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5006A - 이앙기 - Google Patents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5006A
KR20150085006A KR1020157015602A KR20157015602A KR20150085006A KR 20150085006 A KR20150085006 A KR 20150085006A KR 1020157015602 A KR1020157015602 A KR 1020157015602A KR 20157015602 A KR20157015602 A KR 20157015602A KR 20150085006 A KR20150085006 A KR 20150085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haft
link mechanism
operation lev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5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504B1 (ko
Inventor
케이시 키누타
야스타카 히키다
유키노리 키무라
카즈키 카나타니
사토루 오카다
히데히로 유키
료우헤이 노가미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5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14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drawn by animals or tractors
    • A01B63/24Tools or tool-holders adjustable relatively to the frame
    • A01B63/26Tools or tool-holders adjustable relatively to the frame by man-pow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정지 장치의 작업중에, 접지부로부터 급격히 정지 장치가 밀어 올려진 경우에도 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이앙기(1)는 개자리 정지용 정지 장치(20)를 구비한다. 정지 장치(20)는, 식부부(4)에 마련되는 지지 링크 기구(30)를 통하여 정지 장치(20)를 승강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40)를 포함하고, 조작 레버(40)는 조작 레버(40)의 조작에 상관없이 정지 장치(20)의 승강측으로의 이동을 허용한다.

Description

이앙기{RICE TRANSPLANTER}
본 발명은, 이앙기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28598호 공보에 개시되는 이앙기의 정지(整地) 장치는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에 장착되는 정지 로터와, 상기 구동축과 식부(植付)부 사이에 개재되어 마련되는 보강 스테이와, 상기 정지 로터의 높이(작업 위치)를 승강 조작하는 조작 레버를 구비한다.
이앙기의 작업 주행중에 정지 장치에 돌이나 이물이 충돌하여 정지 장치의 정지 로터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보강 스테이의 지지에 의해 상기 정지 로터가 휘어짐으로써 파손을 방지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28598호 공보
그러나, 정지 로터는 조작 레버의 승강 조작이 없으면 작업하고 있는(설정된) 높이 위치로부터 상승하지 않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한 외력이 가해진 경우, 예를 들면 개자리가 딱딱하거나 상방이 돌출되어 정지 로터가 급격히 밀어 올려진 경우에 정지 로터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정지 장치의 작업중에 접지부로부터 급격히 정지 장치가 밀어 올려진 경우에도 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으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개자리 정지용 정지 장치를 구비하는 이앙기로서, 상기 정지 장치는 식부부에 마련되는 지지 링크 기구를 통하여 상기 식부부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지지 링크 기구는 상기 지지 링크 기구를 통하여 상기 정지 장치를 승강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상관없이 정지 장치의 상승측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링크 기구는 상기 정지 장치의 연장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정지 장치를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회동 베이스부는 상기 회전축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회동 베이스부에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 베이스부의 상방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접촉 브래킷과, 상기 회동 베이스부와 상기 접촉 브래킷을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탄성 부재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 링크 기구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하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 링크는 후륜의 후방으로서 상기 식부부의 플로트의 전방에 배치됨과 함께 그 앞면에 진흙 방지판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이앙기에 의하면, 정지 장치의 작업중에 접지부로부터 급격하게 정지 장치가 밀어 올려진 경우에도 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이앙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조작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조작 레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정지 장치에 큰 하중이 작용한 경우의 접촉 브래킷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진흙 방지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식부부의 좌우 경사를 제어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모종 연결 작업시의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8은 식부부의 좌우 경사를 제어하는 구성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로우 패스 필터를 이용하여 주행부의 경사 센서의 검출값을 필터링했을 때의 검출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식부 전동 케이스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1은 식부 전동 케이스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식부조 멈춤 클러치의 모터 유닛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모터 유닛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14는 팔(八)자 형태의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팔자 형태의 정지 장치의 정지 전동 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센터 플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앙기(1)는 엔진(2), 동력 전달부(3), 식부부(4) 및 승강부(5)를 구비한다. 식부부(4)는 승강부(5)를 통하여 기체에 연결되어 있고, 승강부(5)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다. 식부부(4)에는 동력 전달부(3)를 통하여 엔진(2)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된다. 이앙기(1)는 엔진(2)의 구동에 의해 주행하면서 식부부(4)에 의해 포장(圃場, 이하 '논밭'이라고 함)에 모종을 심는다.
