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709A -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709A
KR20150094709A KR1020157018321A KR20157018321A KR20150094709A KR 20150094709 A KR20150094709 A KR 20150094709A KR 1020157018321 A KR1020157018321 A KR 1020157018321A KR 20157018321 A KR20157018321 A KR 20157018321A KR 20150094709 A KR20150094709 A KR 20150094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vehicle
flexible member
batter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5147B1 (ko
Inventor
고키 이케다
기요시 호카조노
도시야 미야시타
도모히로 사쿠라이
겐타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50094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H01M2/108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9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Abstract

차체 (12) 에 복수의 제 1 체결부 (40) 를 개재하여 체결 고정된 섬유 강화 수지제의 배터리 프레임 (20) 과, 배터리 프레임 (20) 에 복수의 제 2 체결부 (50) 를 개재하여 체결 고정된 전지 (30) 와,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에 가설된 연성 부재 (52, 54) 를 갖는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 (10) 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CELL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의 플로어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구동용 배터리 (전지) 를 지지하는 배터리 프레임을 섬유 강화 수지 재료로 성형하고, 플로어부의 하면의 좌우에 배치된 사이드 프레임 (차체측) 에 고정시킨 구조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3606415호 참조).
그러나, 구동용 배터리는, 섬유 강화 수지제의 배터리 프레임을 개재하여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충돌에 의해 배터리 프레임에 충돌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그 배터리 프레임에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구동용 배터리가 배터리 프레임으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프레임에 충돌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 그 배터리 프레임으로부터의 구동용 배터리의 탈락을 억제하는 구조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섬유 강화 수지제의 배터리 프레임에 하중이 입력되어도, 그 배터리 프레임으로부터의 전지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된 제 1 양태의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는, 차체에 복수의 제 1 체결부를 개재하여 체결 고정된 섬유 강화 수지제의 배터리 프레임과, 상기 배터리 프레임에 복수의 제 2 체결부를 개재하여 체결 고정된 전지와,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2 체결부 사이에 가설 (架設) 된 연성 부재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1 양태에 의하면, 배터리 프레임을 차체에 체결 고정시키는 제 1 체결부와, 전지를 배터리 프레임에 체결 고정시키는 제 2 체결부 사이에 연성 부재가 가설되어 있다. 따라서, 섬유 강화 수지제의 배터리 프레임에 하중이 입력되어,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 사이에 균열이 발생해도, 연성 부재에 의해 전지가 배터리 프레임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제 2 양태의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는, 제 1 양태의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로서, 상기 연성 부재는 인접하는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2 체결부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2 양태에 의하면, 연성 부재가, 인접하는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따라서, 연성 부재는, 컴팩트한 구성으로 해결되어, 연성 부재를 형성한 것에 따른 중량의 증가 및 비용의 증가가 억제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제 3 양태의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는, 제 1 양태의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로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2 체결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체결 세트는, 차체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으로 이간되어 있고, 상기 연성 부재는, 상기 복수의 체결 세트를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차폭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3 양태에 의하면, 인접하는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로 이루어지고, 차체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으로 이간되어 있는 복수의 체결 세트가,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연성 부재에 의해 연결되거나, 또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된 연성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연성 부재에 의해 체결 세트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차폭 방향으로부터 하중이 입력되어 체결 세트 간에 균열이 발생해도, 전지가 배터리 프레임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안정적으로 억제된다. 그리고, 차폭 방향으로 연장된 연성 부재에 의해 체결 세트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차체 전후 방향으로부터 하중이 입력되어 체결 세트 간에 균열이 발생해도, 전지가 배터리 프레임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안정적으로 억제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제 4 양태의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는, 제 1 양태의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로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2 체결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체결 세트는, 차체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으로 이간되어 있고, 상기 연성 부재는, 상기 복수의 체결 세트를 차체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4 양태에 의하면, 인접하는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로 이루어지고, 차체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으로 이간되어 있는 복수의 체결 세트가, 차체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으로 연장된 연성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차폭 방향 또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부터 하중이 입력되어 체결 세트 간에 균열이 발생해도, 전지가 배터리 프레임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안정적으로 억제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제 5 양태의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는, 제 1 ∼ 제 4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로서, 상기 연성 부재는,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5 양태에 의하면, 연성 부재가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성 부재는 간소한 구성으로 해결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제 6 양태의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는, 제 1 ∼ 제 4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로서, 상기 배터리 프레임은, 각각의 외주부가 서로 접합됨으로써 폐단면을 구성하는 배터리 프레임 어퍼와 배터리 프레임 로어를 갖고 있고, 상기 연성 부재는, 상기 폐단면 내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6 양태에 의하면, 연성 부재가, 폐단면 구조로 된 배터리 프레임 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터리 프레임에 하중이 입력되어도, 그 배터리 프레임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전지가 배터리 프레임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보다 안정적으로 억제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제 7 양태의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는, 제 6 양태의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로서, 상기 연성 부재는, 각각의 플랜지부가 서로 접합됨으로써 폐단면을 구성하는 어퍼 부재와 로어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외주부측에 있어서의 상기 어퍼 부재의 플랜지부와 상기 로어 부재의 플랜지부가, 상기 배터리 프레임 어퍼의 외주부와 상기 배터리 프레임 로어의 외주부 사이에 끼워져 서로 접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7 양태에 의하면, 연성 부재가 폐단면 구조가 되고, 배터리 프레임 어퍼의 외주부와 배터리 프레임 로어의 외주부 사이에, 어퍼 부재의 플랜지부와 로어 부재의 플랜지부가 끼워져 서로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배터리 프레임에 있어서의 내충격성이 향상되어, 배터리 프레임에 하중이 입력되어도, 그 배터리 프레임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전지가 배터리 프레임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보다 안정적으로 억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제 1 양태에 의하면, 섬유 강화 수지제의 배터리 프레임에 하중이 입력되어도, 그 배터리 프레임으로부터의 전지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2 양태에 의하면, 연성 부재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중량의 증가 및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3 양태에 의하면, 섬유 강화 수지제의 배터리 프레임에 차폭 방향 또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부터 하중이 입력되어도, 그 배터리 프레임으로부터의 전지의 탈락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4 양태에 의하면, 섬유 강화 수지제의 배터리 프레임에 차폭 방향 또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부터 하중이 입력되어도, 그 배터리 프레임으로부터의 전지의 탈락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5 양태에 의하면, 연성 부재를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6 양태에 의하면, 섬유 강화 수지제의 배터리 프레임에 하중이 입력되어도, 그 배터리 프레임으로부터의 전지의 탈락을 보다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7 양태에 의하면, 섬유 강화 수지제의 배터리 프레임에 있어서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배터리 프레임에 하중이 입력되어도, 그 배터리 프레임으로부터의 전지의 탈락을 보다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A-A 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B-B 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C-C 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D-D 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8 의 E-E 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은 도 12 의 F-F 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4 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 의 G-G 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각 도면에 있어서 적절히 나타내는 화살표 (UP) 를 차체 상방향, 화살표 (FR) 를 차체 전 (前) 방향, 화살표 (OUT) 를 차폭 방향 외측으로 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한 기재 없이 상하, 전후, 좌우의 방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차체 상하 방향의 상하, 차체 전후 방향의 전후, 차체 좌우 방향 (차폭 방향) 의 좌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제 1 실시형태>
먼저,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 등의 차량에 적용되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 (10) 는, 차량의 플로어를 구성하는 금속제의 플로어 패널 (차체) (12) 에 복수의 제 1 체결부 (40) 를 개재하여 체결 고정된 섬유 강화 수지제의 배터리 프레임 (스택 프레임) (20) 과, 그 배터리 프레임 (20) 에 복수의 제 2 체결부 (50) 를 개재하여 체결 고정된 전지로서의 연료 전지 스택 (30) 과,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에 가설된 복수 (예를 들어 2 개) 의 연성 부재 (52, 54) 를 갖고 있다.
