황화물, 상기 금속으로의 Sb나 F의 도프물, 또한 이들 복합물을 분산한 중간층을 사이에 둔 적층 유리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 문헌 3에는, TiO2, ZrO2, SnO2, In2O3로부터 이루어진 미립자와, 유기 규소 또는 유기 규소 화합물로부터 이루어진 유리 성분을, 대향하는 투명 판 모양 부재의 사이에 끼운 자동차용 유리창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에는, 적어도 2장의 대향하는 투명 유리판상체의 사이에, 3층으로부터 완성되는 중간층을 설치하고, 상기 중간층의 제2층에 Sn, Ti, Si, Zn, Zr, Fe, Al, Cr, Co, In, Ni, Ag, Cu, Pt, Mn, Ta, W, V, Mo의 금속, 상기 금속의 산화물, 상기 금속의 질화물, 상기 금속의 황화물, 상기 금속으로의 Sb나 F의 도프물, 또는, 이들 복합물을 분산시키고, 제 1층 및 제3층의 중간층을 수지층으로 한 적층 유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4에 개시되고 있는 종래의 적층 유리는, 모두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이 요구되었을 때의 열선 차폐 기능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적층 유리의 열선 차폐 기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특허 문헌 5에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와 근적외 흡수제와 자외선 흡수제를 투명한 합성 수지에 혼합하여 필름상에 성형해서 되는 자외선 적외선 차폐체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출원인은, 열선 차폐 기능을 갖는 중간층을 2장의 판 유리 사이에 존재시켜서 이루어지며, 이 중간층은 6붕소화물 미립자 단독, 또는, 6붕소화물 미립자와 ITO 미립자 및/또는 ATO 미립자와 비닐계 수지를 함유하는 열선 차폐막에 의해 구성된 열선 차폐용 적층 유리, 또는, 상기 중간층은, 적어도 한쪽 판유리의 안쪽에 접하는 면상에 형성된 상기 미립자가 포함되는 열선 차폐막과, 상기 2장의 판유리 사이에 개재되는 비닐계 수지를 함유하는 열선 차폐막으로 구성된 열선 차폐용 적층 유리를 특허 문헌 6으로서 개시하고 있다.
특허 문헌 6에 기재한 바와 같이, 6붕소화물 미립자 단독, 또는, 6붕소화물 미립자와 ITO 미립자 및/또는 ATO 미립자는, 적용된 열선 차폐용 적층 유리의 광학 특성이, 가시광선 영역에 투과율의 극대를 가짐과 동시에, 근적외 영역에 강한 흡수를 발현하여 투과율의 극소를 갖는다. 그 결과, 상기 열선 차폐용 적층 유리는, 특허 문헌 1∼4에 기재된 종래의 적층 유리에 비해, 가시광선 투과율 70% 이상일 때의 일사 투과율이 50%대가 될 때까지 개선되었다.
또, 본 발명자들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에 복합 텅스텐 화합물을 함유시킨 열선 차폐막을 중간층으로 한 열선 차폐용 적층 유리를 특허 문헌 7로서 개시하고 있다.
특허 문헌 7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열선 차폐용 적층 유리는, 특허 문헌 1∼4 및 특허 문헌 6에 기재된 종래의 적층 유리에 비해, 가시광선 투과율 70% 이상 때의 일사 투과율이 35% 전후가 될 때까지 개선되었다.
또, 본 발명자들은 파장 55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이며, 또한, 파장 450㎚의 광 투과율이 40% 이하의 투과 프로파일을 갖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복합 텅스텐 산화물과 함께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 중에 함유시켜서 열선 차폐막으로 하고, 이것을 2장의 투명기재로 사이에 둔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를 특허 문헌 8로 개시하고 있다.
특허 문헌 8에 기재한 것처럼, 상기 열선 차폐용 적층 유리는, 특허 문헌 7에 기재한 종래의 적층 유리에 비해, 가시광선 투과율 70% 이상 때의 일사 투과율이 32.5% 이하가 될 때까지 개선되었다.
또, 예를 들면, 특허 문헌 9에는, 투명 수지 필름에 금속을 증착하여 이루어진 열선 반사 필름을, 유리판, 아크릴판, 폴리카보네이트 판 등의 투명기재에 접착한 열선 차폐판이 제안되고 있다.
열선 차폐의 수단으로서 상술한 투명기재상에 열선 반사 필름이나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를 실시하는 방법 이외에도,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0이나 특허 문헌 11에는,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이 투명한 수지에, 열선 반사 입자로서 산화 티탄으로 피복한 마이카를 넣어 형성한 열선 차폐판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특허 문헌 12에서는, 열선 차폐 효과를 가지는 성분으로서 자유전자를 다량으로 보유하는 6붕소화물 미립자에 주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나 아크릴 수지 중에, 6붕소화물 미립자가 분산되고, 또는 6붕소화물 미립자와 ITO 미립자 및/또는 ATO 미립자가 분산되어 있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가 제안되며, 6붕소화물 미립자 단독, 또는 6붕소화물 미립자와 ITO 미립자 및/또는 ATO 미립자가 적용된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광학 특성은, 가시광선 영역에 가시광선 투과율의 극대가 됨과 동시에, 근적외선 영역에 강한 흡수를 발현하여 일사 투과율의 극소가 되기 때문에, 가시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에서 일사 투과율이 50%대까지 저감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3에 대해서는, 투명한 수지기재중에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를 함유시킨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는, 특허 문헌 9∼12에 기재된 종래의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에 비해, 가시광선 투과율 70% 이상 때의 일사 투과율이 35% 전후가 될 때까지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다시 검토를 실시한 결과, 이하의 과제를 발견하였다. 즉, 특허 문헌 1∼5에 기재된 종래의 기술에 관한 적층 유리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두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이 요구되었을 때의 열선 차폐 기능이 충분하지 않은 것이다.
또한, 시장에서는, 자동차 내 또는 건조물 내의 쾌적성 향상, 또는 자동차의 에어콘 부하 경감에 의한 연비 향상, 건조물 내에서의 에어콘 부하 경감에 의한 에너지 절약화의 관점에서 더욱 차열기능의 고성능화를 요망하는 소리가 높다. 상기 관점에서는, 특허 문헌 6, 7에 기재된 열선 차폐용 적층 유리에 대해서도 아직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특허 문헌 8에 기재된 열선 차폐용 적층 유리는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지만,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갖는 가시광선의 흡수가 열선 차폐막의 색미를 변화시켜서 황색미가 강한 색조가 되는 과제가 있었다.
한편, 특허 문헌 9에 기재된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는, 열반사 필름 자체가 매우 고가일 뿐 아니라, 접착 공정 등의 번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매우 고비용이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 투명기재와 열선 반사 필름의 접착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경시 변화에 의해 열선 반사 필름이 박리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허 문헌 10, 11에 기재된 열선 차폐판은, 열선 차폐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열선 반사 입자를 다량으로 첨가할 필요가 있지만, 이 열선 반사 입자의 첨가량을 증대하면 가시광선 투과성이 저하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반대로, 열선 반사 입자의 첨가량을 줄이면, 가시광선 투과성은 높아지지만 열선 차폐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열선 차폐성과 가시광선 투과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한, 열선 반사 입자를 다량으로 배합하면, 기재인 투명 수지의 물성, 특히 내충격성이나 인성(靭性)이 저하된다는 강도면의 결점이 있었다.
한편, 시장에서는, 자동차나 건조물 내의 쾌적성 향상, 또는 에어콘 부하 경감에 의한 연비 향상의 관점에서 더욱 차열기능의 고성능화를 요망하는 소리가 높다. 상기 관점에서는, 특허 문헌 12, 13에 기재된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에서도, 아직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JPH08-217500 A JPH08-259279 A JPH04-160041 A JPH10-297945 A JP2004-37768 A JP2001-89202 A WO2005/087680 A WO2013/080859 A JPS61-277437 A JPH05-78544 A JPH02-173060 A JP2003-327717 A JP2006-219662 A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면서 뛰어난 차열 특성을 발휘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상기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가 창문재로서 탑재되고 있는 자동차, 상기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가 창문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건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그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등 공지의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면서, 뛰어난 차열 특성과 색조, 내후성을 발휘하는 열선 차폐막, 상기 열선 차폐막을 이용한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 상기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가 창문재로서 탑재되고 있는 자동차, 상기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가, 창문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건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유지시키면서 열선 차폐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 열심히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JIS R 3106에 기재되어 있는 가시광선 투과율 산출에 사용되는 중가계수의 파장 분포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가시광선 투과율 산출에 사용되는 중가계수의 파장 분포와, 단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일사 에너지를 상세하게 연구하였다. 그리고 가시광선의 단파장 영역을 적당하게 차폐하는 것으로, 가시광선 투과율을 높게 유지하면서 일사 투과율만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지견을 얻었다.
상기 지견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강력한 근적외 흡수 능력을 갖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에 가세하여 상기 복합 텅스텐 산화물이 충분한 흡수 능력을 갖지 않는 영역의 광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병존시키는 것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에 상도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를 조금이라도 막기 위해,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가시광선 영역을 가능한 한 커트 하지 않도록 자외선 흡수제를 이용한다고 하는 상식에도 불구하고, 파장 300㎚에서 380㎚에 걸친 보라색 외광, 및 파장 380㎚에서 480㎚에 걸친 가시광선을 강하게 흡수하는 한편, 가시광선 투과율 산출에 크게 기여하는 영역인 파장 550㎚ 부근에는 흡수를 갖지 않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병존시킨다는 구성에 상도하였다.
그러나 가시광선을 흡수하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병존시키는 것으로, 열선 차폐막의 색미가 변화하는 것이 예상되었다. 따라서, 이어서 본 발명자들은 열선 차폐막의 분광 투과율 측정으로부터 JIS Z 8701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색미값, 및 색미값으로부터 JIS K 7373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플라스틱의 황색도(본 발명에서 「YI」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지표로 다양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구상으로서 가시광선 투과율 산출에 크게 기여하는 영역인 파장 550㎚ 부근에서 흡수를 갖지 않고, 한편 열선 차폐막 및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YI에 큰 영향을 갖는 파장 460㎚ 부근에서 흡수를 갖지 않고, 한편 파장 420㎚ 부근에서 큰 흡수를 갖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병존시킨다고 하는 구성에 상도하였다.
상기 파장 550㎚ 부근에 흡수를 갖지 않고, 한편 파장 460㎚ 부근에 흡수를 가지지 않으며, 한편 파장 420㎚ 부근에 큰 흡수를 갖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복합 텅스텐 산화물과 병존시키는 것으로,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병존시키지 않는 경우보다, 가시광선 투과율을 유지하면서 일사 투과율을 낮게 할 수 있었다. 즉, 열선 차폐 특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또한 투과상의 색을 정상적으로 식별 가능한 색조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히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인돌 화합물 및/또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특정의 화학식을 갖는 인돌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및/또는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화합물인 경우에는, 열선 차폐 특성을 현저하게 향상할 수 있다는 것을 동시에 발견하였다.
또한,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특정 화학식을 갖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화합물인 경우에는, 열선 차폐막을 장기간 사용했을 경우의 색조 변화나 가시광선 투과율의 변동이 적고, 내후성이 매우 양호한 것도 동시에 발견하였다.
즉,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1 발명은,
일반식 MyWOZ(단, M은, Cs, Rb, K, Tl, In, Ba, Li, Ca, Sr, Fe, Sn, Al, Cu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원소, 0.1≤y≤0.5, 2.2≤z≤3.0)로 나타내며, 또한 육방정의 결정 구조를 갖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선택 파장 흡수 재료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열선 차폐막이며,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는, 파장 55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이며, 또한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일 때의 파장 420㎚의 광 투과율이 40% 이하의 투과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이다.
제2 발명은,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벤조페논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인돌 화합물, 아조메틴 화합물, 벤조트리아조릴 화합물, 벤조일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이다.
제3 발명은,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화학식 1]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이며,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에 있어서의 R1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직쇄 또는 분쇄의 모노 치환 아미노기, 직쇄 또는 분쇄의 디 치환 아미노기, 니트로기, 카르복실기, 알킬기의 탄소수가 각각 1∼8의 알킬카르보닐옥시알킬기, 알킬기의 탄소수의 합계가 2∼10의 알킬옥시카르보닐알킬기, 아릴기, 아실기, 술포기, 시아노기, [화학식 2]로 나타내는 기, [화학식 3]으로 나타내는 기, [화학식 4]로 나타내는 기, [화학식 5]로 나타내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며,
상기 [화학식 2]∼[화학식 5]로 나타내는 기에 있어서의 R2는, 탄소수 1∼8의 알킬렌기이며,
상기 [화학식 2]∼[화학식 5]로 나타내는 기에 있어서의 R3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상기 [화학식 4]로 나타내는 기에 있어서의 R4는, 탄소수 1∼8의 알킬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이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제4 발명은,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화학식 6]∼[화학식 10]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이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제5 발명은,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화학식 11]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이며, 상기 [화학식 11]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 중에 있어서의 R는, 탄소수가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7∼10의 아랄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이다.
Figure pct00011
제6 발명은,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화학식 12]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이다.
Figure pct00012
제7 발명은,
상기 열선 차폐막 중에 있어서의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함유량이, 0.0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이다.
제8 발명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염화 비닐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라고 하는 수지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수지,
또는, 상기 수지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수지의 혼합물,
또는, 상기 수지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수지의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이다.
제9 발명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이며, 가소제를 더욱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이다.
제10 발명은,
상기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는 Cs0 .33WO3, Rb0 .33WO3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이다.
제11 발명은,
상기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는 분산 입자 지름 40㎚ 이하의 미립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이다.
제12 발명은,
상기 열선 차폐막은 또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이다.
제13 발명은,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이다.
제14 발명은,
상기 열선 차폐막중에 있어서의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율은 0.02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이다.
제15 발명은,
상기 열선 차폐막은 또한 다가 금속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이다.
제16 발명은,
상기 다가 금속염이 비스(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이다.
제17 발명은,
일반식 MyWOZ(단, M은, Cs, Rb, K, Tl, In, Ba, Li, Ca, Sr, Fe, Sn, Al, Cu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 0.1≤y≤0.5, 2.2≤z≤3.0)으로 나타내며, 또한 육방정의 결정 구조를 갖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선택 파장 흡수 재료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이며,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는, 파장 55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이며, 또한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일 때의 파장 420㎚의 광 투과율이 40% 이하의 투과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이다.
제18 발명은,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벤조페논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인돌 화합물, 아조메틴 화합물, 벤조트리아조릴 화합물, 벤조일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이다.
제19 발명은,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는 [화학식 1]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이며,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에 있어서의 R1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직쇄 또는 분쇄의 모노 치환 아미노기, 직쇄 또는 분쇄의 디 치환 아미노기, 니트로기, 카르복실기, 알킬기의 탄소수가 각각 1∼8의 알킬카르보닐옥시알킬, 알킬기의 탄소수의 합계가 2∼10의 알킬옥시카르보닐알킬기, 아릴기, 아실기, 술포기, 시아노기, [화학식 2]로 나타내는 기, [화학식 3]으로 나타내는 기, [화학식 4]로 나타내는 기, [화학식 5]로 나타내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며,
상기 [화학식 2]∼[화학식 5]로 나타내는 기에 있어서의 R2는, 탄소수 1∼8의 알킬렌기이며,
상기 [화학식 2]∼[화학식 5]로 나타내는 기에 있어서의 R3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상기 [화학식 4]로 나타내는 기에 있어서의 R4는, 탄소수 1∼8의 알킬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13
[화학식 2]
Figure pct00014
[화학식 3]
Figure pct00015
[화학식 4]
Figure pct00016
[화학식 5]
Figure pct00017
제20 발명은,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화학식 6]∼[화학식 10]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이다.
[화학식 6]
Figure pct00018
[화학식 7]
Figure pct00019
[화학식 8]
Figure pct00020
[화학식 9]
Figure pct00021
[화학식 10]
Figure pct00022
제21 발명은,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화학식 11]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이며,
상기 [화학식 11]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 중에 있어서의 R는, 탄소수가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7∼10의 아랄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이다.
[화학식 11]
Figure pct00023
제22 발명은,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화학식 12]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이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24
제23 발명은,
상기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중에 있어서의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함유량은 0.0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이다.
제24 발명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염화 비닐 수지, 올레핀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불소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라고 하는 수지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수지,
또는, 상기 수지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수지의 혼합물,
또는, 상기 수지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수지의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이다.
제25 발명은,
상기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는 Cs0 .33WO3, Rb0 .33WO3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이다.
제26 발명은,
상기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는 분산 입자 지름 40㎚ 이하의 미립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이다.
제27 발명은,
상기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는 또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이다.
제28 발명은,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이다.
제29 발명은,
상기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중에 있어서의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율은 0.02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이다.
제30 발명은,
상기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는 또한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이다.
제31 발명은,
상기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은 프타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이모늄 화합물, 디이모늄 화합물, 폴리메틴 화합물, 디페닐메탄 화합물, 트리페닐메탄 화합물, 퀴논 화합물, 아조 화합물, 펜타디엔 화합물, 아조메틴 화합물, 스쿠아릴리움 화합물, 유기 금속 착체, 시아닌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이다.
제32 발명은,
상기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은 프타로시아닌 화합물, 디이모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이다.
