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107Y1 - 승용차량의 후면 부착용 브라인더 - Google Patents

승용차량의 후면 부착용 브라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107Y1
KR200240107Y1 KR2020010006491U KR20010006491U KR200240107Y1 KR 200240107 Y1 KR200240107 Y1 KR 200240107Y1 KR 2020010006491 U KR2020010006491 U KR 2020010006491U KR 20010006491 U KR20010006491 U KR 20010006491U KR 200240107 Y1 KR200240107 Y1 KR 200240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nshade
angle
glass
bl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빈
Original Assignee
김종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빈 filed Critical 김종빈
Priority to KR2020010006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1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10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승용차의 모델에 구애됨이 없이 전차종에 안정되고 용이하게 부착시켜 줄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브라이더 자체의 각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시켜 차량의 후방측으로 내리쬐이는 햇빛을 적절하게 차단시켜 뒷좌석에 앉아있는 동승자에게 햇빛이 비추지 않도록 한 승용차량의 후면부착용 브라인더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승용차량의 크기와 폭에 부응할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고 후면 유리의 외부에 설치되도록 임의의 형상 모양을 갖는 차양판(10)과; 상기 차양판의 저면 양측에 상단부분이 각각 고정되고, 하단부를 차량후면의 유리(A)에 견고하게 부착시켜 준 상태에서 차량의 후방으로 부터 내리 쬐이는 햇빛이 뒷좌석으로 비추지 않도록 차양판(1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부재(20)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용차량의 후면 부착용 브라인더{Blinder for adhering to the backside of automobile}
본 고안은 승용차량 후방측 유리의 외측면으로 부착시켜 후방으로 부터 내리쬐이는 햇빛이 뒷좌석에 앉아있는 동승자에게 비추어지지 않도록 하는 승용차량의 후면 부착용 브라인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용차의 모델에 구애됨이 없이 전차종에 안정되고 용이하게 부착시켜 줄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브라이더 자체의 각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시켜 차량의 후방측으로 내리쬐이는 햇빛을 적절하게 차단시켜 뒷좌석에 앉아있는 동승자에게 햇빛이 비추지 않도록 한 승용차량의 후면부착용 브라인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브라인더는 차량의 내부에서 유리에 부착시켜 차내로 내리쬐이는 햇빛을 차단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차량용 브라인더는 보편적으로 직물지 또는 망사를 사용하여 임의의 크기와 모양을 갖도록 제작하고, 제작된 차양부 상,하단 양측에 흡착판을 부착시켜 준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브라인더는 차량의 운행중에 햇빛이 내리쪼이는 방향의 유리에 차양부를 펼쳐 이의 각 모서리측에 갖추어진 흡착판을 유리에 부착시켜 주므로서, 햇빛을 차단시켜 주게 되는데, 차량의 후방으로 부터 햇빛이 내리쬐여 뒷좌석의 동승자에게 비추게 되면 후방의 유리에 차양부를 부착시켜 햇빛을 차단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후면의 유리에 부착된 차양부에 의해 운전자가 룸밀러를 통해 후방에서 운행하고 있는 다른 차량이나 후방의 주변상황을 확인할수 없어 안전운행에 많은 장애를 주었던 것이고, 이로인해 뒷좌석에 앉은 동승자는 운전자가 후방의 시야를확보시켜 주기 위해서는 후면 유리에 차양판을 부착시켜 주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햇빛이 내리쬐이는 동안 햇빛을 그대로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승용차의 차종에 구애됨이 없이 후면 유리 외부의 상단측에 안정되고 견고하게 부착시켜 주고, 차종에 따라 각기 다른 곡선면에 따라 각도를 임의로 조절시켜 줄수 있도록 하여 운행도중 후방측으로 부터 햇빛이 차량의 내부로 들어올때, 운전자에게 룸밀러를 통해 후방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뒷좌석에 앉아있는 동승자에게 햇빛이 내리쬐이지 않도록 하여 뒷좌석에 앉아있는 동승자가 햇빛에 의해 불편함이 없이 편안하게 앉아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행중인던 차량이 급정거하고나 속도를 줄일때 후방에서 육안으로 알려줄수 있도록 하여 후방 차량이 충돌하게 되는 사고의 위험을 줄여줄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도로서, 차양판의 각도조절부재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도로서, 멈춤확인부의 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차양판 20:각도조절부재
30:고정부 31:고정판
32:연결체 33:요입홈
34:조임나사 50:각도조절부
51:회전볼 53:연결체
60,60a:높낮이조절부 61,61a:부착판
62,62a:브라켓 63:양면테이프
64:장공 80:멈춤표시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전체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로서, 승용차의 크기와 폭에 부응할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고 임의의 형상 모양을 갖는 차양판(10)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차양판은 승용차의 후방측 유리 상단에 부착시켜 뒷좌석에 앉아있는 동승자의 머리에서 부터 어깨 부분까지 내리쬐이는 햇빛을 효율적으로 차단시켜 줄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운전자가 룸밀러를 통해 후방의 시야를 가리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직사각의 곡선형으로 형성시켜 준다.
