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2881A - 무선 비디오 카메라 - Google Patents

무선 비디오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2881A
KR20150132881A KR1020157031130A KR20157031130A KR20150132881A KR 20150132881 A KR20150132881 A KR 20150132881A KR 1020157031130 A KR1020157031130 A KR 1020157031130A KR 20157031130 A KR20157031130 A KR 20157031130A KR 20150132881 A KR20150132881 A KR 20150132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video
remote computer
computer system
camera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5056B1 (ko
Inventor
닉 에스. 블레어
마이클 제이. 코스
마이클 제이. 펠란드
Original Assignee
코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코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132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22
    • H04N5/2329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카메라의 주변 환경내의 객체의 북마킹을 허용하는 무선 비디오 카메라이다. 원격 사용자가 (스트리밍 비디오를 통해) 이전에 북마크된 객체를 선택할 때, 카메라는 적절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를 결정하여 객체의 북마크된 뷰를 복재한다. 카메라의 위치 변화 개입을 처리하기 위하여, 카메라는 카메라의 임의의 위치 변화를 계산하고, 카메라의 업데이트된 위치에 대해 보상하기 위해 북마크된 뷰에 대해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를 조절하여서, 객체의 원래 북마크된 뷰가 복재된다. 또한, 카메라가 비디오를 원격 사용자에게 스트리밍하는 스트리밍 비디오 모드에서, 원격 사용자는 원격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해 카메라로부터의 정지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비디오 카메라{WIRELESS VIDEO CAMERA}
무선 인터넷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비디오 (및 가끔 오디오) 데이터가 캡처되고, WiFi(IEEE 802.11) 컴퓨터 네트워크에 걸처 전송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비디오 카메라는 이들과 연결되는 임의의 컴퓨터(일부 경우 스마트폰을 포함함)로 데이터 스트림을 제공함에 의해 작동한다. 컴퓨터는 표준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거나, 특별한 클라이언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메라에 연결된다. 적절한 보안 정보를 사용하여, 이들 카메라로부터의 비디오 스트림은 권한 있는 컴퓨터로부터 인터넷을 통해서도 볼 수 있다. 일부 무선 인터넷 비디오 카메라는 팬(pan), 틸트(tile) 및 줌(zoom) 특징을 가진다. 다시 말해, 원격 사용자는 카메라의 팬, 틸트 및 줌을 제어하여, 카메라로부터 캡처되고 스트림되는 비디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사용자는 카메라의 시계(filed of view) 내의 대상에 대해 줌인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일 양상에서, 본 발명은 무선 비디오에 관한 것이다. 무선 비디오 카메라의 하나의 고유한 특징은 카메라의 주변 환경에서의 객체의 북마킹(bookmarking)을 허용하는 것이다. 원격 사용자가 이전에 북마크된 객체를 (스트리밍 비디오를 통해) 보기 위해 선택할 때, 카메라는 적절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가령, 팬, 틸트 및 줌)을 결정하여 객체의 북마크된 뷰를 복사한다. (북마크가 생성되는 때부터 북마크된 뷰를 보기 위해 요청하는 때) 카메라의 위치에서의 변화를 개입을 처리하기 위하여, 카메라는 카메리의 위치에서의 어떠한 변화를 계산하고, 북마크된 뷰에 대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어서, 카메라의 업데이트된 위치를 보상하여 객체의 원래 북마크된 뷰가 복사될 수 있다.
카메라의 또 다른 특징은 카메라가 원격 사용자로 비디오를 스트리밍하는 스트리밍 비디오 모드에서, 원격 사용자는, 스트리밍 비디오와는 대조적으로, 카메라로부터 정지 이미지를 사용하여, 원격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스트리밍 비디오와 관련된 네트워크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향상되고, 좀 더 즉각 반응하며, 강건한 원격 제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른 이점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이하의 도면과 함께 예시로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를 나타내고, 카메라 어셈블리와 연결될 수 있는 그 밖의 다른 컴퓨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연결을 위한 카메라 어셈블리를 구성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a-4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를 원격으로 패닝(panning)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a-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객체의 카메라 뷰를 북마킹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객체의 북마크된 뷰를 복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a-8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를 위한 원격 사용자 제어를 나타낸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비디오 카메라 어셈블리(10)를 도시한다. 도 1은 카메라 어셈블리(10)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카메라 어셈블리(10)의 간략화된 블록도이다. 도 1 및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어셈블리(10)는 덮개(shroud, 12)(또는 그 밖의 유형의 하우징) 및 덮개(12)를 안착시키는 베이스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12)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16)을 수용할 수 있는데, 이는 바람직하게는, 고품질,고해상도, 디지털 비디오 및 정지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는 자동 초점기능이 있는, 복수의 멀티-메가-픽셀(가령, 5-16 메가픽셀) 카메라 센서를 포함한다. 카메라 센서는 가령, 칠십도 대각선 뷰 앵글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는 (사용자 설정에 기초하여) 초당 삼십(30) 프레임까지에서, 1080p 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지털 카메라 모듈(16)은 e-CAM52-5640 카메라 모듈로 실행될 수 있다. 덮개(12)는 덮개의 수직축에 대해, 가령 베이스부(14)에 대해 360도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어셈블리(10)는 광 표시자(가령, 하나 이상의 LED)(미도시)를 포함하여, 카메라 어셈블리(10)의 다양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데, 가령, 하나의 색은 온을 나타내고, 다른 색은 파워링 다운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어셈블리(10)는 온/오프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어셈블리(10)는 디지털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19)를 통해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 장치(18)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오직 하나만 도 1에 도시된) 원격 컴퓨터 장치(18)는 네트워크(19)를 통해 카메라(10)와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프로세서-기반의 컴퓨터 장치일 수 있고, 카메라 어셈블리(10)로부터 이미지와 비디오를 렌더링 및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컴퓨터 장치(18)는 개인용 컴퓨터(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9)는 