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563B1 - 카메라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비디오 도어폰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비디오 도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563B1
KR101898563B1 KR1020170079015A KR20170079015A KR101898563B1 KR 101898563 B1 KR101898563 B1 KR 101898563B1 KR 1020170079015 A KR1020170079015 A KR 1020170079015A KR 20170079015 A KR20170079015 A KR 20170079015A KR 101898563 B1 KR101898563 B1 KR 101898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cb
pcb module
door phone
video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재욱
김효섭
정희섭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9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1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resilien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비디오 도어폰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디오 도어폰의 카메라모듈, 통신모듈, 및 버튼모듈을 하나의 PCB에 구성하여 구조를 간단히 하고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여 촬영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비디오 도어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비디오 도어폰 {Video Door Phone with Adjustable Angle of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비디오 도어폰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디오 도어폰의 카메라모듈, 통신모듈, 및 버튼모듈을 하나의 PCB에 구성하여 구조를 간단히 하고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여 촬영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비디오 도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외부 방문객이 도어 일 측에 설치된 비디오 도어폰을 통해 방문벨, 일명 초인종을 눌러 방문 신호를 보내면, 해당 신호가 실내에 설치된 실내 인터폰으로 전달됨과 동시에 비디오 도어폰에 설치된 촬영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외부 화면이 실내 인터폰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됨에 따라, 실내의 사용자는 해당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방문객의 신원과 도어 외부 상황을 인지한 후 도어의 개방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의 비디오 도어폰을 설치함에 있어서, 비디오 도어폰에 설치된 촬영카메라가 방문객을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촬영카메라의 방향을 고려하여 설치함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비디오 도어폰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은 도어 주변의 환경에 의해 제한되고, 이와 같은 제한된 공간에 설치되는 비디오 도어폰의 경우, 비디오 도어폰의 정면만을 촬영할 경우 실내 인터폰에서 방문객의 신원을 확인하기에 원활한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도어(3) 일 측에 설치된 비디오 도어폰(1) 및 방문객(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A)의 예와 같이, 도어(3) 우측의 도어와 수직인 벽면에 비디오 도어폰(1)이 설치되는 경우, 도어(3)의 손잡이 쪽에 서 있는 방문객(2)이 비디오 도어폰의 촬영범위(4) 내에 들어와 있게 되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반면, 도 1의 (B)의 예와 같이, 도어(3) 우측의 도어와 수평인 벽면에 비디오 도어폰(1)이 설치되는 경우, 도어(3)의 손잡이 쪽에 서 있는 방문객(2)은 비디오 도어폰의 촬영범위(4)에 일부만이 들어와 있어 실내의 사용자가 방문객을 확인하기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비디오 도어폰은, 카메라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시야를 확보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도 1의 (B)에서와 같이 비디오 도어폰(1)이 설치된 경우, 카메라부의 각도를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도어폰(1)의 좌측을 촬영하도록 조절하여 점선으로 표시된 비디오 도어폰의 촬영범위(4')에 방문객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비디오 도어폰은, 카메라부를 따로 분리하여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카메라부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포함하여 이를 통해 카메라부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부가 비디오 도어폰의 다른 부분과 분리됨으로써, 비디오 도어폰을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가 포함된 기판 역시 분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회로가 2개, 혹은 3개의 기판으로 구성되어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카메라부의 방향을 조절하는 별도의 부재로 인해 조립에 필요한 부품의 수 역시 증가하여 크기가 커지고, 구조가 복잡하며, 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 외에도 카메라부의 각도를 실내 인터폰에서 원격 조정할 수 있는 장치를 내장한 비디오 도어폰이 고안되었으나, 잦은 고장과 비교적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여 크게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비디오 도어폰의 카메라모듈, 통신모듈, 및 버튼모듈을 하나의 PCB에 구성하여 구조를 간단히 하고 부품의 수를 줄여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여 촬영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비디오 도어폰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디오 도어폰으로서, 상기 비디오 도어폰은, 하나의 기판으로 구성된 PCB모듈; 및 상기 PCB모듈과 결합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PCB모듈이 회전 가능하도록 PCB모듈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PCB모듈이 회전 가능하도록 PCB모듈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PCB모듈의 설치 각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PCB모듈은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실내의 인터폰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모듈; 및 외부의 물리적 입력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버튼모듈;을 포함하는 비디오 도어폰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PCB모듈에 고정되어 상기 PCB모듈이 회전함에 따라 같이 회전하여 촬영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부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구비된 수 개의 돌기에 의해 