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5175A - 모터 및 수지 케이싱의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모터 및 수지 케이싱의 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5175A
KR20150095175A KR1020140161557A KR20140161557A KR20150095175A KR 20150095175 A KR20150095175 A KR 20150095175A KR 1020140161557 A KR1020140161557 A KR 1020140161557A KR 20140161557 A KR20140161557 A KR 20140161557A KR 20150095175 A KR20150095175 A KR 20150095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resin
wall portion
radial direction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츠야 요시다
야스유키 아라이
사토루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테크노 모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테크노 모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테크노 모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5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08Insulating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7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 H02K5/1732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이 모터의 인슐레이터는 코일의 지름 방향 내측에 벽부를 갖는다. 티스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는 벽부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보다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다. 수지 케이싱은 벽부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환상의 내측 수지부를 갖는다. 내측 수지부는 적어도 티스보다 축 방향 일방측에 복수의 볼록부와 볼록부에 인접하는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다. 그리고, 복수의 볼록부는 각각 벽부와 지름 방향으로 겹쳐진다. 이와 같이 하면, 벽부의 지름 방향 내측에 있어서의 수지의 지름 방향의 두께가 증가한다. 그 결과, 성형 후의 수지의 박리가 억제된다.

Description

모터 및 수지 케이싱의 성형 방법{MOTOR AND METHOD OF MOLDING RESIN CASING}
본 발명은 모터 및 모터의 스테이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수지 케이싱의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몰드 모터가 알려져 있다. 몰드 모터는 스테이터가 내부에 매입된 수지제의 하우징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로터를 배치하고 있다. 몰드 모터는 스테이터의 방수성이나 모터 구동시의 방진성·방음성에 뛰어나다.
종래의 몰드 모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2001-268862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2001-268862호에는 몰드 금형 중심에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코어를 유지하여 몰드 성형을 행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단락 0004, 도 3).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2001-268862호의 도 3에서는 티스의 내측 끝면이 인슐레이터보다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티스의 인슐레이터보다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금형 중심의 단차면에 적재되어 있다. 또한, 금형에 대한 스테이터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금형 중심의 단차보다 하측의 외주면과 인슐레이터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금형 중심과 인슐레이터 사이에 박육상의 수지부가 성형된다. 박육상이 된 수지부는 인슐레이터로부터 박리되기 쉬워진다. 또한, 인슐레이터로부터 수지가 박리되면 박리된 수지가 로터에 접촉해서 소음이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슐레이터의 지름 방향 내측에 있어서의 수지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모터 및 수지 케이싱의 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의 예시적인 제 1 발명은 모터로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수지 케이싱을 갖는다.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인슐레이터와, 코일을 갖는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는 중심축을 둘러싸는 환상의 코어백 및 상기 코어백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복수의 티스를 갖는다. 상기 인슐레이터는 적어도 상기 티스에 부착된다. 상기 코일은 상기 인슐레이터에 감긴 도선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코일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벽부를 갖는다. 상기 벽부는 상기 티스의 주위에 있어서 적어도 축 방향 일방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티스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는 상기 벽부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보다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수지 케이싱은 상기 벽부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환상의 내측 수지부를 갖는다. 그 특징은 상기 내측 수지부는 적어도 상기 티스보다 축 방향 일방측에 복수의 볼록부와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다. 상기 볼록부는 상기 벽부와 지름 방향으로 겹쳐진다.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와 둘레 방향으로 인접한다. 상기 티스의 축 방향 일방측의 면의 일부분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볼록부 사이이며 또한 상기 오목부의 지름 방향 내측의 공간에 노출된다. 상기 내측 수지부는 상기 벽부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수지부와 연결되어 있다.
본원의 예시적인 제 2 발명에 의하면, 모터의 스테이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수지 케이싱의 성형 방법으로서, 하기 공정을 갖는다. a) 서로 조합시킴으로써 내부에 공동이 발생하는 제 1 금형 및 제 2 금형을 준비하는 공정 b) 상기 제 1 금형 내에 상기 스테이터를 배치하는 공정 c) 상기 제 1 금형과 상기 제 2 금형을 조합시켜 상기 공동 내에 상기 스테이터가 수용된 상태로 하는 공정 d) 상기 공동 내에 유동 상태의 수지를 유입시키는 공정 e) 상기 유동 상태의 수지를 경화시켜서 상기 수지 케이싱을 얻는 공정 f) 상기 제 1 금형과 상기 제 2 금형을 분리하는 공정 g) 상기 제 1 금형으로부터 상기 스테이터 및 상기 수지 케이싱을 인출하는 공정.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인슐레이터와, 코일을 갖는다. 스테이터 코어는 중심축을 둘러싸는 환상의 코어백 및 상기 코어백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복수의 티스를 갖는다. 상기 인슐레이터는 적어도 상기 티스에 부착된다. 상기 코일은 상기 인슐레이터에 감긴 도선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코일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벽부를 갖는다. 상기 벽부는 상기 티스 주위에 있어서 적어도 축 방향 일방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티스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는 상기 벽부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보다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다. 그 특징은 상기 제 1 금형은 복수의 단차면과, 복수의 제 1 대향면과, 복수의 제 2 대향면을 갖는다. 상기 단차면은 둘레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공정 b)에 있어서 각각이 상기 티스의 상기 벽부보다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축 방향 일방측의 끝면에 접촉한다. 상기 제 1 대향면은 상기 단차면의 지름 방향 외측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축 방향 일방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공정 b)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과 부분적으로 대향한다. 상기 제 2 대향면은 상기 제 1 대향면과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고, 상기 제 1 대향면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공정 b)에 있어서 상기 제 2 대향면과 상기 벽부가 지름 방향으로 겹쳐진다.
본원의 예시적인 제 1 발명에 의하면, 벽부의 지름 방향 내측에 볼록부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벽부의 지름 방향 내측에 있어서의 수지의 지름 방향의 두께가 증가하여 수지의 박리가 억제된다.
본원의 예시적인 제 2 발명에 의하면, 벽부의 지름 방향 내측에 제 2 대향면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벽부의 지름 방향 내측에 있어서의 수지의 지름 방향의 두께가 증가한다. 그 결과, 성형 후의 수지의 박리가 억제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수지 케이싱의 성형시의 모양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모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모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스테이터의 일부분을 지름 방향 내측이며 또한 축 방향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수지 케이싱의 하면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수지 케이싱을 비스듬한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수지 케이싱의 내주면의 일부분을 지름 방향 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수지 케이싱의 성형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인서트 성형시의 모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중심 금형, 복수의 제 1 보조 금형, 및 복수의 제 2 보조 금형의 하면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인서트 성형시의 모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인서트 성형시의 모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인서트 성형시의 모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변형예에 의한 제 1 금형, 스테이터, 및 수지 케이싱의 성형시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또한, 본원에서는 모터의 중심축과 평행인 방향을「축 방향」, 모터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을「지름 방향」, 모터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르는 방향을「둘레 방향」이라고 각각 칭한다.
