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920B1 -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0920B1 KR102450920B1 KR1020220026539A KR20220026539A KR102450920B1 KR 102450920 B1 KR102450920 B1 KR 102450920B1 KR 1020220026539 A KR1020220026539 A KR 1020220026539A KR 20220026539 A KR20220026539 A KR 20220026539A KR 102450920 B1 KR102450920 B1 KR 1024509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display
- upper body
- lower body
- sm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1—Indicating devices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0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comprising at least two indicating la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the vehicle body, e.g. with magn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5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a shaft, e.g. telescop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retractable ligh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는 차량의 지붕에 장착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되여 경광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와, 상기 하부몸체에 지지되어 상기 상부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상부몸체 또는 상기 승강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발광면이 접이식 구조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조명부, 상기 승강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지붕에 설치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경광등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도로 상에 사고의 위험을 알리거나, 보수 작업 등으로 차선이 줄어드는 영역에서는 사인 표시를 이용하여 차선의 변경 등을 알릴 수 있다. 또한, 경찰차, 소방차, 구급차, 도로작업차와 같이 긴급 상황에 따라 운행하는 차량에는 빨간색, 파란색, 황색, 녹색과 같은 경광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2407호(2019년11월29일 등록)는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경광등을 승강시킨 후 하강시 별도의 완충장치 없이도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전개되면서 중심이 불안정하여 고장의 우려가 있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하여 화면을 2배 이상 확대시킬 수 있으며,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탄성부를 이용하여 상부몸체를 상승시 구동력을 줄일 수 있는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차량의 운전자는 경광조명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전방, 후방, 측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조명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차량의 주차 위치에 상관없이 디스플레이부를 수평방향으로 최대 360°까지 회동시켜 후행하는 운전자에게 다양한 각도로 안내할 수 있는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후방 차량의 근접을 감지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는 차량의 지붕에 장착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되여 경광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와, 상기 하부몸체에 지지되어 상기 상부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상부몸체 또는 상기 승강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발광면이 접이식 구조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조명부, 상기 승강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X자 형태로 교차되어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하부몸체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부몸체와 연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교차각도를 가변시키면서 상기 상부몸체를 승강시키는 제1 구동부와, 탄성력을 가지는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단부가 상기 지지부 중 제1 프레임의 제1 지지홈이 지지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1 프레임과 회동연결되는 제2 프레임의 제2 지지홈에 지지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상부몸체 또는 상기 승강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회동연결되는 제2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회동시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포개지도록 폴딩시키거나,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발광면이 노출되도록 전개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상부몸체의 외측 상부에 형성되어 전방, 후방 및 좌우측방으로 기 설정된 조명을 출력하는 서치라이트와, 상기 상부몸체의 외측 상부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조명을 출력하는 보조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차량의 지붕 사이로 결합되며, 적외선을 이용하여 주변의 사물을 감지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멀티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하여 화면을 2배 이상 확대시킬 수 있으며,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를 이용하여 상부몸체를 상승시 구동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운전자는 경광조명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전방, 후방, 측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조명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차 위치에 상관없이 디스플레이부를 수평방향으로 최대 360°까지 회동시켜 후행하는 운전자에게 다양한 각도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차량의 근접을 감지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가 접혀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가 전개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중 조명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조명부가 레이저신호를 이용하여 도로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중 승강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중 탄성부의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중 디스플레이부가 접혀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중 디스플레이부가 회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중 멀티캠에 대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멀티캠을 이용하여 후방 차량을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중 신호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가 전개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중 조명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조명부가 레이저신호를 이용하여 도로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중 승강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중 탄성부의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중 디스플레이부가 접혀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중 디스플레이부가 회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중 멀티캠에 대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멀티캠을 이용하여 후방 차량을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중 신호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가 접혀진 상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가 전개된 상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중 조명부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조명부가 레이저신호를 이용하여 도로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중 승강부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중 탄성부의 구성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중 디스플레이부가 접혀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100)는 하부몸체(110), 상부몸체(120), 조명부(130), 승강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하부몸체(110)는 차량의 지붕에 장착된다. 이 경우, 하부몸체(110)는 차량의 지붕과 브라켓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하부몸체(110)는 표면이 유선형의 곡면구조로 형성되어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부몸체(110)는 투명소재로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조명부(130)에 의해 조명이 투과되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부몸체(110)는 상부가 개구된 상태로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몸체(120)부는 하부몸체(110)와 상하부 결합을 하면서 내부의 수용공간이 폐쇄된다. 수용공간에는 후술하는 조명부(130), 승강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및 제어부(160)가 수용될 수 있다.
