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617B1 -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론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617B1
KR101891617B1 KR1020170019988A KR20170019988A KR101891617B1 KR 101891617 B1 KR101891617 B1 KR 101891617B1 KR 1020170019988 A KR1020170019988 A KR 1020170019988A KR 20170019988 A KR20170019988 A KR 20170019988A KR 101891617 B1 KR101891617 B1 KR 101891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frame
lower body
frames
lifting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3627A (ko
Inventor
김원도
Original Assignee
(주)현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도산업 filed Critical (주)현도산업
Priority to KR1020170019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617B1/ko
Publication of KR20180093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64U10/14Flying platforms with four distinct rotor axes, e.g. quad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20Multi-color single source or LED matrix, e.g. yellow blinker and red brake lamp generated by single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4C220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2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use as communications relays, e.g. high-altitude platforms
    • B64U2101/24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use as communications relays, e.g. high-altitude platforms for use as flying displays, e.g. advertising or bill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는, 하나 이상의 조명을 출력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상하부 결합을 하는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사이에 복수의 프레임이 교차하여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프레임이 상기 하부몸체로부터 전개되면서 상기 상부몸체를 상승시키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이 상기 하부몸체로 접혀지면서 상기 상부몸체를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로 밀착시키면서 내부를 밀폐시키는 승하강부와, 상기 승하강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복수의 엘이디가 배열되는 표시부와, 상기 상부몸체가 상기 하부몸체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까지 하강하면 상기 상부몸체의 하강 속도를 지연시키면서 상기 하부몸체로 밀착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경광등을 승강시킨 후 하강시 별도의 완충장치 없이도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론시스템{ELEVATE TYPE WARNINIG LIGHT APPARATUS AND DRONE SYSTEM USING THE WARNINIG LIGHT APPARATUS}
본 발명은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경광등을 승하강시키면서 표시판을 노출시키는 기술이 개시된다.
도로 상에 사고의 위험을 알리거나, 보수 작업 등으로 차선이 줄어드는 영역에는 사인 표시를 이용하여 후방 차량에 대해 차선을 변경하도록 안내를 하고 있다. 주로 도로 상에서는 주황색의 조명등을 이용하여 차선의 변경 등을 알릴 수 있다. 또한, 경찰차, 소방차, 구급차와 같이 긴급 상황에 따라 운행하는 차량에는 빨간색, 파란색, 녹색과 같은 경광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4622호(2014. 04. 16 공고)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경광등을 승강시키면 접이식 화살표 모양의 방향표시등을 전개시키고, 경광등을 하강시키면 접이식 화살표 모양의 방향표시등이 조명함체 내부로 수용되는 기술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기술은 X자 형의 프레임을 롤러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는데 롤러가 레일을 이탈하거나 이물질이 생기면 구동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경광조명등의 무게가 무거워 하강시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몸체가 파손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또한, 화살표 표시부가 프레임의 전개시 일측으로 치우치는 한계가 있다. 또한, 경광등이 승강된 채 운전하는 경우 파손의 위험이 발생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경광등을 승강시킨 후 하강시 별도의 완충장치 없이도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프레임과 연결된 엘이디 표시판이 프레임의 교차 이동에 따라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프레임이 레일과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레일 이탈에 따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승강된 경광등이 외부의 장매물을 감지하여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승강형 경광등에 서치라이트를 일체화시켜 사용 여부에 따라 노출시킴에 따라 공기저항을 줄일 수 있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승강형 경광등과 결합되는 드론을 이용하여 차량이 진입할 수 없는 지역에 차선 변경을 유도할 수 있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를 이용한 드론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는, 하나 이상의 조명을 출력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상하부 결합을 하는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사이에 복수의 프레임이 교차하여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프레임이 상기 하부몸체로부터 전개되면서 상기 상부몸체를 상승시키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이 상기 하부몸체로 접혀지면서 상기 상부몸체를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로 밀착시키면서 내부를 밀폐시키는 승하강부와, 상기 승하강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복수의 엘이디가 배열되는 표시부와, 상기 상부몸체가 상기 하부몸체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까지 하강하면 상기 상부몸체의 하강 속도를 지연시키면서 상기 하부몸체로 밀착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양측에 상향 및 하향으로 탄성 회동하는 복수의 날개편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가 상승시 상기 복수의 날개편이 화살표 모양으로 펼쳐지고, 상기 상부몸체가 하강시 상기 복수의 날개편이 접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은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X자 형태로 교차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봉과, 일단이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제1 연결구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봉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제2 연결구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 또는 상기 하부몸체에 형성되는 가속도센서와, 상기 상부몸체 또는 상기 하부몸체에 형성되는 