상기 PCB모듈의 설치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PCB모듈은, 상기 제1지지부와 결합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지지부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는 각각 하나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는 각각 하나의 구멍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PCB모듈은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PCB모듈은 상기 고정부의 상기 복수의 돌기에 의하여 2 이상의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디오 도어폰은, 비디오 도어폰의 전면을 보호하며 상기 본체와 결합될 수 있는 전면케이스; 및 실외 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와 결합될 수 있는 후면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케이스, 상기 본체, 및 상기 후면케이스는 스냅-핏 방법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면케이스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와 결합됨에 있어서 유격이 부여되어 움직일 수 있고, 움직임에 의해 상기 버튼모듈을 누를 수 있도록 구비된 버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버튼모듈은 상기 PCB모듈이 회전하는 회전축에 위치하여 상기 PCB모듈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버튼돌기가 상기 버튼모듈을 누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케이스가 움직임에 있어 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PCB모듈은 카메라모듈과 연동하여 카메라모듈의 촬영 대상을 조명하는 조명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케이스는, 상기 조명모듈에서 생성된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조명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명창은 상기 조명모듈에서 생성된 빛이 비디오 도어폰 내부로 확산되지 않고 전면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깔때기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PCB모듈은 실내에 설치된 실내 인터폰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케이스는, 실외 벽면에 매립된 연결선과 상기 통신모듈이 연결될 수 있도록 개방된 후면개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도어폰의 카메라모듈, 통신모듈, 및 버튼모듈을 하나의 PCB에 구성하여 구조를 간단히 하고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여 촬영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도어폰의 전면케이스가 버튼의 역할을 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여 비용을 절감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도어폰의 전면케이스, 본체, 및 후면케이스가 스냅-핏 방법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여 비용을 절감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도어 일 측에 설치된 비디오 도어폰 및 방문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의 모습을 도시하는 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의 본체 및 PCB모듈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의 고정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의 전면케이스, 본체, 및 PCB모듈을 도시하는 측면조립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의 버튼모듈 및 버튼돌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의 조명모듈 및 조명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의 스프링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은 비디오 도어폰의 전면을 보호하는 전면케이스(10), 구성요소들이 결합되는 본체(20), 비디오 도어폰이 동작하기 위한 회로가 구성된 PCB모듈(30), 및 비디오 도어폰을 벽체와 고정하는 후면케이스(4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케이스(10)는 카메라창(11), 조명창(12), 버튼돌기(13), 마이크설치부(14), 스피커설치부(15), 및 전면결합돌기(16)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케이스(10)는 비디오 도어폰의 전면을 보호하며 상기 본체(20)와 결합한다.
상기 카메라창(11)은 비디오 도어폰의 카메라모듈(31)이 외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창(11)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창(12)은 비디오 도어폰의 조명모듈(32)에서 생성된 빛을 외부로 투과시킨다. 상기 카메라창(11)과 마찬가지로 조명창(12)의 일부는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튼돌기(13)는 상기 전면케이스(10)의 움직임에 의해 비디오 도어폰의 버튼모듈(33)을 누를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케이스(10)는 방문객이 방문을 알리기 위한 별도의 버튼 없이, 전면케이스(10) 전체가 버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버튼돌기(13)는 상기 전면케이스에서 돌출되어, 비디오 도어폰의 버튼모듈(33)까지 방문객의 입력을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면케이스(10)는 상측에 위치한 전면결합돌기(16)를 축으로 하여, 상기 전면케이스(10) 전체가 이동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이동에 의하여 버튼돌기(13)가 PCB모듈(30)의 버튼모듈(33)을 누르기 때문에, 버튼과 관련된 구성을 최적화 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설치부(14)에는 비디오 도어폰을 통해 실내에서 외부의 방문객과 통화할 수 있도록 외부의 소리를 수신하는 마이크가 설치된다. 상기 마이크설치부(14)는 마이크가 고정될 수 있는 형태이고, 외부의 소리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피커설치부(15)에는 비디오 도어폰을 통해 실내에서 외부의 방문객과 통화할 수 있도록 내부의 소리를 전달하는 스피커가 설치된다. 상기 스피커설치부(15)는 스피커가 고정될 수 있는 형태이고, 스피커에서 발생된 소리가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결합돌기(16)는 상기 전면케이스(10)를 비디오 도어폰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결합돌기(16)는 상기 본체(20)에 구비된 전면결합홈(28)에 맞물려 상기 전면케이스(10)를 상기 본체(20)에 결합시킨다. 상기 전면결합돌기(16)는 스냅-핏 방법에 의해 상기 본체(20)와 결합할 수 있는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20)는 제1지지부(21), 제2지지부(22), 고정부(23), 카메라통과부(24), 마이크통과부(25), 스피커덮개부(26), 스프링부(27), 전면결합홈(28), 및 후면결합돌기(29)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21), 제2지지부(22), 고정부(23), 카메라통과부(24), 마이크통과부(25), 스피커덮개부(26), 스프링부(27), 전면결합홈(28), 및 후면결합돌기(29)는 하나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20)는 상기 전면케이스(10). 상기 PCB모듈(30), 및 상기 후면케이스(40)와 결합하여 비디오 도어폰을 구성하도록 한다.