상부몸체(120)는 하부몸체(110)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부몸체(120)는 표면이 유선형의 곡면구조로 형성되어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부몸체(120)는 투명소재로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조명부(130)에 의해 조명이 투과되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부몸체(120)는 하부몸체(110)와 상하부결합을 한다. 상부몸체(120)는 하부몸체(110)와 결합시 하부몸체(11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킨다. 상부몸체(120)는 승강부(140)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면서 높이가 조절된다.
조명부(130)는 하부몸체(110) 및 상기 상부몸체(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되여 경광조명을 출력한다. 조명부(130)는 하부몸체(110) 또는 상부몸체(1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130)는 엘이디(LED)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조명부(13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점멸되면서 경광조명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명부(130)의 출력색상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조명부(130)는 주간이나 야간에도 주변의 운전자나 보행자가 식별할 수 있는 세기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명부(130)는 서치라이트(131) 및 보조조명(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치라이트(131)는 상부몸체(120)의 외측 상부에 형성되어 전방, 후방, 좌우측방으로 기 설정된 조명을 출력한다. 서치라이트(131)는 상부몸체(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기본적인 경광조명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치라이트(131)는 전방으로 출력되는 조명의 세기와 후방으로 출력되는 조명의 세기가 다를 수 있다. 이는 후방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서치라이트(131)는 전방과 후방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서치라이트(131)는 조명부(130)의 조명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서치라이트(131)를 대체하여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조조명(132)은 상부몸체(120)의 외측 상부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조명을 출력한다. 이 경우, 보조조명(132)은 경광조명 외에 다양한 점멸 형태의 조명을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함이다. 보조조명(132)은 측방으로 기 설정된 조명을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야간에 서치라이트(131)에 의해 전방, 후방, 좌우측방의 시야를 확보하는 것 외에 보조조명(132)을 통해 경광조명을 더 높은 곳에서 출력하여 멀리서도 식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보조조명(132)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조명(132) 사이에 서치라이트(131)이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는 경광조명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전방, 후방, 측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조명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130)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경보신호(200)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명부(1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 상에 경보신호(20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후방 차량에게 전방에 사고처리 등 안전사항을 미리 알림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조명부(130)는 레이저신호를 기 설정된 거리로 출력하여 후방 차량이 도로 상에 표시된 경보신호(200)를 확인하고 차선을 변경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방 차량의 경보신호(200)를 도로 상에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쉽게 상황을 인식함으로써 사고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승강부(140)는 일측이 하부몸체(110)에 지지되어 상부몸체(120)를 승강시킨다. 승강부(140)의 타측은 상부몸체(120)와 연결되어 이를 지지한다. 예를 들어, 승강부(140)는 상부몸체(120)를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다. 승강부(140)는 상승된 상부몸체(120)를 하강시켜 하부몸체(110)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승강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승강부(14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승강부(140)는 접이식 구조로 형성되어 접혀진 경우에는 하부몸체(1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전개시에는 하부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승강부(140)는 지지부(141), 제1 구동부(142) 및 탄성부(143)를 포함한다. 지지부(141)는 복수의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X자 형태로 교차되어 연결된다. 이 경우, 복수의 프레임 간의 교차각도는 상부몸체(120)가 하부몸체(110)에 결합된 상태가 가장 크고, 상부몸체(120)가 하부몸체(110)로부터 상승하여 펼쳐진 상태가 가장 작다. 지지부(141)는 일측이 하부몸체(110)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부몸체(120)와 연결된다. 이 경우, 지지부(141)는 하부몸체(110) 및 상부몸체(120)에 각각 형성된 레일(140-1)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41)의 프레임은 1단 구조일 수 있으나, 다단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구동부(142)는 지지부(141)의 교차각도를 가변시키면서 상부몸체(120)를 승강시킨다. 제1 구동부(142)는 액추에이터나 모터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42)는 하부몸체(110) 또는 상부몸체(12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동부(142)는 X자 형태의 지지부(141)의 일측과 연결되어 이를 밀고, 당김으로써 교차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41)의 복수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레일(140-1)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42)는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게 된다.
