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355A - 단말기 - Google Patents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06355A KR20150106355A KR1020150032552A KR20150032552A KR20150106355A KR 20150106355 A KR20150106355 A KR 20150106355A KR 1020150032552 A KR1020150032552 A KR 1020150032552A KR 20150032552 A KR20150032552 A KR 20150032552A KR 20150106355 A KR20150106355 A KR 201501063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leg portion
- mounting hole
- center
- printed wi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6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for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PLC] for automation or industrial process control
- H05K7/1468—Mechanical features of input/output (I/O) modules
- H05K7/1469—Terminal blocks for connecting sens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4—Conductive members located under head of scr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단자판(71)은 주부(73)와, 주부(73)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레그부(74) 및 제 2 레그부(75)를 갖고, 또한 제 1 레그부(74)가 제 2 레그부(75)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단자판(71)이 기체(40)에 장착되어, 주부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 단자판(71)의 나사 구멍(76)의 중심이 제 1 장착 구멍(481)의 중심과 제 2 장착 구멍(482)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에 대해 벗어나도록 되어 있다. 기체(40)는, 제 1 레그부(74)가 삽입 통과되는 제 1 장착 구멍(481)과, 제 2 레그부(75)가 삽입 통과되는 제 2 장착 구멍(482)과, 단자 나사(72)가 삽입되는 오목부(47)가 외벽에 마련된다. 제 1 장착 구멍(481)과 제 2 장착 구멍(482)과 오목부(47)는 오목부(47)의 중심(470)을 축으로 회전 대칭이 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프린트 배선판(60)은 제 1 장착 구멍(481)에 삽입 통과되는 제 1 레그부(7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3월 11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4-047998 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일본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송 처리 장치와 조작용 단말기와 제어용 단말기가 2개의 신호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에서는, 각 조작용 단말기와 제어용 단말기에는 고유의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다.
조작용 단말기는 복수 개의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의 압하 등의 상태의 변화에 따라서, 그 정보를 조작 데이터로서 전송 처리 장치에 송신한다.
전송 처리 장치는 조작용 단말기와 제어용 단말기를 개별적으로 액세스하며, 조작용 단말기로부터의 조작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전송 처리 장치는 조작 데이터를 발생한 조작용 단말기와 어드레스에 의한 대응 관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어용 단말기에 대해 제어 데이터를 송신한다.
제어용 단말기는 릴레이를 내장하고 있으며, 전송 처리 장치로부터 제어용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릴레이를 오프(off) 또는 온(on)하여 부하를 제어한다.
조작용 단말기 및 제어용 단말기(이하, 양자를 "단말기"로 약칭함)는 전송 신호 등을 송수신하는 송수신 회로부와, 스위치의 조작 상태를 감시하거나 릴레이의 제어 등을 실시하는 단말 처리부와, 합성수지제의 기체 등을 구비한다. 또한, 단말 처리부나 송수신 회로부는 프린트 배선판에 집적 회로 등이 실장됨으로써 실현된다.
기체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합성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린트 배선판을 내부에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기체는 후면측의 벽(후벽)에 한쌍의 단자 장착부가 마련된다. 단자 장착부는 신호선용의 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2개의 장착 구멍과, 2개의 장착 구멍의 사이에, 바닥을 갖는 원통의 오목부가 마련된다. 단자는 이른바 나사 단자이며, 단자판과 단자 나사로 구성된다.
단자판은 직사각형의 주부(主部)와 한쌍의 레그부(leg portion)를 갖는다. 한쪽 레그부(제 1 레그부)는, 예컨대 리드선을 거쳐서 프린트 배선판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른쪽 레그부(제 2 레그부)는 단자를 기체에 고정하기 위해, 또한 프린트 배선판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리드선은 프린트 배선판의 소정의 위치와 제 1 레그부를 접속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제 1 레그부측의 장착 구멍(제 1 장착 구멍)에 제 2 레그부가 삽입 통과되며, 제 2 레그부측의 장착 구멍(제 2 장착 구멍)에 제 1 레그부가 삽입 통과되어 버리면, 리드선의 길이가 모자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리드선의 길이를 길게 해 버리면, 여유 길이분의 처리에 시간이 걸리게 된다.