상기 제1지지부(21)는 상기 PCB모듈(30)이 회전 가능하도록 PCB모듈(30)의 일 측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부(21)는 돌기를 구비하고 있고, 이에 결합하는 상기 PCB모듈(30)의 제1결합부(34)는 상기 돌기에 상응하는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 및 상기 구멍은 결합 시 유격이 있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지지부(21)는 상기 본체(20)의 메인프레임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도 5를 참고하면, 도 5의 세로방향으로 위치한 판재를 뜻한다.
상기 제2지지부(22)는 상기 PCB모듈(30)이 회전 가능하도록 PCB모듈(30)의 타 측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지지부(22)는 돌기를 구비하고 있고, 이에 결합하는 상기 PCB모듈(30)의 제2결합부(350)는 상기 돌기에 상응하는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 및 상기 구멍은 결합 시 유격이 있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지지부(22)는 상기 본체(20)의 메인프레임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PCB모듈(30)의 설치 각도를 가변적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PCB모듈(30)은 상기 제1지지부(21) 및 제2지지부(22)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이 때 PCB모듈(30)의 위치가 결정된 후에는 상기 고정부(23)에 의해 한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PCB모듈(30)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이와 같은 고정부(23)는 일면에 복수의 결합돌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고정부(23)의 중심선을 축으로 복수개가 대칭으로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본체(20)의 메인프레임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통과부(24)는 비디오 도어폰의 카메라모듈(31)이 외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모듈(31)을 통과시킨다. 상기 카메라통과부(24)는 카메라모듈(31) 외에도 조명모듈(32) 및 버튼모듈(33)이 각각 조명창(12) 및 버튼돌기(13)와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비디오 도어폰의 내부에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마이크통과부(25)는 상기 전면케이스(10)의 마이크설치부(14)에 설치된 마이크가 상기 PCB모듈(30)과 연결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스피커덮개부(26)는 상기 전면케이스(10)의 스피커설치부(15)에 설치된 스피커가 이탈되지 않도록 스피커설치부(15)를 덮는다.
상기 스프링부(27)는 상기 전면케이스(10)가 상기 본체(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때 복원력을 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케이스(10)는 상기 본체(20)와 결합됨에 있어서 유격이 부여되어 움직일 수 있고, 이와 같은 움직임에 의해 전면케이스(10)자체가 비디오 도어폰의 버튼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전면케이스(10)가 버튼으로 동작하기 위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전면케이스(10)를 이동시키는 복원력을 필요로 하는데, 상기 스프링부(27)가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부(27)는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20)의 일부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부(2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휘어진 판 형태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부(27)는 상기 본체(2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결합홈(28)은 상기 전면케이스(10)의 전면결합돌기(16)와 결합하여 전면케이스(10)와 본체(20)를 결합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면결합홈(28)은 상기 전면결합돌기(16)와 결합함에 있어 유격이 부여되어 상기 전면케이스(10)와 상기 본체(20)는 결합 후에도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움직임에 의해 상기 전면케이스(10)의 버튼돌기(13)가 후술할 버튼모듈(33)을 누를 수 있게 되어, 상기 전면케이스(10)가 그 자체로 비디오 도어폰의 버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전면케이스(10) 자체로 버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전면케이스(10)에는 상기 전면케이스(10)가 버튼임을 알릴 수 있는 기호, 또는 문구 등이 인쇄 혹은 각인되어 방문객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인쇄 혹은 각인되는 기호는 벨, 버튼 등의 모양일 수 있고, 인쇄 혹은 각인되는 문구는 누름, 초인종 PUSH 등의 문구일 수 있다.
상기 후면결합돌기(29)는 상기 본체(20)를 상기 후면케이스(4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결합돌기(29)는 상기 후면케이스(40)에 구비된 후면결합홈(44)에 맞물려 상기 본체(20)와 상기 후면케이스(40)를 결합시킨다. 상기 후면결합돌기(29)는 스냅-핏 방법에 의해 상기 후면케이스(40)와 결합할 수 있는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PCB모듈(30)은 카메라모듈(31), 조명모듈(32), 버튼모듈(33), 제1결합부(34), 제2결합부(35), 통신모듈(36), 마이크모듈(37), 및 스피커모듈(38)을 포함한다. 상기 PCB모듈(30)은 비디오 도어폰의 작동을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가 더 포함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PCB모듈(30)은 하나의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 회로 기판)와 상기 PCB에 구성된 각종 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모듈(31)은 외부의 영상을 촬영한다. 이를 통해 실내의 사용자가 외부의 방문객 또는 환경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카메라모듈(31)은 CCD 혹은 CMOS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원활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렌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32)은 상기 카메라모듈(31)이 방문객을 포함한 외부의 영상을 촬영함에 있어서 더욱 선명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조명모듈(32)의 광원의 종류는 상기 카메라모듈(31)의 촬영 파장 영역에 맞추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모듈(31)이 적외선 카메라로 구성된 경우, 상기 조명모듈(32)은 적외선 램프 등으로 구성되어 적외선 카메라의 촬영을 도울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모듈(32)은 방문객의 입력이 있는 경우 점등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꺼지도록 하여 조명이 필요한 경우에만 점등되도록 하여 전력의 소모를 줄인다.
