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021A -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3021A
KR20180083021A KR1020170004215A KR20170004215A KR20180083021A KR 20180083021 A KR20180083021 A KR 20180083021A KR 1020170004215 A KR1020170004215 A KR 1020170004215A KR 20170004215 A KR20170004215 A KR 20170004215A KR 20180083021 A KR20180083021 A KR 20180083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mount
fuel
heavy equip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강영균
신성욱
전장우
박근원
조경환
최종훈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주) 엘렉스정보통신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주) 엘렉스정보통신,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4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3021A/ko
Publication of KR20180083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1F23/006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34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preventing theft of fue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의 유류 잔량 측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장비(200)로부터 수신되는 유류소모에 관한 제 1 정보 및 주유소(300)로부터 수신되는 중장비의 주유량에 관한 제 2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장치(110); 중장비(200)의 전일유류잔량(10) 및 최대주유량(20)을 저장하는 저장부(130); 제 1, 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장비(200)의 유류잔량을 산출하는 유류잔량산출부(120); 및 산출된 유류잔량이 최대주유량(20)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유류 탈취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 장치 및 그 방법{Fuel Extortion Detecting Device Using Remaining Fuel of a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중장비의 유류 잔량 측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건설 현장에는 많은 중장비가 동원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건설 중장비의 일예로는 덤프트럭, 포크레인, 지게차, 크레인, 콘크리트 믹서, 불도저, 페이로더 등이 있다. 이러한 건설 중장비는 다량의 유류를 소모하게 되는데, 소비 패턴도 각 중장비 마다 상이하고, 덤프트럭의 경우에는 원격지로 이동하기 때문에 유류의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현실적으로는 각 중장비의 운전자가 연료게이지를 확인하면서 경험에 비추어 연료를 보충하고 있다.
그런데, 일부 경우에는 운전자나 제 3 자가 중장비의 연료탱크를 열고 몰래 연료를 탈취하여 판매하는 연료 절도 사례가 발생하곤 한다. 이러한 연료 탈취 및 절도 사건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행특허 제 10-1397150호는 연료탱크의 마개 개폐와 연료량의 급격한 감소를 감지하여 판단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각각의 운전 특성과 연료 소모 패턴을 가진 다양한 건설 중장비에 통일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웠다. 예를 들어, 덤프트럭의 경우 같은 거리를 주행하더라도 공차의 경우와 가득 적재된 경우의 연료 소모량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설 중장비의 연료 주유와 소모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탈취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 중장비의 연료 주유와 소모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유류 탈취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장비(200)로부터 수신되는 유류소모에 관한 제 1 정보 및 주유소(300)로부터 수신되는 중장비의 주유량에 관한 제 2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장치(110); 중장비(200)의 전일유류잔량(10) 및 최대주유량(20)을 저장하는 저장부(130); 제 1, 2 정보에 기초하여 중장비(200)의 유류잔량을 산출하는 유류잔량산출부(120); 및 산출된 유류잔량이 최대주유량(20)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유류 탈취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제 1 정보는 중장비(200)의 ID, 주행거리, 속도, 연료펌프 분사량에 기초한 유류소모량 및 ECU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정보는 주유소(300)의 ID, 중장비의 ID, 주유 일시와 시간, 유종, 주유량, 주유단가, 주유가격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류잔량산출부(120)는 전일유류잔량(10)과 당일 주유량을 합산하고 유류소모량을 감산하여 산출한다.