즉, 제 1 레그부는 제 1 장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며, 제 2 레그부는 제 2 장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종래예에 있어서의 단자판의 주부는 레그부와 연결되어 있는 변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직선에 대해 선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판을 180도 반전시킨 상태에서도 기체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예에서는, 조립시, 작업자에 의해 단자판이 기체에 역방향으로 장착될 가능성이 있다. 단자판을 역방향으로 장착해버리면, 단자판과 프린트 배선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사유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단말기로서, 신호선이 접속되는 단자와,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프린트 배선판과, 상기 프린트 배선판을 수납하는 기체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는 단자판과 단자 나사로 구성되고, 상기 단자판은 나사 구멍을 갖는 주부와, 상기 주부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레그부 및 제 2 레그부를 갖고, 또한 상기 제 1 레그부가 상기 제 2 레그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체는, 상기 제 1 레그부가 삽입 통과되도록 구성된 제 1 장착 구멍과, 상기 제 2 레그부가 삽입 통과되도록 구성된 제 2 장착 구멍과, 상기 단자 나사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외벽에 마련되고, 상기 프린트 배선판은 상기 제 1 장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는 상기 제 1 레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자판이 상기 기체에 장착되어, 상기 주부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단자판의 상기 나사 구멍의 중심이 상기 제 1 장착 구멍의 중심과 상기 제 2 장착 구멍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에 대해 벗어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단말기는, 단자판이 나사 구멍의 중심을 통과하는 회전축에 대해 회전 대칭이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단자판이 실수로 180도 반전시킨 상태에서 기체에 장착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조립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실시형태의 내부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자판을 도시하는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자판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체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단말기가 이용되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실시형태의 내부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자판을 도시하는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자판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체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단말기가 이용되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첨부 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구현예가 도시되는데, 이는 단지 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있어서, 유사한 도면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의 조작용 단말기에,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본 실시형태의 조작용 단말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실시형태의 조작용 단말기가 이용되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은 전송 처리 장치(81)와 조작용 단말기(20)와 제어용 단말기(82)로 구성된다. 전송 처리 장치(81)에는, 스위치(61)의 조작 상태를 감시하는 조작용 단말기(20)와, 부하(821)를 제어하는 복수 개의 제어용 단말기(82)가 2선식의 신호선(83)을 거쳐서 접속된다. 조작용 단말기(20)와 제어용 단말기(82)에는 각각 고유의 어드레스가 설정되며, 이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전송 처리 장치(81)가 조작용 단말기(20)와 제어용 단말기(82)를 개별적으로 인식한다.
전송 처리 장치(81)는 신호선(83)을 거쳐서, 조작용 단말기(20) 및 제어용 단말기(82)와의 사이에서 시분할 다중식의 전송 신호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조작용 단말기(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택트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스위치(61)를 구비한다. 그리고, 조작용 단말기(20)는, 어느 하나의 스위치(61)가 조작되면, 상기 전송 신호에 의해 전송 처리 장치(81)에 조작 데이터를 전송한다.
