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649A - 에어로졸 용기용 토출구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용기용 토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7649A
KR20150127649A KR1020157027488A KR20157027488A KR20150127649A KR 20150127649 A KR20150127649 A KR 20150127649A KR 1020157027488 A KR1020157027488 A KR 1020157027488A KR 20157027488 A KR20157027488 A KR 20157027488A KR 20150127649 A KR20150127649 A KR 20150127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over
aerosol container
engagement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5440B1 (ko
Inventor
켄 오가타
히로카즈 시미즈
토루 토마
미츠오 후루사와
타카시 후지에
Original Assignee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7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0Closure ca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65D83/205Actuator caps, or peripheral actuator skirts,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 B65D83/206Actuator caps, or peripheral actuator skirts,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comprising a cantilevered actuator element, e.g. a lever pivoting about a living hi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8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2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for removal of clogging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2개의 스템을 갖는 에어로졸 용기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내용물의 통로를 간단히 세정할 수 있는 에어로졸 용기용 토출구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에어로졸 용기용 토출구는 2개의 스템(6)을 갖는 에어로졸 용기(2)에 장착되는 고정반(10)과, 각 스템(6)을 갖는 에어로졸 용기(2)에 장착되는 고정반(10)과, 각 스템(6)에 접속되는 2개의 연결부(47) 및 1개의 분출통(42)으로부터 토출시키는 노즐(40)과, 노즐(40)을 덮어서 고정반(10)에 결합 유지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커버 부재는 고정반(10)에 형성한 제 1 결합 구멍(17)에 결합하는 제 1 결합편(25)을 갖는 하부 커버(20)와, 하부 커버(20)에 형성한 제 2 결합 구멍(27)에 결합하는 제 2 결합편(33)을 갖는 상부 커버(30)를 구비하고, 하부 커버(20)는 힌지(ha)를 통해 지지되고 제 2 결합편(33)에 압박해서 제 2 결합 구멍(27)과의 결합을 해제하는 압박부(2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용기용 토출구{AEROSOL-CONTAINER DISCHARGE PART}
본 발명은 에어로졸 용기의 마운팅 컵에 장착되는 고정반과,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분출통을 갖는 노즐과, 노즐을 압박하는 조작부를 갖고, 고정반에 결합 유지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용기용 토출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2종류의 내용물을 별개로 수용함과 아울러 각 내용물을 토출하는 총계 2개의 스템을 갖는 에어로졸 용기에 사용되는 토출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2액 타입의 염색제나 정발제 등을 수용하는 용기로서는 좌우로 한 쌍을 이루는 에어로졸 용기와, 각 에어로졸 용기의 스템에 접속하는 2개의 연결부를 갖고, 각각의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1개의 분출통으로부터 동시에 토출하는 노즐과, 노즐을 압박하는 조작부를 형성한 캡을 구비하는 이연식 에어로졸 용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이와 같은 이연식 에어로졸 용기에 있어서는 노즐 내에 잔류한 내용물이 건조되어 막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용기에서는 내용물의 통로를 간단히 세정할 수 있도록 스템에 연결하는 통로 부재와 노즐을 갖는 헤드를 별개로 설치해서 분리 가능하게 하고, 통로 부재에 헤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손잡이 판을 설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손잡이 판은 분리가 용이해지도록 비교적 큰 사이즈가 되는 것이지만, 용기 전체의 사이즈의 대형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용기에서는 2개의 에어로졸 용기의 상호 간에 형성되는 간극에 이 손잡이 판을 수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5-41510호 공보
그런데 최근에는 1개의 용기에 2종류의 내용물을 별개로 수용함과 아울러 2개의 스템을 갖는 에어로졸 용기가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기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을 적용하면 상술한 손잡이 판이 용기의 마운팅 컵에 간섭해서 방해가 되므로 사이즈의 대형화를 피할 수 없다. 또한, 상술한 헤드 및 통로 부재는 마운팅 컵을 덮는 커버인 주통(主筒) 부재에 대하여 이것을 끼우도록 해서 상하에 부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에 개선의 여지가 남겨져 있다. 또한, 헤드 및 통로 부재를 세정할 때에는 헤드 및 통로 부재가 조립된 주통 부재를 용기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고, 또한 이 주통 부재의 내측에 손가락을 넣어서 통로 부재를 분리해야만 하여 작업에 시간을 더 필요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사이즈의 대형화를 피하면서 2개의 스템을 갖는 에어로졸 용기에 대해서 장착이 용이하며, 또한 내용물의 통로를 보다 간단히 세정할 수 있는 새로운 토출구가 요구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며, 그 목적은 2개의 스템을 갖는 에어로졸 용기에 대해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내용물의 통로를 간단히 세정할 수 있는 새로운 에어로졸 용기용 토출구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스템을 갖는 에어로졸 용기의 마운팅 컵에 장착되는 고정반과, 각 스템에 접속하는 2개의 연결부를 갖고, 각각의 스템으로부터 내용물을 그 내측에 형성한 통로를 통해서 1개의 분출통으로부터 토출시키는 노즐과, 상기 노즐을 압박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노즐을 덮어서 상기 고정반에 결합 유지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고정반의 바로 위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반에 형성한 제 1 결합 구멍에 결합하는 제 1 결합편을 갖는 하부 커버와, 상기 조작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하부 커버에 형성한 제 2 결합 구멍에 결합하는 제 2 결합편을 갖는 상부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커버는 힌지를 통해 지지되고, 상기 제 2 결합편에 압박되어서 상기 제 2 결합 구멍과의 결합을 해제하는 압박부를 갖는 에어로졸 용기용 토출구이다.
