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813A -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과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과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813A
KR20150113813A KR1020150006581A KR20150006581A KR20150113813A KR 20150113813 A KR20150113813 A KR 20150113813A KR 1020150006581 A KR1020150006581 A KR 1020150006581A KR 20150006581 A KR20150006581 A KR 20150006581A KR 20150113813 A KR20150113813 A KR 20150113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er
cosmetics
gelatin capsule
inner material
gela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9402B1 (ko
Inventor
이원목
Original Assignee
이원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목 filed Critical 이원목
Publication of KR20150113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과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젤라틴캡슐의 벽재로 사용되는 젤라틴에 0.1 내지 100㎛의 입자 크기를 갖는 탈크(talc), 운모(Mica), 실리카(silica), 카올린(kaolin), 세리사이트(sericite), 무수규산(silicic anhydride),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aluminium magnesium silicate), 보론니트레이트(boron nitrate)의 무기분체류나 폴리에틸렌분말(polyethylene powder),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나일론분말(nylon powder)의 합성고분자분체류나 이산화타이타늄(TiO2), 산화아연(ZNO)의 백색안료나 펄(pearl), 합성마이카의 복합화 미립자분체류나 스테아린산알루미늄(alumimium stearate), 스테아린산아연(zinc stearate),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과 같은 지방산 금속염류로 이루어진 화장품용 미립자 분체류의 군으로부터 선정된 1종 이상을 첨가시켜 벽재의 가압 붕괴성을 높이고 벽재에 의한 이물감을 개선토록 한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과 상기 젤라틴 캡슐의 내부물질로 이용되는 각종 오일상의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과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 조성물 {A GELATIN CAPSULE FOR COSMETICS AND RAW MATERIAL COMPOSITION FOR FUNCTIONAL COSMETICS}
본 발명은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과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젤라틴캡슐의 벽재로 사용되는 젤라틴에 0.1 내지 100㎛의 입자 크기를 갖는 탈크(talc), 운모(Mica), 실리카(silica), 카올린(kaolin), 세리사이트(sericite), 무수규산(silicic anhydride),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aluminium magnesium silicate), 보론니트레이트(boron nitrate)의 무기분체류나 폴리에틸렌분말(polyethylene powder),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나일론분말(nylon powder)의 합성고분자분체류나 이산화타이타늄(TiO2), 산화아연(ZNO)의 백색안료나 펄(pearl), 합성마이카의 복합화 미립자분체류나 스테아린산알루미늄(alumimium stearate), 스테아린산아연(zinc stearate),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과 같은 지방산 금속염류로 이루어진 화장품용 미립자 분체류의 군으로부터 선정된 1종 이상을 첨가시켜 벽재의 가압 붕괴성을 높이고 벽재에 의한 이물감을 개선토록 한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과 상기 젤라틴 캡슐의 내부물질로 이용되는 각종 오일상의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캡슐화 기술은 눈에 보이지 않는 마이크로캡슐화와 눈에 보이는 크기의 매크로캡슐화의 기술이 있으며 의약품, 식품, carbonless paper의 종이 인쇄산업, 섬유, 도료, 건축, 전자 및 화장품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로서 불안정한 캡슐 내부물질을 보호하거나 방출속도를 제어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차별화된 제품으로 다양한 제품으로 활용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용 