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469A - 차량에 있어서의 차륜 속도 센서의 보호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에 있어서의 차륜 속도 센서의 보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469A
KR20150135469A KR1020157030671A KR20157030671A KR20150135469A KR 20150135469 A KR20150135469 A KR 20150135469A KR 1020157030671 A KR1020157030671 A KR 1020157030671A KR 20157030671 A KR20157030671 A KR 20157030671A KR 20150135469 A KR20150135469 A KR 20150135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peed
speed sensor
portions
puls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9278B1 (ko
Inventor
신이치로 가토
스미타카 오가와
히데오 다카하시
아야코 하타이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5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9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speed sens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62J45/412Speed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2Housings
    • G01P1/026Housings for speed measuring devices, e.g. pulse generator
    • B62J2099/0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차륜과 동시에 회전하는 펄스 링과, 상기 펄스 링에 근접하는 검출부를 갖는 차륜 속도 센서와, 상기 차륜 속도 센서를 고정하는 브래킷을 갖는 차량에 있어서, 차륜 속도 센서(26)의 검출부(26a)를 둘러싸는 통형의 보호벽(35)이, 상기 보호벽(35)의 펄스 링(24)측의 단부를 검출부(26a)보다 펄스 링(24)에 근접시켜 브래킷(23)에 마련된다. 이에 의해, 특별한 부품을 추가하는 일없이 차륜 속도 센서를 보호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차량에 있어서의 차륜 속도 센서의 보호 구조{VEHICLE WHEEL SPEED SENSOR PROT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차륜과 동시에 회전하는 펄스 링과, 상기 펄스 링에 근접하는 검출부를 갖는 차륜 속도 센서와, 상기 차륜 속도 센서를 고정하는 브래킷을 갖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륜 속도 센서의 보호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후륜의 차륜 속도를 검출하는 차륜 속도 센서를, 흙이나 먼지 등 이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전동 케이스에 프로텍터판이 부착되도록 한 것이, 특허문헌 1에서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05633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서 개시된 것에서는, 차량의 주요 구성 부품과는 별도로 프로텍터판을 추가할 필요가 있어, 비용 및 중량의 증가가 걱정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특별한 부품을 추가하는 일없이 차륜 속도 센서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차량에 있어서의 차륜 속도 센서의 보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펄스 링과, 상기 펄스 링에 근접하는 검출부를 갖는 차륜 속도 센서와, 상기 차륜 속도 센서를 고정하는 브래킷을 갖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를 둘러싸는 통형의 보호벽이, 상기 보호벽의 상기 펄스 링측의 단부를 상기 차륜 속도 센서의 상기 검출부보다 상기 펄스 링에 근접시켜 상기 브래킷에 마련되는 것을 제1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보호벽의 상기 펄스 링측의 단부에, 측방으로 개구한 개구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제2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2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개구 오목부가, 상기 펄스 링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것을 제3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2 또는 제3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개구 오목부가, 차량 후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것을 제4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2∼제4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개구 오목부는, 상기 펄스 링에 근접, 대향하는 대향부를 가지고, 상기 대향부 및 상기 펄스 링 사이의 거리가, 상기 검출부 및 상기 펄스 링 사이의 거리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제5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2∼제5 특징의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더하여, 상기 개구 오목부는, 상기 대향부가 단차형이 되도록 하여 상기 보호벽의 둘레 방향 일방을 향함에 따라 상기 대향부로부터 계단형으로 깊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제6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제6 특징의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더하여, 상기 차륜에 부착되는 브레이크 디스크와 함께 디스크 브레이크를 구성하는 캘리퍼가, 상기 차륜의 후방에 배치되는 차체 구조물 및 상기 차륜 속도 센서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브래킷에 지지되는 것을 제7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제6 특징의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더하여, 상기 차륜에 부착되는 브레이크 디스크와 함께 디스크 브레이크를 구성하는 캘리퍼가, 상기 차륜의 상방 및 전방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는 차체 구조물 및 상기 차륜 속도 센서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브래킷에 지지되는 것을 