상기 노즐은 상기 연결부를 형성한 하부 부재와 상기 분출통을 설치한 상부 부재를 힌지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접속한 2개 분할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커버의 바로 위에 상기 노즐의 분출통 및 상기 조작부에 덮이는 오버 캡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버 캡은 상기 상부 커버 또는 하부 커버에 형성한 커버 볼록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캡 볼록부를 갖고, 상기 캡 볼록부를 상기 분출통의 축선을 끼우는 좌우 각각의 전방 및 후방의 4개소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에어로졸 용기에 장착되는 고정반과, 용기의 스템에 접속되는 노즐과, 노즐을 압박하는 조작부를 가짐과 아울러 노즐을 덮어서 고정반에 결합 유지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커버 부재를 고정반의 바로 위에 위치함과 아울러 고정반에 형성한 제 1 결합 구멍에 결합하는 제 1 결합편을 갖는 하부 커버와, 노즐을 압박하는 조작부를 가짐과 아울러 하부 커버에 형성한 제 2 결합 구멍에 결합하는 제 2 결합편을 갖는 상부 커버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에어로졸 용기에 대해서 고정반, 하부 커버, 노즐, 상부 커버의 순서로 모두 같은 방향(에어로졸 용기의 상방)으로부터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앞서 고정반에 대해서 하부 커버, 노즐, 상부 커버의 순서로 부착해 두고, 이것을 에어로졸 용기에 부착할 수도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주통 부재를 끼우도록 해서 상하로부터 부품을 부착하는 작업이 없어지므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커버에 힌지를 통해 지지되고, 제 2 결합편에 압박되어서 제 2 결합 구멍과의 결합을 해제하는 압박부를 형성했으므로 이 압박부를 압입함으로써 상부 커버를 분리할 수 있고, 노즐을 상방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노즐의 세정이 간단히 행해지게 된다.
노즐을 하부 부재와 상부 부재를 힌지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접속한 2개 분할 구조로 하는 경우에는 내용물의 통로를 세정하는 작업이 한층 더 행하기 쉬워진다.
상부 커버의 바로 위에 노즐의 분출통 및 조작부에 덮이는 오버 캡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조작부를 잘못 누르는 문제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의 의도하지 않는 토출을 피할 수 있고, 또한 분출통에 부착되는 먼지 등이 감소함으로써 노즐의 세정 빈도를 억제할 수 있다.
오버 캡에 상부 커버 또는 하부 커버에 형성한 커버 볼록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캡 볼록부를 형성하고, 캡 볼록부를 분출통의 축선을 끼우는 좌우 각각의 전방 및 후방의 4개소에 형성할 경우에는 오버 캡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에어로졸 용기용 토출구의 실시형태를 용기에 장착함과 아울러 오버 캡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a)는 평면도이며, 도 1(b)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a)에 나타내는 A-A를 따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오버 캡을 장착한 상태로 나타낸다.