플로어 패널 (12) 은, 차폭 방향 중앙부에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널부 (14) 를 갖고 있고, 그 터널부 (14) 의 좌우 양측에 있어서의 차체 전방측에는, 차체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오목상이 되는 좌우 1 쌍의 전측 장착부 (16)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터널부 (14) 의 좌우 양측에 있어서의 차체 후방측에는, 차폭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오목상이 되는 좌우 1 쌍의 후측 장착부 (18)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전측 장착부 (16) 에는, 플랜지 볼트 (92) 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 (16A) 이 차체 전후 방향에 나란히 2 개 형성되어 있고, 각 후측 장착부 (18) 에는, 플랜지 볼트 (92) 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 (18A) 이 1 개 형성되어 있다. 각 전측 장착부 (16) 및 각 후측 장착부 (18) 에, 플랜지 볼트 (92) 및 너트 (94) 에 의해 배터리 프레임 (20) 이 체결 고정됨으로써, 그 배터리 프레임 (20) 이 플로어 패널 (12) 의 차체 하방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도 3 참조).
배터리 프레임 (20) 은, 배터리 프레임 어퍼로서의 평판상의 어퍼 프레임 (22) 과, 배터리 프레임 로어로서의 트레이상의 로어 프레임 (24) 을 적어도 갖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퍼 프레임 (22) 은, 후술하는 연료 전지 스택 (30) 의 외장부 (32) 의 형상에 맞추어, 전단 중앙부가 차체 전방측으로 된 평면에서 보아「볼록」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로어 프레임 (24) 도 평면에서 보아「볼록」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어 프레임 (24) 은, 평면에서 보아「볼록」형 형상으로 형성된 평판상의 바닥부 (25) 와, 바닥부 (25)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일체로 세워 형성된 측벽부 (26) 와, 측벽부 (26) 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일체로 장출된 평판상의 장출부 (외주부) (27) 를 갖고 있고, 평면에서 보아 장출부 (27) 를 포함하는 외부 형상이, 어퍼 프레임 (22) 과 동일 사이즈로 되어 있다.
그리고, 로어 프레임 (24) 의 장출부 (27) 와 어퍼 프레임 (22) 의 외주부 (23) 가 접착제 및 볼트·너트 (도시 생략) 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사각형 폐단면 구조의 배터리 프레임 (20) 이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외주부 (23) (장출부 (27)) 의 좌우 양측부에는, 볼트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 (21) 이 복수 (예를 들어 4 개) 형성되어 있다 (도 2 참조).
또, 외주부 (23) 의 차체 전방측으로 돌출된 전단 중앙부가 돌출부 (23A) 로 되어 있고, 장출부 (27) 의 차체 전방측으로 돌출된 전단 중앙부가 돌출부 (27A) 로 되어 있다. 그리고, 외주부 (23) 의 돌출부 (23A) 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부에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는 각 2 개의 관통공 (23B) 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부 (23) 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에는, 각 1 개의 관통공 (23C)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장출부 (27) 의 돌출부 (27A) 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부에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는 (관통공 (23B) 과 연통되는) 각 2 개의 관통공 (27B) 이 형성되어 있고, 장출부 (27) 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에는, (관통공 (23C) 과 연통되는) 각 1 개의 관통공 (27C)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관통공 (23B, 23C, 27B, 27C) 이, 배터리 프레임 (20) 을 플로어 패널 (12) 에 체결하기 위한 컬러 부재 (48) 및 플랜지 볼트 (92) 의 삽입 통과공이 되어 있다 (도 1, 도 3 참조).
또, 외주부 (23) 의 돌출부 (23A) 에는, 각 2 개의 관통공 (23B) 의 차폭 방향 내측에 인접하여 각 1 개의 관통공 (23D) 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부 (23) 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에는, 각 1 개의 관통공 (23C) 의 차폭 방향 외측에 인접하여 각 1 개의 관통공 (23E)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관통공 (23D, 23E) 이, 후술하는 연료 전지 스택 (30) 을 배터리 프레임 (20) 에 체결하기 위한 웰드 너트 (98) 의 클리어런스 홀이 되어 있다 (도 3 참조).