가령, 인터넷 또는 임의의 적절한 패킷-스위치드 또는 TCP 네트워크일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록 연속적이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어느 시점에서, 카메라 어셈블리(10)는 가령 USB 연결부(5)를 통해 로컬 컴퓨터 장치(4)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어셈블리(10)는 미니-USB 포트와 같은 USB 포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컴퓨터 장치(4)는 이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카메라 어셈블리(10)를 환경설정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환경 설정 이후에, 로컬 컴퓨터 장치(4)는 카메라 어셈블리(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는 카메라 어셈블리(1)의 전기 구성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카메라 어셈블리(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MPU)(22) 및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가속 시스템(24)을 포함할 수 있다. MPU(22)는 카메라 어셈블리(1)의 다양한 기능 및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가속 시스템(24)은 그래픽과 오디오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MPU(22)가 다른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하는 특화된 어댑터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MPU(22)와 가속 시스템(24) 모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디지털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DMPU)(20)의 일부일 수 있다. DMPU(20)는 이하에 기술되는 다른 구성과 통신하기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DMPU(20)는 가령, Texas Instruments DM37xx 디지털 미디어 프로세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MPU(22) 및 가속 시스템(24)은 이산 칩으로 실행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모듈(16)은 DMPU(20)과 통신한다. 또한, 모터(30)는 덮개(12), 및 따라서 카메라 모듈(16)을 회전시킬 수 있어서, 카메라 모듈(16)의 시계(field of view)를 변경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모터(30)는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360도 회전을 허용하는 스테퍼 모터(stepper motor)이다. 모터(30)에 의한 회전을 통해, 카메라 모듈(16)은 그 주변 환경을 통해 (수평적으로) 팬(pan)할 수 있다. 카메라로 틸트는 카메라 모듈(16)에 의해 캡처된 디지털 이미지의 윈도윙(windowing)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어셈블리(10)는 DMPU(20)와 통신하는 라우드스피커(loudspeaker, 32) 및 마이크로폰(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어셈블리(10)는 프로세서(20)에 내장될 수 있고, 및/또는 하나 이상의 외부 메모리 칩(40, 42)으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는 내장형 RAM 및 ROM을 포함할 수 있고, 외부 메모리 칩은 RAM(40)(가령, 2Gb) 및/또는 플래스(ROM) 메모리(42)(가령, 4Gb)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외부 또는 내장)는 프로세서(20)에 의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 실행을 위한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어셈블리(10)는, 카메라 어셈블리(10)에 의해 라디오/무선 통신을 다루는 프로세서(20)에 연결되는 RF 트랜시버 회로(4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RF 트랜시버 회로(4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0)로부터 분리된 칩일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2)와 통합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은 임의의 적절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 Wi-Fi 프로토콜(가령 IEEE 802.11 a, b, g, 및/또는 n) 또는 WiMAX (IEEE 802.16) 또는 임의의 적절한 프로토콜과 같은 액세스 포인트(36)(도 1 참조)를 통해 네트워크(19)(가령, 인터넷)로 통신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작동자에서, 카메라 모듈(16)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는 프로세서(20)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RF 트랜시버 회로(44)에 의해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19)를 통해 원격 컴퓨터 장치(들)(18)로 전송될 수 있다. RF 트랜시버 회로(44)가 프로세서(20)로부터 분리된 칩인 실시예에서, RF 트랜시버 회로(44)는 가령, NanoRadio NRG731 칩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어셈블리(10)는 프로세서(20)와 통신하는 디지털 3-축 나침반(48)를 포함할 수 있다. 나침반(48)은 프로세서(20)로 위치와 배향 신호를 제공하여, 프로세서(20)가 카메라 어셈블리(10)의 위치 및 배향(포즈)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전력과 관련하여, 카메라 어셈플리(10)는 배터리 전력 또는 플러그-인 전력 코드로 뽑을 수 있다. 배터리(미도시)는, 카메라 어셈블리(10)가 (AC-DC 컨버터로) AC 전력 소켓에 플러그인 될 때 충전되고, 플러그인 (및 파워온) 되지 않을 때 카메라 어셈블리(10)를 전력공급하는 Li 이온, 재충전 배터리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카메라 어셈블리(10)를 파워 온 및 오프하기 위해 온/오프 스위치를 억제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카메라 어셈블리(10)는 USB 포트를 통해 전력을 수신할 때, 자동으로 턴온된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카메라 어셈블리(10)의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것 처럼, Wi-Fi 호스트스팟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카메라 어셈블리(10)를 환경설정하기 위하여, 카메라 어셈블리(10)를 로컬 컴퓨터(4)에 연결시킬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카메라 어셈블리(10)를 설정하고 맞춤시키기 위한 프로세스의 순서도이다. 단계 70에서, 사용자(가령, 카메라 어셈블리(10)의 사용자)는 브라우저가 있는 인터넷-사용가능한 컴퓨터(4)를 사용하여, 원격 서버(들)(7)(도 1 참조)에 의해 호스트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사용자가 이미 하나 가지고 있지 않으면) 계정을 설정한다. 웹사이트에서, 가령, 사용자는 도 1에서의 액세스 포인트(36)와 연결되는 Wi-Fi 핫스팟과 같은 Wi-Fi 핫스팟을 추가할 수 있다. 스텝 72에서 Wi-Fi 핫스팟을 추가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Wi-Fi 핫스팟을 추가하기 위해 원함을 나타내는 웹사이트 사으이 링크를 클릭(아니면 활성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웹사이트로부터의 JAVA 애플릿은 컴퓨터(4)에 의해 사용되어서, 근처의 Wi-Fi 핫스팟을 검색할 수 있는데, 검색되면, 웹사이트상에 사용자를 위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추가하기 위해 원하는 Wi-Fi 핫스팟을 클릭(아니면 선택)할 수 있다. 가능하면, 웹사이트는 선택된 Wi-Fi 핫스팟에 대한 패스워드 및/또는 암호 유형(가령, WPA 또는 WPA2)을 입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Wi-Fi 핫스판에 대한 SSID, 패스워드, 및 암호 유형은 원격 서버(들)(7)에 의해 사용자의 계정을 위해 저장된다.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의 많은 Wi-Fi 핫스팟을 추가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반복될 수 있다.