제33 발명은,
상기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중에 있어서의 상기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의 함유량은 0.02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이다.
제34 발명은,
JIS K 7373로 산출되는 황색도(YI)가 -20.0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이다.
제35 발명은,
JIS K 7373로 산출되는 황색도(YI)는 -20.0 이상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이다.
제36 발명은,
JIS R 3106로 산출되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이며, 또한 일사 투과율이 3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이다.
제37 발명은,
복수장의 투명기재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이다.
제38 발명은,
JIS K 7373로 산출되는 황색도(YI)는 -20.0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이다.
제39 발명은,
JIS K 7373로 산출되는 황색도(YI)는 -20.0 이상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이다.
제40 발명은,
상기 투명기재 중, 적어도 1장이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이다.
제41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는 창문재로서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이다.
제42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는 창문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물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등의 열선 차폐막을 주성분으로 하면서,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적절한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병존시키는 것으로, 뛰어난 광학적 특성과 높은 내후성을 발휘하여, 자연스러운 색조를 가지는 열선 차폐막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열선 차폐막을 이용하는 것으로, 뛰어난 광학적 특성과 높은 내후성과 뛰어난 기계적 특성을 발휘하는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를 창문재로서 자동차에 탑재하는 것으로, 여름 철의 차내 온도 상승 억제가 가능해졌다. 또 상기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를 창문재로서 건조물의 개구부에 사용하는 것으로, 여름 철의 건조물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건조물을 실현하였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병존하여 함유시키는 것으로, 뛰어난 광학적 특성을 발휘하고, 또한, 자연스러운 색조를 갖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가 얻어졌다. 또한, 상기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를, 자동차나 건조물에 대해 창문재로서 사용하는 것으로, 여름철 등의 자동차 내, 건조물 내의 온도 상승 억제가 가능해졌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은, 열가소성 수지 중에, 열선 차폐 성분(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함유되며, 또한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 소망에 의해 가소제, 소망에 의해 그 외의 첨가물이 함유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중에, 열선 차폐 성분(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함유되며, 또한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 소망에 의해 그 외의 첨가물이 함유된 것이다.
이하,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에 대해[1]열선 차폐막을 구성하는 성분,[2]열선 차폐막, 상기 열선 차폐막을 이용한[3]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순서로 상세하게 설명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
[1] 열선 차폐막을 구성하는 성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은, 열가소성 수지 중에, 열선 차폐 성분(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함유되며, 또한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 소망에 의해 그 외의 첨가물이 함유된 것이다. 따라서, (1) 열선 차폐 성분(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2) 분산제, (3) 선택 파장 흡수 재료, (4) 자외선 흡수제, (5) 열가소성 수지, (6) 가소제, (7) 접착력 조정제, (8)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 (9) 그 외의 첨가물의 순서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열선 차폐 성분(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는, 일반식 MyWOZ(단, M은, Cs, Rb, K, Tl, In, Ba, Li, Ca, Sr, Fe, Sn, Al, Cu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원소, 0.1≤y≤0.5, 2.2≤z≤3.0)로 표기되며, 또한 육방정의 결정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에서, 바람직한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예로서는, Cs0 .33WO3, Rb0 .33WO3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y, z의 값이 상기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라면, 유용한 열선 차폐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원소 M의 첨가량은, 0.1 이상 0.5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3 부근이다. 이것은 육방정의 결정 구조로부터 이론적으로 산출되는 값이 0.33이며, 이 전후의 첨가량으로 바람직한 광학 특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z의 범위에 대해서는, 2.2≤z≤3.0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MyWOZ로 표기되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재료에서도, 상술한 WOx로 표기되는 텅스텐 산화물 재료와 같은 기구가 작용하는데 더하여 z≤3.0에서도, 상술한 원소 M의 첨가에 의한 자유전자의 공급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광학 특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2.45≤z≤3.00이다.
상기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 입자 지름은, 열선 차폐막의 사용 목적에 의해서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선 차폐막을 투명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가 40㎚ 이하의 분산 입자 지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가 40㎚ 이하의 분산 입자 지름을 가지면, 산란에 의해 광을 완전하게 차폐하는 것이 없고, 가시광선 영역의 시인성을 유지하고, 동시에 효율적으로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이, 예를 들면 자동차 루프나 사이드 윈도에 적용되며, 특히 가시광선 영역의 투명성이 중시되는 경우는, 또한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에 의한 산란 저감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새로운 산란 저감을 고려할 경우에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 입자 지름을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 입자 지름이 작으면, 기하학 산란 또는 미 산란에 의한 파장 400㎚∼780㎚의 가시광선 영역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이 저감되기 때문이다. 상기 파장의 광의 산란이 저감하는 것으로, 강한 광이 조사되었을 때에 열선 차폐막이 젖빛 유리와 같은 외관이 되고, 선명한 투명성이 없어진다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이것은,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 입자 지름이 40㎚ 이하가 되면, 상술한 기하학 산란 또는 미 산란이 저감하여, 레일리 산란 영역이 되기 때문이다. 레일리 산란 영역에서는, 산란광이 입자 지름의 6승에 반비례하여 저감하기 때문에, 분산 입자 지름의 감소에 수반하여 산란이 저감하여 투명성이 향상한다. 또한,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 입자 지름이 25㎚ 이하가 되면, 산란광은 매우 적게 되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광의 산란을 회피하는 관점에서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 입자 지름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 입자 지름이 1㎚ 이상이면, 공업적인 제조는 용이하다.
또, 열선 차폐막에 포함되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양은 단위면적 당 0.05g/㎡∼5.0g/㎡가 바람직하다.
(2) 분산제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제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를, 후술하는 열가소성 수지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제는, 시차열·열중량 동시 측정 장치(이하, TG-DTA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열분해 온도가 250℃ 이상이고, 우레탄, 아크릴, 스티렌 주쇄를 갖는 분산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열분해 온도는 TG-DTA를 이용하여 JIS K 7120에 준거한 측정에서, 상기 분산제의 열분해에 의한 중량 감소가 시작되는 온도이다. 열분해 온도가 250℃ 이상이면, 열가소성 수지와의 혼련시에 상기 분산제가 분해하는 것이 적기 때문이다. 이것에 의해서, 분산제의 분해에 기인한 열선 차폐막의 갈색 착색,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 본래의 광학 특성을 얻을 수 없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 분산제는, 아민을 함유하는 기, 수산기, 카르복실기, 또는, 에폭시기를 관능기로서 갖는 분산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관능기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표면에 흡착하고,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응집을 막아, 열선 차폐막중에서도 상기 미립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카르복실기를 관능기로서 가지는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계 분산제, 아민을 함유 하는 기를 관능기로서 가지는 아크릴계 분산제를 예로서 들 수 있다.
관능기에 아민을 함유하는 기를 갖는 분산제는, 분자량 Mw2000∼200000, 아민가 5∼100 mgKOH/g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 카르복실기를 갖는 분산제에서는, 분자량 Mw2000∼200000, 산가 1∼50 mgKOH/g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의 첨가량은,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100 중량부에 대해 10 중량부∼1000 중량부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중량부∼400 중량부의 범위이다. 분산제 첨가량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가,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 균일하게 분산함과 동시에, 얻어지는 열선 차폐막의 물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3) 선택 파장 흡수 재료
본 발명에 따른 선택 파장 흡수 재료는, 일정한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광만을 선택적으로, 강하게 흡수하는 재료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JIS R 3106에 기재되어 있는 가시광선 투과율 산출에 사용되는 중가계수의 파장 분포를 고려하여, 다시 JIS Z 8701 및 JIS K 7373에 기재되어 있는 플라스틱의 YI산출 방법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상기 검토의 결과, 상술한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만으로는 충분히 차폐 할 수 없는 파장 420㎚ 부근의 광을 강하게 흡수하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 산출에 크게 기여하는 파장 영역인 파장 550㎚ 부근에 흡수를 가지지 않고, 한편 YI에 큰 영향을 미치는 파장 460㎚ 부근의 광의 흡수를 갖지 않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병존시키는 구성에 상도하였다. 그리고 상기 파장 420㎚ 부근의 광을 강하게 흡수하고, 파장 460㎚ 부근 및 파장 550㎚ 부근에 흡수를 갖지 않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병존시키는 구성을 이용하는 것으로,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YI를 상승시키지 않고, 보다 낮은 일사 투과율이 얻어졌다.
또, 예를 들면, 자동차 루프나 사이드 윈도와 같이, 높은 시인성이 요구되는 부재로서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가 사용되었을 경우, 직사 광선, 헤드 램프 등의 강한 광이, 상기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에 조사되었을 때, 함유되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등의 미립자가 가시광선의 단파장 영역을 강하게 산란하고, 상기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 중의 열선 차폐막이 창백하게 흐려지는 현상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등의 미립자에 의해서 산란되어 발생한 가시광선 단파장 영역의 산란광을 흡수하는 것으로, 상기 창백하게 흐리는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고,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투명성을 높이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에 상도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광학 특성으로서는, 매체나 기재의 흡수를 제외한 선택 파장 흡수 재료 자체에서, 파장 55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 또한,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일 때, 파장 420㎚의 광 투과율이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장 55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 또한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 때, 파장 420㎚의 광 투과율이 1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은, 선택 파장 흡수 재료 자체로서 파장 55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 또한,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일 때, 파장 420㎚의 광 투과율이 40% 이하의 투과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와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를 병존시켰을 때에, 가시광선 투과율이 저하하지 않고, 기재의 YI가 크게 상승하는 것도 없으며, 또한 파장 420㎚ 부근의 광의 흡수도 충분히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상기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를 단독으로 사용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색조에는 큰 변화가 없고, 한편 일사 투과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차열 특성이 향상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체적인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히드록시 페닐 알라닌 화합물, 인돌 화합물, 아조메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인돌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인돌 화합물이, 유사한 흡수 특성을 갖는 벤조페논 화합물,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화합물이라는 자외선 흡수제와 비교하여 날카로운 흡수 피크를 갖기 때문에, 파장 420㎚ 부근의 광을 흡수하는데 충분한 양을, 열선 차폐막에 첨가한 경우에서도, 기재된 YI의 상승이 매우 적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파장 360㎚∼390㎚에 강한 흡수 피크를 갖는다는 특징을 갖는 한편, 열선 차폐막의 YI에 영향을 주는 파장의 흡수가 약한 것에 따른다. 또한, 흡수 피크에 있어서의 흡광도가 일반적인 벤조트리아졸 화합물과 비교하여 매우 높고, 한편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로의 용해성도 높으며, 또한 내후성도 우수하기 때문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25
다만, 상기 [화학식 1]에서, R1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직쇄 또는 분쇄의 모노 치환 아미노기, 직쇄 또는 분쇄의 디치환 아미노기, 니트로기, 카르복실기, 알킬기의 탄소수가 각각 1∼8의 알킬카르보닐옥시알킬, 알킬기의 탄소수의 합계가 2∼10의 알킬옥시카르보닐알킬기, 아릴기, 아실기, 술포기, 시아노기, 또는 [화학식 2]가 나타내는 기, [화학식 3]이 나타내는 기, [화학식 4]가 나타내는 기, [화학식 5]가 나타내는 기 중 어느 하나이며,
R2는 탄소수 1∼8의 알킬렌기이며,
R3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4는 탄소수 1∼8의 알킬렌기이다.
[화학식 2]
Figure pct00026
[화학식 3]
Figure pct00027
[화학식 4]
Figure pct00028
[화학식 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 [화학식 6]∼[화학식 10]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을,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이러한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이, 파장 55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 또한,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일 때, 파장 420㎚의 광 투과율이 0.1% 이하로 매우 낮고, 또 파장 420㎚의 광의 흡광도도 유사한 화합물과 비교하여 높고, 또한 다른 선택 파장 흡수 재료와 비교하여 높은 내후성을 갖기 때문이다.
[화학식 6]
Figure pct00030
[화학식 7]
Figure pct00031
[화학식 8]
Figure pct00032
[화학식 9]
Figure pct00033
[화학식 10]
Figure pct00034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 인돌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 [화학식 1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화학식 11]에 대해 R은 탄소수가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7∼10의 아랄킬기이다. 탄소수가 1∼10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부틸기, 2-에틸 헥실기 등, 탄소수가 7∼10의 아랄킬기로서는 페닐 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화학식 11]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 중, R이 메틸기인 인돌 화합물, 즉 [화학식 12]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파장 55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 또한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 때, 파장 420㎚의 광 투과율이 0.1% 이하로 매우 낮고, 또 파장 420㎚의 광의 흡광도도 유사한 화합물과 비교하여 높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화학식 11]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이 아니어도, 인돌 골격을 가지며, 매체나 기재의 흡수를 제외한 인돌 화합물 자체의 파장 55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 또한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일 때, 파장 420㎚의 광 투과율이 40% 이하인 인돌 화합물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pct00035
[화학식 12]
Figure pct00036
열선 차폐막 중에 있어서의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함유량은, 0.0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함유량이 0.01 질량% 이상이면,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병존시키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차열 특성의 향상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2.0 질량% 이하면, YI에 영향을 주는 파장의 광의 흡수가 너무 강해지지 않고, 열선 차폐막의 색조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또, 2.0 질량% 이하면, 열선 차폐막 중에서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석출하지 않고, 막의 강도나 접착력, 내관통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열선 차폐막에의 첨가 방법은,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열선 차폐막중에서 균일하게 분산하고 있으면 되고, 얻어지는 열선 차폐막의 투명성을 해치지 않는 방법이면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4) 자외선 흡수제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에서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 파장 420㎚의 광의 흡수 계수가 높은, 예를 들면 인돌 화합물이나 아조메틴 화합물, 특정의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이나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화합물을 이용했을 경우는, 다시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에 더욱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제1 이유는, 인돌 화합물이나 아조메틴 화합물은 단파장의 가시광선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지만,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것으로, 자외 영역에 있어도 효과적인 흡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자외 영역의 광을 충분히 커트하는 것으로, 더욱 높은 온도 상승의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가 탑재된 자동차 차내나 건조물 내부의 인간이나 내장 등에 대한 자외선의 영향, 볕에 타거나 가구, 내장의 열화 등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제2 이유는,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것으로, 태양광 등에 기인하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광열화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는 실제로 자동차나 건조물의 창문재로서 장기에 걸쳐 사용되었을 경우라도,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에 다시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해 두는 것으로, 태양광 등에 기인하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광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페논 화합물, 살리실산 화합물, HALS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벤조트리아조릴 화합물, 벤조일 화합물 등의 유기 자외선 흡수제, 산화 아연, 산화 티탄, 산화 세륨 등의 무기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및 벤조페논 화합물이, 자외선을 충분히 흡수할 만한 농도를 첨가했을 경우라도 가시광선 투과율이 매우 높고, 한편 강력한 자외선의 장기 폭로에 대한 내구성이 높기 때문이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로서 [화학식 15], [화학식 16]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37
Figure pct00038
열선 차폐막 중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율은, 0.02 질량% 이상 5.0 질량%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율이 0.02 질량% 이상이면,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 다 흡수할 수 없는 보라색 외광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고, 또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광열화를 충분히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함유율이 5.0 질량% 이하면, 열선 차폐막 중에서 자외선 흡수제가 석출하지 않고, 또 막의 강도나 접착력, 내관통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의 일부는, 파장 420㎚에서, 큰 광의 흡수 계수를 갖는다. 따라서, 이들 화합물의 상당량을 열선 차폐막에 첨가함으로써, 상술한 파장 55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 또한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 일 때, 파장 420㎚의 광 투과율을 40% 이하로 하는 효과를 발휘시킬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들 화합물은 선택 파장 흡수 재료와 자외선 흡수제와의 효과를 겸하게 된다.
한편, 벤조페논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벤조트리아조릴 화합물, 벤조일 화합물이라는 화합물은, 인돌 화합물이나 아조메틴 화합물보다는 낮지만, 파장 420㎚에 대해 광의 흡수 계수를 갖는다. 따라서, 이들 화합물의 상당량을 열선 차폐막에 첨가함으로써, 상술한 파장 55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 또한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일 때, 파장 420㎚의 광 투과율을 40% 이하로 하는 효과를 발휘시킬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이들 화합물은 선택 파장 흡수 재료와 자외선 흡수제와의 효과를 겸하게 된다.