<1. 제 1 실시형태>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수지 케이싱(23A)의 성형시의 모양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모터는 스테이터(21A)와 스테이터(21A)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수지 케이싱(23A)을 갖는다.
스테이터(21A)는 스테이터 코어(211A)와, 인슐레이터(212A)와, 코일(213A)을 갖는다. 스테이터 코어(211A)는 중심축(9A)을 둘러싸는 환상의 코어백(41A)과 복수의 티스(42A)를 갖는다. 복수의 티스(42A)는 각각 코어백(41A)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해서 연장된다. 인슐레이터(212A)는 스테이터 코어(211A) 중 적어도 복수의 티스(42A)에 부착된다. 코일(213A)은 인슐레이터(212A)가 감긴 도선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212A)는 벽부(52A)를 갖는다. 벽부(52A)는 코일(213A)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벽부(52A)는 티스(42A) 주위에 있어서 적어도 축 방향 일방측으로 연장된다. 티스(42A)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는 벽부(52A)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보다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다.
수지 케이싱(23A)은 벽부(52A)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환상의 내측 수지부(60A)를 갖는다. 내측 수지부(60A)는 복수의 볼록부(61A)와 복수의 오목부(62A)를 갖는다. 복수의 볼록부(61A) 및 복수의 오목부(62A)는 적어도 티스(42A)보다 축 방향 일방측에 배치된다. 복수의 볼록부(61A)는 각각 벽부(52A)와 지름 방향으로 겹쳐진다. 복수의 오목부(62A)는 각각 볼록부(61A)와 둘레 방향으로 인접한다.
티스(42A)의 축 방향 일방측의 면의 일부분은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볼록부(61A) 사이이며 또한 오목부(62A)의 지름 방향 내측의 공간에 노출된다. 또한, 내측 수지부(60A)는 벽부(52A)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수지부(70A)와 연결되어 있다.
수지 케이싱(23A)을 성형할 때에는, 우선 사출 성형용의 제 1 금형(81A) 및 제 2 금형(82A)이 준비된다. 그리고, 제 1 금형(81A) 내에 스테이터(21A)가 배치된다. 계속해서, 제 1 금형(81A)과 제 2 금형(82A)이 조합된다. 제 1 금형(81A)과 제 2 금형(82A)이 서로 조합되면 내부에 공동(83A)이 발생한다. 스테이터(21A)는 상기 공동(83A) 내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공동(83A) 내에 유동 상태의 수지가 유입된다. 그리고, 유동 상태의 수지가 공동(83A) 내에 퍼진 후 가열 또는 냉각에 의해 수지가 경화된다. 이에 따라, 수지 케이싱(23A)이 얻어진다. 그 후, 제 1 금형(81A)과 제 2 금형(82A)이 분리된다. 그리고, 제 1 금형(81A)으로부터 스테이터(21A) 및 수지 케이싱(23A)이 인출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금형(81A)이 복수의 단차면(92A), 복수의 제 1 대향면(93A), 및 복수의 제 2 대향면(94A)을 갖는다. 제 1 금형(81A) 내에 스테이터(21A)가 배치되면 복수의 단차면(92A)의 각각이 티스(42A)의 벽부(52A)보다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축 방향 일방측의 끝면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제 1 금형(81A)에 대한 스테이터(21A)의 축 방향의 위치가 결정된다.
복수의 제 1 대향면(93A)은 단차면(92A)의 지름 방향 외측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축 방향 일방측으로 연장된다. 제 1 금형(81A) 내에 스테이터(21A)를 배치하면 벽부(52A)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과 제 1 대향면(93A)이 부분적으로 대향한다. 제 1 대향면(93A)과 벽부(52A) 사이에 들어간 수지는 경화 후에 상술한 오목부(62A)가 된다.
복수의 제 2 대향면(94A)은 제 1 대향면(93A)과 둘레 방향으로 인접한다. 제 2 대향면(94A)은 제 1 대향면(93A)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제 1 금형(81A) 내에 스테이터(21A)를 배치하면 제 2 대향면(94A)과 벽부(52A)가 지름 방향으로 겹쳐진다. 제 2 대향면(94A)과 벽부(52A) 사이에 들어간 수지는 경화 후에 상술한 볼록부(61A)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케이싱(23A)의 성형시에 벽부(52A)의 지름 방향 내측에 제 2 대향면(94A)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벽부(52A)의 지름 방향 내측에 볼록부(61A)가 성형된다. 그와 같이 하면, 벽부(52A)의 지름 방향 내측에 있어서의 수지의 지름 방향의 두께가 증가한다. 그 결과, 성형 후의 수지의 박리가 억제된다.
<2. 제 2 실시형태>
<2-1. 모터의 전체 구성>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로터(32)에 대하여 수지 케이싱(23)의 천판부(232)측을 상측으로 해서 각 부의 형상이나 위치 관계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축 방향 하측」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축 방향 일방측」에 상당한다. 단, 이 상하 방향의 정의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모터의 제조시 및 사용시의 방향을 한정할 의도는 없다.
도 2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모터(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모터(1)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모터(1)는 공조기 등의 가전 제품에 사용된다. 단, 본 발명의 모터는 가전 제품 이외의 용도에 사용되는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모터는 자동차나 철도 등의 수송 기기, OA 기기, 의료 기기, 공구, 산업용의 대형 설비 등에 탑재되어 다양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라도 좋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1)는 정지부(靜止部)(2)와 회전부(3)를 갖는다. 정지부(2)는 가전 제품의 프레임체에 고정된다. 회전부(3)는 정지부(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실시형태의 정지부(2)는 스테이터(21), 회로 기판(22), 수지 케이싱(23), 하측 베어링부(24), 및 상측 베어링부(25)를 갖는다.
스테이터(21)는 구동 전류에 따라서 자속을 발생시키는 전기자이다. 스테이터(21)는 스테이터 코어(211), 인슐레이터(212), 및 복수의 코일(213)을 갖는다. 스테이터 코어(211)는 전자 강판이 축 방향으로 적층된 적층 강판으로 이루어진다. 스테이터 코어(211)는 원환상의 코어백(41)과 복수의 티스(42)를 갖는다. 코어백(41)은 중심축(9)을 둘러싸고, 중심축(9)과 대략 동축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스테이터 코어(211)는 소위 분할 코어이다. 즉, 스테이터 코어(211)의 코어백(41)은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코어 피스를 포함한다. 복수의 티스(42)는 각 코어 피스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해서 연장된다. 또한, 복수의 티스(42)는 둘레 방향에 대략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단, 분할 코어 대신에 단일의 환상의 스테이터 코어가 사용되어 있어도 좋다.