캡슐로는 경질캡슐, 연질캡슐, 비드타입 캡슐 및 가장 얇게 제조되는 복합상분리법(complex coacervation)에 의해 제조되는 젤라틴 캡슐마저도 벽재가 두꺼워 파열이 어렵고 사용 후에는 벽재가 피부에 남아 이물감을 주는 등 그 사용감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복합상분리법에 의해 제조되어진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들은 벽재가 깨어지면서 젤라틴 캡슐내의 유효성분들이 흘러나와 피부에 작용하지만 깨어진 벽재에 의한 이물감이 생기고 사용감이 나쁘다는 문제점은 계속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의 가압 붕괴성이 높아 부드럽게 캡슐 내부물질을 피부에 바를 수 있고 캡슐의 벽재로 사용되는 젤라틴에 의한 이물감을 줄여 사용감이 개선된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상분리법으로 제조되는 일반적인 젤라틴 캡슐의 벽재를 0.1 내지 100㎛의 입자 크기를 갖는 탈크(talc), 운모(Mica), 실리카(silica), 카올린(kaolin), 세리사이트(sericite), 무수규산(silicic anhydride),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aluminium magnesium silicate), 보론니트레이트(boron nitrate)의 무기분체류나 폴리에틸렌분말(polyethylene powder),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나일론분말(nylon powder)의 합성고분자분체류나 이산화타이타늄(TiO2), 산화아연(ZNO)의 백색안료나 펄(pearl), 합성마이카의 복합화 미립자분체류나 스테아린산알루미늄(alumimium stearate), 스테아린산아연(zinc stearate),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과 같은 지방산 금속염류로 이루어진 화장품용 미립자 분체류의 군으로부터 선정된 1종 이상을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의 제조시 벽재에 혼입시켜 가압 붕괴성을 증진시키거나 캡슐 내부 물질인 오일상에 분산되어 있다가 붕괴시 작용하여 이물감과 사용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내부물질로 이용되는 여러 가지 오일상의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탈크, 운모(Mica), 이산화타이타늄(TiO2), 실리카(silica) 또는 펄(pearl) 등과 같은 화장품용 미립자 분체류를 함유시켜 젤라틴 캡슐을 제조함으로서 가압붕괴성이 좋고 사용시 캡슐에 의한 이질감을 없애고 사용성을 높여 화장품의 고급화를 이룰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은 1 ~ 20 중량%의 젤라틴, 1~20 중량%의 아라비아검(gum arabic) 및 0.01~30 중량%의 탈크, 운모(Mica), 이산화타이타늄(TiO2), 실리카(silica) 또는 펄(pearl) 등과 같은 화장품용 미립자 분체류중 선정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기술적으로 이미 알려진 복합상분리법의 원리에 의해 제조되어 진다.
젤라틴 캡슐에 혼합되는 탈크(talc), 운모(Mica), 이산화타이타늄(TiO2), 실리카(silica) 또는 펄(pearl) 등과 같은 화장품용 미립자 분체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정된 1종 이상은 1 내지 100㎛의 입자들로서 캡슐을 제조할 때의 pH는 2.5 ~ 6.5 이고, 교반속도는 100~4,000rpm로 하여 적용 제품에 맞게 교반시켜 캡슐을 제조한다.
좀 더 자세히 기술하면, 화장품용 미립자 분체류는 탈크(talc), 운모(Mica), 실리카(silica), 카올린(kaolin), 세리사이트(sericite), 무수규산(silicic anhydride),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aluminium magnesium silicate), 보론니트레이트(boron nitrate)와 같은 무기분체류 또는, 폴리에틸렌분말(polyethylene powder),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나일론분말(nylon powder)과 같은 합성고분자분체류, 이산화타이타늄(TiO2), 산화아연(ZNO)와 같은 백색안료, 펄(pearl), 합성마이카의 각종 복합화 미립자분체류, 스테아린산알루미늄(alumimium stearate), 스테아린산아연(zinc stearate),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와 같은 지방산 금속염류 등 0.1 내지 100㎛의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는 각종 미립자 분체류들이 원료 입자들은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의 제조시 벽재에 박혀(embed) 가압 붕괴성을 증진시키거나 캡슐 내부 물질인 오일상에 분산되어 있다가 붕괴시 작용하여 이물감과 사용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여러 가지 화장품용 미립자 분체류들 뿐만 아니라 0.1 내지 100㎛의 입자들로서 젤라틴 캡슐 벽재의 가압 붕괴성을 높이고 벽재에 의한 이물감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품 소재라면 국한되지 않는다.