도 3은 도 1(a)에 나타내는 B-B를 따르는 요부 확대 반단면도이며, 오버 캡을 장착한 상태로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고정반에 대하여 도 4(a)는 평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C-C를 따르는 반단면도이며, 도 4(c)는 도 4(a)의 D-D를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4(d)는 하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하부 커버에 대하여 도 5(a)는 평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E-E를 따르는 반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5(a)의 F-F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하부 커버에 대하여 도 6(a)는 하면도이며, 도 6(b)는 도 5(a)의 화살표(G)를 따르는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상부 커버에 대하여 도 7(a)는 평면도이며, 도 7(b)는 도 7(a)의 H-H를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7(c)는 도 7(a)의 I-I를 따르는 반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상부 커버에 대하여 도 8(a)는 하면도이며, 도 8(b)는 도 7(a)의 화살표(J)를 따르는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며, 도 8(c)는 도 7(a)의 화살표(K)를 따르는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노즐의 절곡 전의 상태에 대하여 도 9(a)는 평면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L-L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9(c)는 도 9(a)의 M-M을 따르는 반단면도이며, 도 9(d)는 하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나타낸 오버 캡에 대하여 도 10(a)는 평면도이며, 도 10(b)는 도 10(a)의 N-N을 따르는 반단면도이며, 도 10(c)는 도 10(a)의 O-O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나타낸 오버 캡에 대하여 도 11(a)는 하면도이며, 도 11(b)는 도 10(a)의 화살표(P)를 따르는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에어로졸 용기용 토출구의 실시형태를 용기에 장착함과 아울러 오버 캡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고, 도 1(a)는 평면도이며, 도 1(b)는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a)에 나타내는 A-A를 따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a)에 나타내는 B-B를 따르는 요부 확대 반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고정반에 대하여 도 4(a)는 평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C-C를 따르는 반단면도이며, 도 4(c)는 도 4(a)의 D-D를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4(d)는 하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하부 커버에 대하여 도 5(a)는 평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E-E를 따르는 반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5(a)의 F-F를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에 나타낸 하부 커버에 대하여 도 6(a)는 하면도이며, 도 6(b)는 도 5(a)의 화살표(G)를 따르는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며,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상부 커버에 대하여 도 7(a)는 평면도이며, 도 7(b)는 도 7(a)의 H-H를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7(c)는 도 7(a)의 I-I를 따르는 반단면도이며,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상부 커버에 대하여 도 7(a)는 하면도이며, 도 7(b)는 도 7(a)의 화살표(J)를 따르는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며, 도 7(c)는 도 7(a)의 화살표(K)를 따르는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며, 도 9는 도 1에 나타낸 노즐의 절곡 전의 상태에 대하여 도 9(a)는 평면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L-L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9(c)는 도 9(a)의 M-M을 따르는 반단면도이며, 도 9(d)는 하면도이며, 도 10은 도 2에 나타낸 오버 캡에 대하여 도 10(a)는 평면도이며, 도 10(b)는 도 10(a)의 N-N을 따르는 반단면도이며, 도 10(c)는 도 10(a)의 O-O를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2에 나타낸 오버 캡에 대하여 도 10(a)는 하면도이며, 도 10(b)는 도 10(a)의 화살표(P)를 따르는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방이란 노즐에 설치한 분출통의 출구측이며, 후방이란 분출통의 축선을 따라 전방과 반대측이다. 또한, 측방이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용기를 볼 때의 좌우 방향이다.
도 1~도 3에 있어서 부호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에어로졸 용기 토출구의 일실시형태이며, 부호 2는 토출구(1)를 장착하는 에어로졸 용기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토출구(1)는 고정반(10)과, 하부 커버(20)와, 상부 커버(30)와, 노즐(40)과, 오버 캡(50)(도 1에서는 오버 캡(50)은 생략)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커버(20) 및 상부 커버(30)로 커버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에어로졸 용기(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금속제가 되는 유저 통 형상의 용기 본체(3)에, 예를 들면 금속제가 되는 마운팅 컵(4)의 외측 가장자리를 권체(卷締)해서(권체한 부위가 환상 가장자리부(5)가 된다) 고착한 것이며, 내측에는 2종류의 내용물이 별개로 수용되어 있다. 또한, 에어로졸 용기(2)는 각각의 내용물의 수용 공간에 연결되는 총계 2개의 스템(6)을 갖고 있고, 마운팅 컵(4)의 중앙부에는 평면에서 봤을 때 트랙 형상이 되는 돌기부(7)가 2개의 스템(6)을 일괄적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돌기부(7)의 평면에서 봤을 때의 형상은 직사각형상이어도 타원형상이어도 좋다.
고정반(10)은 도 4(a)~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개략 원 형상이 되는 정상이 있는 통 형상의 상단부(12a)와, 상단부(12a)의 하단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그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수직 하강되는 중간 단차부(12b)와, 중간 단차부(12b)의 하단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그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수직 하강되는 하단부(12c)를 구비하고 있다(상단부(12a), 중간 단차부(12b), 하단부(12c)로 외벽(12)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단부(12a)의 중앙부에는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측에 개구(11)를 형성하는 내주벽(12d)을 구비하고 있다. 개구(11)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단변이 원호상이며 장변이 직선상이 되는 변형 직사각형상이 되는 것이며, 장변이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배치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11)의 장변이 길게 연장되어서 내주벽(12d)의 일부가 상단부(12a)의 주벽과 일체화되어 있다(도 4(b) 참조).
