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611A - 스위치용 커버 및 조작 단말기 - Google Patents

스위치용 커버 및 조작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611A
KR20150107611A KR1020150027273A KR20150027273A KR20150107611A KR 20150107611 A KR20150107611 A KR 20150107611A KR 1020150027273 A KR1020150027273 A KR 1020150027273A KR 20150027273 A KR20150027273 A KR 20150027273A KR 20150107611 A KR20150107611 A KR 20150107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cover
switch
button handl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 하라구치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7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7/00Connections
    • H01H2207/04Details of print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9Flexible integral part of housing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버튼 핸들의 조작 감각을 개선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스위치용 커버(40)에 있어서, 개구 에지부(98)는, 푸시버튼 핸들(88)이 배치되는 개구(86)를 형성한다. 제1 암(90)은, 개구 에지부(98)에서의 제1 에지부(100)로부터 연장되어 푸시버튼 핸들(88)에 연결한다. 또한, 제2 암(92)은, 개구 에지부(98)에서의 제2 에지부(102)로부터 연장되어 푸시버튼 핸들(88)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에지부(100)와 제2 에지부(102)는, 서로 대향한다. 또한, 푸시버튼 핸들(88), 개구 에지부(98), 제1 암(90), 제2 암(92)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Description

스위치용 커버 및 조작 단말기{A COVER FOR SWITCH AND AN OPER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스위치용 커버에 관한 것이며, 특히 푸시버튼(push button) 핸들을 구비한 스위치용 커버 및 조작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조작 단말기 및 복수의 제어 단말기가, 시분할 다중 접속 방식으로 2선식의 신호선을 통하여 전송 처리 장치에 접속된다. 조작 단말기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이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발생한 중간 개입 신호를 전송 처리 장치에 전송하고, 제어 단말기는, 전송 처리 장치를 통하여 신호를 수취하면, 스위치의 조작에 대응시켜 부하를 제어한다. 여기서, 조작 단말기의 커버에는, 조작력을 스위치에 전달하기 위한 직사각형의 조작 핸들이 설치된다. 조작 핸들은, 커버에 형성한 조작공 중에 삽입되어 있어, 전후로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조작 핸들의 주위부의 일측 에지가 조작공의 주위 에지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 평7―184267호 공보
조작 핸들인 푸시버튼 핸들에는, 곧바로 이동하여 스위치를 압압(押壓)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한편, 푸시버튼 핸들에 있어서, 힌지에 연결된 일단측을 가압한 경우와, 일단측과는 반대의 타단측을 가압한 경우에 의해, 푸시버튼 핸들의 이동량이 상이하다. 그러므로, 1개의 힌지에 의해 푸시버튼 핸들을 커버에 접속한 경우, 푸시버튼 핸들이 곧바로 이동하기 어려워져, 스위치를 압압할 때의 조작 감각이 악화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푸시버튼 핸들의 조작 감각을 개선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의 스위치용 커버는, 스위치용의 커버로서, 푸시버튼 핸들과, 푸시버튼 핸들이 배치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에지부와, 개구 에지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에지부의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푸시버튼 핸들에 연결하는 2개의 암을 구비한다. 푸시버튼 핸들, 개구 에지부, 2개의 암(arm)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2개의 암의 각각은, 서로 대향하는 에지부로부터 푸시버튼 핸들까지의 사이를 우회(迂回)하는 형상을 가져도 된다.
2개의 암의 각각은, 크랭크 형상을 가져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도 또한, 스위치용 커버이다. 이 스위치용 커버는, 스위치용의 커버로서, 푸시버튼 핸들과, 푸시버튼 핸들이 배치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에지부와, 개구 에지부로부터 연장되어 푸시버튼 핸들에 연결되는 암과, 푸시버튼 핸들의 전면(前面)에 덮도록 설치되는 멤브레인(membrane)을 구비한다. 푸시버튼 핸들, 개구 에지부, 암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푸시버튼 핸들은, 암이 연결되는 위치에 가까워질수록 멤브레인으로부터 이격되는 전면을 가지고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조작 단말기이다. 이 조작 단말기는, 스위치용 커버와, 스위치용 커버에 결합되어 스위치 본체가 실장(實裝)된 프린트 배선판을 수납하는 보디를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푸시버튼 핸들의 조작 감각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c)는, 도 1의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에서의 전송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조작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조작 단말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조작 단말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스위치용 커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스위치용 커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스위치용 커버를 나타낸 이면도(裏面圖)이다.
도 9는 도 1의 스위치용 커버를 나타낸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10은 도 1의 스위치용 커버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스위치용 커버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프레임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스위치용 커버에 화장(化粧)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스위치용 커버에, 화장 커버와 프레임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스위치용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스위치용 커버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비교 대상이 되는 스위치용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스위치용 커버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스위치용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스위치용 커버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기초가 된 지견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조작 단말기의 스위치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커버와 푸시버튼 핸들이 별개의 부품으로서 구성되는 경우, 조작 단말기를 조립할 때, 커버에 푸시버튼 핸들을 걸어맞추는 단계가 발생한다. 이 단계에 의해, 조립 시간 및 비용에 손실이 생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커버와 푸시버튼 핸들이, 암을 통하여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1개의 암에 의해 커버와 푸시버튼 핸들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푸시버튼 핸들을 곧바로 가압하기 어려워져, 조작성이 악화된다. 이상의 배경을 토대로, 본 실시예에 관한 스위치용 커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500)의 구성을 나타낸다.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500)은, 조작 단말기(510)라고 총칭되는 제1 조작 단말기(510a), 제2 조작 단말기(510b), 제어 단말기(512)라고 총칭되는 제1 제어 단말기(512a), 제2 제어 단말기(512b), 전송 제어 장치(514)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2대의 조작 단말기(510)와 2대의 제어 단말기(512)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들 테이블 수는, 「2」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조작 단말기(510), 제어 단말기(512)는, 2선식의 신호선 Ls를 통하여 전송 제어 장치(514)에 접속된다.
각 조작 단말기(510)는, 전방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가압 조작되는 스위치를 하나 이상 구비한다. 각각의 제어 단말기(512)는, 조명 기구(器具) 또는 환기팬 등의 부하(도시하지 않음)에 대한 급전로에 삽입된 릴레이(도시하지 않음)를 하나 이상 가지고, 이 릴레이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바꾸는 것에 의해, 부하를 온 또는 오프 제어한다. 각 조작 단말기(510)의 스위치와 각 릴레이에는, 각각 개별적인 어드레스가 설정된다.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500)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0∼63의 번호가 부여된 64개의 채널의 각각에, 1∼4의 번호가 부여된 4회로가 배치되면, 합계 256개가 된다. 어드레스는, 채널 번호와 회로 번호와의 조합으로부터 예를 들면 63―3과 같이 나타낸다.
전송 제어 장치(514)는, 신호선 Ls에 전송 신호 Vs를 송출한다. 도 2의 (a)∼(c)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500)에서의 전송 신호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2의 (a)는, 전송 신호 Vs의 포맷을 나타낸다. 전송 신호 Vs에서는, 신호 송출 개시를 나타내는 동기(同期) 신호 SY, 전송 신호 Vs의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데이터 MD, 조작 단말기(510) 또는 제어 단말기(512)를 개별적으로 호출하기 위한 어드레스 데이터 AD,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 CD가 시분할 다중된다. 또한, 전송 신호 Vs에서는, 이들에 부가하여, 전송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체크 섬(check sum) 데이터 CS, 조작 단말기(510) 또는 제어 단말기(512)로부터의 반신(返信) 신호(감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타임 슬롯인 신호 반신 기간 WT도 시분할 다중된다.