또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퍼 프레임 (22) 과 로어 프레임 (24) 사이에, 중간 부재로서의 섬유 강화 수지제의 보강 프레임 (28) 을 형성하여, 배터리 프레임 (20) 을 폐단면 형상으로 구성해도 된다. 이 보강 프레임 (28) 에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오목부 (28A)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 오목부 (28A) 의 하면이, 로어 프레임 (24) 의 바닥부 (25) 의 상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 프레임 (28) 의 상면이, 어퍼 프레임 (22) 의 하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보강 프레임 (28) 의 외주부 (28B) 는, 어퍼 프레임 (22) 의 외주부 (23) 와 로어 프레임 (24) 의 장출부 (27) 사이에 끼워져, 그것들과 서로 접합되어 있다. 이 보강 프레임 (28) 에 의해, 배터리 프레임 (20) 의 강도 (강성) 가 향상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보강 프레임 (28) 은, 각 관통공 (23D, 23E) 과 대응하는 위치에 그 오목부 (28A) 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 웰드 너트 (98) 를 허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보강 프레임 (28) 의 외주부 (28B) 에는, 컬러 부재 (48) 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 (28C)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전지 스택 (30) 은, 그 외장부 (32) 가, 평면에서 보아 볼록 형상이 되는 상자 형상으로 금속 (또는 수지이어도 된다) 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장부 (32) 의 하단 둘레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복수 지점에는, 외방측으로 돌출되는 다리부 (34)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외장부 (32) 의 차체 전방측으로 돌출된 전단 중앙부의 좌우 양측벽 (32A) 의 하단부와, 외장부 (32) 의 후벽 (32B) 의 좌우 양측의 하단부에 각각 다리부 (34)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다리부 (34) 에는, 후술하는 컬러 부재 (38) 및 플랜지 볼트 (96) 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 (34A)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관통공 (34A) 내에는, 보강용의 플랜지가 장착된 원통상 부재 (36) 가 차체 하방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있고, 그 축심부인 원통부 (36A) 의 외주면이 각 관통공 (34A) 의 내주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연료 전지 스택 (30) 을 배터리 프레임 (20) 에 체결할 때에는, 원통상 부재 (36) 의 원통부 (36A) 에 있어서의 관통공 내에, 원통상의 컬러 부재 (38) 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그 컬러 부재 (38) 의 하단면과, 원통상 부재 (36) 의 플랜지부 (36B) 의 하면이, 후술하는 연성 부재 (52, 54) 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도 3 참조).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퍼 프레임 (22) 의 상면측에서, 인접하는 전측의 관통공 (23B) (제 1 체결부 (40)) 과 관통공 (23D) (제 2 체결부 (50)) 사이 및 인접하는 관통공 (23C) (제 1 체결부 (40)) 과 관통공 (23E) (제 2 체결부 (50)) 사이에는, 각각 대략 타원 형상의 연성 부재 (52, 54) 가 가설되도록 되어 있다.
각 연성 부재 (52, 54) 는, 평판상으로, 일례로서 고장력 강판 또는 초고장력 강판으로 성형되어 있고, 각 연성 부재 (52, 54) 의 양단부에는, 관통공 (23B, 23D) 과 연통되는 관통공 (52A, 52B) 및 관통공 (23C, 23E) 과 연통되는 관통공 (54A, 54B)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성 부재 (52) 와 연성 부재 (54) 는, 각각 인접하는 관통공 (23B) 과 관통공 (23D) 사이의 거리 및 인접하는 관통공 (23C) 과 관통공 (23E) 사이의 거리에 따라, 그 크기가 적절히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한 배터리 프레임 (20) 의 경우에는, 연성 부재 (54) 가, 연성 부재 (52) 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연성 부재 (52, 54) 는, 각각 어퍼 프레임 (22) 의 상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어퍼 프레임 (22) 과 일체화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연성 부재 (52, 54) 의 차폭 방향 내측 단부의 하면에는, 각각 각 관통공 (52B, 54B) 과 동축적으로 연통되는 웰드 너트 (98) 가 미리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 프레임 (20) 의 장출부 (27) 의 하측에는, 적어도 측벽부 (26) 를 덮는 금속제의 보강 부재 (4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 부재 (42) 는, 어퍼 패널 (44) 의 플랜지부 (44A) 와 로어 패널 (46) 의 플랜지부 (46A) 를 서로 접합함으로써 폐단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어퍼 패널 (44) 및 로어 패널 (46) 에는, 각각 차체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는 관통공 (44B, 46B)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관통공 (44B, 46B) 내에는, 금속제 (예를 들어 철제) 이고 원통상의 컬러 부재 (48) 가 삽입 통과되어, 그 외주면 (48A) 이 어퍼 패널 (44) 및 로어 패널 (46) 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 이 컬러 부재 (48) 는, 어퍼 패널 (44) 의 상면으로부터 차체 상방측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고, 관통공 (27B, 23B, 52A) 및 관통공 (27C, 23C, 54A) 에 각각 삽입 통과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보강 부재 (42) 의 어퍼 패널 (44) 은, 장출부 (27) 의 하면과 측벽부 (26) 의 외면과 바닥부 (25) 의 하면의 일부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어퍼 패널 (44)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출부 (27) 와 측벽부 (26) 와 바닥부 (25) 의 형상을 따르도록 차폭 방향 내측이 단면 대략「L」자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그리고, 로어 패널 (46) 은, 어퍼 패널 (44) 에서 사각형상의 폐단면 형상을 구성하도록 차폭 방향 외측이 단면 대략 역「L」자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여기서, 배터리 프레임 (20) 의 플로어 패널 (12) 에 대한 제 1 체결부 (40) 의 구조 및 연료 전지 스택 (30) 의 배터리 프레임 (20) 에 대한 제 2 체결부 (50) 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연성 부재 (52) 측에 있어서의 제 1 체결부 (40) 및 제 2 체결부 (50) 와, 연성 부재 (54) 측에 있어서의 제 1 체결부 (40) 및 제 2 체결부 (50) 는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연성 부재 (52) 측을 예로 채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 1 체결부 (40)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컬러 부재 (48) 는, 보강 부재 (42) 의 관통공 (44B, 46B) 내에 삽입 통과되어 그 보강 부재 (42) 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장출부 (27) 의 하측에 보강 부재 (42) 를 장착할 때에는, 장출부 (27) (돌출부 (27A)) 및 외주부 (23) (돌출부 (23A)) 의 각 관통공 (27B, 23B) 과, 연성 부재 (52) 의 관통공 (52A) 에, 컬러 부재 (48) 를 차체 하방측으로부터 삽입 통과시킨다.
그리고, 플랜지 볼트 (92) 를, 차체 하방측으로부터 컬러 부재 (48) 의 관통공 (48B) 내에 삽입 통과시키고, 플로어 패널 (12) 의 전측 장착부 (16) 에 형성된 각 관통공 (16A) 으로부터 차체 상방측으로 돌출시켜, 너트 (94) 에 나사 결합한다. 또한, 연성 부재 (54) 측, 즉 후측 장착부 (18) 측도 동일하게 하여 체결된다. 이로써, 배터리 프레임 (20) 이 플로어 패널 (12) 에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그 컬러 부재 (48) 를 포함하는 체결 부위가 제 1 체결부 (40) 가 된다.