전송 처리 장치(81)는, 조작용 단말기(20)로부터 조작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조작용 단말기(20)의 어드레스를 탐색하여 조작용 단말기(20)의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전송 처리 장치(81)는 조작용 단말기(20)의 어드레스 및 스위치(61)의 번호와 제어용 단말기(82)의 어드레스 및 부하(821)의 번호와의 대응 관계를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전송 처리 장치(81)는, 조작용 단말기(20)의 어드레스를 획득하면, 조작된 스위치(61)의 번호에 대응하는 부하(821)를 접속한 제어용 단말기(82)에 제어 데이터를 송신한다. 제어용 단말기(82)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 데이터로 지시된 번호의 부하(821)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조작용 단말기(20)의 회로 구성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조작용 단말기(20)는 단말 처리부(91), 송수신 회로부(92), 스위치 입력 회로부(93) 등을 구비한다. 송수신 회로부(92)는 단자(70)를 거쳐서 신호선(83)에 접속되며, 조작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스위치 입력 회로부(93)는 스위치(61)를 구비하며, 스위치(61)가 조작되었을 때에 조작된 스위치(61)의 조작 상태를 단말 처리부(91)에 전한다. 단말 처리부(91)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전용의 집적 회로로 이루어진다. 단말 처리부(91)는 스위치 입력 회로부(93)로부터 스위치(61)가 조작된 것이 전해지면, 송수신 회로부(92)로부터 신호선(83)을 거쳐서 전송 신호를 송신하여, 전송 처리 장치(81)에 통지한다.
이어서, 조작용 단말기(20)의 구조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 있어서 상하 좌우 전후의 각 방향을 규정한다.
조작용 단말기(20)는 기체(40), 프린트 배선판(60), 단자(70), 화장 커버(50) 등을 구비한다. 기체(40)는 바디(401)와 커버(402)로 구성된다.
바디(401)는 합성수지에 의해 전면이 개구된 대략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디(401)의 바닥벽에는, 제 1 장착 구멍(481)과 제 2 장착 구멍(482)과 오목부(47)로 이루어지는 단자 장착부가 2개 마련된다. 즉, 바디(401)의 바닥벽의 후면에는, 신호선(83)을 접속하는 2조의 단자(70)가 장착된다(도 6 참조). 제 1 장착 구멍(481)과 제 2 장착 구멍(482)은 상하 방향으로 기다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제 1 장착 구멍(481)과 제 2 장착 구멍(482) 사이에는 원통 형상의 오목부(47)가 마련된다. 오목부(47)는 바디(401)의 바닥벽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바닥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5 참조).
바디(401)의 바닥벽의 전면에는 6개의 리브(43)가 마련되어 있다. 바디(401)의 중심 부근의 리브(43)를 제외한 5개의 리브(43)는 선단에 단차부(431)가 마련되어 있다. 프린트 배선판(60)은 단차부(431)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프린트 배선판(60)은 바디(401)에 마련된 정지판(43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나아가, 프린트 배선판(60)은 바디(401)의 중심 부근의 리브(43)에 마련되는 나사 구멍(433)에 나사 고정된다.
상기 단자 장착부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47)의 중심(470)과 제 1 장착 구멍(481)의 중심 및 제 2 장착 구멍(482)의 중심이, 오목부(47)의 중심(470)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49) 상에 나열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단자 장착부는 오목부(47)의 중심(470)을 축으로 회전 대칭이 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커버(40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에 의해 후면이 개구된 대략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402)의 바닥벽의 전면(前面)에는 돌출부(44)가 전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부(44)의 전방벽에는, 대략 장방형의 핸들(4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45)은 기체(40)를 조립한 상태에서 스위치(61)의 누름 버튼(611)에 각각 대향하여 배치된다. 즉, 핸들(45)이 눌림으로써 스위치(61)의 누름 버튼(611)이 가압 조작된다.
커버(402)는 양단 가장자리의 4개소에 조립 클로(411)를 구비한다. 한편, 보디(401)는 조립 클로(411)에 대응하여, 좌우 양측면에 4개의 조립 구멍(42)을 구비한다. 보디(401)와 커버(402)는 조립 클로(411)와 조립 구멍(42)이 끼워 맞춰져서 결합함으로써 기체(40)를 구성한다.
또한, 커버(402)는 좌우 양측면에 각각 2쌍의 걸림고정 클로(412)를 구비한다. 기체(40)는 이들 걸림고정 클로(412)를 이용하여 장착 프레임(8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도 6 참조). 또한, 장착 프레임(80)은 종래 주지로서, 매립형의 배선 기구를 매립 배설하도록 구성된다.
