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0195A -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 Google Patents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0195A
KR20150100195A KR1020140021696A KR20140021696A KR20150100195A KR 20150100195 A KR20150100195 A KR 20150100195A KR 1020140021696 A KR1020140021696 A KR 1020140021696A KR 20140021696 A KR20140021696 A KR 20140021696A KR 20150100195 A KR20150100195 A KR 20150100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display
driving mechanism
emergency
display
travel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혁
Original Assignee
김진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혁 filed Critical 김진혁
Priority to KR1020140021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0195A/ko
Publication of KR20150100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6Signs formed of or incorporating reflecting elements or surfaces, e.g. warning signs having triangular or other geometrical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한 주행 장치(예를 들어, 무선 조종 자동차(RC카) 등)에 차량용 비상 삼각대를 설치하고 해당 주행 장치를 사고 지점으로부터 일정한 간격 떨어진 곳으로 주행시켜 위치시킴으로써, 사고 지점의 후방에서 진입하는 타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전방의 사고 현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차량용 비상 삼각대 또는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저 리프트(Scissors Lift) 장치 등을 회전시킴으로써 사고 지점에서 멀리 떨어진 후방에서 진입하는 타 차량 운전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A driving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mergency}
본 발명은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한 주행 장치(예를 들어, 무선 조종 자동차(RC카) 등)에 차량용 비상 삼각대를 설치하고 해당 주행 장치를 사고 지점으로부터 일정한 간격 떨어진 곳으로 주행시켜 위치시킴으로써, 사고 지점의 후방에서 진입하는 타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전방의 사고 현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비상 삼각대 또는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저 리프트(Scissors Lift) 장치 등을 회전시킴으로써 사고 지점에서 멀리 떨어진 후방에서 진입하는 타 차량 운전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간 주행 중 차량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차량 운전자는 차량을 도로의 가장자리에 정차시키고, 차량의 고장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주의를 환기하기 위하여 운전자는 차량의 트렁크에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차량용 비상 삼각대를 꺼내어 차량의 뒤쪽에 세우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비상 삼각대는 차량에서 약 100m 이상 떨어진 지점에 세워야 하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는 비상 삼각대를 들고 차량에서 100m를 걸어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이때 후방에서 진행하는 차량을 피해 갓길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비상 삼각대는 바닥면에 설치하기 때문에 후방에서 진행하는 차량 운전자가 이를 시인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상 삼각대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의 전조등 빛을 난반사시키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진행하는 후방의 차량 운전자가 비상 삼각대를 확인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도로의 1차선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차량 운전자는 차량을 갓길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때 종래의 비상 삼각대는 한번 설치 후 이동이 불가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차량을 갓길로 조금씩 이동시킴과 동시에 비상 삼각대도 함께 이동시켜야 한다는 번거로움 및 그에 따른 후방 진입 차량의 2차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차량용 비상 삼각대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한 주행 장치(예를 들어, 무선 조종 자동차(RC카) 등)에 차량용 비상 삼각대를 설치하고 해당 주행 장치를 사고 지점으로부터 일정한 간격 떨어진 곳으로 주행시켜 위치시킴으로써, 사고 지점의 후방에서 진입하는 타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전방의 사고 현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차량용 비상 삼각대 또는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저 리프트(Scissors Lift) 장치 등을 회전시킴으로써 사고 지점에서 멀리 떨어진 후방에서 진입하는 타 차량 운전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한 주행 장치(예를 들어, 무선 조종 자동차(RC카) 등)에 차량용 비상 삼각대를 설치하고 해당 주행 장치를 사고 지점으로부터 일정한 간격 떨어진 곳으로 주행시켜 위치시킴으로써, 사고 지점의 후방에서 진입하는 타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전방의 사고 현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차량용 비상 삼각대 또는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저 리프트(Scissors Lift) 장치 등을 회전시킴으로써 사고 지점에서 멀리 떨어진 후방에서 진입하는 타 차량 운전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평평한 판(plate) 형태의 비상 표시 부재를 눕히거나 또는 직립할 수 있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원격 제어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한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함으로써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에게 전방 차량의 사고 유무를 인지시킬 수 있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측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시저 리프트 장치를 통해 먼 거리에서도 비상 표시 부재를 보다 쉽게 식별 가능하게 하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 표시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먼 거리에서도 비상 표시 부재를 보다 쉽게 식별 가능하게 하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LED를 발광함으로써 야간에서도 비상 표시 부재를 보다 쉽게 식별 가능하게 하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는 외부의 원격 제어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되며, 주행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주행 모듈; 및 상기 주행 모듈의 상측에 제공되는 비상 표시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상 표시 부재는 평평한 판(plate) 형태의 