또한, 상기 차양판의 저면 양측에는 차량후면의 유리(A)에 부착시켜 준 상태에서 차양판(1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수 있는 각도조절부재(20)가 갖추어진다.
상기의 각도조절부재(20)는 차양판(10)의 저면 양측에 고정되는 고정부(30)가 갖추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의 고정부(30)는 차양판의 상부로 부터 관통하는 체결볼트(40)가 전,후단에 각각 체결될수 있는 고정편(3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편의 하단 중간지점에 이와 일체로 하여 연장되는 연결체(32)의 하면으로 부터 내측으로 요입되는 요입홈(33)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체의 일측면에 나선체결에 의해 요입홈과 연통될수 있도록 하는 조임나사(34)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요입홈내에 상단부를 요입시켜 임의의 방향으로 차양판(1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부(50)가 갖추어지게 되는데, 상기의 각도조절부(50)는 연결체(32)의 요입홈(33)내에 요입된 상태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할수 있는 원형의 회전볼(51)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볼의 하단으로 연장된 연결봉(52)에 전,후의 길이가 서로 다른 곡선형의 연결편(53)을 형성한다.
이때, 요입홈(33)내에 요입된 원형의 회전볼(51)은 중심점이 연결체의 일측 하단부로 부터 요입홈과 연통될수 있도록 나선체결된 조임나사(34)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하여 요입홈내에 원형의 회전볼(51)이 요입된 상태에서 조임나사(34)의 선단부가 요입홈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면 돌출된 조임나사(34)의 선단부분에 원형의 회전볼(51)이 걸쳐져 요입홈으로 부터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된 상태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차양판의 방향및 각도조절이 이루어지게 될 경우 조임나사(34)를 조여주면 상기 조임나사의 선단부분이 회전볼(51) 외면을 긴밀히 조여줌에 따라 회전볼이 요입홈내에서 임의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차양판의 각도가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연결편(52) 전,후방측 끝단에는 각각 유리(A)에 부착된 상태에서 차양판의 후단부 높,낮이 각도를 조절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높낮이각조절부(60)(60a)가 갖추어지게 되는데, 상기의 높낮이각조절부는 연결편(53) 각 끝단부와 체결나사(70)가 관통되어 체결너트에 의해 고정될수 있도록 임의 회동하는 브라켓(62)(62a)이 갖추어진 부착판(61)(61a)이 갖추어지고, 상기 부착판 하단에 차량의 유리(A)에 부착될수 있는 양면테이프(63)가 갖추어진 것이다.
이때, 후단측에 위치하는 부착판의 브라켓(62)은 길게 연장시켜 이에 체결나사가 관통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할수 있는 장공(64)을 갖추어 상기의 장공에 의해 연결편(53)의 후단부 높,낮이를 조절시켜 줄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차양판(10)의 중간부에 직사각 모양의 개방부(11)에 끼워진 상태로 하여 선단부분이 개방부 상단 하측과 경첩부(12)에 의해 임의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후방 차량에게 주행과 정지상태를 알려줄수 있도록 마름모꼴의 삼각형상을 갖는 멈춤확인부(80)를 갖추어준다.
상기의 멈춤확인부(80)는 차량이 일정속도 이상으로 주행시 차양판(10)과 유리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에 의해 경첩부를 중심으로 하여 들릴수 있을 정도로 가벼운 얇은 아크릴판으로 성형시켜 주게되는데, 상기의 아크릴판은 야간에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수 있는 발광물질이 혼합된 붉은색상으로 형성할수도 있고, 아크릴판 전면에 발광물질이 함유된 붉은 색상의 비닐지를 접착시켜 줄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우선 연결체(32)의 요입홈(33)내에 요입되어 있는 회전볼(51)이 임의 회전될수 있도록 조임나사(34)와, 연결편(53)과 부착판(61)(61a)을 체결시켜 주는 체결나사(70)를 느슨하게 풀어준 상태에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양판(10) 선단면이 차량의 후면 유리(A) 최상단 선상에 위치할수 있도록 한 다음 부착판(61)(61a) 저면에 갖추어져 있는 양면테이프(63)를 차량의 후면 유리(A)에 견고하게 부착시켜 준다.
이때, 승용차는 모델에 따라 각기 다른 모양을 갖고있어 후면 유리의 경사각도 서로 다르게 되어 있어 차량의 후면 경사각에 따라 차양판(10)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시켜 유리를 통해 뒷좌석으로 비추는 햇빛이 최대한 차단될수 있도록 조절시켜 준다.
