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257A - 파렛트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파렛트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257A
KR20150065257A KR1020130150375A KR20130150375A KR20150065257A KR 20150065257 A KR20150065257 A KR 20150065257A KR 1020130150375 A KR1020130150375 A KR 1020130150375A KR 20130150375 A KR20130150375 A KR 20130150375A KR 20150065257 A KR20150065257 A KR 20150065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lifting
stalk
seating tabl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0032B1 (ko
Inventor
김종구
변상수
손윤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30150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032B1/ko
Publication of KR20150065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2Horizontal loading or unloading platforms
    • B65G69/24Horizontal loading or unloading platforms having platform level adjus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파렛트 승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파렛트 승강장치는, 출하라인이 배치되는 제1 바닥면과 핸드 파렛트 트럭으로 파렛트 운반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바닥면 사이에 함몰 형성된 비트 바닥면에 배치되어, 출하라인 상의 파렛트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에서 파렛트가 상부에 로딩되면 파렛트를 승하강시키는 파렛트 승강유닛; 및 파렛트 승강유닛에 연결되어, 파렛트가 미리 결정된 높이에 위치되면 상기 파렛트가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파렛트를 비트 바닥면에 대해 이격되게 지지하는 파렛트 하강스토퍼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파렛트 승강장치{Pallet lif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파렛트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게차 진입이 불가한 곳에서 핸드 파렛트 트럭을 활용하여 물류품들을 이송할 수 있도록 물류 자동화 라인의 컨베이어 상에서 물류품이 적재된 파렛트를 바닥면 높이로 하강시킬 수 있는 파렛트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렛트(pallet)는 물품을 일정한 수량 단위로 적재하여 하역, 수송, 보관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받침대를 일컫는다. 하역운반작업에 사용하는 파렛트는 적재하는 화물의 중량에 따른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고, 심한 손상ㆍ변형 또는 부식이 없는 것이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파렛트는 목재가 많이 사용되지만(목재 파렛트는 규격이 KS에 규정되어 있다.) 물품의 종류, 하역기계, 기구 작업방법 등에 의해서 금속재, 플라스틱재의 것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형상도 다양하다.
이러한 파렛트 위에 물품들을 적재하고 운반할 때는 지게차의 포크를 파렛트 아랫면에 끼우고 들어올려서 운반하도록 되어 있다.
파렛트작업은 인력하역을 줄이고 기계하역으로 전환하는 유효한 수단이며 작업을 표준화하는데 유익하다. 이 때문에 물류 자동화 라인 중 출하라인에도 물품들을 규격화하여 적재할 수 있고 기계하역이 편리한 파렛트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물류를 관리, 보관하는 물류 창고는 많은 양의 물류를 처리하고 공간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복층 구조를 갖는 경우가 많다. 또한, 기계, 전자 제품들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인 라인(In-Line) 형태의 생산 라인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에 따라 출하라인이 복층 또는 층간에 있어 바닥면이 약해 지게차를 운용할 수 없거나 지게차가 진입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물품이 적재된 파렛트가 출하라인의 컨베이어를 따라 하역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별도의 승강장치를 이용하거나 수작업으로 물품을 바닥에 내리고 핸드 파렛트 트럭을 이용해 물품들을 출하시키게 된다.
