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5628A -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 Google Patents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5628A
KR20100105628A KR1020107013972A KR20107013972A KR20100105628A KR 20100105628 A KR20100105628 A KR 20100105628A KR 1020107013972 A KR1020107013972 A KR 1020107013972A KR 20107013972 A KR20107013972 A KR 20107013972A KR 20100105628 A KR20100105628 A KR 20100105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glass
interlayer film
indole compound
glass
genera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3799B1 (ko
Inventor
분고 핫타
히로후미 기타노
미노루 이나다
준 히카타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5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7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10Indoles; Hydrogenated indole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209/18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09/24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with an alkyl or cycloalkyl radical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14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particles for purposes other than dyeing
    • B32B17/10633Infrared radiation absorbing or reflec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7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UV absorbers or stabilizers, e.g. antioxid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88Adjustment of the adherence to the glass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15Five-membered rings
    • C08K5/3417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627Next to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627Next to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 Y10T428/3163Next to acetal of polymerized unsaturated alcohol [e.g., formal butyral,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645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645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649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42Of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42Of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 Y10T428/31946Next to second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dol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유지하면서, 380 ∼ 400 ㎚ 파장영역의 자외선 투과율을 저하시킬 수 있고, 내광성이 우수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와,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인돌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Figure pct00017

일반식 (1) 중, R1 은 탄소수가 1 ∼ 3 인 알킬기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탄소수가 1 ∼ 10 인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7 ∼ 10 인 아르알킬기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본 발명은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유지하면서, 380 ∼ 400 ㎚ 파장영역의 자외선 투과율을 저하시킬 수 있고, 내광성이 우수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관한 것이다.
합판 유리는 외부 충격을 받아 파손되어도 유리의 파편이 비산되는 경우가 적어 안전하다. 그 때문에, 합판 유리는 자동차 등의 차량, 항공기, 건축물 등의 창유리 등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합판 유리로서, 적어도 1 쌍의 유리 사이에, 예를 들어 가소제에 의해 가소화된 폴리비닐아세탈을 함유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개재시키고, 일체화시켜, 적층시킨 합판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합판 유리를 자동차 등의 차량, 항공기, 건축물 등의 창유리로서 사용하는 경우, 합판 유리는 자외선이 조사되는 환경 하에서 사용된다. 종래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자외선을 차폐할 목적으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함유되는 자외선 흡수제의 상당 수는 파장영역이 380 ㎚ 이하인 자외선만을 차폐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파장영역이 380 ∼ 400 ㎚ 인 자외선을 충분히 차폐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합성 수지와, 자외선 흡수제와, 380 ∼ 450 ㎚ 파장영역의 광선을 흡수하는 황색 염료를 함유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채광성을 유지하면서, 450 ㎚ 이하의 파장영역의 광선을 차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서는, 황색 염료를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은 전혀 검토되어 있지 않아,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은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얻을 수는 없었다. 또한,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실제로는 380 ∼ 400 ㎚ 파장영역의 자외선을 충분히 차폐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는, 유기계 광흡수제가 첨가된 합성 수지 원료로 이루어지는 중간막이 개시되어 있다. 유기계 광흡수제로서, 자외선 흡수제, 청색 광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적색 광흡수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 에 기재되어 있는 유기계 광흡수제는 380 ∼ 400 ㎚ 파장영역의 자외선을 충분히 차폐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0014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90923호
본 발명은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유지하면서, 380 ∼ 400 ㎚ 파장영역의 자외선 투과율을 저하시킬 수 있고, 내광성이 우수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와,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인돌 화합물을 함유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일반식 (1) 중, R1 은 탄소수가 1 ∼ 3 인 알킬기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탄소수가 1 ∼ 10 인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7 ∼ 10 인 아르알킬기를 나타낸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서술한다.
본 발명자들은 합판 유리용 중간막 중에 특정 구조를 갖는 인돌 화합물을 함유시킴으로써,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유지하면서, 380 ∼ 400 ㎚ 파장영역의 자외선 투과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인돌 화합물을 함유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합판 유리는 태양광의 조사 하에서 사용한 경우에, 자외선 투과율이 시간 경과에 수반하여 높아지거나 합판 유리의 색조가 변화하거나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일반식 (1) 에서의 R1 의 탄소수와 합판 유리의 내광성 사이에 상관 관계가 있어, R1 의 탄소수를 일정한 범위로 함으로써 높은 내광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인돌 화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인돌 화합물을 함유하기 때문에,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고, 380 ∼ 400 ㎚ 파장영역의 자외선 투과율이 낮다.
상기 일반식 (1) 에서, R1 은 탄소수가 1 ∼ 3 인 알킬기를 나타낸다. R1 로서,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n-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R1 은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1) 에서, R2 는 수소, 탄소수가 1 ∼ 10 인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7 ∼ 10 인 아르알킬기를 나타낸다. R2 는 탄소수가 1 ∼ 10 인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1 ∼ 8 인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가 1 ∼ 10 인 알킬기로서,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n-프로필기, 이소부틸기, n-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2-에틸헥실기, n-옥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소수가 7 ∼ 10 인 아르알킬기로서, 예를 들어 벤질기, 페닐에틸기, 페닐프로필기, 페닐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기는, 주사슬이 직사슬 구조를 갖는 알킬기이어도 되고, 주사슬이 분기 구조를 갖는 알킬기이어도 된다.