인터넷(19)에 연결되면, 원격 사용자(가령, 원격 컴퓨터 장치(18)의 사용자)는 가령, 카메라 어셈블리(10)에 대한 IP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19)을 통해 카메라 어셈블리(10)에 연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절하게 인증된 원격 사용자는, 원격 컴퓨터 장치(18)상에 실행될 때, 원격 사용자가 카메라 어셈블리(10)의 원격 제어를 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원격 서버(7)로부터 가령, JAVA 애플릿과 같은 애플릿 또는 다른 플러그인 또는 브라우저 확장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원격 서버(7)(또는 어떤 다른 원격 서버)로부터 카메라 어셈블리(10)에 대한 IP 주소를 사용 및 얻을 수 있다. 네트워크(19)를 통해 카메라 어셈블리(10)에 연결되면, 원격 사용자는 실시간으로(그러나 프로세싱 지연에 대해), 카메라 어셈블리(10)로부터 스트림되는 비디오를 볼 수 있다. 또한, 스트림은 마이크로폰(34)에 의해 듣게되는 실시간 오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 장치로(18)로부터의 제어 신호는 카메라 어셈블리(10)(특히, 카메라 모듈(16) 및 모터(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네트워크(19)를 통해 카메라 어셈블리(10)로 전송되고, 카메라 어셈블리(10)의 프로세서에 의해 프로세스될 수 있다. 원격 사용자 제어는 카메라 모듈(16)을 위한 팬, 줌 및 틸트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어셈블리(10)로부터의 스트리밍 비디오가 도 4a의 예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의 장면을 포함한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예시에서, 카메라의 시계 및 사용자의 원격 컴퓨터 장치(18)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은 박스(100)에 의해 도시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이미지의 왼쪽을 클릭(가령, 원격 컴퓨터 장치(18)의 그래픽 디스플레이상에 커서로)함에 의해 카메라 어셈블리로 왼쪽을 원격으로 팬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이미지의 오른쪽을 클림함에 의해 오른쪽을 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왼쪽 또는 오른쪽을 각각 팬하기 위해 화살표(101, 102)를 연속적으로 클릭, 호버(hover) 또는 활성화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상에 왼쪽 또는 오른쪽 스와이프, 키보드 상의 왼쪽 및 오른쪽 화살표, 터치패드나 트랙볼상의 왼쪽 및 오른쪽 입력, 인식되는 음성 커맨드(가령, "팬 레프트")등과 같은 그 밖의 다른 사용자 입력 양상도 사용될 수 있다. 팬 커맨드는 카메라 어셈블리(10)로 전송되고, 프로세서(20)에 의해 프로세스되어서, 스텝퍼 모터가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카메라 모듈(10)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원격 사용자는 틸트 및/또는 줌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패닝과 유사한 입력 양상(가령, 커서, 터치 스크린 탭, 키보드, 터치패드, 트랙볼등)을 통해 카메라를 업 또는 다운으로 틸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카메라 어셈블리(10)는 틸트 커맨드에 응답하여 물리적으로 틸트 업 또는 다운하지 않고, 그 보다는, 프로세서(20)가 커맨드 받은 틸트(업 또는 다운) 뷰를 근사화하는 카메라 모듈(16)로부터 캡처된 이미지의 그래픽적인 변형을 계산한다. 사용자는 임의의 적절한 사용자 입력 양상(가령, 커서 클릭, 터치 스크린 탭, 키보드, 키패드, 트랙볼등)을 통해 줌인되어야할 위치를 나타냄에 의해 객체에 대해 줌인할 수 있다. 또한, 줌의 양은 더 큰 줌에 대한 플러스 사인의 입력 및 더 작은 줌에 대한 마이너스 사인의 활성화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프로세서(20)는 가령, 카메라 모듈(16)로부터의 이미지를 잘라내어서, 원본과 동일한 종횡비를 가지면서 중심화된 영역이 되는 것과 같이, 원하는 객체에 대한 줌인을 위한 디지털 줌인을 사용할 수 있고, 대개, 결과 백업을 원본의 픽셀 수치로 보간한다.
원격 사용자에게 사용가능한 다른 제어는 사진을 찍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정지 이미지는 카메라 모듈(16)에 의해 캡처될 수 있고,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명시된 목적지(가령, 이메일 주소, 문자 메세지 주소등)로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원격 제어는 비디오를 녹화 및 저장할 수 있다. 비디오는 카메라(10)의 주변 환경의 360도 비디오 또는 일부 다른 경로일 수 있다. 비디오는 카메라(10)의 메모리내에 저장될 수 있다. 너무 크지 않으면, 비디오 파일은 원격 컴퓨터(18)로 무선으로 전송될 수 있고, USB(또는 다른 적합한) 연결을 통하여 로컬 컴퓨터(4)에 의해 다운로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의 원격 컴퓨터(18)에 의해 알 수 있는 음성 또는 그 밖의 청취가능한 입력을 입력하고, 네트워크(19)를 통해 카메라 어셈블리(10)로 전송되고, 라우드스피커(32)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그러한 방식으로, 양방향으로 오디오를 녹화 및 전송과 관련된 지연을 고려하여, 원격 컴퓨터(18)의 사용자와 카메라(10) 근처의 사람간의 실시간 대화가 어렵다하여도, 원격 사용자는 카메라 어셈블리(10) 근처(즉, 라우드스피커(32) 및 마이크로폰(34)의 충분히 가까운 범위)에 있는 사람과 청취가능하고, 원격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어셈블리(10)가 원격 컴퓨터(18)(가령, 스트리밍 비디오 모드로) 비디오를 스트리밍하고, 원격 사용자가 장면을 회전(즉, 수평적으로 팬)하기 원할 때, 사용자는 팬 커맨드를 입력하는데 있어 스트리밍 비디오보다는 카메라 어셈블리(10)로부터의 정지되고 버퍼된 이미지를 사용하여, 스트리밍 비디오와 관련된 네트워크 지연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러한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5의 순서도를 참조하면, 단계 50에서, 카메라 어셈블리(10)가 원격 컴퓨터(18)로 비디오를 스트리밍하고, 비디오는 도 4a에 도시된 방이라고 가정한다. 