엔진(2)으로부터의 구동력은, 동력 전달부(3)에서 트랜스미션(6)을 통하여 PTO축(7)에 전달된다. PTO축(7)은 트랜스미션(6)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된다. PTO축(7)으로부터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하여 식부 전동 케이스(8)에 동력이 전달되어 식부부(4)가 구동된다. 또한, 트랜스미션(6)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구동축(9)이 마련되고, 구동축(9)으로부터 리어 액슬 케이스(10)에 구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리어 액슬 케이스(10)로부터 개자리 정지용 정지 장치(20)에 동력이 전달된다.
식부부(4)에서의 식부 위치 전방에는 복수의 플로트(14)가 배치된다. 식부부(4)에서 플로트(14)의 전방에 정지 장치(20)가 배치되어 있다.
[정지 장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지 장치(20)는 지지 링크 기구(30)를 통하여, 식부부(4)를 지지하는 식부 프레임(15)에 장착된다. 지지 링크 기구(30)는 정지 장치(20)를 식부부(4)에 대하여 승강(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즉, 정지 장치(20)는 지지 링크 기구(30)의 승강에 따라 식부부(4)에 대한 높이를 변경 가능하다.
지지 링크 기구(30)는 정지 장치(20)의 연장 방향(식부 프레임(15)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회전축(31), 회전축(31)의 양단에 고정되는 아암(32), 아암(32)과 정지 장치(20)를 접속함과 함께 정지 장치(20)를 지지하는 상하 링크(33) 및 상하 링크(33)의 하단과 식부 프레임(15)을 접속하는 보조 아암(34)을 구비한다.
회전축(31)은 양단부에서 지지 아암(35)을 통하여 식부 프레임(1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지지 링크 기구(30)는 회전축(31)의 회동에 수반하여 아암(32)이 회동해 상하 링크(33)가 상하 이동함으로써 정지 장치(20)의 식부 프레임(15)(식부부(4))에 대한 높이를 변경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31)의 중앙에는 회전축(31)을 회동 조작(지지 링크 기구(30)를 승강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40)가 마련된다. 조작 레버(40)의 회동 베이스부(41)는 회전축(3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동 베이스부(41)는 회전축(31)으로부터 지름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회동 베이스부(41)는 회전축(31)에 고정되는 접촉 브래킷(42)에 의해 하방을 향하여 바이어스되고 있다. 접촉 브래킷(42)은 회동 베이스부(41)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접촉한다. 접촉 브래킷(42)과 회동 베이스부(41) 사이에는 비틀림 스프링(43)이 마련된다. 비틀림 스프링(43)은 회전축(31)에 감기며 일단은 회동 베이스부(41)에, 타단은 접촉 브래킷(42)에 각각 고정된다. 비틀림 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 브래킷(42)과 회동 베이스부(41)가 서로 접촉하는 방향을 향하여 바이어스되고 있다. 즉, 조작 레버(40)는 회동 베이스부(41) 및 접촉 브래킷(42)을 통하여 회전축(31)과 연결되며, 조작 레버(40)의 회동 조작이 회전축(31)에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40)의 측방에는, 조작 레버(40)의 회동 위치를 유지하는 유지 브래킷(45)이 마련된다. 유지 브래킷(45)은 식부 프레임(15)에 고정된다. 유지 브래킷(45)에는 복수의 걸림 홈(45a)이 각각 소정의 높이로 마련되어 있다. 걸림 홈(45a) 하나와 조작 레버(40)의 중간부에 장착되는 걸림판(40a)이 걸림으로써, 조작 레버(40)의 회동 위치가 유지되고 정지 장치(20)의 높이가 결정된다.