상기 일반식 (1) 의 R1 의 탄소수는 얻어지는 합판 유리의 내광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R1 의 탄소수가 작을수록, 얻어지는 합판 유리의 내광성이 우수하고, 탄소수가 1 인 경우에 합판 유리의 내광성이 가장 우수하다. R1 의 탄소수의 상한은 3 이다. R1 의 탄소수가 4 이상이면, 얻어지는 합판 유리를 태양광의 조사 하에서 사용한 경우에, 자외선 투과율이 시간 경과에 수반하여 높아지거나 합판 유리의 색조가 변화하거나 한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서의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인돌 화합물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되는데, 바람직한 하한은 0.030 중량%, 바람직한 상한은 0.145 중량% 이다.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인돌 화합물의 함유량이 0.030 ∼ 0.145 중량% 인 경우에는,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유지하면서, 380 ∼ 400 ㎚ 파장영역의 자외선 투과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두께가 760 ㎛ 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인돌 화합물을 0.030 ∼ 0.145 중량% 함유하는 경우에는, 특히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황원소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소제와 병용한 경우에, 유리에 대해 우수한 접착성을 발휘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얻어지기 때문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하여 얻어지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비닐부티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2 종 이상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병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40 몰%, 바람직한 상한은 85 몰% 이고,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60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75 몰%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수산기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15 몰%, 바람직한 상한은 35 몰% 이다. 수산기량이 15 몰% 미만이면, 합판 유리용 중간막과 유리의 접착성이 저하되거나, 얻어지는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이 저하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수산기량이 35 몰% 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지나치게 딱딱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통상적으로 폴리아세트산 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지고, 비누화도 80 ∼ 99.8 몰% 의 폴리비닐알코올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500, 바람직한 상한은 4000 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가 500 미만이면, 얻어지는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가 4000을 초과하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성형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00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600 이다.
상기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탄소수가 1 ∼ 10 인 알데히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1 ∼ 10 인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n-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의 알데히드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가소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 유기 인산 가소제, 유기 아인산 가소제 등의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액상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과,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부티르산, 헵틸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펠라르곤산 (n-노닐산), 데실산 등의 일염기성 유기산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글리콜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론산 에스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르산 에스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틸산 에스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실산 에스테르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디프산, 세바크산, 아젤라산 등의 다염기성 유기산과, 탄소수 4 ∼ 8 의 직사슬 또는 분기 구조를 갖는 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디부틸세바크산 에스테르, 디옥틸아젤라산 에스테르, 디부틸카르비톨아디프산 에스테르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아젤레이트,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1,2-부틸렌글리콜디-2-에틸렌부틸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펜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카프리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헵타노에이트, 아디프산 디헥실, 아디프산 디옥틸, 아디프산 헥실시클로헥실, 아디프산 디이소노닐, 아디프산 헵틸노닐, 세바크산 디부틸, 오일 변성 세바크산 알키드, 인산 에스테르와 아디프산 에스테르의 혼합물, 아디프산 에스테르, 탄소수 4 ∼ 9 의 알킬알코올 및 탄소수 4 ∼ 9 의 고리형 알코올로 제조된 혼합형 아디프산 에스테르, 아디프산 헥실 등의 탄소수 6 ∼ 8 의 아디프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인산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트리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 중에서도, 디헥실아디페이트 (DHA),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4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3GH),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4GH),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헵타노에이트 (4G7) 및 트리에틸렌글리콜디헵타노에이트 (3G7)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은 접착력 조정제로서 탄소수 5 또는 6 의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함유시킴으로써, 합판 유리용 중간막과 유리의 접착력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소제는 가수분해를 잘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3GH),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4GO), 디헥실아디페이트 (DHA) 인 것이 바람직하고,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4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특히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서의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이 30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이 70 중량부이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용융 점도가 높아져, 합판 유리 제조시의 탈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70 중량부를 초과하면, 합판 유리용 중간막으로부터 가소제가 분리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63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필요에 따라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접착력 조정제, 내습제, 청색 안료, 청색 염료, 녹색 안료, 녹색 염료, 형광증백제, 적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적외선 흡수제는 적외선을 차폐하는 성능을 가지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주석 도프 산화 인듐 미립자, 안티몬 도프 산화 주석 미립자, 아연 원소 이외의 원소가 도프된 산화 아연 미립자, 6 붕화 란탄 미립자, 안티몬산 아연 미립자 및 프탈로시아닌 구조를 갖는 적외선 흡수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이 0.001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이 5 중량부이다. 상기 적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0.001 중량부 미만이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적외선을 차폐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적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합판 유리의 투명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두께의 바람직한 하한은 0.1 ㎜, 바람직한 상한은 3 ㎜ 이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두께가 0.1 ㎜ 미만이면, 얻어지는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두께가 3 ㎜ 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투명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25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5 ㎜ 이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1 층의 수지층에 의해서만 형성된 단층 구조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어도 되고, 열가소성 수지와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인돌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돌 화합물 함유 수지층을 가지면, 2 이상의 수지층을 적층시킨 다층 구조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다층 구조체인 경우에는, 적어도 최외층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인돌 화합물과 상기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외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다층 구조체로서, 적어도 최외층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인돌 화합물과 상기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인 경우, 중간층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상기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층은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인돌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외층 및 중간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경우, 상기 중간층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상기 최외층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보다 수산기량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중간층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 수산기량이 15 ∼ 25 몰% 이고, 아세틸화도가 8 ∼ 15 몰% 이며, 부티랄화도가 60 ∼ 71 몰% 인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다층 구조체인 경우,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유지하면서, 380 ∼ 400 ㎚ 파장영역의 자외선 투과율을 저하시킬 수 있어, 우수한 내광성과 우수한 차음성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두께를 760 ㎛ 로 하고, 두께 2.5 ㎜ 의 클리어 유리 2 장 사이에 협지하여, JIS R 3106 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가시광선 투과율 Tv 가 6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선 투과율 Tv 가 60 % 미만이면,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합판 유리의 투명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 Tv 는 7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또한 8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 Tv 를 측정하는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분광 광도계 (히타치 제작소사 제조 「U-4000」)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380 ∼ 400 ㎚ 파장영역의 자외선 투과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380 ∼ 400 ㎚ 파장영역의 자외선 투과율은 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또한 0.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380 ∼ 400 ㎚ 파장영역의 자외선 투과율이란, 380 ㎚, 390 ㎚ 및 400 ㎚ 의 각 파장의 자외선 투과율을 측정하고, 각 파장의 자외선 투과율을 합계하여, 평균치를 산출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80 ∼ 400 ㎚ 파장영역의 자외선 투과율을 측정하는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분광 광도계 (히타치 제작소사 제조 「U-4000」)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가소제와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인돌 화합물을 혼합한 후, 필요에 따라 배합하는 첨가제를 첨가한 조성물과,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충분히 혼련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성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소제에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인돌 화합물을 용해시킨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 및 그 조성물과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혼련하는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소제에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인돌 화합물을 용해시킨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인돌 화합물을 용해시키기 위해서 조성물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혼련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압출기, 니더, 밴버리 믹서, 캘린더 롤 등을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연속적인 생산에 적절한 점에서, 압출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2 축 압출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상기 인돌 화합물을 함유함으로써,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유지하면서, 380 ∼ 400 ㎚ 파장영역의 자외선 투과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내광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나아가 고온 환경 하에서의 발포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도 있다.