또한,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벽(12d)의 하단에는 그 내주면에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내주면 형상이 트랙 형상이 되는 위치 결정벽(13)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위치 결정벽(13)의 내주면 형상은 에어로졸 용기(2)의 돌기부(7)에 대응하는 것이며, 돌기부(7)의 형상에 맞춰서 직사각형상이나 타원형상인 것이 선택 가능하다. 위치 결정벽(13)의 장변측의 가장자리부에는 하방을 향해서 연신되는 박육 설편(14)을 형성하고 있다(본 실시형태에서는 총계 2개). 또한, 상단부(12a)에는 슬릿(15)을 설치하고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에 2개, 후방에 1개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단차부(12b)의 이면에는 하방을 향해서 연신되는 원통벽(16)을 설치하고 있고, 원통벽(16)의 내주면에는 클로부(16a)를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총계 3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중간 단차부(12b)와 하단부(12c)의 경계에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표리를 관통하는 구멍(제 1 결합 구멍)(17)을 대향 배치로 총계 2개 형성하고 있다.
하부 커버(20)는 도 5(a)~도 5(c) 및 도 6(a)~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에 있어서 개략 원판 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그 후방의 일부를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해서 돌출시킨 형상이 되는 천벽(21)(돌출시킨 부위를 돌출부(21a)라고 칭한다)과, 천벽(21)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주벽(2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주벽(22)은 후방을 제외한 하단에 있어서 천벽(21)보다 낮은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벽(23)을 통해 외주벽(24)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천벽(21)은 전방 및 후방에 있어서 단부(21b)를 구비함과 아울러 측방에 있어서 한 쌍의 상부 주벽(21c)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천벽(21)의 중앙부에는 평면에서 봤을 때 장변이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배치가 되고, 단변이 원호상이며 장변이 직선상이 되는 변형 직사각형상의 개구(21d)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벽(24)의 측방에는 하방을 향해서 연신되는 한 쌍의 제 1 결합편(25)을 설치하고 있고, 제 1 결합편(25)에는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는 클로부(25a)를 형성하고 있다. 외주벽(24)의 측방의 상하 방향 중간에는 박육상의 힌지(ha)를 통해 연결하는 한 쌍의 압박부(26)를 형성하고 있고, 그 상부에는 외주벽(24)의 표리를 관통하는 한 쌍의 구멍(제 2 결합 구멍)(27)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외주벽(24)의 내주면에는 제 2 결합 구멍(27)의 상방에 있어서 경사부(24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외주벽(24)의 외주면에는 제 2 결합 구멍(27)의 상방에 있어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커버 볼록부)(24b)(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측방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1개씩, 총계 4개)를 형성하고 있다.
상부 커버(30)는 도 7(a)~도 7(c) 및 도 8(a)~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에 개략 원판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그 후방의 일부를 노치부(31a)로 제거한 형상이 되는 천벽(31)과, 천벽(31)의 가장자리부로 이어지는 주벽(32)을 구비하고 있다. 주벽(32)은 전방에 있어서 그 하방에 노치부(32a)를 구비하고 있다(도 8(b) 참조). 또한 주벽(32)은 각 측방에 제 2 결합편(33)을 구비하고 있고, 제 2 결합편(33)은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는 클로부(33b)를 구비함과 아울러 클로부(33b)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시킨 압박 수용부(33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벽(31)의 노치부(31a)에는 박육상의 힌지(hb)를 통해 연결하고, 하방으로의 압박으로 노즐(40)로부터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조작부(34)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 조작부(34)의 상면은 천면벽(31)의 상면에 대해서 대략 동일면 상에 위치하고 있지만, 조작부(34)의 상면 위치는 천면벽(31)의 상면보다 하방측이어도, 또한 오버 캡(50)을 부착했을 때에 노즐(40)을 압입하지 않을 정도로 천면벽(31)의 상면보다 상방측이어도 좋다. 또한, 조작부(34)의 상면은 평탄 형상이지만, 촉감을 좋게 하기 위해서 그 중앙 부분을 하향으로 만곡시켜도 좋다. 또한, 천벽(31)의 이면에는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벽(35)을 설치하고 있다.