조작 레버(40)의 회동 베이스부(41)와 유지 브래킷(45)의 하단은 스프링(46)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스프링(46)에 의해 조작 레버(40)가 상방을 향해 회동하도록 바이어스된다. 즉, 걸림판(40a)을 걸림 홈(45a)으로부터 빼면, 스프링(46)의 바이어스력은 조작 레버(40)가 상방을 향해 회동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또한, 조작 레버(40)는 복귀 스프링(47)에 의해 유지 브래킷(45)측으로 바이어스되고 있다. 이에 따라, 조작 레버(40)의 걸림판(40a)과 유지 브래킷(45)의 걸림 홈(45a)과의 걸림 상태가 유지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돌출된 딱딱한 개자리를 통과하는 경우 등, 정지 장치(20)에 상방을 향한 하중이 가해진 경우, 정지 장치(20)가 상방을 향해 이동하려고 한다. 그리고, 그 하중은 상하 링크(33)를 통하여 회전축(31)에 회전력으로서 전달된다.
회전축(31)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비틀림 스프링(43)의 탄성력보다 큰 경우, 즉 큰 하중이 정지 장치(20)에 작용하는 경우에는 접촉 브래킷(42)이 조작 레버(40)의 회동 베이스부(41)로부터 멀어짐으로써, 조작 레버(40)의 유지 위치에 상관없이 정지 장치(2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40)에 의해 결정되는 정지 장치(20)의 높이를 유지하면서, 정지 장치(20)에 상방을 향한 큰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도 비틀림 스프링(43)의 탄성력에 따라 정지 장치(2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정지 장치(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이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노면 등의 딱딱한 노상의 주행중에 정지 장치(20)를 플로트(14)보다 낮춘 상태(식부부(4)를 최대 하강시킨 상태)에서 정지 장치(20)가 노면과 접촉하여도 정지 장치(20)의 상승측으로의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43)의 탄성 계수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정지 장치(20)와 논밭의 접지 하중을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논밭 조건, 식부 조건 등에 따라 최적의 접지 하중을 선택 가능하다.
또한, 지지 링크 기구(30)의 회전축(31)과 조작 레버(40)의 회동 베이스부(41)를 동일축 상에 마련하고, 회전축(31)에 비틀림 스프링(43)을 더 마련함으로써 장치 구성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링크(33)는 후륜(11)과 플로트(14)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상하 링크(33)의 하부 앞면에는 진흙 방지판(36)이 마련된다. 진흙 방지판(36)은 상부가 후방을 향해 절곡되는 판상 부재이며, 후륜에 의해 튀어 오르는 진흙이 플로트(14)에 걸리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그 경사 형상에 의해 튀어 오른 진흙을 정지 장치(20)의 전방에 떨어뜨림으로써 식부 작업시 진흙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모종 연결 작업시의 제어]
식부부(4)는 승강부(5)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기체(機體) 폭 방향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경사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통상 작업시에는 논밭의 경사에 따른 기체 주행부의 좌우 경사를 경사 센서(53)로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 등을 이용하여 식부부(4)의 좌우 방향의 경사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식부부(4)를 논밭의 경사에 추종하여 경사시켜, 식부부(4)가 밭 면에 대하여 수평이 되도록 하는 수평 제어가 실행되고 있다.
모종 연결 작업시에는, 엔진 회전수가 아이들 회전수보다 낮아지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기체의 진동이 커진다. 이에 따라, 경사 센서(53)가 잘못 감지함으로써 식부부(4)의 경사 각도가 적절히 유지되지 않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종 연결 작업시의 경사 센서(53)에 의한 감지 결과를 적절히 처리하여 식부부(4)의 경사 각도를 적절히 유지하는 제어 구성을 제공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50)는 메인 변속 레버의 조작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스위치(51), 수평면에 대한 식부부(4)의 경사 각도를 설정하는 식부부 경사 설정 다이얼의 조작 위치를 감지하는 설정 스위치(52), 주행부의 좌우 경사를 감지하는 경사 센서(53) 및 식부부(4)의 좌우 경사를 감지하는 경사 센서(54)와 각각 접속된다. 제어 장치(50)에는, 설정 스위치(52)로부터는 설정값 A, 경사 센서(53)로부터는 검출값 B, 경사 센서(54)로부터는 검출값 C가 각각 입력된다.