본 예시에서, 카메라 어셈블리(10)는 회전하지 않지만, 프로세스는 카메라 어셈블리(10)가 회전할 때와 같이 작동한다. 원격 사용자가 장면 내의 객체를 향해 나아가기 원한다고 가정한다(또는 회전하면 카메라(10)의 시계 내에 있는 객체임에도 불구하고 특정 순간에 카메라 모듈의 시계내에 객체가 없다고 가정함). 이러한 경우에, 객체는 도 4b내에 도시된 램프 식물(103)이라고 가정한다. 그 경우에, 단계 52에서, 원격 사용자는 카메라 어셈블리(10)에 대해 커맨드를 입력하여, 오른쪽으로 (수평 패닝) 회전하는 것을 시작(또는 개시)하도록 한다. 이러한 커맨드는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임의의 적합한 입력 양상을 사용하여 원격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커맨드를 입력하여 오른쪽으로 팬할 때, 단계 54에서, 카메라(10)는 비디오를 스트리밍하는 것을 멈추고, 원격 사용자는 전송된 비디오로부터의 마지막 (정지) 이미지, 가령, 도 4a-4b의 이미지(100)를 볼 수 있다. 마지막 이미지를 사용하여, 단계 56에서, 원격 사용자는 원격 사용자의 원하는 위치가 도달될 때까지 팬(pan)한다. 원격 사용자가 단계 58에서 회전(또는 패닝) 커맨드를 정지(또는 중지)를 입력할 때, 카메라 어셈블리(10)는 패닝 커맨드(가령, 시작 위치에서 정지 위치까지의 팬)에 따라 원하는 회전 위치까지 회전하고, 단계 60에서, 카메라(10)는 비디오를 스트리밍하는 것을 재개하여, 이제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객체가 카메라 모듈(16)의 시계 내에 있다. 또한, 원격 사용자는 줌 커맨드를 입력하여, 스트리밍 비디오가 도 4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물을 클로즈업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틸트(가령, 수직으로 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비디오가 카메라 어셈블리(10)로부터 스트림되지 않더라도, 카메라 어셈블리(10)는 원격 사용자의 회전하라는 커맨드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령, 원격 사용자가 한 방향으로 팬하면서, 오른쪽으로라고 말하면, 카메라 어셈블리(10)는 오른쪽으로 회전하여, 원격 사용자는 패닝을 완료하고, 카메라 어셈블리(10)는 원하는 위치에 거의 또는 이미 있고, 비디오를 스트리밍하는 것을 재개할 준비가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원격 사용자는 중지 패닝 커맨드를 입력한 이후에, 카메라 어셈블리(10)가 초기 위치에서 최종 위치까지 회전하는 것을 기다릴 필요가 없다. 그보다는, 카메라 어셈블리(10)는 최종 위치 근처에 이미 있어서, 비디오 스트림은 더 빨리 재개할 수 있다. 그러한 방식으로, 원격 사용자는 카메라 어셈블리(10)의 원래의 시계 밖에 있는 객체를 향해 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103)은 도 4a의 카메라의 원래의 시계(100)에 있지 않다.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팬함에 따라, 카메라 어셈블리(10)는 이에 따르고, 원래의 시계의 모서리(가령, 본 예시에서 오른쪽 모서리)가 도달할 때, 새로운 정지 이미지를 캡처하고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원격 사용자는 새로운 이미지 내에 팬을 계속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비디오를 스트리밍하는 것이 재개될 수 있는, 원격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카메라 어셈블리(10)는 원격 사용자가 카메라 어셈블리(10)의 주변 환경 내의 객체를 "북마크"하는 것을 허용하고, 사용자가 북마크된 사이트/객체를 선택할 때, 카메라 어셈블리(10)는 객체의 북마크된 뷰를 반복하는데 필요한 만큼 자동으로 팬, 틸트 및 줌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어셈블리(10)가 도 6a 내의 뷰를 스트리밍한다고 가정한다. 원격 사용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객체 주위에 직사각형(104) 또는 그 밖의 다른 모양을 놓아서, 원하는 만큼 직사각형을 크기조절함에 의해 뷰 내의 객체 또는 장면을 북마크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사용자는 벽난로 맨틀위의 꽃병을 북마크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직사각형(100)은 일정한 종횡비, 가령, 16:9로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원하는 객체까지 북마크를 드래그할 수 있고, 아니면 있어야 하는 곳과 원하는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드래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북마크를 저장하고, 생각하기 쉬운, 가령, 본 예시에서 "꽃병"과 같은 이름을 부여하여 저장한다. 북마크된 객체에 대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 가령, 팬, 틸트 및 줌 파라미터는 원격 컴퓨터(18) 또는 카메라 어셈블리(10)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는 북마크 예시로부터 북마크를 선택할 수 있고, 카메라 어셈블리(10)는 필요한 만큼 팬, 틸트 및 줌을 자동으로하여, 객체의 북마크된 뷰를 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카메라는 도 6c 내에 도시된 꽃병에 대해 줌인한다. 원격 컴퓨터(18)가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실시예에서, 원격 카메라(18)는 파라미터를 카메라 어셈블리(10)로 전송하는데, 이는 카메라 모듈(16)(및 모터(30))를 제어하기 위해 프로세서의 동작의 일부로서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서, 북마크된 뷰가 반복된다. 카메라 어셈블리(10)가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실시예에서, 원격 컴퓨터(18)는 선택된 북마크에 대한 식별자를 전송하고, 프로세서(20)는 메모리 내에 북마크와 대응되는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를 찾아서,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6)과 모터(30)를 제어한다.