(5)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에 이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공지의 적층 투명기재에 이용되는 임의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가, 투명기재와의 밀착성, 내후성, 내관통성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로서는, 밀착성, 내후성, 내관통성 등의 면에서,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열선 차폐막의 물성을 고려한 후, 아세탈화도가 다른 복수 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병용해도 된다. 또한, 아세탈화시에 복수 종류의 알데히드를 조합하여 반응시킨 공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관점에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60%, 상한은 75%이다.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 알코올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하는 것으로 조제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은, 통상, 폴리 초산비닐을 비누화하는 것으로 얻을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비누화도 80∼99.8몰%의 폴리비닐 알코올이 이용된다. 또,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의 중합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200, 상한은 3000이다. 중합도가 200 이상이면 제조되는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관통에의 내성이 유지되어 안전성이 유지된다. 한편, 3000 이하면, 수지막의 성형성이 유지되고, 수지막의 강성도 바람직한 범위로 유지되어 가공성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상기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는, n-부틸 알데히드, 이소부틸 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등, 탄소수가 1∼10의 알데히드가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n-부틸 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배럴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4의 부틸 알데히드이다.
(6) 가소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가 단독으로는 유연성이나 투명기재와의 밀착성을 충분히 갖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인 경우는, 다시 가소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그 자체의 성질로 유연성이나 투명기재와의 밀착성이 뛰어난 수지나 공중합 등에 의해 유연성이나 투명기재와의 밀착성을 개량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반드시 가소제를 첨가하는 구성을 취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의 성분으로서 가소제의 첨가가 불필요한 수지의 일례로서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가소제의 첨가가 필수가 아닌 수지라도, 유연성이나 투명기재와의 밀착성 등을 더욱 개량하기 위해서 가소제를 첨가하는 것은 소망에 따라 가능하다.
가소제로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에 대해 일반적으로 가소제로서 이용되는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열선 차폐막에 이용되는 가소제로서는, 1가 알코올과 유기산과의 에스테르 화합물인 가소제나, 다가 알코올과 유기산과의 에스테르 화합물인 가소제, 유기 인산계 가소제 등의 인산계인 가소제를 들 수 있다. 어떠한 가소제라도, 실온에서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다가 알코올과 지방산으로부터 합성된 에스테르 화합물인 가소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다가 알코올과 지방산으로부터 합성된 에스테르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글리콜과 부티르산, 이소 부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 부티르산, 헵틸산, n-옥틸산, 2-에틸 헥실산, 펠라곤산(n-노닐산), 데실산 등의 1 알칼리성 유기산과의 반응에 의해서 얻어진, 글리콜계 에스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테트라 에틸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과 상기 1 알칼리성 유기와의 에스테르 화합물 등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에틸렌글리콜디헥사네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 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옥타네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의 트리에틸렌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매우 적합하다. 트리에틸렌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는, 폴리비닐아세탈과의 상용성이나 내한성 등 여러 가지 성질을 균형있게 구비하고 있으며, 가공성, 경제성에도 우수하다.
가소제의 선택에 있어서는 가수분해성이 낮은 것에 유의한다. 상기 관점에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 2-에틸헥사네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 2-에틸부틸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 2-에틸헥사네이트가 바람직하다.
(7) 접착력 조정제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에, 더욱 소망에 의해 접착력 조정제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력 조정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토류 금속염이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상기 금속염을 구성하는 산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옥틸산, 헥실산, 부티르산, 아세트산, 포름산 등의 카르본산, 또는, 염산, 질산 등의 무기산을 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토류 금속염 중에서도, 탄소수 2∼16의 카르본산마그네슘염, 탄소수 2∼16의 카르본산 칼륨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2∼16의 유기산의 카르본산 마그네슘염, 칼륨염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세트산 마그네슘, 아세트산 칼륨, 2-에틸 부티르산 마그네슘, 프로피온산 마그네슘, 프로피온산 칼륨, 2-에틸부탄산마그네슘, 2-에틸부탄산칼륨, 2-에틸 헥산산마그네슘, 2-에틸 헥산산칼륨 등이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2-에틸 부티르산 마그네슘은, 접착력 조정제로서의 성능이 높고, 또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열선 차폐막 중에서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내후성 향상의 효과를 겸비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어 바람직하다.
이들 접착력 조정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접착력 조정제로서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세륨의 카르본산염을 이용했을 경우는, 본래의 접착력 조정제로서의 작용과, 상술한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내후성 향상의 효과도 겸비할 수 있다.
(8)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
본 발명에서는, 소망에 의해 근적외영역에 강한 흡수를 갖는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을, 열선 차폐막에 더욱 첨가해도 된다. 상기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은, 파장 650㎚에서 1000㎚의 가시광선 장파장 영역으로부터 근적외선 영역의 범위의 광을 강하게 흡수하는 재료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광학적 특성을 갖는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과 파장 800㎚ 이상의 파장 영역에 강한 흡수를 갖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를 병존시켰을 때의 상승효과가 크고,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높은 차열성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목적에서 이용되는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로서는, 프타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이모늄 화합물, 디이모늄 화합물, 폴리메틴 화합물, 디페닐메탄 화합물, 트리페닐메탄 화합물, 퀴논 화합물, 아조 화합물, 펜타디엔 화합물, 아조메틴 화합물, 스쿠아릴리움 화합물, 유기 금속 착체, 시아닌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관점에서는, 디이모늄 화합물, 프타로시아닌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중의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의 함유율은, 0.02 질량% 이상 0.2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의 첨가량의 혼합 비율이 0.02 질량% 이상이면, 상기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에 의한, 파장 650㎚에서 1000㎚의 가시광선 장파장 영역으로부터 근적외선 영역의 범위의 광을 강하게 흡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의 첨가량의 혼합 비율이 상술한 중량비로 0.2 질량% 이하면, 상기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에 의해 가시광선 투과율 산출에 크게 기여하는 파장 영역인 파장 550㎚ 부근의 광이나, 막의 황색도에 영향을 주는 파장 460㎚ 부근의 광까지 흡수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나 황색도의 상승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시광선 투과율을 맞추어도 차열 특성과 색미가 담보되어 바람직하다.
(9) 그 외 첨화물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에는, 또한 소망에 의해, 일반적인 첨화물을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소망에 의해 임의의 색조를 주기 위한, 아조계 염료, 시아닌계 염료, 키놀린계, 페릴렌계 염료, 카본 블랙 등,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의 착색에 이용되고 있는 염료 화합물, 안료 화합물을 첨가해도 좋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가시광선의 단파장 측의 광을 흡수하고 있기 때문에, 투과광색이 약간 황색미를 띤다. 이 때문에, 염료, 안료 등의 화합물을 첨가해 열선 차폐막의 색조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 외의 첨화물로서 커플링제, 계면활성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2]열선 차폐막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i)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분산제를 일반적인 유기용제에 분산한 분산액을 얻은 후, 그 유기용제를 제거하는 것으로 고체의 분산제 중에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가 분산한 상태의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분산체를 제조하면 좋다. 또는,
(ii)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으로서 가소제를 이용할 필요가 있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상술한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분산제를, 열가소성 수지에 첨가하는 가소제의 일부에 분산하고,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분산액을 제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조된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분산체, 또는, 제조된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분산액과 선택 파장 흡수 재료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와 필요에 따라 가소제와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흡수제와 소망에 의해 그 외의 첨화물이나 접착력 조정제를 혼합하여 혼련 한 후, 압출 성형법, 캘린더 성형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예를 들면, 필름상에 성형하는 것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소망에 의해 상기 열선 차폐막에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을 첨가하면, 더욱 높은 열선 차폐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분산체의 제조 방법, 및,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분산액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1)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분산체의 제조 방법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분산제를, 유기용제에 첨가·혼합하고, 일반적인 분산 방법을 이용하여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유기용제 분산액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즈 밀, 볼 밀, 샌드 밀, 초음파 분산 등의 분산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는, 120℃ 이하의 비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비점이 120℃ 이하면, 후속 공정인 건조 공정, 특히 감압 건조로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 결과, 감압 건조의 공정으로 제거하는 것이 신속히 진행되어,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함유 조성물의 생산성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또한, 감압 건조의 공정이 용이하고 충분히 진행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함유 조성물 중에 과잉인 유기용제가 잔류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열선 차폐막 성형시에 기포의 발생 등의 불편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트산 부틸,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탄올을 들 수 있지만, 비점이 120℃ 이하에서, 또한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를 균일하게 분산 가능한 것이라면,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유기용제 분산액으로부터 유기용제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감압 건조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유기용제 분산액을 교반하면서 감압 건조하고,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함유 조성물과 유기용제 성분을 분리한다. 감압 건조에 이용하는 장치로서는, 진공 교반형의 건조기를 들 수 있지만, 상기 기능을 가지는 장치라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건조 공정의 감압의 압력은 적당히 선택된다.
상기 감압 건조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용제의 제거 효율이 향상하는 것과 동시에,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함유 조성물이 장시간 고온에 노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분산하고 있는 미립자의 응집이 일어나지 않고 바람직하다. 또한, 생산성도 올라, 증발한 유기용제를 회수하는 것도 용이하고 환경적 배려도 바람직하다.
(2)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분산액의 제조 방법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분산제를, 가소제에 첨가·혼합하고, 일반적인 분산 방법을 이용하여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가소제 분산액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즈 밀, 볼 밀, 샌드 밀, 초음파 분산 등의 분산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 중의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농도는 5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 중의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농도가 50질량% 이하면, 미립자의 응집이 일어나기 어렵고, 분산이 용이하고, 점성의 급증도 회피할 수 있어, 취급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3]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을 이용한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에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예를 들면, 투명기재로서 무기 유리를 이용한 열선 차폐 적층 무기 유리는,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을 사이에 끼워 넣어서 존재시킨 대향하는 복수장의 무기 유리를, 공지의 방법으로 접착시켜서 일체화하는 것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얻어진 열선 차폐 적층 무기 유리는, 주로 자동차의 프런트용 무기 유리나, 건조물의 창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과 후술하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열선 차폐막과 병용하고,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로 하는 구성도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상기 적외선 반사 필름을 열선 차폐막과 투명한 수지막에서 끼워 넣어 일체화하여 다층막으로 한다. 얻어진 다층막을 대향하는 복수장의 무기 유리에 끼워 넣고, 공지의 방법으로 접착시켜서 일체화함으로써 열선 차폐 적층 무기 유리가 얻어진다.
여기서, 상기 열선 차폐 적층 무기 유리를 자동차에 이용하는 것을 생각하면, 자동차 내의 온도 상승 억제 효과를 고려하여, 상기 적외선 반사 필름을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 보다 차 외측에 존재시키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차열 특성은, 가시광선 투과율에 대한 일사 투과율로 나타난다. 가시광선 투과율 및 일사 투과율은 JIS R 3106로 규정되어 있다. 가시광선 투과율에 대해서 일사 투과율이 낮을수록 차열 특성이 뛰어난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70%일 때에 일사 투과율이 3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1% 이하면 좀더 바람직하고, 30% 이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를 자동차의 앞유리 등의 창문재에 이용하는 경우는, 도로 운송 차량법에서 규정되어 있는 투과율 70% 이상을 만족하면서 높은 열선 차폐 능력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일사 투과율이 32.5% 이하면, 바깥 공기온도가 30℃ 이상일 때의 에어컨의 소비 전력이, 통상의 적층 유리가 탑재시키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5% 이상 삭감된다. 그 결과, 특히 하이브리드카나 전기 자동차와 같은 전지를 이용하는 자동차에서는, 전지의 소비가 억제되는 것부터, 항속 거리의 연장 등에 의미가 있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연비 향상, 온실 효과 가스 배출량 삭감에 기여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고, 장래적으로는 자동차의 설계상, 필수의 부재가 되는 것이 예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가, 창문재로서 자동차나 건조물에 사용되었을 때에는, 자연스러운 색조(투명 또는 무채색)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를 자동차의 앞유리 등에 이용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운전중의 안전성을 담보하기 때문에, 투시상의 색이 정상적으로 식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에 서는, 예를 들면 자동차용 적층 유리에 요구되는 성능을 규정한 JIS R 3211 및 JIS R 3212에 근거하는 색 식별 시험에서, 투시상의 색이 정상적으로 식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의 YI가 -20.0 이상 10.0 이하면, 상기 투시상의 색이 정상적으로 식별 가능하다.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첨가량의 구성을 취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의 YI를 -20.0 이상 10.0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열선 차폐막의 YI가 -20.0 이상 5.0 이하면, 투시상의 색이 더욱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투명기재로서 투명 수지를 이용하여 상기 무기 유리와 동일하게 사용하고, 또는, 상기 무기 유리와 병용하여 대향하는 투명기재의 사이에 열선 차폐막을 끼워넣어 존재시키는 것도,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용도는, 상술한 열선 차폐 적층 무기 유리와 같다. 또, 소망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 단일체로서 사용하는 것, 무기 유리나 투명 수지 등의 투명기재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을 존재시켜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여기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과 병용하는 적외선 반사 필름에 대해 설명한다.
적외선 반사 필름은,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과 병용했을 때의 광학 특성을 고려하면, 가시광선 영역에는 거의 태양광 흡수를 갖지 않고, 가시광선의 장파장 영역으로부터 근적외선 영역, 구체적으로는 파장 700㎚에서 1200㎚의 범위만을 반사하는 것이, 열선 차폐 기능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적외선 반사 필름의 광학 특성으로서 가시광선 투과율 85% 이상, 일사 반사율 1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시광선 투과율 88% 이상, 일사 반사율 21%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자동차의 앞유리, 건조물의 창문재로서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반사 필름은, 휴대 전화나 ETC에 이용되고 있는 파장 영역의 전자파를 투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전자파를 투과시키지 않는 금속막 부착 필름보다, 전자파를 투과시키는 수지 다층막 부착 필름이나 코어스텔릭(Corestetic) 액정에 의해 적외선을 반사하는 특성이 있게 한 필름이 바람직하다.
[4]정리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분산체,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분산액과, 선택 파장 흡수 재료와, 열가소성 수지와, 필요에 따라서 가소제를 혼련하고, 또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필름상에 성형하는 것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의 제작이 가능해졌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을 대향하는 복수장의 투명기재의 사이에 끼우도록 존재시키는 것에 의해서, 가시광선 영역의 높은 투과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낮은 일사 투과율을 발휘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제작이 가능해졌다.
그리고 상기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상기 파장 550㎚ 부근에 흡수를 갖지 않고, 한편 파장 460㎚ 부근에 흡수를 갖지 않으며, 한편 파장 420㎚ 부근에 큰 흡수를 갖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병존시키는 것으로,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를 단독으로 사용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더욱 높은 열선 차폐 특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본 발명에 따른 열선차폐 수지 시트재]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는, 열가소성 수지 중에, 열선 차폐 성분(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함유되고, 또한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 소망에 의해 그 외의 첨가물이 함유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1]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를 구성하는 성분,[2]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제조 방법, 및,[3]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차열 특성, 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를 구성하는 성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는, 열가소성 수지 중에, 열선 차폐 성분(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함유되고, 또한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 소망에 의해 그 외의 첨가물이 함유된 것이다.
또한, 열선 차폐 성분(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선택 파장 흡수 재료,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 그 외의 첨가물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에 있어서의 [1] 열선 차폐막을 구성하는 성분란에 기재한 설명과 중복된다.