도 2의 (b)는, 전송 신호 Vs의 파형(波形)의 일례를 나타낸다. 전송 신호 Vs는, 쌍극성(±24V)의 신호이며, 펄스폭 변조에 의해 생성된다. 각 조작 단말기(510) 및 각각의 제어 단말기(512)에서는, 신호선 Ls를 통하여 수신한 전송 신호 Vs에 의해 전송된 어드레스 데이터 AD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일치하면, 전송 신호 Vs로부터 제어 데이터 CD를 입수한다. 또한, 각 조작 단말기(510) 및 각각의 제어 단말기(512)는, 전송 신호 Vs의 신호 반신 기간 WT에 감시 데이터를 전류 모드 신호로서 반신한다. 전류 모드 신호란, 신호선 Ls를 적당한 저임피던스를 통하여 단락(短絡)함으로써 송출되는 신호이다. 도 1로 돌아온다.
전송 제어 장치(514)는, 조작 단말기(510) 또는 제어 단말기(512)에 데이터를 송출하는 경우, 모드 데이터 MD를 제어 모드로 하고, 조작 단말기(510) 또는 제어 단말기(512)의 어드레스를 어드레스 데이터 AD로 하는 전송 신호 Vs를 신호선 Ls에 송출한다. 어드레스 데이터 AD에 일치하는 조작 단말기(510) 또는 제어 단말기(512)는, 제어 데이터 CD를 수취하고, 신호 반신 기간 WT에 감시 데이터를 반신한다. 전송 제어 장치(514)는, 송출한 제어 데이터 CD와 신호 반신 기간 WT에 수신한 감시 데이터와의 관계에 의해, 제어 데이터 CD가 원하는 조작 단말기(510) 또는 제어 단말기(512)에 전송된 것을 확인한다. 제어 단말기(512)는, 수취한 제어 데이터 CD에 따라 부하 L을 제어하기 위한 부하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조작 단말기(510)는, 수취한 제어 데이터 CD에 따라 부하 L의 동작 확인 표시를 행하기 위한 표시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전송 제어 장치(514)는, 통상의 경우, 즉 데이터를 송출하지 않을 경우, 모드 데이터 MD를 더미 모드로 하고 전송 신호 Vs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송출한다. 이것은, 상시 폴링이라고 한다. 이 경우, 전송 제어 장치(514)는, 어떤 제어 단말기(512)에 액세스하여, 부하 상태를 나타내는 감시 데이터의 반신을 요구하고, 액세스된 제어 단말기(512)는, 접속되어 있는 부하 상태를 감시 데이터로서 전송 제어 장치(514)에 반신한다. 이 반신을 수취한 전송 제어 장치(514)는, 그 제어 단말기(512)에 대응 관계가 있는 조작 단말기(510)의 어드레스에 액세스하여, 대응하는 제어 단말기(512)에 접속되어 있는 부하 상태를 표시하게 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CD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시 폴링에서는, 제어 단말기(512)와 이 제어 단말기(512)에 대응 관계를 가지는 조작 단말기(510)와의 어드레스에 액세스하는 동작이 사이클릭으로 반복된다.
상시 폴링 하에 있어서, 조작 단말기(510)는, 전송 제어 장치(514)에 대하여 어떠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더미 모드의 전송 신호 Vs의 동기 신호 SY에 동기시켜, 중간 개입 신호 Vi를 발생시킨다. 도 2의 (c)는, 중간 개입 신호 Vi의 파형의 일례를 나타낸다. 중간 개입 신호 Vi는, 펄스형의 신호이다. 도 1로 돌아온다. 조작 단말기(510)는, 중간 개입 플래그(flag)를 설정하여 전송 제어 장치(514)와의 이후의 정보 수수(授受)에 구비한다. 전송 제어 장치(514)는, 중간 개입 신호 Vi를 수신하면, 모드 데이터 MD를 중간 개입 폴링 모드로 하고, 또한 어드레스 데이터 AD의 상위의 반수의 비트(어드레스 데이터 AD를 8비트로 하면 상위 4비트)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전송 신호를 송출한다. 한편, 조작 단말기(510)는, 중간 개입 폴링 모드의 전송 신호의 어드레스 데이터 AD의 상위 4비트가 조작 단말기(510)에 설정되어 있는 어드레스의 상위 4비트에 일치하는 경우에, 신호 반신 기간 WT에 어드레스의 하위 4비트를 전송 제어 장치(514)에 반신한다. 이와 같이, 전송 제어 장치(514)는, 중간 개입 신호 Vi를 발생한 조작 단말기(510)를 16개씩 모아서 찾으므로, 비교적 짧은 시간에 조작 단말기(510)를 발견할 수 있다.
전송 제어 장치(514)는, 중간 개입 신호 Vi를 발생한 조작 단말기(510)의 어드레스를 획득하면, 모드 데이터 MD를 감시 모드로 하고, 획득한 어드레스 데이터 AD를 가지는 전송 신호 Vs를 신호선 Ls에 송출한다. 이 전송 신호 Vs에 대하여 조작 단말기(510)는, 전송하도록 하는 정보를 신호 반신 기간 WT에 반신한다. 마지막으로, 전송 제어 장치(514)는, 중간 개입 신호 Vi를 발생한 조작 단말기(510)에 대하여 중간 개입 리셋을 지시하는 신호를 송출하고, 조작 단말기(510)의 중간 개입 플래그를 해제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조작 단말기(510)로부터 전송 제어 장치(514)에 대한 정보 전송은, 전송 제어 장치(514)로부터 조작 단말기(510)에 대한 4회의 신호 전송(더미 모드, 중간 개입 폴링 모드, 감시 모드, 중간 개입 리셋)에 의해 완료한다. 전송 제어 장치(514)가 원하는 제어 단말기(512)의 동작 상태를 알려고 하는 경우에는, 모드 데이터 MD를 감시 모드로 하고 전송 신호를 송출하는 것만으로 된다.
어느 하나의 제어 스위치가 가압 조작되면, 조작 단말기(510)는, 가압 조작된 제어 스위치에 설정된 어드레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감시 데이터를 전송 제어 장치(514)에 반신한다. 전송 제어 장치(514)는, 이 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한 제어 데이터 CD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 Vs를 제어 단말기(512)에 전송하고, 제어 단말기(512)는, 전송된 전송 신호 Vs 중의 제어 데이터 CD에 따라, 부하를 제어한다. 또한, 부하를 제어한 제어 단말기(512)는, 감시 데이터를 전송 제어 장치(514)에 반신하고, 전송 제어 장치(514)는, 회신된 감시 데이터를 기초로 동작 상태 표시를 위한 제어 데이터 CD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 Vs를 생성하여 조작 단말기(510)에 전송한다. 이 전송 신호 Vs에 의해 조작 단말기(510)에서는 부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점등·소등을 실행한다.
도 3은, 조작 단말기(510)의 구성을 나타낸다. 조작 단말기(510)는, 통신부(170), 스위치 본체(12), 발광 소자(14), 제어부(172), 광통신부(174)를 포함한다. 통신부(170)는, 신호선 Ls에 접속되어, 전송 신호 Vs의 수신, 중간 개입 신호 Vi 및 감시 데이터의 송신을 실행한다. 스위치 본체(12)는, 푸시버튼 스위치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제어 스위치를 구성한다. 그리고, 도 3에서는, 1개의 스위치 본체(12)를 나타내고 있지만, 조작 단말기(510)에는, 복수의 스위치 본체(12), 예를 들면, 4개의 스위치 본체(12)가 구비되어도 된다.
발광 소자(14)는,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구성되며, 부하의 동작 상태를 발광 상태에 따라서 표시한다. 도 3에서는, 1개의 발광 소자(14)를 나타내고 있지만, 1개의 스위치 본체(12)에 대응하여 복수의 발광 소자(14), 예를 들면, 2개의 발광 소자(14)가 설치되어도 되고, 전술한 경우에는, 8개의 발광 소자(14)가 설치되어도 된다. 제어부(172)는, 통신부(170)에 수신된 전송 신호 Vs, 스위치 본체(12)에 접수된 조작 입력에 따라, 통신부(170)와 각각의 발광 소자(14)를 각각 제어한다.
