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238A - 작업 차량 및 작업 차량용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및 작업 차량용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238A
KR20150098238A KR1020157015121A KR20157015121A KR20150098238A KR 20150098238 A KR20150098238 A KR 20150098238A KR 1020157015121 A KR1020157015121 A KR 1020157015121A KR 20157015121 A KR20157015121 A KR 20157015121A KR 20150098238 A KR20150098238 A KR 20150098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restriction
exhaust gas
temporaril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5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히로 시마즈
하야토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098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02D41/023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1/00Monitoring or diagnostic devices for exhaust-gas treatment apparatus, e.g. for catalytic activ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50/00Monitoring or diagnosing the deterioration of exhaus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7Limping Home, i.e. taking specific engine control measures at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8Warnin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6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driver demands or status
    • F02D2200/604Engine control mode selected by driver, e.g. to manually start particle filter regeneration or to select driving sty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작업 차량 (1) 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29) 및 작업 차량 (1) 이 배출한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를 갖는다. 작업 차량 (1) 은,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의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부 (11A) 와, 검출부 (11A) 가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는, 적어도 엔진 (29) 출력을 제한하는 출력 제한부 (11B) 와,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 (21) 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 (22) 와,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지령을 받아, 출력의 제한을 해제하는 해제부 (11C)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 및 작업 차량용 표시 장치{UTILITY VEHICLE AND DISPLAY DEVICE FOR UTILITY VEHICLE}
본 발명은, 작업 차량 및 작업 차량에 구비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작업 차량용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압 셔블 및 덤프 트럭 등의 작업 차량은, 디젤 엔진과 같은 내연 기관을 동력 발생원으로서 구비하는 것이 있다. 환경 부하를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내연 기관이 배출한 배기 가스를 정화하고 나서 배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작업 차량에는,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엔진의 배기 통로에 배치 형성되고,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을 환원제에 의해 환원 정화하는 환원 촉매를 구비하고, 환원제의 전구체의 잔량이 소정량 이하가 되면 작업 차량의 운전을 제한하는 운전 제한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운전 제한 제어로서는, 엔진의 재시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27521호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기술은, 환원제의 전구체의 잔량이 소정량 이하가 되면 작업 차량의 운전을 제한하는데, 이 때 엔진의 재시동이 불가능해지면, 작업 차량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등에 이동시킬 수 없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내연 기관을 구비하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적어도 내연 기관의 출력이 제한되었을 때, 출력의 제한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저감시킬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 기관 및 상기 내연 기관이 배출한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갖는 작업 차량으로,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가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작업 차량이 구비하는 출력 발생 장치의 출력을 제한하는 출력 제한부와,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지령을 받아, 상기 출력의 제한을 해제하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이다.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출력 제한부가 상기 출력을 제한하고 있는 출력 제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화상과,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교대로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횟수는 미리 정해져 있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횟수는 미리 정해져 있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횟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시간은 미리 정해져 있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출력의 제한이 일시적으로 해제된 시간을 계수하여,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잔여 시간을 나타내는 잔여 시간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 기관 및 상기 내연 기관이 배출한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갖는 작업 차량으로,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가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작업 차량이 구비하는 출력 발생 장치의 출력을 제한하는 출력 제한부와, 상기 출력 제한부가 상기 출력을 제한하고 있는 출력 제한 정보 및 상기 출력이 가장 낮은 상태로 제한될 때까지의 잔여 시간을 포함하는 제 1 화상과,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화상을 표시부에 교대로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지령을 받아, 상기 출력의 제한을 해제하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이다.
본 발명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 기관과, 상기 내연 기관이 배출한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와,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가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작업 차량이 구비하는 출력 발생 장치의 출력을 제한하는 출력 제한부와,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지령을 받아, 상기 출력의 제한을 해제하는 해제부를 갖는 작업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작업 차량용 표시 장치이다.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이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과,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을 교대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횟수는 미리 정해져 있고,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횟수는 미리 정해져 있고,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횟수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시간은 미리 정해져 있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출력의 제한이 일시적으로 해제된 시간을 계수하여,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 기관과, 상기 내연 기관이 배출한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와,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가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작업 차량이 구비하는 출력 발생 장치의 출력을 제한하는 출력 제한부와,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지령을 받아, 상기 출력의 제한을 해제하는 해제부를 갖는 작업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출력 제한부가 상기 출력을 제한하고 있는 출력 제한 정보 및 상기 출력이 가장 낮은 상태로 제한될 때까지의 잔여 시간을 포함하는 제 1 화상과,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화상을 표시부에 교대로 표시시키는 작업 차량용 표시 장치이다.
본 발명은, 내연 기관을 구비하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적어도 내연 기관의 출력이 제한되었을 때, 출력의 제한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차량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작업 차량의 가동 중에 있어서 모니터에 통상적으로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작업 차량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했을 때의 가동 상태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제 1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제 2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제 3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제 4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엔진 등의 출력의 제한을 해제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실시형태) 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작업 차량 (1)>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차량 (1) 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작업 차량 (1) 은, 예를 들어, 유압 셔블, 덤프 트럭, 휠 로더, 불도저 또는 포크리프트 등이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작업 차량 (1) 은, 제어 장치로서의 엔진 제어 장치 (10) 와, 작업 차량용 표시 장치로서의 모니터 (20) 와, 내연 기관으로서의 엔진 (29) 과, 엔진 (29) 이 배출한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를 구비한다. 그 밖에, 작업 차량 (1) 은, 통신 장치 (24) 와, 위치 검출 장치 (25) 와, 엔진 제어 장치 (10) 와, 차내 신호선 (28) 과, 연료 탱크 (31) 와, 우레아수 탱크 (32) 와, 주행 장치 (33) 와, 축전기 (34) 와, 얼터네이터 (35) 와, 키 스위치 (36) 와, 정보 수집 장치 (37) 와, 회전 속도 검출 센서 (38) 와, 액체의 양을 검출하는 검출기로서의 액면 검출 센서 (39F, 39A) 를 포함한다. 액체의 양을 검출하는 검출기로서, 예를 들어 액체에 띄운 플로트를 검출함으로써 액면의 높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초음파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액면을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액체의 양을 직접 계측하는 액량 센서 등, 다른 검출기를 사용하여 액체의 양을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엔진 제어 장치 (10))
엔진 제어 장치 (10) 는, 엔진 (29) 및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를 제어한다. 엔진 제어 장치 (10) 는, 처리부 (11) 와, 기억부 (12) 와, 입출력부 (13) 를 포함한다. 처리부 (11) 는, 예를 들어, CPU (Central Processing Unit) 와 메모리를 조합한 것이다. 기억부 (12) 는, 예를 들어, RAM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플래쉬 메모리 혹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다. 기억부 (12) 는, 엔진 (29) 의 제어 및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의 제어와 같은 각종 처리를 처리부 (11) 가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다음으로, 처리부 (11) 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처리부 (11)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부 (11A) 와, 출력 제한부 (11B) 와, 해제부 (11C) 와, 계수부 (11D) 를 포함한다. 검출부 (11A) 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의 이상을 검출한다.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의 이상은, 예를 들어, 우레아수의 잔량의 감소, 우레아수를 분사하는 장치의 이상, 필터의 막힘 및 각종 센서류의 이상 등이다. 출력 제한부 (11B) 는, 검출부 (11A) 가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는, 작업 차량 (1) 이 구비하는 출력 발생 장치의 출력을 제한한다. 출력 발생 장치로는, 예를 들어 엔진 (29), 유압 펌프 (29OP) 등이 있다. 또, 상부 선회체를 전동기로 선회시키는 유압 셔블 또는 차륜을 전동기로 구동시키는 덤프 트럭 등에 있어서는, 전동기가 출력 발생 장치가 된다. 출력 제한부 (11B) 는, 출력 발생 장치의 출력을 제한하는 경우, 엔진 (29) 의 출력을 제한하는 것, 유압 펌프 (29OP) 의 출력 (흡수 토크) 을 제한하는 것 또는 엔진 (29) 및 유압 펌프 (29OP) 의 양방의 출력을 제한하는 것 중 어느 것을 실행한다. 출력 발생 장치의 출력을 제한하는 경우, 출력 제한부 (11B) 는, 이상의 종류 및 정도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엔진 (29) 의 출력을 제한한다.
해제부 (11C) 는,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지령을 받아, 출력의 제한을 해제한다. 이 지령은, 예를 들어,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하기 위한 지령의 입력 (신호) 을 받아들인 모니터 (20) 가 생성한다. 전술한 입력은, 작업 차량 (1) 의 오퍼레이터가 모니터 (20) 의 입력 장치 (21S) 로부터 입력 한다. 해제부 (11C) 가, 출력 제한부 (11B) 에 의한 출력의 제한을 해제하면, 처리부 (11) 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예를 들어, 30 분간) 은, 출력 제한부 (11B) 에 의한 출력의 제한을 해제하여 엔진 (29) 등을 제어한다.