이때, 핸드 파렛트 트럭을 손쉽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파렛트가 바닥면에 수평하게 놓여야 하는데, 수작업으로 하거나 일반적인 승강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파렛트를 바닥면에 놓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고 핸드 파렛트 트럭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위치에 파렛트가 내려져 출하라인의 물류 운송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1997-0003061 삼성전자 주식회사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게차 진입이 불가한 곳에 설치된 물류 자동화 라인의 컨베이어 상에서 물류품이 적재된 파렛트를 바닥면 높이로 하강시켜 핸드 파렛트 트럭을 활용하여 손쉽게 물류품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파렛트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출하라인이 배치되는 제1 바닥면과 핸드 파렛트 트럭으로 파렛트 운반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바닥면 사이에 함몰 형성된 비트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출하라인 상의 파렛트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에서 상기 파렛트가 상부에 로딩되면 상기 파렛트를 승하강시키는 파렛트 승강유닛; 및 상기 파렛트 승강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파렛트가 미리 결정된 높이에 위치되면 상기 파렛트가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상기 파렛트를 상기 비트 바닥면에 대해 이격되게 지지하는 파렛트 하강스토퍼유닛을 포함하는 파렛트 승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파렛트 승강유닛은, 상기 비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상하로 접근 또는 이격되게 마련되는 승강테이블; 및 상기 승강테이블을 승하강되게 구동시키는 테이블 승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렛트 하강스토퍼유닛은, 상기 승강테이블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테이블의 상승 시 상기 승강테이블에 지지되며, 상기 승강테이블의 하강 시 상기 제2 바닥면과 수평한 높이에서 상기 파렛트가 안착되는 파렛트 안착테이블; 및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에 결합되어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의 상면이 상기 제2 바닥면과 수평이 되도록 상기 비트 바닥면에 대해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을 이격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테이블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테이블과 일체로 승하강되며,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에 돌출 및 인입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승 시 상기 출하라인의 상기 컨베이어와 이웃하게 배치된 때, 상기 파렛트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파렛트 수평이송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에는 상기 파렛트 수평이송유닛이 승하강 시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에 돌출 및 인입될 수 있는 터널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승강테이블의 측면에는 상기 스토바아가 삽입되는 통과공이 형성된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이 마련되며,
상기 스토바아는, 상기 통과공을 통해 상기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을 관통하며, 상기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의 상부로 돌출된 영역이 상기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의 상단에 지지되게 마련되어 승하강되는 상부스토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스토바아는,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의 하면을 지지하는 테이블지지패드; 상기 통과공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되어 상기 테이블지지패드에 결합되고 상기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에 삽입이 제한되는 삽입제한블럭; 및 상기 삽입제한블럭과 일체로 형성되며 몸체가 상기 통과공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테이블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컬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스토바아는, 상기 가이드컬럼의 말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컬럼보다 큰 직경을 갖는 풋베이스가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컬럼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테이블을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바아는, 상기 비트 바닥면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안착테이블을 지지하는 상기 상부스토바아가 하강 시 상기 상부스토바아와 접촉되어 상기 안착테이블이 제2 바닥면 아래로 하강하는 것을 저지하는 하부스토바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스토바아는, 상기 비트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스토바아와 접촉될 때 상기 상부스토바아와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토바아는,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을 사각구도로 지지하도록 상기 승강테이블의 양측부에 각각 2개를 한 쌍으로 두 쌍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파렛트 수평이송유닛은, 상기 승강테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승강테이블에 상호 대향되게 이격배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터널부를 통해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에 돌출 및 인입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체인벨트; 및 상기 한 쌍의 체인벨트에 동력을 제공하는 벨트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 승강모듈은,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승강테이블 사이에 마련되어 씨저 방식으로 접힘 또는 펼침 동작되어 상기 승강테이블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씨저아암부; 및 상기 씨저아암부에 연결되어 상기 씨저아암부를 접힘 또는 펼침 동작되게 가압하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은, 내부 개재되어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의 강도를 보강시키는 보강부재; 및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의 양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펜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게차 진입이 불가한 곳에 설치된 물류 자동화 라인의 컨베이어 상에서 물류품이 적재된 파렛트를 바닥면 높이로 하강시켜 핸드 파렛트용 트럭을 활용하여 손쉽게 물류품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승강장치에 출하라인의 컨베이어로부터 물류품이 적재된 파렛트가 상부에 로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파렛트 승강장치가 핸드 파렛트용 트럭을 파렛트 개구에 끼워넣을 수 있는 제2 바닥면과 수평한 높이로 파렛트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드 파렛트용 트럭의 진입방향에서 바라면 파렛트 승강장치의 측면 구조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도 3에서 파렛트가 파렛트 안착테이블에 안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파렛트 승강장치의 측면 구조도들이다.