상기 버튼모듈(33)은 방문객의 조작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여 실내의 사용자에게 방문객의 방문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모듈(33)은 푸시 버튼 스위치로 구성되어, 방문객의 누르는 입력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은 버튼모듈(33)은 상기 전면케이스(10)의 버튼돌기(13)에 의하여 눌러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튼모듈(33)이 상기 버튼돌기(13)에 의해 눌러지는 경우, 상기 카메라모듈(31), 조명모듈(32), 마이크모듈(37) 및 스피커모듈(38)이 동작된다.
상기 제1결합부(34)는 상기 본체(20)의 제1지지부(21)와 결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결합부(34)는 PCB에 구비된 하나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결합하는 상기 본체(20)의 제1지지부(21)는 하나의 돌기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구멍 및 상기 돌기는 결합 시 유격이 있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결합부(35)는 상기 본체(20)의 제2지지부(22)와 결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결합부(35)는 PCB에 구비된 하나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결합하는 상기 본체(20)의 제2지지부(22)는 하나의 돌기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구멍 및 상기 돌기는 결합 시 유격이 있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PCB모듈(30)의 양 측에 구비된 제1결합부(34) 및 제2결합부(35)에 의해 상기 PCB모듈(30)은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이를 통해 PCB모듈(30)에 구비된 카메라모듈(31)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36)은 실내에 설치된 실내 인터폰과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카메라모듈(31)에서 촬영된 영상 및 마이크를 통해 수집된 외부의 소리가 실내 인터폰으로 전송되고, 실내 인터폰으로부터 실내의 소리를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듈(36)은 유선으로 실내 인터폰과 연결되어 상기 실내 인터폰과 소리 및 영상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모듈은 비디오 도어폰의 후측에 위치하여, 벽에 매설된 연결선 등을 통해 실내 인터폰과 통신을 수행한다.
혹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모듈(36)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로서, 실내에 위치한 실내 인터폰과 무선으로 소리 및 영상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마이크모듈(37)은 비디오 도어폰을 통해 실내에서 외부의 방문객과 통화할 수 있도록 외부의 소리를 수신한다. 상기 마이크모듈(37)은 그 자체에 소리를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장치가 포함될 수도 있고, 별도의 마이크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마이크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으로 소리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모듈(37)은 전면케이스(10)의 마이크설치부(14)에 설치되는 마이크장치와 연결되어, 외부의 소리를 수신한다.
상기 스피커모듈(38)은 비디오 도어폰을 통해 실내에서 외부의 방문객과 통화할 수 있도록 내부의 소리를 전달한다. 상기 스피커모듈(38)은 그 자체에 소리를 전달하는 스피커가 포함될 수도 있고, 별도의 스피커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스피커장치로 신호를 전달하여 외부로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모듈(38)은 전면케이스(10)의 스피커설치부(15)에 설치되는 스피커장치와 연결되어, 외부에 소리를 전달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후면케이스(40)는 하우징(41), 후면개방부(42), 벽면고정부(43), 및 후면결합홈(44)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41), 후면개방부(42), 벽면고정부(43), 및 후면결합홈(44)은 하나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면케이스(40)는 상기 비디오 도어폰의 후면을 보호하고, 실외 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와 결합하여 비디오 도어폰을 실외 벽면에 고정시킨다.
상기 하우징(41)은 본체(20) 및 PCB모듈(30)의 주요 부분을 감싸서 보호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41)은 주요 부분을 덮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우징(41)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를 보강하는 리브 등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개방부(42)는 상기 하우징(41)의 후면에 위치한 개방부로서, 벽체에 매립된 연결선 등이 PCB모듈(30)의 통신모듈(36)등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벽면고정부(43)은 상기 후면케이스(40)를 실외 벽면에 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면고정부(43)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화된 벽면 매립용 스위치 박스의 나사고정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그 크기와 위치가 정해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벽면고정부(43)는 한국산업표준 KS C 8458 및 KS C 8461에 규정된 표준에 의한 스위치 박스 또는 노출 스위치 박스에 맞추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면결합홈(44)은 상기 본체(20)의 후면결합돌기(29)와 결합하여 후면케이스(40)와 본체(20)를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면결합돌기(29)는 후면결합홈(44)과 스냅-핏 방법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이어서, 사용자가 비디오 도어폰을 쉽게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의 모습을 도시하는 조립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은 조립 후 전면은 전면케이스(10)에 의해 보호된다.
또한, 상기 전면케이스(10)의 카메라창(11)을 통해 카메라모듈(31)이 방문객을 촬영하고, 조명창(12)을 통해 조명모듈에서 발생한 빛으로 방문객을 조명하고, 마이크설치부(14)의 구멍을 통해 마이크가 외부의 소리를 수신하고, 스피커설치부(15)의 구멍을 통해 스피커가 내부의 소리를 전달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실내의 사용자는 외부의 방문객의 영상을 확인하고 통화를 하여 방문객의 신원을 확인하고 도어의 개방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은 조립 후 후면은 후면케이스(40)에 의해 보호된다.