가소제의 함유량이 비교적 많은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합판 유리는 80 ℃ ∼ 150 ℃ 의 고온 환경 하에서 보관하면, 발포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소제의 함유량이 비교적 많다는 것은 가소제의 함유량이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0 ∼ 70 중량부의 범위 내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수산기량이 적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가소제의 함유량이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도, 80 ℃ ∼ 150 ℃ 의 고온 환경 하에서 보관하면 발포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특히 가소제로서 수분 함유량이 많은 가소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발포되기 쉬운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단층 구조체일 때에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0 ∼ 70 중량부의 가소제를 함유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로서 수산기량이 적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한 경우, 혹은 가소제로서 수분 함유량이 많은 가소제를 사용한 경우에도, 고온 환경 하에서의 발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인돌 화합물을 함유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유리와 접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수산기량이 적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란, 수산기량이 25 몰% 이하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수산기량이 적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 수산기량이 15 ∼ 25 몰% 이고, 아세틸화도가 8 ∼ 15 몰% 이며, 부티랄화도가 60 ∼ 71 몰% 인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다층 구조체일 때에도, 최외층이 상기 인돌 화합물 함유 수지층인 것으로 인해, 고온 환경 하에서의 발포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이 50 중량부 이상인 중간층이, 가소제의 함유량이 35 ∼ 49 중량부인 2 층의 최외층 사이에 끼인 구조를 갖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 그 최외층에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인돌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80 ℃ ∼ 150 ℃ 의 고온 환경 하에서 보관해도 발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2 장의 유리 사이에 협지시키고, 적층시켜, 합판 유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합판 유리에 사용되는 유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투명 판유리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로트 판유리, 마판 (磨板) 유리, 형판유리, 철망 유리, 선판유리, 착색된 판유리, 열선 흡수 유리, 열선 반사 유리, 그린 유리 등의 무기 유리를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의 유기 플라스틱스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판유리로서, 2 종류 이상의 판유리를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투명 플로트 판유리와, 그린 유리와 같은 착색된 판유리 사이에,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협지한 합판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합판 유리는 자동차용 유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프론트 유리, 사이드 유리, 리어 유리, 루프 유리, 파노라마 유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판 유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제조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는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하기 때문에,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유지하면서, 380 ∼ 400 ㎚ 파장영역의 자외선 투과율이 충분히 낮다. 또한, 태양광의 조사 하에 있어도, 자외선 차폐 성능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되어, 색조의 변화도 미소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유지하면서, 380 ∼ 400 ㎚ 파장영역의 자외선 투과율을 저하시킬 수 있고, 내광성이 우수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인돌 화합물의 조제)
(1) 인돌 화합물 A 의 조제
메탄올 120 ㎖ 에 1-메틸-2-페닐-1H-인돌-3-카르보알데히드 23.5 g (0.10 ㏖), 및 시아노아세트산 메틸 11.9 g (0.12 ㏖) 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피페리딘 2.5 g (0.03 ㏖) 을 첨가하고, 환류 하 6 시간 반응시켜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석출된 결정을 얻었다. 얻어진 결정을 소량의 메탄올로 세정 후, 건조시켜, 상기 일반식 (1) 에서 R1 이 메틸기, R2 가 메틸기인 인돌 화합물 A 의 담황색 결정을 30.9 g 얻었다. 또한, 얻어진 인돌 화합물 A 의 융점은 193.7 ℃ 였다.
(2) 인돌 화합물 B 의 조제
메탄올 대신에 에탄올을 사용하고, 시아노아세트산 메틸 대신에 시아노아세트산 에틸 (0.12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인돌 화합물 A 의 조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기 일반식 (1) 에서 R1 이 에틸기, R2 가 메틸기인 인돌 화합물 B 의 담황색 결정을 28.9 g 얻었다. 또한, 얻어진 인돌 화합물 B 의 융점은 145 ℃ 였다.
(3) 인돌 화합물 C 의 조제
메탄올 대신에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사용하고, 시아노아세트산 메틸 대신에 시아노아세트산 이소프로필 (0.12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인돌 화합물 A 의 조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기 일반식 (1) 에서 R1 이 이소프로필기, R2 가 메틸기인 인돌 화합물 C 의 담황색 결정을 32.7 g 얻었다. 또한, 얻어진 인돌 화합물 C 의 융점은 170.1 ℃ 였다.
