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573B1 - 차량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573B1
KR102650573B1 KR1020230123561A KR20230123561A KR102650573B1 KR 102650573 B1 KR102650573 B1 KR 102650573B1 KR 1020230123561 A KR1020230123561 A KR 1020230123561A KR 20230123561 A KR20230123561 A KR 20230123561A KR 102650573 B1 KR102650573 B1 KR 102650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ehicle
lighting
bracket
wind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3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식
Original Assignee
박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식 filed Critical 박대식
Priority to KR1020230123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일 실시예는, 차량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앞유리창의 일부를 덮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앞유리창과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브라켓; 및 상기 플레이트의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전방을 비추는 조명등을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조명장치{LIGHTING DEVICE FOR VEHICLE}
본 실시예는 차량용 조명창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조등 및 후미등이 장착되어 있다. 후미등은 뒤이어 오는 다른 운전자를 위한 것이고 전조등은 해당 차량 운전자를 위한 것이다. 차량에 달려있는 조명등은 야간 특히 비나 안개처럼 날씨가 안 좋을 때 더욱 중요하다. 야간에 비가 내리거나 안개가 끼면, 전조등 및 후미등만으로 운전자는 시야확보가 어렵다. 보통의 기상상황에서는 전조등이 충분히 전방을 비출 수 있으나, 기상이 나빠지거나 운전이 미숙한 경우에는 그렇지 못하다. 시야확보를 위한 추가적인 조명이 요구된다.
한편 앞유리창을 통하여 들이치는 햇빛은 종종 차량의 앞좌석에 탑승한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불편을 끼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 내에서 사용자와 앞유리창 사이에 선바이저(sun visor)가 설치된다. 이는 통상 사용자의 눈높이보다 상부 위치에서 경첩에 의해 접었다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햇빛을 가리기 위해 펼쳐진 경우, 선바이저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조사되는 햇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도 못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와 매우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운전자의 시야를 크게 방해하는 단점이 있었다.
운전을 방해하는 환경적 요소는 다양할 수 있으나, 자주 겪는 대표적인 원인은 직접적인 햇빛, 야간운행 또는 날씨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요인을 제거하더라도 다른 요인에 의해서 운전자는 여전히 시야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운전자는 불가피하게 야간이나 악천후에 운행을 감행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햇빛을 차단하는 동시에 야간 또는 악천후에도 안전한 운전을 도와주는 제품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햇빛을 차단하는 동시에 시야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오랜 연구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일 목적은, 차량의 지붕에 설치되고, 차량의 앞유리창과 상기 지붕의 경계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앞유리창의 일부를 덮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끝단에 장착되어 차량의 전방을 비추는 조명등을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는, 차량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앞유리창의 일부를 덮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앞유리창과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브라켓; 및 상기 플레이트의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전방을 비추는 조명등을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에서, 상기 조명등은, 상기 조명등으로부터 나오는 빛이 수평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끝단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에서, 상기 조명등은, 상기 플레이트의 끝단 중 좌측 및 우측과 인접한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끝단의 중간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에서, 상기 플레이트는, 일정한 각도로 상기 앞유리창을 향해 기울어지고, 상기 조명등이 상기 차량의 전방을 비출 때까지 상기 각도가 가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에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앞유리창의 폭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앞유리창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좌측브라켓 및 우측브라켓을 포함하고, 어느 두 개의 플레이트가 맞닿는 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를 동시에 지지하는 중간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용 조명장치가 전조등이 비추지 못하는 전방의 영역까지 비추도록 설치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야간이나 악천후에도 운전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유닛 및 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라켓을 결합하여 구조물의 골조를 형성함으로써 조립과 분해가 간단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용 조명장치가 차량 지붕에 부착할 때 복수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접촉면 면적을 증가시키며, 플레이트의 상부 및 하부에 작용하는 풍압이 서로 동일하게 균형적으로 분배하는 구조로 구성되므로, 햇빛가리개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크게 감소할 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실제로 차량 외부에 설치하는 햇빛가리개가 구현가능하다. 