접촉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가 이격되어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속도가 감지되면 상기 상부몸체를 상기 하부몸체로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되어 이동방향으로 레이저를 출력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상부몸체와 충돌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상부몸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상부몸체 또는 상기 하부몸체에 형성되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사이에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상부몸체의 하강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조명을 출력하고,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로 수용되어 엄폐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상기 복수의 프레임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조명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보조프레임이 교차하여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이 전개되면 상기 조명부를 승강시켜 상기 상부몸체의 외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이 접혀지면 상기 조명부를 하강시켜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보조승하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은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X자 형태로 교차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몸체의 바닥면에 양측이 상향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레일프레임과, 상기 레일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되는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체와, 일측이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레일프레임의 절곡된 일측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판과, 일측이 상기 제2 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레일프레임의 절곡된 타측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이동판을 포함하는 이동부와, 상기 한 쌍의 회전체의 외주면에 걸쳐 연결되며,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판과 상기 제2 이동판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를 이용한 드론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조명을 출력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상하부 결합을 하는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사이에 복수의 프레임이 교차하여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프레임이 상기 하부몸체로부터 전개되면서 상기 상부몸체를 상승시키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이 상기 하부몸체로 접혀지면서 상기 상부몸체를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로 밀착시키면서 내부를 밀폐시키는 승하강부와, 상기 승하강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복수의 엘이디가 배열되는 표시부와, 상기 상부몸체가 상기 하부몸체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까지 하강하면 상기 상부몸체의 하강 속도를 지연시키면서 상기 하부몸체로 밀착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와, 상기 상부몸체에 안착되어 충전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상부몸체로부터 이탈하여 비행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와 통신하고, 경광조명 또는 경고음을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드론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광등을 승강시킨 후 하강시 별도의 완충장치 없이도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과 연결된 엘이디 표시판이 프레임의 교차 이동에 따라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이 레일과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레일 이탈에 따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된 경광등이 외부의 장매물을 감지하여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형 경광등에 서치라이트를 일체화시켜 사용 여부에 따라 노출시킴에 따라 공기저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승강형 경광등과 결합되는 드론을 이용하여 차량이 진입할 수 없는 지역에 차선 변경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밀폐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의 배면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연결부의 구성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감지부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보조승하강부의 승하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도 6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승하강부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를 이용한 드론시스템의 구성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를 이용한 드론시스템의 드론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밀폐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의 배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100)는 상부몸체(110), 하부몸체(120), 승하강부(130), 표시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부몸체(110)는 하나 이상의 조명을 출력하며, 승하강부(13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한다. 상부몸체(110)는 하부몸체(120)와 상하부 결합을 하며, 결합시에는 내부가 밀폐되도록 내측에 패킹이나 모헤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몸체(110)는 적색 또는 청색의 엘이디를 통해 조명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부몸체(110)에는 n×m 형태로 엘이디가 배열되어 기호, 문자, 도형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광 조명을 출력하는 경우 적색과 녹색 엘이디를 기 설정된 주기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긴급출동시에는 복수의 엘이디를 통해 "양보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갓길로 이동하세요"와 같은 문자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하부몸체(120)는 차량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하부몸체(120)는 상부몸체(110)와 상하부 결합을 한다. 이 경우,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 내부에는 후술하는 승하강부(130), 표시부(140), 제어부(150)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하부몸체(120)에는 상부몸체(110)와 같이 엘이디가 수용되어 조명을 출력할 수도 있다. 하부몸체(120)의 양측에는 스피커(121)가 내장되어 싸이렌과 같은 음향효과를 출력하거나, 마이크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하부몸체(120)의 하부에는 브라켓(122)이 형성되어 차량의 지붕과 결합된다. 이 경우, 브라켓(122)의 하부에는 접착소재가 도포되어 차량의 지붕과 기밀하게 결합할 수 있다.