노즐(40)은 도 9(a)~도 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육상의 힌지(hc)를 통해 상부 부재(41)와 하부 부재(45)를 일체 연결한 것이며, 힌지(hc)를 따라 절곡함으로써 도 2, 도 3에 나타내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상부 부재(41)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타원형상이 되는 천벽(41a)과, 천벽(41a)의 가장자리부에 연결되는 주벽(41b)과, 주벽(41b)의 측방 하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플랜지(41c)를 구비하고 있다. 천벽(41a)에는 측면에서 봤을 때 반원형상이 되는 반원 리브(41d)를 총계 2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부 부재(41)의 전방에는 횡단면 형상이 개략 직사각형 통형상이 되는 분출통(42)을 일체 연결하고 있다. 또한, 상부 부재(41)와 분출통(42)의 연결부에는 구획벽(43)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분출통(42)의 하방에는 클로부(44)를 형성하고 있다.
하부 부재(45)는 개략 평판형상을 이루고 있고,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후방에 손잡이부(46)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하부 부재(45)의 표면에는 원통 형상의 연결부(47)를 총계 2개 형성하고 있고, 이면에는 절곡했을 때에 주벽(41b) 사이에서 연결부(47)로부터 분출통(42)의 출구까지 연결되는 통로(R)(도 3 참조)를 형성하는 환형상벽(48)과, 클로부(44)에 결합해서 절곡 자세를 유지하는 클로부(49)를 형성하고 있다.
오버 캡(50)은 도 10(a)~도 10(c) 및 도 11(a)~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개략 원판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그 전방의 일부가 단차를 갖고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천벽(51)과, 천벽(51)의 가장자리부에 연결되는 주벽(5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주벽(52)의 내주면에는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볼록부(캡 볼록부)(53)(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측방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1개씩, 총계 4개)와, 후방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한 한 쌍의 위치 결정 리브(54)를 설치하고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구성이 되는 고정반(10), 하부 커버(20), 상부 커버(30), 노즐(40) 및 오버 캡(50)에 관하여 도 2, 도 3을 참조해서 이들을 에어로졸 용기(2)에 장착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고정반(10)을 마운팅 컵(4)에 장착한다. 여기에서 도 4(a)에 나타내는 위치 결정벽(13)의 트랙 형상의 방향이 에어로졸 용기(2)의 돌기부(7)의 방향과 맞춰져 있을 경우에는 박육 설편(14)의 선단이 돌기부(7)의 하단에 접촉하는 높이까지 고정반(10)이 내려가게 되지만, 서로의 방향이 어긋나 있을 경우에는 박육 설편(14)의 선단이 돌기부(7)의 상면에 접촉해서 소정의 높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된다. 즉, 고정반(10)의 높이의 차이에 의해 양자의 방향이 맞춰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이 보다 간단해진다. 또한, 고정반(10)을 회전시키면 양자의 방향이 맞은 곳에서 고정반(10)이 하방으로 이동하므로 촉각을 갖고 위치 맞춤의 완료를 알 수도 있다. 그 후 고정반(10)을 압입하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육 설편(14)은 외측으로 절곡되고, 클로부(16a)가 환형상 가장자리부(5)에 결합된다.
이어서, 하부 커버(20)의 제 1 결합편(25)을 고정반(10)의 제 1 결합 구멍(17)에 위치 맞춤하면서 하부 커버(20)를 고정반(10)에 압입해서 양자를 결합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생략했지만, 하부 커버(20)의 이면에 도 2 및 도 4(a)에 나타낸 고정반(10)의 슬릿(15) 내에 들어가는 리브를 설치해두면 하부 커버(20)를 전후 반대 방향으로 부착하는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역 부착 방지용의 리브는 적어도 1개 설치해두면 좋다.