카메라 어셈블리(10)는 비교적 작아서, 여기저기로 이동하기 용이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령, 그것을 충전하기 위해, 정상 또는 원래의 위치로부터 카메라 어셈블리(10)를 제거할 수 있고, 이를 다시 제자리로 되돌릴 수 있으나, 항상 이전 위치와 동일한 곳에 있지 않다. 따라서, (메모리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프로세서(20)는 디지털 나침반(48)으로부터의 입력을 사용하여, 카메라 어셈블리가 이동되었는지, 그렇다면 얼마나, 그리고 어디로 이동되었는지 결정할 수 있다. 북마크된 뷰로 갈 때, 프로세서(20)는 카메라 어셈블리(10)가 이동되었다면,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북마크된 뷰를 복재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어셈블리가 위치 A에 있는 동안 북마크가 설정되고나서, 이후에 위치 B로 이동되고, 북마크가 선택되면, 프로세서(20)는 위치 A에서 위치 B로의 위치 변경에 필요한 만큼,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가령, 팬, 틸트 및 줌)를 조절하여 위치 B로부터 북마크된 뷰를 복재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지털 나침반(48)은 3D 디지털 선형 가속도 센서 및 STMicro LSM303DLHC 디지털 나침반과 같은 3D 마그네토미터 모듈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메모리(40, 42)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카메라 어셈블리(10)의 프로세서(20)가 북마크된 뷰를 나타내기위해 수행하는 순서도이다. 단계 80에서, 카메라 어셈블리(10)는 원격 사용자로부터 이전에 북마크된 뷰를 수신한다. 단계 82에서, 디지털 나침반(48)으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사용하여, 프로세서(20)는 카메라 어셈블리(10)의 현재 위치 및 배향을 결정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 84에서, 북마크된 뷰가 원래 환경설정된 이후에 카메라 어셈블리(10)가 이동되었거나 아니면 재배열되었다면, 카메라 어셈블리(10)는 현재의 카메라 위치와 북마크된 뷰가 원래 환경설정되었는지 알아볼 때의 카메라 어셈블리(10)의 위치 및 배향을 비교한다. 있다면, 위치에서의 차이는 단계 84에서 계산된다. 다음으로, 단계 86에서, 프로세서(20)는 북마크된 뷰에 대해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가령, 팬, 틸트 및 줌)를 조절하여, 현재의 카메라 위치를 보상한다. 따라서, 프로세서(20)는 북마크된 뷰에 대해 원래의 카메라 위치에 대해 북마크된 뷰에 대한 원래의 카메라 뷰잉 파리미터를 리드아웃하고, 현재 카메라 위치와 원래의 카메라 위치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파라미터를 조절한다. 물론, 카메라가 이동되지 않았다면, 파라미터에 대한 어떠한 조절이 없다. 그리고나서, 단계 88에서, 프로세서(20)는 조절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북마크된 뷰를 복재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모터(30)에 커맨드를 내려서, 카메라 모듈(16)을 원하는 위치로 회전/팬하고, 이미지를 그래픽적인 변환을 하여 원하는 틸트를 얻고, 자동 초점을 하여 원하는 줌을 얻는다.
도 8a-8d는 카메라 어셈블리에 대한 샘플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나타낸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카메라에 대한 설명 이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는 "거실" (120)이다. 또한, 사용자는 볼륨 제어기(122)에서 재생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적색광(124)은 비디오가 라이브 스트리밍이라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원격 사용자는 마이크로폰 볼륨 제어기(126)를 통해 마이크로폰(34) 볼륨을 제어할 수 있고, 밝기 제어기(128)를 통해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의 강도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130), 카메라 어셈블리(10)에 대한 배터리 전력(132)일 수 있다. 본 예시에서, 원격 사용자는 이미지 내의 원형(136)을 통해 카메라 어셈블리(10)의 팬과 틸트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형(136)의 위치를 클릭하여, 그 방향으로 팬/틸트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사용자는 원형(136)의 중심을 더블-클릭함에 의해 줌 커맨드를 명시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어기(138)를 통해 제어 판넬을 확장함에 의하여, 좀 더 자세한 커맨드 제어부를 나타낼 수 있다. 좀더-자세한 제어 판넬의 예시는 도 8b에 도시된다. 이러한 예시는 좀더 자세한 볼륨 제어기, (마이크로폰(34)을 통해) 말하는 것을 위한 버튼(140), 라이브 스트리밍을 개시하기 위한 버튼(142), (가령, 정지 이미지) 사진을 찍기 위한 버튼(144), 및 좀 더 구체적인 밝기 제어기(128)를 나타낸다. 도 8c는 진보된 제어 판넬을 나타낸다. 여기서, 사용자는 경고 이메일(또는 문자 메세지)이 전송될 이메일 주소(도는 MMS 주소)(150)를 명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어기(152)에서 임의의 이러한 비디오 경고의 기간을 명시할 수 있고, 제어기(154)에서, 경고를 트리거하는 비디오 내의 모션의 민감도를 명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판넬은 156에서 사용되는 인프라스트럭처 무선 네트워크를 나타낼 수 있고, 사용자가 제어기(158)에서 애드혹 무선 모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이하에 추가로 설명된다. 또한, 사용자는 장면의 파라노믹 뷰가 찍히고, 제어기(160)로 매우 자주(즉, 특정 빈도) 저장되어야 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도 8d는 여러 북마크(104)가 명시되었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원격 사용자는 북마크를 클릭(또는 활성화)함에 의해 북마크된 아이템의 북마크된 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카메라 어셈블리(10)는 액세스 포인트(36)(도 1 참조)가 있는 인프라스트럭처 무선 네트워크(19)를 통해 원격 컴퓨터 장치(18)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달리, 카메라 어셈블리(10)는 원격 컴퓨터 장치(18)와의 애드혹 무선 모드(즉, 유선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터나 관리되는 (인프라스트럭처)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액세스 포인트와 같이 기존에 존재하는 인프라스트럭처에 의존하지 않는 모드)에서 통신할 수 있다. 2013년 3월 15일에 "Configuring Wireless Devices for a Wireless Infrastructure Network"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일련 번호 제13/832,719호 및 미국 특허 번호 제8,190,203호는 이러한 애드혹 무선 네트워크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고, 이는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그러므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은 원격 컴퓨터 시스템(18)과 카메라 어셈블리(1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둘은 TCP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무선 통신하여서, 카메라 어셈블리는 원격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는 프로세서(20)와, 주변 환경의 비디오와 이미지를 캡처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16)과, TCP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회로(44)와,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30)와, 디지털 나침반과,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메모리 유닛(40, 42)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i) 카메라 어셈블리가 스트리밍 비디오 모드에 있을 때 스트리밍 비디오를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ii)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개시 패닝 입력 커맨드를 수신하면 스트리밍 비디오로부터 버퍼링된 이미지와 관련된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팬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를 수신하며, (iii) 수신된 팬 파라미터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를 제어하고, (iv) 정지 패닝 입력 커맨드를 수신하면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로부터의 스트리밍 비디오를 개시하도록 프로세서를 프로그램시키는 명령어를 저장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는 틸트 파라미터 및 줌 파라미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무선 통신 회로는 Wi-Fi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대안적 또는 추가적으로,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가 주변 환경 내에 이전에 북마크된 객체의 비디오를 나타내도록 하는 커맨드를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카메라 어셈블리가 수신하면, (i) 북마크된 객체에 대한 저장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 