승하강부(130)는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를 연결하여 상부몸체(110)를 하부몸체(120)로부터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승하강부(130)는 복수의 프레임(131)과 구동부(132)로 구성되어 전동 방식으로 복수의 프레임(131)을 전개시키거나 접혀지게 할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131)은 중심축으로 연결되어 서로 'X'자로 교차되어 접이식으로 구동할 수 있다. 승하강부(130)는 상부몸체(110) 내측과 하무몸체 내측에 레일(130-1)이 각각 형성된다. 복수의 프레임(131)은 지지봉(130-2)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지지봉(130-2)의 양측에는 이동블럭(130-3)이 형성된다. 이동블럭(130-3)은 레일(130-1)과 연결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이동블럭(130-3)은 레일(130-1)의 돌기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레일(130-1)을 이탈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프레임(131)은 제1 프레임(131-1) 및 제2 프레임(131-2)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131-1)은 일단이 상부몸체(110) 측과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몸체(120) 측과 연결된다. 제2 프레임(131-2)은 일단이 상부몸체(110) 측과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몸체(120) 측과 연결되며, 제1 프레임(131-1)과 중심축을 공유하며 접이식으로 연결된다. 제1 프레임(131-1)과 제2 프레임(131-2)은 'X'자 형태로 교차한다.
또한, 승하강부(130)의 구동부(132)는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132)의 양단은 지지봉(130-2)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회동부(130-4)와 결합핀(130-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32)가 고장난 경우 양단의 결합핀(130-5)을 제거하면 구동부(132)만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구동부(132)는 하부몸체(12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부몸체(110)의 내측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승하강부(130)는 보조링크(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링크(133)는 일단이 상부몸체(110) 또는 하부몸체(120)와 연결되고, 타단이 복수의 프레임(131)과 연결된다. 보조링크(133)는 상부몸체(110)가 하부몸체(120)로부터 승강되는 경우 일정한 높이로 승강되도록 하고, 상부몸체(110)가 한쪽으로 치우쳐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구동부(132)에 의해 제1 프레임(131-1)과 제2 프레임(131-2)의 간격이 좁아지면 상부몸체(110)가 승강하게 되며, 간격이 멀어지면 상부몸체(110)가 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 복수의 보조링크(133)가 제1 프레임(131-1) 또는 제2 프레임(131-2)과 상부몸체(110) 또는 하부몸체(120)와 연결되어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표시부(140)는 승하강부(130)의 일측에 설치되어 복수의 엘이디가 n×m 형태로 배열되어 기호, 문자, 도형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직사각형의 형태이거나 화살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의 내측에 수용된다. 상부몸체(110)가 하부몸체(120)로부터 승강하면서 승하강부(130)의 일측에 형성된 표시부(140)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 경우, 표시부(140)는 승하강부(130)의 복수의 프레임(131)의 일측 또는 타측에 각각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표시부(140)는 양측에 상향 및 하향으로 탄성 회동하는 복수의 날개편(141)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상부몸체(110)가 상승시 복수의 날개편(141)이 화살표 모양으로 펼쳐지고, 상부몸체(110)가 하강시 복수의 날개편(141)이 접혀지면서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편(141)에도 복수의 엘이디가 배열될 수 있으며, 표시부(140)는 화살표 모양으로 조명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100)가 설치된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차량에 화살표의 조명을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차선 변경을 유도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승하강부(130)의 구동부(132)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상부몸체(110)가 하부몸체(120)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까지 하강하면 상부몸체(110)의 하강 속도를 지연시키면서 하부몸체(120)로 밀착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는 상부몸체(110)의 무게에 의해 하강시 가속도가 발생하면서 차량의 지붕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별도의 완충부재의 사용없이 상부몸체(110)의 하강속도를 지연시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몸체(110)가 하부몸체(120)로부터 