광통신부(174)는, 스위치 본체(12)의 어드레스를 설정하기 위한 어드레스 설정기(도시하지 않음)와의 사이에서, 예를 들면, 적외광을 매체로 하는 광신호를 송수신한다. 제어부(172)는, 각 스위치 본체(12)의 어드레스가 저장되는 메모리(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제어부(172)는, 스위치 본체(12)의 어드레스를 지시하는 광신호가 광통신부(174)에 수신된 경우, 상기 광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 스위치 본체(12)의 어드레스를 재기입한다. 즉, 제어부(172)에는, 광통신부(174)에 대한 광신호에 의해 각 스위치 본체(12)의 어드레스가 각각 설정된다.
이 구성은, 하드웨어적으로는, 임의의 컴퓨터의 CPU, 메모리, 그 외의 LSI로 실현할 수 있고, 소프트 웨어적으로는 메모리에 로드된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실현되지만, 여기서는 이들의 제휴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들 기능 블록이 하드웨어만, 하드웨어와 소프트 웨어의 조합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것이다.
도 4는, 조작 단말기(51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상하 방향은 도 4를 기준으로 하고, 도 4의 좌상(左上)―우하(右下)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하고, 도 4의 좌하(左下)―우상(右上)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 한다. 즉, 앞으로부터 순차로, 화장 커버(8), 프레임(6), 스위치용 커버(40), 회로 블록(2), 보디(20)가 정렬되어 있다. 또한, 도 5는, 조작 단말기(51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것은, 조립된 조작 단말기(510)를 전방으로부터 본 경우를 나타낸다. 도 4로 돌아온다.
회로 블록(2)은, 스위치 본체(12), 발광 소자(14), 수발광부(16)가 프린트 배선판(10)의 전방측에 실장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신부(170) 및 제어부(172)는, 각각 주지 기술에 의해 실현 가능하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광통신부(174)도 주지 기술로 실현 가능하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광통신부(174)에 포함된 수발광부(16)는, 예를 들면, 적외광을 매체로 하는 광신호를 송신하는 통신용 발광 소자와,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 소자와의 조합이다. 수발광부(16)는, 회로 블록(2)에 있어서, 4개의 스위치 본체(12)보다 상측 부분에 배치된다.
스위치 본체(12)는, 상하 방향으로 4개 직선형으로 배열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각 스위치 본체(12)에 대하여, 대응하는 2개의 발광 소자(14)가, 스위치 본체(12)의 위쪽으로, 또한 좌우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또한, 스위치 본체(12)의 좌측의 발광 소자(14)의 광색(光色)이 녹색이며, 스위치 본체(12)의 우측의 발광 소자(14)의 광색이 적색이도록, 2개의 발광 소자(14)의 광색을 서로 다르게 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172)는, 예를 들면, 스위치 본체(12)에 관계된 부하가 온 상태인 기간에, 상기 스위치 본체(12)에 대응하는 우측의 발광 소자(14)를 점등시키고, 좌측의 발광 소자(14)를 소등시킨다. 한편, 제어부(172)는, 스위치 본체(12)에 관계된 부하가 오프 상태인 기간에, 상기 스위치 본체(12)에 대응하는 우측의 발광 소자(14)를 소등시켜, 좌측의 발광 소자(14)를 점등시킨다.
하우징(4)은, 프린트 배선판(10)을 수납한다. 하우징(4)은,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의 보디(20)와, 보디(20)의 전면 개구를 폐색하는 형태로 보디(20)에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스위치용 커버(40)를 구비한다. 또한, 스위치용 커버(40)는, 프레임(6)을 장착 가능하다. 보디(20)와 스위치용 커버(40)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보디(20)의 좌우의 벽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결합편(22)이 전방으로 돌출되고, 각 결합편(22)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긴 결합공(24)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용 커버(40)의 좌우의 양 측면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결합홈(42)이 형성되고, 각 결합홈(42)의 바닥면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긴 결합 클로우(claw)(44)가 좌우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각 결합홈(42)에 각각 결합편(22)이 도입되고, 또한 결합 클로우(44)가 결합공(24)에 걸어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보디(20)와 스위치용 커버(40)가 기계적으로 결합한다.
보디(20)의 바닥면의 상부에는 한 쌍의 나사 단자(26)가 유지되고, 각각의 나사 단자(26)에는 뒤쪽으로부터 한 쌍의 신호선 Ls 중 1개가 접속된다. 또한, 각각의 나사 단자(26)에는, 일단이 통신부(170)에 접속된 전선(도시하지 않음)이, 앞쪽으로부터 접속된다. 즉, 통신부(170)는, 전선과 나사 단자(26)를 통하여 신호선 Ls에 접속된다. 각각의 나사 단자(26)는, 나사공이 관통형성되어 보디(20)에 끼워맞추어지는 단자판(28)과, 단자판(28)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단자 나사(30)로 이루어진다. 단자 나사(30)에 있어서는, 단자판(28)과의 사이에 신호선 Ls를 협지(sandwich)하는 와셔가 일체로 되어 있다.
스위치용 커버(40)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해, 도 4에 더하여, 도 6, 도 7도 맞추어 사용한다. 도 6은, 스위치용 커버(40)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은, 스위치용 커버(4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스위치용 커버(40)의 좌우의 양측의 각각에는, 프레임(6)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면(46)이 형성된다. 돌출부(48)는, 스위치용 커버(40)에 있어서 2개의 장착면(46)에 끼워진 부분이며, 장착면(46)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러므로, 스위치용 커버(40)를 위쪽으로부터 보면, 돌출부(48)와 2개의 장착면(46)에 의해, 스위치용 커버(40)는, 대략 볼록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좌우의 장착면(46)의 각각에, 제1 벽부(52), 제2 벽부(54), 제3 벽부(56)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세워 설치된다. 여기서, 제1 벽부(52), 제2 벽부(54), 제3 벽부(56)에서의 돌출부(48) 측의 면이, 돌출부(48)의 돌출측면(50)에 대향한다. 또한, 제1 벽부(52), 제2 벽부(54), 제3 벽부(56)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돌출측면(50)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절반보다 길어지도록 설계된다.
제1 벽부(52)에서의 돌출부(48) 측의 면의 반대면에는, 제1 구멍부(58)가 형성된다. 제1 구멍부(58)는, 상하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진다. 제1 구멍부(58)에는, 후술하는 프레임(6)에 형성된 돌출형부(124) 또는 돌기부(126)가 삽입되고, 돌출형부(124) 또는 돌기부(126)가 걸린다. 그리고, 좌측의 제1 벽부(52)에서의 제1 구멍부(58)에는, 돌출형부(124)가 삽입되고, 우측의 제1 벽부(52)에서의 제1 구멍부(58)에는, 돌기부(126)가 삽입된다. 제2 구멍부(60)는, 제2 벽부(54)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형성되고, 제3 구멍부(62)는, 제3 벽부(56)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제1 구멍부(58), 제2 구멍부(60), 제3 구멍부(62)는, 프레임(6)에 형성된 돌출형부(124) 및 돌기부(126)의 상하 방향의 위치에 맞추어 배치된다.