및 (ii) 카메라 어셈블리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에 대한 조절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의 현재 위치는 디지털 나침반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TCP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북마크된 객체의 비디오를 스트림하기 위해 조절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북마크된 객체에 대해 저장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는 카메라 어셈블리의 원래 위치와 관련있고, 조절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는 카메라 어셈블리의 현재 위치와 카메라 어셈블리의 원래 위치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또한, 북마크된 객체의 스트림된 비디오는 카메라 어셈블리로부터 스트림되고 북마크되지 않은 비디오와 동일한 종횡비(가령, 16:9)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조절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되어서, 모터를 제어함에 의해, 조절된 팬 파라미터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비디오를 스트리밍하기 위한 방법은, TCP 네트워크를 통해 카메라 어셈블리(10)로부터 원격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하는 원격 컴퓨터 시스템(18)으로 스트리밍 비디오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개시 패닝 입력 커맨드를 수신하면, 스트리밍 비디오로부터 버퍼링된 이미지와 관련된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팬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카메라 어셈블리에 의해, 수신된 팬 파라미터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회전시키기 위해 카메라 어셈블리의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카메라 어셈블리에 의해,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정지 패닝 입력 커맨드를 수신하면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로부터의 스트리밍 비디오를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비디오를 스트리밍하기 위한 방법은 카메라 어셈블리의 주변 환경 내의 이전에 북마크된 객체의 비디오를 나타내기 위한 커맨드를 원격 컴퓨터 시스템(18)으로부터 카메라 어셈블리(10)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카메라 어셈블리에 의해, 디지털 나침반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카메라 어셈블리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카메라 어셈블리에 의해, (i) 북마크된 객체에 대한 저장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 및 (ii) 카메라 어셈블리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에 대한 조절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방법은 TCP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북마크된 객체의 비디오를 스트림하기 위해 조절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는 조절된 팬 파라미터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모터에 의해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구성은 복수의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고, 복수의 구성은 하나의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어서, 주어진 기능이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치환이 작동적이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러한 치환은 실시예의 의도된 범위 내에 있다. 가령,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서버는 상호작동 기능을 위해 위치되고 구성된 "서버 팜(server farm)" 또는 네트워크된 서버(가령, 서버 블레이드)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서버 팜은 팜의 개별 구성들 간의 작업량을 분산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복수의 서버의 집합적이고 상호작동적인 능력을 사용함에 의해 연산 프로세스를 신속히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 팜은 가령, 다양한 기계로부터의 처리 능력에 대한 요구를 추적하는 것, 네트워크 요구에 기초하여 임무를 우선 순위와 스케쥴링 하는 것 및/또는 작동 중에 구성 오류나 감소의 이벤트의 경우의 만일의 사태를 백업하는 것과 같은 임무를 달성하는 작업량-균형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만, 이들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예, 변형예 및 적용예는 적어도 일부의 이점을 달성하는데 당업자에게 떠오를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이러한 모든 수정예, 변형예 및 적용예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5)

  1. 원격 컴퓨터 시스템; 및
    TCP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컴퓨터 시스템과 무선 통신하여, 카메라 어셈블리가 원격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카메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무선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 - 카메라 모듈은 주변 환경의 비디오와 이미지를 캡처링하기 위함 - 과,
    프로세서와 통신하고, TCP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하는 무선 통신 회로 - 무선 통신 회로는 카메라 모듈에 의해 캡처된 비디오와 이미지를 TCP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함 - 와,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와,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메모리 유닛 - 카메라 어셈블리가 스트리밍 비디오 모드에 있을 때 스트리밍 비디오를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개시 패닝 입력 커맨드를 수신하면 스트리밍 비디오로부터 버퍼링된 이미지와 관련된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팬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팬 파라미터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를 제어하고, 정지 패닝 입력 커맨드를 수신하면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로부터의 스트리밍 비디오를 개시하도록 프로세서를 프로그램시키는 명령어를 메모리 유닛이 저장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는 틸트 파라미터 및 줌 파라미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 회로는 Wi-Fi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통신 회로는 Wi-Fi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과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가속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지털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5. 비디오를 스트리밍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스트리밍 비디오를 카메라 어셈블리로부터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 - 카메라 어셈블리는 TCP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하고, 카메라 어셈블리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 - 카메라 모듈은 주변 환경의 비디오와 이미지를 캡처링하기 위함 - 과,
    프로세서와 통신하고, TCP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하는 무선 통신 회로 - 무선 통신 회로는 카메라 모듈에 의해 캡처된 비디오와 이미지를 TCP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함 - 와,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함 - 와,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개시 패닝 입력 커맨드를 수신하면, 카메라 어셈블리에 의해, 스트리밍 비디오로부터 버퍼링된 이미지와 관련된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팬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카메라 어셈블리에 의해, 수신된 팬 파라미터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회전시키기 위해 카메라 어셈블리의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와,
    카메라 어셈블리에 의해,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정지 패닝 입력 커맨드를 수신하면, 원격 커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로부터의 스트리밍 비디오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를 스트리밍하기 위한 방법.
