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559B1 - 고보 라이트를 활용한 작업 안내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고보 라이트를 활용한 작업 안내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559B1
KR102559559B1 KR1020210088216A KR20210088216A KR102559559B1 KR 102559559 B1 KR102559559 B1 KR 102559559B1 KR 1020210088216 A KR1020210088216 A KR 1020210088216A KR 20210088216 A KR20210088216 A KR 20210088216A KR 102559559 B1 KR102559559 B1 KR 102559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ork
gobo
road
out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7636A (ko
Inventor
허정철
이성학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210088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559B1/ko
Publication of KR20230007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B60Q1/5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to prevent rear-end collisions, e.g. by indicating safety distance at the rea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50Projected symbol or information, e.g. onto the road or car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60Projection of signs from lighting devices, e.g. symbols or information being projected onto the r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안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는 반사면에 픽토그램 또는 문자를 표출하는 작업 안내 영역을 생성하는 고보 라이트와, 고보 라이트를 작업 차량에 장착시키는 장착 수단을 포함하고, 고보 라이트는 작업 차량의 후미에 장착되어 주행 중인 작업 차량의 후방 도로면에 작업 안내 영역을 생성 가능하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도로에서 작업 차량이 주행 중 실시하는 작업 시 별도의 인력 추가 또는 동행 차량 없이도 후방 차량에게 작업을 알리거나 서행을 경고 가능하므로 인력 및 연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야간 시인성이 뛰어나 가시거리가 짧아지는 야간작업 시 경고 수단으로 사용하기 적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보 라이트를 활용한 작업 안내 출력 장치{Road construction guidance device using gobo lighting}
본 발명은 고보 라이트를 활용한 작업 안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보 라이트를 작업 차량 후미에 장착하고 장착한 고보 라이트를 이용해 주행 중인 작업 차량의 후방 도로면에 작업을 안내하거나 서행을 경고하는 픽토그램 또는 문자를 표출하여, 작업 차량을 이용한 야간 도로 작업 시 후방 차량이 서행하거나 차선을 미리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안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로에서 도로 정비, 시설 정비 및 설치, 청소, 제설, 살수 및 사고처리 등을 하는 작업 차량은 정지 또는 서행 상태로 작업을 수행하므로, 후방 차량의 감속 및 차선 변경 등을 유도하기 위해 후방 일정 거리에서 작업자가 수신호 하거나 작업 중임을 알리는 표지판을 세우고 작업을 하게 된다. 특히, 가시거리가 짧아지는 야간에는 후방 차량이 작업 차량을 인식 가능한 거리가 짧아지므로, 후방 차량에게 작업 중임을 미리 알리지 못한다면 추돌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청소, 제설, 살수 등과 같이 작업 차량이 도로를 주행하며 실시하는 작업은 작업자가 차량 후방에서 함께 이동하며 수신호를 수행하거나, 작업자가 후방의 표지판을 이동 배치하며 작업 진행하거나, 또는 작업 안내 전광판이 설치된 별도의 차량이 작업 차량 후미에서 함께 주행하며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작업자가 이동하며 수신호 하거나 또는 작업자가 표지판을 이동 배치하는 방식은 추가 인력이 요구되며, 야간 시인성이 떨어지고, 작업자가 추돌 사고 위험을 감수해야 하며, 비교적 빠른 속도로 주행하는 작업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별도의 차량이 작업 차량 후미에서 함께 주행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 역시 추가 인력 및 연료 소비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알려진 바와 같이 고보(Gobo)는 스탠드를 조절할 수 있는 암(arm)에 장착된 상태에서 램프나 카메라 앞에 위치되어 특정 부분의 빛을 차단하여 의도하지 않은 광선이 투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불투명 가림막을 일컫는다.