(4) 인돌 화합물 D 의 조제
메탄올 대신에 부탄올을 사용하고, 시아노아세트산 메틸 대신에 시아노아세트산 부틸 (0.12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인돌 화합물 A 의 조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기 일반식 (1) 에서 R1 이 부틸기, R2 가 메틸기인 인돌 화합물 D 의 담황색 결정을 33.7 g 얻었다. 또한, 얻어진 인돌 화합물 D 의 융점은 126 ℃ 였다.
(5) 인돌 화합물 E 의 조제
메탄올 대신에 펜탄올을 사용하고, 시아노아세트산 메틸 대신에 시아노아세트산 펜틸 (0.12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인돌 화합물 A 의 조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기 일반식 (1) 에서 R1 이 펜틸기, R2 가 메틸기인 인돌 화합물 E 의 담황색 결정을 35.0 g 얻었다.
(6) 인돌 화합물 F 의 조제
1-메틸-2-페닐-1H-인돌-3-카르보알데히드 대신에 2-페닐-1H-인돌-3-카르보알데히드 (0.10 ㏖)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인돌 화합물 A 의 조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기 일반식 (1) 에서 R1 이 메틸기, R2 가 수소인 인돌 화합물 F 의 담황색 결정을 28.4 g 얻었다.
(7) 인돌 화합물 G 의 조제
1-메틸-2-페닐-1H-인돌-3-카르보알데히드 대신에 1-에틸-2-페닐-1H-인돌-3-카르보알데히드 (0.10 ㏖)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인돌 화합물 A 의 조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기 일반식 (1) 에서 R1 이 메틸기, R2 가 에틸기인 인돌 화합물 G 의 담황색 결정을 31.1 g 얻었다.
(8) 인돌 화합물 H 의 조제
1-메틸-2-페닐-1H-인돌-3-카르보알데히드 대신에 1-부틸-2-페닐-1H-인돌-3-카르보알데히드 (0.10 ㏖)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인돌 화합물 A 의 조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기 일반식 (1) 에서 R1 이 메틸기, R2 가 부틸기인 인돌 화합물 H 의 담황색 결정을 33.7 g 얻었다.
(9) 인돌 화합물 I 의 조제
1-메틸-2-페닐-1H-인돌-3-카르보알데히드 대신에 1-(2-에틸-헥실)-2-페닐-1H-인돌-3-카르보알데히드 (0.10 ㏖)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인돌 화합물 A 의 조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기 일반식 (1) 에서 R1 이 메틸기, R2 가 -CH2-CH(C2H5)-C4H9 인 인돌 화합물 I 의 담황색 결정을 36.3 g 얻었다.
(10) 인돌 화합물 J 의 조제
1-메틸-2-페닐-1H-인돌-3-카르보알데히드 대신에 1-벤질-2-페닐-1H-인돌-3-카르보알데히드 (0.10 ㏖)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인돌 화합물 A 의 조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기 일반식 (1) 에서 R1 이 메틸기, R2 가 -CH2-Ph 인 인돌 화합물 J 의 담황색 결정을 36.9 g 얻었다.
(11) 인돌 화합물 K 의 조제
1-메틸-2-페닐-1H-인돌-3-카르보알데히드 대신에 2-페닐-1H-인돌-3-카르보알데히드 (0.10 ㏖)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인돌 화합물 D 의 조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기 일반식 (1) 에서 R1 이 부틸기, R2 가 수소인 인돌 화합물 K 의 담황색 결정을 32.4 g 얻었다.
(12) 인돌 화합물 L 의 조제
1-메틸-2-페닐-1H-인돌-3-카르보알데히드 대신에 1-에틸-2-페닐-1H-인돌-3-카르보알데히드 (0.10 ㏖)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인돌 화합물 D 의 조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기 일반식 (1) 에서 R1 이 부틸기, R2 가 에틸기인 인돌 화합물 L 의 담황색 결정을 35.0 g 얻었다.
(13) 인돌 화합물 M 의 조제
1-메틸-2-페닐-1H-인돌-3-카르보알데히드 대신에 1-부틸-2-페닐-1H-인돌-3-카르보알데히드 (0.10 ㏖)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인돌 화합물 D 의 조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기 일반식 (1) 에서 R1 이 부틸기, R2 가 부틸기인 인돌 화합물 M 의 담황색 결정을 37.6 g 얻었다.
(14) 인돌 화합물 N 의 조제
1-메틸-2-페닐-1H-인돌-3-카르보알데히드 대신에 1-(2-에틸-헥실)-2-페닐-1H-인돌-3-카르보알데히드 (0.10 ㏖)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인돌 화합물 D 의 조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기 일반식 (1) 에서 R1 이 부틸기, R2 가 -CH2-CH(C2H5)-C4H9 인 인돌 화합물 N 의 담황색 결정을 40.2 g 얻었다.
(15) 인돌 화합물 O 의 조제
1-메틸-2-페닐-1H-인돌-3-카르보알데히드 대신에 1-벤질-2-페닐-1H-인돌-3-카르보알데히드 (0.10 ㏖)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인돌 화합물 D 의 조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기 일반식 (1) 에서 R1 이 부틸기, R2 가 -CH2-Ph 인 인돌 화합물 O 의 담황색 결정을 40.8 g 얻었다.
(16) 인돌 화합물 P 의 조제
메탄올 대신에 톨루엔을 사용하고, 시아노아세트산 메틸 대신에 시아노아세트산 (0.12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인돌 화합물 A 의 조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기 일반식 (1) 에서 R1 이 수소, R2 가 메틸기인 인돌 화합물 P 의 담황색 결정을 29.1 g 얻었다. 또한, 얻어진 인돌 화합물 P 의 융점은 203.5 ℃ 였다.