다음으로, 제 2 체결부 (50)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전지 스택 (30) 의 다리부 (34) (상세하게는 관통공 (34A) 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상 부재 (36) 의 플랜지부 (36B)) 를 배터리 프레임 (20) (어퍼 프레임 (22)) 의 상면에 배치한다. 그리고, 원통상 부재 (36) 의 관통공 내에 컬러 부재 (38) 를 차체 상방측으로부터 삽입하고, 그 컬러 부재 (38) 의 관통공 (38A) 과 연성 부재 (52) 의 관통공 (52B) 을 연통시킨다.
이어서, 원통상 부재 (36) 의 외경 이상의 외경으로 된 와셔 (97) 가 끼워진 플랜지 볼트 (96) 를, 차체 상방측으로부터 컬러 부재 (38) 의 관통공 (38A) 내에 삽입 통과시키고, 연성 부재 (52) 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웰드 너트 (98) 에 나사 결합한다. 또한, 연성 부재 (54) 측도 동일하게 하여 체결된다. 이로써, 연료 전지 스택 (30) 이, 배터리 프레임 (20) 에 체결 고정되고, 그 체결 부위가 제 2 체결부 (50) 가 된다. 요컨대, 연료 전지 스택 (30) 은, 연성 부재 (52, 54) 를 개재하여 배터리 프레임 (20) 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 (10) 에 있어서, 다음으로 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량이 측면 충돌했을 때에는, 그것에 의해 입력된 충돌 하중의 일부가, 섬유 강화 수지제의 배터리 프레임 (20) 에 전달된다. 여기서, 이 배터리 프레임 (20) 의 차량 전측의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 및 차량 후측의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에는, 각각 연성 부재 (52, 54) 가 가설되어 있다.
따라서, 변형 한도가 낮은 배터리 프레임 (20) 에 충돌 하중의 일부가 입력되어,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에 균열 (또는 파단) 이 발생해도, 연성 부재 (52, 54) 에 의해 연료 전지 스택 (30) 이 배터리 프레임 (20) 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전면 충돌 또는 후면 충돌한 경우라도, 동일하게 연료 전지 스택 (30) 이 배터리 프레임 (20) 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 배터리 프레임 (20) 에, 노면 간섭물에 의해 하중이 입력됨으로써 균열 (또는 파단) 이 발생해도, 연성 부재 (52, 54) 에 의해 연료 전지 스택 (30) 이 배터리 프레임 (20) 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연성 부재 (52, 54) 는,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구성이 간소하게 해결되고, 인접하는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에 가설되기 때문에 컴팩트한 구성으로 해결된다. 따라서, 연성 부재 (52, 54) 가 형성되는 구성이라 하더라도, 차량에 있어서의 중량의 증가 및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변형예에 관련된 연성 부재 (56, 58) 는, 각각 폐단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폐단면 형상이 된 배터리 프레임 (20) 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성 부재 (56) 는, 어퍼 부재로서의 어퍼 패널 (62) 과, 로어 부재로서의 로어 패널 (64) 을 갖고 있고, 어퍼 패널 (62) 의 플랜지부 (62A) 와 로어 패널 (64) 의 플랜지부 (64A) 가 서로 접합됨으로써 폐단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퍼 패널 (62) 및 로어 패널 (64) 에는, 각각 차체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는 관통공 (62B, 64B)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62B, 64B) 에는, 컬러 부재 (48) 가 삽입 통과되도록 되어 있고, 컬러 부재 (48) 의 외주면 (48A) 이, 어퍼 패널 (62) 및 로어 패널 (64) 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어퍼 패널 (62) 에는, 차체 상방측으로 돌출되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상의 융기부 (63)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융기부 (63) 의 중심부에는, 플랜지 볼트 (96) 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 (63A)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융기부 (63) 의 하면에는, 관통공 (63A) 과 동축적으로 연통되는 웰드 너트 (98) 가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프레임 (20) 은, 어퍼 프레임 (22) 과 로어 프레임 (24) 사이에 보강 프레임 (28) 을 갖고 있고, 어퍼 프레임 (22) 과 보강 프레임 (28) 과 로어 프레임 (24) 의 바닥부 (25) 에는, 각각 컬러 부재 (48) 를 삽입 통과시키는 관통공 (22A, 28C, 25A)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어퍼 프레임 (22) 과 보강 프레임 (28) 에는, 융기부 (63) 를 어퍼 프레임 (22) 의 상면으로부터 돌출시키는 관통공 (22B, 28D) 이 형성되어 있고, 보강 프레임 (28) 의 차폭 방향 내측에는, 계단상으로 굴곡되는 굴곡부 (28E)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배터리 프레임 (20) 은,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된다. 먼저, 로어 프레임 (24) 내에 연성 부재 (56) 를 형성하는데, 이 때, 바닥부 (25) 에 형성된 관통공 (25A) 내에 컬러 부재 (48) 의 하단부를 삽입 통과시킨다. 그리고, 연성 부재 (56) 의 로어 패널 (64) 의 적어도 플랜지부 (64A) 의 하면을, 로어 프레임 (24) 의 장출부 (27) 의 상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한다.
다음으로, 보강 프레임 (28) 을 연성 부재 (56) 상에 씌우는데, 이 때, 관통공 (28C) 에 컬러 부재 (48) 를 삽입 통과시키고, 또한 관통공 (28D) 에 융기부 (63) 를 삽입 통과시킨다. 그리고, 보강 프레임 (28) 의 적어도 외주부 (28B) 의 하면을, 연성 부재 (56) 의 어퍼 패널 (62) 에 있어서의 플랜지부 (62A) 의 상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함과 함께, 보강 프레임 (28) 의 굴곡부 (28E) 의 하면을, 연성 부재 (56) 의 어퍼 패널 (62) 에 있어서의 플랜지부 (62A) 의 상면 및 바닥부 (25) 의 상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한다.