또한, 판단수단은 산출된 유류잔량이 최대주유량(20)을 초과하는 경우 유류 탈취로 판단하고, 판단수단의 판단결과를 알리는 알림부(15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유류잔량산출부(120)의 산출은 일정 시간마다 그리고 주유때마다 수행되며, 산출된 유류잔량을 도식적으로 표출하는 디스플레이(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또 다른 카테고리로써, 저장부(130)에 저장된 중장비(200)의 ID, 전일유류잔량(10) 및 최대주유량(20)을 독출하는 단계(S200); 수신장치(110)가 중장비(200)로부터 수신되는 유류소모에 관한 제 1 정보를 일정 시간마다 수신하고, 그리고 주유소(300)로부터 수신되는 중장비의 주유량에 관한 제 2 정보를 주유 때마다 수신하는 단계(S210); 유류잔량산출부(120)가 제 1, 2 정보 및 상기 전일유류잔량(10)에 기초하여 중장비(200)의 유류잔량을 산출하는 단계(S220); 및 판단수단이 산출된 유류잔량이 최대주유량(20)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유류 탈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알림부(150)가 판단수단의 판단결과를 알리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가 산출된 유류잔량을 도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S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류잔량산출부(120)는 전일유류잔량(10)과 당일 주유량을 합산하고 유류소모량을 감산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유류잔량 산출단계(S220)와 판단단계(S230)는 제 2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판단단계(S230)는 산출된 유류잔량이 최대주유량(20)의 허용 오차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유류 탈취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저장부(130)가 중장비(200)의 ID, 당일의 제 1, 2 정보, 당일 주유량, 당일 유류소모량, 당일 유류잔량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S26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설 중장비의 연료 주유와 소모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유류 탈취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는 유류 탈취의 의도를 사전에 차단하여 유류 탈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건설 중장비가 매일매일 사용하는 유류의 양과 소모량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 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중장비의 시간에 따른 유류 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 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은 대략 서버장치(100), 중장비(200), 주유소(300)로 구성될 수 있다.
서버장치(100)는 건설현장의 현장 사무소나 본사의 전산실에 배치될 수 있는 컴퓨터이다. 수신장치(110)는 서버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외부에서 연결되는 통신모듈로서 3G/4G와 같은 양방향 무선통신, WIFI, 무선인터넷, 무선LAN과 같은 무선통신모듈이 될 수도 있고, LAN, 인트라넷, 인터넷과 같은 유선통신모듈이 될 수 있다. 수신장치(110)는 주유소(300)와 통신을 통해 데이터(제 2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고, 중장비(200)와 통신을 통해 데이터(제 1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유류잔량산출부(120)는 제 1, 2 정보에 기초하여 중장비(200)의 유류잔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CPU와 이에 탑재된 연산프로그램이 이용될 수 있다. 유류잔량산출부(120)는 해당 중장비(200)의 전일유류잔량(10)과 당일 주유량을 합산하고 유류소모량을 감산하여 유류잔량을 산출한다. CPU와 같은 판단수단은 산출된 유류잔량이 해당 중장비(200)의 최대주유량(20)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유류 탈취 여부를 판단한다.
저장부(130)는 하드디스크, RAM, 플래시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중장비(200)의 ID, 당일의 상기 제 1, 2 정보, 당일 주유량, 당일 유류소모량, 당일 유류잔량 등을 엑셀파일 형태 또는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한다.
디스플레이(140)는 모니터가 될 수 있고, 외부 휴대기기의 LCD 화면이나 중장비(200)의 운전석 LCD 화면 또는 네비게이션 화면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텍스트 형태로 표출하거나 도 2와 같이 그래프 형태로 표출한다.
알림부(150)는 판단수단의 판단결과 유류 탈취가 없는 정상상태 또는 유류탈취가 의심되는 유류탈취상태중 하나를 알림으로 표출한다. 알림부(150)는 디스플레이(140)상의 경고문구로 표출될 수도 있고, 스피커나 부저를 통해 음향으로 표출될 수도 있으며, 경광등이나 진동으로 표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알림부(150)는 서버장치(100)의 운영자에게 표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나 필요한 경우 중장비(200)의 운전자가 보유한 스마트폰(미도시) 또는 중장비(200)의 운전석 LCD 화면을 통해 표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주유소(300)는 주유소(300)에 비치된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중장비(200)가 주유소(300)에서 주유를 할 때 발생하는 관련 정보(제 2 정보)를 수신장치(110)로 전송한다. 이러한 제 2 정보는 주유소(300)의 ID, 중장비의 ID, 주유 일시와 시간, 유종, 주유량, 주유단가, 주유가격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주유소(300)는 복수개 이거나 해당 주유소(300)내의 복수개의 주유기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중장비(200)의 일예는 덤프트럭, 포크레인, 지게차, 크레인, 콘크리트 믹서, 불도저, 페이로더 등이 대상이 될 수 있고, 중장비(200)의 동작은 탑재된 OBU(On Board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송신장치(210)는 OBU에 탑재되거나 연결될 수 있고, 중장비(200)에서 발생하는 제 1 정보를 수신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 1 정보는 중장비(200)의 ID, 주행거리, 속도, 현재위치, 주행거리, 연료펌프 분사량에 기초한 유류소모량 및 ECU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송신장치(210)는 일정시간 간격(예 : 1분, 3분, 5분 등)마다 또는 특정 이벤트(예 : 엔진 정지나 시동 등)마다 제 1 정보를 송신한다.