따라서, 고보가 장착된 고보 라이트는 출력하는 빛을 고보가 차단하는 형상을 이용해 빛의 반사면에 다양한 도형, 그림, 기호 형태를 표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보 라이트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고보 라이트를 이용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거나 또는 특정 기업이나 제품의 홍보를 하기도 한다. 특히, 최근에는 고보 라이트가 널리 보급되면서 상가 주변 바닥에 상가를 홍보하는 문구 또는 형상을 표출하거나 또는 도로면에 각종 안전 운행을 위한 문구나 도로 표지 정보를 표출하도록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고보 라이트는 그 크기가 작아 차량에 설치 가능하고, 다양한 문구 또는 도형 등을 표출 가능하며, 야간 시인성도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작업 차량에 설치하여 주행 중 이뤄지는 작업 시 후방 차량에게 작업 중임을 안내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기 적절하다. 이에, 작업 차량이 주행하며 작업을 실시할 때 후방 차량에게 작업 중임을 알릴 수 있는 고보 라이트를 활용한 작업 안내 출력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455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18927호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고보 라이트를 작업 차량 후미에 장착하고 장착한 고보 라이트를 이용해 주행 중인 작업 차량의 후방 도로면에 작업을 안내하거나 서행을 경고하는 작업 안내 영역을 생성하여, 작업 차량을 이용한 야간 도로 작업 시 후방 차량이 서행하거나 차선을 미리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안내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작업 차량이 작업 중인 도로의 제한속도에 따라 고보 라이트의 조명 각도를 상하 방향 조절하여, 작업 차량으로부터의 작업 안내 영역 생성 거리를 조절 가능한 작업 안내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후방 차량이 작업 안내 영역을 미처 보지 못하고 침범하여 작업 안내 영역 상에 위치하였을 때 고보 라이트의 출력 색상을 변경하거나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 전방 도로에서 작업 중임을 경고하는 작업 안내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는, 반사면에 픽토그램 또는 문자를 표출하는 작업 안내 영역을 생성하는 고보 라이트와, 고보 라이트를 작업 차량에 장착시키는 장착 수단을 포함하고, 고보 라이트는 작업 차량의 후미에 장착되어 주행 중인 작업 차량의 후방 도로면에 작업 안내 영역을 생성 가능하다.
이때, 작업 안내 출력 장치는 운전자가 고보 라이트의 작동 여부를 조작 가능하도록 작업 차량의 운전석에 배치되는 작동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보 라이트는 작업 차량의 차량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장착 수단은 작업 차량에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장착 수단은 고보 라이트의 조명 각도가 상하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고보 라이트에 결합하는 틸트 모듈을 포함하고, 고보 라이트는 틸트 모듈에 의해 조명 각도가 상하 방향 조절되어 작업 차량으로부터의 작업 안내 영역 생성 거리를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안내 출력 장치는 작업 차량이 작업 중인 도로의 제한 속도를 판단하는 제한 속도 판단부와, 제한 속도 판단부에서 판단한 제한 속도와 비례하게 작업 차량으로부터의 작업 안내 영역 생성 거리가 멀어지도록 틸트 모듈을 작동 제어하는 각도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안내 출력 장치는 도로 지도 정보와 도로 구간별 제한 속도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부와, 작업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GPS부를 더 포함하고, 제한 속도 판단부는 GPS부에서 감지한 작업 차량의 위치와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도로 지도 정보 및 도로 구간별 제한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차량이 작업 중인 도로의 제한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안내 출력 장치는 작업 안내 영역의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 센서와, 차량 감지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안내 영역의 차량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판단부, 그리고 차량 판단부의 판단에 기초하여 고보 라이트 또는 별도의 경고 수단을 제어하여 후방 차량에게 경고하도록 하는 경고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고 제어부는 차량 판단부로부터 작업 안내 영역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고보 라이트의 출력 색상을 변경하도록 고보 라이트를 작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안내 출력 장치는 경고 음성 또는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경고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경고 제어부는 차량 판단부로부터 작업 안내 영역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음성 또는 경고 알람을 출력하도록 경고 스피커를 작동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보 라이트를 작업 차량 후미에 장착하고 장착한 고보 라이트를 이용해 주행 중인 작업 차량의 후방 도로면에 작업을 안내하거나 서행을 경고하는 작업 안내 영역을 생성하여 후방 차량이 서행하거나 차선을 미리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에서 작업 차량이 주행 중 실시하는 작업 시 별도의 인력 추가 또는 동행 차량 없이도 후방 차량에게 작업을 알리거나 서행을 경고 가능하므로 인력 및 연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야간 시인성이 뛰어나 가시거리가 짧아지는 야간작업 시 경고 수단으로 사용하기 적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차량이 작업 중인 도로의 제한속도에 따라 고보 라이트의 조명 각도를 상하 방향 조절하여 작업 차량으로부터의 작업 안내 영역 생성 거리를 조절 가능함으로써, 제한 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차량이 빠른 속도로 주행하는 도로에서는 작업 차량으로부터 후측 방향 더 먼 거리에서 작업 차량이 작업 중임을 안내하거나 서행을 경고하여 후방 차량이 먼 거리에서부터 안전하게 작업 차량에 대해 대비할 수 있도록 하고, 제한 속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차량이 천천히 주행하는 도로에서는 작업 차량으로부터 후측 방향 더 가까운 거리에서 작업 차량이 작업 중임을 안내하거나 