도 6은 도 3의 승강테이블의 개략적인 부분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상부스토바아가 승강테이블의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체인벨트가 파렛트 안착테이블에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의 파렛트 안착테이블을 아래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부분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승강장치에 출하라인의 컨베이어로부터 물류품이 적재된 파렛트가 상부에 로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파렛트 승강장치가 핸드 파렛트용 트럭을 파렛트 개구에 끼워넣을 수 있는 제2 바닥면과 수평한 높이로 파렛트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드 파렛트용 트럭의 진입방향에서 바라면 파렛트 승강장치의 측면 구조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도 3에서 파렛트가 파렛트 안착테이블에 안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파렛트 승강장치의 측면 구조도들이고, 도 6은 도 3의 승강테이블의 개략적인 부분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상부스토바아가 승강테이블의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의 체인벨트가 파렛트 안착테이블에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고, 도 9는 도 3의 파렛트 안착테이블을 아래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부분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승강장치(1)는, 컨베이어(C)가 배치되는 제1 바닥면(L1)과 핸드 파렛트용 트럭(T)이 위치하는 제2 바닥면(L2) 사이에 함몰 형성된 비트 바닥면(B)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파렛트 승강장치(1)가 반드시 제1 바닥면(L1)과 제2 바닥면(L2) 사이에서 함몰 형성된 비트 바닥면(B)에 설치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본 발명의 파렛트 승강장치(1)는, 본 실시예와 달리, 제2 바닥면(L2)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부의 위치하는 파렛트(P)를 제2 바닥면(L2) 높이로 하강시킬 수 있는 단차가 형성된 바닥 구조를 갖는 작업 환경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렛트 승강장치(1)는, 이하의 실시예에서 물류품이 적재된 파렛트(P)의 이송을 위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물품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트레이나 일반적인 박스(box)를 비롯한 각종 다양한 물류품의 이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승강장치(1)는, 상부에 로딩되는 파렛트(P)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파렛트 승강유닛(10)과, 파렛트 승강유닛(10)에 결합되어 파렛트 승강유닛(10)과 함께 상승하여 출하라인의 컨베이어(C)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파렛트(P)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파렛트 수평이송유닛(20)과, 파렛트 수평이송유닛(20)과 간섭되지 않게 파렛트 승강유닛(10)에 연결되어 파렛트(P)가 미리 결정된 높이에 위치되면 파렛트(P)가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파렛트(P)를 비트 바닥면(B)에 대해 이격되게 지지하는 파렛트 하강스토퍼유닛(30)을 포함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승강유닛(10)은, 비트 바닥면(B)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5)과, 베이스프레임(15)에 대해 상하로 접근 또는 이격되게 마련되는 승강테이블(14)과, 승강테이블(14)을 승하강되게 구동시키는 테이블 승강모듈(11)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승강모듈(11)은, 베이스프레임(15)과 승강테이블(14) 사이에 마련되어 씨저(scissor) 방식으로 상하로 접힘 또는 펼침 동작되는 씨저아암부(12)와, 씨저아암부(12)에 연결되어 씨저아암부(12)를 접힘 또는 펼침 동작되게 구동시키는 엑츄에이터(13)를 포함한다.
씨저아암부(12)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X" 자형으로 교차되게 연결되는 2개의 링크아암(12a)을 한 쌍으로 2 쌍의 링크아암(12a)이 승강테이블(14)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상하로 접힘 또는 펼침 동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엑츄에이터(13)로는 유압실린더(13) 내지는 공압실린더(13)가 적용될 수 있다. 유압실린더(13)의 실린더로드는 2 쌍의 링크아암(12a)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2c)에 연결되고 본체는 어느 하나의 링크아암(12a)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실린더로드가 신장되면, 씨저아암부(12)가 펼침 동작되고 승강테이블(14)은 베이스프레임(15)에 대해 이격된다. 반대로 실린더로드가 수축되면, 씨저아암부(12)가 접힘 동작되고 승강테이블(14)은 베이스프레임(15)에 접근된다. 따라서, 씨저아암이 완전히 접힘되면 승강테이블(14)은 비트안으로 들어가게 되고 펼침되면 비트 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때, 씨저아암부(12)가 접힘 또는 펼침 동작됨에 따라 씨저아암부(12)의 폭이 조절될 수 있도록 "X" 자형으로 교차된 2개의 링크아암(12a)은 각각 베이스프레임(15) 및 승강테이블(14)에 일측부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롤러(12b)가 연결되어 베이스프레임(15)의 상면과 승강테이블(14)의 하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테이블 승강모듈(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씨저 방식으로 마련되어 있으나,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테이블 승강모듈(11)은 LM 가이드 방식, 벨트 구동 방식 등으로 승강테이블(14)을 업/다운(UP/DOWN) 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승강테이블(14)의 상면에는 파렛트 수평이송유닛(20)이 결합되어 있다. 파렛트 수평이송유닛(20)은 출하라인의 컨베이어(C)와 연계되어 컨베이어(C) 상의 파렛트(P)를 파렛트 승강장치(1)의 상부로 로딩시키는 역할을 한다.