인슐레이터(212)는 스테이터 코어(211)에 부착된다. 인슐레이터(212)의 재료에는 절연체인 수지가 사용된다. 인슐레이터(212)는 적어도 각 티스(42)의 축 방향의 양끝면 및 둘레 방향의 양면을 덮는 티스 절연부(51)를 갖는다. 코일(213)은 티스 절연부(51)에 감긴 도선에 의해 구성된다.
도 4는 스테이터(21)의 일부분을 지름 방향 내측이며 또한 축 방향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에서는 수지 케이싱(23)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212)는 코일(213)의 지름 방향 내측에 벽부(52)를 갖는다. 벽부(52)는 티스 절연부(51)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축 방향 하측 및 축 방향 상측을 향해서 넓어진다. 벽부(52)는 코일(213)의 무너짐을 억제하고, 코일(213)을 구성하는 도선이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티스(42)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는 벽부(52)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보다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티스(42)의 축 방향 하측의 면 중 지름 방향 내측의 일부분은 벽부(52)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회로 기판(22)은 스테이터(21)의 축 방향 상측에 위치하고, 중심축(9)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배치된다. 회로 기판(22)은 인슐레이터(212)의 벽부(52)의 상단부에, 예를 들면 용착에 의해 고정된다. 회로 기판(22)에는 코일(213)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 회로가 탑재된다. 코일(213)을 구성하는 도선의 단부는 회로 기판(22) 상의 전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는 회로 기판(22)을 통해서 코일(213)에 흐른다.
수지 케이싱(23)은 스테이터(21) 및 회로 기판(22)을 유지하는 수지제의 부재이다. 수지 케이싱(23)은 스테이터(21) 및 회로 기판(22)이 수용된 금형 내의 공동에 수지를 유입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즉, 수지 케이싱(23)은 스테이터(21) 및 회로 기판(22)을 인서트 부품으로 하는 수지 성형품이다. 따라서, 스테이터(21) 및 회로 기판(2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지 케이싱(23)으로 덮인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케이싱(23)은 원통부(231) 및 천판부(232)를 갖는다. 원통부(231)는 축 방향으로 대략 원통 형상으로 연장된다. 스테이터(21) 중 적어도 코어백(41)은 원통부(231)를 구성하는 수지로 덮인다. 또한, 원통부(231)의 지름 방향 내측에는 후술하는 로터(32)가 배치된다. 천판부(232)는 스테이터 코어(211) 및 로터(32)보다 축 방향 상측에 있어서 원통부(231)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넓어진다. 천판부(232)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샤프트(31)를 통과시키기 위한 원 구멍(233)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베어링부(24)는 로터(32)보다 축 방향 하측에 있어서 샤프트(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측 베어링부(25)는 로터(32)보다 축 방향 상측에 있어서 샤프트(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실시형태 하측 베어링부(24) 및 상측 베어링부(25)에는 구체를 통해서 내륜을 회전시키는 볼 베어링이 사용된다. 하측 베어링부(24)의 외륜은 금속제의 하측 커버 부재(241)를 통해서 수지 케이싱(23)의 원통부(231)에 고정된다. 상측 베어링부(25)의 외륜은 금속제 상측 커버 부재(251)를 통해서 수지 케이싱(23)의 천판부(232)에 고정된다. 단, 볼 베어링 대신에 슬라이딩 베어링이나 유체 베어링 등의 다른 방식의 베어링이 사용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부(3)는 샤프트(31) 및 로터(32)를 갖는다.
샤프트(31)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샤프트(31)는 하측 베어링부(24) 및 상측 베어링부(25)에 지지되고, 중심축(9)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한다. 샤프트(31)의 상단부는 수지 케이싱(23)의 상면보다 축 방향 상측으로 돌출된다. 샤프트(31)의 상단부에는, 예를 들면 공조기용의 팬이 부착되어 있다. 단, 샤프트(31)는 기어 등의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서 팬 이외의 구동부에 연결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샤프트(31)는 수지 케이싱(23)의 축 방향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샤프트(31)는 수지 케이싱(23)의 축 방향 하측으로 돌출되고, 그 하단부가 구동부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샤프트(31)는 수지 케이싱(23)의 축 방향 상측 및 축 방향 하측의 쌍방으로 돌출되고, 그 상단부 및 하단부의 쌍방이 각각 구동부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로터(32)는 샤프트(31)에 고정되어 샤프트(31)와 함께 회전한다. 로터(32)는 로터 코어(321) 및 복수의 마그넷(322)을 갖는다. 로터 코어(321)는 전자 강판이 축 방향으로 적층된 적층 강판으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마그넷(322)은 로터 코어(321)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각 마그넷(322)의 지름 방향 외측의 면은 티스(42)의 지름 방향 내측의 끝면과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는 자극면이 된다. 복수의 마그넷(322)은 N극의 자극면과 S극의 자극면이 교대로 배열되도록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또한, 복수의 마그넷(322) 대신에 단일의 원환상의 마그넷이 사용되어 있어도 좋다. 원환상의 마그넷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그넷의 외주면에 N극과 S극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착자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마그넷은 로터 코어의 내부에 매입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마그넷은 자성체 분말을 배합한 수지로 성형되어 샤프트(31)에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모터(1)의 구동시에는 회로 기판(22)을 통해서 코일(43)에 구동 전류가 공급된다. 그와 같이 하면, 스테이터 코어(211)의 복수의 티스(42)에 자속이 발생한다. 그리고, 티스(42)와 마그넷(322) 사이의 자속이 미치는 작용에 의해 둘레 방향의 토크가 발생한다. 그 결과, 중심축(9)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부(3)가 회전한다.
<2-2. 벽부 부근에 있어서의 수지 케이싱의 형상에 대해서>
계속해서, 벽부(52) 부근에 있어서의 수지 케이싱(23)의 형상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수지 케이싱(23)의 하면도이다. 도 6은 수지 케이싱(23)을 비스듬한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수지 케이싱(23)의 내주면의 일부분을 지름 방향 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도 3 중의 수지 케이싱(23)의 단면은 도 5에 있어서의 A-A 단면에 상당한다.