제어 장치(50)에서, 설정값 A, 검출값 B 및 검출값 C에 따라 식부부(4)의 경사 각도를 결정하여 출력값 D를 출력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검출 스위치(51)가 모종 연결 위치를 검출한 경우, 설정 스위치(52)로부터 설정값 A를, 경사 센서(53)로부터 검출값 B를, 경사 센서(54)로부터 검출값 C를 각각 취득한다. 그리고, 검출값 B의 값을 중앙값으로서 고정한 다음, 출력값 D를 결정한다. 즉, 주행부의 좌우 경사에 관한 검출값 B를 중앙값으로서 정지한 상태로 입력함으로써, 엔진 진동에 기인하는 경사 센서(53)의 검출값 B의 변동을 무효화하여, 식부부(4)의 좌우 경사의 각도 변경에 영향이 없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종 연결 작업시에 엔진의 진동을 경사 센서(53)가 좌우 경사로서 잘못 감지하거나, 작업자가 기체 위를 이동하여 경사 센서(53)가 주행부의 경사를 잘못 감지하더라도, 식부부(4)의 설정 각도를 밭 면에 대하여 수평이 되도록 유지하여, 모종 연결 작업을 순조롭게 실시할 수가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 센서(53)로부터의 검출값 B를 필터링하는 로우 패스 필터(55)를 마련해도 된다. 로우 패스 필터(55)는 컷오프 주파수가 모종 연결 작업시의 저속 회전시 엔진 진동 주파수로서 설정되어, 엔진 진동에 기인하는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다.
이 경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우 패스 필터(55)를 통과한 후의 검출값 B1에서 맥동이 제거되어 엔진 진동에 기인하는 경사 센서(53)의 오작동을 회피할 수 있다. 특히, 경사 센서(53)에 의한 감지 결과를 무효로 하지 않고, 예를 들면 주행부가 완만하게 기운 경우에는 그 경사에 대하여 적절한 경사 각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50)는, 위치 검출 스위치(51)에 의해 메인 변속 레버가 모종 연결 위치로 조작된 것을 감지한 경우, 트랜스미션(6)의 변속 장치의 변속단을 중립으로 하거나 메인 클러치를 떼는 제동 장치의 작동 중 적어도 하나를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전후륜을 정지시켜 모종 연결 작업을 보다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한편, 위치 검출 스위치(51)에 의해 모종 연결 위치를 감지한 경우, 식부부(4)의 수평 제어를 정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식부 전동 케이스의 지지 구조]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PTO 축(7)으로부터의 동력을 식부부(4)에 전달하는 식부 전동 케이스(8)는, 식부 프레임(15)에서 기체 폭 방향(좌우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상부 가이드 레일(61)과 하부 가이드 레일(62)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상부 가이드 레일(61)에 대하여 스테이(63)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테이(63)는 상부 가이드 레일(61)로의 장착측이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로 분기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스테이(63)의 상부와 상부 가이드 레일(61)의 장착 위치가 2지점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식부 전동 케이스(8)를 상부 가이드 레일(61)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동력의 출입에 의해 큰 부하가 가해지는 식부 전동 케이스(8)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이앙기(1)의 조 수에 따라 상부 가이드 레일(61)을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우에는, 스테이(63)에 걸리는 연장 부분에 대한 고정부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부 전동 케이스(8)의 하부는 브래킷(64)을 통하여 하부 가이드 레일(62)에 고정된다. 그리고, 식부 전동 케이스(8)의 앞부분은 축받이통(65)을 개재하여 식부부(4)를 좌우 경사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링 지점축(66)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중량을 가지며 동력의 출입에 의해 큰 부하가 가해지는 식부 전동 케이스(8)를, 스테이(63)를 통하여 상부 가이드 레일(61)에 2지점 이상, 하부 가이드 레일(62) 및 롤링 지점축(66)에서 모두 적어도 4지점 이상 지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고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식부조 멈춤 클러치]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부조 멈춤 클러치는 각 식부조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동력 전달을 조절하는 유닛 클러치로 이루어지고, 각 유닛 클러치는 각각 와이어(21)를 통하여 모터 유닛(22)에 접속된다. 각 식부조가 배치되는 각 로터리 케이스의 회전축은, 각 유닛 클러치를 개재하여 식부조 구동축에 연동 연결되어 있고, 각 유닛 클러치에 의해 식부조 구동축으로부터 회전축으로 동력 전달이 조절된다.