또한, 후면의 벽면고정부(43)를 통해 벽면의 설치공간에 고정되고, 후면개방부(42)를 통해 통신모듈(36)이 벽면에 매립된 연결선 등을 통해 실내에 설치된 실내 인터폰과 연결되어 영상 및 소리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의 본체(20) 및 PCB모듈(30)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20)는 PCB모듈(30)이 회전 가능하도록 PCB모듈(30)의 일 측을 지지하는 돌기가 형성된 제1지지부(21), PCB모듈(30)이 회전 가능하도록 PCB모듈(30)의 타 측을 지지하는 돌기가 형성된 제2지지부(22), 및 PCB모듈(30)의 설치 각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23)를 포함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부(21)는 상기 PCB모듈(30)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PCB모듈(30)이 고정될 위치에서 도 5의 우측(비디오 도어폰의 후면)을 향한 돌기 형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부(22)는 상기 PCB모듈(30)이 고정될 위치에서 도 5의 좌측(비디오 도어폰의 전면)을 향한 돌기 형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제1지지부(21)의 상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PCB모듈(30)의 설치 각도를 고정시킨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23)는 구비된 수 개의 돌기에 의해 PCB모듈(30)의 설치 각도를 고정시킨다. 상기 수 개의 돌기는 상기 PCB모듈(30)을 도 5의 우측(비디오 도어폰의 후면) 및 좌측(비디오 도어폰의 전면) 양측에 위치하여, 도 5의 우측(비디오 도어폰의 후면)을 향한 제1지지부(21) 및 도 5의 좌측(비디오 도어폰의 전면)을 향한 제2지지부(22)와 함께, 상기 PCB모듈(30)이 자리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21) 및 제2지지부(22)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한 돌기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23)에 구비된 복수의 돌기들 중 일측의 1이상의 돌기 및 타측의 1이상의 돌기에 의하여 상기 PCB모듈(30)을 양측에서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쉽게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PCB모듈(30)이 고정된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23)에 구비된 복수의 돌기들 중 일측의 1이상의 돌기 및 타측의 1이상의 돌기 및 중앙에 위치한 돌기에 의하여 상기 PCB모듈(30)을 양측에서 지지한다.
도 5의 (B)와 같이 고정부(23)가 PCB모듈(30)의 상측면에 위치한 경우, 상기 고정부(23)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도 5의 상측으로 고정부(23)를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PCB모듈(30)을 돌기로부터 빼 낼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쉽게 PCB모듈(3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5의 (B)와 같이 고정된 경우, 상기 고정부(23)의 우측 끝 단에 상측으로 힘을 주는 경우, 상기 본체(20)에서 우측으로 형성된 고정부(23)가 상측으로 휘면서 상기 돌기가 PCB모듈(30)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이 때 상기 PCB모듈(30)을 도 5의 (B)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21) 및 제2지지부(22)로부터 이탈시켜 본체(20)와 PCB모듈(30)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조립은 이와 역순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CB모듈(30)을 분리하는 것 외에, 상기 PCB모듈(30)의 방향을 조절하는 경우에도, 분리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부(23)의 우측 끝 단에 상측으로 힘을 줘 상기 돌기를 PCB모듈(30)로부터 이탈시키고, 상기 PCB모듈(30)의 방향을 조절한 뒤, 상기 고정부(23)에 가한 힘을 제거함으로써, 다시 돌기의 사이에 상기 PCB모듈(30)을 고정시켜, 상기 PCB모듈(30)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제1지지부(21), 제2지지부(22), 및 고정부(23)에 구비된 돌기에 의해 상기 PCB모듈(30)을 고정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히 하고 부품의 수를 줄여 비용을 절감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카메라 회전을 위한 별도의 부재를 제거할 수 있고, 카메라모듈이 배치되는 PCB와 버튼모듈이 배치되는 PCB를 일체화하면서, 카메라모듈의 각도 조절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의 고정부(23)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도 5의 A-A' 섹션에서 비디오 도어폰의 상측을 바라 본 모습이고,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3)는 구비된 수 개의 돌기에 의해 PCB모듈(30)의 설치 각도를 고정시킨다.
도 6에서는 제1지지부, 고정부(23) 및 고정부에 구비된 수 개의 돌기(23.1 내지 23.7)는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PCB모듈(30), 및 상기 PCB모듈(30)에 고정된 카메라모듈(31)은 2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고정부(23)의 중심축에 위치하는 제4돌기(23.4), 중심축의 좌측에 위치하는 1 이상의 돌기(23.1 내지 23.3), 및 중심축의 우측에 위치하는 1 이상의 돌기(23.5 내지 23.7)를 구비한다.