기본정보부(220)는 해당 중장비(200)에 관한 고유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고유정보에는 인식을 위한 ID, 패스워드, 중장비의 종류, 연식, 최대주유량, 소속, 중장비의 기본 제원, 관리자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이러한 기본정보부(220)는 OBU내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GPS부(230)는 현재위치, 시간, 속도 등을 검출할 수 있으며, 지도맵과 연동하여 이동경로 등을 표출할 수 있다. GPS부(230)와 지도맵은 통상의 네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ECU(Engine Control Unit, 240)는 중장비(200)의 엔진, 변속기, 조향장치 등 각종 기계장치를 제어하고, 동작 관련 데이터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
유류소모량측정부(250)는 중장비(200)에 설치된 연료펌프의 분사량에 기초하여 유류소모량을 측정하며, 측정된 유류 소모량을 송신장치(21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이러한 유류소모량측정부(250)는 ECU내에 구비되거나 ECU의 한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주행거리부(260)는 중장비(200)의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것으로, 통상의 오도메터(ODOMETER), 전술한 네이게이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주행거리부(260)에 의해 검출되는 주행거리는 특히 덤프트럭의 유류소비량을 산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실시예의 동작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중장비의 시간에 따른 유류 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의 그래프는 한대의 중장비(예 : 덤프트럭)가 아침부터 저녁시간까지 일일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유류의 소모상황, 주유상황, 잔량 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에서 수평축은 하루 시간을 1시간 단위로 나타내며, 수직축은 해당 덤프트럭의 유류탱크 잔량을 나타낸다. 도 2에서, "10"은 전일 작업후에 남아 있는 전일 유류 잔량을 나타내며, "20"은 해당 덤프트럭의 최대주유량(예 : 400리터)를 나타낸다. 도 2의 그래프는 해당 덤프트럭이 유류 탈취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이를 감지해내는 과정을 시간대별로 설명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침 일찍(7시 ~ 9시) 작업을 시작하거나 단말기를 장착하여 준비하는 단계(S100)가 수행된다. 이 때, 덤프트럭내의 유류량은 전일유류잔량(10)으로유지된다.
그 다음 오전 업무(9시 10시30분)가 시작됨에 따라 유류소모량에 근거하여 유류탱크내의 유류량이 감소하기 시작한다(S110). 이 때, 작업형태는 덤프트럭이 골재를 실고 원격지로 이동하는 것이 될 수 있다.
그 다음, 주유소(300)에서 40리터를 주유하게 된다(S120). 이러한 주유정보는 전술한 제 2 정보가 되어 수신장치(110)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덤프트럭의 유류량이 수직적으로 증가하는 형태가 된다.