또한, 키 스위치 (36) 를 오프로 하여 엔진 (29) 을 정지시키면, 출력의 제한을 해제하고 있는 상태를 도중에 중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키 스위치 (36) 를 오프로 하면, 후술하는 출력의 제한의 해제가 1 회 실시된 것이 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의 제한의 해제가 1 회 실시되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출력의 제한의 해제가 중지된 경우, 출력의 제한의 해제가 실행된 시간이 기억되어, 다음 번에 출력의 제한이 해제될 때에 기억된 시간 동안, 출력의 제한이 해제되도록 해도 된다. 혹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의 제한의 해제가 1 회 실시되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출력의 제한의 해제가 중지된 경우, 출력의 제한의 해제가 실행된 시간을 기억하지 않아, 다음 번에 출력의 제한이 해제될 때에는, 다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출력의 제한이 해제되도록 해도 된다.
계수부 (11D) 는, 시간 또는 횟수를 계수한다. 예를 들어, 계수부 (11D) 는, 해제부 (11C) 가 출력의 제한을 해제하고 있는 시간 및 횟수를 계수하거나, 출력 제한부 (11B) 가 출력의 제한을 실행할 때까지의 시간 등을 계수하거나 한다. 출력 제한부 (11B) 가 출력의 제한을 실행할 때까지의 시간은, 예를 들어, 우레아수 탱크 (32) 에 고여 있는 우레아수의 잔량에 기초하여 구할 수 있다.
엔진 제어 장치 (10) 의 입출력부 (13) 는, 차내 신호선 (28) 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엔진 제어 장치 (10) 에 의해 제어되는 엔진 (29) 은 디젤 엔진이다. 엔진 (29) 은, 디젤 엔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내연 기관이면 된다. 엔진 (29) 은, 유압 펌프 (29OP) 를 구동시키고, 작업 차량 (1) 이 구비하는 유압 기기에 작동유를 공급한다. 유압 펌프 (29OP) 는, 예를 들어, 사판식의 유압 펌프이며, 사판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토출되는 작동유의 양을 변경할 수 있다. 유압 펌프 (29OP) 의 형식은, 사판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는, DPF 장치 (30P) 및 우레아 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을 사용한 우레아 SCR 장치 (30N) 를 사용하여 엔진 (29) 이 배출한 배기 가스를 정화한다. 우레아 SCR 장치 (30P) 에 공급되는 우레아수는, 우레아수 탱크 (32) 에 고여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우레아수를 사용한 배기 가스 처리 시스템 (우레아 SCR 장치 (30N) 및 우레아수 탱크 (32)) 이 작업 차량 (1) 에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지만, 그러한 배기 가스 처리 시스템을 구비하지 않은 작업 차량 (1) 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또, 엔진 (29) 의 종류에 따라서도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의 구성 또는 종류는 상이하다. 다음으로, 엔진 제어 장치 (10) 의 제어예를 설명한다.
엔진 제어 장치 (10) 는, 회전 속도 검출 센서 (38) 가 검출한 엔진 (29) 의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 속도 및 연료 조정 다이얼 (29S) 의 설정 등에 기초하여, 엔진 (29) 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하여, 엔진 제어 장치 (10) 는 엔진 (29) 을 제어한다. 엔진 제어 장치 (10) 는, 엔진 (29) 이 배출하는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질소 산화물의 양 등에 기초하여,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의 우레아 SCR 장치 (30N) 에 공급하는 우레아수의 양을 제어한다.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는, 각종 센서 (30C) 를 구비하고 있다. 각종 센서 (30C) 는, 예를 들어,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질소 산화물의 양을 검출하는 센서, 배기 가스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및 우레아 SCR 장치 (30N) 내에 있어서의 암모니아를 검출하는 센서 등을 포함한다. 엔진 제어 장치 (10) 는, 각종 센서 (30C) 에 의해 검출된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질소 산화물의 양이 소정의 양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 우레아수 탱크 (32) 로부터 도시되지 않은 분사 장치에 우레아수를 공급한다. 분사 장치는, 우레아 SCR 장치 (30N) 의 구성에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우레아 SCR 장치 (30N) 는, 분사 장치로부터 우레아수를 배기 가스 중에 분사시킨다. 그 결과,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질소 산화물은, 우레아수에 의해 질소와 물로 환원 (분해) 된다.
엔진 제어 장치 (10) 는, 우레아수 탱크 (32) 에 고인 우레아수의 양을 검출하는 액면 검출 센서 (39A) 의 검출치에 기초하여, 우레아수 탱크 (32) 의 우레아수의 잔량을 구한다. 엔진 제어 장치 (10) 는, 구한 우레아수의 잔량을 모니터 (20) 에 송신한다. 모니터 (20) 는, 화면 (21D) 에 우레아수의 잔량을 표시시킨다. 또, 엔진 제어 장치 (10) 는, 연료 탱크 (31) 에 고인 연료의 양을 검출하는 액면 검출 센서 (39F) 의 검출치에 기초하여, 연료 탱크 (31) 의 연료의 잔량을 구한다. 엔진 제어 장치 (10) 는, 구한 연료의 잔량을 모니터 (20) 에 송신하고, 예를 들어,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에 표시한 연료 게이지에 연료의 잔량을 표시시킨다. 연료의 양을 검출하는 액면 검출 센서 (39F) 의 검출치를 모니터 (20) 에 직접 송신하고, 모니터 (20) 의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 (22) 에 의해 연료 탱크 (31) 의 연료의 잔량을 구하도록 해도 된다. 또, 우레아수의 양을 검출하는 액면 검출 센서 (39A) 의 검출치를 모니터 (20) 에 직접 송신하고, 모니터 (20) 의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 (22) 에 의해 우레아수 탱크 (32) 의 우레아수의 잔량을 구하도록 해도 된다.
엔진 제어 장치 (10) 는, 차내 신호선 (28) 을 통하여, 「엔진 (29) 이 가동 중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모니터 (20) 에 송신하고, 모니터 (20) 는 그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시간을 계시 (計時) 하여 누적 가동 시간을 구한다. 또한, 엔진 제어 장치 (10) 는, 엔진 (29) 의 회전 속도를 검지하는 회전 속도 센서 (38) 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에 의해, 「엔진 (29) 이 가동 중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여, 모니터 (20) 에 송신한다. 그러나, 어떠한 원인으로, 엔진 제어 장치 (10) 로부터 모니터 (20) 에 「엔진 (29) 이 가동 중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게 된 경우에도, 이하와 같이 하여 누적 가동 시간을 구할 수 있다.
얼터네이터 (35) 로부터의 신호 (소정 전압) 가 신호선 (35A) 을 통하여 모니터 (20) 에 송신된다. 모니터 (20) 는, 얼터네이터 (35) 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시간을 계시하여, 누적 가동 시간을 구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 (29) 이 가동 중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고, 상시, 얼터네이터 (35) 의 신호를 모니터 (20) 에 송신하여 누적 가동 시간을 계시해도 된다. 혹은, 회전 속도 센서 (38) 의 신호를 직접 모니터 (20) 에 송신하고, 회전 속도 센서 (38) 의 신호를 사용하여 누적 가동 시간을 계시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모니터 (20) 는 누적 가동 시간을 계시할 수 있다.
연료 조정 다이얼 (29S), 센서 (30C), 회전 속도 검출 센서 (38) 및 액면 검출 센서 (39A, 39F) 는, 엔진 제어 장치 (10) 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엔진 제어 장치 (10) 는, 입출력부 (13) 를 통하여, 연료 조정 다이얼 (29S) 로부터 설정치를 취득할 수 있음과 함께, 각종 센서 (30C), 회전 속도 검출 센서 (38) 및 액면 검출 센서 (39A, 39F) 로부터 검출치를 취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니터 (20) 에 대해 설명한다.