(17) 인돌 화합물 Q 의 조제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200 ㎖ 에 인돌 화합물 P 의 화합물 30.0 g (0.10 ㏖), 및 무수 탄산칼륨 14.4 g 을 첨가하고, 이어서 2-브로모에탄올 25.6 g (0.20 ㏖) 을 첨가하여 혼합액을 얻었다. 얻어진 혼합액을 70 ℃ 에서 6 시간 반응시켜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물 1000 ㎖, 아세트산 에틸 500 ㎖ 를 첨가하고 유기층을 물 1000 ㎖ 로 3 회 세정하였다. 유기층에 헥산을 첨가하여 석출된 결정을 얻었다. 얻어진 결정을 건조시켜, 상기 일반식 (1) 에서 R1 이 -C2H4OH, R2 가 메틸기인 인돌 화합물 Q 의 담황색 결정을 19.1 g 얻었다. 또한, 얻어진 인돌 화합물 Q 의 융점은 145.6 ℃ 였다.
(18) 인돌 화합물 R 의 조제
메탄올 대신에 에탄올을 사용하고, 시아노아세트산 메틸 대신에 페닐아세토니트릴 (0.12 ㏖) 을 사용하고, 피페리딘 대신에 48 % 수산화 칼륨 수용액 (0.30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인돌 화합물 A 의 방법에 의해,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 R 의 담황색 결정을 29.9 g 얻었다. 또한, 얻어진 인돌 화합물 R 의 융점은 183.7 ℃ 였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19) 인돌 화합물 S 의 조제
메탄올 대신에 에탄올을 사용하고, 시아노아세트산 메틸 대신에 말로노니트릴 (0.12 ㏖) 을 사용하고, 피페리딘 대신에 트리에틸아민 (0.03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인돌 화합물 A 의 방법에 의해, 하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인돌 화합물 S 의 담황색 결정을 27.5 g 얻었다. 또한, 얻어진 인돌 화합물 S 의 융점은 203.2 ℃ 였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20) 인돌 화합물 T 의 조제
메탄올 대신에 2-에톡시에탄올을 사용하고, 시아노아세트산 메틸 대신에 시아노아세트산2-에톡시에틸 (0.12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인돌 화합물 A 의 조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기 일반식 (1) 에서 R1 이 -C2H4OC2H5, R2 가 메틸기인 인돌 화합물 T 의 담황색 결정을 31.75 g 얻었다. 또한, 얻어진 인돌 화합물 T 의 융점은 127.3 ℃ 였다.
조제한 인돌 화합물의 구조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또한, BONASORBUA3901 (오리엔트 화학 공업사 제조) 은 인돌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1)
(1)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40 중량부에,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p-크레졸 (BHT) 0.4 중량부와,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흡수제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TINUVIN 326」) 0.4 중량부와, 얻어진 인돌 화합물 A 0.048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기를 사용하여 80 ℃ 에서 30 분간 교반하여, 가소제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가소제 용액을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PVB:평균 중합도 1700, 부티랄화도 68.5 ㏖%, 수산기량 30.6 ㏖%, 아세틸기량 0.9 ㏖%) 100 중량부와 충분히 혼합하고, 2 축 이방 압출기를 사용하여, 막 두께가 760 ㎛ 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하였다. 이 때,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접착력 조정을 목적으로 하여, 아세트산 마그네슘 수용액을, 합판 유리용 중간막 중에서의 Mg 농도가 65 ppm 으로 되도록 첨가하였다.
(2) 합판 유리의 제조
얻어진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23 ℃, 상대 습도 28 % 의 항온 항습 조건에서 24 시간 유지한 후, 2 장의 투명한 플로트 유리 (세로 300 ㎜ × 가로 300 ㎜ × 두께 2.5 ㎜:클리어 유리) 사이에 협지하여, 적층체로 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230 ℃ 의 가열 롤을 사용하여 임시 압착시켰다. 임시 압착된 합판 유리를,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135 ℃, 압력 1.2 MPa 의 조건에서 20 분간 압착하여, 합판 유리를 제조하였다. 동일하게 하여, 세로 500 ㎜ × 가로 500 ㎜ × 두께 2.5 ㎜ (클리어 유리) 의 플로트 유리를 사용하여 합판 유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27, 비교예 1 ∼ 15)
표 2 ∼ 6 의 조성으로 되도록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를 제조하였다. 단, 실시예 4, 8 및 12 는 적외선 흡수제로서 주석 도프 산화 인듐 미립자 (ITO) (체적 평균 입자직경 35 ㎚) 0.28 중량부를 가소제 용액에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를 제조하였다.
(평가)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합판 유리에 대해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 6 에 나타내었다.
(1) 투과율 평가
분광 광도계 (히타치 제작소사 제조 「U-4000」) 를 사용하고, JIS R 3106 (1998) 에 준거하여, 얻어진 합판 유리 (세로 300 ㎜ × 가로 300 ㎜) 의 가시광선 투과율 Tv 를 구하였다. 또한, 얻어진 합판 유리의 300 ∼ 2500 ㎚ 의 파장영역에서의 일사 투과율 Ts 를 구하였다.
그리고, 분광 광도계 (히타치 제작소사 제조 「U-4000」) 를 사용하여, 380 ㎚, 390 ㎚, 및 400 ㎚ 의 각 파장에서의 합판 유리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투과율의 평균치 T (380 - 400 ㎚) 를 산출하였다. 또한, 투과율의 평균치 T (380 - 400 ㎚) 는 후술하는 (2) 내광 시험 전후의 합판 유리에 대해 측정함으로써 산출하였다.