플레이트;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주행 모듈의 상측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시저 리프트(Scissors Lift)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레이트는 힌지(hinge)를 통해 주행 모듈의 상측면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일측이 주행 모듈의 상측면으로부터 직립(straight upright)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상 표시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를 주행 모듈의 상측면으로부터 직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프트(lift)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면을 주행 모듈의 상측면으로부터 밀어서 이격시킴으로써 플레이트의 일측을 직립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레이트는 삼각형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엘시디(Liquid Crystal Display; LCD) 디스플레이 장치 및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저 리프트 장치는 측면에 하나 이상의 엘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엘이디는 상기 원격 제어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발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주행 모듈 및 상기 비상 표시 부재 사이에 제공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비상 표시 부재는 상기 주행 모듈의 상측에서 특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부재는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 모듈은 상기 원격 제어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 모듈의 일측에는 외부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 모듈의 일측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광모듈;이 제공되며, 상기 태양광모듈은 상기 주행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의 원격 제어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주행 모듈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사고 차량에서 자리를 이탈하지 않고도 비상 표시 부재를 사고 차량에서 특정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직접 도로를 보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에 의한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부재를 통해 비상 표시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식별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 표시 부재를 바닥면에 위치시킬 수도 있지만, 식별력을 보다 높이기 위해 시저 리프트(Scissors Lift) 장치를 통해 비상 표시 부재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바닥면에 위치되는 비상 표시 부재에 비해 식별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시저 리프트 장치의 측면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LED를 발광할 수 있기 때문에, 야간과 같이 어두운 곳에서도 식별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평평한 판(plate) 형태의 비상 표시 부재를 눕히거나 또는 직립시킬 수 있기 때문에, 눕히는 경우 부피가 최소화되어서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를 구비함으로써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 운전자에게 전방의 사고 유무를 사운드로 인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의 제어 신호 수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상 표시 부재(1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에 회전 부재(130)가 구비된 상태 및 그에 따른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운전자(1)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를 사고 현장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의 제어 신호 수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상 표시 부재(1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에 회전 부재(130)가 구비된 상태 및 그에 따른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는 주행 모듈(110), 비상 표시 부재(120) 및 회전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주행 모듈(110)은 외부의 원격 제어 컨트롤러(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도로를 주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의 원격 제어 컨트롤러(200)는 일반적으로 무선 조종 자동차인 RC카(Radio Control)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에 해당될 수 있으며, 원격 제어 컨트롤러(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는 주행 모듈(110)에 구비된 무선 통신부(111)에서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1)는 주행 모듈(110)의 일측에 제공되며 원격 제어 컨트롤러(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Antenna)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블루투스(Blue tooth) 통신 방식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행 모듈(110)에는 별도의 배터리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배터리부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통해 주행 모듈(110)이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주행 모듈(11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RC(Radio Control)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주행 모듈(110)이 제어 신호에 따라 도로를 주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한, 주행 모듈(110)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다음으로, 비상 표시 부재(120)는 상술한 주행 모듈(110)의 상측에 제공되며,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에게 현재 전방에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비상 표시 부재(1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을 살펴보면, 비상 표시 부재(120)는 평평한 판(plate) 형태의 플레이트(120a), 운전자(1)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20b) 및 상술한 주행 모듈(110)의 상측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시저 리프트(Scissors Lift) 장치(120c)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플레이트(120a)를 살펴보면, 플레이트(120a)는 평평한 판 형태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내부가 중공(中空)된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120a)는 상술한 주행 모듈(110)과 힌지(hinge)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 결합부위를 기준축으로 하여 플레이트(120a)의 일측이 주행 모듈(110)의 상측면으로부터 직립(straight upright)될 수 있다.