제8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차륜 속도 센서를 고정하는 브래킷에 마련되는 통형의 보호벽으로 검출부가 둘러싸이고, 그 보호벽의 펄스 링측의 단부가 검출부보다 펄스 링에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브래킷 이외의 특별한 부품을 추가하는 일없이 차륜 속도 센서의 검출부를 보호할 수 있어, 비용 및 중량의 증가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보호벽의 펄스 링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측방으로 개구한 개구 오목부에 의해, 검출부 및 펄스 링 사이에 들어간 이물을 밖으로 제거할 수 있어, 개구 오목부에 게이지를 삽입함으로써 검출부 및 펄스 링 사이의 갭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개구 오목부가 펄스 링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검출부 및 펄스 링 사이에 들어간 이물을, 펄스 링이 회전함으로써 생기는 원심력으로 밖으로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르면, 개구 오목부가 차량 후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 전방으로부터의 비석이 개구 오목부로부터 보호벽 내로 들어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르면, 개구 오목부의 펄스 링에 근접, 대향하는 대향부 및 펄스 링 사이의 거리가 검출부 및 펄스 링 사이의 거리 이상이기 때문에, 보호벽의 측방으로부터 개구 오목부를 통해 검출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르면, 개구 오목부가, 단차형의 대향부를 가지면서 보호벽의 둘레 방향 일방을 향함에 따라 대향부로부터 계단형으로 깊어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대향부 및 상기 펄스 링 사이의 거리가 상기 검출부 및 상기 펄스 링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였다고 해도, 보호벽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대향부의 일단에 각부가 형성되고, 그 각부로부터 상기 검출부가 보호벽의 둘레 방향으로 돌출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검출부 및 상기 펄스 링 사이의 거리를 정확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따르면, 디스크 브레이크의 캘리퍼가, 차륜의 후방에 배치되는 차체 구조물 및 차륜 속도 센서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차체 구조물에 부딪친 비석이 차륜 속도 센서에 맞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8 특징에 따르면, 디스크 브레이크의 캘리퍼가, 차륜의 상방 및 전방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는 차체 구조물 및 차륜 속도 센서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차체 구조물에 부딪친 비석이 차륜 속도 센서에 맞기 어려워진다.
도 1은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2는 도 1의 화살표(2)부의 확대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3은 도 2의 3-3선의 단면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4는 도 3의 4-4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제1 실시형태)
도 5는 도 1의 화살표(5)부의 확대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6은 도 5의 6-6선의 단면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7은 도 6의 7-7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제1 실시형태)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도 3에 대응한 단면도이다.(제2 실시형태)
도 9는 도 8의 9-9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전후, 좌우 및 상하는, 자동 이륜차에 승차한 탑승자로부터 본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우선 도 1에 있어서, 안장형 차량인 자동 이륜차의 차체 프레임(F)은, 전방 차륜(WF)의 차축(10)을 축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11) 및 조향 핸들(12)을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13)와, 상기 헤드 파이프(13)로부터 후방 하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메인 프레임(14…)과, 이들 메인 프레임(14…)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각 메인 프레임(14…)과 일체로 형성되는 피봇 프레임(15…)과, 상기 메인 프레임(14…)의 후단에 연결되어 후방 상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시트 프레임(16…)을 구비한다.
상기 차체 프레임(F)의 피봇 프레임(15…)에는, 후방 차륜(WR)의 차축(17)을 후단부에서 축 지지하는 스윙 아암(18)의 전단부가 지지축(19)을 통해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후방 차륜(WR)을 구동하는 동력을 발휘하는 엔진(E)이, 상기 메인 프레임(14…)의 하방 또한 상기 피봇 프레임(15…)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차체 프레임(F)에 탑재된다.
또한 상기 엔진(E)의 상방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20)가 상기 메인 프레임(14…)에 지지되고, 이 연료 탱크(20)의 후방에 배치되는 승차용 시트(21)가 상기 시트 프레임(16…)에 지지된다.
도 2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포크(11)의 하부에는, 상기 전방 차륜(WF)의 차축(10)과의 상대 위치가 일정한 브래킷(23)이 마련되어 있고, 이 브래킷(23)에는, 전방 차륜(WF)과 함께 회전하는 펄스 링(24)의 내주부에 등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25, 25…)을 검출함으로써 전방 차륜(WF)의 차륜 속도를 얻도록 한 차륜 속도 센서(26)가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 전방 차륜(WF)은, 디스크 브레이크(30)로 제동되는 것이며, 상기 전방 차륜(WF)에 부착되는 브레이크 디스크(31)와 함께 디스크 브레이크(30)를 구성하는 캘리퍼(32)가, 상기 브래킷(23)에 지지된다. 더구나 상기 펄스 링(24)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31)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31)에 복수의 볼트(33, 33…)로 부착된다.