이에 의해 운전자 및 동승자의 눈에 직사하는 햇빛을 충분히 넓은 면적으로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차량 내부 공간에는 변화가 없어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앞유리창 외부에 발생할 수 있는 빗물이나 눈발에 의한 가림현상의 방지, 서리 등에 의한 결빙 현상의 방지되는 등의 다양한 추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주행시에 발생하는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플레이트가 좌우에 분리되어 있는 2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각각 양측에서 고정 브라켓에 나사 또는 볼트 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 사고나 외부의 물리적인 충돌에 의해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파손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플레이트는 반투명 수지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 앞유리의 상부측을 통해 올려다보아야 하는 신호등의 색깔과 같은 것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는 등 운전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플레이트의 상부면이나 하부면 등의 표면은 평면, 곡면 및 이들의 혼합 중 어느 하나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차량과의 어울림 등의 미적 요구나 바람 저항 최소화 등의 유체역학적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제품을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플레이트을 차량 지붕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의 하부면은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에 의해 차량 지붕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 지붕에 구멍을 뚫어 볼트로 결합하는 것에 비하여 설치, 교체, 철거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브라켓은 특정 차량 모델에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일체로 제조된 전용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차량 지붕 결합용 하부 브라켓과 플레이트 결합용 상부 브라켓이 미리 결정된 복수의 각도 중 선택적으로 소정 각도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 모델에 따라 서로 다른 앞유리창과 인접 지붕 부분의 각도에 따라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범용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품의 각 구성요소들의 결합부분, 즉 플레이트, 브라켓, 각도조절용 상부 결합단 및 하부 결합단이 각각 결합되는 부위에는 선택적으로 스폰지 패드 또는 토션 스프링과 같은 진동방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진동방지 및 소음방지가 된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결합된 차량용 조명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결합된 차량용 조명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에 작용하는 바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플레이트와 브라켓의 분리 및 조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용 조명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에서 조명등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결합된 차량용 조명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결합된 차량용 조명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100)가 도시될 수 있다. 차량용 조명장치(100)는 플레이트(110), 플레이트(110)를 지지하는 브라켓(120) 및 플레이트(110)에 결합되어 차량(10)의 전방을 비추는 조명등(13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조명장치(100)는 독립적인 장치로서 차량(10)에 결합 및 장착될 수 있다.
플레이트(110)는 브라켓(120)에 의하여 지지되어 차량(10)의 지붕(11) 및/또는 앞유리창(12)의 상부-지붕(11)과 가까운 방향-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플레이트(110)가 앞유리창(12)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플레이트(110)를 지지하기 위하여, 브라켓(120)은 지붕(11) 또는 앞유리창(12)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브라켓(120)은 지붕(11)에 배치되되, 지붕(11)과 앞유리창(12)이 맞닿는 경계 또는 그 경계의 인근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120)은 접착부재나 고정부재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하여 차량(10)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런데 브라켓(120)이 앞유리창(12)에 이런 부재들과 결합되면, 앞유리창(12)이 손상되어 기능 또는 심미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110)는 대체로 편평한 부재로서 반투명 수지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브라켓(120)은 플레이트(110)와 동일한 재질의 수지로 제조될 수 있지만, 반드시 동일한 재질로 제한될 필요는 없고, 금속 재질과 같이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10)는 편평한 판 형태로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능적 