따라서, 선택 파장 흡수 재료에 관한 추가의 설명, 및,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에 관한 열가소성 수지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1) 선택 파장 흡수 재료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가, 창문재로서 자동차나 건조물에 사용되었을 때에는, 자연스러운 색조(투명 또는 무채색)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가 자동차의 앞유리 등에 이용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운전중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서, 투시상의 색이 정상적으로 식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자동차용 적층 유리에 요구되는 성능을 규정한 JIS R 3211 및 JIS R 3212에 근거하는 색 식별 시험에서, 투시상의 색이 정상적으로 식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YI가 -20.0 이상 10.0 이하면, 상기 투시상의 색이 정상적으로 식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막]에 있어서의 [1] 열선 차폐막을 구성하는 성분란에 기재한,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첨가량의 구성을 취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YI를 -20.0 이상 10.0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YI가 -20.0 이상 5.0 이하면, 투시상의 색이 더욱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로의 첨가 방법은, 선택 파장 흡수 재료 자체를, 후술하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가소제 분산액, 또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분산체와 함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에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얻어지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투명성을 고려하면, 상술한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동일하게, 가소제에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분산한 상태의 분산액, 또는, 고체의 분산제 중에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분산한 상태의 분산체로서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에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떻게 하여도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중에서 균일하게 분산하고 있으면 좋고, 얻어지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투명성을 해치지 않는 방법이면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2)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에 이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임의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가 각종 창문재에 이용되는 것을 생각하면, 충분한 투명성을 가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염화 비닐 수지, 올레핀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불소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라는 수지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수지, 또는 상기 수지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수지의 혼합물, 또는 상기 수지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수지의 공중합체로부터, 바람직한 수지의 선택을 실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이 높고, 또한 창문재로서 요구되는 일반적인 특성, 즉 강성, 경량성, 장기 내구성, 코스트 등의 면을 고려하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에 이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는, 2가 페놀류와 카보네이트계 전구체를, 용액법 또는 용융법으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2가 페놀로서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피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폰 등이 대표예로서 들 수 있다.
또, 바람직한 2가 페놀로서 비스(4-히드록시페닐)의 알칸계가 있으며, 특히 비스페놀 A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제조 방법으로 대해서, (1) 열선 차폐 기능을 갖는 미립자의 제조 방법, (2) 열선 차폐 기능을 가지는 분산체의 제조 방법, (3)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제조 방법의 순서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열선 차폐 기능을 가지는 미립자의 제조 방법
일반식 MyWOZ로 표기되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는, 텅스텐 화합물 출발 원료를,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 또는 환원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열처리하여 얻어진다.
우선, 텅스텐 화합물 출발 원료에 대해 설명한다.
텅스텐 화합물 출발 원료로서는, 삼산화 텅스텐 분말, 이산화 텅스텐 분말, 산화 텅스텐의 수화물 분말, 6염화 텅스텐 분말, 텅스텐산암모늄 분말, 6염화 텅스텐 분말을 알코올 중에 용해시킨 후 건조하여 얻어진 텅스텐 산화물의 수화물 분말, 6염화 텅스텐을 알코올 중에 용해시킨 후 물을 첨가하여 침전시키고 이것을 건조하여 얻어진 텅스텐 산화물의 수화물 분말, 텅스텐산 암모늄 수용액을 건조하여 얻어진 텅스텐 화합물 분말, 및, 금속 텅스텐 분말로부터 선택된 어느 1종류 이상의 것과, 원소 M을 원소 단일체 또는 화합물의 형태로 함유하는 것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여기서, 각 성분이 분자 레벨로 균일 혼합한 출발 원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각 원료를 용액의 형태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원소 M을 포함한 텅스텐 화합물 출발 원료가, 물이나 유기용매 등의 용매에 용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원소 M을 함유하는, 텅스텐산염, 텅스텐의 염화물염, 텅스텐의 질산염, 텅스텐의 유산염, 텅스텐의 옥살산염, 텅스텐의 산화물, 텅스텐의 탄산염, 텅스텐의 수산화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고, 용액상태가 되는 것이라면 바람직하다.
이어서, 열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열처리하는 경우, 온도 조건으로서는 400℃ 이상 1200℃ 이하가 바람직하다. 400℃ 이상 1200℃ 이하로 열처리된 출발 원료는, 충분한 근적외선 흡수력을 가지며 열선 차폐 미립자로서 효율이 좋다. 불활성 가스로서는 Ar, N2 등의 불활성 가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또, 환원성 분위기 중에서 열처리하는 경우, 출발 원료를, 우선 환원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100℃ 이상 400℃ 이하로 열처리하고, 이어서,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400℃ 이상 1200℃ 이하의 온도로 열처리하는 것이 좋다. 이때의 환원성 가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H2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환원성 가스로서 H2를 이용하는 경우는, 환원성 분위기의 조성으로서 예를 들면, Ar, N2 등의 불활성 가스에 H2를 체적비로 0.1% 이상 100% 미만을 혼합하거나 H2가스 그 자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Ar, N2등의 불활성 가스에 체적비로 0.2% 이상 100% 미만을 혼합한 것이다. H2가 체적비로 0.1% 이상이면 효율적으로 환원을 진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를 표면 처리하여, Si, Ti, Zr, Al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을 함유하는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산화물로 피복하는 것은, 내후성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처리를 실시하려면, Si, Ti, Zr, Al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을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을 이용하여, 공지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면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유기 규소 화합물을 혼합하고, 가수분해 처리를 실시하면 좋다.
(2) 열선 차폐 기능을 가지는 분산체의 제조 방법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분산제와 소망에 의해 용제를 혼합하고, 일반적인 분산 방법을 이용하여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액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즈 밀, 볼 밀, 샌드 밀, 초음파 분산 등의 분산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소망에 의해 용제를 더하는 경우는, 120℃ 이하의 비점을 갖는 유기용제의 첨가가 바람직하다. 비점이 120℃ 이하면, 후속 공정인 건조 공정, 특히 감압 건조로, 상기 용제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다. 구체적으로는, 톨루엔, 메틸 에틸 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트산 부틸,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탄올을 들 수 있지만, 비점이 120℃ 이하에서, 또한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를 균일하게 분산 가능한 것이면,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얻어진 분산액을 감압 건조함으로써, 열선 차폐 분산체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120℃ 이하의 비점을 갖는 유기용제를 이용하면, 감압 건조의 공정으로 제거하는 것이 신속히 진행되어,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함유 조성물의 생산성이 향상한다. 또한, 감압 건조의 공정이 용이하여 충분히 진행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함유 조성물 중에 과잉인 유기용제가 잔류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성형시에 기포의 발생 등의 불편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3)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제조 방법
상기에서 얻어진 열선 차폐 분산체와 선택 파장 흡수 재료와 열가소성 수지를 혼련한 후, 상기 혼련물을, 압출 성형법, 사출 성형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예를 들면, 평면상이나 곡면상의 시트재에 성형함으로써,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 열가소성 수지에,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분산체와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균일하게 분산한 혼합물을 조립 장치에 의해 일단 펠릿화 한 후, 상기 펠릿에, 압출 성형법, 사출 성형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실시하는 것으로,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를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두께는, 두꺼운 판 형태로부터 얇은 필름상까지 필요에 따라 임의의 두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는, 그 자체를 열선 차폐 투명기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를 필름 형태 또는 판 형태로서 유리 등의 투명기재와 합해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적어도 하나의 시트재 표면에, 내찰과상성을 갖는 하드 코트층을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상에, 실리케이트계, 아크릴계 등의 내찰과상성 하드 코트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내찰과상성 하드 코트층의 형성에 의해,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내찰과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내찰과상성을 향상시킨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는, 차량, 건조물의 창문재 등에 적용할 수 있다.
[3]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차열 특성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차열 특성은, 가시광선 투과율에 대한 일사 투과율로 나타난다. 가시광선 투과율에 대해서 일사 투과율이 낮을수록 차열 특성이 뛰어난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70%일 때에 일사 투과율이 3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1% 이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는, 가시광선 투과율에 대해서 일사 투과율이 낮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를, 자동차의 루프나 사이드 윈도 등의 창문재로서 자동차에 탑재하는 것으로, 에어컨의 소비 전력이, 통상의 유리가 탑재시키고 있는 경우보다 삭감된다. 그 결과, 특히 하이브리드카나 전기 자동차와 같은 전지를 이용하는 자동차에 대해서는, 전지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는 것부터, 항속 거리의 연장 등에 의미가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연비 향상, 온실 효과 가스 배출량 삭감에 기여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고, 장래적으로는 자동차의 설계상, 필수의 부재가 되는 것이 예상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실시예 1∼23 및 비교예 1∼3은 열선 차폐막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4∼46 및 비교예 4∼6은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에 관한 것이다.
또,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파장 420㎚, 파장 460㎚ 및 파장 550㎚의 광 투과율은,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적절한 농도로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액을 광로 길이 1cm의 석영 유리 셀에 넣어 히타치 세이사쿠쇼(주) 제조의 분광 광도계 U-40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베이스라인은 용해에 이용한 유기용매만을 동일한 셀에 넣은 상태로 당겼다.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용해시키는 유기용매로서는 톨루엔, 메틸 이소 부틸 케톤, N-메틸-2-피롤리디논으로부터,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용매 용해성에 맞추어 임의로 선택한 한종류를 사용하였다.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가시광선 투과율 및 일사 투과율은, 분광 광도계 U-4000을 이용하여 측정한 파장 300∼2100㎚의 광 투과율로부터, JIS R 3106에 근거하여 산출하였다. 또한, 상기 일사 투과율은,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열선 차폐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가시광선 투과율이 거의 일정한 때의 일사 투과율이 보다 낮으면, 열선 차폐 성능이 보다 높다고 말할 수 있다. 이번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70.0∼70.5%의 범위로 통일하고, 이때의 일사 투과율의 높낮이를 갖고 열선 차폐 성능의 우열의 판단 기준으로 하였다.
한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YI는, 분광 광도계 U-4000을 이용하여 측정된 파장 380∼780㎚의 광 투과율로부터, JIS Z 8701 및 JIS K 7373에 근거하여 산출하였다.
[실시예 1]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Cs0 .33WO3(이하, 미립자 a라고 기재한다.)를 20질량%, 관능기로서 아민을 함유하는 기를 갖는 아크릴계 분산제(아민가 48mgKOH/g, 분해 온도 250℃)의 아크릴계 분산제(이하, 분산제 a라고 기재한다.) 10질량%,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이하, 가소제 a라고 기재한다.) 70질량%를 칭량하였다. 이들을 0.3mmφZrO2 비즈를 넣은 페인트 쉐이커에 장전하여, 10시간 분쇄·분산처리하고, 미립자 a의 가소제 분산액(이하, 미립자 분산액 A라고 기재한다.)를 얻었다.
여기서, 미립자 분산액 A내에 있어서의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 평균 입자 지름을, 닛키소제조 마이크로 트랙 입도 분포계로 측정한바 21㎚이었다.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에 대해서 가소제 38 질량%를 혼합한 혼합물에, 소정량의 미립자 분산액 A와,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 [화학식 6]으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파장 550㎚의 광 투과율을 99%,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을 90%로 했을 때의 파장 420㎚의 투과율은 0%)을, 열선 차폐막의 제조용 조성물 중에서의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함유율이 0.05 질량%가 되고, 또한 적층 투명기재로 했을 때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70.0∼70.5%가 되도록 첨가하고, 열선 차폐막의 제조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열선 차폐막의 제조용 조성물을, 2축 압출기로 200℃로 혼련하고, T다이로 압출하여 캘린더 롤법에 의해 1.0mm 두께의 시트로서 실시예 1에 따른 열선 차폐막을 얻었다.
[화학식 6]
Figure pct00039
얻어진 실시예 1에 따른 열선 차폐막을 2장의 대향하는 3mm 두께 클리어 유리에 끼워 넣고 공지의 방법으로 접착시켜서 일체화하고, 실시예 1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를 얻었다.
실시예 1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광학 특성은, 가시광선 투과율 70.0% 일때 일사 투과율은 29.3%, YI는 4.5였다. 또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내후성 시험을 실시한바, 색미 변화 ΔE는 2.9였다. 이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16]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종류 및 열선 차폐막 제조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함유율을 표 2와 같이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16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2∼16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광학 특성과 내후성 시험시의 색미 변화 ΔE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실시예 2∼16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광학 특성 측정 결과와 내후성 시험시의 색미 변화 ΔE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2∼3에서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 상술한 [화학식 6]으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을 이용하였다.
[화학식 6]
Figure pct00040
실시예 4∼6에서는, [화학식 7]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파장 550㎚의 광 투과율을 99%,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을 90%로 했을 때의 파장 420㎚의 투과율은 0%)을 이용하였다.
[화학식 7]
Figure pct00041
실시예 7∼9에서는, [화학식 8]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파장 550㎚의 광 투과율을 99%,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을 90%로 했을 때의 파장 420㎚의 투과율은 0%)을 이용하였다.
[화학식 8]
Figure pct00042
실시예 10에서는, [화학식 9]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파장 550㎚의 광 투과율을 99%,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을 90%로 했을 때의 파장 420㎚의 투과율은 0%)을 이용하였다.
[화학식 9]
Figure pct00043
실시예 11에서는, [화학식 10]으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파장 550㎚의 광 투과율을 99%,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을 90%로 했을 때의 파장 420㎚의 투과율은 0%)을 이용하였다.
[화학식 10]
Figure pct00044
실시예 12∼14에서는, [화학식 12]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인 오리엔트카가쿠 고교 제조 BONASORB UA-3911(CAS No.142676-93-5. 파장 550㎚의 광 투과율을 99%,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을 90%로 했을 때의 파장 420㎚의 투과율은 0%)를 이용하였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45
실시예 15에서는, [화학식 13]으로 나타내는 아조메틴 화합물인 오리엔트 카가쿠고교 제조 BONASORB UA-3701(CAS No.55567-59-4. 파장 550㎚의 광 투과율을 98%,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을 90%로 했을 때의 파장 420㎚의 투과율은 0%)를 이용하였다.
Figure pct00046
실시예 16에서는, [화학식 14]로 나타내는 벤조페논 화합물인 다이와카세이제조 DAINSORB P-6(CAS No.131-55-4. 파장 550㎚의 광 투과율을 97%,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을 92%로 했을 때의 파장 420㎚의 투과율은 25%)를 이용하였다.
Figure pct00047
[실시예 17]
열선 차폐막의 제조용 조성물에 다시 자외선 흡수제로서 [화학식 15]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을, 열선 차폐막의 제조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율이 0.3질량%가 되도록 첨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7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7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광학 특성과 내후성 시험시의 색미 변화 ΔE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실시예 17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광학 특성 측정 결과와 내후성 시험시의 색미 변화 ΔE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18∼19]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종류 및 열선 차폐막의 제조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함유율, 자외선 흡수제의 종류 및 열선 차폐막의 제조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율을 표 2와 같이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17과 동일하게 하고, 실시예 18, 19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8, 19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광학 특성과 내후성 시험시의 색미 변화 ΔE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실시예 18, 19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광학 특성 측정 결과와 내후성 시험시의 색미 변화 ΔE를 표 2에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 18에서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 [화학식 6]으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을 이용하고,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화학식 16]으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을 이용하였다.
[화학식 6]
Figure pct00048
[화학식 16]
Figure pct00049
실시예 19에서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 [화학식 12]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을 이용하고, 자외선 흡수제로서 [화학식 15]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을 이용하였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50
[화학식 15]
Figure pct00051
[실시예 20]
열선 차폐막의 제조용 조성물에 다시 다가 금속염으로서 2-에틸 부티르산 마그네슘을, 열선 차폐막의 제조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다가 금속염의 함유율이 0.04%가 되도록 첨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17과 동일하게 하고, 실시예 20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7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광학 특성 및 내후성 시험으로의 색미 변화 ΔE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실시예 20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광학 특성 측정 결과와 내후성 시험시의 색미 변화 ΔE를 표 2에 나타냈다.
[비교예 1]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첨가하지 않았던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고, 비교예 1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비교예 1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광학 특성 및 내후성 시험으로의 색미 변화 ΔE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비교예 1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광학 특성 측정 결과 및 내후성 시험으로의 색미 변화 ΔE를 표 2에 나타냈다.
[비교예 2]
열선 차폐막의 제조용 조성물 중에서의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함유율을 0.005질량%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고, 비교예 2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비교예 2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광학 특성 및 내후성 시험으로의 색미 변화 ΔE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비교예 2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광학 특성 측정 결과 및 내후성 시험으로의 색미 변화 ΔE를 표 2에 나타냈다.