이때, 내부물질로는 일반적으로 복합상분리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실온에서 오일상이거나 가온하면 오일상으로 전환될 수 있는 각종 버터류나 왁스류 자체로 또는 이러한 각종 버터류나 왁스류에 색조화장품용 안료나 염료를 혼합시켜 작게는 눈에 보이지 않는 크기부터 크게는 5mm가량의 내부 물질을 젤라틴으로 코팅한 각종 색상의 구형의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1)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의 제조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은 젤라틴, 아라비아검(gum arabic) 및 탈크, 운모(Mica), 이산화타이타늄(TiO2), 실리카(silica) 또는 펄(pearl) 등과 같은 화장품용 미립자 분체류의 군으로부터 선정된 1종 이상을 주된 성분으로 복합상분리법에 의해 제조되어진다.
캡슐을 제조할 때의 pH는 2.5 ~ 6.5 이고, 교반속도는 100 ~ 4,000rpm으로 하여 지속적으로 교반시켜 캡슐을 제조한다.
상시 화장품용 캡슐(10)은 1 내지 200 ㎛의 지름을 가진 마이크로캡슐과 200 ㎛ 이상의 지름을 갖는 매크로 캡슐로 분류되는데 본 발명에서의 캡슐은 이 모두를 포함한다. 색상은 유용성 내부 물질을 염료, 안료, 펄(pearl)로써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젤라틴은 콜라겐과 같이 인체를 구성하는 단백질의 일종으로 생체에 섬유상으로 존재하며 주로, 식품, 화장품원료, 수술용 봉합사, 인공 피부 등으로 사용되고 있고 생물학적 분해성을 지니고 있어 화장품에 사용시 피부의 노화 방지 역할을 기재할 수 있는 물질로 어류, 돼지, 소의 단백질 성분에서 추출할 수 있는 물질이다.
상기 아라비아검은 콩과식물인 아라비아고무나무에서 얻는 점액을 굳힌 물질, 아카시아검라고도 한다. 식품첨가물의 하나로 아이스크림이나 시럽의 안정제, 보습제, 유화제 등으로 쓴다.
상기 탈크(talc)는 규산 마그네슘의 수화물(Mg3Si4O10(OH)2)을 주성분으로 하는 백색분말로서 자연산 광물 중 경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표면의 촉감은 비누처럼 부드럽고 매끄러워 윤기있는 감촉을 부여하고, 운모(Mica)는 천연에서 생산되는 함수규산알루미늄칼륨으로 원석으로는 백운모, 금운모의 2종류가 주로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는데 부드럽고 매끄러운 감촉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이산화 타이타늄은 이산화 티타늄 또는 이산화 티탄이라고도 불리며, 화학식은 TiO2이다. 타이타늄을 공기 중에 노출시키면 쉽게 산소와 반응하여 이산화 타이타늄 피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화장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펄은 진주로서 반짝거림을 나타내기 위해 화장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물성을 이용하여 벽재 및 내부물질에 함유된 탈크, 운모(Mica), 이산화타이타늄(TiO2), 또는 펄(pearl)은 젤라틴 벽재에 박혀 캡슐을 가압시 탈크, 운모(Mica), 이산화타이타늄(TiO2), 실리카(silica) 또는 펄(pearl) 등과 같은 화장품용 미립자 분체류를 중심으로 붕괴가 쉽게 시작될 뿐 아니라 탈크, 운모(Mica), 이산화타이타늄(TiO2), 실리카(silica) 또는 펄(pearl) 등과 같은 화장품용 미립자 분체류의 물성으로 인해 부드럽고 매끄러운 촉감을 부여하기 때문에 화장품용 캡슐로 이용될 경우 이물감이나 사용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내부물질의 중량대비 0.01 내지 30%의 중량비를 갖도록 투입된다.