또는 디자인적 선택에 따라 플레이트(110)는 평면, 곡면 및 이들의 혼합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10)는 브라켓(120)에 의하여 지붕(11)에 고정되고, 일정한 각도로 앞유리창(12)을 향해 기울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래서 플레이트(110)는 앞유리창(12)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10)는 앞유리창(12)과 맞닿는 경계 부근에서 지붕(11)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그러면 플레이트(110)는 외부에서 오는 햇빛을 차단할 수 있고, 운전자는 햇빛에 의하여 시야를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조명등(130)은 플레이트(110)에 장착되어 차량(10)의 전방을 비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등(130)은 플레이트(110)의 끝단에 위치할 수 있는데, 전방을 비춰야 하기 때문에 플레이트(110)의 하단-차량(10)의 보닛(13)과 가까운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조명등(130)은 플레이트(110)의 끝단 양 좌측 및 우측과 인접한 영역(L1, R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조명등(130)이 좌측영역(L1) 및 우측영역(R1)에 배치되지 않는 이유는 전조등(14)과 전조등(14)이 전방에 비추는 빛의 범위를 고려하기 때문이다. 전조등(14)은 차량(10)의 양쪽 측면에 달려있어서 전조등(14)이 좌측 및 우측에서 방사하는 빛은 좌측 및 우측만을 비추고, 그 이외의 범위인 중간지대에는 도달하지 않게 된다. 즉 좌측 전조등(14)이 비추는 범위(X1)와 우측 전조등(14)이 비추는 범위(X3) 이외에 나머지 범위(X2)에는 전조등(14)의 빛이 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조명등(130)은 플레이트(110)의 좌측영역(L1) 및 우측영역(R1)을 제외한 플레이트(110)의 중간영역에 중점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전조등(14)이 미치지 못하는 나머지 범위(X2)에 빛을 방사할 수 있다. 조명등(130)이 나머지 범위(X2)를 비추면, 운전자의 시야 확보는 더 수월할 수 있다. 특히 야간이나 악천후에 전조등(14)만으로는 충분하게 시야를 확보할 수 없었지만, 조명등(130)으로 인해 시야확보가 가능해질 수 있다. 여기서 조명등(130)의 빛의 범위가 전조등(14)의 빛의 범위와 겹치지 않을 정도가 되도록 조명등(13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L1, R1)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10)는 일정한 각도로 차량(10)의 앞유리창(12)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브라켓(12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플레이트(110)는 브라켓(120)과 고정적으로 결합되거나, 태양에 따라 브라켓(120)과 비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각도가 변하지 못하지만, 후자의 경우 상기 각도는 가변할 수 있다. 플레이트(110)의 각도가 가변하는 후자에서, 플레이트(110)의 각도는 일정한 각도까지만 제한적으로 가변할 수 있다. 즉 조명등(130)이 전방을 비출 때까지 플레이트(110)는 회전 또는 이동하여 각도가 변할 수 있지만, 조명등(130)이 전방을 비추지 못하는 각도에서는 플레이트(110)는 더 이상 회전 또는 이동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조명등(130)이 각도 a에서 방사거리 D1에 따라 빛을 내보내면, 차량(10)의 전방에 방사영역 Rm 만큼 빛이 비춰질 수 있다. 그러나 조명등(130)이 각도 a 보다 커지도록 플레이트(110)가 앞유리창(12)쪽으로 회전하면, 방사거리 D2에 따라 빛을 내보낼 수 있다. 그러면 차량(10)의 전방이 아닌 보닛(13)에 빛이 비춰질 수 있다. 따라서 조명등(130)의 빛이 전방에 투사되도록 플레이트(110)의 회전 또는 이동이 부분적으로 제한될 필요가 있다.
한편 차량용 조명장치(100)의 플레이트(110) 및 조명등(130)이 이루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바람직하게 플레이트(110)의 상부의 끝단(P1)과 하부의 끝단(P2) 사이의 길이는 대략 20~30cm이고, 그 기울어진 각도 a가 차량의 앞유리창(12)의 기울어진 각도와 유사하거나 약 5~10도 작도록 플레이트(11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10)의 상부의 끝단(P1)과 지붕(11) 사이는 대략 10cm이고, 플레이트(110)의 하부의 끝단(P2)과 앞유리창(12) 사이는 대략 15cm가 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조명장치(100)는 차량(10)의 외부에 설치되므로, 주행시 전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조명장치(100)에는 구조적인 안정성이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차량(10)의 플레이트(110)의 표면 및 이면에 작용하는 풍압이 서로 동일하게 균형적으로 분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풍량이 균형적으로 분배되기 위하여 플레이트(110)의 면적과 차량(10)의 전면의 면적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플레이트(110)의 상부의 끝단(P1)에서 플레이트(110)의 하부의 끝단(P2)까지의 높이(Ha)가, 플레이트(110)의 하부의 끝단(P2)에서 보닛(13)의 하부의 끝단(P3)까지의 높이(Hb) 보다 작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높이(Ha)와 높이(Hb)는 3:7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에 작용하는 바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100)의 플레이트(110)에는 뒤에서 앞으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기통로(31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 점선 화살표(W1~W4)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현된 바와 같이, 차량 주행시 차량용 조명장치(100)로 가해지는 풍압은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즉 차량용 조명장치(100)로 가해지는 풍압은 플레이트(110) 표면에 작용하는 제1 풍압(W1), 플레이트(110)의 하부의 끝단(P2) 아래에서 위로 넘어오는 바람에 의한 제2 풍압(W2), 플레이트(110)와 지붕(11) 사이의 간격, 즉 브라켓(120)의 높이에 의해 형성된 틈을 통해 통과하는 바람에 의한 제3 풍압(W3), 그리고 플레이트(110) 이면에서 공기통로(310)를 통과하는 바람에 의한 제4 풍압(W4)으로 구분할 수 있다.