  6. 무선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은,
    원격 컴퓨터 시스템과
    TCP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컴퓨터 시스템과 무선 통신하여, 카메라 어셈블리가 원격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카메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무선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 - 카메라 모듈은 주변 환경의 비디오와 이미지를 캡처링하기 위함 - 과,
    프로세서와 통신하고, TCP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하는 무선 통신 회로 - 무선 통신 회로는 카메라 모듈에 의해 캡처된 비디오와 이미지를 TCP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함 - 와,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와,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디지털 나침반과,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메모리 유닛 - 주변 환경 내에 이전에 북마크된 객체의 비디오를 나타내도록 하는 커맨드를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카메라 어셈블리가 수신하면, (i) 북마크된 객체에 대한 저장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 및 (ii) 카메라 어셈블리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에 대한 조절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를 결정 - 카메라 어셈블리의 현재 위치는 디지털 나침반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됨 - 하고, TCP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북마크된 객체의 비디오를 스트림하기 위해 조절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도록 프로세서를 프로그램시키는 명령어를 메모리 유닛이 저장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북마크된 객체에 대해 저장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는 카메라 어셈블리의 원래 위치와 관련있고,
    조절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는 카메라 어셈블리의 현재 위치와 카메라 어셈블리의 원래 위치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북마크된 객체의 스트림된 비디오는 카메라 어셈블리로부터 스트림되고 북마크되지 않은 비디오와 동일한 종횡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저장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는 북마크된 객체에 대한 팬 파라미터, 틸트 파라미터 및 줌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조절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는 북마크된 객체에 대한 조절된 팬 파라미터, 조절된 틸트 파라미터 및 조절된 줌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조절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되어서, 모터를 제어함에 의해, 조절된 팬 파라미터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12. 제 6 항에 있어서, 메모리 유닛은,
    카메라 어셈블리가 스트리밍 비디오 모드에 있을 때,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 스트리밍 비디오를 전송하고,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개시 패닝 입력 커맨드를 수신하면, 스트리밍 비디오로부터 버퍼링된 이미지와 관련된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팬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팬 파라미터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를 제어하고, 정지 패닝 입력 커맨드를 수신하면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로부터 스트리밍 비디오를 개시하도록 프로세서를 프로그램시키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13. 비디오를 스트리밍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카메라 어셈블리의 주변 환경내의 이전에 북마크된 객체의 비디오를 나타내기 위하여,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커맨드를 카메라 어셈블리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 카메라 어셈블리는 TCP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하고, 카메라 어셈블리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 - 카메라 모듈은 주변 환경의 비디오와 이미지를 캡처링하기 위함 - 과,
    프로세서와 통신하고, TCP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하는 무선 통신 회로 - 무선 통신 회로는 카메라 모듈에 의해 캡처된 비디오와 이미지를 TCP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함 - 와,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함 - 와,
    카메라 어셈블리에 의해 디지털 나침반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카메라 어셈블리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카메라 어셈블리에 의해, (i) 북마크된 객체에 대한 저장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 및 (ii) 카메라 어셈블리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에 대한 조절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와,
    TCP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북마크된 객체의 비디오를 스트림하기 위해 조절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를 스트리밍하기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북마크된 객체에 대해 저장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는 카메라 어셈블리의 원래 위치와 관련있고,
    조절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카메라 어셈블리의 현재 위치와 카메라 어셈블리의 원래 위치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조절된 카메라 뷰잉 파라키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를 스트리밍하기 위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저장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는 북마크된 객체에 대한 팬 파라미터, 틸트 파라미터 및 줌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조절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는 북마크된 객체에 대한 조절된 팬 파라미터, 조절된 틸트 파라미터 및 조절된 줌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조절된 카메라 뷰잉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는 조절된 팬 파라미터에 따라 모터에 의해 카메라 모듈을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를 스트리밍하기 위한 방법.
KR1020157031130A 2013-07-18 2014-05-28 무선 비디오 카메라 KR101655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44,919 US20150022674A1 (en) 2013-07-18 2013-07-18 Wireless video camera
US13/944,919 2013-07-18
PCT/US2014/039748 WO2015009357A1 (en) 2013-07-18 2014-05-28 Wireless video came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881A true KR20150132881A (ko) 2015-11-26
KR101655056B1 KR101655056B1 (ko) 2016-09-06

Family

ID=5116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130A KR101655056B1 (ko) 2013-07-18 2014-05-28 무선 비디오 카메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20150022674A1 (ko)
EP (1) EP2944078B1 (ko)
JP (1) JP2016527800A (ko)
KR (1) KR101655056B1 (ko)
CN (1) CN105684414A (ko)
AU (1) AU2014290798B2 (ko)
BR (1) BR112015029551A2 (ko)
CA (1) CA2900306A1 (ko)
DK (1) DK2944078T3 (ko)
HK (1) HK1220058A1 (ko)
RU (1) RU2015148763A (ko)
SG (1) SG11201506087TA (ko)
WO (1) WO2015009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3776A2 (en)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US9137459B2 (en) * 2013-10-03 2015-09-15 Olympus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generating composite image data
JP2015082807A (ja) * 2013-10-24 2015-04-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38356B2 (ja) * 2013-11-13 2018-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外部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の制御方法、外部装置の制御方法、撮像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126474A (ja) * 2013-12-27 2015-07-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撮像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システム
US9215411B2 (en) * 2014-02-03 2015-12-15 Google Inc. Enhancing video conferences
DE102014002599B3 (de) * 2014-02-24 2015-08-20 Mobotix Ag Kameraanordnung
US20150281744A1 (en) * 2014-03-31 2015-10-01 Karen Chapman Viewing system and method
US9544491B2 (en) * 2014-06-17 2017-01-10 Furuno Electric Co., Ltd. Maritime camera and control system
WO2016014601A2 (en) 2014-07-21 2016-01-28 Apple Inc. Remote user interface
CN107529009B (zh) * 2014-09-02 2020-06-30 苹果公司 远程相机用户界面
US9547419B2 (en) 2014-09-02 2017-01-17 Apple Inc. Reduced size configuration interface