탄성부(143)는 탄성력을 가지는 코일 형태로 형성된다. 탄성부(143)는 지지부(141)의 복수의 프레임이 다단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몸체(120)를 지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탄성부(143)의 제1 단부(143-1)가 지지부(141) 중 제1 프레임(141-1)의 제1 지지홈(141-11)이 지지되고, 제2 단부(143-2)가 제1 프레임(141-1)과 회동연결되는 제2 프레임(141-2)의 제2 지지홈(141-21)에 지지된다. 이 경우, 상부몸체(120)가 하강하여 하부몸체(110)와 결합시 제1 프레임(141-1)과 제2 프레임(141-2)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143)는 압축된다. 상부몸체(120)가 상승하는 경우 탄성부(143)는 복원력에 의해 제1 프레임(141-1)과 제2 프레임(141-2)의 내각을 벌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부몸체(120)의 상승시 구동력을 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승강부(140) 또는 상부몸체(120)의 일측에 연결되어 발광면이 접이식 구조로 형성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50)는 하부몸체(110)의 내측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부몸체(120)가 상승하면 외부로 노출된다. 수용공간에는 디스플레이부(15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접이식 구조로 형성되어 하부몸체(110)에 수용시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고, 상부몸체(120)의 상승시 외부로 노출되면서 펼쳐진다. 디스플레이부(150)에는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는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가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0)는 제1 디스플레이(151), 제2 디스플레이(152) 및 제2 구동부(153)를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151)는 상부몸체(120) 또는 승강부(140)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1 디스플레이(151)는 복수의 엘이디가 nХm 배열된다. 제1 디스플레이(151)는 발광면으로 기호, 문자, 도형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51)는 상부몸체(120)나 승강부(140)에 연결된 상태로 상승 또는 하강한다. 제1 디스플레이(151)는 하부몸체(11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디스플레이(151)는 후술하는 제2 디스플레이(152)와 회동연결된다.
제2 디스플레이(152)는 제1 디스플레이(151)와 회동연결된다. 이 경우, 제2 디스플레이(152)는 힌지에 의해 제1 디스플레이(151)와 회동연결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152)는 제1 디스플레이(151)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2 디스플레이(152)는 제1 디스플레이(151)와 포개지면서 접혀지면서 하부몸체(110)에 수용된다. 제2 디스플레이(152)는 제1 디스플레이(151)와 같은 평면상으로 발광면이 위치하도록 펼쳐진다. 제2 디스플레이(152)는 제어부(160)에 의해 출력신호가 제어된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151)와 제2 디스플레이(152)의 접혀진 상태에서 보관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구동부(153)는 제2 디스플레이(152)를 회동시켜 제1 디스플레이(151)와 포개지도록 폴딩시키거나, 제2 디스플레이(152)의 발광면이 노출되도록 전개시킨다. 제2 구동부(153)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동부(153)는 모터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모터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제2 디스플레이(152)를 회동시킬 수 있다. 제2 구동부(153)는 상부몸체(120)가 상승한 후, 제2 디스플레이(152)를 회동시켜 펼쳐지도록 할 수 있다. 제2 구동부(153)는 제어부(16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는 도 8과 같이 제3 구동부(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구동부(154)는 디스플레이부(150)를 수평방향에서 회동하도록 구동한다. 예를 들어, 제3 구동부(154)는 모터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구동부(154)는 상부몸체(12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구동부(154)의 출력측에는 디스플레이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150)를 수평방향으로 최대 360°까지 회동시킬 수 있다. 이는 차량의 주차 위치에 상관없이 다양한 각도로 디스플레이부(150)를 회동시켜 후행하는 운전자에게 안내를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60)는 조명부(130), 승강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MCU(Micro Control Unit)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조명부(130)의 세기나, 점멸주기, 색상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승강부(14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제어부(160)는 기 설정된 기호, 문자, 입력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상부몸체(120)의 승강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단말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단말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로 