서행을 경고하여 작업 안내 영역의 픽토그램 또는 문자가 더욱 선명하게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방 차량이 작업 안내 영역을 미처 보지 못하고 침범하여 작업 안내 영역 상에 위치하였을 때 고보 라이트의 출력 색상을 변경하거나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 전방 도로에서 작업 중임을 경고함으로써, 작업 안내 영역 상에 위치하여 적업 안내 영역을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인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도 전방 도로에서 작업 중임을 알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의 적용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에서 고보 라이트의 각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의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에서 작업 차량으로부터의 작업 안내 영역 거리 조절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에서 작업 안내 영역 상의 차량을 감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의 적용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1)는 주행 중인 작업 차량의 후방 도로면에 작업을 안내하거나 서행을 경고하는 픽토그램 또는 문자를 표출하여, 작업 차량을 이용한 야간 도로 작업 시 후방 차량이 서행하거나 차선을 미리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에 픽토그램 또는 문자를 표출하는 고보 라이트(10)와, 작업 차량에 장착되는 장착 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보 라이트(10)는 고보(Gobo)가 적용된 라이트로, 특정 형상의 고보가 출력하는 빛을 차단하여 빛의 반사면에 고보의 형상에 따른 픽토그램 또는 문자를 표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보 라이트(10)가 반사면에 픽토그램 또는 문자를 표출하는 영역을 '작업 안내 영역'이라 호칭하기로 한다.
장착 수단(20)은 작업 차량 후미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 수단(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차량의 상단 후미 중앙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때의 장착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착 수단(20)은 나사 등의 고정 부재를 구비해 작업 차량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장착 수단(20)은 작업 차량에 자유롭게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차량에 대한 탈부착 과정이 용이하도록 장착 수단(20)은 집게, 클램프와 같은 임시 고정 부재를 구비해 작업 차량에 임시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작업 안내 출력 장치(1)는 작업 차량의 운전자가 운전 중에 고보 라이트(10)를 작동 조작 가능하도록, 작업 차량의 운전석에 배치되며 고보 라이트(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되는 작동 컨트롤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보 라이트(10)가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작업 차량의 차량 배터리를 통해 공급받도록 고보 라이트(10)는 차량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고보 라이트(10)는 장착 수단(20)을 통해 작업 차량(c)의 후미에 장착되어 주행 중인 작업 차량의 후방 도로면에 작업 안내 영역(a)을 생성 가능하다.
이때, 작업 안내 영역에 표출되는 내용으로는 작업 중을 알리는 내용 또는, 감속을 경고하는 내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안내 영역을 확인한 후방 차량 운전자는 서행하여 작업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확보하거나 또는 차선을 미리 변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1)는 도로에서 작업 차량이 주행 중 실시하는 작업 시 별도의 인력 추가 또는 동행 차량 없이도 후방 차량에게 작업을 알리거나 서행을 경고 가능하므로 인력 및 연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야간 시인성이 뛰어나 가시거리가 짧아지는 야간작업 시 경고 수단으로 사용하기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에서 고보 라이트의 각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의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에서 작업 차량으로부터의 작업 안내 영역 거리 조절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고보 라이트(10)는 고보 라이트(10)는 장착 수단(20)에 직접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 수단(20)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조명 각도가 결정되고 고정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별도의 틸트 모듈(30)을 통해 장착 수단(20)에 결합되고 결합 후에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모듈(30)에 의해 조명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조절되는 조명 각도는 상하 방향으로의 각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 각도의 상하 방향 조절을 통해 작업 차량으로부터의 작업 안내 영역 생성 거리를 조절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조명 각도가 하향 조절될수록 작업 차량과 작업 안내 영역 간의 이격 거리는 멀어지고, 조명 각도가 상향 조절될수록 작업 차량과 작업 안내 영역 간의 이격 거리는 멀어진다. 