도 3 및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케이싱(23)은 내측 수지부(60)와 외측 수지부(70)를 갖는다. 내측 수지부(60)는 수지 케이싱(23) 중 벽부(52)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환상의 부분을 가리킨다. 외측 수지부(70)는 수지 케이싱(23) 중 벽부(52)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 전체를 가리킨다. 내측 수지부(60)와 외측 수지부(70)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내측 수지부(60) 및 외측 수지부(70)의 전체로서의 강도가 높아져 내측 수지부(60)의 박리가 억제되어 있다.
내측 수지부(60)는 티스(42)보다 축 방향 하측에 복수의 볼록부(61)와 각 볼록부(61)에 인접하는 복수의 오목부(62)를 갖는다. 오목부(62)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은 볼록부(61)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61)와 오목부(62)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볼록부(61)와 복수의 오목부(62)는 각각 둘레 방향으로 대략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티스(42)의 수와, 볼록부(61)의 수와, 오목부(62)의 수는 서로 동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12개)이다. 복수의 볼록부(61)는 각각 인슐레이터(212)의 벽부(52)와 일대일로 대응한다. 각 볼록부(61)의 적어도 일부분은 벽부(52)와 지름 방향으로 겹쳐진다. 단,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61)의 둘레 방향의 폭(w1)은 벽부(52)의 둘레 방향의 최대폭(w2)보다 작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벽부(52)의 둘레 방향 중앙의 위치와 각 볼록부(61)의 둘레 방향 중앙의 위치가 일치한다. 볼록부(61)와 볼록부(61)의 둘레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오목부(62)의 일부분은 벽부(52)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을 덮는 벽 피복부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벽부(52)의 지름 방향 내측에 볼록부(61)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벽부(52)의 지름 방향 내측에 있어서의 내측 수지부(60)의 지름 방향의 두께가 증가한다. 그 결과, 벽부(52)의 지름 방향 내측에 있어서 경년열화 등에 의한 수지의 박리가 억제된다.
수지의 박리를 억제하는 관점에 있어서는 볼록부(61)의 지름 방향의 두께는 두꺼울수록 바람직하다. 단, 볼록부(61)가 티스(42)의 지름 방향 내측의 끝면보다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면 볼록부(61)와 로터(32)의 접촉이 우려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중의 우측의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티스(42)의 지름 방향 내측의 끝면의 지름 방향 위치와, 볼록부(61)의 티스(42)에 접하는 상단부에 있어서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의 지름 방향 위치를 대략 동일하게 하고 있다. 즉, 티스(42)의 지름 방향 내측의 끝면과 볼록부(61)의 지름 방향 내측의 끝면은 매끄럽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볼록부(61)를 지름 방향으로 두껍게 하면서 볼록부(61)와 로터(32)의 접촉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볼록부(61)의 둘레 방향 중앙에는 볼록부(61)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해서 패인 금형 자국(6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금형 자국(63)은 후술하는 수지 케이싱(23)의 성형 공정에 있어서 제 1 금형(81)의 지지 돌기(95)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금형 자국(63)은 수지 케이싱(23)의 성형시에 지지 돌기(95)를 사용해서 벽부(52)의 지름 방향 내측으로의 기울어짐을 제한하고 있던 것을 나타내는 증거가 된다. 본 실시형태의 금형 자국(63)은 티스(42)의 후술하는 노출면(421)의 지름 방향 외측의 끝 가장자리보다 지름 방향 외측까지 도달한다. 단, 금형 자국(63)은 적어도 티스(42)의 지름 방향 내측의 끝면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도달하고 있으면 좋다.
복수의 오목부(62)는 각각 인접하는 티스(42)에 걸치는 둘레 방향의 범위에 배치된다. 즉,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오목부(62)의 둘레 방향의 폭(w3)은 인접하는 티스(42)의 간극의 둘레 방향의 폭(w4)보다 넓다. 또한, 도 3 및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티스(42)의 축 방향 하측의 끝면은 벽부(52)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또한 내측 수지부(60)로부터 노출된 노출면(421)을 포함한다. 노출면(421)은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볼록부(61) 사이이며 또한 오목부(62)의 지름 방향 내측의 공간에 노출된다. 후술하는 수지 케이싱(23)의 사출 성형시에는 제 1 금형(81)의 단차면(92)이 티스(42)의 노출면(421)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 1 금형(81)에 대한 스테이터(21)의 축 방향의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수지 케이싱(23)은 상술한 내측 수지부(60) 및 외측 수지부(70)에 추가해서 슬롯 수지부(71) 및 하측 끝면 수지부(72)를 갖는다. 슬롯 수지부(71)는 수지 케이싱(23) 중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벽부(52) 사이에 개재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하측 끝면 수지부(72)는 수지 케이싱(23) 중 벽부(52)의 축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환상의 부분을 가리킨다. 내측 수지부(60)와 외측 수지부(70)는 이들 슬롯 수지부(71) 및 하측 끝면 수지부(72)를 통해서 연결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오목부(62) 각각의 지름 방향 외측에 슬롯 수지부(71)가 위치한다. 따라서, 오목부(62)의 일부분과, 슬롯 수지부(71)의 일부분과, 외측 수지부(70)의 일부분이 지름 방향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오목부(62)의 고립성이 저하되고, 오목부(62)에 있어서의 수지의 박리가 보다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볼록부(61) 및 복수의 오목부(62)의 축 방향 하측의 일부분과, 하측 끝면 수지부(72)와, 외측 수지부(70)의 축 방향 하측의 일부분이 지름 방향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볼록부(61) 및 오목부(62)의 고립성이 더욱 저하되고, 볼록부(61) 및 오목부(62)에 있어서의 수지의 박리가 더욱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벽부(52)는 티스(42)보다 축 방향 하측에 수렴부(521)를 갖는다. 수렴부(521)는 도 7에 있어서 파선의 해칭으로 나타낸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의 수렴부(521)는 지름 방향으로 볼 때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수렴부(521)의 둘레 방향의 폭은 축 방향 하측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좁아진다. 이 때문에, 티스(42)의 하면 부근으로부터 벽부(52)의 하단부까지 벽부(52)의 둘레 방향의 폭이 일정한 경우와 비교해서 벽부(52)의 표면적이 좁아진다. 또한, 벽부(52) 중 지름 방향으로 볼 때 코일(213)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면적이 좁아진다. 따라서, 후술하는 인서트 성형시에 벽부(52)에 걸리는 수지의 압력이 저감된다. 또한, 수렴부(521)를 설치함으로써 벽부(52)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 재료가 줄어든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름 방향으로 보았을 때 볼록부(61)의 둘레 방향의 양 끝변과 수렴부(521)의 둘레 방향의 양 끝변이 서로 교차한다. 그리고, 볼록부(61)는 슬롯 수지부(71) 중 수렴부(521)의 둘레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통해서 외측 수지부(7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볼록부(61)에 있어서의 수지의 박리가 더욱 억제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름 방향으로 볼 때 오목부(62)의 둘레 방향의 양 끝변과 수렴부(521)의 둘레 방향의 양 끝변이 서로 교차한다. 그리고, 오목부(62)는 슬롯 수지부(71) 중 수렴부(521)의 둘레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통해서 외측 수지부(7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오목부(62)에 있어서의 수지의 박리가 더욱 억제된다.