여기에서, 힌지 결합이라 함은 플레이트(120a)가 주행 모듈(110)의 상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눕혀져 있거나 혹은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것을 반복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플레이트(120a)의 직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비상 표시 부재(120)는 플레이트(120a)의 하측면을 밀어서 주행 모듈(110)의 상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리프트(lift)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프트 부재(미도시)는 플레이트(120a)의 배면의 말단부를 밀어서 플레이트(120a)의 상측부가 세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120a)의 전면부에는 난반사가 가능한 반사판이 제공될 수 있으며, 차량의 전조등에서 발광되는 빛이 난반사 됨으로써 플레이트(120a)의 반사판이 빛을 발산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플레이트(120a)의 전면부가 마치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는 것처럼 시인될 수 있으며,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는 야간 운전 중에도 플레이트(120a)의 위치를 육안으로 시인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120a)의 전면부에는 하나 이상의 LED(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LED가 빛을 발산함에 따라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는 야간 운전 중에도 플레이트(120a)의 위치를 육안으로 시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플레이트(120a)의 형태가 삼각형 형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보편적으로 차량의 비상삼각대가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도시한 것이며, 플레이트(120a)가 전방의 사고 유무를 후방의 차량 운전자에게 인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한 플레이트(120a)의 형태를 삼각형뿐만 아니라, 원형, 사각형, 다이아몬드형 등 다양한 다각형 형태로 변경가능함을 유의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20b)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장치(120b)는 엘시디(Liquid Crystal Display; LCD) 디스플레이 장치 및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운전자(1)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액정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20b)는 운전자(1)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운전자(1)가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험!]이라는 문자를 입력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20b)의 전면에는 [위험!]이라는 문자가 표시될 수 있고, 문자, 문구 및 다양한 형태의 도형 등도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20b)는 상술한 플레이트(120a)와 마찬가지로 주행 모듈(110)과 힌지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 결합부위를 기준축으로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0b)의 상측이 주행 모듈(110)의 상측면으로부터 직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20b)의 직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비상 표시 부재(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20b)의 하측면을 밀어서 주행 모듈(110)의 상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리프트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리프트 부재는 디스플레이 장치(120b)의 배면의 말단부를 밀어서 디스플레이 장치(120b)의 상측부가 세워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20b)가 LCD 액정 장치 또는 LED 액정 장치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20b)가 상술한 역할을 수행하는 한, 디스플레이 장치(120b)의 패널 종류는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다음으로 시저 리프트(Scissors Lift) 장치(120c)를 살펴보면, 시저 리프트 장치(120c)는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의 상측 리프팅을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주행 모듈(110)의 상측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주행 모듈(110)이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다 쉽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시저 리프트 장치(120c)는 측면에 하나 이상의 LED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하나 이상의 LED는 운전자(1)가 파지한 원격 제어 컨트롤러(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LED가 발광하는 빛에 의하여,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를 보다 쉽게 식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타 차량의 서행을 유도하거나 혹은 타 차선으로 차선 변경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시저 리프트 장치(120c)는 종래의 공지된 시저 리프트 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회전 부재(130)는 상술한 주행 모듈(110) 및 비상 표시 부재(120) 사이에 제공되며,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부재(130)는 내부에 DC모터 혹은 AC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특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130)는 운전자(1)가 파지한 원격 제어 컨트롤러(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회전 부재(130)가 주행 모듈(110) 및 비상 표시 부재(120)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비상 표시 부재(120)는 주행 모듈(110)의 상측면뿐만 아니라 회전 부재(130)의 상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도 비상 표시 부재(120)는 회전 부재(130)와 힌지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눕혀지거나 혹은 수직 방향으로 직립될 수 있다.
상측면에 비상 표시 부재(120)가 힌지 결합된 회전 부재(130)가 회전 하는 경우,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는 고정된 비상 표시 부재(120)에 비해 회전 부재(130)에 의하여 회전 운동하는 비상 표시 부재(120)를 보다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의 서행 및 차선 변경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는 외부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1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스피커(140)를 통해 현재 전방의 사고 유무를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140)는 운전자(1)로부터 알리고자 하는 메시지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알림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운전자(1)가 알림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에 [전방에 사고가 났습니다. 차선을 변경하세요!]라는 알림 메시지를 입력하는 경우, 스피커(140)에서는 [전방에 사고가 났습니다. 차선을 변경하세요!]라는 알림 메시지가 사운드로 출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는 이러한 사운드를 듣고 서행을 하거나 혹은 차선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광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태양광모듈을 통해 발전되는 전력을 주행 모듈(110) 또는 비상 표시 부재(120)에 공급할 수 있다.