차량에 매립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승강부(140)가 상부몸체(120)를 하강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0)를 접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제2 디스플레이(152)를 제1 디스플레이(151) 측으로 졉혀진 경우에 상부몸체(120)를 하강시킨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0)가 접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하강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60)는 승강부(140)에서 상부몸체(120)의 상승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가 펼쳐지도록 제어한다. 이는 승강부(140)가 상승하면서 디스플레이부(150)가 펼쳐지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중 멀티캠에 대한 세부 구성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멀티캠을 이용하여 후방 차량을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100)는 멀티캠(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멀티캠(170)은 하부몸체(110)와 차량의 지붕 사이로 결합된다. 멀티캠(170)은 착탈구조로 형성되어 하부몸체(110)와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캠(170)은 조명부(130)의 경광조명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멀티캠(170)은 가로바 형태의 적외선센서(171)가 하부몸체(110)와 차량의 지붕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멀티캠(170)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주변의 사물을 감지하여 영상을 획득한다. 이는 야간에 주변의 사물이나 사람을 열화상으로 감지하기 위함이다. 멀티캠(170)은 하부몸체(110)와 차량 지붕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공기저항을 줄일 수 있다. 멀티캠(170)은 회전형 카메라가 내장되어 다양한 각도로 촬영이 가능하다. 멀티캠(170)은 복수로 형성되어 하부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멀티캠(170)은 전방 및 후방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멀티캠(170)은 전방의 차량들에 대한 단속을 하거나, 후방의 차량들에 대한 단속을 할 수 있다. 멀티캠(170)은 차량번호인식을 가능하여 차량조회를 통해 수배차량 등을 단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감지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경찰청 등의 관제센터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관제센터로부터 수배차량인 경우에는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보신호는 조명부(130) 또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멀티캠(170)은 후방의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60)는 후방의 차량이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감지되는 경우이거나, 후방의 차량속도가 기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조명부(130) 또는 스피커(미도시)를 이용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도로 상에서 사고현장을 수습하는 등의 경우 후방의 차량과 추돌로 인한 2차 사고가 방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60)는 도 11의 (a)와 같이 멀티캠(170)을 통해 기 설정된 구간을 감지하거나, (b)와 같이 차선을 감지하여 후방 차량이 감지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의 작업자나 사람이 후방 차량 추돌에 따른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100)는 감지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80)는 주변의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80)는 하부몸체(110)에 형성되어 전방, 후방, 측방에서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80)는 감지된 소리정보를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감지부(180)는 소리를 감지함으로써 현장에서 주변의 사람 등을 쉽게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주변의 소리의 세기가 기 설정치 이상이 감지되면 해당 영역의 조명을 출력하여 시야를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조명부(130)의 서치라이트(131)과 보조조명(132)은 소리정보가 기 설정치 이상인 경우 자동으로 구동하여 시야를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중 신호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100)는 신호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부(190)는 신호봉(191)과 제4 구동부(192)로 구성된다. 신호봉(191)은 제4 구동부(192)를 통해 상부몸체(120)의 측면으로 인출되거나, 인입된다. 이 경우, 제4 구동부(192)는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신호부(190)는 옆차선으로 운행하는 차량에게 주의를 주기 위해 사용된다. 신호봉(191)이 상부몸체(12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경우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봉(191)과 제4 구동부(192)는 회동결합하여 신호봉(191)이 회동할 수 있다. 