도 6의 (A)는 고정부(23)에 의해 PCB모듈(30)이 본체(20)와 수평하게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PCB모듈(30)이 본체(20)와 수평하게 설치되면, PCB모듈(30)에 수직으로 위치한 카메라모듈(31)은 본체와 수직으로 설치되어, 비디오 도어폰과 수직인 방향의 영상을 촬영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21)는 도 6의 상측(비디오 도어폰의 후면)을 향한 돌기 형태로 되어 있고, 이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31)는 PCB에 뚫린 구멍의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돌기와 상기 구멍은 유격이 존재하여 상기 돌기의 위치에 대하여 PCB모듈(30)은 도 6의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의 회전이 가능하다. 회전각도는 유격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유격이 과도하게 큰 경우 PCB모듈(30)의 위치가 크게 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각도는 바람직하게는 20도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5도 이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3)는 수 개의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수 개의 돌기에 의해 PCB모듈(30)의 설치 각도를 고정시킨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PCB모듈(30)이 본체(20)와 수평하게 설치된 경우, 상기 PCB모듈(30)은 고정부(23)의 제2돌기(23.2) 및 제3돌기(23.3) 사이, 제5돌기(23.5) 및 제6돌기(23.6)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이 4개의 돌기에 의한 지지를 통해 상기 PCB모듈(30)의 각도가 수평으로 고정된다. 제4돌기(23.4)는 상기 PCB모듈(30)의 상측(비디오 도어폰의 후면)에 위치하여, 제1지지부(21)가 상측(비디오 도어폰의 후면)을 향한 돌기의 형태로 PCB모듈(30)을 지지할 때 PCB모듈(30) 상측(비디오 도어폰의 후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3)에 의해 PCB모듈(30)이 본체(20)와 일정 각도를 가진 채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PCB모듈(30)이 본체(20)와 일정 각도를 가진 채 설치되면, PCB모듈(30)에 수직으로 위치한 카메라모듈(31) 역시 본체와 일정 각도를 가진 채 설치되어, 비디오 도어폰의 설치 방향과 일정 각도를 가진 방향의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PCB모듈(30)이 본체(20)에 일정 각도를 가진 채, 즉 도 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되는 경우, 상기 PCB모듈(30)은 고정부(23)의 제1돌기(23.1) 및 제2돌기 사이(23.2), 제4돌기(23.4)와 제5돌기(23.5)의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이 4개의 돌기에 의한 지지를 통해 상기 PCB모듈(30)의 각도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채 고정된다.
도 6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3)에 의해 PCB모듈(30)이 본체(20)와 일정 각도를 가진 채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PCB모듈(30)이 본체(20)에 일정 각도를 가진 채, 즉 도 6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되는 경우, 상기 PCB모듈(30)은 고정부(23)의 제3돌기(23.3) 및 제4돌기 사이(23.4), 제6돌기(23.6)와 제7돌기(23.7)의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이 4개의 돌기에 의한 지지를 통해 상기 PCB모듈(30)의 각도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채 고정된다. 이는 도 6의 (B)와 방향만 다를 뿐 상세한 내용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PCB모듈(30)을 고정부(23)에 구비된 수 개의 돌기에 의해 고정할 때, 상기 고정부(23)는 탄성이 있는 재질, 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도구나 고정장치 없이도 설치자가 쉽게 PCB모듈(30)의 방향을 설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고정부(23)에 구비된 돌기에 의해 상기 PCB모듈(30)을 고정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여 비용을 절감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의 전면케이스(10), 본체(20), 및 PCB모듈(30)을 도시하는 측면조립도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케이스(10), 본체(20) 및 PCB모듈(30)이 조립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도어폰의 본체(20)는 제1지지부(21), 제2지지부(22) 및 고정부(23)를 통해 PCB모듈(30)과 결합하고, 전면결합홈(28)을 통해 전면케이스(10)와 결합한다.
이와 같이 전면케이스(10) 및 PCB모듈(30)은 본체(20)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PCB모듈(30)의 카메라모듈(31), 조명모듈(32), 및 버튼모듈(33)은 각각 전면케이스(10)의 카메라창(11), 조명창(12) 및 버튼돌기(13)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응하여 위치하게 된다.
상기 카메라모듈(31)은 카메라창(11)을 통해 외부의 영상을 촬영한다. 상기 조명모듈(32)은 조명창(12)을 통해 외부의 방문객을 조명한다. 상기 버튼모듈(33)은 버튼돌기(13)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전달받는다.
도 7의 (B)는 도 7의 (A) 하단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면케이스(10)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20)와 결합됨에 있어서 전면케이스(10)의 전면결합돌기(16)와 본체(20)의 전면결합홈(28) 사이에는 도 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격이 부여되어, 전면케이스(10)는 본체(20)에 대해 도 7의 좌우방향(비디오 도어폰의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와 같은 움직임에 의해 상기 버튼돌기(13)가 상기 버튼모듈(33)을 누를 수 있게 된다.