또한 상기 캘리퍼(32)는, 상기 전방 차륜(WF)의 후방에 배치되는 차체 구조물인 차체 커버(34)와, 상기 차륜 속도 센서(26)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브래킷(23)에 지지된다.
도 3 및 도 4를 아울러 참조하여, 상기 차륜 속도 센서(26)는, 그 검출부(26a)를 상기 펄스 링(24)에 근접, 대향시키도록 하여 한쌍의 볼트(28, 28)로 상기 브래킷(23)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23)에는 상기 검출부(26a)를 둘러싸는 통형의 보호벽(35)이 마련된다.
즉 상기 브래킷(23)에는, 상기 펄스 링(24)에 대향하도록 개구하는 삽입 구멍(36)이 마련되며 그 삽입 구멍(36)의 일부를 형성하는 통형의 보호벽(35)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차륜 속도 센서(26)가 구비하는 플랜지(27)가 한쌍의 볼트(28, 28)로 상기 브래킷(23)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차륜 속도 센서(26)가 구비하는 상기 검출부(26a)는, 그 선단을 상기 펄스 링(24)에 근접, 대향시키도록 하여 상기 삽입 구멍(36)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보호벽(35)은, 그 보호벽(35)의 상기 펄스 링(24)측의 단부를 상기 검출부(26a)보다 상기 펄스 링(24)에 근접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차륜 속도 센서(26)가 브래킷(23)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펄스 링(24) 및 상기 보호벽(35)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검출부(26a) 및 상기 펄스 링(24) 사이의 거리(L2)보다 작다.
상기 보호벽(35)의 상기 펄스 링(24)측의 단부에는, 측방으로 개구한 개구 오목부(37)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 오목부(37)는, 상기 펄스 링(24)의 반경 방향 외측 또한 차량 후방을 향하여 개구된다.
또한 상기 개구 오목부(37)는, 상기 펄스 링(24)에 근접, 대향하는 대향부(37a)가 단차형이 되도록 하여 상기 보호벽(35)의 둘레 방향 일방[도 4의 화살표(38)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함에 따라 상기 대향부(37a)로부터 계단형으로 깊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대향부(37a)와, 폐색 단부(37b)를 갖는 2단의 계단형으로 상기 개구 오목부(37)가 형성된다.
상기 펄스 링(24)에 대향하는 상기 대향부(37a) 및 상기 펄스 링(24) 사이의 거리(L3)는, 상기 검출부(26a) 및 상기 펄스 링(24) 사이의 거리(L2) 이상으로 설정된다.
도 5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아암(18)의 후단 상부에는, 상기 후방 차륜(WR)의 차축(17)과의 상대 위치가 일정한 브래킷(40)이 마련되어 있고, 이 브래킷(40)에는, 후방 차륜(WR)과 함께 회전하는 펄스 링(41)의 내주부에 등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42, 42…)을 검출함으로써 전방 차륜(WF)의 차륜 속도를 얻도록 한 차륜 속도 센서(43)가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 후방 차륜(WR)은, 디스크 브레이크(47)로 제동되는 것으로, 상기 후방 차륜(WR)에 부착되는 브레이크 디스크(48)와 함께 디스크 브레이크(47)를 구성하는 캘리퍼(49)가, 상기 브래킷(40)에 지지된다. 더구나 상기 펄스 링(41)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48)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48)의 내주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캘리퍼(49)는, 상기 후방 차륜(WR)의 상방 및 전방 중 적어도 한쪽, 이 실시형태에서는 전방 상측에 배치되는 차체 구조물로서의 리어 펜더(51)와, 상기 차륜 속도 센서(43)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브래킷(40)에 지지된다.
도 6 및 도 7을 아울러 참조하여, 상기 차륜 속도 센서(43)는, 그 검출부(43a)를 상기 펄스 링(41)에 근접, 대향시키도록 하여 한쌍의 볼트(45, 45)로 상기 브래킷(40)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40)에는 상기 검출부(43a)를 둘러싸는 통형의 보호벽(52)이 마련된다.