2cm까지 하강하면 하강속도를 지연시키면서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가 밀폐결합을 하도록 서서히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상부몸체(110), 하부몸체(120), 표시부(140)의 조명이나 스피커(121)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신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통해 입력된 기호, 문자 등을 표시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차량이 긴급출동 중인 경우 외부의 관제센터에서 해당 차량에 원격으로 출동상황을 표시하도록 하여 운전자가 이를 조작하도록 하는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연결부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부(140)는 연결부(160)에 의해 도 1 내지 도 3의 복수의 프레임(131)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60)는 표시부(140)의 배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60)는 가이드봉(161), 제1 연결구(162) 및 제2 연결구(163)를 포함한다. 가이드봉(161)은 단면이 원형으로 양단이 홀더(161-1)에 의해 표시부(140)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된다. 이 경우, 가이드봉(161)은 홀더(161-1)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구(162)는 일단이 표시부(14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도 3과 같이 제1 프레임(131-1)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동한다. 제1 연결구(162)는 제1 프레임(131-1)과 회동함에 따라 제1 프레임(131-1)과 제2 프레임(131-2)이 전개되거나 접혀지는 과정에서 표시부(14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연결구(163)는 일단이 가이드봉(161)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2 프레임(131-2)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동한다. 제2 연결구(163)는 가이드봉(16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1 프레임(131-1)과 제2 프레임(131-2)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그 간격이 변동되므로 이에 대응하여 제2 연결구(163)가 가이드봉(161)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한다. 제2 연결구(163)는 제2 프레임(131-2)과 회동함에 따라 제1 프레임(131-1)과 제2 프레임(131-2)이 전개되거나 접혀지는 과정에서 표시부(14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편의상 제1 연결구(162)와 제1 프레임(131-1)이 연결되고, 제2 연결구(163)와 제2 프레임(131-2)이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결합위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감지부의 구성도,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100)는 감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70)는 상부몸체(110) 또는 하부몸체(120)에 형성되는 가속도센서(171)와, 상부몸체(110) 또는 하부몸체(120)에 형성되는 접촉센서(172)를 포함한다. 가속도센서(171)는 본 발명의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100)가 설치된 차량의 이동을 감지하는 것이다. 접촉센서(172)는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가 밀폐되어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이는 차량이 이동중에 상부몸체(110)가 바람의 저항에 의해 펼쳐져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접촉센서(172)를 통해 상부몸체(110)가 승강된 상태인 겨웅, 가속도센서(171)를 통해 이동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상부몸체(110)를 하강시킬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부몸체(110)를 승강시킨 상태에서 주행하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일정 속도 이하에서는 자동으로 하강하지 않으며, 일정 속도를 초과하면 자동으로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70)는 거리감지센서(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리감지센서(173)는 상부몸체(110)에 형성되어 이동방향으로 레이저를 출력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거리감지센서(173)로부터 상부몸체(110)와 충돌여부를 판단하고, 상부몸체(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상부몸체(110)의 높이를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자동으로 높이를 하강시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70)는 상부몸체(110) 또는 하부몸체(120)에 형성되는 근접센서(174)를 더 포함한다. 