식부조 멈춤 클러치는 모터 유닛(22)의 모터 구동에 의해 와이어(21)의 슬라이딩을 통하여 각 유닛 클러치가 작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모터 유닛(22)은 모종판 적재대(12) 앞면의 대략 중앙 상부에서 상부 횡프레임(13)에 브래킷을 통하여 볼트 체결 등에 의해 장착된다.
식부조 멈춤 클러치는,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6조식 이앙기(1)의 식부부(4)에 있어서, 각 2조마다 유닛 클러치를 조절하여 이앙기(1)가 논밭의 구석 등에서 모종을 심을 때 불필요한 옮겨심기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모터 유닛(22)에 의해 각 유닛 클러치에 연결된 와이어(21)를 밀고 당겨 조작하여 조 멈춤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모터 유닛(22)의 캠(26)은 스테이 부재(29)에 볼트에 의해 장착된 전기 모터 장치(28)에 의해 제어 구동된다. 상기 유닛 클러치는 링크 부재(25)를 통하여 캠(26)에 의한 리프트로 와이어(21)를 밀고 당겨 조작된다. 상기 캠(26)에는 기어(27)가 마련되고, 상기 캠(26)과 기어(27)는 일체로 볼트로 고정되어 중심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중심 회동축은 스테이 부재(29) 등을 통하여 모종판 적재대(12)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모터 유닛(22)과 각 유닛 클러치를 접속하는 와이어(21)의 접속 길이는 각각의 와이어(21)의 길이가 대략 동일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와이어(21)의 접속을 돌출된 길이로 마련할 필요가 없고, 와이어(21)의 뒤틀림이나 손상을 방지함과 함께 메인테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각 유닛 클러치에 대한 응답성을 거의 균등하게 할 수 있다.
[팔(八)자 형태의 정지 장치]
도 14에 나타내는 정지 장치(50)는 중앙이 전방에 배치되고 중앙으로부터 양측방을 향함에 따라 각각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즉, 중앙부가 다른 부위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면에서 보면, 정지 장치(50)는 팔(八)자 형태로 배치된다. 정지 장치(50)의 중앙에는 정지 전동 케이스(74)가 배치되어 중앙으로부터 양측방에 동력이 전달된다. 그리고, 팔자 형태의 정지 장치(50)는 식부부(4)의 앞부분으로서, 센터 플로트(14A)와 사이드 플로트(14B)로 이루어지는 플로트(14)의 전방에 마련되어 있다. 구동축(9)으로부터의 동력의 일부가 리어 액슬 케이스(10)를 통하여 정지 전동축(71)으로 분기되고, 정지 전동축(71)으로부터 유니버설 조인트(72), 입력축(73) 및 정지 전동 케이스(74)를 통하여 양 측방을 향해 연장되는 구동축(75)으로 전달된다. 각 구동축(75)에는, 복수의 로터(76)가 고정되며 구동축(75)의 회전 구동에 의해 로터(76)가 회전하여 논밭이 정지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지 전동 케이스(74) 내에는, 입력축(43), 아이들러축(80) 및 구동축(75)이 배치된다. 입력축(73)의 단부에는, 베벨 기어(51)가 고정된다. 이 베벨 기어(81)는 아이들러 축(80)의 중간부에 고정되는 베벨 기어(82)와 맞물린다. 아이들러 축(80)의 양단부에는 테이퍼 기어(83)가 배치된다. 테이퍼 기어(83)는 구동축(75)의 단부에 마련되는 평 기어(84)와 서로 맞물린다.