마지막으로, 어퍼 프레임 (22) 을 보강 프레임 (28) 상에 씌우는데, 이 때, 관통공 (22A) 에 컬러 부재 (48) 를 삽입 통과시키고, 또한 관통공 (22B) 에 융기부 (63) 를 삽입 통과시킨다. 그리고, 어퍼 프레임 (22) 의 적어도 외주부 (23) 의 하면을, 보강 프레임 (28) 의 외주부 (28B) 의 상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한다. 이로써, 폐단면 형상으로 된 연성 부재 (56) 가 배터리 프레임 (20) 의 내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에 폐단면 형상으로 된 연성 부재 (56) 가 가설되기 때문에,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를 강고하게 결합할 수 있음과 함께, 배터리 프레임 (20) 에 있어서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프레임 (20) 에 충돌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의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의 균열 (또는 파단) 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에 균열 (또는 파단) 이 발생해도, 연료 전지 스택 (30) 이 배터리 프레임 (20) 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성 부재 (58) 측은, 연성 부재 (56) 측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연성 부재 (52, 54, 56, 58) 는, 인접하는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에 가설되는 형상이면 되고, 도시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 도 4, 도 5 에 나타내는 형상과 상이한 형상이라 하더라도, 인접하는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에 가설되는 폐단면 형상의 연성 부재에는 부호 56, 58 을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 (변형예도 포함한다) 와 동등한 부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 (공통되는 작용도 포함한다) 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 이하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를 1 개의 체결 세트로 하고, 차량 좌전측을 체결 세트 (60), 차량 우전측을 체결 세트 (70), 차량 좌후측을 체결 세트 (80), 차량 우후측을 체결 세트 (90) 로 한다. 요컨대, 각 체결 세트 (60, 70, 80, 90) 는, 차체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으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전측에 있어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폐단면 형상의 연성 부재 (66) 에 의해, 차량 좌측의 체결 세트 (60) 와 차량 우측의 체결 세트 (70) 가 연결되고, 차량 후측에 있어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폐단면 형상의 연성 부재 (68) 에 의해, 차량 좌측의 체결 세트 (80) 와 차량 우측의 체결 세트 (90) 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성 부재 (66) 와 연성 부재 (68) 는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연성 부재 (66) 를 예로 채용하여 설명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성 부재 (66) 는, 어퍼 부재로서의 어퍼 패널 (72) 과 로어 부재로서의 로어 패널 (74) 을 갖고 있고, 어퍼 패널 (72) 의 플랜지부 (72A) 와 로어 패널 (74) 의 플랜지부 (74A) 가 서로 접합됨으로써 폐단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퍼 패널 (72) 및 로어 패널 (74) 에는, 각각 차체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는 관통공 (72B, 74B)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72B, 74B) 에는, 컬러 부재 (48) 가 삽입 통과되도록 되어 있고, 컬러 부재 (48) 의 외주면 (48A) 이, 어퍼 패널 (72) 및 로어 패널 (74) 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어퍼 패널 (72) 에는, 차체 상방측으로 돌출되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상의 융기부 (73)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융기부 (73) 의 중심부에는, 플랜지 볼트 (96) 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 (73A)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융기부 (73) 의 하면에는, 관통공 (73A) 과 동축적으로 연통되는 웰드 너트 (98) 가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프레임 (20) 은, 어퍼 프레임 (22) 과 로어 프레임 (24) 사이에 보강 프레임 (28) 을 갖고 있고, 어퍼 프레임 (22) 과 보강 프레임 (28) 과 로어 프레임 (24) 의 바닥부 (25) 에는, 각각 컬러 부재 (48) 를 삽입 통과시키는 관통공 (22A, 28C, 25A)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어퍼 프레임 (22) 과 보강 프레임 (28) 에는, 융기부 (73) 를 어퍼 프레임 (22) 의 상면으로부터 돌출시키는 관통공 (22B, 28D)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와 동일하게 배터리 프레임 (20) 을 조립함으로써, 폐단면 형상으로 된 연성 부재 (66) 가, 그 배터리 프레임 (20) 의 내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연성 부재 (68) 도, 동일하게 하여 배터리 프레임 (20) 의 내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에 폐단면 형상으로 된 연성 부재 (66, 68) 가 가설됨과 함께, 차량 좌전측의 체결 세트 (60) 와 차량 우전측의 체결 세트 (70) 가, 폐단면 형상으로 된 연성 부재 (66) 에 의해 차폭 방향으로 연결되고, 차량 좌후측의 체결 세트 (80) 와 차량 우후측의 체결 세트 (90) 가, 폐단면 형상으로 된 연성 부재 (68) 에 의해 차폭 방향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배터리 프레임 (20) 에 충돌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의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의 균열 (또는 파단) 의 발생뿐만 아니라, 특히 차체 전후 방향으로부터 충돌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의 차량 좌전측의 체결 세트 (60) 와 차량 우전측의 체결 세트 (70) 사이의 균열 (또는 파단) 및 차량 좌후측의 체결 세트 (80) 와 차량 우후측의 체결 세트 (90) 사이의 균열 (또는 파단) 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에 균열 (또는 파단) 이 발생하거나, 차량 좌전측의 체결 세트 (60) 와 차량 우전측의 체결 세트 (70) 사이에 균열 (또는 파단) 이 발생하거나, 차량 좌후측의 체결 세트 (80) 와 차량 우후측의 체결 세트 (90) 사이에 균열 (또는 파단) 이 발생하거나 해도, 연료 전지 스택 (30) 이 배터리 프레임 (20) 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성 부재 (66, 68) 는, 차량 좌전측의 체결 세트 (60) 와 차량 우전측의 체결 세트 (70) 를 차폭 방향으로 연결하고, 차량 좌후측의 체결 세트 (80) 와 차량 우후측의 체결 세트 (90) 를 차폭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되고, 도시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 도 6, 도 7 에 나타내는 형상과 상이한 형상이라 하더라도, 좌우의 체결 세트 (60, 70) 및 좌우의 체결 세트 (80, 90) 를 연결하는 연성 부재에는 부호 (66, 68) 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등한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 (공통되는 작용도 포함한다) 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좌측에 있어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상의 연성 부재 (76) 에 의해, 차량 전측의 체결 세트 (60) 와 차량 후측의 체결 세트 (80) 가 연결되고, 차량 우측에 있어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상의 연성 부재 (78) 에 의해, 차량 전측의 체결 세트 (70) 와 차량 후측의 체결 세트 (90) 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차량 좌측에 있어서, 차량 전측의 연성 부재 (56) 와 차량 후측의 연성 부재 (58) 가 연성 부재 (76) 에 의해 연결되고, 차량 우측에 있어서, 차량 전측의 연성 부재 (56) 와 차량 후측의 연성 부재 (58) 가 연성 부재 (78) 에 의해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성 부재 (56, 58)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연성 부재 (76) 와 연성 부재 (78) 는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연성 부재 (76) 를 예로 채용하여 설명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좌측에 형성되는 연성 부재 (76) 는, 체결 세트 (60) 에 있어서의 제 1 체결부 (40) 와 체결 세트 (80) 에 있어서의 제 1 체결부 (40) 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차량 좌측에 있어서, 체결 세트 (60) 의 전후로 나열되는 제 1 체결부 (40) 중, 후측의 제 1 체결부 (40) 에서는, 연성 부재 (56) 와 로어 프레임 (24) 의 바닥부 (25) 사이에 연성 부재 (76) 의 전단부 (76A) 가 배치되어 접합되고, 그 전단부 (76A) 의 관통공 (76C) 에 컬러 부재 (48) 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그리고, 체결 세트 (80) 의 제 1 체결부 (40) 에서는, 연성 부재 (58) 와 로어 프레임 (24) 의 바닥부 (25) 사이에 연성 부재 (76) 의 후단부 (76B) 가 배치되어 접합되고, 그 후단부의 관통공 (76D) 에 컬러 부재 (48) 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에 폐단면 형상으로 된 연성 부재 (56, 58) 가 가설됨과 함께, 차량 좌전측의 체결 세트 (60) (연성 부재 (56)) 와 차량 좌후측의 체결 세트 (80) (연성 부재 (58)) 가 연성 부재 (76) 에 의해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고, 차량 우전측의 체결 세트 (70) (연성 부재 (56)) 와 차량 우후측의 체결 세트 (90) (연성 부재 (58)) 가 연성 부재 (78) 에 의해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배터리 프레임 (20) 에 충돌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의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의 균열 (또는 파단) 의 발생뿐만 아니라, 특히 차폭 방향으로부터 충돌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의 차량 좌전측의 체결 세트 (60) 와 차량 좌후측의 체결 세트 (80) 사이의 균열 (또는 파단) 및 차량 우전측의 체결 세트 (70) 와 차량 우후측의 체결 세트 (90) 사이의 균열 (또는 파단) 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에 균열 (또는 파단) 이 발생하거나, 차량 좌전측의 체결 세트 (60) 와 차량 좌후측의 체결 세트 (80) 사이에 균열 (또는 파단) 이 발생하거나, 차량 우전측의 체결 세트 (70) 와 차량 우후측의 체결 세트 (90) 사이에 균열 (또는 파단) 이 발생하거나 해도, 연료 전지 스택 (30) 이 배터리 프레임 (20) 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좌우 각각의 연성 부재 (76, 78) 는, 차량 전측의 체결 세트 (60, 70) 에 있어서의 제 1 체결부 (40) 와, 차량 후측의 체결 세트 (80, 90) 에 있어서의 제 1 체결부 (40) 를 포함하여, 연성 부재 (56) 와 연성 부재 (58) 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배터리 프레임 (20) 의 강도 (강성) 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변형예에 관련된 연성 부재 (77) 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폐단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차량 좌전측의 체결 세트 (60) 와 차량 좌후측의 체결 세트 (80) 를 연결하고, 차량 우전측의 체결 세트 (70) 와 차량 우후측의 체결 세트 (90) 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 연성 부재 (77) 는, 어퍼 부재로서의 어퍼 패널 (82) 과 로어 부재로서의 로어 패널 (84) 을 갖고 있고, 어퍼 패널 (82) 의 플랜지부 (82A) 와 로어 패널 (84) 의 플랜지부 (84A) 가 서로 접합됨으로써 폐단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퍼 패널 (82) 및 로어 패널 (84) 에는, 각각 차체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는 관통공 (82B, 84B)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82B, 84B) 에는, 컬러 부재 (48) 가 삽입 통과되도록 되어 있고, 컬러 부재 (48) 의 외주면 (48A) 이, 어퍼 패널 (82) 및 로어 패널 (84) 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 도시되지 않았지만, 어퍼 패널 (82) 에는, 차체 상방측으로 돌출되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상의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융기부의 중심부에는, 플랜지 볼트 (96) 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융기부의 하면에는, 그 관통공과 동축적으로 연통되는 웰드 너트 (98)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에 폐단면 형상으로 된 연성 부재 (77) 가 가설됨과 함께, 차량 좌전측의 체결 세트 (60) 와 차량 좌후측의 체결 세트 (80) 가 폐단면 형상으로 된 연성 부재 (77) 에 의해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고, 차량 우전측의 체결 세트 (70) 와 차량 우후측의 체결 세트 (90) 가 폐단면 형상으로 된 연성 부재 (77) 에 의해 차폭 방향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배터리 프레임 (20) 에 충돌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의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의 균열 (또는 파단) 의 발생뿐만 아니라, 특히 차폭 방향으로부터 충돌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의 차량 좌전측의 체결 세트 (60) 와 차량 좌후측의 체결 세트 (80) 사이의 균열 (또는 파단) 및 차량 우전측의 체결 세트 (70) 와 차량 우후측의 체결 세트 (90) 사이의 균열 (또는 파단) 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에 균열 (또는 파단) 이 발생하거나, 차량 좌전측의 체결 세트 (60) 와 차량 좌후측의 체결 세트 (80) 사이에 균열 (또는 파단) 이 발생하거나, 차량 우전측의 체결 세트 (70) 와 차량 우후측의 체결 세트 (90) 사이에 균열 (또는 파단) 이 발생하거나 해도, 연료 전지 스택 (30) 이 배터리 프레임 (20) 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4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 ∼ 제 3 실시형태와 동등한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 (공통되는 작용도 포함한다) 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 도 12 에 있어서의 C-C 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는 도 7 과 동일하다.