그 후 도 9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2, 도 3에 나타내는 상태로 절곡한 노즐(40)을 분출통(42)을 전방을 향하도록 해서 에어로졸 용기(2)의 스템(6)에 연결부(47)를 감합한다. 여기에서 노즐(40)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커버(20)에 설치한 상부 주벽(21c)의 내측에 배치되게 되지만, 상부 주벽(21c)은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의 폭(La1)이 후방의 폭(Lb1)의 폭보다 좁게 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노즐(40)은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의 폭(La2)이 후방의 폭(Lb2)의 폭보다 좁게 되어 있고, 또한 Lb2>La1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노즐(40)을 전후 반대 방향으로 부착하는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상부 커버(30)의 제 2 결합편(33)을 하부 커버(20)의 제 2 결합 구멍(27)에 위치 맞춤하면서 상부 커버(30)를 하부 커버(20)에 압입해서 양자를 결합시킨다. 여기에서, 도 5(a)에 나타내는 하부 커버(20)의 돌출부(21a)의 폭(La3)에 대하여 상부 커버(30)는 도 7(a)에 나타내는 노치부(31a)의 폭(La4)은 넓게, 도 8(b)에 나타내는 노치부(32a)의 폭(La5)은 좁게 되어 있다(La4>La3>La5). 이것에 의해 상부 커버(30)를 전후 반대 방향으로 부착하려고 해도 상부 커버(30)의 주벽(32)이 하부 커버(20)의 돌출부(21a)에 접촉하여 장착할 수 없으므로 기대한 방향으로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결합 구멍(27)의 상방에 경사부(24a)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 2 결합편(33)은 삽입 도중에 스무드하게 지름 방향 내측으로 휘게 되어 보다 작은 압입력으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30)를 장착하는 것에 있어서는 내주벽(35)을 하부 커버(20)의 상부 주벽(21c)을 따르게 할 수 있으므로 내주벽(35) 및 상부 주벽(21c)이 장착시의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그 후 오버 캡(50)을 상부 커버(30) 상에 부착한다. 여기에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 캡(50)의 캡 볼록부(53)는 하부 커버(20)의 커버 볼록부(24b)에 결합되고, 오버 캡(50)의 이면에 설치한 위치 결정 리브(54)는 상부 커버(30)의 천벽(31)에 형성한 노치부(31a)에 들어가므로 오버 캡(50)은 소정의 위치로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 볼록부(24b) 및 캡 볼록부(53)는 각 측방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1개씩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버 캡(50)은 전방, 후방 및 측방으로의 경사가 억제되고,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커버 볼록부는 상부 커버(30)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에어로졸 용기(2)에 고정반(10) 등을 부착하는 것에 있어서는 미리 고정반(10)에 대해서 하부 커버(20), 노즐(40), 상부 커버(30), 오버 캡(50)을 순차적으로 부착해 두고, 이것을 에어로졸 용기(2)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고정반(10)으로부터 상부 커버(30)까지 조립한 후 이것을 에어로졸 용기(2)에 부착하고, 그 후에 오버 캡(50)을 부착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해서 조립한 토출구를 사용해서 에어로졸 용기(2)로부터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것에는 우선 오버 캡(50)을 분리한다. 그 후 상부 커버(30)의 조작부(34)를 하방을 향해서 압입하면 조작부(34)가 노즐(40)의 반원 리브(41d)에 압박되어 노즐(40)에 연결되는 스템(6)을 누른다. 이것에 의해 2종류의 내용물은 각각의 스템(6)으로부터 동시에 분출되고, 노즐(40)의 내측에 형성되는 통로(R)를 통해서 분출통(42)의 출구로부터 토출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즐(40) 내에 설치한 구획벽(43)은 통로(R)의 상류측(통로(R)의 스템(6)측을 상류측이라고 하고, 분출통의 출구측을 하류측이라고 한다)만을 2개로 구획하고 있지만,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구획벽(43)을 분출통(42)의 출구 부근까지 연신시켜서 통로(R)의 대략 전역을 구획 영역으로 해도(즉, 1개의 분출통(42)의 내측에 2개의 통로 부분이 형성된다), 또한 상류측을 향해서 짧게 해서 본 실시형태보다 구획 영역을 좁혀도, 또한 구획벽(43)을 제거해서 구획 영역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또한, 통로(R)를 세정하는 것에 있어서는 하부 커버(20)의 압박부(26)를 지름 방향 내측으로 압입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박부(26)의 이면이 상부 커버(30)의 압박 수용부(33a)에 압박되고, 상부 커버(30)의 제 2 결합편(33)과 하부 커버(20)의 제 2 결합 구멍(27)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부 커버(30)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후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40)을 상방으로 끌어 올려서 스템(6)으로부터 분리하고, 손잡이부(46)를 연결부(47)를 향해서 경사시키면 클로부(44)와 클로부(49)의 결합이 분리되어서 노즐(40)을 열 수 있으므로 노즐(40)의 내측을 간단히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46)는 도시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노즐(40)을 열 때에 손가락 걸이가 되는 것이면 어떤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스템을 갖는 에어로졸 용기에 대해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내용물의 통로를 간단히 세정할 수 있는 새로운 에어로졸 용기용 토출구를 제공할 수 있다.