[비교예 3]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 [화학식 17]로 나타내는 퀴노프탈론 화합물(C.I.솔벤트 옐로우 33, CAS No.8003-22-3. 파장 550㎚의 광 투과율을 99%,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을 90%로 했을 때의 파장 420㎚의 투과율은 55%)를 이용하여 열선 차폐막의 제조용 조성물 중에서의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함유율을 0.01 질량%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고, 비교예 3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비교예 3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광학 특성 및 내후성 시험으로의 색미 변화 ΔE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비교예 3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광학 특성 측정 결과 및 내후성 시험으로의 색미 변화 ΔE를 표 2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52
[실시예 21]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Rb0 .33WO3(이하, 미립자 b라고 기재한다.)를 20 질량%, 분산제 a를 10 질량%, 가소제 a를 70 질량% 칭량하였다. 이들을, 0.3mmφZrO2 비즈를 넣은 페인트 쉐이커에 장전하고, 10시간 분쇄·분산처리하고, 미립자 b의 가소제 분산액(이하, 미립자 분산액 B라고 기재한다.)를 얻었다.
여기서, 미립자 분산액 B내에 있어서의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 입자 지름을, 닛키소제 마이크로 트랙 입도 분포계로 측정한바 27㎚였다.
미립자 분산액 A의 대체로서 미립자 분산액 B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고, 실시예 21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21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광학 특성 및 내후성 시험으로의 색미 변화 ΔE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실시예 21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광학 특성 측정 결과 및 내후성 시험으로의 색미 변화 ΔE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22]
미립자 a를 20질량%, 분산제 a를 10질량%, 톨루엔을 70질량% 칭량하였다. 이들을, 0.3mmφZrO2 비즈를 넣은 페인트 쉐이커에 장전하고, 10시간 분쇄·분산처리하고,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액(이하, 미립자 분산액 C로 약칭한다.)를 얻었다. 여기서, 미립자 분산액 C내에 있어서의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 입자 지름을, 닛키소제 마이크로 트랙 입도 분포계로 측정한바 24㎚였다.
상기 분산액 C에, 다시 분산제 a를 첨가하여, 분산제 a와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중량비가[분산제 a/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3이 되도록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미립자 분산액 C로부터 스프레이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톨루엔을 제거하고,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분산가루를 얻었다(이하, 분산가루 C로 약칭한다.).
열가소성 수지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대해서, 소정량의 분산가루 A와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 [화학식 6]으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을, 열선 차폐막의 제조용 조성물 중에서의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함유율이 0.05 질량%가 되고, 또한, 적층 투명기재로 했을 때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70.0∼70.5%가 되도록 첨가하고, 열선 차폐 수지막의 제조용 조성물을 조제했다. 또한, 열선 차폐 수지막의 제조용 조성물에 가소제는 첨가하지 않았다.
[화학식 6]
Figure pct00053
이 열선 차폐 수지막의 제조용 조성물을, 2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220℃에서 혼련하고, T다이에서 압출하여 캘린더 롤법에 의해 1.0mm두께의 시트로 하고, 실시예 22에 따른 열선 차폐막을 얻었다.
얻어진 실시예 22에 따른 열선 차폐막을 2장의 대향하는 3mm 두께 클리어 유리에 끼워 넣고, 공지의 방법으로 접착시켜서 일체화하고, 실시예 22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22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광학 특성 및 내후성 시험으로의 색미 변화 ΔE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실시예 22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광학 특성 측정 결과 및 내후성 시험으로의 색미 변화 ΔE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23]
열선 차폐막을 사이에 두는 투명기재로서 2장의 대향하는 2mm 두께의 그린 유리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3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23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광학 특성 및 내후성 시험으로의 색미 변화 ΔE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실시예 23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광학 특성 측정 결과 및 내후성 시험으로의 색미 변화 ΔE를 표 2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54
매체나 기재의 흡수를 제외한 선택 파장 흡수 재료 자체에 있어서, 파장 550㎚ 및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을 90% 이상으로 했을 때의 파장 420㎚의 광 투과율을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1∼23에서 이용한 [화학식 6], [화학식 7], [화학식 8], [화학식 9], [화학식 10]으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화학식 12]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 [화학식 13]으로 나타내는 아조메틴 화합물, [화학식 14]로 나타내는 벤조페논 화합물의 파장 420㎚의 광 투과율은 40% 이하이지만, 비교예 3에서 이용한 [화학식 17]로 나타내는 퀴노프탈론 화합물의 파장 420㎚의 광 투과율은 40%보다 높 은 값을 얻을 수 있었다.
Figure pct00055
[실시예 1∼23 및 비교예 1∼3의 평가]
실시예 1∼23에서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적절한 비율로 병존시킨 것에 의해서,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병존시키지 않은 비교예 1보다 낮은 일사 투과율을 얻을 수 있었다. 또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YI도 10을 넘을 것이 없고,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병존에 의한 색조의 변화도 적었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 1∼11, 실시예 17∼18, 실시예 20∼23에서는, 내후성이 높은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을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 이용한 것으로, 내후성 시험에 있어서의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열화가 억제되어 색조의 변화가 보다 적었다.
또 실시예 17∼20에서는, 더욱 자외선 흡수제를 병존시킨 것으로, 선택 파장 흡수 재료만을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병존시킨 것보다, 보다 낮은 일사 투과율이 얻어지고, 또한 내후성 시험에 있어서의 색조의 변화가 더욱 적었다. 그 중에서도 다가 금속염을 병용한 실시예 20에서는, 내후성 시험 전후로의 적층 투명기재의 색조 변화가 보다 억제되었다.
또한, 비교예 1에서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병존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가시광선 투과율이 70%일 때 일사 투과율은 33% 이상에 머물고, 또 자외선 흡수제·다가 금속염·선택 파장 흡수 재료 모두 함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자외선에 의한 복합 텅스텐 산화물의 착색이 크게 발생하여, 내후성 시험으로의 색조 변화도 컸다. 비교예 2에서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첨가량이 적었기 때문에 충분한 흡수를 얻지 못하고,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병존시키지 않았던 비교예 1과 동일한 정도의 일사 투과율 밖에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3에서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 파장 550㎚ 및 파장 460㎚의 광 투과율에 대해서, 파장 420㎚의 흡수가 약한 퀴노프탈론 화합물을 이용했기 때문에 YI가 10 이상까지 상승해 버리고,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의 색조가 크게 변화해 버렸다.
[실시예 24]
미립자 a를 20 질량%, 분산제 a를 10 질량%, 톨루엔 70 질량%를 칭량하였다. 이들을, 0.3mmφZrO2 비즈를 넣은 페인트 쉐이커에 장전하고, 10시간 분쇄·분산처리하고, 미립자 분산액 A를 얻었다.
여기서, 미립자 분산액 A내에 있어서의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 입자 지름을, 닛키소제 마이크로 트랙 입도 분포계로 측정한바 24㎚였다.
상기 분산액 A에, 다시 분산제 a를 첨가하고, 분산제 a와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중량비가[분산제 a/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3이 되도록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미립자 분산액 A로부터 스프레이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톨루엔을 제거하고,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분산가루를 얻었다(이하, 분산가루 A로 약칭한다.).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대해서, 소정량의 분산가루 A와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 [화학식 6]으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파장 550㎚의 광 투과율을 99%,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을 90%로 했을 때의 420㎚의 투과율은 0%)을,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제조용 조성물 중에서의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함유율이 0.05 질량%가 되고, 또한,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로 했을 때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70.0∼70.5%가 되도록 첨가하고,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제조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화학식 6]
Figure pct00056
이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제조용 조성물을, 2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280℃에서 혼련하고, T다이에서 압출하여 캘린더 롤법에 의해 1.0mm두께의 시트재로 하고, 실시예 24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를 얻었다. 얻어진 실시예 24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광학 특성은, 가시광선 투과율 70.1% 때의 일사 투과율은 29.5%, YI는 4.7이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5∼39]
실시예 24에서 설명한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종류 및 열선 차폐막의 제조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함유율을 표 3과 같이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5∼39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25∼39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광학 특성을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실시예 25∼39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광학 특성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5∼26에서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 상술한 [화학식 6]으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을 이용하였다.
[화학식 6]
Figure pct00057
실시예 27∼29에서는, [화학식 7]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파장 550㎚의 광 투과율을 99%,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을 90%로 했을 때의 420㎚의 투과율은 0%)을 이용하였다.
[화학식 7]
Figure pct00058
실시예 30∼32에서는, [화학식 8]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파장 550㎚의 광 투과율을 99%,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을 90%로 했을 때의 420㎚의 투과율은 0%)을 이용하였다.
[화학식 8]
Figure pct00059
실시예 33에서는, [화학식 9]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파장 550㎚의 광 투과율을 99%,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을 90%로 했을 때의 420㎚의 투과율은 0%)을 이용하였다.
[화학식 9]
Figure pct00060
실시예 34에서는, [화학식 10]으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파장 550㎚의 광 투과율을 99%,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을 90%로 했을 때의 420㎚의 투과율은 0%)을 이용하였다.
[화학식 10]
Figure pct00061
실시예 35∼37에서는, [화학식 12]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인 오리엔트카가쿠 고교 제조 BONASORB UA-3911(CAS No.142676-93-5. 파장 550㎚의 광 투과율을 99%,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을 90%로 했을 때의 420㎚의 투과율은 0%)를 이용하였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62
실시예 38에서는, [화학식 13]으로 나타내는 아조메틴 화합물인 오리엔트카가쿠 고교 제조 BONASORB UA-3701(CAS No.55567-59-4. 파장 550㎚의 광 투과율을 98%,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을 90%로 했을 때의 420㎚의 투과율은 0%)를 이용하였다.
[화학식 13]
Figure pct00063
실시예 39에서는, [화학식 14]로 나타내는 벤조페논 화합물인 다이와 화성제 DAINSORBP-6(CAS No.131-55-4.파장 550㎚의 광 투과율을 97%,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을 92%로 했을 때의 420㎚의 투과율은 25%)를 이용하였다.
[화학식 14]
Figure pct00064
[실시예 40]
열선 차폐막의 제조용 조성물에 다시 자외선 흡수제로서 [화학식 15]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을, 열선 차폐막의 제조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율이 0.3 질량%가 되도록 첨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40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40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광학 특성을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실시예 40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광학 특성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실시예 41, 42]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종류 및 열선 차폐막의 제조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함유율, 자외선 흡수제의 종류 및 열선 차폐막의 제조용 조성물중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율을 표 3과 같이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40과 동일하게 하고, 실시예 41, 42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41, 42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광학 특성을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실시예 41, 42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광학 특성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 41에 대해서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 [화학식 6]으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을 이용해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화학식 16]으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을 이용하였다.
[화학식 6]
Figure pct00065
[화학식 16]
Figure pct00066
실시예 42에 대해서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 [화학식 12]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을 이용하고, 자외선 흡수제로서 [화학식 15]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을 이용하였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67
[화학식 15]
Figure pct00068
[실시예 43]
열선 차폐막의 제조용 조성물에 더욱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로서 지이모늄계 화합물인 닛폰 카릿트 제조 CIR-RL(이하, CIR-RL라고 기재하기도 함)를, 열선 차폐막의 제조용 조성물중에 있어서의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의 함유율이 0.05 질량%가 되도록 첨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43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43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광학 특성을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실시예 43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광학 특성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비교예 4]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첨가하지 않았던 것 이외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하고, 비교예 4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비교예 4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광학 특성을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비교예 4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광학 특성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비교예 5]
열선 차폐막의 제조용 조성물 중에서의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함유율을 0.005질량%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하고, 비교예 5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비교예 5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광학 특성을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비교예 5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광학 특성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비교예 6]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 [화학식 17]으로 나타내는 퀴노프탈론 화합물(C.I. 솔벤트 옐로우 33, CAS No.8003-22-3. 파장 550㎚의 광 투과율을 99%,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을 90%로 했을 때의 420㎚의 투과율은 55%)를 이용해 열선 차폐막의 제조용 조성물 중에서의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함유율을 0.01 질량%로 한 이외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하고, 비교예 6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비교예 6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광학 특성을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비교예 6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광학 특성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화학식 17]
Figure pct00069
[실시예 44]
미립자 b를 20 질량%, 분산제 a를 10 질량%, 톨루엔 70 질량%를 칭량하였다. 이들을, 0.3mmφZrO2 비즈를 넣은 페인트 쉐이커에 장전하고, 10시간 분쇄·분산처리하고, 미립자 분산액 B를 얻었다.
여기서, 미립자 분산액 B내에 있어서의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 입자 지름을, 닛키소제 마이크로 트랙 입도 분포계로 측정한바 21㎚였다.
상기 미립자 분산액 B에, 다시 분산제 a를 첨가하고, 분산제 a와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중량비가[분산제 a/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3이 되도록 조제했다. 이어서, 이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분산액으로부터 스프레이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톨루엔을 제거하고,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분산가루를 얻었다(이하, 분산가루 B로 약칭한다.).
분산가루 A를 대신하여 분산가루 B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하고, 실시예 44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44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광학 특성을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실시예 45, 46]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대신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표 3에 나타낸 종류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45, 46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45, 46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광학 특성을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실시예 45에서는 아크릴 수지(쿠라레 제조 파라펫트 G)를 이용하여 2축 압출기의 혼련온도는 270℃로 하였다. 실시예 46에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테이진 제조 TR-8550T)를 이용해 2축 압출기의 혼련온도는 260℃으로 했다.
매체나 기재의 흡수를 제외한 선택 파장 흡수 재료 자체에서, 파장 550㎚ 및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을 90% 이상으로 했을 때의 파장 420㎚의 광 투과율을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24∼46에서 이용한 [화학식 6], [화학식 7], [화학식 8], [화학식 9], [화학식 10]으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화학식 12]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 [화학식 13]으로 나타내는 아조메틴 화합물, [화학식 14]로 나타내는 벤조페논 화합물의 파장 420㎚의 광 투과율은 40% 이하이지만, 비교예 6에서 이용한 [화학식 17]로 나타내는 퀴노프탈론 화합물의 파장 420㎚의 광 투과율은 40%보다 높은 값을 얻을 수 있었다.
Figure pct00070
[실시예 24∼46 및 비교예 4∼6의 평가]
실시예 24∼46에서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적절한 비율로 병존시킨 것에 의해서,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병존시키지 않았던 비교예 4보다 낮은 일사 투과율을 얻을 수 있었다. 또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YI도 10을 넘은 것은 없고,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병존에 의한 색조의 변화도 적었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 40∼42에서는, 더욱 자외선 흡수제를 병존시킨 것으로, 선택 파장 흡수 재료만을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병존시킨 것보다, 보다 낮은 일사 투과율을 얻을 수 있었다. 또 실시예 43에서는, 상기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나 선택 파장 흡수 재료에 의한 흡수가 충분하지 않은 파장 800∼1100㎚ 정도의 파장의 광을 흡수하는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을 병존시킨 것으로, 선택 파장 흡수 재료만을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병존시키는 것보다 보다 낮은 일사 투과율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5에서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첨가량이 적었기 때문에 충분한 흡수를 얻지 못하고,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병존시키지 않았던 비교예 4와 동일한 정도의 일사 투과율 밖에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6에서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 파장 550㎚ 및 파장 460㎚의 광 투과율에 대해서, 파장 420㎚의 흡수가 약한 퀴노프탈론 화합물을 이용했기 때문에 YI가 10 이상까지 상승해 버려,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색조가 크게 변화해 버렸다.