(모니터 (20))
모니터 (20) 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모니터 (20) 는, 표시부 (21) 와, 표시 제어부 (22) 를 포함한다. 모니터 (20) 는, 작업 차량 (10) 의 도시되지 않은 운전실 내에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니터 (20) 는, 예를 들어, 작업 차량 (1) 의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서 표시부 (21) 에 표시한다. 모니터 (20) 의 화면에 표시되는 작업 차량 (1) 의 정보로는, 예를 들어, 전술한 연료 및 우레아수의 잔량 외에, 엔진 (29) 을 냉각시키는 냉각수의 온도, 유압 펌프 (29OP) 가 토출하는 작동유의 온도, 작업 차량 (1) 의 누적 가동 시간 그리고 각종 경보 및 에러 코드 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니터 (20) 는, 각종 화상을 표시부 (21) 의 화면 (21D) 에 표시하는 것 외에, 입력 장치로서도 기능한다. 이 때문에, 모니터 (20) 는, 표시부 (21) 의 화면 (21D) 의 하방에, 입력 장치 (21S) 를 구비한다. 입력 장치 (21S) 는, 표시부 (21) 의 하방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장소에 있어도 되고, 표시부 (21) 와는 별체여도 된다. 입력 장치 (21S) 가 표시부 (21) 와 별체인 경우, 입력 장치 (21S) 는, 도시되지 않은 운전실 내의 콘솔에 설치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입력 장치 (21S) 는, 복수의 누름 버튼식의 스위치가 화면 (21D) 의 하방이고, 또한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입력 장치 (21S) 를 조작함으로써,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에 표시되는 화상을 전환하거나, 작업 차량 (1) 에 처리를 실행시키거나 작업 차량 (1) 의 동작에 관한 각종 설정을 실행하거나 할 수 있다. 작업 차량 (1) 에 실행시키는 처리로는, 예를 들어,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의 DPF (Diesel Particulate Filter) 장치 (30P) 의 재생 처리 또는 엔진 (29) 의 출력 제한 해제 처리 등이 있다. 출력 제한 해제 처리는, DPF 장치 (30P) 의 필터에 소정 레벨의 그을음이 퇴적된 경우 또는 우레아수가 소정 레벨까지 감소한 경우에, 엔진 (29) 의 출력이 제한되어 있는 상태에서,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처리이다. 작업 차량 (1) 에 실행시키는 처리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작업 차량 (1) 은, DPF 장치 (30P) 의 필터에 소정 레벨의 그을음이 퇴적된 경우 또는 우레아수가 소정 레벨까지 감소한 경우에, 엔진 (29) 뿐만 아니라, 유압 펌프 (29OP) 의 작동유의 토출량을 제한하고 유압 펌프 (29OP) 의 출력도 제한하는 것이어도 된다.
모니터 (20) 의 표시부 (21) 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니터 (20) 는 입력 장치로서도 기능하지만, 이 입력 장치로서의 기능을 모니터 (20) 에 발휘시키기 위해, 표시부 (21) 는, 화면 (21D) 에 터치 패널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표시 제어부 (22) 는, 표시부 (21) 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화상 처리를 실시하거나 입력 장치 (21S) 로부터의 입력을 처리하거나 한다. 표시 제어부 (22) 는, 예를 들어 처리부와 기억부를 포함한다. 표시 제어부 (22) 는, 예를 들어 CPU 와 메모리를 조합한 처리부와, 예를 들어 RAM, ROM, 플래쉬 메모리 혹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 또는 이들을 조합한 기억부를 갖는다. 기억부는, 전술한 각종 처리를 표시 제어부 (22) 가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램, 데이터 및 작업 차량 (1) 의 동작에 관한 각종 설정 데이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니터 (20) 는, 차내 신호선 (28) 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모니터 (20) 는, 예를 들어 CAN (Controller Area Network) 과 같은 차내 신호선 (28) 에 적용되어 있는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엔진 제어 장치 (10) 및 통신 처리 장치 (37T) 등과 통신한다.
(통신 장치 (24))
통신 장치 (24) 는, 안테나 (24A) 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 장치 (24), 위치 검출 장치 (25), 정보 수집 장치 (37) 는, 통신 처리 장치 (37T) 에 장착되어 있다. 통신 처리 장치 (37T) 는, 차내 신호선 (28) 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통신 장치 (24) 는, 작업 차량 (1) 의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신 장치 (24) 는, 예를 들어 통신 모뎀이다. 통신 장치 (24) 는, 각종 제어 장치, 각종 센서, 통신 단말 및 통신 모뎀을 갖는다. 통신 장치 (24) 는, 안테나 (24A) 에 의해 무선 통신을 실시한다. 통신 장치 (24) 에 접속된 정보 수집 장치 (37) 는, 예를 들어, 작업 차량 (1) 이 구비하는 센서류, 엔진 제어 장치 (10) 및 모니터 (20) 등으로부터 작업 차량 (1) 의 가동 정보를 수집하고, 통신 장치 (24) 및 안테나 (24A) 를 통하여 외부에 송신한다. 또, 통신 장치 (24) 는, 외부의 관리 장치로부터 작업 차량 (1) 에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위치 검출 장치 (25))
위치 검출 장치 (25) 는, GPS 용 안테나 (25A) 를 구비하고 있다. GPS 용 안테나 (25A) 는,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를 구성하는 복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출력된 전파를 수신한다. GPS 용 안테나 (25A) 는, 수신된 전파를 위치 검출 장치 (25) 에 출력한다. 위치 검출 장치 (25) 는, GPS 용 안테나 (25A) 가 수신한 전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자신의 위치 정보, 즉 위치 검출 장치 (25) 의 위치를 산출 (측위) 함으로써, 위치 검출 장치 (25) 가 탑재된 작업 차량 (1) 의 위치 정보를 구한다. 위치 정보는, 작업 차량 (1) 의 위치에 관한 정보이며, 위도, 경도 또는 고도의 좌표이다. 위치 검출 장치 (25) 가 자신의 위치를 계측하기 위해서는, GPS 위성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측위용 위성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즉, GNSS (전지구항법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에 의한 위치 계측이 가능하면 된다. 위치 검출 장치 (25) 에 의해 얻어진 작업 차량 (1) 의 위치 정보는, 작업 차량 (1) 의 가동 정보와 함께 통신 장치 (24) 에 의해 작업 차량 (1) 의 외부에 송신된다.
(차내 신호선 (28))
차내 신호선 (28) 은, 예를 들어, CAN (Controller Area Network) 이다. 차내 신호선 (28) 에 접속된 엔진 제어 장치 (10), 모니터 (20) 및 통신 처리 장치 (37T) 등의 전자 기기는, 차내 신호선 (28) 을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전자 기기 외에, 작업 차량 (1) 의 유압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작업 차량 (1) 의 주행 장치 (33) 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작업 차량 (1) 이 구비하는 각종 센서를 제어하는 장치 등의 전자 기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차내 신호선 (28)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전자 기기끼리는, 차내 신호선 (28) 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차내 신호선 (28) 에는 터미널 (28T) 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터미널 (28T) 에 단말 장치 등을 접속함으로써, 터미널 (28T) 및 차내 신호선 (28) 을 통하여, 전술한 단말 장치와 모니터 (20) 등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휴대 단말 또는 기억 매체 및 독해 장치 등과 같이, 통신 기능 및 기억 기능을 구비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터미널 (28T) 을 무선 LAN (Local Area Network) 기기로 함으로써, 정보 수집 장치 (37) 가 수집한 작업 차량 (10) 의 가동 정보를, 전술한 단말 장치에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그 무선 LAN 기기의 기능을, 전술한 통신 장치 (24) 가 담당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이상 정보 등을 다운로드하도록 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 제어 장치 (10) 는, 차내 통신선 (28) 을 통하여 모니터 (20) 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액면 검출 센서 (39A, 39F) 및 회전 속도 센서 (38) 는, 엔진 제어 장치 (10) 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모니터 (20) 는, 엔진 제어 장치 (10) 를 통하여, 액면 검출 센서 (39A, 39F) 에 의해 검출되는 연료 또는 우레아수의 잔량의 정보를 취득하거나, 엔진 (29) 이 가동 중인 것을 나타내는 운전 신호를 수신하거나 할 수 있다.
엔진 제어 장치 (10) 는, 소정의 주기로 액면 검출 센서 (39A, 39F) 로부터 연료 및 우레아수의 양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득하고, 연료 및 우레아수의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엔진 제어 장치 (10) 는, 차내 신호선 (28) 을 통하여, 모니터 (20) 에 소정의 주기로 연료 및 우레아수의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한다.
(주행 장치 (33))
주행 장치 (33) 는, 엔진 (29) 이 발생시킨 동력에 의해 작업 차량 (1) 을 주행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행 장치 (33) 는, 유압 모터 (33M) 와 크롤러 (33C) 를 포함한다. 유압 모터 (33M) 는, 엔진 (29) 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 (29OP) 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회전한다. 유압 펌프 (29OP) 는, 도시되지 않은 펌프 제어 장치에 의해 작동유의 토출량이 제어된다. 주행 장치 (33) 는, 유압 모터 (33M) 가 크롤러 (33C) 를 회전시킴으로써 작업 차량 (10) 을 주행시킨다. 주행 장치 (33) 는, 크롤러 (33C) 등을 구비한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엔진 (29) 의 동력을, 토크 컨버터 및 변속 장치를 통하여 차륜에 전달하는 장치여도 된다.
(축전기 (34) 및 얼터네이터 (35))
작업 차량 (1) 은 축전기 (34) 를 구비한다. 축전기 (34) 는, 예를 들어, 납축전지 또는 니켈 수소 축전지 등의 2 차 전지이다. 축전기 (34) 는, 엔진 (29) 을 시동시키기 위한 스타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모니터 (20) 를 비롯한, 작업 차량 (1) 이 구비하는 각종 전자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한다. 축전기 (34) 는 얼터네이터 (35) 가 발전한 전기에 의해 충전된다. 얼터네이터 (35) 는, 엔진 (29) 의 구동에 연동하여 구동함으로써 발전한다. 얼터네이터 (35) 가 발전한 전기는 축전기 (34) 에 충전된다.