(실시예 2) 감광 색소 젤라틴 캡슐의 제조
감광 색소(photochromic dyes : 햇빛의 자외선 또는 전기적 UV발생장치의 자외선 등에 의해 색변환이 일어나는 색소)를 유기용매에 용해하여 실시예 1의 캡슐 제조법에 따라 벽재물질로는 젤라틴과 아라비아검 및 탈크, 운모(Mica), 이산화타이타늄(TiO2), 실리카(silica) 또는 펄(pearl) 등과 같은 화장품용 미립자 분체류를 사용하여 감광 색소를 함유하는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10)을 제조하여 기존 화장품에 분산시켜 그 색 변화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세라마이드 젤라틴 캡슐의 제조
세라마이드를 유기용매에 용해하거나 유지, 왁스, 버터, 탄화수소, 고습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고급 지방산 알코올에 함침시켜 실시예 1의 캡슐 제조법에 따라 벽재물질로는 젤라틴과 아라비아검 및 탈크, 운모(Mica), 이산화타이타늄(TiO2), 실리카(silica) 또는 펄(pearl) 등과 같은 화장품용 미립자 분체류를 사용하여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10)을 제조하여 기존 화장품에 분산시켜 피부 보호 효과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4) 버터류 젤라틴 캡슐의 제조
시어버터, 망고버터, 알로에버터, 올리브버터, 코코아버터, 커피버터, 햄프씨드버터, 아보카드버터, 카멜리아버터, 라놀린버터, 호호바버터로 이루어진 버터류 군으로부터 선정된 1종의 버터를 내부물질(20)로 사용하고 실시예 1의 캡슐 제조법에 따라 벽재물질로는 젤라틴과 아라비아검 및 탈크, 운모(Mica), 이산화타이타늄(TiO2), 실리카(silica) 또는 펄(pearl) 등과 같은 화장품용 미립자 분체류를 사용하여 버터를 함유하는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10)을 제조하여 기존 화장품에 분산시켜 피부 보호 효과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버터류의 종류는 상기에 기술된 버터류들 뿐만 아니라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어지는 모든 버터류들을 지칭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버터류 젤라틴 캡슐은 장시간의 피부 보습과 광택과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캡슐의 벽재로 코팅되지 않는 유화된 일반 버터류 자체가 분산된 종래의 화장품이 유통 중 온도 변화에 따라 버터의 융점 이상이 지속되면 응집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버터류에 향(香)을 혼합할 경우 향이 버터류에 함침되어 향의 방출성을 조절할 수 있어 향을 오래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향이 혼합된 버터류는 굳이 캡슐의 내부물질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향의 방출성을 조절할 수 있어 향을 오래 지속시킬 수 있다.
이때, 벽재물질로 사용되는 물질 중 하나인 탈크, 운모(Mica), 이산화타이타늄(TiO2), 실리카(silica) 또는 펄(pearl) 등과 같은 화장품용 미립자 분체류는 미량을 투입하거나 생략하여도 내부물질인 버터류의 특성으로 인하여 부드럽고 매끈한 느낌을 어느 정도까지는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 색조화장품용 젤라틴 캡슐의 제조
실시예 4의 버터류 및 오일류에 색조화장품에 사용되는 파우더상의 원료인 안료(pigment), 염료(dye)와 같은 착색료, 또는 펄(Pearl, 운모에 이산화티탄(Tio2) 입자를 피복처리하여 반짝이는 효과를 주는)을 사용하여 색조화장용 원료를 제조하고, 이 원료를 내부물질(20)로 하여 화장품용 상기의 복합상분리법에 의해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10)을 제조하였다. 성상은 여러 가지 색상의 구형의 버터류에 젤라틴이 코팅된 20㎛ ~ 6,000㎛크기의 구형 화장품용 캡슐이다.