제1 연결벽부(64), 제2 연결벽부(66)는, 장착면(46) 상에서 제1 벽부(52)의 양 단부로부터 돌출측면(50)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연결벽부(64)는, 제1 벽부(52)의 상단부로부터 돌출측면(50)으로 연장되고, 제2 연결벽부(66)는, 제1 벽부(52)의 하단부로부터 돌출측면(50)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연결벽부(64), 제2 연결벽부(66)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제1 벽부(52)의 전후 방향의 길이 이하로 되도록 설계된다. 제3 연결벽부(68), 제4 연결벽부(70)는, 제2 벽부(54)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형성되고, 제5 연결벽부(72), 제6 연결벽부(74)는, 제3 벽부(56)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제1 돌출형 클로우부(76)는, 제1 벽부(52)에 대향하는 돌출측면(50)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제1 돌출형 클로우부(76)는, 스위치용 커버(40)를 전방으로부터 본 경우에, 제1 연결벽부(64), 제1 벽부(52), 제2 연결벽부(66)에 의해 에워싸인다. 이와 같이, 돌출측면(50), 제1 연결벽부(64), 제1 벽부(52), 제2 연결벽부(66)에 에워싸인 상하 방향으로 긴 공간에 있어서, 제1 돌출형 클로우부(76)는, 돌출측면(50)의 중앙보다 아래 부분에 위치한다. 또한, 제1 돌출형 클로우부(76)는, 스위치용 커버(40)의 측면에 있어서, 제1 벽부(52)의 앞쪽 에지로부터 일부가 노출되어 배치된다.
제1 돌출형 클로우부(76)는, 후술하는 화장 커버(8)를 걸기 위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돌출형 클로우부(76)는, 화장 커버(8)의 피걸림부인 탄성편(148)을 건다. 제1 돌출형 클로우부(76)와 탄성편(148)의 걸림 부분은, 제1 연결벽부(64), 제1 벽부(52), 제2 연결벽부(66)에 에워싸여 있으므로,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부터의 충격을 받아도, 탄성편(148) 또는 탄성편(148)의 파손이 억제된다. 제1 연결벽부(64), 제1 벽부(52), 제2 연결벽부(66)는, 제1 돌출형 클로우부(76)와 탄성편(148)을 방호(防護)하고, 또한 제1 구멍부(58)에 의해 돌출형부(124) 또는 돌기부(126)를 건다. 이와 같이, 제1 연결벽부(64), 제1 벽부(52), 제2 연결벽부(66)는, 2개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효율적인 배치가 되어 있다.
제2 돌출형 클로우부(78)는, 제3 벽부(56)에 대향한 돌출측면(50)에 형성된다. 그러나, 제2 돌출형 클로우부(78)는, 제1 돌출형 클로우부(76)와는 상이하게 되어, 돌출측면(50), 제5 연결벽부(72), 제3 벽부(56), 제6 연결벽부(74)에 에워싸인 상하 방향으로 긴 공간에 있어서, 돌출측면(5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차이는, 화장 커버(8)의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탄성편(148)의 위치에, 제1 돌출형 클로우부(76) 및 제2 돌출형 클로우부(78)를 맞추기 위해서 생기고 있다. 그리고, 탄성편(148)은, 상하 방향으로 2개 정렬되어 있을뿐이므로, 제2 벽부(54)에 대향한 돌출측면(50)에는, 돌출형 클로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돌출부(48)에는, 4개의 개구(86)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스위치용 커버(40)에 설치된 푸시버튼 핸들(88)을 설명하기 위해, 도 4, 도 6, 도 7에 더하여, 도 8, 도 9, 도 10도 합하여 참조한다. 도 8은, 스위치용 커버(40)를 나타낸 이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나타낸 A―A'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스위치용 커버(40)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4개의 개구(86) 부근의 구성은 공통이므로, 도 10에서는, 1개의 개구(86)만을 나타낸다. 개구(86)는, 돌출부(48)에 형성된 개구 에지부(98)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을 가진다. 개구 에지부(98)는, 개구(86)의 외주(外周)에 일치한 내주(內周)와, 상기 내주를 에워싸는 외주를 가지고, 내주와 외주에 끼워진 영역을 가진다. 도 10에 있어서는, 설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개구 에지부(98)를 사선 부분으로 나타낸다. 또한, 개구 에지부(98)는, 도 10에 있어서 사선이 나타낸 스위치용 커버(40)의 면의이면측(裏面側)의 면에도, 사선 부분과 동등한 영역을 가진다. 또한, 개구 에지부(98)는, 돌출부(48)의 양면의 각각에 형성된 영역에 끼워진 측면의 영역도 가진다.
각각의 개구(86)에는, 푸시버튼 핸들(88)이 배치된다. 그러므로, 4개의 푸시버튼 핸들(88)은, 돌출부(48)의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4개의 푸시버튼 핸들(88)은, 도 9와 같이, 스위치 조작부(96)라고 총칭되므로, 돌출부(48)의 전면에, 스위치 조작부(96)가 설치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푸시버튼 핸들(88)은, 합성 수지 성형품과 같은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푸시버튼 핸들(88)은, 전방에서 볼 때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으로서, 전면이 돌출부(48)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푸시버튼 핸들(88)의 전면에는, 좌우 방향의 중앙부가 좌우 방향의 양 단부(端部)보다 후방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구(86)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구 에지부(98)는, 상하 좌우의 4개의 봉형(棒形)의 영역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봉형의 영역 중, 위쪽의 영역이 제1 에지부(100)로 정의되고, 아래쪽의 영역이 제2 에지부(102)로 정의된다. 제1 에지부(100)와 제2 에지부(102)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1 암(90)은, 제1 에지부(10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푸시버튼 핸들(88)에 연결된다. 제1 암(90)은, 크랭크 형상을 가진다. 크랭크 형상이란,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에 변환시키는 기구(機構)인 크랭크를 닮은 형상이며, 예를 들면, 직선의 일단이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굴곡되고, 직선의 타단이 대략 수직인 다른 방향으로 굴곡되는 형상이다. 그리고, 크랭크 형상이란, 특정한 1형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연속적인 휨을 가지는 경우도 포함하고, 예를 들면, S자 형상 등 부드러운 휨도 포함한다. 또한, 대략 수직이란, 완전한 직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직각이라고 인정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제1 암(90)은, 제1 에지부(100)에서의 푸시버튼 핸들(88)의 우측단보다 우측의 부분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나서, 대략 수직으로 좌측 방향으로 굴곡되고, 제1 에지부(100) 및 푸시버튼 핸들(88)의 상부 에지의 사이를 그들에 따라 연장된다. 또한, 제1 암(90)은, 푸시버튼 핸들(88)의 좌측단보다 우측의 부분에서 대략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굴곡되고, 푸시버튼 핸들(88)의 상부 에지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제1 암(90)은, 제1 에지부(100)로부터 푸시버튼 핸들(88)까지의 사이를 우회함으로써, 푸시버튼 핸들(88)의 상부 에지와 제1 에지부(100)와의 최단 거리보다 길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그 결과, 제1 암(90)의 탄성력이 증가하고, 푸시버튼 핸들(88)을 가압 조작할 때의 조작 감각이 개선된다.
제2 암(92)은, 제2 에지부(102)와 푸시버튼 핸들(88)과의 사이에서, 푸시버튼 핸들(88)의 전면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제1 암(90)의 대략 회전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대략 회전 대칭이란, 완전한 회전 대칭이 아니라도, 오차의 범위에서 어긋나는 정도도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 암(90), 제2 암(92)은, 힌지라고 해도 된다. 또한, 개구 에지부(98), 푸시버튼 핸들(88), 제1 암(90), 제2 암(92)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푸시버튼 핸들(88)은, 스위치 본체(12)의 앞쪽에 위치하여, 전방으로부터의 압력을 스위치 본체(12)에 전달한다. 그러므로, 푸시버튼 핸들(88)은, 스위치 본체(12)와 1대 1로 대응한다. 푸시버튼 핸들(88)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11도 참조한다. 도 11은, 스위치용 커버(40)의 일부를 나타낸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압압부(押壓部)(94)는, 푸시버튼 핸들(88)의 후면의 중앙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스위치 본체(12)에 대향한다. 이와 같이 개구 에지부(98), 푸시버튼 핸들(88), 제1 암(90), 제2 암(92)이 구성되는 것에 의해, 푸시버튼 핸들(88)의 전면이 가압 조작되면, 제1 암(90) 및 제2 암(92)이 탄성 변형되어, 푸시버튼 핸들(88)이 후방으로 변위한다. 이 때, 제1 암(90) 및 제2 암(92)의 탄성 변형은, 대략 균등하게 행해지므로, 푸시버튼 핸들(88)이 곧바로 후방으로 이동하기 용이해진다. 이것에 의해서도, 조작 감각이 개선된다.