파렛트 수평이송유닛(20)은 승강테이블(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테이블(14)에 상호 대향되게 이격배치되며, 상단부가 후술할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의 터널부(110)를 통해 돌출 및 인입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체인벨트(21)와, 한 쌍의 체인벨트(21)에 각각 동력을 제공하는 벨트구동부(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체인벨트(21)는 승강테이블(14)의 양측부에 마련되는 지지브라켓(14b)에 결합되어 승강테이블(14)과 함께 비트 안,밖으로 업/다운(UP/DOWN)된다.
여기서, 한 쌍의 체인벨트(21)가 상승하여 비트 밖으로 나오게 될 때는 후술할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의 터널부(110)를 통해 체인벨트(21)의 상단부가 파렛트 안착테이블(100) 위로 돌출되고, 하강하여 비트 안으로 들어가게 될 때는 파렛트 안착테이블(100) 아래로 인입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체인벨트(21)는 파렛트 승강유닛(10)에 의해 파렛트 안착테이블(100) 위로 돌출된 상태로 상승하여 출하라인의 컨베이어(C) 라인과 이웃하게 직결되게 배치된다. 그 다음, 벨트구동부(22)에 의해 체인벨트(21)의 풀리가 구동되면 출하라인 상의 물류품이 적재된 파렛트(P)가 컨베이어(C) 라인에서 체인벨트(21)를 타고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파렛트 승강장치(1)의 상부에 로딩된다. 이때, 체인벨트(21)는 파렛트(P)가 제2 바닥면(L2) 높이까지 하강했을 때, 핸드 파렛트용 트럭(T)으로 작업하기 용이한 위치까지 파렛트(P)를 이송시킨다.
참고로, 파렛트(P) 이송 중 컨베이어(C)와 체인벨트(21) 사이에서 걸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C) 라인과 체인벨트(21) 사이의 이격공간이 최소화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파렛트(P)가 체인벨트(21) 상의 해당위치에 위치되면, 벨트구동부(22)는 정지하고 파렛트(P)는 파렛트 승강유닛(10)의 하강 동작에 의해 체인벨트(21) 위에 지지된 상태로 하강하기 시작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바닥면(L2)에서 작업자가 핸드 파렛트용 트럭(T)을 파렛트(P)의 개구에 끼워넣기 위해서는 파렛트(P)가 제2 바닥면(L2)과 수평한 높이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파렛트 승강장지는, 파렛트(P) 하강 시 파렛트(P)가 제2 바닥면(L2)과 수평한 위치에서 파렛트(P)의 하강이 멈추도록 파렛트 하강스토퍼유닛(30)을 구비한다.
이러한 파렛트 하강스토퍼유닛(30)은(도 2, 도 4 내지 도 5 참조) 승강베이블의 상부에 배치되는 파렛트 안착테이블(100)과,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의 하면에 결합되어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의 상면이 제2 바닥면(L2)과 수평이 되도록 비트 바닥면(B)에 대해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을 이격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바아(200)를 포함한다.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은 평평한 지상에서 핸드 파렛트용 트럭(T)을 이용하여 파렛트(P)를 이송하는 것과 같은 작업 조건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파렛트(P) 안착테이블(10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비트 단면적에 대응되는 평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은 부분적으로 개구되어 전술한 체인벨트(21)가 돌출 및 인입될 수 있는 터널부(110)를 구비한다.