모니터 (20) 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얼터네이터 (35) 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얼터네이터 (35) 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 (20) 는 얼터네이터 (35) 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시간을 계시함으로써, 작업 차량 (1) 의 누적 가동 시간을 구할 수도 있다.
(키 스위치 (36))
축전기 (34) 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키 스위치 (36) 를 통하여,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스타터, 엔진 제어 장치 (10), 모니터 (20) 및 통신 처리 장치 (37T) 등의 전자 기기에 공급된다. 키 스위치 (36) 는, 축전기 (34)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키 스위치 (36) 는, 엔진 제어 장치 (10), 모니터 (20) 및 통신 처리 장치 (37T)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키 스위치 (36) 로는, 실린더 로크를 사용한 것, 누름 버튼식인 것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이모빌라이저 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키 스위치 (36) 가 ON 이 되면, 축전기 (34) 로부터, 엔진 제어 장치 (30), 모니터 (20) 및 통신 처리 장치 (37T) 에 전력이 공급된다. 키 스위치 (36) 가 OFF 가 되면, 축전기 (34) 로부터 엔진 제어 장치 (10), 모니터 (20) 및 통신 처리 장치 (37T) 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된다.
<출력의 제한의 해제에 대해>
엔진 제어 장치 (10) 가 엔진 (29) 등의 출력을 제한하고 있는 경우, 출력의 제한에 대한 해제 횟수 또는 해제 시간의 제약을 정한 다음, 조건에 따라서는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니터 (20) 는, 엔진 제어 장치 (10) 가 엔진 (29) 등의 출력을 제한하고 있고, 또한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화면 (21D) 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작업 차량의 오퍼레이터는, 엔진 (29) 등의 출력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전술한 출력의 제한을 해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처리에 대하여,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에 표시되는 화상에 대응지어 설명한다.
도 2 는, 작업 차량 (1) 의 가동 중에 있어서 모니터 (20) 에 통상적으로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상적으로 표시되는 화상이란, 적어도 냉각수 온도 게이지 (45), 연료 게이지 (41), 우레아수 게이지 (40) 를 포함하는 화면이다. 예를 들어, 모니터 (20) 는, 통상적으로 표시되는 화상으로서, 도 2 에 나타내는 화상 (PS) 을 화면 (21D) 에 표시한다. 이하에 있어서, 화상 (PS) 을, 적절히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 이라고 한다.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 은,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작업 차량 (1) 의 키 스위치 (36) 를 ON 으로 하고, 엔진 (29) 이 시동한 후에 있어서,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에 표시된다. 모니터 (20) 는,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 을 화면 (21D) 에 표시한 후에는, 모니터 (20) 에 대한 입력 또는 작업 차량 (1) 에 어떠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한,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 을 화면 (21D) 에 표시한다.
전술한 모니터 (20) 에 대한 입력이란, 예를 들어, 화면 (21D) 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전환하는 취지의 입력이다.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 의 화면 (21D) 에 대한 표시가 전환되기 위해 필요한 이벤트로는, 예를 들어,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고, 또한 그 이상을 해소하기 위한 처리를 작업 차량 (1) 의 오퍼레이터에게 촉구할 필요가 있는 사상 (事象) 을 들 수 있다.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 의 화면 (21D) 에 대한 표시가 전환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 은, 예를 들어, 연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연료 게이지 (41) 와, 작동유의 온도를 나타내는 작동유 온도 게이지 (43) 와, 엔진 (29) 의 냉각수의 온도를 나타내는 냉각수 온도 게이지 (45) 와, 엔진 (29) 의 누적 가동 시간을 나타내는 누적 가동 시간 (47) 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우레아수 게이지 (40) 도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 에 포함된다. 우레아수 게이지 (40) 가 나타내는 우레아수의 잔량은,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상태에 관한 정보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 은 일례로서,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 에는, 작동유의 온도를 나타내는 작동유 온도 게이지 (43) 를 표시시키지 않아도 된다.
연료 탱크 (31) 내에 남아 있는 연료가 많은 경우, 연료 게이지 (41) 에 나타나는 바늘은, F 에 가까운 쪽을 가리킨다. 연료 탱크 (31) 내에 남아 있는 연료가 적은 경우, 연료 게이지 (41) 에 나타나는 바늘은, E 에 가까운 쪽을 가리킨다. 작동유 온도 게이지 (43) 와 냉각수 온도 게이지 (45) 에 나타나는 바늘이, H 에 가까운 쪽을 가리키고 있는 경우에는, 작동유 또는 냉각수의 온도가 높은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작동유 온도 게이지 (43) 및 냉각수 온도 게이지 (45) 에 나타나는 바늘이, C 에 가까운 쪽을 가리키고 있는 경우에는, 작동유 혹은 냉각수의 온도가 낮은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누적 가동 시간 (47) 은, 작업 차량 (1) 의 엔진 (29) 이 지금까지 가동한 시간의 누적치를 작업 차량 (1) 의 누적 가동 시간으로서 나타내는 것이다. 누적 가동 시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 제어 장치 (10) 로부터 모니터 (20) 에 송신된 신호를 기초로 구해지는 것이다.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 은, 작업 차량 (1) 의 정보로서, 적어도 누적 가동 시간을 표시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누적 가동 시간은 12345.6 h (시간) 이다.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 은, 작업 차량 (1) 의 가동 중에 표시되므로, 누적 가동 시간 외에, 작업 차량 (1) 의 가동시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정보로서, 예를 들어 작업 기계 (1) 의 연비를 우선시킨 동작 모드 또는 작업 기계 (1) 의 굴삭력을 우선시킨 동작 모드와 같은 각종 모드 설정에 관한 종별 정보 또는 작업 기계 (1) 의 주행 속도의 모드 설정에 관한 종별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작업 차량 (1) 이, 예를 들어, 덤프 트럭이나 휠 로더 등과 같이, 주행을 할 기회가 많은 것이면, 그 적산 주행 거리 또는 주행 속도 등도 작업 차량 (1) 의 가동시에 필요한 정보가 된다.
우레아수 게이지 (40) 는, 우레아수 탱크 (32) 에 우레아수가 채워져 있는 상태 F 와, 우레아수 탱크 (32) 의 우레아수가 빈 상태를 나타내는 E 사이에, 우레아수 탱크 (32) 내에 고여 있는 우레아수의 액면의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인디케이터 (40G) 가 표시된다. 우레아수가 채워져 있는 상태 (F) 는 아이콘 (40F) 에 의해 나타나 있고, 우레아수가 빈 상태를 나타내는 E 는 아이콘 (40E) 으로 나타나 있다. 우레아수 게이지 (40) 는, 연료 게이지 (41) 옆의 위치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아수 또는 연료는, 소비되어 축차 보급이 필요한 것이라는 공통의 관점에서 관리된다. 따라서, 우레아수 게이지 (40) 와 연료 게이지 (41) 를 가까운 위치에 표시시킴으로써 각 잔량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복수의 인디케이터 (40G) 는, 우레아수 탱크 (32) 내에 있어서의 우레아수의 잔량, 즉 우레아수의 액면의 위치에 따라 점등된다. 우레아수의 액면의 위치가 우레아수 탱크 (32) 의 상부에 가까운 경우, 아이콘 (40F) 측의 인디케이터 (40G) 가 점등된다. 도 2 에 있어서, 해칭으로 나타나는 인디케이터 (40G) 가 점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동일). 우레아수가 소비되어, 우레아수의 액면의 위치가 우레아수 탱크 (32) 의 바닥부에 가까워지면, 아이콘 (40F) 측의 인디케이터 (40G) 가 우레아수의 감소량에 따라 순차 소등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우레아수 게이지 (40) 는, 우레아수 탱크 (32) 내에 고인 우레아수의 잔량을 표시한다. 즉, 우레아수 게이지 (40) 는, 점등되어 있는 인디케이터 (40G) 의 수에 따라 우레아수의 잔량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점등되어 있는 인디케이터 (40G) 의 수가 적을수록, 우레아수의 잔량은 적어진다.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 은, 우레아수 게이지 (40) 를 포함하므로, 작업 차량 (1) 의 오퍼레이터는, 작업 중에 있어서 상시 우레아수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우레아수의 잔량에 따라 적절히 우레아수를 준비하거나 보급할 수 있다.
도 3 은, 작업 차량 (1) 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했을 때의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A) 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작업 차량 (1) 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 하면, 도 1 에 나타내는 표시 제어부 (22) 는, 이상의 발생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화면 (21D) 에 표시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에러 코드 (49) 가 화면 (21D) 에 표시된다. 에러 코드 (49) 는, 화면 (21D) 의 중앙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작업 차량 (1) 의 오퍼레이터는, 에러 코드 (49) 를 시인하기 쉬워지므로, 이상의 발생을 인식하기 쉬워진다.