이후, 업무와 점심식사 그리고 오후업무(S130)가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S150단계에서 유류 60리터가 탈취된다면, 덤프트럭의 실제 유류량은 실제유류곡선(30)과 같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이를 알 수 없는 서버장치(100)는 시스템상의 유류곡선(40)을 산출하게 된다. 그 후, 오후업무가 16시30분에 종료하고(S160) 재차로 유류 50리터를 주유하게 되면 서버장치(100)는 최대주유량(20)을 초과하는 주유가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이를 탈취로 판단하게 된다(탈취판단시점(50)). 즉, 실제유류곡선(30)은 탈취로 인해 탱크내에 빈공간이 존재하지만 서버장치(100)가 연산하는 시스템상의 유류곡선(40)은 유류 60리터의 탈취를 모르기 때문에 최대주유량(20) 이상으로 유류가 주유되는 모순을 인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서버장치(100)는 중장비(200)의 유류곡선이 최대주유량(20)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유류 탈취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최대주유량(20)의 초과는 일부 오차를 감안하여 10% 정도의 판단 오차를 둘 수 있다. 즉, 유류곡선이 440 리터를 초과하지 않으면 탈취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유류잔량산출부(120)가 저장부(130)에 저장된 중장비(200)의 ID, 전일유류잔량(10) 및 최대주유량(20)을 독출한다(S200).
그 다음, 수신장치(110)는 중장비(200)로부터 수신되는 유류소모에 관한 제 1 정보를 일정 시간마다 수신하고, 그리고 주유소(300)로부터 수신되는 중장비의 주유량에 관한 제 2 정보를 주유 때마다 수신한다(S210).
그 다음, 유류잔량산출부(120)가 제 1, 2 정보 및 독출된 전일유류잔량(10)에 기초하여 중장비(200)의 유류잔량을 산출한다(S220).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류잔량산출부(120)가 전일유류잔량(10)과 당일 주유량을 합산하고 유류소모량을 감산하여 산출한다.
그 다음, 판단수단이 산출된 유류잔량이 최대주유량(20)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유류 탈취 여부를 판단한다(S230).
만약, 유류잔량이 최대주유량(20)을 초과하면 유류 탈취가 있다고 판단하여 알림부(150)가 판단수단의 판단결과를 알리게 된다(S240).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40)는 산출된 유류잔량을 도 2와 같이 도식적으로 표시하게 되고(S250), 저장부(130)는 중장비(200)의 ID, 당일의 제 1, 2 정보, 당일 주유량, 당일 유류소모량, 당일 유류잔량 등을 저장한다(S260).
만약, 유류잔량이 최대주유량(20)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유류 탈취가 없다고 판단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140)는 산출된 유류잔량을 도 2와 같이 도식적으로 표시하게 되고(S250), 저장부(130)는 중장비(200)의 ID, 당일의 제 1, 2 정보, 당일 주유량, 당일 유류소모량, 당일 유류잔량 등을 저장한다(S260).
아직, 작업시간 중이라면 S210 단계로 되돌아가서 제 1 정보가 수신되거나 추가 주유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대기한다. 만약 작업시간이 종료하게 되면, 현재 유류량을 전일유류잔량(10)으로 저장하고 하루 작업을 마감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 전일유류잔량,
20 : 최대주유량,
30 : 실제유류곡선,
40 : 시스템상의 유류곡선,
50 : 탈취 판단시점,
100 : 서버장치,
110 : 정보 수신장치,
120 : 유류잔량산출부,
130 : 저장부,
140 : 디스플레이,
150 : 알림부,
200 : 중장비,
210 : 송신장치,
220 : 기본정보부,
230 : GPS부
240 : ECU,
250 : 유류소모량 측정부,
260 : 주행거리부,
300 : 주유소,

Claims (13)

  1. 중장비(200)로부터 유류소모에 관한 제 1 정보를 수신하고, 주유소(300)로부터 상기 중장비의 주유량에 관한 제 2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장치(110);
    상기 중장비(200)의 전일유류잔량(10) 및 최대주유량(20)을 저장하는 저장부(130);
    상기 제 1, 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장비(200)의 유류잔량을 산출하는 유류잔량산출부(120); 및
    산출된 상기 유류잔량이 상기 최대주유량(20)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유류 탈취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중장비(200)의 ID, 주행거리, 속도, 연료펌프 분사량에 기초한 유류소모량 및 ECU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주유소(300)의 ID, 상기 중장비의 ID, 주유 일시와 시간, 유종, 주유량, 주유단가, 주유가격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류잔량산출부(120)는 전일유류잔량(10)과 당일 주유량을 합산하고 유류소모량을 감산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은 산출된 상기 유류잔량이 상기 최대주유량(20)을 초과하는 경우 유류 탈취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수단의 판단결과를 알리는 알림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류잔량산출부(120)의 산출은 일정 시간마다 그리고 주유때마다 수행되며,
    산출된 유류잔량을 도식적으로 표출하는 디스플레이(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장치.