프린트 배선판(60)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전면에 4개의 스위치(61)가 실장되며, 후면에 단말 처리부(91), 송수신 회로부(92) 등이 실장되어 있다.
화장 커버(50)는 합성수지에 의해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4개의 핸들(45)이 각각 별개로 삽입 통과되는 4개의 개구부(501)가 상하로 나란하게 마련된다. 화장 커버(50)는 배면의 4개소로부터 수직으로 마련된 걸림편(53)을 구비한다. 걸림편(53)은 커버(402)의 바닥벽의 돌출부(44)의 측면에 마련된 돌기부(46)에 걸린다. 따라서, 화장 커버(50)는 커버(402)의 바닥벽의 전방으로 돌출 설치된 돌출부(44)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화장 커버(50)의 전면(502)에는, 예컨대 멤브레인 시트 등의 투명재로 형성된 명판(51)이 부착된다. 또한, 네임 카드(도시하지 않음)는 커버(402)의 돌출부(44)에 일체 형성된 핸들(45)의 전면에 장착되며, 명판(51)과 핸들(45) 사이에 끼워진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단자(70)의 장착 구조에 대해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자(70)는 단자판(71)과 단자 나사(72)로 구성된다. 단자판(71)은, 금속 재료에 의해, 주부(73)와 제 1 레그부(74)와 제 2 레그부(7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주부(7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중심에 나사 구멍(76)이 마련된다. 제 1 레그부(74) 및 제 2 레그부(75)는 주부(73)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각각 주부(73)의, 보디(401)에 장착되는 면에 대해 수직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 1 레그부(74)는 제 1 연결편(741)과, 제 1 빠짐방지편(742)과, 접속편(743)을 구비한다. 제 1 연결편(741)은 주부(73)의 한 변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빠짐방지편(742)은 제 1 연결편(741)과 접속편(743) 사이에 마련된다. 또한, 제 1 빠짐방지편(742)에는, 제 1 연결편(741)과 접속편(743)과의 경계에 2개소 절결부가 형성된다. 제 1 빠짐방지편(742)은, 이러한 절결부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오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접속편(743)은 일부가 절결된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레그부(75)는 제 2 연결편(751)과 제 2 빠짐방지편(752)을 구비한다. 제 2 연결편(751)은 주부(73)의, 제 1 연결편(741)이 마련되는 변과 반대측의 변으로부터 수직으로 제 1 레그부(74)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빠짐방지편(752)은 제 2 연결편(751)과의 경계에 절결부가 형성된다. 제 2 빠짐방지편(752)은, 이러한 절결부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오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레그부(75)는 접속편을 가지지 않으므로, 제 1 레그부(74)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레그부(74)는 제 1 빠짐방지편(742)이 바디(401)의 바닥벽의 전면측에 도달하는 위치까지 제 1 장착 구멍(481)에 삽입된다. 한편, 제 2 레그부(75)는 제 2 빠짐방지편(752)이 바디(401)의 바닥벽의 전면측에 도달하는 위치까지 제 2 장착 구멍(482)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 1 빠짐방지편(742)과 제 2 빠짐방지편(752)의 외측으로 밀려나와 있는 부분이 바디(401)의 바닥벽의 전면에 걸림으로써, 제 1 레그부(74)와 제 2 레그부(75)가 바디(401)에 대해 빠짐 방지된다(도 4 참조).
단자 나사(72)는 단자판(71)의 나사 구멍(76)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단자 나사(72)의 나사부(몸통부)는 바디(401)의 오목부(47)에 삽입된다(도 5 참조).
제 1 레그부(74)는 리드선을 거쳐서 프린트 배선판(60)의 도체(동박)에 접속된다. 이 경우, 리드선은 프린트 배선판(60)의 소정의 위치와 접속편(743)을 접속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단자판(71)을 180도 반전시킨 상태에서 기체(40)에 삽입하면, 리드선의 길이가 부족하여, 제 1 레그부(74)와 프린트 배선판(6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리드선의 길이를 길게 해 버리면, 여유 길이분의 처리에 시간이 걸리게 된다.