도 12,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제 3 실시형태가 조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차량 전측에 있어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성 부재 (66) 에 의해, 차량 좌측에 있어서의 체결 세트 (60) 와 차량 우측에 있어서의 체결 세트 (70) 가 연결되고, 차량 후측에 있어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성 부재 (68) 에 의해, 차량 좌측에 있어서의 체결 세트 (80) 와 차량 우측에 있어서의 체결 세트 (90) 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 좌측에 있어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성 부재 (86) 에 의해, 연성 부재 (66) 와 연성 부재 (68) 가 연결되고, 차량 우측에 있어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성 부재 (88) 에 의해, 연성 부재 (66) 와 연성 부재 (68) 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연성 부재 (66) 의 후단부 (66A) 에, 연성 부재 (86, 88) 의 전단부 (86A, 88A) 가 각각 접합되고, 연성 부재 (68) 의 전단부 (68A) 에, 연성 부재 (86, 88) 의 후단부 (86B, 88B) 가 각각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에 폐단면 형상으로 된 연성 부재 (66, 68) 가 가설됨과 함께, 차량 좌전측의 체결 세트 (60) (연성 부재 (66)) 와 차량 좌후측의 체결 세트 (80) (연성 부재 (68)) 가 연성 부재 (86) 에 의해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고, 차량 우전측의 체결 세트 (70) (연성 부재 (66)) 와 차량 우후측의 체결 세트 (90) (연성 부재 (68)) 가 연성 부재 (88) 에 의해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배터리 프레임 (20) 에 차체 전후 방향 또는 차폭 방향으로부터 충돌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의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의 균열 (또는 파단) 의 발생뿐만 아니라, 차량 좌전측의 체결 세트 (60) 와 차량 우전측의 체결 세트 (70) 사이의 균열 (또는 파단) 및 차량 좌후측의 체결 세트 (80) 와 차량 우후측의 체결 세트 (90) 사이의 균열 (또는 파단), 나아가서는 차량 좌전측의 체결 세트 (60) 와 차량 좌후측의 체결 세트 (80) 사이의 균열 (또는 파단) 및 차량 우전측의 체결 세트 (70) 와 차량 우후측의 체결 세트 (90) 사이의 균열 (또는 파단) 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
다음으로,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전측의 체결 세트 (60, 70) 에 있어서의 제 1 체결부 (40) 와, 차량 후측의 체결 세트 (80, 90) 에 있어서의 제 1 체결부 (40) 를 좌우 각각의 연성 부재 (76, 78) 에 의해 연결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차량 좌측에 있어서, 체결 세트 (60) 의 전후로 나열되는 제 1 체결부 (40) 중, 후측의 제 1 체결부 (40) 에서는, 연성 부재 (66) 와 로어 프레임 (24) 의 바닥부 (25) 사이에 연성 부재 (76) 의 전단부 (76A) 가 배치되어 접합되고, 그 전단부 (76A) 의 관통공 (76C) 에 컬러 부재 (48) 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그리고, 체결 세트 (80) 의 제 1 체결부 (40) 에서는, 연성 부재 (68) 와 로어 프레임 (24) 의 바닥부 (25) 사이에 연성 부재 (76) 의 후단부 (76B) 가 배치되어 접합되고, 그 후단부 (76B) 의 관통공 (76D) 에 컬러 부재 (48) 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좌우 각각의 연성 부재 (76, 78) 는, 차량 전측의 체결 세트 (60, 70) 에 있어서의 제 1 체결부 (40) 와, 차량 후측의 체결 세트 (80, 90) 에 있어서의 제 1 체결부 (40) 를 포함하여 접합되어, 연성 부재 (66) 와 연성 부재 (68) 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배터리 프레임 (20) 의 강도 (강성) 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연성 부재 (66) 의 후단부 (66A) 에 전단부 (86A, 88A) 가 접합되고, 연성 부재 (68) 의 전단부 (68A) 에 후단부 (86B, 88B) 가 접합되어 있는 연성 부재 (86, 88) 의 경우, 배터리 프레임 (20) 에 과대한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그 접합 부분의 파단 (박리) 이 우려되지만, 연성 부재 (76, 78) 의 경우에는, 차량 전측의 제 1 체결부 (40) 와 차량 후측의 제 1 체결부 (40) 를 포함하여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러한 우려가 없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 (10) 에 대해서 도면을 기초로 설명했지만,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 (10) 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설계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연성 부재 (금속 부재) 는, 고장력 강판이나 초고장력 강판으로 성형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어느 정도의 경도를 가진 알루미늄 합금이나 철 등으로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연성 부재는, 배터리 프레임 (20) 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리벳 등의 접합 부재에 의해 접합되는 구성으로 되어도 된다. 또, 연성 부재 (56, 58) 에 대한 연성 부재 (76, 78) 의 접합, 연성 부재 (66, 68) 에 대한 연성 부재 (76, 78) 또는 연성 부재 (86, 88) 의 접합, 나아가서는 어퍼 패널의 플랜지부와 로어 패널의 플랜지부의 접합은, 스팟 용접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연성 부재는, 인접하는 제 1 체결부 (40) 와 제 2 체결부 (50) 사이에 가설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배터리 프레임 (20) 은, 연료 전지 스택 (30) 을 지지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
12 : 플로어 패널 (차체)
20 : 배터리 프레임
22 : 어퍼 프레임 (배터리 프레임 어퍼)
23 : 외주부
24 : 로어 프레임 (배터리 프레임 로어)
27 : 장출부 (외주부)
30 : 연료 전지 스택 (전지)
40 : 제 1 체결부
50 : 제 2 체결부
52 : 연성 부재
54 : 연성 부재
56 : 연성 부재
58 : 연성 부재
60 : 체결 세트
62 : 어퍼 패널 (어퍼 부재)
64 : 로어 패널 (로어 부재)
66 : 연성 부재
68 : 연성 부재
70 : 체결 세트
72 : 어퍼 패널 (어퍼 부재)
74 : 로어 패널 (로어 부재)
76 : 연성 부재
77 : 연성 부재
78 : 연성 부재
80 : 체결 세트
82 : 어퍼 패널 (어퍼 부재)
84 : 로어 패널 (로어 부재)
86 : 연성 부재
88 : 연성 부재
90 : 체결 세트

Claims (7)

  1. 차체에 복수의 제 1 체결부를 개재하여 체결 고정된 섬유 강화 수지제의 배터리 프레임과,
    상기 배터리 프레임에 복수의 제 2 체결부를 개재하여 체결 고정된 전지와,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2 체결부 사이에 가설된 연성 부재를 갖는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부재는, 인접하는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2 체결부 사이에 가설되어 있는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2 체결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체결 세트는, 차체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으로 이간되어 있고,
    상기 연성 부재는, 상기 복수의 체결 세트를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차폭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2 체결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체결 세트는, 차체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으로 이간되어 있고,
    상기 연성 부재는, 상기 복수의 체결 세트를 차체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부재는,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프레임은, 각각의 외주부가 서로 접합됨으로써 폐단면을 구성하는 배터리 프레임 어퍼와 배터리 프레임 로어를 갖고 있고,
    상기 연성 부재는, 상기 폐단면 내에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부재는, 각각의 플랜지부가 서로 접합됨으로써 폐단면을 구성하는 어퍼 부재와 로어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외주부측에 있어서의 상기 어퍼 부재의 플랜지부와 상기 로어 부재의 플랜지부가, 상기 배터리 프레임 어퍼의 외주부와 상기 배터리 프레임 로어의 외주부 사이에 끼워져 서로 접합되어 있는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
KR1020157018321A 2013-01-09 2013-01-09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 KR101645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50244 WO2014109024A1 (ja) 2013-01-09 2013-01-09 車両用電池搭載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709A true KR20150094709A (ko) 2015-08-19
KR101645147B1 KR101645147B1 (ko) 2016-08-02

Family

ID=5116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321A KR101645147B1 (ko) 2013-01-09 2013-01-09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694772B2 (ko)
EP (1) EP2945203B1 (ko)
JP (1) JP5975116B2 (ko)
KR (1) KR101645147B1 (ko)
CN (1) CN104919619B (ko)
CA (1) CA2897705C (ko)