즉 상기 브래킷(40)에는, 상기 펄스 링(41)에 대향하도록 개구하는 삽입 구멍(53)이 마련되며 그 삽입 구멍(53)의 일부를 형성하는 통형의 보호벽(52)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차륜 속도 센서(43)가 구비하는 플랜지(44)가 한쌍의 볼트(45, 45)로 상기 브래킷(40)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차륜 속도 센서(43)가 구비하는 상기 검출부(43a)는, 그 선단을 상기 펄스 링(41)에 근접, 대향시키도록 하여 상기 삽입 구멍(53)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보호벽(52)은, 그 보호벽(52)의 상기 펄스 링(41)측의 단부를 상기 검출부(43a)보다 상기 펄스 링(41)에 근접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차륜 속도 센서(43)가 브래킷(40)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펄스 링(41) 및 상기 보호벽(52) 사이의 거리(L4)는 상기 검출부(43a) 및 상기 펄스 링(41) 사이의 거리(L5)보다 작다.
상기 보호벽(52)의 상기 펄스 링(41)측의 단부에는, 측방으로 개구한 개구 오목부(54)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 오목부(54)는, 상기 펄스 링(41)의 반경 방향 외측 또한 차량 후방을 향하여 개구된다.
또한 상기 개구 오목부(54)는, 상기 펄스 링(41)에 근접, 대향하는 대향부(54a)가 단차형이 되도록 하여 상기 보호벽(52)의 둘레 방향 일방[도 7의 화살표(55)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함에 따라 상기 대향부(54a)로부터 계단형으로 깊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대향부(54a)와, 폐색 단부(54b)를 갖는 2단의 계단형으로 상기 개구 오목부(54)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 오목부(54)의 상기 펄스 링(41)에 대향하는 대향부(54a) 및 상기 펄스 링(41) 사이의 거리(L6)는, 상기 검출부(43a) 및 상기 펄스 링(41) 사이의 거리(L5) 이상으로 설정된다.
다음에 이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전방 차륜(WF)과 함께 회전하는 펄스 링(24)에 근접하는 검출부(26a)를 갖는 차륜 속도 센서(26)가, 전방 차륜(WF)의 차축(10)과의 상대 위치를 일정하게 한 브래킷(23)에 고정되고, 후방 차륜(WR)과 함께 회전하는 펄스 링(41)에 근접하는 검출부(43a)를 갖는 차륜 속도 센서(43)가, 후방 차륜(WR)의 차축(17)과의 상대 위치를 일정하게 한 브래킷(40)에 고정되는 것이지만, 검출부(26a, 43a)를 둘러싸는 통형의 보호벽(35, 52)이, 상기 보호벽(35, 52)의 상기 펄스 링(24, 41)측의 단부를 상기 차륜 속도 센서(26, 43)의 상기 검출부(26a, 43a)보다 상기 펄스 링(24, 41)에 근접시켜 상기 브래킷(23, 40)에 마련되기 때문에, 브래킷(23, 40) 이외의 특별한 부품을 추가하는 일없이 차륜 속도 센서(26, 43)의 검출부(26a, 43a)를 보호할 수 있어, 비용 및 중량의 증가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벽(35, 52)의 상기 펄스 링(24, 41)측의 단부에, 측방으로 개구한 개구 오목부(37, 54)가 형성되기 때문에, 검출부(26a, 42a) 및 펄스 링(24, 41) 사이에 들어간 이물을 상기 개구 오목부(37, 54)로부터 밖으로 제거할 수 있어, 개구 오목부(37, 54)에 게이지를 삽입함으로써 검출부(26a, 43a) 및 펄스 링(24, 41) 사이의 갭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 오목부(37, 54)가, 상기 펄스 링(24, 41)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기 때문에, 검출부(26a, 43a) 및 펄스 링(24, 41) 사이에 들어간 이물을, 펄스 링(24, 41)이 회전함으로써 생기는 원심력으로 밖으로 배제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개구 오목부(37, 54)가 차량 후방을 향하여 개구되기 때문에, 차량 전방으로부터의 비석이 개구 오목부(37, 54)로부터 보호벽(35, 52) 내로 들어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 오목부(37, 54)는, 상기 펄스 링(24, 41)에 근접, 대향하는 대향부(37a, 54a)를 가지고, 상기 대향부(37a, 54a) 및 상기 펄스 링(24, 41) 사이의 거리(L3, L6)가, 