<2-3. 수지 케이싱의 성형 방법에 대해서>
계속해서, 수지 케이싱(23)의 성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수지 케이싱(23)의 성형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9 및 도 11∼도 13은 인서트 성형시의 모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수지 케이싱(23)을 성형할 때에는, 우선 사출 성형용의 제 1 금형(81) 및 제 2 금형(82)이 준비된다(스텝 S1). 제 1 금형(81) 및 제 2 금형(82)은 서로 조합시킴으로써 그것들의 내부에 수지 케이싱(23)의 형상에 대응하는 공동(83)이 발생하는 것을 사용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금형(81) 및 제 2 금형(82)이 상하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단, 제 1 금형(81) 및 제 2 금형(82)은 수평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해도 좋다.
이어서, 제 1 금형(81)의 내부에 스테이터(21) 및 회로 기판(22)이 배치된다(스텝 S2). 회로 기판(22)은 미리 인슐레이터(212)의 상측에 고정되어 있다. 스텝 S2에서는 스테이터(21) 및 회로 기판(22)으로 이루어지는 유닛이 제 1 금형(81)의 내부에 삽입된다.
여기에서, 제 1 금형(81)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금형(81)은 베이스 금형(811)과, 중심 금형(812)과, 복수의 제 1 보조 금형(813)과, 복수의 제 2 보조 금형(814)을 갖는다. 베이스 금형(811)은 축 방향 상측을 향해서 개구된 바닥이 있는 대략 원통 형상의 금형이다. 수지 케이싱(23)의 축 방향 하측의 끝면 및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 금형(811)에 의해 성형된다. 중심 금형(812)은 베이스 금형(811)의 저부의 상면측에 있어서 중심축(9)과 대략 동축에 배치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금형이다. 복수의 제 1 보조 금형(813) 및 복수의 제 2 보조 금형(814)은 중심 금형(812)보다 작은 금형이고, 중심 금형(812)에 부착된다. 또한, 베이스 금형(811)과 중심 금형(812)은 하나로 연결된 금형이라도 좋다.
도 10은 중심 금형(812), 복수의 제 1 보조 금형(813), 및 복수의 제 2 보조 금형(814)의 하면도이다. 도 9 및 도 11∼도 13 중의 중심 금형(812), 복수의 제 1 보조 금형(813), 및 복수의 제 2 보조 금형(814)의 단면은 도 10에 있어서의 B-B 단면에 상당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보조 금형(813) 및 제 2 보조 금형(814)은 각각 중심 금형(812)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보조 금형(813)과 제 2 보조 금형(814)이 중심 금형(812)의 외주면을 따라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다. 또한, 복수의 제 1 보조 금형(813)과 복수의 제 2 보조 금형(814)은 각각 둘레 방향에 대략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중심 금형(812), 복수의 제 1 보조 금형(813), 및 복수의 제 2 보조 금형(814)을 조합시키면, 이들 금형군의 외주면에 통 형상면(91), 복수의 단차면(92), 복수의 제 1 대향면(93), 복수의 제 2 대향면(94), 및 지지 돌기(95)가 발생한다.
통 형상면(91)은 스텝 S2의 완료 후에 티스(42)의 지름 방향 내측의 끝면에 대향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면이다. 스텝 S2에서는 복수의 티스(42)의 지름 방향 내측의 끝면이 통 형상면(91)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제 1 금형(81)의 내부에 있어서 스테이터(21)가 중심축(9)과 대략 동축에 위치 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심 금형(812), 복수의 제 1 보조 금형(813), 및 복수의 제 2 보조 금형(814)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통 형상면(91)이 형성된다.
복수의 단차면(92)은 통 형상면(91)의 하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해서 약간 돌출되는 면이다. 복수의 단차면(92)은 둘레 방향에 대략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스텝 S2에서는 각 티스(42)의 벽부(52)보다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축 방향 하측의 끝면이 복수의 단차면(92)의 각각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제 1 금형(81)에 대하여 스테이터(21)가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단차면(92)이 중심축(9)의 주위에 있어서 균등하게 배치된다. 이 때문에, 복수의 단차면(92)이 중심축(9) 주위의 어딘가에 편재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스테이터(21)의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따라서, 성형 후의 내측 수지부(60)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지나치게 얇아지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대향면(93)은 각각 단차면(92)의 지름 방향 외측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축 방향 하측을 향해서 연장된다. 따라서, 제 1 대향면(93)은 통 형상면(91)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복수의 제 1 대향면(93)은 둘레 방향에 대략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스텝 S2에서는 벽부(52)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과 제 1 대향면(93)이 부분적으로 지름 방향으로 대향한다. 스텝 S2의 완료 후에는 인접하는 티스(42)에 걸치는 둘레 방향의 범위에 제 1 대향면(93)이 배치된다. 즉, 각 제 1 대향면(93)의 둘레 방향의 폭은 인접하는 티스(42)의 간극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 넓다.
복수의 제 2 대향면(94)은 제 1 대향면(93)의 둘레 방향 양측에 인접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대향면(93)과 제 2 대향면(94)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다. 각 제 2 대향면(94)은 제 1 대향면(93)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 형상면(91)과 제 2 대향면(94)이 동일한 지름 방향 위치에 배치된다. 스텝 S2의 완료 후에는 벽부(52)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과 제 2 대향면(94)이 부분적으로 지름 방향으로 겹쳐진다. 단, 제 2 대향면(94)의 둘레 방향의 폭은 벽부(52)의 둘레 방향의 최대폭보다 작다.
지지 돌기(95)는 제 2 대향면(94)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지지 돌기(95)는 지름 방향 외측에 벽 지지면(951)을 갖는다. 벽 지지면(951)은 통 형상면(91)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스텝 S2에서는 벽부(52)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과 벽 지지면(951)이 접촉 또는 지름 방향으로 대향한다.