Claims (42)

  1. 일반식 MyWOZ(단, M은, Cs, Rb, K, Tl, In, Ba, Li, Ca, Sr, Fe, Sn, Al, Cu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원소, 0.1≤y≤0.5, 2.2≤z≤3.0)으로 나타내며, 또한 육방정의 결정 구조를 갖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선택 파장 흡수 재료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열선 차폐막으로,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는, 파장 55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이며, 또한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일 때의 파장 420㎚의 광 투과율은 40% 이하인 투과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벤조페논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인돌 화합물, 아조메틴 화합물, 벤조트리아조릴 화합물, 벤조일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는 [화학식 1]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이며,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에 있어서의 R1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직쇄 또는 분쇄의 모노 치환 아미노기, 직쇄 또는 분쇄의 디 치환 아미노기, 니트로기, 카르복실기, 알킬기의 탄소수가 각각 1∼8의 알킬카르보닐옥시알킬기, 알킬기의 탄소수의 합계가 2∼10의 알킬옥시카르보닐알킬기, 아릴기, 아실기, 술포기, 시아노기, [화학식 2]로 나타내는 기, [화학식 3]으로 나타내는 기, [화학식 4]로 나타내는 기, [화학식 5]로 나타내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며,
    상기 [화학식 2]∼[화학식 5]로 나타내는 기에 있어서의 R2는, 탄소수 1∼8의 알킬렌기이며,
    상기 [화학식 2]∼[화학식 5]로 나타내는 기에 있어서의 R3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상기 [화학식 4]로 나타내는 기에 있어서의 R4는, 탄소수 1∼8의 알킬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
    [화학식 1]
    Figure pct00071