이상이 발생하기 전의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 에 있어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면 (21D) 의 중앙에는 작동유 온도 게이지 (43) 가 표시되어 있었는데, 이상이 발생하면, 표시 제어부 (22) 는 작동유 온도 게이지 (43) 를 지우고, 에러 코드 (49) 를 표시한다. 또, 표시 제어부 (22) 는, 화면 (21D) 에 표시되어 있는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A) 을 다른 화상, 예를 들어, 각종 설정 정보 또는 수리 이력 정보 등을 표시하는 메뉴 화상으로 전환하기 위한 아이콘 (42) 을 표시한다. 아이콘 (42) 은, 입력 장치 (21S) 의 스위치 (F6) 의 바로 윗쪽에 표시된다. 작업 차량 (1) 의 오퍼레이터는, 아이콘 (42) 에 대응한 스위치 (F6) 를 누름으로써, 화면 (21D) 에 표시되는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A) 을 다른 화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4 는, 제 1 화상 (P1) 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이상 발생 후에 있어서의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A) 의 아이콘 (42) 에 대응하는 스위치 (F6) 를 누르면, 도 1 에 나타내는 표시 제어부 (22) 는, 화면 (21D) 의 표시를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A) 으로부터 도 4 에 나타내는 제 1 화상 (P1) 으로 전환한다. 또한, 이상 발생 후, 스위치 (F6) 를 누르지 않아도,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A) 으로부터 제 1 화상 (P1) 으로 자동적으로 화면 천이하도록 해도 된다. 제 1 화상 (P1) 은, 작업 차량 (1) 에 발생한 이상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는, 도 1 에 나타내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가 구비하는 우레아 SCR 장치 (30N) 에 공급되는 우레아수의 잔량이 저하된 것이 작업 차량 (1) 에 발생한 이상 내용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우레아수 게이지 (40) 는, 우레아수 탱크 (32) 에 고여 있는 우레아수의 잔량을 표시한다. 우레아수는 유통성이 부족한 경우도 있고, 국가 또는 지역에 따라서는 입수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작업 차량 (1) 의 가동에 따라 소비되는 우레아수의 잔량을 상시 감시해 둘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우레아수의 잔량이 적어진 경우, 우레아수 게이지 (40) 와 함께,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우레아수의 잔량이 저하되어 있습니다」등의 메세지가 제 1 화상 (P1) 에 표시된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우레아수의 잔량을 파악하기 쉬워진다.
도 4 에 나타내는 이 예에서는, 우레아수의 잔량이 적어졌기 때문에, 도 1 에 나타내는 엔진 제어 장치 (10) 가 엔진 (29) 등의 출력을 제한하고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면 (21D) 에는,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이 실행 중인 취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 (SI) 가, 우레아수의 잔량이 저하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 아래에 표시되어 있다. 상태 정보 (SI) 는, 출력 제한부가 상기 출력을 제한하고 있는 것에 대한 정보 (출력 제한 정보) 이다. 상태 정보 (SI) 는, 문자가 아니고 도안으로 표시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출력 제한이 실행 중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 LED 램프 등을 점등 또는 점멸시키는 것에 의한 상태 정보 (SI) 의 형태를 사용해도 된다.
엔진 제어 장치 (10) 가 엔진 (29) 등의 출력을 제한하는 경우, 엔진 제어 장치 (10) 는, 출력의 제한치를 시간의 경과와 함께, 단계적으로 또는 서서히 작게 한다. 최종적으로는, 더 이상 엔진 (29) 등의 출력을 제한할 수 없는 상태, 즉 로우 아이들 상태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화상 (P1) 에는,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 PSA) 에 표시되어 있었던 우레아수 게이지 (40) 가, 종횡 방향의 방향만이 변경된 상태로 표시된다. 요컨대, 우레아수 게이지 (40) 는,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 PSA) 에 표시되는 디자인과 동일한 디자인으로, 아이콘 (40E), 아이콘 (40F), 인디케이터 (40G) 가 제 1 화상 (P1) 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표시 제어부 (22) 가,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 PSA) 과 제 1 화상 (P1) 에, 동일한 표시 형태로 장치 정보 (이 예에서는 우레아수의 잔량) 를 표시함으로써, 작업 차량 (1) 의 오퍼레이터는, 우레아수의 잔량을 파악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에 표시되는 화상이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 PSA) 과 제 1 화상 (P1) 사이에서 천이해도, 오퍼레이터는 우레아수의 잔량을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오퍼레이터는, 적절한 타이밍으로 우레아수를 보급하거나 준비할 수 있다.
도 5 는, 제 2 화상 (P2) 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표시 제어부 (22) 는, 제 1 화상 (P1) 을 표시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도 5 에 나타내는 제 2 화상 (P2) 을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에 표시시킨다. 제 1 화상 (P1) 이 표시된 후, 곧바로 제 2 화상 (P2) 을 화면 (21D) 에 표시시키지 않는 이유는, 작업 차량 (1) 의 오퍼레이터가 제 1 화상 (P1) 에 표시된 정보를 놓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제 2 화상 (P2) 은, 엔진 (29) 등의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정보 (이하 적절히 해제 정보라고 한다) (44) 를 포함한다. 즉, 표시 제어부 (22) 는, 해제 정보 (44) 를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에 표시시킨다. 해제 정보 (44) 에는, 일시적으로 출력 제한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메세지가 포함된다. 또, 해제 정보 (44) 에는, 일시적으로 출력 제한을 해제할 수 있는 횟수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우레아 SCR 장치 (30N) 에 공급되는 우레아수의 잔량이 적어진 결과, 보급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엔진 (29) 이 배출하는 배기 가스의 정화가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엔진 (29) 등의 출력을 제한함으로써, 우레아수의 보급이 완료될 때까지는 작업 차량 (1) 의 사용의 편리성을 일시적으로 저하시킴으로써, 우레아수의 보급을 촉구한다. 또, 작업 차량 (1) 에 어떠한 이상, 즉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도, 이상의 종류 및 정도의 적어도 일방에 따라, 엔진 (29) 등의 출력이 제한된다. 이 경우도, 이상이 방치되지 않도록, 이상에 대한 대책이 실시될 때까지는 작업 차량 (1) 의 사용의 편리성을 일시적으로 저하시킴으로써, 이상의 회복을 촉구한다.
엔진 (29) 등의 출력이 제한된 경우, 예를 들어, 작업 차량 (1) 이 비탈을 다 오르지 못하고 도중에 정지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다른 작업 차량 (1) 및 차량의 통행의 방해가 되거나, 작업 차량 (1) 자신이 불안정한 장소에 위치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엔진 제어 장치 (10) 는, 작업 차량 (1) 의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한다. 출력의 제한이 해제됨으로써, 예를 들어, 비탈의 도중에 정지된 작업 차량 (1) 은, 대피 장소까지 이동할 수 있다. 작업 기계 (1) 가 유압 셔블인 경우, 엔진 (29) 등의 출력이 제한되었을 때에,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함으로써 상부 선회체의 선회 위치 또는 상부 선회체에 구비된 작업기의 자세를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엔진 제어 장치 (10) 가 엔진 (29) 등의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함으로써, 출력의 제한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다.
엔진 (29) 등의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것을 무제한으로 허용하면, 우레아수가 보급되지 않거나, 이상에 대한 대책이 실시되지 않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배기 가스의 정화가 불충분해지거나 이상을 해소할 수 없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출력 제한의 일시적인 해제가 가능한 횟수 및 시간은 제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엔진 제어 장치 (10) 는, 우레아수의 잔량 부족, 우레아 SCR 장치 (30N) 의 이상 혹은 DPF 장치 (30P) 가 구비하는 필터의 막힘 등과 같은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또는 작업 차량 (1) 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한 경우 등에, 엔진 (29) 등의 출력을 제한한다. 그리고, 엔진 제어 장치 (10) 는, 필요에 따라,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등에 발생한 이상의 대처를 오퍼레이터 등에게 촉구함과 함께, 엔진 (29) 등의 출력이 제한됨으로써 작업 차량 (1) 에 발생하는 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엔진 제어 장치 (10) 는, 출력 제한의 일시적인 해제가 가능한 시간 및 횟수의 적어도 일방을 제한함으로써,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 등에 발생한 이상에 대한 대처를 확실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출력 제한의 일시적인 해제가 가능한 횟수 및 시간은 미리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제한의 일시적인 해제가 가능한 횟수는 3회이며, 1 회당의 해제 가능한 시간은, 예를 들어 30 분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출력 제한의 일시적인 해제가 가능한 횟수 (이 예에서는 3 회) 가 제 2 화상 (P2) 에 표시된다. 이 표시에 의해, 작업 차량 (1) 의 오퍼레이터는, 출력 제한의 일시적인 해제가 가능한 횟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력 제한의 일시적인 해제가 가능한 횟수 및 1 회당의 시간을 제한함으로써, 장시간에 있어서의 출력 제한의 해제를 회피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출력 제한의 일시적인 해제가 가능한 횟수를 제한하지 않고, 출력 제한의 일시적인 해제가 가능한 시간만을 제한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낸 해제 정보 (44) 대신에, 출력 제한의 일시적인 해제가 가능한 시간을 해제 정보 (44) 로서 화면 (21D) 에 표시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엔진 제어 장치 (10) 의 계수부 (11D) 는, 출력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한 시간을 계수하여 누적한다. 출력 제한이 일시적으로 해제될 때마다 해제한 시간이 누적되고, 제 2 화상 (P2) 이 표시될 때마다, 그 누적된 시간이 해제 정보로서 화면 (21D) 에 표시된다. 그리고, 계수부 (11D) 에 의해 누적된 시간이 출력 제한의 일시적인 해제가 가능한 시간의 상한치에 도달하면, 도 1 에 나타내는 엔진 제어 장치 (10) 의 처리부 (11) 는, 이후, 출력 제한의 일시적인 해제를 허용하지 않게 해도 된다.