도 9 중의 우측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벽 지지면(951)이 축 방향 하측을 향함에 따라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금형(81)에 스테이터(21)를 삽입할 때에 벽 지지면(951)이 삽입 저항의 요인이 되기 어렵다. 또한, 일부 벽부(52)의 하단부를 벽 지지면(951)을 따라 하강시킴으로써 벽 지지면(951)과 벽부(52)가 동축에 위치 결정된다. 즉, 제 1 금형(81)으로의 스테이터(21)의 삽입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벽 지지면(951)이 경사져 있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스텝 S7에 있어서의 이형 작업도 용이해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벽부(52)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에도 경사면(522)이 형성되어 있다. 벽부(52)의 경사면(522)은 축 방향 하측을 향함에 따라 중심축(9)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스텝 S2에서는 지지 돌기(95)의 벽 지지면(951)과 벽부(52)의 경사면(522)이 서로 접촉 또는 대향한다. 이와 같이, 벽부(52)측에도 경사면(522)이 있는 것에 의해 스텝 S2에 있어서의 스테이터(21)의 삽입 작업 및 스텝 S7에 있어서의 이형 작업이 더욱 용이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차면(92) 및 제 1 대향면(93)은 중심 금형(812)이 아니라, 중심 금형(812)보다 작은 제 1 보조 금형(813)에 속한다. 이 때문에, 중심 금형(812) 자체에 단차면(92) 및 제 1 대향면(93)을 형성하는 경우보다 각 단차면(92) 및 각 제 1 대향면(93)이 정밀도 좋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벽 지지면(951)을 포함하는 지지 돌기(95)가 제 2 보조 금형(814)에 속한다. 이 때문에, 중심 금형(812) 자체에 지지 돌기(95)를 형성하는 경우보다 각 지지 돌기(95)가 정밀도 좋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 부위에 의해 성형되는 개소가 보다 정밀도 좋게 성형된다.
제 1 금형(81)으로의 스테이터(21) 및 회로 기판(22)의 배치가 완료되면, 이어서 제 1 금형(81)과 제 2 금형(82)이 조합된다(스텝 S3). 즉, 제 1 금형(81)의 축 방향 상측으로부터 제 2 금형(82)이 접근하고, 제 1 금형(81)의 상부가 제 2 금형(82)에 의해 폐쇄된다. 이에 따라, 도 9와 같이 제 1 금형(81)과 제 2 금형(82) 사이에 공동(83)이 형성되고, 상기 공동(83) 내에 스테이터(21) 및 회로 기판(22)이 수용된다.
이때, 도 9 중의 우측의 확대도와 같이 티스(42)의 축 방향 하측의 끝면과 지지 돌기(95)의 축 방향 상측의 단부는 축 방향으로 멀어져 있다. 즉, 지지 돌기(95)가 티스(42)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티스(42)의 벽부(52)보다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축 방향 하측의 끝면은 단차면(92)에만 접촉한다. 이 때문에, 지지 돌기(95)와의 접촉에 의한 스테이터(21)의 위치 어긋남은 발생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공동(83) 내에 유동 상태의 수지(230)를 유입시킨다(스텝 S4). 여기에서는 도 11과 같이, 제 1 금형(81)과 제 2 금형(82)의 접촉면 부근에 설치된 게이트(84)로부터 공동(83) 내에 유동 상태의 수지(230)가 유입된다. 유입된 수지(230)는 공동(83) 내의 전체로 퍼진다. 이때, 벽부(52)는 수지(230)가 흐르는 기세에 의해 지름 방향 내측으로의 압력을 받는다. 그러나, 벽부(52) 중 티스(42)보다 축 방향 하측의 부분이 지름 방향 내측으로 쓰러지려고 하면 벽부(52)의 경사면(522)이 제 1 금형(81)의 벽 지지면(951)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벽부(52)의 지름 방향 내측으로의 경사가 억제된다.
티스(42)보다 축 방향 하측에 있어서는, 벽부(52) 중 수지(230)로부터의 압력을 받았을 때에 가장 변위가 큰 부분은 수렴부(521)의 축 방향 하측의 끝 가장자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스텝 S2의 완료 후, 적어도 수렴부(521)의 축 방향 하측의 끝 가장자리가 벽 지지면(951)과 지름 방향으로 겹쳐진다. 이에 따라, 상기 끝 가장자리의 지름 방향 내측으로의 변위가 벽 지지면(951)과의 접촉에 의해 제한된다. 이에 따라, 벽부(52)의 지름 방향 내측으로의 기울어짐이 보다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또는 하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지지 돌기(95)가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벽 지지면(951)과 벽부(52)의 경사면(522)의 접촉 부위는 둘레 방향으로 넓어짐을 갖는다. 즉, 벽 지지면(951)과 경사면(522)이 면 접촉한다. 따라서, 벽 지지면(951)과 경사면(522)의 접촉 면적이 커진다. 이에 따라, 벽부(52)의 지름 방향 내측으로의 기울어짐이 보다 억제된다.
도 12와 같이, 공동(83) 내에 유동 상태의 수지(230)가 퍼지면 계속해서 공동(83) 내의 수지(230)가 경화된다(스텝 S5). 예를 들면, 열경화성의 수지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공동(83) 내의 상기 수지가 가열됨으로써 수지가 경화된다. 또한, 열가소성의 수지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공동(83) 내의 상기 수지를 냉각시킴으로써 수지를 경화시킨다. 공동(83) 내의 수지(230)는 경화함으로써 수지 케이싱(23)이 된다.
티스(42)의 축 방향 하측의 끝면 중, 제 1 금형(81)의 단차면(92)과 접촉한 부분은 수지(230)의 경화 후에 노출면(421)이 된다. 또한, 제 1 금형(81)의 제 1 대향면(93), 제 2 대향면(94), 및 지지 돌기(95)는 각각 수지 케이싱(23)의 오목부(62), 볼록부(61), 및 금형 자국(63)을 성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성형 방법에서는 제 1 금형(81)의 벽 지지면(951)이 벽부(52)의 지름 방향 내측으로의 경사를 억제한다. 벽부(52)의 지름 방향 내측으로의 경사를 억제하면 벽부(52)의 내측에 있어서의 수지의 지름 방향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성형 후의 내측 수지부(60)의 지름 방향의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제 1 대향면(93)과 벽부(52) 사이에 성형되는 오목부(62)는 원래 볼록부(61)보다 지름 방향의 두께가 얇지만, 상기 오목부(62)의 지름 방향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벽부(52)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으로부터의 성형 후의 수지가 박리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벽부(52)와 제 2 대향면(94) 사이에는 오목부(62)보다 지름 방향의 두께가 두꺼운 볼록부(61)가 성형된다. 이에 따라, 벽부(52)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으로부터 성형 후의 수지가 박리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수지(230)의 경화가 완료되면, 이어서 제 1 금형(81)과 제 2 금형(82)이 분리된다(스텝 S6). 구체적으로는, 제 2 금형(82)을 상승시킴으로써 제 1 금형(81)으로부터 제 2 금형(82)이 분리되어 제 1 금형(81)의 상부가 개방된다. 그 후, 도 13과 같이 제 1 금형(81)으로부터 스테이터(21) 및 회로 기판(22)을 덮는 수지 케이싱(23)이 인출된다(스텝 S7).