(2) 내광 시험
얻어진 합판 유리에, JIS R 3205 (1998) 에 준거하여, 자외선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2000 시간 조사하고, 자외선 조사 전후에서의 색조 변화를 색 차 ΔE 로 평가하였다.
(3) 해충의 유인 방지 평가
얻어진 합판 유리 (세로 500 ㎜ × 가로 500 ㎜) 의 편면의 유리 표면에 투명 점착제를 도포하였다. 투명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유리측에 할로겐 램프를 설치하고, 백색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옥외 (세키스이 화학 공업 시가 미즈구치 공장 내:2008년 8월) 에 1 시간 (20 시 ∼ 21 시) 방치하였다. 방치 후에 투명 점착제에 부착된 우충(羽蟲)의 수를 세었다.
(4) 내관통성 평가
얻어진 합판 유리 (세로 300 ㎜ × 가로 300 ㎜) 를, 그 표면 온도가 23 ℃ 로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어서, JIS R 3212 에 준거하여, 4 m 의 높이로부터, 합판 유리에 대해, 질량 2260 g, 직경 82 ㎜ 의 강구 (剛球) 를 합판 유리의 중심 부분에 낙하시켰다. 동일한 평가를 6 장의 합판 유리에 대해 실시하고, 6 장의 합판 유리 전부에 대해, 강구가 충돌한 후 5 초 이내에 강구가 관통하지 않은 경우를 합격으로 하였다. 강구가 충돌한 후 5 초 이내에 강구가 관통하지 않은 합판 유리가 3 장 이하인 경우에는 불합격으로 하였다. 강구가 충돌한 후 5 초 이내에 강구가 관통하지 않은 합판 유리가 4 장인 경우에는, 새롭게 6 장의 합판 유리에 대해 다시 내관통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강구가 충돌한 후 5 초 이내에 강구가 관통하지 않은 합판 유리가 5 장인 경우에는, 새롭게 1 장의 합판 유리를 추가 시험하여, 강구가 충돌한 후 5 초 이내에 강구가 관통하지 않은 경우를 합격으로 하였다.
동일한 내관통성 평가를 낙하 높이를 5 m 및 6 m 로 바꾸어 실시하였다.
(5) 내열 시험
얻어진 합판 유리 (세로 300 ㎜ × 가로 300 ㎜) 를, 100 ℃ 의 항온조에, 연직 상태에서 1 개월간 유지하였다. 1 개월간 유지 전후에 있어서의 색조 변화를 색차 ΔE 로 평가하였다.
또한, 1 개월간 유지 후의 합판 유리에 발생한 발포의 수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발포의 개수는 발포의 장변 길이가 5 ㎜ 미만인 발포, 5 ㎜ 이상 10 ㎜ 미만인 발포, 10 ㎜ 이상인 발포의 3 종으로 분류하여 세었다.
(6) 석출물의 관측
제조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으로부터 세로 300 ㎜ × 가로 300 ㎜ 의 샘플을 채취하여, 알루미늄 봉투로 감쌌다. 이것을, 5 ℃ 의 항온 조건에서, 1 개월간 보관하였다. 그 후,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고형 성분의 석출물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또한, 석출물은 인돌 화합물 혹은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흡수제의 어느 쪽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실시예 28)
(1)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가소제로서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4GO) 63 중량부에,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p-크레졸 0.4 중량부와,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흡수제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TINUVIN 326」) 0.4 중량부와, 얻어진 인돌 화합물 A 0.14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기를 사용하여 80 ℃ 에서 30 분간 교반하여, 가소제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가소제 용액을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PVB:평균 중합도 1700, 부티랄화도 68.5 ㏖%, 수산기량 30.6 ㏖%, 아세틸기량 0.9 ㏖%) 100 중량부와 충분히 혼합하고, 2 축 이방 압출기를 사용하여, 막 두께가 760 ㎛ 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하였다. 이 때,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접착력 조정을 목적으로 하여, 아세트산 마그네슘 수용액을, 합판 유리용 중간막 중에서의 Mg 농도가 65 ppm 으로 되도록 첨가하였다.
얻어진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합판 유리를 제조하여,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7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9 ∼ 51, 비교예 16 ∼ 18)
표 7 및 표 8 에 나타낸 조성으로 되도록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합판 유리를 제조하고,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실시예 52)
(1) 수지 조성물 A 의 제조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40 중량부에,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p-크레졸 0.4 중량부와,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흡수제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TINUVIN 326」) 0.4 중량부와, 얻어진 인돌 화합물 A 0.14 중량부와, 주석 도프 산화 인듐 미립자 (ITO) (체적 평균 입자직경 35 ㎚) 0.28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기를 사용하여 80 ℃ 에서 30 분간 교반하여, 가소제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가소제 용액을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PVB:평균 중합도 1700, 부티랄화도 68.5 ㏖%, 수산기량 30.6 ㏖%, 아세틸기량 0.9 ㏖%) 100 중량부와 충분히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 A 를 제조하였다. 이 때, 아세트산 마그네슘 수용액을, 수지 조성물 A 중에서의 Mg 농도가 65 ppm 으로 되도록 첨가하였다.
(2) 수지 조성물 B 의 제조
(수지층 B)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60 중량부에,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p-크레졸 0.4 중량부와,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흡수제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TINUVIN 326」) 0.4 중량부와, 얻어진 인돌 화합물 A 0.14 중량부와, 주석 도프 산화 인듐 미립자 (ITO) (체적 평균 입자직경 35 ㎚) 0.28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기를 사용하여 80 ℃ 에서 30 분간 교반하여, 가소제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가소제 용액을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PVB:평균 중합도 2450, 부티랄화도 65.5 ㏖%, 수산기량 20.1 ㏖%, 아세틸기량 13.4 ㏖%) 100 중량부와 충분히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 B 를 제조하였다.