이와 같이, 정지 장치(50)의 구동계에 있어서는, 정지 전동 케이스(74)를 중앙에 배치하고, 그것을 기점으로 좌우 양측방의 구동축(75)을 후방으로 경사시키고 있다. 그래서, 정지 전동 케이스(74)에서는, 입력축(73)을 중심으로 하여 측방에 구동축(75)이 배치되고 입력축(73)과 구동축(75) 사이에 아이들러 축(80)을 배치함으로써, 양 측방에 구동축(75)의 회전 방향을 동일 방향으로 하고 있다.
아이들러 축(80)은 입력축(73)의 후방에 배치되고, 아이들러 축(80)은 구동축(75)에 대하여 후방측으로부터 맞물려 있다.
이와 같이, 아이들러 축(80)을 배치함으로써 입력축(73)의 위치를 후방에 바싹 댈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지 전동 케이스(74)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정지되지 않는 구간(이하, 부정지(不整地) 구간이라 함)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지 전동 케이스(74) 내에 있어서, 좌우에 배치되는 구동축(75)의 중심축의 교차점(Q)이 입력축(73)의 중간부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교차점(Q)보다 후측에서 입력축(73)의 베벨 기어(81)와 아이들러 축(80)의 베벨 기어(82)가 맞물리게 되어, 정지 전동 케이스(74)의 전후 방향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아이들러 축(80)을 입력축(73) 및 구동축(75·75)의 후방에 오프셋 시켜 배치함으로써, 정지 전동 케이스(74)의 좌우 방향의 폭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지 전동 케이스(74)는 전후 방향의 폭을 작게 하면서 좌우 방향의 폭도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정지 장치(50)를 팔자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로터(76)에 의해 발생하는 물의 흐름을 내측을 향하게 할 수 있어, 이앙기(1)의 측방(인접 모종)으로 진흙이 흘러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 이식한 인접 모종의 옆을 통과할 때 진흙의 흐름에 의해 쓰러지는 단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지 장치(50)를 경사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진행 방향과 정지 장치(50)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게 할 수 있어, 이물 등이 로터(76)로 맞물려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앙기(1)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정지하게 되어, 진행 방향에서 보면 인접하는 로터(76)가 일부 겹쳐진 상태로 정지 작업을 행하기 때문에, 부정지 구간을 적게 할 수 있어 보다 균일하게 균일화할 수 있다. 한편, 정지 전동 케이스(74)의 후방에 정지용 레이크를 별체로 장착함으로써 부정지 구간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지 장치(50)를 상면에서 보아 팔자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센터 플로트(14A)의 전방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공간을 이용하여 센터 플로트(14A)를 정지 장치(50)의 중앙을 향하여 이동시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센터 플로트(14A)를 전방에 배치함으로써 플로트에 의한 센싱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정지 장치(5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이용하여, 센터 플로트(14A)를 전방으로 연장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러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플로트에 의한 센싱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정지 장치(50)에 대한 동력 입력 위치는 엄밀하게 중앙일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정지 전동축(71)이 후방을 향하여 직선이 되고, 또한 유니버설 조인트(72)의 접힘각이 가장 작아지는 위치에 입력축(73)을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폭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약간 좌우 어느 쪽이 어긋나 있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은 개자리 정지용 정지 장치를 구비한 이앙기로 이용 가능하다.