차량용 조명장치(100)에서, 플레이트(110)의 설치 위치와 공기통로(310)의 크기를 경험적인 데이터와 차량 모델에 따라 적절히 변경 및 설계함으로써, 그 하방 압력인 제1 풍압(W1)과 제2 풍압(W2)의 합이 그 상방 압력인 제3 풍압(W3)과 제4 풍압(W4)의 합과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한 정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100)는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100)의 플레이트(110)와 브라켓(120)의 결합 방식이 도시될 수 있다. 브라켓(120)의 하부는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430)에 의하여 차량(10)의 지붕(11)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접착부재(430)가 앞유리창(12)까지 넘어가면 앞유리창(12)의 손상을 가져오므로 지붕(11)까지만 접착부재(430)가 도포될 수 있다. 접착부재(430) 대신에 기계적 방식의 고정부재가 지붕(11)에 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120)은 바람의 영향과 진동 등에 따른 외력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해 충분히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그 면적은 10cm×10cm 또는 10cm×20cm 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120)의 중간부분인 기둥은 바람의 저항을 가능한 한 적게 받도록 유선형을 이룰 수 있다.
브라켓(120)의 상부는 체결구(420)-예를 들어 나사 및 볼트-에 의해 플레이트(110)와 결합할 수 있다. 플레이트(110)의 이면에는 홈(410)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브라켓(120)의 상부가 그 홈(410)에 삽입될 수 있다. 브라켓(120)의 상부와 플레이트(110)의 하부가 홈(410)과 체결구(420)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차량용 조명장치(100)의 구조적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100)에서 플레이트(110)는 복수로 이용될 수 있다. 복수의 플레이트(110)는 앞유리창(12)의 가로폭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플레이트(110)를 지지하기 위하여 브라켓(120) 역시 복수로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110)는 제1 플레이트(110-1) 및 제2 플레이트(110-2)로 구성될 수 있다. 각 플레이트에는 조명등(130)이 일정 영역을 제외한 하부의 끝단(P2)에 배치될 수 있다. 조명등(130)이 각각 결합된 제1 플레이트(110-1) 및 제2 플레이트(110-2)는 체결구(420)를 통해 서로 이어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0-1) 및 제2 플레이트(110-2)는 차량의 앞유리창의 가로폭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120)은 이러한 제1 플레이트(110-1) 및 제2 플레이트(110-2)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120)은 좌측브라켓(120L), 우측브라켓(120R) 및 중간브라켓(120M)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브라켓(120L)은 앞유리창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110-1)를 지지할 수 있다. 우측브라켓(120R)은 앞유리창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110-2)를 지지할 수 있다. 중간브라켓(120M)은 제1 플레이트(110-1) 및 제2 플레이트(110-2)가 맞닿는 지점에 위치하여 이 두 플레이트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좌측브라켓(120L)은 체결구(420)를 통해 제1 플레이트(110-1)의 일단과 결합할 수 있다. 우측브라켓(120R)은 체결구(420)를 통해 제2 플레이트(110-2)의 일단과 결합할 수 있다. 중간브라켓(120M)은 체결구(420)를 통해 제1 플레이트(110-1) 및 제2 플레이트(110-2)와 같이 결합될 수 있고, 접촉면에는 체결구(420)가 들어가는 홈이 제1 플레이트(110-1) 및 제2 플레이트(110-2)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간브라켓(120M)은 제1 플레이트(110-1) 및 제2 플레이트(110-2)가 어긋나지 않도록 지지하여 플레이트가 안정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2개의 플레이트와 이를 지지지하는 3개의 브라켓을 예?切?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상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면 중간브라켓이 추가적으로 더 요구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전조등에 의한 시야범위와 겹치지 않도록,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플레이트에서 측단의 일 영역에는 조명이 장착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및 2 플레이트(110-1, 110-2)로 구성된 차량용 조명장치(100)가 차량(10)에 장착되면, 차량용 조명장치(100)의 조명등(130)은 전조등(14)이 비추지 못하는 전방의 영역을 비출 수 있다. 좌측의 전조등(14)이 방사영역 Rl 만큼 좌측을 커버(cover)하고, 우측의 전조등(14)이 방사영역 Rr 만큼 우측을 커버하는 한편, 조명등(130)은 방사영역 Rm 만큼 가운데를 커버할 수 있다.