RU (1) RU2601989C1 (ko)
WO (1) WO2014109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4334B2 (ja) * 2013-12-25 2016-05-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異種材料の接合構造
JP5971235B2 (ja) * 2013-12-25 2016-08-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フレーム及び車両用電池搭載構造
JP6171946B2 (ja) * 2014-01-22 2017-08-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を搭載した自動車
DE102014108160A1 (de) * 2014-06-11 2015-12-1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Unterboden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JP6492734B2 (ja) * 2015-02-17 2019-04-0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パック
DE102016203209B4 (de) * 2016-02-29 2020-1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Zumindest teilweise elektrisch betreibbares Kraftfahrzeug
JP6255438B2 (ja) * 2016-03-17 2017-1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ユニット及び車両
JP6536512B2 (ja) * 2016-07-29 2019-07-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後部構造
WO2018033880A2 (en) 2016-08-17 2018-02-22 Shape Corp. Battery support and protection structure for a vehicle
WO2018127832A1 (en) 2017-01-04 2018-07-12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structure with nodal modularity
JP6686948B2 (ja) * 2017-03-23 2020-04-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WO2018213306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WO2018213475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Polarized battery tray for a vehicle
WO2018213383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integrated battery retention and support features
JP6891675B2 (ja) * 2017-07-05 2021-06-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搭載構造
CN111108015A (zh) 2017-09-13 2020-05-05 形状集团 具有管状外围壁的车辆电池托盘
CN111201155A (zh) 2017-10-04 2020-05-26 形状集团 用于电动车辆的电池托盘底板组件
DE102017221260A1 (de) * 2017-11-28 2019-05-29 Thyssenkrupp Ag Batteriegehäuse für ein Fahrzeug und Verwendung
WO2019169080A1 (en) 2018-03-01 2019-09-06 Shape Corp. Cooling system integrated with vehicle battery tray
US11688910B2 (en) 2018-03-15 2023-06-27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US11059361B2 (en) * 2018-09-04 2021-07-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gh voltage battery pack support and isolation for electrified vehicles
JP7107147B2 (ja) * 2018-10-03 2022-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ケース
JP6797875B2 (ja) * 2018-10-03 2020-12-09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7062604B2 (ja) * 2019-02-12 2022-05-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モジュー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6937A (ja) * 1999-12-15 2001-08-31 Toyota Motor Corp 電池パック
JP2001283938A (ja) * 2000-04-03 2001-10-12 Toyota Motor Corp 電源装置
JP3606415B2 (ja) * 1996-11-27 2005-01-05 スズキ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トレー
JP2006236826A (ja) * 2005-02-25 2006-09-07 Toyota Motor Corp 電池パ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5357A (ja) * 1992-10-06 1994-04-26 Toyota Motor Corp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保持構造
US6085854A (en) * 1994-12-13 2000-07-11 Nissan Motor Co., Ltd. Battery frame structure for electric motorcar
FR2813253B1 (fr) * 2000-08-25 2002-11-01 Renault Agencement de securite pour le montage d'une batterie
JP2006182295A (ja) * 2004-12-28 2006-07-13 Honda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車体構造
JP4749774B2 (ja) * 2005-06-16 2011-08-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組電池
JP4684977B2 (ja) 2006-10-06 2011-05-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搭載構造
JP5173182B2 (ja) * 2006-11-13 2013-03-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ユニット
JP5326221B2 (ja) 2007-04-26 2013-10-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装置
JP5151363B2 (ja) * 2007-09-28 2013-02-2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ケース
CN102481831B (zh) * 2009-05-28 2015-06-1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燃料电池系统以及车辆
JP4924684B2 (ja) 2009-09-15 2012-04-2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5408441B2 (ja) * 2010-01-18 2014-02-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ケース
JP5541100B2 (ja) 2010-11-10 2014-07-0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トレー
JP5926123B2 (ja) * 2012-06-06 2016-05-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JP6070046B2 (ja) * 2012-10-16 2017-02-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搭載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6415B2 (ja) * 1996-11-27 2005-01-05 スズキ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トレー
JP2001236937A (ja) * 1999-12-15 2001-08-31 Toyota Motor Corp 電池パック
JP2001283938A (ja) * 2000-04-03 2001-10-12 Toyota Motor Corp 電源装置
JP2006236826A (ja) * 2005-02-25 2006-09-07 Toyota Motor Corp 電池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5203A4 (en) 2015-12-23
CA2897705C (en) 2018-02-13
JP5975116B2 (ja) 2016-08-23
EP2945203A1 (en) 2015-11-18
RU2601989C1 (ru) 2016-11-10
JPWO2014109024A1 (ja) 2017-01-19
US9694772B2 (en) 2017-07-04
CN104919619B (zh) 2017-07-18
US20150343971A1 (en) 2015-12-03
WO2014109024A1 (ja) 2014-07-17
CA2897705A1 (en) 2014-07-17
BR112015016373A2 (pt) 2017-07-11
EP2945203B1 (en) 2017-08-16
CN104919619A (zh) 2015-09-16
KR101645147B1 (ko) 201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147B1 (ko) 차량용 전지 탑재 구조
CN108058745B (zh) 车辆下部结构
US9896131B2 (en) Vehicle floor portion structure
EP2578476B1 (en) Structure for vehicle body front portion
AU2017254973A1 (en) Vehicle lower section structure
WO2014061109A1 (ja) 車両用電池搭載構造
US20130118824A1 (en) Structure for vehicle body lower portion
JP2015003715A (ja) 車両用電池搭載構造
JP2014080116A (ja) 車両用電池搭載構造
KR20080089229A (ko) 차체 구조
US8733822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EP3626586B1 (en) Suspension sub frame structure
CN110733578B (zh) 车辆后部构造
JP2014080117A (ja) 車両用電池搭載構造
CN215361572U (zh) 车身结构
JP2018199471A (ja) 車体前部構造
CN109895855B (zh) 车身构造
US20200298915A1 (en) Vehicle lower portion structure
CN112739610B (zh) 车身下部结构
JP2018202886A (ja) 車両の下部構造体
CN108100043B (zh) 后车身结构
US11214315B2 (en) Underbody structure of vehicle
CN109895857B (zh) 车身构造
JP2020044872A (ja) 車両の下部構造
JP2014091346A (ja) 車両後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