물론, 고보 라이트의 조명 각도는 조명의 반사면이 도로에 형성되어 도로에 작업 안내 영역이 생성될 수 있도록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조절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틸트 모듈(30)에 의한 고보 라이트(10)의 조명 각도 조절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 조절될 수 있지만, 주변 조건에 따라 자동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보 라이트(10)의 조명 각도는 작업 차량이 작업 중인 도로의 제한 속도에 기초하여 자동 조절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작업 안내 출력 장치(1)는 작업 차량이 작업 중인 도로의 제한 속도에 기초하여 고보 라이트(10)의 조명 각도를 자동 조절하기 위해, 틸트 모듈(30)을 작동 제어하는 제어부(40)와, 도로에 대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부(50), 그리고 작업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GPS부(60)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제한 속도에 기초하여 고보 라이트(10)의 조명 각도가 조절되도록 틸트 모듈(30)을 작동 제어하는 각도 제어부(41)와, 작업 차량이 작업 중인 도로의 제한 속도를 판단하는 제한 속도 판단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제어부(41)는 작업 차량이 작업 중인 도로 구간의 제한 속도에 기초하여 틸트 모듈(30)을 작동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작업 차량이 작업 중인 도로 구간의 제한 속도는 제한 속도 판단부(42)에 의해 판단될 수 있으며, 각도 제어부(41)는 전원 인가 후 제한 속도 판단부(42)가 도로의 제한 속도를 최초 판단하였거나 또는 제한 속도 판단부(42)가 판단한 도로의 제한 속도가 변화하였을 때 틸트 모듈(30)을 작동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도 제어부(41)는 작업 차량이 작업 중인 도로의 제한 속도에 비례하여 작업 차량으로부터의 작업 안내 영역 생성 거리가 멀어지게 할 수 있다.
도 5의 (a)와 (b)를 예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도 제어부(41)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중인 도로의 제한 속도가 50km/s일 때의 작업 차량(c)과 작업 안내 영역(a) 간의 이격 거리(l1)보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중인 도로의 제한 속도가 80km/s일 때의 작업 차량(c)과 작업 안내 영역(a) 간의 이격 거리(L2)가 더 멀어지도록, 틸트 모듈(30)을 작동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한 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차량이 빠른 속도로 주행하는 도로에서는 작업 차량으로부터 후측 방향 더 먼 거리에서 작업 차량이 작업 중임을 안내하거나 서행을 경고함으로써, 후방 차량이 먼 거리에서부터 안전하게 작업 차량에 대해 대비할 수 있도록 하고, 제한 속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차량이 천천히 주행하는 도로에서는 작업 차량으로부터 후측 방향 더 가까운 거리에서 작업 차량이 작업 중임을 안내하거나 서행을 경고함으로써, 작업 안내 영역(a)의 픽토그램 또는 문자가 더욱 선명하게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한 속도 판단부(42)는 정보 저장부(50)에 저장된 각종 정보와, GPS부(60)에서 감지한 작업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차량이 작업 중인 도로의 제한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저장부(50)에는 기관에서 관리하는 전체 도로의 지도 정보와 각 도로의 구간별 제한 속도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GPS부(60)는 주행 중인 작업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GPS부(60)는 위치 정보를 연속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지만 소정 시간 마다 생성할 수도 있다. GPS부(60)에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면, 제한 속도 판단부(42)는 GPS부(60)에서 생성한 작업 차량의 위치 정보와 정보 저장부(50)에 저장된 도로 지도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작업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 및 도로 구간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한 속도 판단부(42)는 정보 저장부(50)에 저장된 도로 구간별 제한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 구간의 제한 속도를 판단함으로써, 작업 차량이 작업 중인 도로의 제한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에서 작업 안내 영역 상의 차량을 감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차량 운전자는 차량 운전 시 전방 도로뿐만 아니라, 도로 상측의 표지판, 도로 주변의 표지판, 측방 도로, 후방 도로, 차량 계기판, 네비게이션 등 다양한 위치를 주시하며 운전해야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작업 차량의 후방 차량 운전자가 작업 안내 영역을 미처 보지 못하고 지나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1)가 작업 안내를 위해 생성하는 작업 안내 영역은 도로 바닥에 형성되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차량(bc)이 작업 안내 영역(a)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였거나 작업 안내 영역(a)을 침범하여 작업 안내 영역(a) 상에 위치하였을 때 후방 차량(bc)의 운전자는 작업 안내 영역(a)을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1)는 후방 차량(bc)이 작업 안내 영역(a)을 침범하여 작업 안내 영역(a) 상에 위치하였을 때 고보 라이트(10)의 출력 색상을 변경하거나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 전방 도로에서 작업 중임을 알리거나 또는 서행을 경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1)는 작업 안내 영역 또는 그 주변의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 센서(70)와, 소리를 출력하는 경고 스피커(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감지 센서(70)로는 객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다양한 종류의 거리 감지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소정의 감지 범위를 대상으로 객체까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감지 센서(70)는 소정의 영역을 감지하는 하나의 거리 감지 센서가 구비되거나 또는 특정 지점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거리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감지 센서(70)가 감지하는 감지 범위는 작업 안내 영역(a)과 중첩되며, 작업 안내 영역(a)과 동일하거나 또는 작업 안내 영역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차량 감지 센서(70)는 고보 라이트(10)에 장착되어 고보 라이트(10)의 조명 각도가 조절될 때 차량 감지 센서(70)의 감지 방향도 함께 조절되록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40)는 차량 감지 센서(70)에서 감지한 객체까지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안내 영역(a) 또는 그 주변에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차량 판단부(43)와, 차량 판단부(43)의 판단에 기초하여 고보 라이트(10) 또는 경고 스피커(80)를 작동 제어하는 경고 제어부(44)가 구비될 수 있다.