한편 제1 플레이트(110-1) 및 제2 플레이트(110-2) 각각에는 공기통로(310)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공기통로(310)는 햇빛차단 기능을 유지하면서 공기 즉 바람이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통과하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차량 주행시 바람은 제1 및 2 플레이트(110-1, 110-2)의 이면의 전방에 형성된 제1 개구부(510)로부터 유입되어 공기통로(310)를 통과한 다음 제1 및 2 플레이트(110-1, 110-2)의 표면의 후방에 형성된 제2 개구부(520)로 유출된다. 공기통로(310)는 제1 및 2 플레이트(110-1, 110-2)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도시된 예로만 한정될 필요는 없다. 공기통로(310)는 풍압을 조절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기능을 충족하는 한 작은 형태의 공기통로들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플레이트와 브라켓의 분리 및 조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100)는 플레이트(110)과 브라켓(120)이 분리되거나 조립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예시에서 플레이트(110)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플레이트(110)와 브라켓(120)이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레이트(110)와 브라켓(120)은 비고정적으로 결합하여 플레이트(110)의 각도가 가변할 수 있다. 다만 각도는 조명등(130)이 비추는 한도에서 가변할 수 있다.
Ⅰ 및 Ⅱ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100)의 플레이트(110) 및 브라켓(120)이 분리된 상태와 결합된 상태가 각각 도시될 수 있다. 플레이트(110)는 브라켓(120)과 결합하기 위하여 플레이트가변결합부(710)를 포함하고, 브라켓(120)은 플레이트(110)와 결합하기 위하여 브라켓가변결합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가변결합부(710)이 브라켓가변결합부(720)와 결합하면, Ⅱ와 같이 플레이트(110)는 브라켓(120)과 결합할 수 있다. 플레이트(110)는 브라켓(120)과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110)는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하고, 플레이트(11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플레이트(110)는 브라켓(120)에 닿을 때까지만 회전하고, 그 이상은 회전하지 못할 수 있다. 브라켓(120)은 플레이트(110)가 일정 각도 넘어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방해할 수 있다. 플레이트(110)가 회전하지 못하는 지점이 조명등(130)이 전방을 비출 수 있는 임계지점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차량용 조명장치(100)가 설치될 차량의 모양에 따라 적절한 각도를 선택하여 플레이트(110)를 조절하여 브라켓(120)과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유리창(12)의 경사도가 급하지 않은 차량의 경우, 플레이트(110)가 편평하도록 가변결합부(710, 720)를 조절할 수 있다. 앞유리창(12)의 경사도가 급한 차량의 경우, 플레이트(110)가 앞유리창(12)으로 기울어지도록 가변결합부(710, 720)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용 조명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100)는 제어부(810), 센싱부(820), 입력부(830) 및 조명구동부(8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조명장치(100)는 상기 구성을 포함하여 조명등(130)을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등(130)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턴온(turn on) 또는 턴오프(turn off)하여야 하며, 비상시나 야간에는 자동적으로 온오프나 빛의 세기가 조절될 필요가 있다.
센싱부(110)는 차량의 내부환경 및 외부환경에 대한 인자를 센싱하고 센싱한 결과로서 센싱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센싱데이터는 조명등(130)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10)는 조도센서를 포함하여 조도량을 측정하여 조도데이터를 생성하면, 조도데이터로부터 지금 시간이 야간인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조명등(130)은 온(on)되거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센싱부(110)는 조도에 한정하지 않고, 습도, 온도, 가속도 및 위치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를 측정하고 그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부(830)는 사용자 또는 운전자로부터 명령을 포함하는 입력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입력데이터에는 차량 또는 그에 포함되는 구성을 조작하기 위한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입력데이터를 제어부(810)로 전달하고, 조명등(130)을 조작하기 위한 명령이 제어부(810)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차량의 전자제어를 위한 중앙처리를 담당할 수 있다. 제어부(810)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와 같은 프로세서와, 필요한 명령어들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적재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810)는 센싱부(820)에 의한 센싱데이터 또는 입력부(830)에 의한 입력데이터를 처리하고 요구되는 명령을 추출하고 실행할 수 있다.