이는 신호부(190)를 통해 일종의 자동 신호수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신호부(190)는 상부몸체(1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신호부(190)가 양측으로 형성되는 경우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100)의 좌우측으로 신호봉(191)을 회동시킬 수 있다. 제4 구동부(192)의 출력측에는 회동할 수 있는 모터가 형성되어 신호봉(191)을 기 설정된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신호봉(191)은 하부몸체(110)에 간섭되지 않는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 신호부(190)는 상부몸체(120)가 하부몸체(110)로부터 상승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호봉(191)의 회동각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110 : 하부몸체
120 : 상부몸체
130 : 조명부
131 : 서치라이트
132 : 보조조명
140 : 승강부
140-1 : 레일
141 : 지지부
141-1 : 제1 프레임
141-11 : 제1 지지홈
141-2 : 제2 프레임
141-21 : 제2 지지홈
142 : 제1 구동부
143 : 탄성부
143-1 : 제1 단부
143-2 : 제2 단부
150 : 디스플레이부
151 : 제1 디스플레이
152 : 제2 디스플레이
153 : 제2 구동부
154 : 제3 구동부
160 : 제어부
170 : 멀티캠
171 : 적외선센서
180 : 감지부
190: 신호부
191 : 신호봉
192 : 제4 구동부
200 : 경보신호
110 : 하부몸체
120 : 상부몸체
130 : 조명부
131 : 서치라이트
132 : 보조조명
140 : 승강부
140-1 : 레일
141 : 지지부
141-1 : 제1 프레임
141-11 : 제1 지지홈
141-2 : 제2 프레임
141-21 : 제2 지지홈
142 : 제1 구동부
143 : 탄성부
143-1 : 제1 단부
143-2 : 제2 단부
150 : 디스플레이부
151 : 제1 디스플레이
152 : 제2 디스플레이
153 : 제2 구동부
154 : 제3 구동부
160 : 제어부
170 : 멀티캠
171 : 적외선센서
180 : 감지부
190: 신호부
191 : 신호봉
192 : 제4 구동부
200 : 경보신호
Claims (5)
- 차량의 지붕에 장착되는 하부몸체(110);
상기 하부몸체(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몸체(120);
상기 하부몸체(110) 및 상기 상부몸체(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되여 경광조명을 출력하되, 상기 상부몸체(120)의 외측 상부에 형성되어 전방, 후방 및 좌우측방으로 기 설정된 조명을 출력하는 서치라이트(131)와, 상기 상부몸체(120)의 외측 상부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조명을 출력하는 보조조명(132)을 포함하는 조명부(130);
상기 하부몸체(110)에 지지되어 상기 상부몸체(12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140);
상기 상부몸체(120) 또는 상기 승강부(140)의 일측에 연결되어 발광면이 접이식 구조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150);
상기 조명부(130), 상기 승강부(14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60);
상기 하부몸체(110)와 상기 차량의 지붕 사이로 결합되며, 적외선을 이용하여 주변의 사물을 감지하여 영상을 획득하며, 후방차량이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감지되거나, 후방의 기 설정된 구간이나 차선으로 상기 후방차량이 감지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멀티캠(170);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감지부(180); 및
신호봉(191)을 상기 상부몸체(120)의 측면으로 인출시키거나 내측으로 인입시키며, 상기 신호봉(191)이 상기 하부몸체(110)와 간섭되지 않는 각도로 회동시키되, 상기 상부몸체(120)의 상승을 감지하여 상기 신호봉(191)의 회동각도를 확장시키는 신호부(19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60)는,
주변의 상기 소리의 세기가 기 설정치 이상이 감지되면 상기 서치라이트(131) 또는 상기 보조조명(132)을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140)는,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X자 형태로 교차되어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하부몸체(110)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부몸체(120)와 연결되는 지지부(141);
상기 지지부(141)의 교차각도를 가변시키면서 상기 상부몸체(120)를 승강시키는 제1 구동부(142);
탄성력을 가지는 가지는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단부가 상기 지지부(141) 중 제1 프레임(141-1)의 제1 지지홈(141-11)이 지지되고, 제2 단부(143-2)가 상기 제1 프레임(141-1)과 회동연결되는 제2 프레임(141-2)의 제2 지지홈(141-21)에 지지되는 탄성부(143)를 포함하는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상기 상부몸체(120) 또는 상기 승강부(14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디스플레이(151);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와 회동연결되는 제2 디스플레이(152);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152)를 회동시켜 상기 제1 디스플레이(151)와 포개지도록 폴딩시키거나, 상기 제2 디스플레이(152)의 발광면이 노출되도록 전개시키는 제2 구동부(153)를 포함하는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100).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6539A KR102450920B1 (ko) | 2022-03-02 | 2022-03-02 |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6539A KR102450920B1 (ko) | 2022-03-02 | 2022-03-02 |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0920B1 true KR102450920B1 (ko) | 2022-10-06 |