즉, 제 1 레그부(74)는 제 1 장착 구멍(481)에 삽입 통과되며, 제 2 레그부(75)는 제 2 장착 구멍(482)에 삽입 통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 기재의 종래예(조작용 단말기)의 단자에서는, 단자판이 단자 나사의 중심을 통과하는 회전축에 대해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자판을 180도 반전시킨 상태에서도 기체에 장착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자(7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에서 본 나사 구멍(76)의 중심과 제 1 연결편(741)의 중심과 제 2 연결편(751)의 중심이, 나사 구멍(76)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77) 상에 나열되지 않도록 단자판(71)이 형성된다. 즉, 단자판(71)은 단자 나사(72)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 대칭이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자 나사(72)는 나사 구멍(76)과 바디(401)의 오목부(47)에 중첩되며, 그 중첩된 개소에 나사 결합된다. 이 경우, 제 1 레그부(74)는 제 1 장착 구멍(481)에, 제 2 레그부(75)는 제 2 장착 구멍(482)에만 삽입 통과된다. 단자판(71)을 18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단자(70)는 바디(401)에 장착할 수 없다.
또한, 제 1 레그부(74)는 프린트 배선판(60)의 소정의 위치에 마련된 스루홀에 삽입되며, 또한 납땜되어 프린트 배선판(60)과 접속되어도 좋다. 이 경우도, 역방향으로 삽입되는 문제를 회피할 필요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단말기(조작용 단말기(20))는 신호선(83)이 접속되는 단자(70)와, 단자(7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프린트 배선판(60)과, 프린트 배선판(60)을 수납하는 기체(40)를 구비한다. 단자(70)는 단자판(71)과 단자 나사(72)로 구성된다. 단자판(71)은 나사 구멍(76)을 갖는 주부(73)와, 주부(73)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레그부(74) 및 제 2 레그부(75)를 갖는다. 제 1 레그부(74)는 제 2 레그부(75)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기체(40)는, 제 1 레그부(74)가 삽입 통과되는 제 1 장착 구멍(481)과, 제 2 레그부(75)가 삽입 통과되는 제 2 장착 구멍(482)과, 단자 나사(72)가 삽입되는 오목부(47)가 외벽(바닥벽)에 마련된다. 프린트 배선판(60)은 제 1 장착 구멍(481)에 삽입 통과되는 제 1 레그부(7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단자판(71)은 나사 구멍(76)의 중심을 통과하는 회전축에 대해 회전 대칭이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단자판이 기체에 장착되어, 주부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 단자판의 나사 구멍의 중심이 제 1 장착 구멍의 중심과 제 2 장착 구멍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에 대해 벗어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단말기에서는, 단자(70)가 180도 반전된 상태에서는 기체(40)에 장착되는 것이 불가능하며, 그 결과, 조립성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최선예로 여겨지는 것 및/또는 기타 예들에 대해 기술했지만, 다양한 변형예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과,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은 다양한 형태 및 예로 실시될 수도 있는 것과, 이들은 수많은 응용예(그 중 일부만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음)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20 : 조작용 단말기
40 : 기체
47 : 오목부 481 : 제 1 장착 구멍
482 : 제 2 장착 구멍 60 : 프린트 배선판
70 : 단자 71 : 단자판
72 : 단자 나사 73 : 주부
74 : 제 1 레그부 75 : 제 2 레그부
76 : 나사 구멍
47 : 오목부 481 : 제 1 장착 구멍
482 : 제 2 장착 구멍 60 : 프린트 배선판
70 : 단자 71 : 단자판
72 : 단자 나사 73 : 주부
74 : 제 1 레그부 75 : 제 2 레그부
76 : 나사 구멍
Claims (1)
- 단말기에 있어서,
신호선이 접속되는 단자와,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프린트 배선판과, 상기 프린트 배선판을 수납하는 기체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는 단자판과 단자 나사로 구성되고,
상기 단자판은 나사 구멍을 갖는 주부와, 상기 주부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레그부 및 제 2 레그부를 갖고, 또한 상기 제 1 레그부가 상기 제 2 레그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체는, 상기 제 1 레그부가 삽입 통과되도록 구성된 제 1 장착 구멍과, 상기 제 2 레그부가 삽입 통과되도록 구성된 제 2 장착 구멍과, 상기 단자 나사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외벽에 마련되고,