1 : 토출구 2 : 에어로졸 용기
4 : 마운팅 컵 6 : 스템
10 : 고정반 17 : 제 1 결합 구멍
20 : 하부 커버(커버 부재) 24b : 커버 볼록부
25 : 제 1 결합편 25a : 클로부
26 : 압박부 27 : 제 2 결합 구멍
30 : 상부 커버(커버 부재) 33 : 제 2 결합편
33a : 압박 수용부 33b : 클로부
34 : 조작부 40 : 노즐
41 : 상부 부재 42 : 분출통
45 : 하부 부재 46 : 손잡이부
47 : 연결부 50 : 오버 캡
53 : 캡 볼록부 ha : 힌지
hb : 힌지 hc : 힌지
R : 통로

Claims (4)

  1. 2개의 스템을 갖는 에어로졸 용기의 마운팅 컵에 장착되는 고정반과, 각 스템에 접속되는 2개의 연결부를 갖고, 각각의 스템으로부터의 내용물을 그 내측에 형성한 통로를 통해서 1개의 분출통으로부터 토출시키는 노즐과, 그 노즐을 압박하는 조작부를 갖고, 그 노즐을 덮어서 상기 고정반에 결합 유지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고정반의 바로 위에 위치하여 그 고정반에 형성한 제 1 결합 구멍에 결합하는 제 1 결합편을 갖는 하부 커버와, 상기 조작부를 가짐과 아울러 그 하부 커버에 형성한 제 2 결합 구멍에 결합하는 제 2 결합편을 갖는 상부 커버를 구비하고,
    그 하부 커버는 힌지를 통해 지지되어 그 제 2 결합편에 압박되어서 그 제 2 결합 구멍과의 결합을 해제하는 압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용 토출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연결부를 형성한 하부 부재와 상기 분출통을 설치한 상부 부재를 힌지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접속한 2개 분할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용 토출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의 바로 위에 상기 노즐의 분출통 및 상기 조작부에 덮이는 오버 캡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용 토출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 캡은 상기 상부 커버 또는 하부 커버에 설치한 커버 볼록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캡 볼록부를 갖고, 그 캡 볼록부를 상기 분출통의 축선을 끼우는 좌우 각각의 전방 및 후방의 4개소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용 토출구.
KR1020157027488A 2013-04-03 2013-11-13 에어로졸 용기용 토출구 KR101825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77932A JP5901565B2 (ja) 2013-04-03 2013-04-03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JPJP-P-2013-077932 2013-04-03
PCT/JP2013/080703 WO2014162630A1 (ja) 2013-04-03 2013-11-13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649A true KR20150127649A (ko) 2015-11-17
KR101825440B1 KR101825440B1 (ko) 2018-02-05

Family

ID=51657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488A KR101825440B1 (ko) 2013-04-03 2013-11-13 에어로졸 용기용 토출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30766B2 (ko)
EP (1) EP2982616B1 (ko)
JP (1) JP5901565B2 (ko)
KR (1) KR101825440B1 (ko)
CN (1) CN105121300B (ko)
BR (1) BR112015024485B1 (ko)
WO (1) WO2014162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1564B2 (ja) * 2013-04-03 2016-04-13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用固定盤
JP6578117B2 (ja) 2015-03-27 2019-09-18 ホーユー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JP2017030801A (ja) * 2015-07-31 2017-02-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具
JP6576147B2 (ja) * 2015-07-31 2019-09-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具
JP6914580B2 (ja) * 2015-07-31 2021-08-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USD821203S1 (en) 2015-09-21 2018-06-26 S. C. Johnson & Son, Inc. Container with cap and base
USD821201S1 (en) 2015-09-21 2018-06-26 S. C. Johnson & Son, Inc. Container with base
USD830827S1 (en) 2015-09-21 2018-10-16 S. C. Johnson & Son, Inc. Container with base
USD858288S1 (en) 2015-09-21 2019-09-03 S. C. Johnson & Son, Inc. Container with base
USD821202S1 (en) 2015-09-21 2018-06-26 S. C. Johnson & Son, Inc. Container with cap and base
JP6632305B2 (ja) * 2015-10-09 2020-01-22 花王株式会社 二剤吐出装置の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二剤吐出装置
JP6656951B2 (ja) * 2016-02-29 2020-03-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TWI641812B (zh) * 2016-10-20 2018-11-21 台灣晶技股份有限公司 Micro aerosol sensing element
JP7175646B2 (ja) 2017-10-31 2022-11-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JP7499608B2 (ja) 2020-05-15 2024-06-14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製品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1804A (en) * 1972-05-02 1974-08-27 Precision Valve Corp Aerosol safety cap
US4053090A (en) * 1974-08-22 1977-10-11 Vca Corporation Cap and valve actuator for spray dispensers
FR2658081B1 (fr) 1990-02-09 1995-06-30 Pesenti Yvan Dispositif d'automatisation et synchronisation des appareils aerosols a pompe doseuse.