감지부(170)는 상부몸체(110)에서 하부몸체(120)의 수직하강 방향으로 장애물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근접센서(174)로부터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 사이에 물체가 감지되면 상부몸체(110)의 하강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스위치(151)를 조작하여 반자동으로 상부몸체(110)를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신체 일부가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 사이에 위치하거나, 이물질이 위치하는 경우 자동으로 상부몸체(110)를 하강시키면서 발생하는 상해나 고장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보조승하강부의 승하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100)는 상부몸체(110), 하부몸체(120), 승하강부(130), 표시부(140), 제어부(150) 및 조명부(18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부몸체(110), 하부몸체(120), 승하강부(130), 표시부(140), 제어부(150)는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조명부(180)는 상부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조명을 출력하고, 상부몸체(110)의 내부로 수용되어 엄폐될 수 있다. 조명부(180)는 전후좌후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80)는 주간에는 상부몸체(110) 내부로 엄폐되고, 야간이나 필요한 경우에만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의 저항을 줄여 차량의 연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조명부(180)에는 카메라(181)와 적외선조명(182)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81)는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고, 전후방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여 조회할 수 있다. 적외선조명(182)은 야간에 물체의 이동을 식별하기 위함이다. 조명부(180)는 전동식으로 외부로 노출되거나 내부로 엄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100)는 보조승하강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승하강부(190)는 일단이 복수의 프레임(131)과 연결되고, 타단이 조명부(180)와 연결되는 복수의 보조프레임(191, 192)이 교차하여 연결되어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보조프레임(191)은 제1 프레임(131-1)과 연결되고, 제2 보조프레임(192)은 제2 프레임(131-2)과 연결될 수 있다. 보조승하강부(190)는 직접적으로 상부몸체(11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지는 않으나, 제1 프레임(131-1)과 제2 프레임(131-2)과 연동하여 조명부(18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제1 보조프레임(191)과 제2 보조프레임(192)은 제1 프레임(131-1)과 제2 프레임(131-2)의 중심축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와 같이 복수의 프레임(131)이 전개되면 복수의 보조프레임(191, 192)이 연동하여 전개되면서 조명부(180)를 승강시켜 상부몸체(110)의 외부로 이동시킨다. (b)와 같이 복수의 프레임(131)이 접혀지면 복수의 보조프레임(191, 192)이 연동하여 접혀지면서 조명부(180)를 하강시켜 상부몸체(110)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보조승하강부(190)는 별도의 구동전원이 필요없이 조명부(18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승하강부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승하강부(130)는 레일프레임(134), 한 쌍의 회전체(135), 이동부(136) 및 벨트(137)를 포함한다.
레일프레임(134)은 하부몸체(120)의 바닥면에 양측이 상향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레일프레임(134)의 단면은 '┗┛' 자 또는 '┏┓' 형태로 절곡된다. 절곡된 양측에는 이동부(136)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다.
한 쌍의 회전체(135)는 레일프레임(134)의 내측 양단에 대향하여 형성된다. 회전체(135)는 벨트(137)에 의해 외주면이 접하면서 회전한다. 한 쌍의 회전체(135)의 외경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이동부(136)는 제1 이동판(136-1) 및 제2 이동판(136-2)을 포함한다. 제1 이동판(136-1)은 일측이 제1 프레임(131-1)과 연결되고, 타측이 레일프레임(134)의 절곡된 일측을 따라 이동한다. 제2 이동판(136-2)은 일측이 제2 프레임(131-2)과 연결되고, 타측이 레일프레임(134)의 절곡된 타측을 따라 이동하는 한다. 제1 이동판(136-1)과 제2 이동판(136-2)은 각각 후술하는 벨트(137)에 연결되어 이동하며, 서로 대향하여 레일프레임(134)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동부(136)에는 제1 보조판(136-3) 및 제2 보조판(136-4)을 포함한다. 제1 보조판(136-3)은 일측이 제2 프레임(131-2)과 연결되고, 타측이 레일프레임(134)의 절곡된 일측을 따라 이동한다. 이 경우, 제1 보조판(136-3)은 제1 이동판(136-1)과 달리 벨트(137)에 체결되지 않는다. 제2 보조판(136-4)은 일측이 제1 프레임(131-1)과 연결되고, 타측이 레일프레임(134)의 절곡된 타측을 따라 이동한다. 이 경우, 제2 보조판(136-4)은 제2 이동판(136-2)과 달리 벨트(137)에 체결되지 않는다.
벨트(137)는 한 쌍의 회전체(135)의 외주면에 걸쳐 연결되며, 이동부(136)와 연결되어 제1 이동판(136-1)과 상기 제2 이동판(136-2)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벨트(137)는 한 쌍의 회전체(135)를 따라 회전하면서 폐루프를 형성한다.