  7. 저장부(130)에 저장된 중장비(200)의 ID, 전일유류잔량(10) 및 최대주유량(20)을 독출하는 단계(S200);
    수신장치(110)가 상기 중장비(200)로부터 수신되는 유류소모에 관한 제 1 정보를 일정 시간마다 수신하고, 그리고 주유소(3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중장비의 주유량에 관한 제 2 정보를 주유때마다 수신하는 단계(S210);
    유류잔량산출부(120)가 상기 제 1, 2 정보 및 상기 전일유류잔량(10)에 기초하여 상기 중장비(200)의 유류잔량을 산출하는 단계(S220); 및
    판단수단이 산출된 상기 유류잔량이 상기 최대주유량(20)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유류 탈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알림부(150)가 상기 판단수단의 판단결과를 알리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40)가 상기 산출된 유류잔량을 도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S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류잔량산출부(120)는 전일유류잔량(10)과 당일 주유량을 합산하고 유류소모량을 감산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류잔량 산출단계(S220)와 상기 판단단계(S230)는 상기 제 2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S230)는 산출된 상기 유류잔량이 상기 최대주유량(20)의 허용 오차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유류 탈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저장부(130)가 상기 중장비(200)의 ID, 당일의 상기 제 1, 2 정보, 당일 주유량, 당일 유류소모량, 당일 유류잔량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S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방법.
KR1020170004215A 2017-01-11 2017-01-11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83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215A KR20180083021A (ko) 2017-01-11 2017-01-11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215A KR20180083021A (ko) 2017-01-11 2017-01-11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021A true KR20180083021A (ko) 2018-07-20

Family

ID=63103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215A KR20180083021A (ko) 2017-01-11 2017-01-11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30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5045778A1 (ja) 作業機械の燃料管理システム及び燃料管理方法
US8989955B1 (en) Vehicle profile control and monitoring
JP5830162B2 (ja) 作業機械、作業機械の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の管理方法
JP4637062B2 (ja) 作業機械の燃料性状判別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の燃料性状判別方法
US8928473B2 (en) Fuel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s
US7756736B2 (en) Working machine management system
KR100658816B1 (ko)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US7973653B2 (en) Vehicular abnormality notific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and vehicle-mounted apparatus
US8600653B2 (en) Electronic monitoring system enabling the calculation of actual fuel consumption and CO2 emissions for a moving, stopped or operational aircraft, with or without fuel theft exclusion
CA2784588C (en) Asset monitoring and fueling system
CN112740243B (zh) 远程燃料监测系统、服务器、远程燃料监测方法、远程燃料监测程序及存储媒体
CA2746412C (en) Real-time dynamic heavy-vehicle idle alarm
US9857346B2 (en) Urea water supply guidance output device for working vehicle and method of outputting urea water supply guidance of working vehicle
KR101437624B1 (ko) 대형 차량 스마트 관제 시스템
KR20140072776A (ko) 차량 유가보조금 부정수급검출관리시스템
JPWO2005043433A1 (ja) 作業機械の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
KR20180083021A (ko) 건설중장비의 유류 잔량을 이용한 유류 탈취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JP2010287069A (ja) 作業機械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作業機械管理方法
KR20220076292A (ko) 제어 장치, 차량, 기억 매체 및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KR101766346B1 (ko) 연료 잔량 검출이 가능한 연료 드레인 플러그 및 그를 포함하는 연료 잔량 검출 시스템
GB2462739A (en) Fuel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CN111982223A (zh) 油量检测装置、方法及车辆
Sinha et al. Real Time Fuel Monitoring System in Vehicles Using Atmega328 Microcontroller
CN112875634A (zh) 作业机械的燃油加注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24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015

Effective date: 2019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