(3)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상기 수지 조성물 A 및 상기 수지 조성물 B 를 공압출하고, 수지층 A (두께 330 ㎛) 와, 수지층 B (두께 100 ㎛) 와, 수지층 A (두께 330 ㎛) 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3 층 구조를 갖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합판 유리를 제조하여,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9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3 ∼ 67, 비교예 19)
표 9 및 표 10 의 조성으로 되도록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합판 유리를 제조하고,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9 및 표 10 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실시예 68)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49 중량부에,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p-크레졸 (BHT) 0.4 중량부와,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흡수제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TINUVIN 326」) 0.4 중량부와, 얻어진 인돌 화합물 A 0.14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기를 사용하여 80 ℃ 에서 30 분간 교반하여, 가소제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가소제 용액을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PVB:평균 중합도 2450, 부티랄화도 65.5 ㏖%, 수산기량 20.1 ㏖%, 아세틸기량 13.4 ㏖%) 100 중량부와 충분히 혼합하고, 2 축 이방 압출기를 사용하여, 막 두께가 760 ㎛ 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하였다. 이 때, 아세트산 마그네슘 수용액을, 합판 유리용 중간막 중에서의 Mg 농도가 65 ppm 으로 되도록 첨가하였다.
얻어진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합판 유리를 제조하여,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1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9 ∼ 91, 비교예 20 ∼ 22)
표 11 및 표 12 의 조성으로 되도록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합판 유리를 제조하여,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1 및 표 12 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유지하면서, 380 ∼ 400 ㎚ 파장영역의 자외선 투과율을 저하시킬 수 있고, 내광성이 우수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열가소성 수지와,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인돌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화학식 1]
    Figure pct00016

    일반식 (1) 중, R1 은 탄소수가 1 ∼ 3 인 알킬기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탄소수가 1 ∼ 10 인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7 ∼ 10 인 아르알킬기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인돌 화합물은 R1 이 메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인돌 화합물의 함유량이 0.030 ∼ 0.14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5. 제 2 항에 있어서,
    가소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적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8. 제 7 항에 있어서,
    적외선 흡수제는 주석 도프 산화 인듐 미립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9.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와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인돌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돌 화합물 함유 수지층을 포함하는, 2 이상의 수지층을 적층시킨 다층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10. 제 9 항에 있어서,
    적어도 최외층이 인돌 화합물 함유 수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KR1020107013972A 2008-01-23 2009-01-22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KR101603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12819 2008-01-23
JPJP-P-2008-012819 2008-01-23
JP2008228027 2008-09-05
JPJP-P-2008-228027 2008-09-0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290A Division KR20150125727A (ko) 2008-01-23 2009-01-22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628A true KR20100105628A (ko) 2010-09-29
KR101603799B1 KR101603799B1 (ko) 2016-03-16

Family

ID=409011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290A KR20150125727A (ko) 2008-01-23 2009-01-22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KR1020107013972A KR101603799B1 (ko) 2008-01-23 2009-01-22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290A KR20150125727A (ko) 2008-01-23 2009-01-22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361625B2 (ko)
EP (1) EP2248779B1 (ko)
JP (1) JP5588169B2 (ko)
KR (2) KR20150125727A (ko)
CN (1) CN101910084B (ko)
AU (1) AU2009207014B2 (ko)
BR (1) BRPI0907441B1 (ko)
CA (1) CA2708523C (ko)
MX (1) MX2010007972A (ko)
RU (1) RU2515929C2 (ko)
WO (1) WO20090936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347A (ko) * 2013-04-03 2015-12-09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열선 차폐막,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자동차 및 건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09413A1 (en) * 2009-08-24 2016-04-20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WO2011040444A1 (ja) * 2009-09-29 2011-04-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EP2980035B1 (en) * 2009-12-25 2021-02-10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4789024B2 (ja) 2009-12-25 2011-10-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用多層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9435913B2 (en) 2010-08-20 2016-09-06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5650963B2 (ja) * 2010-09-13 2015-01-07 タレックス光学工業株式会社 保護眼鏡用遮光レンズ
EP3299349A1 (en) * 2010-09-30 2018-03-28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US8753747B2 (en) * 2010-12-28 2014-06-17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EP2674406B1 (en) * 2011-02-10 2020-08-19 Sekisui Chemical Co., Ltd. Laminated glass intermediate film and laminated glass
US8709605B2 (en) 2011-02-23 2014-04-29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es, and laminated glass
JP5717522B2 (ja) * 2011-04-19 2015-05-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多層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2154663A1 (en) * 2011-05-06 2012-11-15 Pittsburgh Glass Works, Llc Switchable automotive glazing
JP2013054275A (ja) * 2011-09-06 2013-03-21 Nikon-Essilor Co Ltd 染色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654250B2 (en) 2012-07-31 2020-05-19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laminated glass, and method of mounting laminated glass
CN109049894A (zh) * 2012-09-28 2018-12-21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WO2014162619A1 (ja) * 2013-04-03 2014-10-09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熱線遮蔽膜、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自動車および建造物