해제 정보 (44) 가 화면 (21D) 에 표시됨으로써, 엔진 (29) 등의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을 파악하고 있지 않은 오퍼레이터라도,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음과 함께, 필요한 경우에는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엔진 (29) 등의 출력이 제한된 것에 의해 작업 차량 (1) 이 노상에서 정지된 경우에도, 출력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작업 차량 (1) 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오퍼레이터는, 엔진 (29) 등의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조건인, 횟수 또는 시간을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에 의해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출력의 제한의 해제를 관리하면서 작업 기계 (1) 를 가동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른 작업 차량 (1) 및 차량의 통행의 방해가 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화상 (P2) 에는, 입력 장치 (21S) 의 스위치 (F5) 의 바로 윗쪽에, 출력 제한의 일시적인 해제를 실행하지 않을 때의 입력을 나타내는 아이콘 (46) 이 표시되고, 스위치 (F6) 의 바로 윗쪽에, 출력 제한의 일시적인 해제를 실행할 때의 입력을 나타내는 아이콘 (48) 이 표시된다. 요컨대, 스위치 (F5, F6) 의 각각의 배치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아이콘 (46, 48) 이 표시되어 있다. 제 2 화상 (P2) 에도, 우레아수 게이지 (40) 및 우레아수의 잔량이 저하된 것을 나타내는 메세지가 표시된다. 제 2 화상 (P2) 이 표시된 상태에서, 작업 차량 (1) 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스위치 (F5) 가 눌리면, 도 1 에 나타내는 표시 제어부 (22) 는,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을, 도 3 에 나타내는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A) 으로 천이하여 전환한다. 이 경우, 도 1 에 나타내는 엔진 제어 장치 (10) 는, 엔진 (29) 등의 출력을 제한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6 은, 제 3 화상 (P3) 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화상 (P2) 이 표시된 상태에서, 작업 차량 (1) 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스위치 (F6) 가 눌리면, 도 1 에 나타내는 표시 제어부 (22) 는,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을, 도 6 에 나타내는 제 3 화상 (P3) 으로 전환한다. 제 3 화상 (P3) 은,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한 시간에 관한 정보와, 출력 제한의 해제가 가능한 횟수에 관한 정보와, 출력 제한을 해제하는지 여부를 판단시키기 위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확인 정보 (50) 가 표시된다. 제 3 화상 (P3) 에도, 입력 장치 (21S) 의 스위치 (F5) 의 바로 윗쪽에, 출력 제한의 일시적인 해제를 실행하지 않을 때의 입력을 나타내는 아이콘 (46) 이 표시되고, 스위치 (F6) 의 바로 윗쪽에, 출력 제한의 일시적인 해제를 실행할 때의 입력을 나타내는 아이콘 (48) 이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화상 (P3) 이 화면 (21D) 에 표시되는 경우를 나타내는데, 제 2 화상 (P2) 에 있어서, 출력 제한의 일시적인 해제를 실행할 때의 입력을 나타내는 아이콘 (48) 에 대응한 스위치 (F6) 를 조작한 후, 제 3 화상 (P3) 을 표시하지 않고, 출력 제한의 일시적인 해제가 실행되도록 해도 된다.
제 3 화상 (P3) 이 표시된 상태에서, 작업 차량 (1) 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스위치 (F5) 가 눌리면, 도 1 에 나타내는 표시 제어부 (22) 는,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을, 도 5 에 나타내는 제 2 화상 (P2) 으로 천이하여 전환한다. 여기서, 제 3 화상 (P3) 이 표시된 상태에서, 작업 차량 (1) 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스위치 (F5) 가 눌리면, 화면 (21D) 은 제 1 화상 (P1) 으로 천이하여 전환하게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제 3 화면 (P3) 이 표시된 상태로부터 제 2 화상 (P2) 혹은 제 1 화상 (P1) 으로 천이한 경우, 도 1 에 나타내는 엔진 제어 장치 (10) 는, 엔진 (29) 등의 출력을 제한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7 은, 제 4 화상 (P4) 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3 화상 (P3) 이 표시된 상태에서, 작업 차량 (1) 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스위치 (F6) 가 눌리면, 도 1 에 나타내는 표시 제어부 (22) 는,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을, 도 7 에 나타내는 제 4 화상 (P4) 으로 전환한다. 이 경우, 도 1 에 나타내는 엔진 제어 장치 (10) 의 해제부 (11C) 는,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을 해제한다. 제 4 화상 (P4) 은,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의 해제가 종료될 때까지의 잔여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 (잔여 시간 정보) (52) 를 포함하고 있다. 제 4 화상 (P4) 에도, 우레아수 게이지 (40) 및 우레아수의 잔량이 저하된 것의 메세지가 표시된다. 잔여 시간 정보 (52) 는, 예를 들어, 잔여 시간을 인디케이터 등의 그래픽에 의한 표시 형태로 표시된 것이어도 된다. 잔여 시간 정보 (52) 는, 예를 들어,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의 해제가 종료될 때까지의 잔여 시간의 감소에 수반하여, 인디케이터의 길이를 바꾸어 표시되는 것이어도 된다. 작업 차량 (1) 의 오퍼레이터는, 전술한 잔여 시간을 시인함으로써, 출력 제한의 해제가 가능한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 3 화상 (P3) 이 표시된 상태에서, 작업 차량 (1) 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스위치 (F6) 가 눌리면, 도 1 에 나타내는 표시 제어부 (22) 는,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을, 도 7 에 나타내는 제 4 화상 (P4) 과는 상이한 화상으로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전술한 잔여 시간은, 도 1 에 나타내는 엔진 제어 장치 (10) 의 계수부 (11D) 가 계수한다. 전술한 잔여 시간이 0 이 되면, 해제부 (11C) 는,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의 해제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해제부 (11C) 는, 엔진 (29) 등의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의 해제가 종료되면, 도 1 에 나타내는 표시 제어부 (22) 는,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을, 도 4 에 나타내는 제 1 화상 (P1) 으로 전환한다. 다음으로, 우레아수 탱크 (32) 에 고인 우레아수의 잔량이 저하된 것을 포함하는 이상이 발생한 경우, 즉 작업 차량 (1) 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때의 처리를, 플로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출력의 제한을 해제하는 처리의 일례>
도 8 은, 엔진 (29) 등의 출력의 제한을 해제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에는, 도 2 에 나타내는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 이 표시되어 있다. 작업 차량 (1) 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한 경우 (스텝 S101, 예), 스텝 S102 에 있어서 엔진 제어 장치 (10) 는, 엔진 (29) 등의 출력을 제한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표시 제어부 (22) 는,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의 표시를,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에러 코드 (49) 를 포함하는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A) 으로 전환한다. 작업 차량 (1) 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스텝 S101, 아니오), 처리는 종료된다.
스텝 S103 에 있어서,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A) 을 제 1 화상 (P1) 으로 전환하는 입력이 있었던 경우 (스텝 S103, 예), 스텝 S104 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 (22) 는 도 4 에 나타내는 제 1 화상 (P1) 을 화면 (21D) 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스텝 S105 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 (22) 는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을 해제한 횟수 (이하, 적절히 해제 횟수라고 한다) (N) 와, 제한치 (Nc) 를 비교하여, 해제 횟수 (N) 가 제한치 (Nc) 이하인 경우 (N ≤ Nc, 스텝 S105, 예), 스텝 S106 으로 진행한다. 해제 횟수 (N) 는, 예를 들어, 엔진 제어 장치 (10) 의 해제부 (11C) 가 구한다. 표시 제어부 (22) 는, 차내 신호선 (28) 을 통하여 엔진 제어 장치 (10) 로부터 현재의 해제 횟수 (N) 를 취득한다. 제한치 (Nc)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 이다.