    [화학식 2]
    Figure pct00072

    [화학식 3]
    Figure pct00073

    [화학식 4]
    Figure pct00074

    [화학식 5]
    Figure pct00075
    .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는, [화학식 6]∼[화학식 10]의 어느 하나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
    [화학식 6]
    Figure pct00076

    [화학식 7]
    Figure pct00077

    [화학식 8]
    Figure pct00078

    [화학식 9]
    Figure pct00079

    [화학식 10]
    Figure pct00080
    .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는, [화학식 11]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이며, 상기 [화학식 11]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 중에 있어서의 R는, 탄소수가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7∼10의 아랄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
    [화학식 11]
    Figure pct00081
    .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는 [화학식 12]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
    [화학식 12]
    Figure pct00082
    .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 차폐막 중에 있어서의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함유량은, 0.0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염화 비닐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라고 하는 수지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수지,
    또는, 상기 수지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수지의 혼합물,
    또는, 상기 수지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수지의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
  9.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이며, 가소제를 더욱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는, Cs0 .33 WO3, Rb0 .33WO3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는 분산 입자 지름 40㎚ 이하의 미립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
  12.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 차폐막은 자외선 흡수제를 더욱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
  14. 청구항 12 또는 13에 있어서,
    상기 열선 차폐막 중에 있어서의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율은 0.02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
  15. 청구항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 차폐막은, 다가 금속염을 더욱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다가 금속염은 비스(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막.
  17. 일반식 MyWOZ(단, M은, Cs, Rb, K, Tl, In, Ba, Li, Ca, Sr, Fe, Sn, Al, Cu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 0.1≤y≤0.5, 2.2≤z≤3.0)으로 나타내며, 또한 육방정의 결정 구조를 갖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선택 파장 흡수 재료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로서,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는, 파장 55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이며, 또한 파장 460㎚의 광 투과율이 90% 이상일 때의 파장 420㎚의 광 투과율은 40% 이하인 투과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벤조페논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인돌 화합물, 아조메틴 화합물, 벤조트리아조릴 화합물, 벤조일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는, [화학식 1]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이며,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에 있어서의 R1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직쇄 또는 분쇄의 모노 치환 아미노기, 직쇄 또는 분쇄의 디 치환 아미노기, 니트로기, 카르복실기, 알킬기의 탄소수가 각각 1∼8의 알킬카르보닐옥시알킬기, 알킬기의 탄소수의 합계가 2∼10의 알킬옥시카르보닐알킬기, 아릴기, 아실기, 술포기, 시아노기, [화학식 2]로 나타내는 기, [화학식 3]으로 나타내는 기, [화학식 4]로 나타내는 기, [화학식 5]로 나타내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며,
    상기 [화학식 2]∼[화학식 5]로 나타내는 기에 있어서의 R2는, 탄소수 1∼8의 알킬렌기이며,
    상기 [화학식 2]∼[화학식 5]로 나타내는 기에 있어서의 R3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상기 [화학식 4]로 나타내는 기에 있어서의 R4는, 탄소수 1∼8의 알킬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화학식 1]
    Figure pct00083

    [화학식 2]
    Figure pct00084

    [화학식 3]
    Figure pct00085

    [화학식 4]
    Figure pct00086

    [화학식 5]
    Figure pct00087
    .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는 [화학식 6]∼[화학식 10]의 어느 하나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화학식 6]
    Figure pct00088

    [화학식 7]
    Figure pct00089

    [화학식 8]
    Figure pct00090

    [화학식 9]
    Figure pct00091

    [화학식 10]
    Figure pct00092
    .
  21.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는 [화학식 11]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이며,
    상기 [화학식 11]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 중에 있어서의 R는, 탄소수가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7∼10의 아랄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화학식 11]
    Figure pct00093
    .
  22.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는 [화학식 12]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화학식 12]
    Figure pct00094
    .
  23. 청구항 17 내지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중에 있어서의 상기 선택 파장 흡수 재료의 함유량은, 0.0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24. 청구항 17 내지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염화 비닐 수지, 올레핀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불소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라고 하는 수지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수지,
    또는, 상기 수지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수지의 혼합물,
    또는, 상기 수지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수지의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25. 청구항 17 내지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는 Cs0 .33WO3, Rb0 .33WO3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26. 청구항 17 내지 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는 분산 입자 지름 40㎚ 이하의 미립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27. 청구항 17 내지 2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는 자외선 흡수제를 더욱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29. 청구항 27 또는 28에 있어서,
    상기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중에 있어서의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율은 0.02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30. 청구항 17 내지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는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은, 프타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이모늄 화합물, 디이모늄 화합물, 폴리메틴 화합물, 디페닐메탄 화합물, 트리페닐메탄 화합물, 퀴논 화합물, 아조 화합물, 펜타디엔 화합물, 아조메틴 화합물, 스쿠아릴리움 화합물, 유기 금속 착체, 시아닌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은 프타로시아닌 화합물, 디이모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33. 청구항 30 내지 3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중에 있어서의 상기 적외선 흡수성 유기 화합물의 함유량은 0.02질량% 이상 0.2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34. 청구항 17 내지 3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JIS K 7373로 산출되는 황색도(YI)는 -20.0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35. 청구항 17 내지 3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JIS K 7373로 산출되는 황색도(YI)는 -20.0 이상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36. 청구항 17 내지 3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JIS R 3106로 산출되는 가시광선 투과율은 70% 이상이며, 또한 일사 투과율은 3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37. 복수장의 투명기재 사이에, 청구항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선 차폐막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
  38. 청구항 37에 있어서,
    JIS K 7373로 산출되는 황색도(YI)가,-20.0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
  39. 청구항 37에 있어서,
    JIS K 7373로 산출되는 황색도(YI)가, -20.0 이상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
  40. 청구항 37 내지 3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재 중, 적어도 1장은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
  41. 청구항 17 내지 3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또는, 청구항 37 내지 4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는 창문재로서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42. 청구항 17 내지 3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또는, 청구항 37 내지 4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가 창문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물.
KR1020157031491A 2013-04-03 2014-04-02 열선 차폐막,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자동차 및 건조물 KR102213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77829 2013-04-03
JP2013077829 2013-04-03
JPPCT/JP2013/071907 2013-08-14
PCT/JP2013/071907 WO2014162619A1 (ja) 2013-04-03 2013-08-14 熱線遮蔽膜、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自動車および建造物
JP2014070175A JP6265003B2 (ja) 2014-03-28 2014-03-28 熱線遮蔽樹脂シート材および自動車、建造物
JP2014070176A JP6098831B2 (ja) 2013-04-03 2014-03-28 熱線遮蔽膜、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自動車および建造物
JPJP-P-2014-070176 2014-03-28
JPJP-P-2014-070175 2014-03-28
PCT/JP2014/059774 WO2014163119A1 (ja) 2013-04-03 2014-04-02 熱線遮蔽膜、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熱線遮蔽樹脂シート材、自動車および建造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347A true KR20150138347A (ko) 2015-12-09
KR102213882B1 KR102213882B1 (ko) 2021-02-08