또한, 스텝 S6에서는 제 2 금형(82)으로부터 하향으로 핀을 돌출시킴으로써 제 2 금형(82)으로부터 수지 케이싱(23)을 이형하는 것이 촉진시켜진다. 또한, 스텝 S7에서는 제 1 금형(81)으로부터 상향으로 핀을 돌출시킴으로써 제 1 금형(81)으로부터 수지 케이싱(23)을 이형하는 것이 촉진시켜져도 좋다.
<3.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는 일변형예에 의한 제 1 금형(81B), 스테이터(21B), 및 수지 케이싱(23B)의 성형시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의 예에서는 제 1 금형(81B)의 제 2 대향면(94B)이 축 방향 하측을 향함에 따라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따라서, 성형 후의 수지 케이싱(23B)에 있어서 볼록부(61B)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은 축 방향 하측을 향함에 따라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이와 같이, 제 2 대향면(94)을 테이퍼 형상으로 하면 수지의 경화 후에 제 1 금형(81B)으로부터 수지 케이싱(23B)이 용이하게 이형된다. 또한, 제 1 대향면도 마찬가지로 테이퍼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스테이터 및 회로 기판의 쌍방을 수지 케이싱으로 덮고 있었다. 그러나, 회로 기판은 수지 케이싱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수지 케이싱의 성형 후에 수지 케이싱의 축 방향 상측에 회로 기판을 고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금형측에 통 형상면이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통 형상면은 제 2 금형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제 1 금형 및 제 2 금형의 쌍방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티스의 지름 방향 내측의 끝면에 접촉하는 통 형상면은 제 1 금형 및 제 2 금형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금형의 위치가 고정되고, 그것에 대해서 제 2 금형을 이동시킴으로써 금형의 개폐를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제 2 금형의 위치를 고정하고, 그것에 대해서 제 1 금형을 이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수지부 중, 티스보다 축 방향 하측의 부분에만 복수의 볼록부, 복수의 오목부, 및 금형 자국이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내측 수지부 중 티스보다 축 방향 상측의 부분에도 마찬가지의 복수의 볼록부, 복수의 오목부, 및 금형 자국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각 부재의 세부의 형상에 대해서는 본원의 각 도면에 나타내어진 형상과 상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등장한 각 요소를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조합시켜도 좋다.
본 발명은 모터 및 모터의 스테이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수지 케이싱의 성형 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수지 케이싱을 갖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인슐레이터와, 코일을 갖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는 중심축을 둘러싸는 환상의 코어백 및 상기 코어백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복수의 티스를 갖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적어도 상기 티스에 부착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인슐레이터에 감긴 도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코일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벽부를 갖고,
    상기 벽부는 상기 티스의 주위에 있어서 적어도 축 방향 일방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티스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는 상기 벽부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보다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지 케이싱은 상기 벽부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환상의 내측 수지부를 갖고,
    상기 내측 수지부는 적어도 상기 티스보다 축 방향 일방측에 복수의 볼록부와 복수의 오목부를 갖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벽부와 지름 방향으로 겹쳐지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와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고,
    상기 티스의 축 방향 일방측의 면의 일부분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볼록부 사이이며 또한 상기 오목부의 지름 방향 내측의 공간에 노출되고,
    상기 내측 수지부는 상기 벽부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수지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케이싱은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벽부 사이에 위치하는 슬롯 수지부를 더 갖고,
    상기 오목부의 둘레 방향의 폭은 인접하는 상기 티스의 간극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 넓고,
    상기 오목부의 일부분은 상기 슬롯 수지부와 지름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축 방향 일방측을 향함에 따라 둘레 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수렴부를 갖고,
    지름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오목부의 둘레 방향 양 끝변과 상기 수렴부의 둘레 방향 양 끝변이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수렴부의 둘레 방향 양측을 통해서 상기 외측 수지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케이싱은 상기 벽부의 축 방향 일방측에 위치하는 끝면 수지부를 더 갖고,
    상기 볼록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끝면 수지부와 지름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티스의 지름 방향 내측의 끝면의 지름 방향 위치와, 상기 볼록부의 상기 티스에 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의 지름 방향 위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은 축 방향 일방측을 향함에 따라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둘레 방향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9. 모터의 스테이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수지 케이싱의 성형 방법으로서,
    a) 서로 조합시킴으로써 내부에 공동이 발생하는 제 1 금형 및 제 2 금형을 준비하는 공정,
    b) 상기 제 1 금형 내에 상기 스테이터를 배치하는 공정,
    c) 상기 제 1 금형과 상기 제 2 금형을 조합시켜 상기 공동 내에 상기 스테이터가 수용된 상태로 하는 공정,
    d) 상기 공동 내에 유동 상태의 수지를 유입시키는 공정,
    e) 상기 유동 상태의 수지를 경화시켜서 상기 수지 케이싱을 얻는 공정,
    f) 상기 제 1 금형과 상기 제 2 금형을 분리하는 공정,
    g) 상기 제 1 금형으로부터 상기 스테이터 및 상기 수지 케이싱을 인출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인슐레이터와, 코일을 갖고,
    스테이터 코어는 중심축을 둘러싸는 환상의 코어백 및 상기 코어백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복수의 티스를 갖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적어도 상기 티스에 부착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인슐레이터에 감긴 도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코일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벽부를 갖고,
    상기 벽부는 상기 티스의 주위에 있어서 적어도 축 방향 일방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티스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는 상기 벽부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보다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금형은 복수의 단차면과, 복수의 제 1 대향면과, 복수의 제 2 대향면을 갖고,
    상기 단차면은 둘레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공정 b)에 있어서 각각이 상기 티스의 상기 벽부보다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축 방향 일방측의 끝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 1 대향면은 상기 단차면의 지름 방향 외측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축 방향 일방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공정 b)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지름 방향 내측의 면과 부분적으로 대향하고,
    상기 제 2 대향면은 상기 제 1 대향면과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고, 상기 제 1 대향면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공정 b)에 있어서 상기 제 2 대향면과 상기 벽부는 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케이싱의 성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형은 중심 금형과 보조 금형을 갖고,
    상기 중심 금형은 상기 중심축과 겹쳐지고,
    상기 보조 금형은 상기 중심 금형에 부착되고,
    상기 단차면 및 상기 제 1 대향면은 상기 보조 금형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케이싱의 성형 방법.