차량 판단부(43)는 고보 라이트(10)의 조명 각도가 조절되면, 조명 각도 조절 직후 차량 감지 센서(70)로부터 객체까지의 초기 거리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초기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안내 영역(a)이 위치하는 도로 바닥까지의 기준 거리를 설정한다. 차량 판단부(43)는 기준 거리를 설정한 이후, 차량 감지 센서(70)로부터 제공받은 객체까지의 거리 정보가 설정한 기준 거리보다 소정 거리 이상 짧으면 작업 안내 영역 또는 그 주변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차량 판단부(43)는 고보 라이트(10)의 조명 각도가 재조절되면 기준 거리를 재설정할 수 있다.
차량 판단부(43)가 작업 안내 영역 또는 그 주변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경고 제어부(44)는 작업 안내 영역 또는 그 주변에 위치한 후방 차량에게 경고하도록 고보 라이트(10) 또는 경고 스피커(80)를 작동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보 라이트(10)는 출력하는 조명 색상을 변경 가능하며, 경고 제어부(44)는 차량 판단부(43)로부터 작업 안내 영역 또는 그 주변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출력 색상을 변경하도록 고보 라이트(10)를 작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경고 스피커(80)는 전방 도로에서 작업 중임을 안내하거나 서행을 경고하는 경고 음성, 또는 경고 알람을 출력하도록 구비되고, 경고 제어부(44)는 차량 판단부(43)로부터 작업 안내 영역 또는 그 주변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음성 또는 경고 알람을 출력하도록 경고 스피커(80)를 작동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고 스피커(80)를 상시 작동시켜 도로 작업에 관한 음성 안내를 지속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음성 안내를 지속하는 경우 상당한 소음이 발생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 안내 영역 또는 그 주변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동안에만 경고 음성 또는 경고 알람을 출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안내 출력 장치는 후방 차량이 작업 안내 영역을 미처 보지 못하고 침범하여 작업 안내 영역 상에 위치하였을 때 고보 라이트의 출력 색상을 변경하거나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 전방 도로에서 작업 중임을 경고함으로써, 작업 안내 영역 상에 위치하여 적업 안내 영역을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인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도 전방 도로에서 작업 중임을 알릴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고보 라이트
20: 장착 수단
30: 틸트 모듈
40: 제어부
41: 각도 제어부
42: 제한 속도 판단부
43: 차량 판단부
44: 경고 제어부
50: 정보 저장부
60: GPS부
70: 차량 감지 센서
80: 경고 스피커

Claims (10)

  1. 작업 차량의 후방 도로면을 반사면으로 하여 픽토그램 또는 문자를 표출하는 작업 안내 영역을 생성하도록, 상기 작업 차량의 후미에 장착되는 고보 라이트;
    상기 고보 라이트를 상기 작업 차량에 장착시키고, 상기 고보 라이트의 조명 각도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고보 라이트에 결합하여 상기 작업 차량과 상기 작업 안내 영역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틸트 모듈을 구비하는 장착 수단;
    상기 작업 차량이 작업 중인 도로의 제한 속도를 판단하는 제한 속도 판단부;
    상기 제한 속도 판단부에서 판단한 상기 제한 속도와 비례하게 상기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상기 틸트 모듈을 작동 제어하는 각도 제어부;
    상기 작업 안내 영역을 침범한 차량을 감지하도록 상기 고보 라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작업 안내 영역의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 센서;
    상기 차량 감지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안내 영역에 침범한 차량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판단부; 및
    상기 차량 판단부에서 상기 작업 안내 영역에 침범한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고보 라이트 또는 별도의 경고 수단을 제어하여 후방 차량에게 경고하도록 하는 경고 제어부를 포함하는 작업 안내 출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안내 출력 장치는
    운전자가 상기 고보 라이트의 작동 여부를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작업 차량의 운전석에 배치되는 작동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안내 출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보 라이트는 상기 작업 차량의 차량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안내 출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수단은 상기 작업 차량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안내 출력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안내 출력 장치는