주행 모듈(11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배터리부가 제공될 수 있지만, 해당 배터리부의 전력이 부족하거나 혹은 비상 표시 부재(120)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LED의 발광에 필요한 전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태양광모듈에서 발전되는 전력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를 통해 상술한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의 실적용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운전자(1)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를 사고 현장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살펴보면, 운전자(1)가 자신의 차량(10)을 운행 중 차량의 비정상적인 작동, 고장 또는 사고 등으로 차량(10)을 갓길에 정차한 경우, 운전자(1)는 트렁크에 보관된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를 꺼내어 도로에 내려놓는다. 그 다음, 원격 제어 컨트롤러(200)를 파지하여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의 주행 모듈(110)을 작동시켜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가 차량(10)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예를 들어, 100m) 떨어진 곳에 위치되도록 주행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운전자(1)는 원격 제어 컨트롤러(200)를 통해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에 비상 표시 부재(1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는 해당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비상 표시 부재(120)를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직립시키게 된다.
이때, 비상 표시 부재(120)가 플레이트(120a)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수평 방향으로 눕혀진 플레이트(120a)를 수직 방향으로 직립시키도록 하는 제어 신호 및 플레이트(120a)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LED를 발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비상 표시 부재(120)가 디스플레이 장치(120b)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수평 방향으로 눕혀진 디스플레이 장치(120b)를 수직 방향으로 직립시키도록 하는 제어 신호 및 디스플레이 장치(120b)에 운전자(1)가 입력하는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비상 표시 부재(120)가 시저 리프트 장치(120c)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시저 리프트 장치(120c)가 주행 모듈(110)의 상측 방향으로 높이가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 및 시저 리프트 장치(120c)의 측면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LED를 발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1)는 원격 제어 컨트롤러(200)를 통해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에 포함된 회전 부재(13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는 해당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회전 부재(130)를 작동시켜 회전 부재(130)의 상측에 힌지 결합된 비상 표시 부재(120)를 회전시킴으로써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20)의 운전자로 하여금 이를 식별하여 서행운전을 하거나 혹은 차선을 변경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는 운전자(1)가 원격 제어 컨트롤러(200)를 통해 무선으로 주행을 제어할 수 있는 주행 모듈(110) 및 주행 모듈(110)의 상측에 제공되는 비상 표시 부재(120)를 포함함으로써 운전자(1)가 도로를 직접 보행하여 차량용 비상 삼각대를 설치해야 하는 위험성 및 번거로움을 배제할 수 있으며, 회전 부재를 통해 비상 표시 부재(120)를 회전시킴으로써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 운전자의 시선을 끌거나 혹은 시저 리프트 장치(130)를 통해 비상 표시 부재(120)의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 운전자의 시선을 끌 수 있다. 따라서,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 운전자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100)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한 후 서행 운전을 하거나 혹은 타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에 의한 2차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운전자
10 : 차량
20 :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
100 :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110 : 주행 모듈
111 : 무선 통신부
120 : 비상 표시 부재
120a : 플레이트
120b : 디스플레이 장치
120c : 시저 리프트 장치
130 : 회전 부재
140 : 스피커
200 : 원격 제어 컨트롤러

Claims (14)

  1. 외부의 원격 제어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되며, 주행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주행 모듈; 및
    상기 주행 모듈의 상측에 제공되는 비상 표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표시 부재는,
    평평한 판(plate) 형태의 플레이트;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주행 모듈의 상측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시저 리프트(Scissors Lift)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힌지(hinge)를 통해 주행 모듈의 상측면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일측이 주행 모듈의 상측면으로부터 직립(straight upright)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표시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를 주행 모듈의 상측면으로부터 직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프트(lift)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면을 주행 모듈의 상측면으로부터 밀어서 이격시킴으로써 플레이트의 일측을 직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부재는,