조명구동부(840)는 조명등(130)을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810)가 조명등(130)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나, 제어부(810)의 부하를 감소하고 상세한 조작을 위하여 조명등(130)을 위한 별도의 구성으로서 조명구동부(840)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구동부(840)는 조명등(130)에 정격전압 및 정격전류의 전력을 변환 및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조명구동부(840)는 제어부(810)로부터 명령에 의거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제어신호로부터 조명등(130)의 조작을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조명등(13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에서 조명등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100)에서 조명등을 제어하는 방법이 도시될 수 있다.
차량용 조명장치(100)의 센싱부는 차량의 내부환경 및 외부환경과 관련한 인자-온도, 습도, 가속도, 조도 및 위치 등-를 측정하고 센싱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싱부로부터 센싱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901 단계).
한편 차량용 조명장치(100)의 입력부는 운전자로부터 조명등 조작을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입력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903 단계).
제어부는 조명등이 자동모드로 제어되는지 또는 수동모드로 제어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905 단계). 여기서 자동모드는 운전자의 조작없이 조명등이 센싱데이터에 기반하여 조작되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반면 수동모드는 운전자의 조작을 통해 조명등이 입력데이터에 기반하여 조작되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조명등이 자동모드로 제어되는 것으로 판정되면, 제어부는 센싱데이터로부터 조명등 구동을 위한 명령을 도출할 수 있다(S905 단계 및 S907 단계).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도출된 명령에 기반하여 조명등의 온오프 또는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S909 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는 센싱데이터로부터 조도량을 파악하고 그 조도량이 임계치에 미달하면, 현재 상황이 야간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는 조명등을 턴온하는 제어신호를 조명구동부에 보낼 수 있다. 조명구동부는 구동신호를 통해 조명등을 턴온할 수 있다. 반대로 그 조도량이 임계치를 넘으면, 제어부는 조명등을 턴오프할 수 있다. 조명등의 세기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조명등이 수동모드로 제어되는 것으로 판정되면, 제어부는 입력데이터로부터 조명등 구동을 위한 명령을 추출할 수 있다(S905 단계 및 S911 단계).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명령에 기반하여 조명등의 온오프 또는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S909 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는 입력데이터로부터 운전자가 조명등을 턴온하기 위한 명령을 추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는 조명등을 턴온하는 제어신호를 조명구동부에 보낼 수 있다. 조명구동부는 구동신호를 통해 조명등을 턴온할 수 있다. 반대로 운전자가 조명등을 턴오프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는 조명등을 턴오프할 수 있다. 조명등의 세기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5)

  1. 차량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앞유리창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앞유리창의 가로폭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앞유리창과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를 결합하여 상기 차량에 고정하는 브라켓; 및
    상기 플레이트의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전방을 비추고, 상기 플레이트의 끝단 중 좌측 및 우측과 인접한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끝단의 중간영역에 배치되는 조명등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중 좌측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는, 좌측단의 일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영역에 배치되는 제1 조명등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중 우측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는, 우측단의 일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조명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명등 및 상기 제2 조명등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차량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조명등을 구성하고,