이 경우, 승하강부(130)는 구동부(132)가 회전체(135)를 직접 회전시키거나, 제1 이동판(136-1) 또는 제2 이동판(136-2)과 연결되어 제1 이동판(136-1) 및 제2 이동판(136-2)을 이동시킨다. 도 8의 (a)의 경우 제1 프레임(131-1)과 제2 프레임(131-2)이 졉혀지면서 상부몸체(110)를 하강시키고, (b)의 경우 제1 프레임(131-1)과 제2 프레임(131-2)이 전개되면서 상부몸체(11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의 폭을 줄일 수 있으며, 롤러를 사용하지 않아 레일을 이탈하는 고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레일프레임(134)이 하향으로 절곡되면 레일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고장을 줄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를 이용한 드론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를 이용한 드론시스템의 드론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를 이용한 드론시스템은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및 드론(20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100)는 도 1에서 설명한 기능과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드론(200)은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100)의 상부몸체(110)에 안착되어 충전모드로 동작하고, 상부몸체(110)로부터 이탈하여 비행모드로 동작한다. 드론(200)이 상부몸체(110)에 안착된 경우 내부 전원을 통해 무선 또는 접촉식 방식의 전원충전이 가능하다. 드론(200)이 비행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하면서 사고 현장을 추적하는 것도 가능하다. 드론(200)은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접속이 되어 드론(200)으로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드론(200)에는 태양전지판을 형성하여 전원을 충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드론(200)은 도로가 사고에 의해 정체되어 차량의 이동이 어려운 경우 비행모드로 사고 현장에 도착하여 차선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 경우, 드론(200)은 하나 이상의 날개를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다. 드론(200)은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100)를 중계기로 이용하여 외부의 관제센터와 통신하거나 직접 관제센터와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드론(200)에는 경고부(201)가 형성되어 경광조명이나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드론(200)에는 하방으로 디스플레이(202)가 형성되어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2차선에 사고차량이 있는 경우, 후방 차량에게 차선을 유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202)에 '3'이란 숫자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드론(200)에는 교통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카메라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110 : 상부몸체
120 : 하부몸체
121 : 스피커
122 : 브라켓
130 : 승하강부
130-1 : 레일
130-2 : 지지봉
130-3 : 이동블럭
130-4 : 회동부
130-5 : 결합핀
131 : 프레임
131-1 : 제1 프레임
131-2 : 제2 프레임
132 : 구동부
133 : 보조링크
134 : 레일프레임
135 : 한 쌍의 회전체
136 : 이동부
136-1 : 제1 이동판
136-2 : 제2 이동판
136-3 : 제1 보조판
136-4 : 제2 보조판
137 : 벨트
140 : 표시부
141 : 날개편
150 : 제어부
151 : 스위치
160 : 연결부
161 : 가이드봉
161-1: 홀더
162 : 제1 연결구
163 : 제2 연결구
170 : 감지부
171 : 가속도센서
172 : 접촉센서
173 : 거리감지센서
174 : 근접센서
180 : 조명부
181 : 카메라
182 : 적외선조명
190 : 보조승하강부
191 : 제1 보조프레임
192 : 제2 보조프레임
200 : 드론
201 : 경고부
202 : 디스플레이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조명을 출력하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와 상하부 결합을 하는 하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사이에 복수의 프레임이 교차하여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프레임이 상기 하부몸체로부터 전개되면서 상기 상부몸체를 상승시키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이 상기 하부몸체로 접혀지면서 상기 상부몸체를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로 밀착시키면서 내부를 밀폐시키는 승하강부;
    상기 승하강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복수의 엘이디가 배열되는 표시부;
    상기 상부몸체 또는 상기 하부몸체에 형성되는 가속도센서와, 상기 상부몸체 또는 상기 하부몸체에 형성되는 접촉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 및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가 이격되어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속도가 감지되면 상기 상부몸체를 상기 하부몸체로 하강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양측에 상향 및 하향으로 탄성 회동하는 복수의 날개편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가 상승시 상기 복수의 날개편이 화살표 모양으로 펼쳐지고, 상기 상부몸체가 하강시 상기 복수의 날개편이 접혀지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은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X자 형태로 교차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봉과, 일단이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제1 연결구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봉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제2 연결구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되어 이동방향으로 레이저를 출력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상부몸체와 충돌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상부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상부몸체 또는 상기 하부몸체에 형성되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사이에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상부몸체의 하강을 중지시키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조명을 출력하고,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로 수용되어 엄폐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복수의 프레임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조명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보조프레임이 교차하여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이 전개되면 상기 조명부를 승강시켜 상기 상부몸체의 외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이 접혀지면 상기 조명부를 하강시켜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보조승하강부를 더 포함하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은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X자 형태로 교차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몸체의 바닥면에 양측이 상향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레일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되는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체;