    도로 지도 정보와 도로 구간별 제한 속도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작업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GPS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한 속도 판단부는 상기 GPS부에서 감지한 상기 작업 차량의 위치와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도로 지도 정보 및 상기 도로 구간별 제한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차량이 작업 중인 도로의 제한 속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안내 출력 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제어부는 상기 차량 판단부로부터 상기 작업 안내 영역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고보 라이트의 출력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고보 라이트를 작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안내 출력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안내 출력 장치는
    경고 음성 또는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경고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 제어부는 상기 차량 판단부로부터 상기 작업 안내 영역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경고 음성 또는 경고 알람을 출력하도록 상기 경고 스피커를 작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안내 출력 장치.
KR1020210088216A 2021-07-06 2021-07-06 고보 라이트를 활용한 작업 안내 출력 장치 KR102559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216A KR102559559B1 (ko) 2021-07-06 2021-07-06 고보 라이트를 활용한 작업 안내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216A KR102559559B1 (ko) 2021-07-06 2021-07-06 고보 라이트를 활용한 작업 안내 출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636A KR20230007636A (ko) 2023-01-13
KR102559559B1 true KR102559559B1 (ko) 2023-07-26

Family

ID=8490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216A KR102559559B1 (ko) 2021-07-06 2021-07-06 고보 라이트를 활용한 작업 안내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5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564B1 (ko) * 2015-07-03 2015-08-27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지게차용 안전거리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558Y1 (ko) 1999-07-15 2000-02-15 한미기술산업주식회사 도로작업차량의후방감시/경보장치
KR101689772B1 (ko) * 2015-05-08 2016-12-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후방 경고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사고 알림 방법
KR20200106304A (ko) * 2019-03-04 2020-09-14 이향제 차량용 광고장치
KR102218927B1 (ko) 2020-08-20 2021-02-23 주식회사 빛글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고보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564B1 (ko) * 2015-07-03 2015-08-27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지게차용 안전거리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636A (ko) 2023-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94792B (zh) 车辆用路面绘制系统
KR101547807B1 (ko) 교통신호 보조안전시스템
EP3275716A1 (en) Vehicle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KR101116696B1 (ko) 횡단보도 정지 안내 장치
JP4466438B2 (ja) 経路案内システム
US10274727B2 (en) Device controlling range of vision
KR20200082970A (ko) 복합 신호등 장치
KR20200057865A (ko) 차량의 주행정보 전달 장치 및 방법
KR20170020683A (ko) 신호등 신호 감지에 의한 신호변경 운전자 알림 시스템
CN104691404A (zh) 一种用于在汽车后方动态显示故障警告光信号的方法
CN112373473A (zh) 一种自动驾驶的电动车
JP3915200B2 (ja) 車両の障害物警報装置
KR101771203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용 안전 삼각대
KR20120133309A (ko) 영상인식 기술을 이용한 운전보조 시스템
WO2014076841A1 (ja) 表示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2559559B1 (ko) 고보 라이트를 활용한 작업 안내 출력 장치
JP2016022919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車両
JP2019204402A (ja) 障害物表示装置及び車両用灯具システム
KR20200077289A (ko) 후방 경고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사고 알림 방법
JP2008127979A (ja) 交通安全表示体及び交通安全表示体を用いた交通安全表示システム。
KR20200062619A (ko) 안전삼각대 설치 로봇
KR100647534B1 (ko) 자동차용 지능형 안전 표지판
KR20110057837A (ko) 나이트 뷰 시스템 및 제어방법
CN100449263C (zh) 一种设置汽车驾车准星的方法及其汽车驾车准星装置
JP3890598B2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車両用情報提供方法及び車両用情報提供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