상기 오일류는 시어버터, 망고버터, 알로에버터, 올리브버터, 코코아버터, 커피버터, 햄프씨드버터, 아보카드버터, 카멜리아버터, 라놀린버터, 호호바버터, 왁스, 바셀린, 고급알코올, 탄화수소, 고급지방산 에스테르, 에스테르류, 지방산, 고급 지방산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또는 1종 이상을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10 내지 70℃의 융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5℃의 융점을 갖는 것을 선정한 후 안료나 염료의 착색료를 투입하여 원하는 색상의 색조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상기 색조화장품에 사용되는 파우더상의 원료들은 안료나 염료 또는 지방산의 금속염이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성, 퍼짐성, 부착성, 흡수성, 밀착성, 광택과 같은 화장품의 기본적인 형태를 위해 탈크, 카오린,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마그네슘, 무수규산, 자외선 차단제와 같은 체질 안료, 아미노산, 셀룰로오스와 같은 천연 유기분체, 폴리에틸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나이론 분체와 같은 합성 고분자 분체 등이 사용되며, 기본적인 커버력을 위한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같은 백색 안료가 사용되고, 색조를 나타내는 분체로서 뱅갈라, 황색산화철, 적색산화철 같은 산화철류와 군청[群靑]과 같은 무기착색 안료 및 타르색소가 사용된다.
또한, 버터류는 일정한 온도에서 고상, 액상을 반복하는 물질들로서 화장품에 사용되는 버터류는 좋은 사용감을 위해 넓은 온도 범위의 융점을 가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런 화장품용 버터류의 일반적인 물성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버터류들을 내부물질로 제조되는 젤라틴이 코팅된 캡슐은 피부에 도포 될 때 입자의 크기가 커 사용감이 좋지 않을 염려가 있다. 특히, 겨울철의 낮은 온도에서 보관 될 때에는 이런 현상이 더 심해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버터류에 1% ~ 95%의 실온에서 액상으로 존재하는 오일을 상기 버터류에 혼합하여 내부 물질로 사용하면 융점의 강하로 인해 사용감을 훨씬 더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버터류의 내부물질에 펄(운모에 이산화티탄(Tio2) 입자를 피복처리하여 반짝이는 효과를 주는), mica, tio2,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는 다양한 기능성 첨가제, 미백제, 주름개선제, 자외선차단제 등을 첨가 할 수 있다.
이때, 벽재물질로 사용되는 물질 중 하나인 탈크, 운모(Mica), 이산화타이타늄(TiO2), 실리카(silica) 또는 펄(pearl) 등과 같은 화장품용 미립자 분체류는 미량을 투입하거나 생략하여도 내부물질의 특성으로 인하여 부드럽고 매끈한 느낌을 어느 정도까지는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6) 액정물질(liquid crystal) 젤라틴 캡슐의 제조
액체가 갖는 유동성과 결정이 갖는 광학이방성을 겸비한 액상인 액정물질(주로 콜레스테릭액정)을 실시예 1에 따라 벽재물질로는 젤라틴과 아라비아검 및 탈크, 운모(Mica), 이산화타이타늄(TiO2), 실리카(silica) 또는 펄(pearl) 등과 같은 화장품용 미립자 분체류를 사용하여 액정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을 제조하여 기존 화장품에 분산시켜 그 색 변화 및 콜레스트릭 액정의 피부에 유용한 성분들을 이용할 수 있다.