1: 이앙기 4: 식부부
14:플로트 20:정지 장치
30:지지 링크 기구 36:진흙 방지판
40:조작 레버 42:접촉 브래킷

Claims (3)

  1. 개자리 정지(整地)용 정지 장치를 구비하는 이앙기로서,
    상기 정지 장치는 식부(植付)부에 마련되는 지지 링크 기구를 통하여 상기 식부부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지지 링크 기구는 상기 지지 링크 기구를 통하여 상기 정지 장치를 승강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상관없이 정지 장치의 상승측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링크 기구는 상기 정지 장치의 연장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정지 장치를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회동 베이스부는 상기 회전축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회동 베이스부에,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 베이스부의 상방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접촉 브래킷과, 상기 회동 베이스부와 상기 접촉 브래킷을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탄성 부재가 마련되는 이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링크 기구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하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 링크는 후륜의 후방으로서 상기 식부부의 플로트의 전방에 배치됨과 함께 그 앞면에 진흙 방지판이 마련되는 이앙기.
KR1020157015602A 2012-11-21 2012-11-21 이앙기 KR101967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80243 WO2014080485A1 (ja) 2012-11-21 2012-11-21 田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006A true KR20150085006A (ko) 2015-07-22
KR101967504B1 KR101967504B1 (ko) 2019-04-09

Family

ID=5077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5602A KR101967504B1 (ko) 2012-11-21 2012-11-21 이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67504B1 (ko)
CN (1) CN104812233B (ko)
WO (1) WO20140804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66166A (zh) * 2016-04-16 2016-07-20 潍坊同方机械有限公司 四驱插秧机
IT201600091430A1 (it) * 2016-09-09 2018-03-09 Prinoth Spa Veicolo battipista
CN108307746B (zh) * 2018-04-09 2023-09-29 安徽农业大学 一种无人驾驶插秧机栽插离合手柄自动换档装置及其控制方法
CN109348798B (zh) * 2018-12-18 2023-09-22 重庆科技学院 一种多用途地面实时自动仿形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66803U (ko) * 1987-10-23 1989-04-28
JP2005095017A (ja) * 2003-09-22 2005-04-14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JP2008228598A (ja) 2007-03-17 2008-10-02 Yanmar Co Ltd 田植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3359B2 (ja) * 1999-03-25 2003-09-02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JP4389122B2 (ja) * 2006-02-27 2009-12-24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66803U (ko) * 1987-10-23 1989-04-28
JP2005095017A (ja) * 2003-09-22 2005-04-14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JP2008228598A (ja) 2007-03-17 2008-10-02 Yanmar Co Ltd 田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12233A (zh) 2015-07-29
WO2014080485A1 (ja) 2014-05-30
KR101967504B1 (ko) 2019-04-09
CN104812233B (zh) 201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7504B1 (ko) 이앙기
JP4194094B2 (ja) 作業車の運転部構造
JP2007252319A (ja) 農作業機
CN102701813B (zh) 肥料翻抛机
JP2007252319A5 (ko)
KR20120030350A (ko) 주행차량
JP5418537B2 (ja) 乗用田植機
JP4646798B2 (ja) 移植機
JP2006273286A (ja) モーアの旋回操作装置
JP2007174932A (ja) 対地作業装置付き苗移植機
JP5808280B2 (ja) 走行車両
JP5867558B2 (ja) 乗用田植機
JP2020089336A (ja) 乗用芝刈機
JP4893701B2 (ja) 乗用田植機
JP2010124764A (ja) コンバインの操作装置
JP4241738B2 (ja) 農作業機
JP2016015956A (ja) 移植機
JP2007261579A (ja) 水田作業機
JP5888291B2 (ja) 乗用田植機
JP6444637B2 (ja) 移植機
JP2003054274A (ja) 乗用型作業車
JP2012152194A (ja) 刈取装置
JP4798129B2 (ja) 農作業機
JP5862239B2 (ja) 雪下野菜収穫方法及び収穫装置
CN102355810B (zh) 乘用型农用作业机及作为其一例的乘用型插秧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