돌출부(48)의 상단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중앙에는, 창공(窓穴)(80)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다. 창공(80)은,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을 가진다. 창공(80)의 뒤쪽의 개구의 주위에는, 신호용 격벽(82)이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뒤쪽에는, 수발광부(16)가 위치한다. 수발광부(16)에는 창공(80)을 통해 광신호가 입사한다.
돌출부(48)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제1 도광부(導光部)(84)가 각각의 개구(86)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고, 8개의 제1 도광부(84)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특히, 최상단의 2개의 제1 도광부(84)는, 창공(80)을 협지하여 배치된다. 각 제1 도광부(84)는, 발광 소자(14)와 1대 1로 대응하고 있고, 제1 도광부(84)의 뒤쪽에 발광 소자(14)가 위치한다. 발광 소자(14)로부터 조사된 광은, 제1 도광부(84)를 통해 전방으로 출력된다.
프레임(6)은, 예를 들면, JIS C 8375에 규정된 대각형(大角形) 연결용 배선 기구의 장착 프레임이며, 금속제이다. 그리고, 프레임(6)은, JIS C 8375와는 상이한 규격에 적합해도 된다. 여기서는, 도 4에 더하여, 도 12도 참조하여 프레임(6)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2는, 프레임(6)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프레임(6)의 상하 양 단부에는, 보디(20)보다 상하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벽면 등의 시공면(施工面)(도시하지 않음)으로의 하우징(4)의 고정에 사용되는 장착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장착부(110)에 있어서, 중앙부에는, 각각 좌우 방향으로 긴 구멍 형상으로서, 시공면에 매립된 매립 박스(도시하지 않음)에 나사결합되는 박스 나사가 삽통(揷通)되는 박스공(112)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장착부(110)에 있어서 박스공(112)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시공면이 패널재로 형성되어 있을 때 패널재를 장착부(110)와의 사이에서 협지하는 협지 금속기구(도시하지 않음)를 당겨 걸기 위한 구멍(114)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장착부(110)에 있어서 각각 박스공(112)보다 상하 방향의 외측으로 되는 위치에는, 각각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기 위한 나사가 삽통되는 플레이트공(116)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장착부(110)에 있어서 플레이트공(116)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시공면에 나사결합되는 직부(直付) 나사가 삽통되는 직부 구멍(118)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120)는, 프레임(6)의 상하 양 단부에 설치된 2개의 장착부(110)의 사이에 위치한다. 프레임 본체(120)는, 상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을 가지고 있고, 중앙 부분에 개구(122)를 구비한다. 개구(122)는, 돌출부(48), 제1 벽부(52), 제2 벽부(54), 제3 벽부(56), 제1 연결벽부(64), 제2 연결벽부(66), 제3 연결벽부(68), 제4 연결벽부(70), 제5 연결벽부(72), 제6 연결벽부(74)를 후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8) 등을 개구(122)에 삽입한 경우, 프레임 본체(120)는, 장착면(46)에 탑재된다.
돌출형부(124)는, 개구(122)에서의 좌측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3개 이격되어 돌출된다. 돌출부(48) 등을 개구(122)에 삽입한 경우, 3개의 돌출형부(124)는, 스위치용 커버(40)의 좌측에 형성된 제1 구멍부(58), 제2 구멍부(60), 제3 구멍부(62)에 삽입되어, 돌출형부(124)와 제1 구멍부(58), 제2 구멍부(60), 제3 구멍부(62)가 걸린다.
돌기부(126)는, 개구(122)에서의 우측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3개 이격되어 돌출된다. 특히, 돌기부(126)는, 돌출형부(124)와 1대 1로 정대(正對; confrontation)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12의 경우, 돌기부(126)는, 개구(122)에서의 우측의 측면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돌출부(48) 등이 개구(122)에 삽입된다. 삽입한 후, 각 돌기부(126)의 우측 부분을 좌측 방향으로 가압하면, 돌기부(126)의 좌측 부분이 좌측 방향으로 돌출한다. 돌기부(126)가 돌출하면, 3개의 돌기부(126)는, 스위치용 커버(40)의 우측에 형성된 제1 구멍부(58), 제2 구멍부(60), 제3 구멍부(62)에 삽입되어, 3개의 돌기부(126)와 제1 구멍부(58), 제2 구멍부(60), 제3 구멍부(62)가 걸린다.
하우징(4)의 앞쪽에는, 전방에서 볼 때 박스공(112)의 상하 위치까지를 덮는 직사각형상의 화장 커버(8)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화장 커버(8)는, 스위치 조작부(96)를 덮기 위해, 스위치용 커버(40)의 앞쪽에 피착(被着)되는 커버 본체(140)와, 커버 본체(140)로부터 후방으로 수직 형성된 4개의 탄성편(148)으로 이루어진다. 탄성편(148)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피걸림부이며, 커버 본체(140)의 좌우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2개 이격되어 배치된다. 탄성편(148), 커버 본체(140)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커버 본체(140)에 있어서, 제1 도광부(84)의 앞쪽으로 되는 부분에는, 제2 도광부(142)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제2 도광부(142)는, 제1 도광부(84)와 1대 1로 대응시키고 있으므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제2 도광부(142)가, 상하 방향으로 4단 정렬되어 배치되어 있다. 발광 소자(14)로부터 조사된 광은, 제2 도광부(142)를 통해 전방으로 출력된다. 또한, 커버 본체(140)의 상단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서, 또한 창공(80)의 앞쪽으로 되는 부분에는, 수발광부(16)에 입출력되는 광신호를 통과시키도록 투명한 재료로 구성된 신호용 윈도우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어드레스 설정기에 의한 어드레스의 설정은, 어드레스 설정기가 가지는 광통신부(도시하지 않음)를, 신호용 윈도우부(144)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멤브레인(146)은, 푸시버튼 핸들(88)을 덮어 설치하기 위해, 커버 본체(140)에 있어서, 푸시버튼 핸들(88)의 앞쪽으로 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4개의 멤브레인(146)은, 상하 방향으로 4단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푸시버튼 핸들(88)으로의 가압 조작은, 멤브레인(146)을 통하여 행해진다.
도 13은, 스위치용 커버(40)에 화장 커버(8)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스위치용 커버(40)의 전방으로부터, 화장 커버(8)를 스위치용 커버(40)에 접근해 간다. 커버 본체(140)의 뒤쪽에 수직 형성된 탄성편(148)이, 제1 연결벽부(64), 제1 벽부(52), 제2 연결벽부(66)로 에워싸인 오목부, 제5 연결벽부(72), 제3 벽부(56), 제6 연결벽부(74)로 에워싸인 오목부에 삽입된다. 오목부로의 삽입 후, 탄성편(148)은, 제1 돌출형 클로우부(76), 제2 돌출형 클로우부(78)에 걸린다. 이로써, 스위치용 커버(40)의 전면이 화장 커버(8)에 의해 덮힌다.