상기 검출부(26a, 43a) 및 상기 펄스 링(24, 41) 사이의 거리(L2, L5) 이상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보호벽(35, 52)의 측방에서 개구 오목부(34, 54)를 통해 검출부(26a, 43a)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L3, L6)를, 상기 검출부(26a, 43a)가 상기 펄스 링(24, 42)의 회전을 검출할 수 있는 한도 거리로 설정하면, 상기 개구 오목부(37, 54)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만으로, 상기 검출부(26a, 43a)가 상기 펄스 링(24, 42)의 회전을 검출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 오목부(37, 54)는, 상기 대향부(37a, 54a)가 단차형이 되도록 하여 상기 보호벽(35, 52)의 둘레 방향 일방을 향함에 따라 상기 대향부(37a, 54a)로부터 계단형으로 깊어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대향부(37a, 54a) 및 펄스 링(24, 41) 사이의 거리(L2, L5)가 상기 검출부(26a, 43a) 및 상기 펄스 링(24, 41) 사이의 거리(L2, L5)와 동일하였다고 해도, 보호벽(35, 52)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대향부(37a, 54a)의 일단에 각부(37c, 54c)가 형성되고, 그 각부로부터 상기 검출부(26a, 43a)가 보호벽(35, 52)의 둘레 방향으로 돌출하게 되어, 검출부(26a, 43a) 및 펄스 링(24, 41) 사이의 거리를 정확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개구 오목부(37, 54)가, 그 폐색 단부(37b, 54b)를 전방 차륜(WF) 및 후방 차륜(WR)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대향부(37a, 54a)보다 전방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그렇게 되면, 이물을 상기 개구 오목부(37, 54)로부터 외부로 보다 제거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차륜(WF)에 부착되는 브레이크 디스크(31)와 함께 디스크 브레이크(30)를 구성하는 캘리퍼(32)가, 전방 차륜(WF)의 후방에 배치되는 차체 커버(34) 및 상기 차륜 속도 센서(26)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브래킷(23)에 지지되기 때문에, 차체 커버(34)에 부딪친 비석이 차륜 속도 센서(26)에 맞기 어려워진다.
또한 후방 차륜(WR)에 부착되는 브레이크 디스크(48)와 함께 디스크 브레이크(47)를 구성하는 캘리퍼(49)가, 상기 후방 차륜(WR)의 상방 및 전방 중 적어도 한쪽(이 실시형태에서는 전방 상측)에 배치되는 리어 펜더(51) 및 상기 차륜 속도 센서(43)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브래킷(40)에 지지되기 때문에, 리어 펜더(51)에 부딪친 비석이 차륜 속도 센서(43)에 맞기 어려워진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로서, 도 8 및 도 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차륜(WF)의 차륜 속도를 검출하기 위해 브래킷(23)에 고정되는 차륜 속도 센서(26)의 검출부(26a)를 둘러싸서 상기 브래킷(23)에 마련되는 통형의 보호벽(35)의 펄스 링(24)측의 단부에, 상기 제1 실시형태의 개구 오목부(37)보다 넓은 범위로 측방으로 개구하는 개구 오목부(57)가 형성되어도 좋고, 이 개구 오목부(57)는, 예컨대 상기 보호벽(35)의 둘레 방향에 대략 90도의 범위로 측방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된다.
더구나 상기 개구 오목부(57)는, 상기 펄스 링(24)의 반경 방향 외측 또한 차량 후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고, 그 펄스 링(24)에 근접, 대향하는 대향부(57a) 및 상기 펄스 링(24) 사이의 거리(L3)를, 상기 검출부(26a) 및 상기 펄스 링(24) 사이의 거리(L2) 이상으로 하며, 상기 대향부(57a)가 단차형이 되도록 하여 상기 보호벽(35)의 둘레 방향 일방[도 9의 화살표(38)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함에 따라 상기 대향부(57a)로부터 계단형으로 깊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대향부(57a)와, 폐색 단부(57b)를 갖는 2단의 계단형으로 상기 개구 오목부(57)가 형성된다.