US5027982A (en) * 1990-03-29 1991-07-02 S. C. Johnson & Son, Inc. Aerosol actuator and overcap assembly
FR2729926B1 (fr) * 1995-01-27 1997-03-28 Defi International Mecanisme de commande a poussoirs lateraux pour la distribution d'un produit contenu dans un recipient
JP3865193B2 (ja) * 2000-03-31 2007-01-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液用エアゾール容器
JP2001315861A (ja) * 2000-04-28 2001-11-13 Yoshino Kogyosho Co Ltd エアゾール式二液混合容器
FR2815616B1 (fr) * 2000-10-20 2003-01-24 Oreal Ensemble de distribution destine a la distribution extemporanee de deux produits
JP2002193363A (ja) * 2000-12-22 2002-07-10 Maruichi Valve Co Ltd 複数液型のエアゾールバルブ装置
JP4051412B2 (ja) * 2001-06-27 2008-02-27 株式会社カネボウ化粧品 混合注出装置
JP2003034374A (ja) * 2001-07-25 2003-02-04 Yoshida Industry Co Ltd 二剤混合吐出容器
FR2838357B1 (fr) * 2002-04-16 2005-03-25 Airlessystems Tete de distribution et poussoir incorporant une telle tete
JP3964285B2 (ja) * 2002-08-30 2007-08-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連エアゾール式混合容器
JP4243984B2 (ja) * 2003-07-25 2009-03-25 株式会社マンダム 二連エアゾール式液体噴出容器
US7178694B2 (en) * 2004-02-19 2007-02-20 Saint-Gobain Calmar Inc. Anti-clog discharge spout
US7854350B2 (en) * 2004-09-30 2010-12-21 L'oreal Distribution assembly intended for contemporaneous distribution of two products
US20070108231A1 (en) * 2005-10-06 2007-05-17 Mixtek System, Llc Dispensing device for multiple constituent systems
US7530476B2 (en) * 2006-04-10 2009-05-12 Precision Valve Corporation Locking aerosol dispenser
JP4931066B2 (ja) * 2007-03-30 2012-05-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押下げヘッド式噴出容器
FR2914963B1 (fr) * 2007-04-12 2009-07-10 Rexam Dispensing Smt Soc Par A Pompe de distribution d'un liquide contenu dans un flacon
CN101596971A (zh) * 2009-06-11 2009-12-09 鲍彩鹏 一种新型喷雾瓶
JP5674386B2 (ja) * 2010-08-31 2015-02-25 ホーユー株式会社 二液吐出器
JP5901564B2 (ja) * 2013-04-03 2016-04-13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用固定盤
JP6126917B2 (ja) * 2013-06-28 2017-05-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多連式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82616A4 (en) 2016-04-13
JP5901565B2 (ja) 2016-04-13
WO2014162630A1 (ja) 2014-10-09
KR101825440B1 (ko) 2018-02-05
JP2014201330A (ja) 2014-10-27
BR112015024485B1 (pt) 2020-12-22
US20160023839A1 (en) 2016-01-28
CN105121300B (zh) 2017-03-22
US9630766B2 (en) 2017-04-25
EP2982616A1 (en) 2016-02-10
BR112015024485A2 (pt) 2017-07-18
CN105121300A (zh) 2015-12-02
EP2982616B1 (en)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440B1 (ko) 에어로졸 용기용 토출구
US9499329B2 (en) Aerosol container nozzle and aerosol container dispenser
JP5401388B2 (ja) 二連式容器
KR101820757B1 (ko) 에어로졸 용기용 고정반
JP6126917B2 (ja) 多連式容器
JP2011213399A (ja) 二連式容器
JP6371041B2 (ja) ノズル及び吐出具
JP2017030801A (ja) 吐出具
JP6292876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肩カバー
JP2019051988A (ja) ノズルユニット、ならびにそれを備える二液吐出器
KR101827780B1 (ko) 에어로졸 용기용 어깨 커버
JP6258118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JP6362849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アクチュエータ
JP6180885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肩カバー
JP7150398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JP6051106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肩カバー
JP6117006B2 (ja) 吐出具
JP2018122894A (ja)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JP6110293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肩カバー
JP6866013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JP2018122895A (ja)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