스텝 S106 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 (22) 는, 제 1 화상 (P1) 을 화면 (21D) 에 표시하고 나서 경과한 시간 (이하, 적절히 경과 시간이라고 한다) (t) 과, 미리 정해진 대기 시간 (tc) 을 비교한다. 그 결과, 경과 시간 (t) 이 대기 시간 (tc) 보다 작은 경우 (스텝 S106, 아니오), 표시 제어부 (22) 는, 스텝 S104 에서부터 스텝 S106 을 반복한다. 경과 시간 (t) 이 대기 시간 (tc) 이상인 경우 (t ≥ tc, 스텝 S106, 예), 표시 제어부 (22) 는, 스텝 S107 로 진행한다. 스텝 S107 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 (22) 는, 도 5 에 나타내는 제 2 화상 (P2) 을 화면 (21D) 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의 표시가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A) 으로부터 제 1 화상 (P1) 으로 전환된 후, 대기 시간 (tc) 을 경과할 때까지는 제 1 화상 (P1) 이 화면 (21D) 에 표시되고, 대기 시간 (tc) 이 경과한 후에는, 제 2 화상 (P2) 이 화면 (21D) 에 표시된다. 대기 시간 (tc) 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10 초 내지 20 초 정도로 할 수 있다. 제 1 화상 (P1) 을 대기 시간 (tc) 이 경과할 때까지 화면 (21D) 에 표시시키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에 대해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이 실행되어 있는 것을 인식시키기 위해서이다.
제 2 화상 (P2) 이 화면 (21D) 에 표시되면, 스텝 S108 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 (22) 는, 제 2 화상 (P2) 을 화면 (21D) 에 표시하고 나서 대기 시간 (tc) 이내에, 출력 제한을 해제하는 입력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08 에서의 대기 시간 (tc) 은, 스텝 S106 에서의 대기 시간 (tc) 과 동일한 것이다. 스텝 S108 에 있어서, 출력 제한을 해제하는 입력은, 도 5 에 나타내는 제 2 화상 (P2) 이 화면 (21D) 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스위치 (F6) 가 눌림으로써 발생한다.
제 2 화상 (P2) 이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또한 대기 시간 (tc) 이내에 오퍼레이터가 스위치 (F6) 를 누르면, 출력 제한을 해제하는 입력이 발생한다. 대기 시간 (tc) 이내에 출력 제한을 해제하는 입력이 있었던 경우 (스텝 S108, 예), 스텝 S109 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 (22) 는, 도 6 에 나타내는 제 3 화상 (P3) 을 화면 (21D) 에 표시한다. 스텝 S110 에 있어서, 제 3 화상 (P3) 이 화면 (21D) 에 표시된 상태에서 출력 제한을 해제하는 입력이 있었던 경우 (스텝 S110, 예), 스텝 S111 로 진행한다. 스텝 S110 에 있어서, 출력 제한을 해제하는 입력은, 도 6 에 나타내는 제 3 화상 (P3) 이 화면 (21D) 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스위치 (F6) 가 눌림으로써 발생한다.
스텝 S111 에 있어서, 도 1 에 나타내는 엔진 제어 장치 (10) 의 해제부 (11C) 는,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을 해제한다.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이 해제되면, 엔진 제어 장치 (10) 의 계수부 (11D) 는, 출력 제한이 해제되고 나서의 시간을 계수한다. 표시 제어부 (22) 는,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에, 도 7 에 나타내는 제 4 화상 (P4) 을 표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4 화상 (P4) 에는,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의 해제가 종료될 때까지의 잔여 시간 정보 (52) 가 표시된다.
다음으로, 스텝 S112 로 진행하여, 표시 제어부 (22) 는,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의 해제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출력 제한의 해제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는, 엔진 제어 장치 (10) 의 계수부 (11D) 에 의해 계수된, 출력 제한이 해제되고 나서의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본 실시형태에서는 30 분) 이 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판정된다. 또,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서도 출력 제한의 해제는 종료할 수 있게 해도 된다. 이 경우, 표시 제어부 (22) 는,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가 입력 장치 (21S) 를 조작함으로써 발생한, 출력 제한의 해제를 종료시키는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출력 제한의 해제는 종료된 것으로 판정한다.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의 해제가 종료되지 않는 경우 (스텝 S112, 아니오), 표시 제어부 (22) 및 엔진 제어 장치 (10) 는, 스텝 S111 및 스텝 S112 를 반복한다.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의 해제가 종료된 경우 (스텝 S112, 예), 표시 제어부 (22) 는, 스텝 S104 로 돌아와,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에, 도 4 에 나타내는 제 1 화상 (P1) 을 표시한다. 엔진 제어 장치 (10) 의 해제부 (11C) 는,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의 해제를 종료한다. 그러면, 출력 제한부 (11B) 는,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을 재개한다.
다음으로, 스텝 S103 으로 돌아와 설명한다. 스텝 S103 에 있어서,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A) 을 제 1 화상 (P1) 으로 전환하는 입력이 없는 경우 (스텝 S103, 아니오), 스텝 S113 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 (22) 는, 도 3 에 나타내는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A) 을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에 표시시킨다. 다음으로, 스텝 S105 로 돌아와 설명한다. 스텝 S105 에 있어서, 해제 횟수 (N) 가 제한치 (Nc) 보다 큰 경우 (N > Nc, 스텝 S105, 아니오),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한 횟수를 초과하여 출력 제한을 해제하게 된다. 이 경우, 출력 제한의 해제는 불가능하다.
해제 횟수 (N) 가 제한치 (Nc) 보다 큰 경우, 엔진 제어 장치 (10) 의 출력 제한부 (11B) 는,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을 계속한다. 표시 제어부 (22) 는, 스텝 S113 에 있어서, 도 3 에 나타내는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A) 을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에 표시시킨다. 즉,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출력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정보 (해제 정보 (44)) 를 표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엔진 (29) 등의 출력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없는 경우에, 출력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으면 오퍼레이터가 오인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해제 정보 (44) 는, 도 5 에 나타내는 제 2 화상 (P2) 에 포함되기 때문에, 해제 횟수 (N) 가 제한치 (Nc) 보다 큰 경우, 표시 제어부 (22) 는, 화면 (21D) 에 제 2 화상 (P2) 을 표시하지 않고,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A) 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스텝 S108 로 돌아와 설명한다. 대기 시간 (tc) 이내에 출력 제한을 해제하는 입력이 없었던 경우 (스텝 S108, 아니오), 스텝 S114 로 진행한다. 스텝 S114 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 (22) 는, 출력 제한을 해제하지 않는 것을 의도하는 입력 (이하, 출력 제한의 계속 허가 입력이라고 한다) 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08 에 있어서, 출력 제한의 계속 허가 입력은, 도 5 에 나타내는 제 2 화상 (P2) 이 화면 (21D) 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스위치 (F5) 가 눌림으로써 발생한다.
출력 제한의 계속 허가 입력이 있었던 경우 (스텝 S114, 예), 스텝 S115 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 (22) 는, 도 3 에 나타내는 가동 상태 표시 화상 (PSA) 을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에 표시시킨다.
출력 제한의 계속 허가 입력이 없었던 경우 (스텝 S114, 아니오), 표시 제어부 (22) 는, 스텝 S104 로 돌아와,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출력 제한의 계속 허가 입력이 없었던 경우, 표시 제어부 (22) 는,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에 제 1 화상 (P1) 을 표시하고, 대기 시간 (tc) 이 경과하면 스텝 S107 에서 제 2 화상 (P2) 을 화면 (21D) 에 표시한다. 결과적으로, 제 2 화상 (P2) 이 표시된 상태에 있어서, 출력 제한을 해제하는 입력이나, 출력 제한의 계속 허가 입력이나 중 어느 것이 있을 때까지는, 제 1 화상 (P1) 과 제 2 화상 (P2) 이, 소정의 시간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기 시간 (tc) 마다), 모니터 (20) 의 화면 (21D) 에 교대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모니터 (20) 는, 작업 차량 (1) 의 오퍼레이터에게, 출력 제한을 해제하는지 아닌지의 어느 입력을 촉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텝 S110 으로 돌아와 설명한다. 스텝 S110 에 있어서, 제 3 화상 (P3) 이 화면 (21D) 에 표시된 상태에서 출력 제한을 해제하는 입력이 없었던 경우 (스텝 S110, 아니오), 스텝 S116 으로 진행한다. 스텝 S116 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 (22) 는, 출력 제한을 해제하지 않는 입력, 즉 출력 제한의 계속 허가 입력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6 에 있어서, 출력 제한의 계속 허가 입력은, 도 6 에 나타내는 제 3 화상 (P3) 이 화면 (21D) 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스위치 (F5) 가 눌림으로써 발생한다.
출력 제한의 계속 허가 입력이 있었던 경우 (스텝 S116, 예), 표시 제어부 (22) 는, 스텝 S107 로 돌아와,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출력 제한을 해제하지 않는 입력이 없었던 경우 (스텝 S116, 아니오), 표시 제어부 (22) 는, 스텝 S109 및 스텝 S110 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작업 차량 (1) 에 있어서, 엔진 (29) 등의 출력의 제한을 해제 또는 계속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이상, 본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전술한 내용에 의해 본 실시형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전술한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이른바 균등한 범위의 것이 포함된다. 또한, 전술한 구성 요소는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의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및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할 수 있다.