즉, 차양판(10)의 후단부분을 적당한 각도를 유지할수 있도록 들어올려 주게되면 유리에 부착된 부착판(61)의 브라켓(62)에 갖추어진 장공(64)에 느슨하게 풀어져 있는 체결나사(70)의 이동으로 인해 연결편(53)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차양판(10) 후단부를 적당한 높이를 유지시켜 주면느슨하게 풀어져 있는 체결나사(70)의 체결너트를 조여주게 되면 이들의 조임력에 의해 연결편(53)과 브라켓(61)이 체결고정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차양판(10)의 전,후 각도를 조절시켜 주게 되는데, 이는 차양판(10)을 전,후단으로 눌러주거나 잡아 당겨주게 되면 상기의 차양판(10)은 이의 하단 양측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31)의 요입홈(33)내에 요입되어 있는 원형의 회전볼(51)을 중심으로 하여 차양판(10)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차양판(10)의 각도조절이 완료되면 연결체(32)의 일측에 위치하여 느슨하게 풀어져 있는 조임나사(34)를 조여주게 되면, 상기 조임나사의 선단면이 요입홈(33)내에 위치하고 있는 회전볼(51)의 외면을 긴밀히 조여주므로서, 회전볼이 요입홈내에서 임의로 유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인해 차양판(10)을 승용차량의 후면 각도에 구애됨이 없는 상태에서 후방에서 비추는 햇빛을 효율적으로 차단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차량을 운행시켜 주게 되는데, 차량이 일정한 속도 이하에서 주행할 경우 차양판(10) 중간지점에 갖추어진 개방부(11)에 위치하여 경첩부(12)에 의해 결합된 멈춤표시부(80)가 자중에 의해 후단부분이 차양판(10) 하부로 떨어진 상태에 있다가, 주행중인 차량이 일정속도 이상에 도달하게 되면 차량의 주행으로 인해 차량의 지붕으로 타고 흐르던 공기가 후면 유리(A)와 차양판(10) 사이를 통과하면서 공기의 유속압력으로 인해 자중에 의해 하부로 떨어져 있는 멈춤표시부(80)가 경첩부(12)를 중심으로 하여 개방부(11)를 통해 상부로 들려지어 후방에서 주행중인 차량이 멈춤표시부(80)를 육안으로 확인할수 없다가 주행중이던차량이 급정거를 하고나, 일정속도 이하로 속도를 줄여주게 되면 유리와 차양판 사이를 흐르게 되는 공기유속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유속에 의해 상승되어 있던 멈춤표시부(80)가 경첩부(12)를 중심으로 하여 하부로 떨어지게 되면 차양판(10) 하부로 부터 후방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육안으로 확인할수 있어 자신의 차량 속도를 안전하게 제어시켜 줄수 있어 안전운행을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승용차량의 후면 유리 상단부에 부착시켜 차양판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수 있어 승용차량의 모델에 구애됨이 없이 후방의 유리를 통해 뒷좌석으로 비추어지는 햇빛을 효율적으로 차단시켜 줄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고, 또한 운전자가 룸밀러를 통해 후방의 시야를 확보할수 있어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차양판의 중간지점에 경첩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된 아크릴판 재질로 하여 야간에도 발광될수 있는 발광물질이 함유된 붉은 색상의 멈춤표식부가 차량이 일정속도 이상으로 주행하게 되면 차양판 하부로 흐르는 공기의 유속으로 인해 상부로 들려져 있다가 급정거 또는 일정속도 이하로 줄어들게 되면 자중에 의해 하부로 떨어져 주,야간에 구애됨이 없이 후방에서 주행하고 있는 운전자가 멈춤표식부를 육안으로 확인할수 있어 차량의 안전거리를 유지시켜 주어 안전거리 미확보로 인한 안전사고로부터의 위험을 에방할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승용차량의 후면 유리 외부에 설치되도록 임의의 형상 모양을 갖는 차양판(10)과; 상기 차양판의 저면 양측에 상단부분이 각각 고정되고, 하단부를 차량후면의 유리(A)에 견고하게 부착시켜 준 상태에서 차량의 후방으로 부터 내리 쬐이는 햇빛이 뒷좌석으로 비추지 않도록 차양판(1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부재(20)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량의 후면부착용 브라인더.