상기 프린트 배선판은 상기 제 1 장착 구멍에 삽입 통과되는 상기 제 1 레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자판이 상기 기체에 장착되어, 상기 주부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단자판의 상기 나사 구멍의 중심이 상기 제 1 장착 구멍의 중심과 상기 제 2 장착 구멍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에 대해 벗어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047998 | 2014-03-11 | ||
JP2014047998A JP6384774B2 (ja) | 2014-03-11 | 2014-03-11 | 端末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6355A true KR20150106355A (ko) | 2015-09-21 |
KR101600232B1 KR101600232B1 (ko) | 2016-03-04 |
Family
ID=54070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2552A KR101600232B1 (ko) | 2014-03-11 | 2015-03-09 | 단말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9642278B2 (ko) |
JP (1) | JP6384774B2 (ko) |
KR (1) | KR101600232B1 (ko) |
CN (1) | CN104916996B (ko) |
TW (1) | TWI58013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169538A (ja) * | 2018-03-22 | 2019-10-03 | 三菱電機株式会社 | 電子機器および照明制御システム |
JP7139646B2 (ja) * | 2018-03-28 | 2022-09-21 | 三菱電機株式会社 | 電子機器および照明制御システム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84486U (ko) * | 1988-12-15 | 1990-06-29 | ||
JPH08294177A (ja) * | 1995-04-20 | 1996-11-05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電動式開閉装置の操作システム |
JP2000278777A (ja) * | 1999-03-26 | 2000-10-0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リレー端末器 |
JP2001086577A (ja) | 1999-09-14 | 2001-03-3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操作用端末器 |
JP2010232914A (ja) * | 2009-03-26 | 2010-10-14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監視制御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53481U (ja) * | 1981-10-07 | 1983-04-11 | オムロン株式会社 | 端子台 |
US4564254A (en) * | 1982-06-10 | 1986-01-14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IDC Latching terminal |
JPS6299173A (ja) | 1985-10-26 | 1987-05-08 | Ricoh Co Ltd | 電子タイプライタ |
JPH03252018A (ja) | 1990-02-28 | 1991-11-11 |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 スイッチ |
ES2077287T3 (es) * | 1991-06-14 | 1995-11-16 | Molex Inc | Un bloque de terminales para placas de circuito impreso. |
JP3210689B2 (ja) * | 1991-07-25 | 2001-09-17 | 松下電工株式会社 |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データ設定方法、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その端末器 |
US5756935A (en) * | 1995-10-06 | 1998-05-26 | Nextlevel Systems, Inc. | Screwless seizure bypass platform |
JP3687232B2 (ja) * | 1996-10-28 | 2005-08-24 | 松下電工株式会社 | 電子機器の端子構造及びその端子取付方法 |
JP2000188793A (ja) | 1998-12-22 | 2000-07-04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操作用端末器 |
JP3826705B2 (ja) * | 2000-11-15 | 2006-09-27 | 松下電工株式会社 | スイッチ |
US7130194B2 (en) * | 2002-10-31 | 2006-10-31 | Finisar Corporation | Multi-board optical transceiver |
US6783380B1 (en) * | 2003-06-11 | 2004-08-31 | Yazaki North America, Inc. |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system |
JP4263139B2 (ja) * | 2004-06-07 | 2009-05-13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車載用電子回路ユニットの取付構造 |
JP2007087930A (ja) * | 2005-08-25 | 2007-04-05 | Kyoshin Kogyo Co Ltd | ねじ端子 |
TWI405470B (zh) * | 2007-04-24 | 2013-08-11 | Panasonic Corp | Switchgear |