1 : 작업 차량
10 : 엔진 제어 장치
11 : 처리부
11A : 검출부
11B : 출력 제한부
11C : 해제부
11D : 계수부
12 : 기억부
13 : 입출력부
20 : 모니터
21 : 표시부
21D : 화면
22 : 표시 제어부
28 : 차내 신호선
29 : 엔진
29OP : 유압 펌프
29S : 연료 조정 다이얼
30 :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0N : 우레아 SCR 장치
30P : DPF 장치
35 : 얼터네이터
35 : 전압 센서
36 : 키 스위치
38 : 회전 속도 검출 센서
40 : 우레아수 게이지
40G : 인디케이터
41 : 연료 게이지
43 : 작동유 온도 게이지
44 : 해제 정보
45 : 냉각수 온도 게이지
47 : 누적 가동 시간
P1 : 제 1 화상
P2 : 제 2 화상
P3 : 제 3 화상
P4 : 제 4 화상
PS, PSA : 가동 상태 표시 화상

Claims (12)

  1. 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 기관 및 상기 내연 기관이 배출한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갖는 작업 차량으로서,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가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작업 차량이 구비하는 출력 발생 장치의 출력을 제한하는 출력 제한부와,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지령을 받아, 상기 출력의 제한을 해제하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출력 제한부가 상기 출력을 제한하고 있는 출력 제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화상과,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교대로 표시시키는, 작업 차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횟수는 미리 정해져 있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지 않는, 작업 차량.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횟수는 미리 정해져 있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횟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작업 차량.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시간은 미리 정해져 있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출력의 제한이 일시적으로 해제된 시간을 계수하여,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잔여 시간을 나타내는 잔여 시간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작업 차량.
  6. 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 기관 및 상기 내연 기관이 배출한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갖는 작업 차량으로서,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가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작업 차량이 구비하는 출력 발생 장치의 출력을 제한하는 출력 제한부와,
    상기 출력 제한부가 상기 출력을 제한하고 있는 출력 제한 정보 및 상기 출력이 가장 낮은 상태로 제한될 때까지의 잔여 시간을 포함하는 제 1 화상과,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화상을 표시부에 교대로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지령을 받아, 상기 출력의 제한을 해제하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
  7. 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 기관과,
    상기 내연 기관이 배출한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와,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가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작업 차량이 구비하는 출력 발생 장치의 출력을 제한하는 출력 제한부와,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지령을 받아, 상기 출력의 제한을 해제하는 해제부를 갖는 작업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작업 차량용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이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과,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을 교대로 표시하는, 작업 차량용 표시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횟수는 미리 정해져 있고,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작업 차량용 표시 장치.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횟수는 미리 정해져 있고,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횟수를 표시하는, 작업 차량용 표시 장치.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시간은 미리 정해져 있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출력의 제한이 일시적으로 해제된 시간을 계수하여,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작업 차량용 표시 장치.
  12. 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 기관과,
    상기 내연 기관이 배출한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와,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가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작업 차량이 구비하는 출력 발생 장치의 출력을 제한하는 출력 제한부와,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지령을 받아, 상기 출력의 제한을 해제하는 해제부를 갖는 작업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출력 제한부가 상기 출력을 제한하고 있는 출력 제한 정보 및 상기 출력이 가장 낮은 상태로 제한될 때까지의 잔여 시간을 포함하는 제 1 화상과, 상기 출력의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화상을 표시부에 교대로 표시시키는, 작업 차량용 표시 장치.
KR1020157015121A 2014-02-18 2014-02-18 작업 차량 및 작업 차량용 표시 장치 KR201500982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53814 WO2015025537A1 (ja) 2014-02-18 2014-02-18 作業車両及び作業車両用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238A true KR20150098238A (ko) 2015-08-27

Family

ID=52483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5121A KR20150098238A (ko) 2014-02-18 2014-02-18 작업 차량 및 작업 차량용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62273B2 (ko)
JP (1) JP5807116B2 (ko)
KR (1) KR20150098238A (ko)
CN (1) CN104995380B (ko)
DE (1) DE112014000052B4 (ko)
WO (1) WO201502553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565B1 (ko) * 2016-08-26 2016-10-05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운행차용 강제 출력 제한 및 모니터링 장치
KR101662145B1 (ko) * 2016-03-30 2016-10-06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운행차용 강제 출력 제한 및 모니터링 장치
KR101683471B1 (ko) * 2016-08-26 2016-12-21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운행차용 강제 출력 제한 및 모니터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2015DN06777A (ko) * 2014-02-26 2015-08-14 Komatsu Mfg Co Ltd
WO2016068089A1 (ja) * 2014-10-27 2016-05-06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WO2015088048A1 (ja) * 2014-12-26 2015-06-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状態情報表示装置、作業機械の警告表示方法、及び作業機械の警告表示プログラム
JP6288114B2 (ja) * 2016-01-15 2018-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情報提供装置
JP6615657B2 (ja) * 2016-03-15 2019-12-04 住友建機株式会社 アスファルトフィニッシャ
JP6929026B2 (ja) * 2016-07-22 2021-09-0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EP3554018A4 (en) 2016-12-06 2019-12-1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766731B2 (ja) * 2017-03-31 2020-10-1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故障検出装置
CN110573680A (zh) * 2017-04-26 2019-12-13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挖土机管理装置及挖土机管理辅助装置
DE112017000037B4 (de) * 2017-07-27 2021-12-16 Komatsu Ltd. Steuersystem, arbeitsmaschine und steuerverfahren
JP6731893B2 (ja) 2017-07-31 2020-07-29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作業車両
KR102575200B1 (ko) * 2017-08-08 2023-09-05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쇼벨 및 쇼벨의 지원장치
KR20210032409A (ko) 2018-07-19 2021-03-24 클라크 이큅먼트 컴파니 천정 도어가 있는 운전실용 디스플레이 위치
JP2020117897A (ja) * 2019-01-22 2020-08-0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作業機械
JP7104663B2 (ja) * 2019-06-28 2022-07-21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US11030977B2 (en) * 2019-10-14 2021-06-08 Synaptics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a display panel
WO2022164435A1 (en) * 2021-01-27 2022-08-04 The Heil Co. Video display for refuse collection
US11598241B2 (en) * 2021-05-10 2023-03-07 Caterpillar Inc. Fluid level wake-up functionality
US11879405B2 (en) * 2021-07-23 2024-01-23 Cummins Power Generation Inc. Aftertreatment system loading tool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75456A1 (en) 1999-06-09 2000-12-14 Clean Diesel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assuring reduction of nox emissions from an engine by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JP3961312B2 (ja) 2002-02-26 2007-08-22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074615B2 (ja) * 2004-11-17 2008-04-0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診断情報表示システム
JP4852024B2 (ja) * 2007-11-22 2012-01-11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排ガス後処理装置
JP5662006B2 (ja) * 2008-03-17 2015-01-2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ディーゼルエンジン微粒子除去フィルターの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5340114B2 (ja) * 2009-11-02 2013-11-13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作業車の制御装置
JP5341044B2 (ja) * 2010-09-29 2013-11-13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表示システム
JP2012145083A (ja) * 2011-01-14 2012-08-02 Hitachi Constr Mach Co Ltd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2013194548A (ja) * 2012-03-16 2013-09-30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システム
US9828925B2 (en) * 2013-03-13 2017-11-28 Paccar Inc Hierarchical vehicle de-rate and notification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145B1 (ko) * 2016-03-30 2016-10-06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운행차용 강제 출력 제한 및 모니터링 장치
KR101661565B1 (ko) * 2016-08-26 2016-10-05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운행차용 강제 출력 제한 및 모니터링 장치
KR101683471B1 (ko) * 2016-08-26 2016-12-21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운행차용 강제 출력 제한 및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5537A1 (ja) 2015-02-26
JP5807116B2 (ja) 2015-11-10
DE112014000052B4 (de) 2018-11-08
CN104995380B (zh) 2018-03-06
US9862273B2 (en) 2018-01-09
CN104995380A (zh) 2015-10-21
US20150246613A1 (en) 2015-09-03
DE112014000052T5 (de) 2015-06-25
JPWO2015025537A1 (ja)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8238A (ko) 작업 차량 및 작업 차량용 표시 장치
KR101721784B1 (ko) 작업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작업 차량
KR101713459B1 (ko) 작업 차량의 요소수 보급 가이던스 출력 장치 및 작업 차량의 요소수 보급 가이던스 출력 방법
WO2015040762A1 (ja) 作業機械、作業機械の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の管理方法
JP5562503B1 (ja) 作業車両
US9478072B2 (en) Control device of aftertreatment device, working vehicl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ftertreatment device
US9758946B2 (en) Work vehicle
EP2226778A1 (en) A saving powe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of a moving object
JP5876572B2 (ja) 作業車両のエラー解除装置及び作業車両のエラー解除方法
CN104487303A (zh) 混合动力作业机械及混合动力作业机械的发动机自动停止控制方法
CN105392943A (zh) 挖土机
CN114008274A (zh) 挖土机及挖土机诊断系统
JP2015161306A (ja) 作業車両
US11927125B2 (en) Prediction device, prediction method, and work vehicle
KR20180083021A (ko)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32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908

Effective date: 2018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