도 14는, 스위치용 커버(40)에, 화장 커버(8)와 프레임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과 같이, 화장 커버(8)가 걸린 스위치용 커버(40)가, 프레임(6)에 형성된 개구(122)에, 프레임(6)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된다. 이 때, 프레임(6)으로 돌출된 돌출형부(124)(도시하지 않음)가 스위치용 커버(40)의 좌측의 제1 구멍부(58), 제2 구멍부(60), 제3 구멍부(62)(도시하지 않음)에 걸려져, 프레임(6)과 스위치용 커버(40)가 중첩된다. 이에 이어서, 프레임(6)에 돌출된 돌기부(126)가 스위치용 커버(40)의 우측의 제1 구멍부(58), 제2 구멍부(60), 제3 구멍부(62)에 걸린다. 도 14와 같이, 프레임(6)에 형성된 돌기부(126)가 제1 구멍부(58), 제3 구멍부(62)에 삽입되었을 경우에, 스위치용 커버(40)를 정면에서 볼 때, 제1 돌출형 클로우부(76), 제2 돌출형 클로우부(78)는, 돌기부(126)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설치된다. 즉,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1 구멍부(58), 제3 구멍부(62)는, 돌기부(126)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용 커버와 푸시버튼 핸들을 일체로 성형하는 경우라도, 양자의 사이를 2개의 암으로 연결하므로, 푸시버튼 핸들을 똑바로 가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푸시버튼 핸들을 똑바로 가압하기 쉬워지므로, 푸시버튼 핸들의 조작 감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대향하는 에지부의 각각으로부터 2개의 암을 연장시키므로, 푸시버튼 핸들을 압압하는 경우에 2개의 암의 각각이 받는 힘을 대략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암의 각각이 받는 힘이 대략 균등하게 되므로, 푸시버튼 핸들을 양호한 밸런스로 압하(押下)할 수 있다. 또한, 푸시버튼 핸들, 개구 에지부, 2개의 암을 일체로 성형하므로, 조립 시간 또는 조립 단계수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푸시버튼 핸들, 개구 에지부, 2개의 암을 일체로 성형하므로, 조립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2개의 암의 각각이, 에지부로부터 푸시버튼 핸들까지의 사이를 우회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에지부로부터 푸시버튼 핸들까지의 최단 거리보다도, 각 암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암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푸시버튼 핸들의 가압폭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푸시버튼 핸들의 가압폭이 확대되므로, 푸시버튼 핸들의 조작 감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암의 각각이, 크랭크 형상을 가지므로, 암의 길이를 효율적으로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암의 길이가 효율적으로 길어지므로, 개구에 차지하는 푸시버튼 핸들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개구에 차지하는 푸시버튼 핸들의 면적이 넓어지므로, 푸시버튼 핸들을 가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벽부에 구멍부를 형성함으로써, 구멍부에 의해 프레임을 걸리게 할 수 있다. 또한, 벽부에 의해 제1 돌출형 클로우부, 제2 돌출형 클로우부를 덮는 것으로, 제1 돌출형 클로우부, 제2 돌출형 클로우부에 걸리는 화장 커버를 벽부에 의해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걸림 및 화장 커버의 보호에 벽부를 사용함으로써, 벽부에 2개의 역할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벽부가 2개의 역할을 가지므로, 스위치용 커버에서의 구성 요소의 배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및 화장 커버의 장착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사이즈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파손의 방지 기능과, 효율적인 배치를 양립할 수 있다. 또한, 구멍부가, 범용의 금속 프레임의 돌출형부, 돌기부에 맞추어 배치되므로, 범용의 금속 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범용의 금속 프레임이 사용되므로, 프레임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범용의 금속 프레임이 사용되므로,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형 클로우부, 제2 돌출형 클로우부를 연결벽부에 의해 에워싸므로, 상하 방향으로부터의 충격에 대해서도 스위치용 커버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형 클로우부, 제2 돌출형 클로우부는, 화장 커버에 형성된 탄성편을 거는 것에 의해, 범용적인 화장 커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범용적인 화장 커버가 사용되므로,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용 커버를 전면에서 볼 때, 돌기부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제1 돌출형 클로우부, 제2 돌출형 클로우부(78)가 형성되므로, 스위치용 커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조작 단말기의 스위치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2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2개의 암의 형상이 상이하다. 여기서는, 실시예 1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스위치용 커버(4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것은, 실시예 1에서의 도 4, 도 10과 비교 가능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 있어서, 도 4, 도 10에서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구성 요소는, 도 4, 도 10의 대응하는 구성 요소와 동일한 형상, 기능을 가진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구성 요소 중, 도 4, 도 10에 나타낸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부호를 부여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개구(200)는, 돌출부(48)에 형성된 개구 에지부(210)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을 가진다. 개구 에지부(210)의 형상은, 개구 에지부(98)의 형상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 10과 마찬가지로, 도 15에서도, 설명을 명료로 하기 위해, 개구 에지부(210)를 사선 부분으로 나타낸다.
각각의 개구(200)에는, 푸시버튼 핸들(202)이 배치된다. 그러므로, 4개의 푸시버튼 핸들(202)은, 돌출부(48)의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된다. 푸시버튼 핸들(202)은, 후술하는 제1 암(204), 제2 암(206)과의 연결을 제외하고, 푸시버튼 핸들(88)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푸시버튼 핸들(202)과 제1 암(204), 제2 암(206)과의 연결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16도 참조한다. 도 16은, 스위치용 커버(40)의 일부를 나타낸 C-C' 방향의 단면도이다. 압압부(208)는, 푸시버튼 핸들(202)의 후면의 중앙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스위치 본체(12)에 대향한다.
개구(200)를 형성하고 있는 상하 좌우의 4개의 봉형의 영역 중, 위쪽의 영역이 제1 에지부(212)라고 정의되고, 아래쪽의 영역이 제2 에지부(214)라고 정의된다. 제1 에지부(212)와 제2 에지부(214)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1 암(204)은, 제1 에지부(212)의 이면(裏面)으로부터 연장되어 푸시버튼 핸들(202)에 연결된다. 제1 암(204)은, U자 형상을 가진다.
제1 암(204)은, 제1 에지부(212)의 좌우 방향의 중앙 부분으로서, 또한 도 15에서의 사선 부분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나서, 반원의 원호형으로 만곡되고, 전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1 암(204)은, 푸시버튼 핸들(202)의 후면에 도달한다. 이와 같은 형상의 제1 암(204)도, 제1 암(90)과 마찬가지로, 제1 에지부(212)로부터 푸시버튼 핸들(202)까지의 사이를 우회함으로써, 푸시버튼 핸들(202)의 상부 에지와 제1 에지부(212)와의 최단 거리보다 길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제2 암(206)은, 제2 에지부(214)와 푸시버튼 핸들(202)과의 사이에서, 푸시버튼 핸들(202)의 전면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제1 암(204)의 대략 회전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에서도, 개구(200), 푸시버튼 핸들(202), 제1 암(204), 제2 암(206)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암이 푸시버튼 핸들의 가압 조작의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므로, 각 암의 폭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암의 폭이 넓어지므로, 암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실시예 1, 2와 마찬가지로,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조작 단말기의 스위치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스위치용 커버는, 2개의 암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실시예 3에 관한 스위치용 커버는, 1개의 암을 구비하고 있다. 실시예 1,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암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조작성이 향상되지만, 실시예 3에서는, 1개의 암의 사용에 의해서도, 조작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암이 1개인 경우에 일반적으로 조작성이 악화되는 것을 설명한 후에, 실시예 3에 관한 스위치용 커버를 이제까지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비교 대상이 되는 스위치용 커버(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에 있어서, 도 4, 도 10에 나타낸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부호를 부여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또한, 도 18은, 스위치용 커버(300)의 일부를 나타낸 D―D' 방향의 단면도이다. 장착면(302), 돌출부(304), 멤브레인(314)은, 지금까지의 장착면(46), 돌출부(48), 멤브레인(146)에 대응한다. 또한, 개구(306), 푸시버튼 핸들(308), 압압부(312)는, 실시예 2에서의 개구(200), 푸시버튼 핸들(202), 압압부(208)에 대응한다.