KR102338561B1 (ko) 2014-02-20 2021-12-14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RU2647713C1 (ru) * 2014-02-20 2018-03-19 Секисуй Кемикал Ко., Лтд. Промежуточная пленка для ламинированного стекла и ламинированное стекло
WO2015152334A1 (ja) * 2014-04-03 2015-10-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層間充填材料及び積層体
CN104086928B (zh) * 2014-07-04 2016-09-07 苏州珀力玛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智能调光玻璃用的组合物
CN104062776B (zh) * 2014-07-04 2017-02-15 苏州珀力玛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智能中空调光玻璃及其制备方法
WO2016052672A1 (ja) * 2014-09-30 2016-04-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BR112017016616B1 (pt) 2015-02-05 2022-05-24 Sekisui Chemical Co., Ltd Película de intercamada para vidro laminado, e vidro laminado
JP2015147729A (ja) * 2015-03-17 2015-08-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用多層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7159969A1 (ko) * 2016-03-18 2017-09-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EP3455207A4 (en) * 2016-05-12 2019-10-09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INDOL AND INDAZOCYANOCINNAMATE COMPOUND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KR101718780B1 (ko) * 2016-06-24 2017-03-24 현대안전유리공업(주) 접합유리 제조방법
WO2018122768A1 (en) * 2016-12-30 2018-07-05 Agp America S.A. Automotive laminated glazing with enhanced spectral properties using narrow band absorption dyes
KR102446085B1 (ko) 2017-03-31 2022-09-23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막 및 유리판 함유 적층체
JP6782215B2 (ja) * 2017-10-18 2020-11-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ラズマダイシング用マスク材、マスク一体型表面保護テープおよび半導体チップの製造方法
JP2019077582A (ja) * 2017-10-24 2019-05-23 株式会社クラレ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WO2019131544A1 (ja) * 2017-12-25 2019-07-04 三井化学株式会社 インドール系化合物、当該化合物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JPWO2019240015A1 (ja) * 2018-06-15 2021-04-08 三井化学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用組成物
KR102113537B1 (ko) * 2019-01-28 2020-05-2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발광 소자용 자외선 흡수 봉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JPWO2020189780A1 (ko) * 2019-03-20 2020-09-24
KR20210145144A (ko) 2019-03-20 2021-12-01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필름, 및 접합 유리
CN110498619A (zh) * 2019-09-27 2019-11-26 张柳松 一种具有中间夹层的玻璃玉瓷画的制作方法
CN112939842A (zh) * 2021-02-03 2021-06-11 畅的新材料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氰基丙烯酸酯类紫外蓝光吸收剂的合成及其应用
EP4186694A1 (en) * 2021-11-29 2023-05-31 Kuraray Europe GmbH Interlayer films with uv protection for laminated safety glas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6091B2 (ja) * 1990-09-25 1999-01-13 オリヱント化学工業株式会社 インドール系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JP3284714B2 (ja) * 1993-12-15 2002-05-20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8259708A (ja) * 1995-03-27 1996-10-08 Showa Techno Kooto Kk 支持体積層用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8287715A (ja) 1995-04-18 1996-11-01 Sumitomo Bakelite Co Ltd 紫外線遮光フィルム
JP2000007873A (ja) * 1998-06-18 2000-01-11 Mitsubishi Rayon Co Ltd 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
JP2000300149A (ja) * 1999-02-18 2000-10-31 Tosoh Corp 防虫合わせガラス
TW574161B (en) * 2000-03-02 2004-02-01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2002097041A (ja) * 2000-07-17 2002-04-02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AU2002356116B2 (en) * 2001-07-26 2007-05-17 Sekisui Chemical Co., Ltd. Laminated glass-use intermediate film and laminated glass
JP2003252657A (ja) * 2002-02-27 2003-09-10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04227843A (ja) 2003-01-21 2004-08-12 Mitsubishi Rayon Co Ltd 色素増感型太陽電池保護用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
BR122014016215B1 (pt) * 2003-12-26 2016-07-26 Sekisui Chemical Co Ltd filme intercamadas para vidro laminado e vidro laminado
JP2005194128A (ja) * 2004-01-06 2005-07-21 Nippon Sheet Glass Co Ltd 紫外線吸収性合わせ構造体
JP2007290923A (ja) 2006-04-26 2007-11-08 Nippon Sheet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347A (ko) * 2013-04-03 2015-12-09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열선 차폐막, 열선 차폐 적층 투명기재,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자동차 및 건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88169B2 (ja) 2014-09-10
BRPI0907441A2 (pt) 2015-07-14
AU2009207014A1 (en) 2009-07-30
CN101910084B (zh) 2012-07-18
RU2515929C2 (ru) 2014-05-20
AU2009207014B2 (en) 2013-10-31
EP2248779A4 (en) 2011-04-27
CA2708523A1 (en) 2009-07-30
AU2009207014A2 (en) 2010-08-19
EP2248779B1 (en) 2016-08-31
RU2010134883A (ru) 2012-02-27
CA2708523C (en) 2016-03-08
JPWO2009093655A1 (ja) 2011-05-26
WO2009093655A1 (ja) 2009-07-30
KR20150125727A (ko) 2015-11-09
EP2248779A1 (en) 2010-11-10
BRPI0907441B1 (pt) 2020-02-04
CN101910084A (zh) 2010-12-08
US20100279150A1 (en) 2010-11-04
KR101603799B1 (ko) 2016-03-16
MX2010007972A (es) 2010-09-30
US8361625B2 (en) 201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5628A (ko)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JP5913102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CN103391907B (zh)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US8709605B2 (en)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es, and laminated glass
US20120162752A1 (en)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7021082B2 (ja) 合わせガラス
CN103889917A (zh)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CN103261113A (zh)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JP2012206877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200016824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JP6943849B2 (ja) 合わせガラス
JP7084303B2 (ja) 合わせガラス
WO2016159027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2131659A (ja) 合わせガラス及び合わせガラスの取り付け方法
WO2017057498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4960898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9065837A1 (ja) 合わせガラス
JP2011132122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2009203152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