10: 캡슐 20: 내부물질

Claims (16)

  1. 젤라틴, 아라비아검(gum arabic) 및 탈크(talc), 운모(Mica), 실리카(silica), 카올린(kaolin), 세리사이트(sericite), 무수규산(silicic anhydride),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aluminium magnesium silicate), 보론니트레이트(boron nitrate)의 무기분체류나 폴리에틸렌분말(polyethylene powder),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나일론분말(nylon powder)의 합성고분자분체류나 이산화타이타늄(TiO2), 산화아연(ZNO)의 백색안료나 펄(pearl), 합성마이카의 복합화 미립자분체류나 스테아린산알루미늄(alumimium stearate), 스테아린산아연(zinc stearate),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과 같은 지방산 금속염류로 이루어진 화장품용 미립자 분체류의 군으로부터 선정된 1종 이상을 주성분으로 복합상분리법에 의해 제조된 캡슐(10)과 내부에는 오일상의 내부물질(20)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물질은 감광 색소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물질은 세라마이드(ceramide)을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물질은 액정물질(liquid cryst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물질은 유지, 왁스류, 버터류, 탄화수소, 고급지방산 에스테르류, 지방산, 고급 지방산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정된 1종 또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터류는 시어버터, 망고버터, 알로에버터, 올리브버터, 코코아버터, 커피버터, 햄프씨드버터, 아보카드버터, 카멜리아버터, 라놀린버터, 호호바버터 중 선정된 1종 또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
  7. 젤라틴, 아라비아검(gum arabic) 및 제1항에 기재된 화장품용 미립자 분체류의 군으로로부터 선정된 1종 이상을 주성분으로 복합상분리법에 의해 제조되고 내부물질은 유지, 왁스류, 버터류, 탄화수소, 고급지방산 에스테르류, 지방산, 고급 지방산 알코올,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정된 1종 또는 1종 이상의 기제에 색조화장품용 안료 또는 염료를 분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원료 조성물.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내부 물질에는 내부 물질의 사용감 증진을 목적으로 내부 물질에 혼합되는 실온 상태의 액상 오일류가 혼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내부 물질에는 펄, mica, tio2, 기능성 첨가제, 미백제, 주름개선제, 자외선차단제, 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정된 1종 또는 1종 이상이 더 혼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내부 물질에는 펄, mica, tio2, 기능성 첨가제, 미백제, 주름개선제, 자외선차단제, 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정된 1종 또는 1종 이상이 더 혼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
  11. 젤라틴, 아라비아검(gum arabic)을 혼합하여 복합상분리법에 의해 제조되고 내부에는 내부물질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에 있어서 상기 내부물질은 유지, 왁스류, 버터류, 탄화수소, 고급지방산 에스테르류, 지방산, 고급 지방산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정된 1종 또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터류는 시어버터, 망고버터, 알로에버터, 올리브버터, 코코아버터, 커피버터, 햄프씨드버터, 아보카드버터, 카멜리아버터, 라놀린버터, 호호바버터 중 선정된 1종 또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
  13. 젤라틴, 아라비아검(gum arabic)을 혼합하여 복합상분리법에 의해 제조되고 내부물질은 유지, 왁스류, 버터류, 탄화수소, 고급지방산 에스테르류, 지방산, 고급 지방산 알코올,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정된 1종 또는 1종 이상의 기제에 색조화장품용 안료 또는 염료를 분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원료 조성물.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내부 물질에는 내부 물질의 사용감 증진을 목적으로 내부 물질에 혼합되는 실온 상태의 액상 오일류가 혼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내부 물질에는 펄, mica, tio2, 기능성 첨가제, 미백제, 주름개선제, 자외선차단제, 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정된 1종 또는 1종 이상이 더 혼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내부 물질에는 펄, mica, tio2, 기능성 첨가제, 미백제, 주름개선제, 자외선차단제, 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정된 1종 또는 1종 이상이 더 혼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
KR1020150006581A 2014-03-31 2015-01-14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과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 조성물 KR101589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7584 2014-03-31
KR1020140037584 2014-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813A true KR20150113813A (ko) 2015-10-08
KR101589402B1 KR101589402B1 (ko) 2016-01-27

Family

ID=5434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581A KR101589402B1 (ko) 2014-03-31 2015-01-14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과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40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6408A (zh) * 2016-03-16 2016-07-27 千草万木(北京)科技有限公司 植物提取物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以及卸妆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00087449A (ko) * 2019-01-11 2020-07-21 한국콜마주식회사 수용성 추출물이 흡수된 화장용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190017A1 (ko) * 2019-03-19 2020-09-24 ㈜아모레퍼시픽 색소 담지 캡슐 조성물