US10254911B2 (en) 2015-03-08 2019-04-09 Apple Inc. Device configuration user interface
CN110769149B (zh) 2015-04-23 2021-05-11 苹果公司 用于处理来自多相机的内容的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60133328A (ko) * 2015-05-12 2016-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5049813A (zh) * 2015-08-11 2015-11-1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控制视频画面的方法、装置及终端
CN105208269B (zh) * 2015-09-17 2019-06-1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控制摄像设备定位的方法、装置及设备
US9888174B2 (en) 2015-10-15 2018-0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mnidirectional camera with movement detection
US10277858B2 (en) * 2015-10-29 2019-04-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racking object of interest in an omnidirectional video
US9757859B1 (en) * 2016-01-21 2017-09-12 X Development Llc Tooltip stabilization
US9912860B2 (en) 2016-06-12 2018-03-0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camera effects
US11112964B2 (en) 2018-02-09 2021-09-07 Apple Inc. Media capture lock affordance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463747B2 (en) 2018-04-05 2022-10-04 Tvu Network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al time control of a remote video production with multiple streams
US10966001B2 (en) 2018-04-05 2021-03-30 Tvu Networks Corporation Remote cloud-based video production system in an environment where there is network delay
US11212431B2 (en) * 2018-04-06 2021-12-28 Tvu Network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a camera in an environment with communication latency
US10887193B2 (en) 2018-06-03 2021-01-0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network connection settings of external devices
DK201870623A1 (en) 2018-09-11 2020-04-1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SIMULATED DEPTH EFFECTS
US10645294B1 (en) 2019-05-06 2020-05-0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US11770601B2 (en) 2019-05-06 2023-09-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US11128792B2 (en) 2018-09-28 2021-09-21 Apple Inc. Capturing and displaying images with multiple focal planes
US11321857B2 (en) 2018-09-28 2022-05-03 Apple Inc. Displaying and editing images with depth information
KR102393717B1 (ko) 2019-05-06 2022-05-03 애플 인크. 전자 디바이스의 제한된 동작
US11706521B2 (en) 2019-05-06 2023-07-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DK201970533A1 (en) 2019-05-31 2021-02-15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haring audio
CN111314593A (zh) * 2020-03-18 2020-06-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图像拍摄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054973B1 (en) 2020-06-01 2021-07-0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media
US11212449B1 (en) 2020-09-25 2021-12-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edia capture and manag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55182A1 (en) * 2011-12-20 2013-06-20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compensate for overshoot of a desired field of vision by a remotely-controlled image captur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823A (zh) * 1993-10-20 1996-11-13 电视会议系统公司 自适应电视会议系统
JP3315555B2 (ja) * 1995-04-07 2002-08-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制御装置
US6992702B1 (en) * 1999-09-07 2006-01-31 Fuji Xerox Co., Ltd System for controlling video and motion picture cameras
US8253750B1 (en) * 2004-02-14 2012-08-28 Nvidia Corporation Digital media processor
US20080014936A1 (en) * 2006-07-14 2008-01-17 Motorol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by recipient
JP4858525B2 (ja) * 2008-11-04 2012-01-18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制御装置及びカメラ制御方法
TWI389570B (zh) * 2009-09-01 2013-03-11 Avermedia Information Inc 視訊會議裝置及其方法
KR101072593B1 (ko) * 2010-03-02 2011-10-11 안현진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경비시스템, 무인경비서비스의 제공방법 및 무인경비시스템의 설정방법
JP5683144B2 (ja) * 2010-06-23 2015-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プログラム
US8489065B2 (en) * 2011-05-03 2013-07-16 Robert M Green Mobile device controller application for any security system
US9584774B2 (en) * 2011-10-24 2017-02-28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an image capture position of a camera
US8885057B2 (en) * 2011-12-16 2014-11-11 Logitech Europe S.A. Performing camera control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US20130321656A1 (en) * 2012-04-06 2013-12-05 Hoverfly Technologies, Inc. Wireless network connected camera position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55182A1 (en) * 2011-12-20 2013-06-20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compensate for overshoot of a desired field of vision by a remotely-controlled image captur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4078B1 (en) 2016-08-17
JP2016527800A (ja) 2016-09-08
US20150022674A1 (en) 2015-01-22
AU2014290798A1 (en) 2015-09-10
EP2944078A1 (en) 2015-11-18
HK1220058A1 (zh) 2017-04-21
CN105684414A (zh) 2016-06-15
DK2944078T3 (en) 2016-12-05
RU2015148763A (ru) 2017-05-19
SG11201506087TA (en) 2016-01-28
US20150334286A1 (en) 2015-11-19
CA2900306A1 (en) 2015-01-22
AU2014290798B2 (en) 2016-11-03
WO2015009357A1 (en) 2015-01-22
BR112015029551A2 (pt) 2017-07-25
KR101655056B1 (ko)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056B1 (ko) 무선 비디오 카메라
JP7013210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6529517B2 (ja) カメラデバイスの位置決め制御方法及び位置決め制御装置、カメラデバイス、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5925059B2 (ja)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723195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external device, image captur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ing system, and program
KR101773116B1 (ko)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촬영 방법
CN105657257A (zh) 全景照片的拍摄方法、装置、系统、移动终端及自拍杆
CN108370410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介质和信息处理系统
WO2021007764A1 (zh) 拍摄设备的控制方法、装置、手持云台及存储介质
JP2016096481A (ja) 制御装置、撮像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243883B2 (ja) リモコン雲台システム
US1029183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maging system
WO2020052440A1 (zh) 用于摄影的设备控制方法及装置
TW202011218A (zh) 用於攝影的設備控制系統及方法
JP592124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356293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5012550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623902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19403B2 (ja) 情報出力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出力方法
KR101044601B1 (ko) 감시용 카메라의 컨트롤 정보 설정 장치 및 방법
JP6702675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081894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142360A (ja) 撮像装置及び雲台装置
JP2007028222A (ja) 映像通信装置
JP2001016576A (ja) カメラ操作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