EP2223393A4 (en) * | 2007-12-20 | 2014-04-09 | Trw Automotive Us Llc | ELECTRONIC ARRANG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JP5474877B2 (ja) * | 2011-06-17 | 2014-04-16 |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 電子制御装置 |
JP5895181B2 (ja) | 2011-07-11 | 2016-03-30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ねじ端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差込プラグ |
JP4911257B1 (ja) * | 2011-07-20 | 2012-04-04 | 株式会社安川電機 | ねじ端子台、電動機制御装置及び電気機器 |
JP4914530B1 (ja) | 2011-09-06 | 2012-04-11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端末装置 |
WO2014145062A1 (en) * | 2013-03-15 | 2014-09-18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Electrostatic discharge connector and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
US9263809B2 (en) * | 2013-10-29 | 2016-02-16 |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 Terminal block |
-
2014
- 2014-03-11 JP JP2014047998A patent/JP6384774B2/ja active Active
-
2015
- 2015-03-09 KR KR1020150032552A patent/KR10160023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3-09 TW TW104107371A patent/TWI580138B/zh active
- 2015-03-09 US US14/641,710 patent/US9642278B2/en active Active
- 2015-03-10 CN CN201510103309.8A patent/CN10491699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84486U (ko) * | 1988-12-15 | 1990-06-29 | ||
JPH08294177A (ja) * | 1995-04-20 | 1996-11-05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電動式開閉装置の操作システム |
JP2000278777A (ja) * | 1999-03-26 | 2000-10-0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リレー端末器 |
JP2001086577A (ja) | 1999-09-14 | 2001-03-3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操作用端末器 |
JP2010232914A (ja) * | 2009-03-26 | 2010-10-14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監視制御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264821A1 (en) | 2015-09-17 |
TWI580138B (zh) | 2017-04-21 |
TW201607187A (zh) | 2016-02-16 |
JP2015173347A (ja) | 2015-10-01 |
JP6384774B2 (ja) | 2018-09-05 |
CN104916996A (zh) | 2015-09-16 |
KR101600232B1 (ko) | 2016-03-04 |
CN104916996B (zh) | 2017-04-26 |
US9642278B2 (en) | 2017-05-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757043B (zh) | 开关装置 | |
KR101600232B1 (ko) | 단말기 | |
US20170310036A1 (en) | Power-source connector including terminal-contact prevention mechanism and power-source conne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1700232B1 (ko) | 스위치용 커버 및 조작 단말기 | |
JP4311334B2 (ja) | 電気接続箱 | |
US10819192B2 (en) | Handheld work apparatus having an electric motor | |
JP5946023B2 (ja) | 電気回路装置 | |
KR101726036B1 (ko) | 단말기 | |
KR20150107611A (ko) | 스위치용 커버 및 조작 단말기 | |
JP6117424B2 (ja) | 電子モジュールを受け入れ且つ電子モジュールと接触形成するための受け入れソケット | |
JP5038967B2 (ja) | 電気機器 | |
JP2013161724A (ja) | コンセント | |
JP2009266701A (ja) | 押し込み操作型電子部品及びプッシュスイッチ | |
JP2015207424A (ja) |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 |
KR101032031B1 (ko) | 압입 조작형 전자 부품 및 푸시 스위치 | |
JP5176383B2 (ja) | 電子機器 | |
JP2017517112A (ja) | 電気接続装置 | |
JP5320485B2 (ja) | 電気機器 | |
JP5299495B2 (ja) | 電子機器 | |
JP2008300111A (ja) | パネル取付機器の配線接続装置 | |
JPH06333622A (ja) | コネクタ | |
JPH0759181A (ja) |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操作用端末器 | |
JP2017068970A (ja) | コントローラ | |
KR20150146400A (ko) | 접속 기구부 및 이것을 이용한 단자대 | |
JP2014154536A (ja) | 発光素子の電気接続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