암(310)은, 푸시버튼 핸들(308)의 위쪽에 구비되어 있고, 푸시버튼 핸들(308)의 아래쪽에는, 암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암(310)은, 실시예 2에서의 제1 암(204)에 대응하지만, 실시예 2에서의 제2 암(206)은, 도 17에 포함되지 않다. 즉, 비교 기술로서 나타내는 스위치용 커버(300)는, 실시예 2에 포함된 2개의 암을 1개로 한 구성에 상당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18에 나타낸 멤브레인(314)을 통하여, 푸시버튼 핸들(308)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가압 조작된다. 포인트 P1은 암(310)의 근방에 위치하므로, 암(310)의 존재에 의해, 포인트 P1에서의 푸시버튼 핸들(308)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한편, 포인트 P2는, 포인트 P1보다 암(31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이므로, 포인트 P2는, 포인트 P1보다 암(310)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는다. 그러므로, 포인트 P2에서의 푸시버튼 핸들(308)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의 이동은, 포인트 P1과 비교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그 결과, 푸시버튼 핸들(308)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후방으로의 이동 거리가, 포인트 P1와 포인트 P2와의 사이에서 상이하고, 암(310)에 의한 회전 운동에 의해, 포인트 P1의 각이 세워지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포인트 P1의 앞쪽에는 멤브레인(314)이 위치하므로, 포인트 P1에 있어서, 푸시버튼 핸들(308)은 멤브레인(314)에 간섭한다. 이 간섭에 의해, 푸시버튼 핸들(308)의 조작감이 악화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스위치용 커버(4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0은, 스위치용 커버(40)의 일부를 나타낸 E―E' 방향의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도 17, 도 18과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개구(400)는, 돌출부(48)에 형성된 개구 에지부(410)에 의해 형성된다. 개구 에지부(410)의 형상은, 개구 에지부(98), 개구 에지부(210)의 형상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 19에서도, 설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개구 에지부(410)를 사선 부분으로 나타낸다.
또한, 푸시버튼 핸들(402)의 전면(408)은, 단면도에서의 아래쪽의 부분에서 직선적인 형상을 가지지만, 위쪽의 부분에서 커브 형상을 가진다. 커브 형상은, 위쪽으로 갈수록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0과 같이, 전면(408)을 덮어 설치하기 위한 멤브레인(146)이 설치되므로, 전면(408)은, 푸시버튼 핸들(402)에 암(404)이 연결되는 위치에 가까워질수록 멤브레인(146)으로부터 이격되는 형상으로 된다. 이와 같은 푸시버튼 핸들(402), 개구 에지부(410), 전면(408)도,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비교 대상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20에 나타낸 멤브레인(146)을 통하여, 푸시버튼 핸들(402)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가압 조작된다. 푸시버튼 핸들(402)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후방으로의 이동 거리가, 포인트 P1와 포인트 P2와의 사이에서 상이하고, 암(404)에 의한 회전 운동에 의해, 포인트 P1의 각이 세워지게 된다. 포인트 P1에서의 푸시버튼 핸들(402)과 멤브레인(146)과의 거리는, 비교 대상과 비교하여, 길어져 있으므로, 포인트 P1에서의 푸시버튼 핸들(402)과 멤브레인(146)과의 간섭은 저감된다. 간섭의 저감에 의해, 푸시버튼 핸들(402)의 조작감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버튼 핸들의 전면이, 암이 연결되는 위치에 가까워질수록 멤브레인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암이 1개라도, 푸시버튼 핸들을 내리누른 경우의 멤브레인과 푸시버튼 핸들과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멤브레인과 푸시버튼 핸들과의 간섭이 저감되므로, 푸시버튼 핸들의 조작 감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암이 1개로 되므로,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다. 이 실시예는 예시이며, 이들의 각각의 구성 요소 또는 각각의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여러 가지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있어서 도 4를 기초로, 방향이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유지되고 있다면, 방향은 임의라도 된다. 일례로서, 지금까지 사용한 「전방」이, 「상방」이라도 된다. 이 경우, 지금까지의 「전면」또는 「정면」은, 「상면」이라도 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방향을 임의로 규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있어서, 조작 단말기(510)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500)에 포함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조작 단말기(510)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500)에 포함되지 않고, 통상의 전등 등의 스위치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회로 블록(2)의 구성이 상이하지만, 공지의 기술이 이용되게 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스위치용 커버(40)의 적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있어서, 제1 돌출형 클로우부(76), 제2 돌출형 클로우부(78)는, 화장 커버(8)의 탄성편(148)을 걸기 위해, 돌출측면(50)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화장 커버(8)의 탄성편(148)을 거는 것에 의해 걸림부는, 제1 돌출형 클로우부(76), 제2 돌출형 클로우부(78)가 아니고, 돌출측면(50)에 형성된 구멍부라도 된다. 상기 구멍부에 탄성편(148)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스위치용 커버(40)에 화장 커버(8)가 걸린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있어서, 개구(86), 개구(200), 개구(400)는, 직사각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에 맞추어 푸시버튼 핸들(88), 푸시버튼 핸들(202), 푸시버튼 핸들(402)도 직사각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들은 직사각형상 이외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그와 같은 형상의 일례는, 원형상이다. 개구(86), 개구(200), 개구(400)가 원형상인 경우, 서로 대향한 제1 에지부와 제2 에지부는, 서로 중복되지 않는 반원주를 포함하는 영역으로서 정의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다양한 형상의 푸시버튼 핸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있어서, 푸시버튼 핸들(88), 푸시버튼 핸들(202), 푸시버튼 핸들(402)의 수는 「4」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푸시버튼 핸들(88), 푸시버튼 핸들(202), 푸시버튼 핸들(402)의 수는 「4」이외의 값, 「3」, 「5」등이라도 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필요로 하는 수의 푸시버튼 핸들(88), 푸시버튼 핸들(202), 푸시버튼 핸들(402)을 실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있어서, 제1 돌출형 클로우부(76), 제2 돌출형 클로우부(78)는, 스위치용 커버(40)의 측면에 있어서, 제1 벽부(52), 제3 벽부(56)의 앞쪽 에지로부터 일부가 노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 돌출형 클로우부(76), 제2 돌출형 클로우부(78)는, 스위치용 커버(40)의 측면에 있어서, 제1 벽부(52), 제3 벽부(56)에 모두 은폐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장착면(46)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 암(90), 제2 암(92)은, 제1 에지부(100), 제2 에지부(102)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 암(90), 제2 암(92)은, 제1 에지부(100), 제2 에지부(102)의 이면으로부터 연장되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 암(90), 제2 암(92)은, 크랭크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 암(90), 제2 암(92)은,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1 암(90)은, 제1 에지부(100)에서의 푸시버튼 핸들(88)의 우측단보다 우측의 부분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나서, 대략 수직으로 좌측 방향으로 굴곡되고, 제1 에지부(100) 및 푸시버튼 핸들(88)의 상부 에지의 사이를 그들에 따라 연장된다. 또한, 제1 암(90)은, 푸시버튼 핸들(88)의 좌측단보다 좌측의 부분에서 대략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굴곡되고, 푸시버튼 핸들(88)의 좌측의 에지부 및 푸시버튼 핸들(88)의 좌측 주위의 사이를 그들에 따라 연장된다. 또한, 푸시버튼 핸들(88)의 좌측단보다 위쪽의 부분에서 대략 수직으로 우측으로 굴곡되고, 푸시버튼 핸들(88)의 좌측 주위에 도달한다. 제2 암(92)은, 제1 암(90)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제1 암(90), 제2 암(92)이 더 길어지므로, 푸시버튼 핸들의 가압폭을 더 확대할 수 있다.