즉, 별도의 버튼용 부재의 필요 없이, 전면 케이스(10) 자체가 방문객이 누를 수 있는 버튼으로서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부재로 전면케이스(10)를 형성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여 비용을 절감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의 버튼모듈(33) 및 버튼돌기(13)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도 7의 B-B' 섹션에서 비디오 도어폰의 하측을 바라본 모습이고,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의 버튼모듈(33)은 PCB모듈(30)이 회전하는 회전축에 위치한다.
상기 PCB모듈(30)은 제2지지부(22)에 구비된 돌기에 의해 지지되면서 제2지지부(22)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다. 도 8의 (A), (B),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PCB모듈(30)이 회전하여 고정된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버튼모듈(33)은 상기 PCB모듈(30)이 회전하는 회전축에 위치하여, PCB모듈(30)이 회전하더라도 그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모듈(33)은 상기 PCB모듈(30)이 회전하더라도, 전면케이스(10)의 버튼돌기(13)와 맞닿아 상기 버튼돌기(13)를 누를 수 있고, 상기 버튼돌기의 도 8의 상하방향(비디오 도어폰의 전후방향) 움직임에 의해 도 8의 (A)와 같이 수직으로 위치한 경우뿐만 아니라, 도 8의 (B) 및 (C)와 같이, 일정 각도를 가진 채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버튼모듈(33)을 통해 실내로 방문객의 도착 알림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의 조명모듈(32) 및 조명창(12)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모듈(32) 및 조명창(12)의 위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명창(12)은 전면케이스(10)에 상기 조명모듈(32)로부터 생성된 빛이 외부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전면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깔때기 형태를 띠어 빛이 조명창(12)이 아닌 비디오 도어폰 내부로 확산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전면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조명모듈(32)에서 생성된 빛이 비디오 도어폰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빛이 비디오 도어폰의 전면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적은 전력으로도 효과적으로 방문객을 조명하여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깔때기 형태로 비디오 도어폰의 전면부로 갈수록 넓게 퍼지는 형상을 함으로써, 2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PCB모듈(30)이 회전하여 조명모듈(32)의 조명 방향이 바뀌더라도, 상기 조명모듈(32)에서 생성된 빛이 카메라모듈(31)과 같은 방향으로 전달되어, 상기 카메라모듈(31)의 촬영대상이 되는 방문객이 조명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의 스프링부(27)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의 스프링부(27)는 스피커덮개부(26)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프링부(27)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는 본체(20)의 일부분으로 구성되며, 탄성이 있는 재질의 외팔보 스프링 형태를 취하여 그 구조를 단순화 하면서도 스프링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부(27)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는 본체(20)의 일부분으로서 형성되어, 부품의 수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0의 (B)는 도 10의 (A)의 섹션 D-D'에서 좌측을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덮개부(26), 스프링부(27) 및 스피커설치부(15)가 결합 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비디오 도어폰이 조립되면, 전면케이스(10)의 스피커설치부(15)에는 스피커장치가 도 10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빗금친 영역에 설치된다. 상기 스피커장치가 설치된 스피커설치부(15)는 비디오 도어폰이 결합되면 본체(20)의 스피커덮개부(26)에 의해 감싸지고, 상기 스피커덮개부(26)에 형성된 상기 스프링부(27)는 스피커장치 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을 함으로써, 상기 스피커장치를 도 10의 (B)의 좌측(비디오 도어폰의 전면)으로 복원력을 가하게 된다.
이 때, 도 7의 설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케이스(10)가 버튼을 대신하여 움직일 때, 상기 스프링부(27)가 스피커장치에 복원력을 가하고, 이는 스피커설치부(15)를 통해 상기 전면케이스(10)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전면케이스(10)가 도 10의 (B)의 좌측(비디오 도어폰의 전면)으로 복원력을 받아, 방문객이 누른 뒤 손을 떼면 누른 반대 방향으로 돌아오게 된다.