Family
ID=8359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6539A KR102450920B1 (ko) | 2022-03-02 | 2022-03-02 |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092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0573B1 (ko) * | 2023-09-16 | 2024-03-21 | 박대식 | 차량용 조명장치 |
KR102704858B1 (ko) * | 2024-04-05 | 2024-09-09 |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 모듈형 경광 조명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8448B1 (ko) * | 2009-02-05 | 2009-07-20 | (주)휴비텍 | 차량용 틸팅 카메라장치 |
KR101504229B1 (ko) * | 2015-01-06 | 2015-03-20 | (주)현도산업 |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
KR101974985B1 (ko) * | 2018-03-30 | 2019-05-08 |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
KR20210079636A (ko) * | 2019-12-20 | 2021-06-30 |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 차량 탑재형 비상표시장치 |
-
2022
- 2022-03-02 KR KR1020220026539A patent/KR10245092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8448B1 (ko) * | 2009-02-05 | 2009-07-20 | (주)휴비텍 | 차량용 틸팅 카메라장치 |
KR101504229B1 (ko) * | 2015-01-06 | 2015-03-20 | (주)현도산업 |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
KR101974985B1 (ko) * | 2018-03-30 | 2019-05-08 |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
KR20210079636A (ko) * | 2019-12-20 | 2021-06-30 |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 차량 탑재형 비상표시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0573B1 (ko) * | 2023-09-16 | 2024-03-21 | 박대식 | 차량용 조명장치 |
KR102704858B1 (ko) * | 2024-04-05 | 2024-09-09 |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 모듈형 경광 조명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50920B1 (ko) |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 |
KR101384622B1 (ko) |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 |
US7825790B2 (en) | Emergency vehicle light bar with message display | |
US8182125B2 (en) | External safety illumination for a bus with light mounted to mirror arm | |
TWI537157B (zh) | 車用警示裝置及方法 | |
US20180370427A1 (en) | System for detecting surrounding conditions of moving body | |
KR100691742B1 (ko) | 터널진입 경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US8075169B2 (en) | External safety illumination for a bus | |
KR101932959B1 (ko) |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504229B1 (ko) |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 |
KR101772444B1 (ko) | 차량용 프로젝션형 가상 안전 삼각대 표시장치 | |
KR101559260B1 (ko) | 비상등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 |
KR101979389B1 (ko) |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KR102052407B1 (ko) |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 |
KR101891617B1 (ko) |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론시스템 | |
KR101703736B1 (ko) | 비상등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 |
KR102303061B1 (ko) |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 |
KR102006627B1 (ko) | 후방 안전 표시장치 | |
KR200480975Y1 (ko) | 교통 안전 표지판의 제어 장치 및 제어 시스템 | |
KR101418559B1 (ko) | 교통안전표지 삼각대 | |
KR100647534B1 (ko) | 자동차용 지능형 안전 표지판 | |
KR200300452Y1 (ko) |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 |
CN209904644U (zh) | 大型车转弯警示装置 | |
KR20230040490A (ko) | 레이저 프로젝터와 고보라이트가 접목된 교통안전정보 입체표시장치 | |
KR200357582Y1 (ko) | 투사기 및 후면 투사 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표시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