2; 회로 블록, 4; 하우징, 6; 범위, 8; 화장 커버, 10; 프린트 배선판, 12; 스위치 본체, 14; 발광 소자, 16; 수발광부, 20; 보디, 22; 결합편, 24; 결합공, 26; 나사 단자, 28; 단자판, 30; 단자 나사, 40; 스위치용 커버, 42; 결합홈, 44; 결합 클로우, 46; 장착면, 48; 돌출부, 50; 돌출측면, 52; 제1 벽부, 54; 제2 벽부, 56; 제3 벽부, 58; 제1 구멍부, 60; 제2 구멍부, 62; 제3 구멍부, 64; 제1 연결벽부, 66; 제2 연결벽부, 68; 제3 연결벽부, 70; 제4 연결벽부, 72; 제5 연결벽부, 74; 제6 연결벽부, 76; 제1 돌출형 클로우부, 78; 제2 돌출형 클로우부, 80; 창공, 82; 신호용 격벽, 84; 제1 도광부, 86; 개구, 88; 푸시버튼 핸들, 90; 제1 암, 92; 제2 암, 94; 압압부, 96; 스위치 조작부, 98; 개구 에지부, 100; 제1 에지부, 102; 제2 에지부, 110; 장착부, 112; 박스공, 114; 당겨 걸기 위한 구멍, 116; 플레이트공, 118; 직부 구멍, 120; 프레임 본체, 122; 개구, 124; 돌출형부, 126; 돌기부, 140; 커버 본체, 142; 제2 도광부, 144; 신호용 윈도우부, 146; 멤브레인, 148; 탄성편, 170; 통신부, 172; 제어부, 174; 광통신부, 500;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510; 조작 단말기, 512; 제어 단말기, 514; 전송 제어 장치.

Claims (5)

  1. 푸시버튼(push button) 핸들;
    상기 푸시버튼 핸들이 배치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에지부; 및
    상기 개구 에지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에지부의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푸시버튼 핸들에 연결되는 2개의 암(arm);
    을 포함하고,
    상기 푸시버튼 핸들, 상기 개구 에지부, 상기 2개의 암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스위치용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암의 각각은, 서로 대향하는 상기 에지부로부터 상기 푸시버튼 핸들까지의 사이를 우회(迂回)하는 형상을 가지는, 스위치용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암의 각각은, 크랭크 형상을 가지는, 스위치용 커버.
  4. 푸시버튼 핸들;
    상기 푸시버튼 핸들이 배치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에지부;
    상기 개구 에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푸시버튼 핸들에 연결되는 암; 및
    상기 푸시버튼 핸들의 전면(前面)에 덮도록 설치되는 멤브레인(membrane);
    을 포함하고,
    상기 푸시버튼 핸들, 상기 개구 에지부, 상기 암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상기 푸시버튼 핸들은, 상기 암이 연결되는 위치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멤브레인으로부터 이격되는 전면을 가지고 구성되는,
    스위치용 커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위치용 커버; 및
    상기 스위치용 커버에 결합되어, 스위치 본체가 실장(實裝)된 프린트 배선판을 수납하는 보디;
    를 포함하는 조작 단말기.
KR1020150027273A 2014-03-13 2015-02-26 스위치용 커버 및 조작 단말기 KR201501076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49993A JP2015176650A (ja) 2014-03-13 2014-03-13 スイッチ用カバー、操作端末器
JPJP-P-2014-049993 2014-03-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611A true KR20150107611A (ko) 2015-09-23

Family

ID=5406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273A KR20150107611A (ko) 2014-03-13 2015-02-26 스위치용 커버 및 조작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262771A1 (ko)
JP (1) JP2015176650A (ko)
KR (1) KR20150107611A (ko)
CN (1) CN104918144A (ko)
PH (1) PH12015000059A1 (ko)
TW (1) TWI5955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4709B2 (en) * 2019-02-05 2021-11-02 Signify Holding B.V. Devices for limiting switch positions for electrical devices
CN113632192B (zh) * 2019-04-05 2024-01-05 三菱电机株式会社 空气断路器的罩
JP2021136474A (ja) * 2020-02-21 2021-09-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配線器具、配線器具システム、配線器具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1953A (en) * 1971-08-23 1976-03-02 Hewlett-Packard Company Keyboard having switches with tactile feedback
US4315114A (en) * 1980-03-24 1982-02-09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Keyboard switch assembly
US4638151A (en) * 1984-05-25 1987-01-20 Canon Kabushiki Kaisha Keyboard of an electronic apparatus
US4582967A (en) * 1984-10-22 1986-04-15 Tec, Inc. Key switch assembly
US5021638A (en) * 1987-08-27 1991-06-04 Lucas Duraltih Corporation Keyboard cover
JP3210689B2 (ja) * 1991-07-25 2001-09-17 松下電工株式会社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データ設定方法、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その端末器
US5359658A (en) * 1992-01-28 1994-10-25 Mark Goodson Games, Inc. Key marking overlay for alphanumeric keypads
US5219067A (en) * 1992-02-04 1993-06-15 Trimble Navigation Limited Keyboard pad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s
US7182533B1 (en) * 1997-10-21 2007-02-27 Prosper Street Technologies, Llc Keyboard contoured to the natural shape of the hand
JPH11176289A (ja) * 1997-12-16 1999-07-02 Hosiden Corp キーボード
US6253638B1 (en) * 1999-06-10 2001-07-03 David Bermudez Bicycle sprocket crank
TW490697B (en) * 2000-05-22 2002-06-11 Jr-Hung Fang Molding article of elastic rubber key with plastic film covering
JP2002245893A (ja) * 2001-02-20 2002-08-30 Ntt Data Corp スイッチ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用押ボタンスイッチ
US6556112B1 (en) * 2002-06-05 2003-04-29 Duraswitch Industries Inc. Converting a magnetically coupled pushbutton switch for tact switch applications
TWM285789U (en) * 2005-10-11 2006-01-11 Inventec Corp Push-button structure
JP4626567B2 (ja) * 2006-05-12 2011-02-0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操作スイッチ器具
CN101281826B (zh) * 2008-05-22 2010-06-02 宁波舜韵电子有限公司 一种按钮开关
CN202434391U (zh) * 2012-01-13 2012-09-12 苏州达方电子有限公司 按键及键盘
CN203026415U (zh) * 2012-12-12 2013-06-26 Tcl通力电子(惠州)有限公司 按键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62771A1 (en) 2015-09-17
PH12015000059A1 (en) 2016-08-31
TWI595522B (zh) 2017-08-11
TW201603079A (zh) 2016-01-16
JP2015176650A (ja) 2015-10-05
CN104918144A (zh)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232B1 (ko) 스위치용 커버 및 조작 단말기
KR20150107611A (ko) 스위치용 커버 및 조작 단말기
KR102142664B1 (ko)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JP3838253B2 (ja) 操作スイッチ配線器具
KR101600232B1 (ko) 단말기
JP7029702B2 (ja) 配線器具及び配線器具システム
JP2009266600A (ja) 操作端末器
US9674971B2 (en) Terminal device
JP7403110B2 (ja) 配線器具、及び取付具
JP5180902B2 (ja) 電気機器
JP3210689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データ設定方法、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その端末器
JP2002140151A (ja) 携帯型情報機器
KR101898563B1 (ko) 카메라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비디오 도어폰
CN217283176U (zh) 可视对讲装置
CN214505321U (zh) 一种按键结构以及电子设备
JP3169054U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4535165B2 (ja) 操作端末器
KR100458445B1 (ko) 영상표시기기의 겸용 버튼구조
JP2517378Y2 (ja) 光データ伝送装置
JP2017046334A (ja) 操作端末器
KR200478663Y1 (ko) 우적센서 및 하이패스단말기용 커버장치
JPH06339187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操作用端末器
CN105242359A (zh) 具有防尘件的光电模组
JP2018088329A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及び配線器具システム
JP2017068992A (ja) 操作端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16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502

Effective date: 2019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