Family

ID=52718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491A KR102213882B1 (ko) 2013-04-03 2014-04-02 열선 차폐막,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자동차 및 건조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868665B2 (ko)
EP (2) EP3034294B1 (ko)
KR (1) KR102213882B1 (ko)
CN (1) CN105307996B (ko)
TW (1) TWI602864B (ko)
WO (1) WO201416311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285A (ko) * 2017-05-25 2020-02-10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근적외선 차폐 초미립자 분산체, 근적외선 차폐 중간막, 근적외선 차폐 접합 구조체, 및 근적외선 차폐 초미립자 분산체의 제조 방법
KR20200026251A (ko) * 2017-07-04 2020-03-10 미쓰비시마테리알덴시카세이가부시키가이샤 열선 차폐 입자 분산액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9879B2 (ja) 2015-03-31 2020-02-1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TWI597333B (zh) * 2016-01-12 2017-09-01 Coating composition with thermal insulation and antifouling,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film and light-transmissive plate with heat-insulating and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JP6777401B2 (ja) * 2016-02-12 2020-10-28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JP6696562B2 (ja) * 2016-03-04 2020-05-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画像表示装置又は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
AU2017232747B2 (en) * 2016-03-16 2021-08-19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Near-infrared shielding material fine particl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near-infrared shielding material fine particle dispersion liquid
EP3431565A4 (en) * 2016-03-16 2019-08-07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DISPERSION OF MICROPARTICLES OF MATERIAL BLOCKING INFRARED RAYS CLOSED, BODIES BLOCKING THE INFRARED RAYS CLOSED AS WELL AS LAMINATE STRUCTURE FOR LOCKING OF INFRARED RAYS PROCH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10531555B1 (en) * 2016-03-22 2020-01-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Tungsten oxide thermal shield
ES2935514T3 (es) * 2016-11-23 2023-03-07 Ppg Ind Ohio Inc Transparencia protectora ultravioleta
CN116624808A (zh) 2017-02-23 2023-08-22 住友化学株式会社 灯罩
EP3627193A4 (en) 2017-05-19 2021-03-10 Mitsui Chemicals, Inc. LENS IN POLYCARBONATE RESIN AN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TWI657932B (zh) * 2018-04-13 2019-05-01 億高應用材料股份有限公司 複合式隔熱結構
JP7446848B2 (ja) * 2019-02-28 2024-03-11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層及び該光学層を含む積層体
US11359093B2 (en) 2019-04-01 2022-06-14 Microcosm Technology Co., Ltd. Polyimide film and flexible display device cover substrate using the same
TWI776038B (zh) * 2019-04-01 2022-09-01 律勝科技股份有限公司 聚醯亞胺薄膜及使用其的柔性顯示裝置覆蓋基板
TWI763236B (zh) * 2021-01-06 2022-05-0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紅外線反射材料、其製造方法及紅外線反射結構
CN117402514A (zh) * 2022-07-06 2024-01-16 上海沪正实业有限公司 有机-无机复合隔热介质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7437A (ja) 1985-06-04 1986-12-08 豊田合成株式会社 熱線反射樹脂ガラス
JPH02173060A (ja) 1988-12-26 1990-07-04 Teijin Chem Ltd 熱線遮断板状体
JPH04160041A (ja) 1990-10-24 1992-06-03 Hitachi Ltd 自動車用窓ガラス
JPH0578544A (ja) 1991-09-18 1993-03-30 Kuraray Co Ltd 熱線反射板状体
JPH08217500A (ja) 1995-02-14 1996-08-27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合わせガラス
JPH08259279A (ja) 1995-01-23 1996-10-08 Central Glass Co Ltd 合せ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97945A (ja) 1997-04-28 1998-11-10 Central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89202A (ja) 1999-05-17 2001-04-03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日射遮蔽合わせガラス
JP2003327717A (ja) 2002-05-13 2003-11-19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熱線遮蔽樹脂シート材及びその製造用添加液
JP2004037768A (ja) 2002-07-02 2004-02-05 Kenji Saito 紫外線・赤外線遮蔽体
WO2005087680A1 (ja) 2004-03-16 2005-09-22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日射遮蔽用合わせ構造体
JP2006219662A (ja) 2005-01-17 2006-08-24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熱線遮蔽樹脂シート材および熱線遮蔽樹脂シート材積層体、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建築構造体
JP2009062411A (ja) * 2007-09-04 2009-03-26 Bridgestone Corp 近赤外線遮蔽体、こ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並びにディスプレイ
KR20090046729A (ko) * 2007-11-06 2009-05-11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근적외선 흡수 점착체용 분산액, 근적외선 흡수 점착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근적외선 흡수 필터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100039866A (ko) * 2007-08-03 2010-04-16 솔루티아 인코포레이티드 안정화된 텅스텐 산화물 작용제를 포함하는 중간층
KR20100105628A (ko) * 2008-01-23 2010-09-29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JP2012041333A (ja) * 2010-07-21 2012-03-01 Shipro Kasei Kaisha Ltd ベンゾトリアゾール誘導体化合物
WO2013080859A1 (ja) 2011-12-02 2013-06-06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熱線遮蔽膜、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および、当該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が窓材として搭載されている自動車、および、当該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が窓材として使用されている建造物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2192B2 (ja) 1994-12-06 2003-01-07 味の素株式会社 検査方法及び検査薬
US7125607B2 (en) * 2004-03-16 2006-10-24 Solutia Incorporated Polymer sheets and methods of controlling adhesion of polymer sheets to glass
US8029891B2 (en) * 2005-05-31 2011-10-04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Nanoparticulate solar control concentrates
JP2007045636A (ja) * 2005-08-05 2007-02-22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EP2163921A4 (en) * 2007-06-08 2012-08-29 Bridgestone Corp PROTECTIVE NON-INFRARED PROTECTIVE MATERIAL, LAMINATE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FILTER FOR DISPLAY
CN102341233B (zh) * 2009-03-06 2015-09-02 株式会社普利司通 热射线屏蔽性层叠体及使用其的热射线屏蔽性夹层玻璃
JP5781735B2 (ja) * 2010-03-02 2015-09-2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熱線遮蔽複層ガラス
JP5416049B2 (ja) * 2010-07-21 2014-02-12 シプロ化成株式会社 ベンゾトリアゾール誘導体化合物
EP2674405B1 (en) * 2011-02-10 2018-01-10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US8709605B2 (en) * 2011-02-23 2014-04-29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es, and laminated glass
JP5344261B2 (ja) * 2011-04-14 2013-11-20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熱線遮蔽膜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
JP5305050B2 (ja) * 2011-04-14 2013-10-02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熱線遮蔽微粒子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熱線遮蔽微粒子含有組成物、当該熱線遮蔽微粒子含有組成物を用いた熱線遮蔽膜および当該熱線遮蔽膜を用いた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
US10654250B2 (en) * 2012-07-31 2020-05-19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laminated glass, and method of mounting laminated glass

Patent Citation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7437A (ja) 1985-06-04 1986-12-08 豊田合成株式会社 熱線反射樹脂ガラス
JPH02173060A (ja) 1988-12-26 1990-07-04 Teijin Chem Ltd 熱線遮断板状体
JPH04160041A (ja) 1990-10-24 1992-06-03 Hitachi Ltd 自動車用窓ガラス
JPH0578544A (ja) 1991-09-18 1993-03-30 Kuraray Co Ltd 熱線反射板状体
JPH08259279A (ja) 1995-01-23 1996-10-08 Central Glass Co Ltd 合せ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17500A (ja) 1995-02-14 1996-08-27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合わせガラス
JPH10297945A (ja) 1997-04-28 1998-11-10 Central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89202A (ja) 1999-05-17 2001-04-03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日射遮蔽合わせガラス
JP2003327717A (ja) 2002-05-13 2003-11-19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熱線遮蔽樹脂シート材及びその製造用添加液
JP2004037768A (ja) 2002-07-02 2004-02-05 Kenji Saito 紫外線・赤外線遮蔽体
WO2005087680A1 (ja) 2004-03-16 2005-09-22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日射遮蔽用合わせ構造体
JP2006219662A (ja) 2005-01-17 2006-08-24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熱線遮蔽樹脂シート材および熱線遮蔽樹脂シート材積層体、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建築構造体
KR20100039866A (ko) * 2007-08-03 2010-04-16 솔루티아 인코포레이티드 안정화된 텅스텐 산화물 작용제를 포함하는 중간층
JP2009062411A (ja) * 2007-09-04 2009-03-26 Bridgestone Corp 近赤外線遮蔽体、こ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並びにディスプレイ
KR20090046729A (ko) * 2007-11-06 2009-05-11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근적외선 흡수 점착체용 분산액, 근적외선 흡수 점착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근적외선 흡수 필터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100105628A (ko) * 2008-01-23 2010-09-29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JP2012041333A (ja) * 2010-07-21 2012-03-01 Shipro Kasei Kaisha Ltd ベンゾトリアゾール誘導体化合物
WO2013080859A1 (ja) 2011-12-02 2013-06-06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熱線遮蔽膜、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および、当該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が窓材として搭載されている自動車、および、当該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が窓材として使用されている建造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285A (ko) * 2017-05-25 2020-02-10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근적외선 차폐 초미립자 분산체, 근적외선 차폐 중간막, 근적외선 차폐 접합 구조체, 및 근적외선 차폐 초미립자 분산체의 제조 방법
KR20200026251A (ko) * 2017-07-04 2020-03-10 미쓰비시마테리알덴시카세이가부시키가이샤 열선 차폐 입자 분산액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82658B1 (en) 2021-06-23
KR102213882B1 (ko) 2021-02-08
CN105307996B (zh) 2021-02-26
TWI602864B (zh) 2017-10-21
CN105307996A (zh) 2016-02-03
EP3034294A1 (en) 2016-06-22
EP3034294B1 (en) 2023-01-04
US9868665B2 (en) 2018-01-16
US20160060160A1 (en) 2016-03-03
WO2014163119A1 (ja) 2014-10-09
US20180044228A1 (en) 2018-02-15
TW201502180A (zh) 2015-01-16
EP2982658A1 (en) 2016-02-10
EP2982658A4 (en)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3882B1 (ko) 열선 차폐막,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자동차 및 건조물
US11215742B2 (en) Heat-ray shielding film, heat-ray shielding transparent laminated base material, and automobile mounted with the heat-ray shielding transparent laminated base material as window material, and building using the heat-ray shielding transparent laminated base material as window material
JP6098831B2 (ja) 熱線遮蔽膜、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自動車および建造物
JP6265003B2 (ja) 熱線遮蔽樹脂シート材および自動車、建造物
KR101213864B1 (ko) 차창용 일사 차폐체 및 차량용 창
JP5305050B2 (ja) 熱線遮蔽微粒子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熱線遮蔽微粒子含有組成物、当該熱線遮蔽微粒子含有組成物を用いた熱線遮蔽膜および当該熱線遮蔽膜を用いた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
KR102109705B1 (ko) 열선 차폐용 적층 구조체
KR101877086B1 (ko) 열-선 차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열-선 차폐 적층 투명 기재
KR102142115B1 (ko) 열선 차폐 미립자 함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열선 차폐막, 및,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
JP6201152B2 (ja) 熱線遮蔽膜、熱線遮蔽透明基材、自動車および建造物
JP5975292B2 (ja) 熱線遮蔽膜および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
JP6103283B2 (ja) 熱線遮蔽膜製造用の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熱線遮蔽膜の製造方法および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の製造方法
JP5888053B2 (ja) 熱線遮蔽膜、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および、当該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が窓材として搭載されている自動車
JP5915500B2 (ja) 熱線遮蔽樹脂シート材および自動車
JP2013116977A (ja) 熱線遮蔽微粒子含有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熱線遮蔽膜、および、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