    상기 조명등은, 상기 차량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전조등이 빛을 비추는 좌측방사영역 및 상기 차량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전조등이 빛을 비추는 우측방사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방사영역을 비추며,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좌측단의 일 영역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우측단의 일 영역은, 상기 조명등이 상기 나머지 방사영역을 비추도록 조절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상기 조명등으로부터 나오는 빛이 수평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끝단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차량용 조명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일정한 각도로 상기 앞유리창을 향해 기울어지고, 상기 조명등이 상기 차량의 전방을 비출 때까지 상기 각도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앞유리창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좌측브라켓 및 우측브라켓을 포함하고, 어느 두 개의 플레이트가 맞닿는 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를 동시에 지지하는 중간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KR1020230123561A 2023-09-16 2023-09-16 차량용 조명장치 KR102650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3561A KR102650573B1 (ko) 2023-09-16 2023-09-16 차량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3561A KR102650573B1 (ko) 2023-09-16 2023-09-16 차량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573B1 true KR102650573B1 (ko) 2024-03-21

Family

ID=90472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3561A KR102650573B1 (ko) 2023-09-16 2023-09-16 차량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57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617U (ko) * 1996-12-13 1998-09-15 김영귀 거리 확인용 램프
KR200240107Y1 (ko) * 2001-03-12 2001-10-06 김종빈 승용차량의 후면 부착용 브라인더
CN201487856U (zh) * 2009-07-14 2010-05-26 马永涛 一种多视角车顶灯架
KR20140144936A (ko) * 2013-06-12 2014-12-22 정대진 써치라이트가 장치된 차량용 루프텐트
KR20170022225A (ko) * 2015-08-19 2017-03-02 지수호 차량용 엘이디 비상등
KR102053798B1 (ko) * 2019-02-20 2019-12-09 박대식 차량용 햇빛가리개
CN212890088U (zh) * 2020-07-17 2021-04-06 河北威尼盛应急装备制造有限公司 全地形车照明系统及全地形车
CN112977252A (zh) * 2019-12-12 2021-06-18 福特全球技术公司 用于控制车灯的系统和方法
KR102450920B1 (ko) * 2022-03-02 2022-10-06 김철진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617U (ko) * 1996-12-13 1998-09-15 김영귀 거리 확인용 램프
KR200240107Y1 (ko) * 2001-03-12 2001-10-06 김종빈 승용차량의 후면 부착용 브라인더
CN201487856U (zh) * 2009-07-14 2010-05-26 马永涛 一种多视角车顶灯架
KR20140144936A (ko) * 2013-06-12 2014-12-22 정대진 써치라이트가 장치된 차량용 루프텐트
KR20170022225A (ko) * 2015-08-19 2017-03-02 지수호 차량용 엘이디 비상등
KR102053798B1 (ko) * 2019-02-20 2019-12-09 박대식 차량용 햇빛가리개
CN112977252A (zh) * 2019-12-12 2021-06-18 福特全球技术公司 用于控制车灯的系统和方法
CN212890088U (zh) * 2020-07-17 2021-04-06 河北威尼盛应急装备制造有限公司 全地形车照明系统及全地形车
KR102450920B1 (ko) * 2022-03-02 2022-10-06 김철진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2662B2 (en) Vehicle headlight and alert system
US20070002571A1 (en) Adaptive light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US8740431B2 (en) Head lamp system comprising a pair of head lamp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6279984B1 (en) Auto visor
US8783920B1 (en) Systems for indicating visibility of a blind spot to a driver
CN107284346B (zh) 大灯亮度无级自动调节系统和方法以及汽车
KR20140029802A (ko) 자동차용 윈드쉴드글래스 사이드 몰딩
US7669636B1 (en) Glare blocking vehicle attachment
US9308859B2 (en) Motor vehicle door having highly reflective luminant component on lower interior edge
US3998285A (en) Vehicle parking guide
KR102650573B1 (ko) 차량용 조명장치
US20100114439A1 (en) Vehicle glare blocking systems
KR100784673B1 (ko) 차양판과 공기 보조브레이크가 장착되는 자동차.
CN208134201U (zh) 一种汽车行驶安全辅助系统
CN114025992A (zh) 照明单元和车辆
CN114872611B (zh) 一种led灯汽车晴雨挡
KR102053798B1 (ko) 차량용 햇빛가리개
KR101885477B1 (ko) 후방주차시 시야확보를 위한 조명등
KR101376511B1 (ko) 철도차량용 계기판 햇빛가리개
KR20090062330A (ko) 차량 전조등의 자동 점등/소등을 위한 조도 센서 장치
KR20130136875A (ko) 조명이 구비된 선루프 장치
CN218198626U (zh) 一种挡风罩与车辆
US20060043751A1 (en) Rearview mirror and sun visor assembly
KR20130088266A (ko) 자동차용 안개등
JPS63182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