이 제2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는 일없이 여러가지의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17 : 차축
23, 40: 브래킷
24, 41 : 펄스 링
26, 43 : 차륜 속도 센서
26a, 43a : 검출부
30, 47 : 디스크 브레이크
31, 48 : 브레이크 디스크
32, 49 : 캘리퍼
34 : 차체 구조물로서의 차체 커버
35, 52 : 보호벽
37, 54, 57 : 개구 오목부
37a, 54a, 57a : 대향부
51 : 차체 구조물로서의 리어 펜더
L3, L6 : 대향부 및 펄스 링 사이의 거리
L2, L5 : 검출부 및 펄스 링 사이의 거리
WF :전방 차륜
WR : 후방 차륜

Claims (8)

  1. 차륜(WF, WR)과 함께 회전하는 펄스 링(24, 41)과, 상기 펄스 링(24, 41)에 근접하는 검출부(26a, 43a)를 갖는 차륜 속도 센서(26, 43)와, 상기 차륜 속도 센서(26, 43)를 고정하는 브래킷(23, 40)을 갖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26a, 43a)를 둘러싸는 통형의 보호벽(35, 52)이, 상기 보호벽(35, 52)의 상기 펄스 링(24, 41)측의 단부를 상기 차륜 속도 센서(26, 43)의 상기 검출부(26a, 43a)보다 상기 펄스 링(24, 41)에 근접시켜 상기 브래킷(23, 40)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있어서의 차륜 속도 센서의 보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벽(35, 52)의 상기 펄스 링(24, 41)측의 단부에, 측방으로 개구한 개구 오목부(37, 57; 5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있어서의 차륜 속도 센서의 보호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오목부(37, 57; 54)가, 상기 펄스 링(24, 41)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있어서의 차륜 속도 센서의 보호 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오목부(37, 57; 54)가, 차량 후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있어서의 차륜 속도 센서의 보호 구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오목부(37, 57; 54)는, 상기 펄스 링(24, 41)에 근접, 대향하는 대향부(37a, 57a; 54a)를 가지고, 상기 대향부(37a, 57a; 54a) 및 상기 펄스 링(24, 41) 사이의 거리(L3, L6)가, 상기 검출부(26a, 43a) 및 상기 펄스 링(24, 41) 사이의 거리(L2, L5)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있어서의 차륜 속도 센서의 보호 구조.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오목부(37, 57; 54)는, 상기 대향부(37a, 57a; 54a)가 단차형이 되도록 하여 상기 보호벽(35, 52)의 둘레 방향 일방을 향함에 따라 상기 대향부(37a, 57a; 54a)로부터 계단형으로 깊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있어서의 차륜 속도 센서의 보호 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WF)에 부착되는 브레이크 디스크(31)와 함께 디스크 브레이크(30)를 구성하는 캘리퍼(32)가, 상기 차륜(WF)의 후방에 배치되는 차체 구조물(34) 및 상기 차륜 속도 센서(26)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브래킷(23)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있어서의 차륜 속도 센서의 보호 구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WR)에 부착되는 브레이크 디스크(48)와 함께 디스크 브레이크(47)를 구성하는 캘리퍼(49)가, 상기 차륜(WR)의 상방 및 전방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는 차체 구조물(51) 및 상기 차륜 속도 센서(43)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브래킷(40)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있어서의 차륜 속도 센서의 보호 구조.