KR1020140161557A 2014-02-12 2014-11-19 모터 및 수지 케이싱의 성형 방법 KR201500951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23979A JP6221037B2 (ja) 2014-02-12 2014-02-12 モータおよび樹脂ケーシングの成型方法
JPJP-P-2014-023979 2014-0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175A true KR20150095175A (ko) 2015-08-20

Family

ID=52336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557A KR20150095175A (ko) 2014-02-12 2014-11-19 모터 및 수지 케이싱의 성형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76414B2 (ko)
JP (1) JP6221037B2 (ko)
KR (1) KR20150095175A (ko)
CN (2) CN1048363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1037B2 (ja) * 2014-02-12 2017-11-01 日本電産テクノモータ株式会社 モータおよび樹脂ケーシングの成型方法
JP6325272B2 (ja) * 2014-02-12 2018-05-16 日本電産テクノモータ株式会社 樹脂ケーシングの成型方法およびモータ
DE102014206848A1 (de) * 2014-04-09 2015-10-15 Zf Friedrichshafen Ag Baueinheit mit einem lamellierten Blechpaket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Baueinheit und elektrische Maschine
US10644561B2 (en) * 2016-09-30 2020-05-05 Minebea Mitsumi, Inc. Stator structure and resolver
CN109906543B (zh) * 2016-10-26 2021-12-10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马达
CN106849561A (zh) * 2017-01-06 2017-06-13 日本电产芝浦(浙江)有限公司 利用成型装置成型定子单元的树脂外壳的成型方法及马达
JP2018133880A (ja) * 2017-02-14 2018-08-23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およびポンプ装置
JP6658627B2 (ja) * 2017-03-10 2020-03-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
JP2018164335A (ja) * 2017-03-24 2018-10-18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テータユニット、モータ、及びファンモータ
JP2018178820A (ja) * 2017-04-10 2018-11-1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ポンプ装置
JP6622774B2 (ja) * 2017-10-10 2019-12-1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ステータ及び電動機
JP2020120419A (ja) * 2019-01-18 2020-08-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2020120543A (ja) * 2019-01-25 2020-08-0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放熱性及び生産性を向上させた電動機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614189B (zh) * 2019-02-24 2022-12-27 毅力科技有限公司 驱动装置
CN110247528B (zh) * 2019-06-18 2020-08-21 浙江格凌实业有限公司 旋涡式气泵的加工方法
DE102020108516A1 (de) * 2020-03-27 2021-09-30 Feaam Gmbh Stator, Rotor und elektrische 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3450A (ja) * 1982-12-28 1984-07-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樹脂モ−ルド型無刷子直流モ−タ
JPH11356022A (ja) * 1998-06-03 1999-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モールドモータ
JP2001061262A (ja) * 1999-08-23 2001-03-06 Sankyo Seiki Mfg Co Ltd 樹脂封止型電機子の製造方法
JP3269498B2 (ja) * 2000-03-17 2002-03-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動機の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4351929B2 (ja) * 2004-02-24 2009-10-28 愛知電機株式会社 電動機の樹脂モールド方法および樹脂モールド方法に用いる成形金型
JP4594718B2 (ja) * 2004-12-15 2010-12-08 日本電産シバウラ株式会社 モールドモータの製造方法
JP4726564B2 (ja) * 2005-07-20 2011-07-2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回転電機及び電動車椅子
CN101154849A (zh) * 2006-09-27 2008-04-02 日本电产芝浦株式会社 转子单元、转子单元的制造方法以及具有转子单元的马达以及泵
KR100890891B1 (ko) * 2007-04-10 2009-04-02 주식회사 아모텍 세탁기의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동 세탁기
KR100908396B1 (ko) * 2007-04-23 2009-07-20 주식회사 아모텍 Bldc 모터용 스테이터, 이를 이용한 더블로터/싱글스테이터 구조의 bldc 모터 및 자동차용 냉각 장치
JP4661849B2 (ja) * 2007-09-27 2011-03-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固定子構造
JP5740930B2 (ja) * 2010-03-03 2015-07-01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テータ及びモータ
KR101130978B1 (ko) * 2010-06-23 2012-03-28 주식회사 아모텍 슬림형 스테이터와 그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슬림형 모터 및 드럼세탁기용 직결식 구동장치
JP6057050B2 (ja) * 2012-03-23 2017-01-1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モールドモータ
JP6221037B2 (ja) * 2014-02-12 2017-11-01 日本電産テクノモータ株式会社 モータおよび樹脂ケーシングの成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36363A (zh) 2015-08-12
JP6221037B2 (ja) 2017-11-01
JP2015154515A (ja) 2015-08-24
US20150229191A1 (en) 2015-08-13
US9876414B2 (en) 2018-01-23
CN204118908U (zh) 2015-01-21
CN104836363B (zh) 201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5175A (ko) 모터 및 수지 케이싱의 성형 방법
US9819252B2 (en) Method of molding resin casing and motor
KR101730898B1 (ko) 로터 유닛, 회전형 전기 기기 및 로터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US9634533B2 (en) Motor with a stator having four separate corner bobbins/insulators and molded resin insulation around tooth completely enclosing the co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30119808A1 (en) Motor
US20130009494A1 (en)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otor
JP6651545B2 (ja) モータ
US20070290567A1 (en) Electric motor, stator of electric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tator
JP2018074638A (ja) ステータ、モータ、およ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4942806B2 (ja) 電動機の回転子及び電動機及び空気調和機及び電動機の製造方法
JP2018143048A (ja) 樹脂ケーシングの成型方法およびモータ
JP2018143049A (ja) モ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モータ
JP6545383B2 (ja) 回転子、電動機、空気調和機、及び回転子の製造方法
JP7363295B2 (ja) ホルダ、ロータ、モータ、およびロータの製造方法
JP2007074844A (ja) ステータコア、モータ
JP2011061937A (ja) 電動機の回転子及び電動機及び空気調和機及び電動機の回転子の製造方法
JP2011120334A (ja) 電動機の回転子及び電動機及び空気調和機及び電動機の製造方法
KR101247685B1 (ko) 로터, 이를 구비한 모터 및 로터 제조방법
JP7363296B2 (ja) ホルダ、ロータ、モータ、およびロータの製造方法
JP2019054622A (ja) ステータ、モータ、およ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2006060894A (ja) 圧粉磁心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圧粉磁心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成形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