    상기 원격 제어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신축(Stretch)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삼각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엘시디(Liquid Crystal Display; LCD) 디스플레이 장치 및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저 리프트 장치는,
    측면에 하나 이상의 엘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엘이디는 상기 원격 제어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모듈 및 상기 비상 표시 부재 사이에 제공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비상 표시 부재는 상기 주행 모듈의 상측에서 특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모듈은,
    상기 원격 제어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모듈의 일측에는,
    외부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모듈의 일측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광모듈;이 제공되며,
    상기 태양광모듈은 상기 주행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KR1020140021696A 2014-02-25 2014-02-25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KR20150100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696A KR20150100195A (ko) 2014-02-25 2014-02-25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696A KR20150100195A (ko) 2014-02-25 2014-02-25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195A true KR20150100195A (ko) 2015-09-02

Family

ID=54241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696A KR20150100195A (ko) 2014-02-25 2014-02-25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019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03842A (zh) * 2016-04-22 2017-10-31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三角架报警装置及具有该三角架报警装置的交通警示系统
CN107310467A (zh) * 2016-04-26 2017-11-03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警示车辆系统及警示车辆方法
CN107323341A (zh) * 2016-04-28 2017-11-07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安全警示装置及方法
CN108154649A (zh) * 2017-12-14 2018-06-12 南昌首诺科技有限公司 一种地质灾害用提示装置
CN111688575A (zh) * 2020-06-02 2020-09-22 上海海洋大学 一种机动摆放汽车应急反光警示牌的装置
KR102216560B1 (ko) * 2020-08-03 2021-02-17 임호 비상 점멸 장치
KR20220114740A (ko) * 2021-02-09 2022-08-17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원격조정 안전 삼각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03842A (zh) * 2016-04-22 2017-10-31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三角架报警装置及具有该三角架报警装置的交通警示系统
CN107310467A (zh) * 2016-04-26 2017-11-03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警示车辆系统及警示车辆方法
CN107323341A (zh) * 2016-04-28 2017-11-07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安全警示装置及方法
CN108154649A (zh) * 2017-12-14 2018-06-12 南昌首诺科技有限公司 一种地质灾害用提示装置
CN111688575A (zh) * 2020-06-02 2020-09-22 上海海洋大学 一种机动摆放汽车应急反光警示牌的装置
CN111688575B (zh) * 2020-06-02 2023-02-17 上海海洋大学 一种机动摆放汽车应急反光警示牌的装置
KR102216560B1 (ko) * 2020-08-03 2021-02-17 임호 비상 점멸 장치
KR20220114740A (ko) * 2021-02-09 2022-08-17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원격조정 안전 삼각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0195A (ko) 비상 표시용 주행 기구
NZ573821A (en) Traffic crossing indicator lights
KR101376026B1 (ko) 차량의 연쇄 충돌 사고 방지 시스템
JP2016057719A (ja) 路面用サイン
KR102012095B1 (ko) 차량 탑재형 도로 공사중 안내 표시 장치 및 그 안내 방법
KR101767031B1 (ko) 자동차 운전자용 잔여 표시기
KR101800824B1 (ko) 시선유도장치를 이용한 도로 주의 구간 안내 시스템
KR101448507B1 (ko) 도로상에 차량의 차량폭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8127979A (ja) 交通安全表示体及び交通安全表示体を用いた交通安全表示システム。
KR102450920B1 (ko)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KR102352785B1 (ko) 원격조정 이동식 도로공사 안내 시스템
KR102449234B1 (ko) 표지병을 적용한 스마트 신호등 제어시스템
US201801009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igning objects
KR102316449B1 (ko) 안전유도등을 이용한 교통안전 관리 시스템
KR100647534B1 (ko) 자동차용 지능형 안전 표지판
JP2012046914A (ja) 道路用発光表示システム
KR200449557Y1 (ko) 충돌방지 경고기능을 가지는 교통신호 제어기 구조물
KR101220517B1 (ko) 차량용 경광등 높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견인 차량
KR20150064398A (ko) 스쿨존의 안전경고 장치
KR102559559B1 (ko) 고보 라이트를 활용한 작업 안내 출력 장치
KR101728493B1 (ko) 차량용 도로표시판 식별장치
KR101591201B1 (ko) 자동차의 안전 삼각대 장치
JP3658726B2 (ja) 工事道路における車両通行誘導システム
KR102562187B1 (ko) 레이저 프로젝터와 고보라이트가 접목된 교통안전정보 입체표시장치
KR101323154B1 (ko) 횡단보도 조명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