KR1020157030671A 2013-03-28 2014-03-26 차량에 있어서의 차륜 속도 센서의 보호 구조 KR1017792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68045 2013-03-28
JP2013068045 2013-03-28
PCT/JP2014/058570 WO2014157352A1 (ja) 2013-03-28 2014-03-26 車両における車輪速センサの保護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469A true KR20150135469A (ko) 2015-12-02
KR101779278B1 KR101779278B1 (ko) 2017-09-18

Family

ID=5162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671A KR101779278B1 (ko) 2013-03-28 2014-03-26 차량에 있어서의 차륜 속도 센서의 보호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63973B2 (ko)
EP (1) EP2979943B1 (ko)
JP (1) JP6080240B2 (ko)
KR (1) KR101779278B1 (ko)
BR (1) BR112015024463B1 (ko)
WO (1) WO20141573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4664B2 (ja) * 2015-03-20 2018-08-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のセンサ取付構造
AU2016237585B2 (en) * 2015-03-20 2019-03-14 Honda Motor Co., Ltd. Wheel speed detecting device, and ring to be detected
US10500897B2 (en) 2015-03-31 2019-12-10 Honda Motor Co., Ltd. Supporting structure of wheel speed sensor
JP2017065533A (ja) 2015-09-30 2017-04-0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
IT201600111381A1 (it) * 2016-11-04 2018-05-04 Piaggio & C Spa Struttura di supporto per sensore di ruota fonica
JP6736596B2 (ja) * 2018-03-16 2020-08-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
FR3099451A1 (fr) * 2019-08-02 2021-02-05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pour capter la vitesse d’une roue de vehicule, procede de montage associe
US11156484B2 (en) * 2019-11-01 2021-10-26 Jomax Customs Llc Vehicle sensor arm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8567A (ja) 1984-07-31 1986-02-24 Toshiba Corp 車両用速度検出器付き駆動装置
JPH0717609Y2 (ja) 1988-07-11 1995-04-2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自動2輪車のアンチロツク制動装置
JPH04115161A (ja) 1990-09-04 1992-04-16 Tdk Corp 物体シール構造
JPH07234233A (ja) 1994-02-22 1995-09-05 Unisia Jecs Corp 電磁式回転センサ
AT1979U1 (de) 1997-03-26 1998-02-25 Steyr Daimler Puch Ag Halterung eines raddrehzahlsensors
JP2001165949A (ja) 1999-09-30 2001-06-22 Honda Motor Co Ltd 車輪速度検出装置
JP4057246B2 (ja) 2001-01-09 2008-03-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車輪速度検出センサー保護構造
JP2004271235A (ja) 2003-03-05 2004-09-30 Denso Corp 回転検出装置
JP4520333B2 (ja) 2005-03-09 2010-08-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速センサの取付構造
JP5422127B2 (ja) 2008-01-23 2014-02-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KR101134905B1 (ko) * 2008-04-02 2012-04-17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휠 속도 감지장치
KR101282002B1 (ko) * 2009-02-17 2013-07-05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휠 속도 감지장치
JP5409336B2 (ja) 2009-12-25 2014-02-05 Ntn株式会社 センサ付車輪用軸受
JP5507300B2 (ja) 2010-03-19 2014-05-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制動装置
JP5460567B2 (ja) 2010-12-13 2014-04-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ブレーキ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157352A1 (ja) 2017-02-16
BR112015024463A8 (pt) 2019-12-10
WO2014157352A1 (ja) 2014-10-02
US20160054348A1 (en) 2016-02-25
EP2979943A1 (en) 2016-02-03
EP2979943B1 (en) 2018-10-10
BR112015024463A2 (pt) 2017-07-18
EP2979943A4 (en) 2017-01-04
KR101779278B1 (ko) 2017-09-18
US9863973B2 (en) 2018-01-09
BR112015024463B1 (pt) 2022-05-10
JP6080240B2 (ja)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278B1 (ko) 차량에 있어서의 차륜 속도 센서의 보호 구조
CN107249972B (zh) 车轮速度传感器的支承构造
JP4724646B2 (ja) 自動二輪車の車輪速センサ取付構造
JP5422127B2 (ja) 自動二輪車
US7661771B2 (en) Speed sensor fitting structure
US7274188B2 (en) Pulser ring mounting structure including an annular groov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a brake disk to which the pulser ring is mounted
JP6121788B2 (ja) 車輪速検出機構
JP6355290B2 (ja) 鞍乗型車両のセンサユニット取付構造
ITUB20153057A1 (it) Struttura di sistemazione di un sensore.
JP2009220589A (ja) 車両
US10598680B2 (en) Pulser ring mounting structure
JP2009220667A (ja) 電動自転車
JP6926216B2 (ja) 鞍乗り型車両の前部構造
JP6329500B2 (ja) 自動二輪車
JP5196180B2 (ja) センサ付き転がり軸受装置
JP6724243B2 (ja) 内燃機関
WO2023181790A1 (ja) 鞍乗型車両
EP2610113A1 (en) Saddle-ride type vehicle
WO2014034475A1 (ja) 自動二輪車
JP5294256B2 (ja) 鞍乗型車両
JP5078576B2 (ja) 自動二輪車
JPWO2019049849A1 (ja) 内燃機関
JP6055338B2 (ja) 鞍乗型車両の回転速センサ取付構造
JP2018095183A (ja) 表示装置取付構造
JP3964408B2 (ja) 自動二輪車の走行速度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