KR102195983B1 (ko) * 2019-08-28 2020-12-30 주식회사 비제이바이오켐 실리카 세라마이드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23210B1 (ko) * 2019-08-28 2021-03-08 주식회사 비제이바이오켐 실리카 세라마이드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10045680A (ko) * 2019-10-17 2021-04-27 주식회사 코스온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73918A (ko) 2019-12-11 2021-06-21 장인상 코즈메틱 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12130A (ko) * 2020-07-22 2022-02-03 김재용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플러린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원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25910A1 (en) * 2011-11-18 2013-05-23 Avon Products, Inc. Use of Electrophoretic Microcapsules in a Cosmetic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25910A1 (en) * 2011-11-18 2013-05-23 Avon Products, Inc. Use of Electrophoretic Microcapsules in a Cosmetic Compositio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6408A (zh) * 2016-03-16 2016-07-27 千草万木(北京)科技有限公司 植物提取物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以及卸妆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796408B (zh) * 2016-03-16 2019-04-02 千草万木(北京)科技有限公司 植物提取物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以及卸妆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00087449A (ko) * 2019-01-11 2020-07-21 한국콜마주식회사 수용성 추출물이 흡수된 화장용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286574A (zh) * 2019-01-11 2021-08-20 韩国科玛株式会社 包含吸收水溶性提取物的化妆用胶囊的化妆品组合物
WO2020190017A1 (ko) * 2019-03-19 2020-09-24 ㈜아모레퍼시픽 색소 담지 캡슐 조성물
KR20200111489A (ko) * 2019-03-19 2020-09-29 (주)아모레퍼시픽 색소 담지 캡슐 조성물
KR102195983B1 (ko) * 2019-08-28 2020-12-30 주식회사 비제이바이오켐 실리카 세라마이드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23210B1 (ko) * 2019-08-28 2021-03-08 주식회사 비제이바이오켐 실리카 세라마이드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10045680A (ko) * 2019-10-17 2021-04-27 주식회사 코스온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73918A (ko) 2019-12-11 2021-06-21 장인상 코즈메틱 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05615A (ko) 2019-12-11 2022-01-13 장인상 코즈메틱 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12130A (ko) * 2020-07-22 2022-02-03 김재용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플러린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원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402B1 (ko)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402B1 (ko)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과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 조성물
JP4647494B2 (ja) 黒色系光輝顔料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塗料組成物、樹脂組成物およびインキ組成物
RU2124882C1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макияжа кож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продукт для макияжа кожи
JP3702742B2 (ja) 真珠光沢顔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真珠光沢顔料を配合した化粧料
JP5374148B2 (ja) 鱗片状ガラスが配合された化粧料
JP2001511435A (ja) 凝集基体を含む化粧組成物
JP2007077087A (ja) 真珠光沢顔料
JPH09504291A (ja) 着色剤を含むボディーパウダー
JP2014101343A (ja) 睫用化粧料
JP6905726B2 (ja) 固形粉末化粧料及び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CN107205906B (zh) 彩妆化妆品
JP2007056086A (ja) 顔料内包セルロースパウダー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樹脂および塗料
JP5908711B2 (ja) 油性固形化粧料
JP7098384B2 (ja) 粉末化粧料
JP2008247844A (ja) スティック状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7081784B2 (ja) 固形粉末化粧料及び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JP3770583B2 (ja) 油性化粧料
JP2005330210A (ja) 粉体固形化粧料
JP5767000B2 (ja) 油中水型化粧料
JP6096525B2 (ja) 被覆粉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メイクアップ化粧料
WO2019159722A1 (ja) 固形粉末化粧料
JP5213595B2 (ja) 油性睫用化粧料
TW201900143A (zh) 水中油型乳化化妝料
TW201900142A (zh) 水中油型乳化組合物
JP2018172364A (ja) 粉末状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