    일측이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레일프레임의 절곡된 일측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판과, 일측이 상기 제2 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레일프레임의 절곡된 타측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이동판을 포함하는 이동부;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체의 외주면에 걸쳐 연결되며,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판과 상기 제2 이동판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벨트를 포함하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10. 하나 이상의 조명을 출력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상하부 결합을 하는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사이에 복수의 프레임이 교차하여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프레임이 상기 하부몸체로부터 전개되면서 상기 상부몸체를 상승시키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이 상기 하부몸체로 접혀지면서 상기 상부몸체를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로 밀착시키면서 내부를 밀폐시키는 승하강부와, 상기 승하강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복수의 엘이디가 배열되는 표시부와, 상기 상부몸체 또는 상기 하부몸체에 형성되는 가속도센서와, 상기 상부몸체 또는 상기 하부몸체에 형성되는 접촉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와,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가 이격되어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속도가 감지되면 상기 상부몸체를 상기 하부몸체로 하강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및
    상기 상부몸체에 안착되어 충전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상부몸체로부터 이탈하여 비행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와 통신하고, 경광조명 또는 경고음을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드론을 포함하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를 이용한 드론시스템.
KR1020170019988A 2017-02-14 2017-02-14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론시스템 KR101891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988A KR101891617B1 (ko) 2017-02-14 2017-02-14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988A KR101891617B1 (ko) 2017-02-14 2017-02-14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627A KR20180093627A (ko) 2018-08-22
KR101891617B1 true KR101891617B1 (ko) 2018-08-24

Family

ID=6345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988A KR101891617B1 (ko) 2017-02-14 2017-02-14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6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5723B (zh) * 2021-06-09 2021-09-14 智己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向车外展示信息的装置及方法
GB2619498A (en) * 2022-05-31 2023-12-13 Zenith Security Solutions Ltd Intelligent lightbar
CN115709813B (zh) * 2022-11-28 2023-10-20 无锡格物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驱逐生物的无人机方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292Y1 (ko) * 2002-01-31 2002-05-04 신정훈 가로등용 승하강장치
WO2015053448A1 (ko) * 2013-10-07 2015-04-16 주식회사 현도산업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KR101667494B1 (ko) * 2015-10-05 2016-10-20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비상등 보조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292Y1 (ko) * 2002-01-31 2002-05-04 신정훈 가로등용 승하강장치
WO2015053448A1 (ko) * 2013-10-07 2015-04-16 주식회사 현도산업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KR101667494B1 (ko) * 2015-10-05 2016-10-20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비상등 보조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627A (ko)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622B1 (ko)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KR101891617B1 (ko)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론시스템
KR101922509B1 (ko) 터널진입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59260B1 (ko) 비상등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KR100777657B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101446113B1 (ko) 횡단보도의 통행안전장치
KR102052407B1 (ko)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KR20180031586A (ko)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101974985B1 (ko)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CN102227362A (zh) 装载码头
KR101504229B1 (ko)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KR101917190B1 (ko) 사고방지용 원격 운전형 안전표지장치
KR101219104B1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장치
KR101700347B1 (ko) 비상등 보조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KR102450920B1 (ko)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CN110656599B (zh) 一种基于数据处理的行人护送设备及其工作方法
KR101703736B1 (ko) 비상등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KR101736093B1 (ko) 차량 유도용 신호 수단을 갖는 회전형 교차로 제어장치 및 방법
CN216238189U (zh) 一种站台防护升降装置
KR102303061B1 (ko)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JP6913564B2 (ja) 交通制御システム
KR101580064B1 (ko) 높이조절 가능한 경광등 장착구조
CN111902316A (zh) 车辆安全屏障
KR200414202Y1 (ko)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하강하는 전동서치라이트를 구비한경광등
CN103738438B (zh) 信息化移动警务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