  2. 제 1 항에 있어서, 각도조절부재(20)는 차양판의 상부로 부터 관통하는 체결볼트(40)가 전,후단에 각각 체결될수 있는 고정편(3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편의 하단 중간지점에 이와 일체로 하여 연장되는 연결체(32)의 하면으로 부터 내측으로 요입되는 요입홈(33)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체의 일측면에 나선체결에 의해 요입홈과 연통될수 있도록 하는 조임나사(34)로 형성된 고정부(30)와; 연결체(32)의 요입홈(33)내에 요입된 상태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할수 있는 원형의 회전볼(51)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볼의 하단으로 연장된 연결봉(52)에 전,후의 길이가 서로 다른 곡선형의 연결편(53)으로 형성하여 되는 각도조절부(50)와; 연결편(53) 각 끝단부와 체결나사(70)가 관통되어 체결너트에 의해 고정될수 있도록 임의 회동하는 브라켓(62)(62a)이 갖추어진 부착판(61)(61a)이 갖추어지고, 상기 부착판중 부착판(61)에는 높,낮이를 조절할수 있는 장공(64)이 갖추어진 높낮이각조절부(60)(60a)로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량의 후면부착용 브라인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차양판(10)의 중간부에 직사각 모양의 개방부(11)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에 하부로 부터 끼워진 상태로 하여 선단부분이 개방부 상단 하측과 경첩부(12)에 의해 임의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차량이 일정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면 공기의 유속으로 인해 개방부측으로 상승하고 있다가 급정거및 일정속도 이하로 속도가 낮아지면 자체의 중량에 의해 떨어져 후방 차량에게 주행과 정지상태를 육안으로 확인시켜 줄수 있도록 붉은색상의 비닐지가 부착된 마름모꼴의 삼각형상을 갖는 멈춤확인부(80)가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량의 후면 부착용 브라인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표시부(80)에 야간에도 쉽게 확인될수 있도록 붉은 색상이 함유된 발광물질을 혼합시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량의 후면 부착용 브라인더.
KR2020010006491U 2001-03-12 2001-03-12 승용차량의 후면 부착용 브라인더 KR200240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491U KR200240107Y1 (ko) 2001-03-12 2001-03-12 승용차량의 후면 부착용 브라인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491U KR200240107Y1 (ko) 2001-03-12 2001-03-12 승용차량의 후면 부착용 브라인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107Y1 true KR200240107Y1 (ko) 2001-10-06

Family

ID=7309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491U KR200240107Y1 (ko) 2001-03-12 2001-03-12 승용차량의 후면 부착용 브라인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10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798B1 (ko) * 2019-02-20 2019-12-09 박대식 차량용 햇빛가리개
KR20220135657A (ko) * 2021-03-31 2022-10-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독성을 높이는 초보 운전자 표시 스티커
KR102650573B1 (ko) * 2023-09-16 2024-03-21 박대식 차량용 조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798B1 (ko) * 2019-02-20 2019-12-09 박대식 차량용 햇빛가리개
KR20220135657A (ko) * 2021-03-31 2022-10-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독성을 높이는 초보 운전자 표시 스티커
KR102466320B1 (ko) * 2021-03-31 2022-11-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독성을 높이는 초보 운전자 표시 스티커
KR102650573B1 (ko) * 2023-09-16 2024-03-21 박대식 차량용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8395B1 (en) Attachment flap for vehicle sun visors
KR200240107Y1 (ko) 승용차량의 후면 부착용 브라인더
US3371955A (en) Safety shade
US20090058125A1 (en) Automobile double rwos visor
US7140756B2 (en) Exterior rear view mirror having a chin strap and a repeater
US20110101725A1 (en) Automobile 2 parallel rows visor
CN209037363U (zh) 一种万向调节的汽车遮阳板
CN211416915U (zh) 汽车防蚊挡雨眉
CN205915996U (zh) 一种带自锁功能的卧铺装置
CN210680544U (zh) 安全带报警系统的内饰氛围灯装置、汽车内门板和汽车
CN211032105U (zh) 一种可调节的风控散热电动观光车
KR102053798B1 (ko) 차량용 햇빛가리개
JP3038710U (ja) 自動車の日除け用半遮光板
CN213676572U (zh) 一种提高安全性的b柱饰板
CN209904685U (zh) 一种车载摄像机安装支架
CN2455530Y (zh) 夜间会车器
KR20190024046A (ko) 차량용 룸미러
KR102650573B1 (ko) 차량용 조명장치
CN220121329U (zh) 一种基于智慧交通的光伏弯道预警装置
KR200146799Y1 (ko) 자동차 원도우의 차양장치
KR200268744Y1 (ko) 자동차의 전면창을 통하여 유입되는 바람의 풍향조절장치
CN108016356B (zh) 一种新型汽车内后视镜
KR0136433Y1 (ko) 접철식 외부 선 바이저
KR200164117Y1 (ko) 자동차용 자석광고판
KR950001311Y1 (ko) 자동차 전면유리창 및 후면유리창 차광판을 겸한 낙하산식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