즉, 상기 스피커장치 및 스피커설치부(15)는 상기 스피커덮개부(26)로부터 일정 간격을 떨어져 있는 상태로 평소 유지되다가, 방문객이 상기 전면케이스(10)에 누르는 힘을 가하면 상기 스프링부(27)가 변형되면서 스피커장치가 스피커덮개부(26)에 밀착되고, 이와 같은 움직임을 통해 PCB모듈(30)의 버튼모듈(33)이 눌러진다. 이 후 방문객이 상기 전면케이스(1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피커장치가 상기 스프링부(27)에 의해 다시 스피커덮개부(26)에서 떨어지고, 이와 같은 움직임에 의해 상기 전면케이스(10) 또한 평소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부(27)가 본체(20)의 일부로 구성되어 본체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여 비용을 절감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케이스(10), 본체(20), PCB모듈(30) 및 후면케이스(40)를 조립함에 있어서,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고, 나사 등의 결합부재 없이도 손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도어폰의 카메라모듈, 통신모듈, 및 버튼모듈을 하나의 PCB에 구성하여 구조를 간단히 하고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여 촬영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도어폰의 전면케이스가 버튼의 역할을 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여 비용을 절감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도어폰의 전면케이스, 본체, 및 후면케이스가 스냅-핏 방법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여 비용을 절감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비디오 도어폰으로서,
    상기 비디오 도어폰은,
    하나의 기판으로 구성된 PCB모듈;
    상기 PCB모듈과 결합하는 본체;
    비디오 도어폰의 전면을 보호하며 상기 본체와 결합될 수 있는 전면케이스; 및
    실외 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와 결합될 수 있는 후면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PCB모듈이 회전 가능하도록 PCB모듈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PCB모듈이 회전 가능하도록 PCB모듈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PCB모듈의 설치 각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PCB모듈은,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실내의 인터폰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모듈; 및
    외부의 물리적 입력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버튼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PCB모듈의 기판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에 의해 상기 PCB모듈의 설치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PCB모듈은,
    상기 제1지지부와 결합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지지부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는 각각 하나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는 각각 하나의 구멍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PCB모듈은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PCB모듈은 상기 고정부의 상기 복수의 돌기에 의하여 2 이상의 각도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전면케이스, 상기 본체, 및 상기 후면케이스는 스냅-핏 방법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전면케이스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와 결합됨에 있어서 유격이 부여되어 움직일 수 있고,
    움직임에 의해 상기 버튼모듈을 누를 수 있도록 구비된 버튼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모듈은 상기 PCB모듈이 회전하는 회전축에 위치하여 상기 PCB모듈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버튼돌기가 상기 버튼모듈을 누를 수 있고,
    상기 본체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케이스가 움직임에 있어 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본체의 일부로 형성되는 비디오 도어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PCB모듈에 고정되어 상기 PCB모듈이 회전함에 따라 같이 회전하여 촬영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도어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CB모듈은 카메라모듈과 연동하여 카메라모듈의 촬영 대상을 조명하는 조명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케이스는, 상기 조명모듈에서 생성된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조명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도어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명창은 상기 조명모듈에서 생성된 빛이 비디오 도어폰 내부로 확산되지 않고 전면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깔때기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도어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CB모듈은 실내에 설치된 실내 인터폰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케이스는, 실외 벽면에 매립된 연결선과 상기 통신모듈이 연결될 수 있도록 개방된 후면개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도어폰.
KR1020170079015A 2017-06-22 2017-06-22 카메라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비디오 도어폰 KR101898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015A KR101898563B1 (ko) 2017-06-22 2017-06-22 카메라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비디오 도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015A KR101898563B1 (ko) 2017-06-22 2017-06-22 카메라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비디오 도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563B1 true KR101898563B1 (ko) 2018-09-13

Family

ID=63593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015A KR101898563B1 (ko) 2017-06-22 2017-06-22 카메라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비디오 도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5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9160A (zh) * 2019-11-20 2020-02-07 黑龙江电力调度实业有限公司 一种应用于服务器机柜的摄像头智能控制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4224A (ja) * 2005-04-25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カメラ付きドアホン子機
JP5653300B2 (ja) * 2011-06-10 2015-01-14 アイホン株式会社 カメラ付ドアホン子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4224A (ja) * 2005-04-25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カメラ付きドアホン子機
JP5653300B2 (ja) * 2011-06-10 2015-01-14 アイホン株式会社 カメラ付ドアホン子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9160A (zh) * 2019-11-20 2020-02-07 黑龙江电力调度实业有限公司 一种应用于服务器机柜的摄像头智能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2913B2 (ja) 撮像装置の取付機構及び撮像装置
EP1912188B1 (en) Surveillance camera
KR101899489B1 (ko) 외부에서 감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슬라이드 체결 구조를 갖는 카메라 장치
CN105282494A (zh) 具有影像撷取机构的电子装置及其影像撷取机构
WO2018221377A1 (ja) 撮像装置
JP2014056155A (ja) カメラ装置
US7214896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illumination button
JP4448009B2 (ja) 監視カメラ
KR101898563B1 (ko) 카메라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비디오 도어폰
JP2008172532A (ja) カメラ付きドアホン子器
JPH07114491B2 (ja) テレビカメラ付きドアホン子器
JP2006304224A (ja) カメラ付きドアホン子機
KR101899494B1 (ko) 외부에서 감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자석 체결 구조를 갖는 카메라 장치
JP6399991B2 (ja) 監視カメラ
JP3726817B2 (ja) 撮像装置
JP4908247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のカメラ付玄関子機
JP7241310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及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6862240B2 (ja) インターホン機器
KR200422158Y1 (ko) 렌즈조절이 용이한 감시카메라
CN219287612U (zh) 可视门铃
KR100886733B1 (ko) 감시카메라의 내부 기판 조립체
KR200281458Y1 (ko) 감시용 카메라
JP2006262307A (ja) カメラ玄関子機
JP2003092043A (ja) 蓋開閉検知装置
JP3578040B2 (ja) カメラ付ドアホン子器用筐体、カメラ付ドアホン子器及びテレビ付き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