이러한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의 하면에는 후술할 상부스토바아(210)가 결합되고(도 6 내지 도 7 및 도 9 참조) 상부스토바아(210)는 승강테이블(14)의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14a)에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스토바아(210)는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14a)에 의해 지지되고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14a)에서 아래로는 빠지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승강테이블(14)이 상승 및 하강 시 파렛트 안착테이블(100)도 함께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다만,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은 후술할 상부스토바아(210)와 하부스토바아(220)의 접촉에 의해 제2 바닥면(L2) 아래로의 하강하는 것은 저지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체인벨트(21)는 파렛트 안착테이블(100) 하부에 마련되지만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의 터널부(110)를 통해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에 돌출 및 인입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이 승강테이블(14)과 함께 승하강 될 때에는 체인벨트(21)가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의 터널부(110)를 통해 파렛트 안착테이블(100) 위로 돌출되지만,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이 제2 바닥면(L2)과 수평한 높이에 위치되면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은 스토바아(200)에 의해 높이가 고정되고 승강테이블(14)과 승강테이블(14)에 결합된 체인벨트(21)는 파렛트 안착테이블(100)보다 더 아래로 하강하게 되면서 체인벨트(21)가 파렛트 안착테이블(100) 밑으로 인입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파렛트(P)는 제2 바닥면(L2)보다 높은 위치에서는 체인벨트(21)에 안착되지만, 제2 바닥면(L2)과 수평한 높이에서는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에 안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바닥면(L2)과 수평한 높이에서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에 파렛트(P)가 안착되게 되면, 지상에서 핸드 파렛트용 트럭(T)을 활용하여 파렛트(P)를 이송하는 것과 동일한 조건이 조성됨으로써 작업자는 손쉽게 핸드 파렛트용 트럭(T)을 파렛트(P)의 개구에 끼워넣어 파렛트(P)에 적재된 물류품을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은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의 가장자리 양측부에 파렛트(P)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펜스부재(130)와, 파렛트(P) 안착테이블(100)의 내부에 개재되어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의 강도를 보강시키기 위한 보강부재(120)가 더 구비되어 있다. 보강부재(120)는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의 파이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바아(200)는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을 비트 바닥면(B)에 대해 이격되게 지지하는 부분으로써, 승강테이블(14)에 연결되어 승강테이블(14)과 함께 업/다운(UP/DOWN) 되는 상부스토바아(210)와, 비트 바닥면(B)에 고정되어 상부스토바아(210)가 하강 시 상부스토바아(210)와 접촉되는 하부스토바아(2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바아(200)는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을 사각구도로 지지할 수 있도록 4개가 마련된다. 그러나,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적어도 하나의 스토바아(200)는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이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스토바아(200)는 상부스토바아(210)와 하부스토바아(220)가 접촉되었을 때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의 상면이 제2 바닥면(L2)과 수평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을 비트 바닥면(B)에 대해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는 길이로 마련된다.
먼저,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부스토바아(21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스토바아(210)는 승강테이블(14)의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14a)에 연결되어 있다.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14a)에는 상하 방향으로 중공형성된 통과공(H)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스토바아(210)는 상단부가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14a)의 통과공(H)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몸체부는 통과공(H)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14a)의 통과공(H)에 몸체부는 삽입되지만 상단부는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14a) 상단에 지지된다.
이러한 상부스토바아(210)는,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의 하면을 지지하는 테이블지지블럭(211)과, 통과공(H)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테이블지지블럭(211)에 결합되고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14a)에 삽입이 제한되는 삽입제한블럭(212)과, 통과공(H)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삽입제한블럭(212)에서 연장되어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14a)의 통과공(H)에 삽입되는 가이드컬럼(213)과, 가이드컬럼(213)의 말단부에 결합되고 가이드컬럼(213)보다 큰 직경을 갖는 풋베이스(214)를 포함한다.
삽입제한블럭(212)은 내측을 탭(tap)가공하여 테이블지지블럭(211)과 나사결합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방식으로 가이드컬럼(213)과 풋베이스(214)도 나사결합시킬 수 있다. 풋베이스(214)는 하부스토바아(220)와 접촉되는 부분으로 하부스토바아(220)의 상단과 면접되게 형상 맞춤된다.
가이드컬럼(213)에는 승강테이블(14)을 탄성바이어스 시키기 위한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15)가 더 개재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215)는 승강테이블(14)의 승하강 시 상부방향으로 승강테이블(14)을 탄성바이어스 시켜 승강테이블(14) 하강 시 충격을 완화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상부스토바아(210)는 승강테이블(14)에 연결되어 있어 비트 바닥면(B)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스토바아(220)와 접촉되기 전까지 승강테이블(14)과 함께 승하강된다. 이때, 파렛트 안착테이블(100) 역시 상부스토바아(210)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테이블(14)과 함께 승하강 될 수 있다.
그런데, 승강테이블(14)이 하강하여 상부스토바아(210)가 하부스토바아(220)에 접촉되면 상부스토바아(210)와 상부스토바아(210)에 의해 지지되는 파렛트 안착테이블(100)은 더 이상 하강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상부스토바아(210)의 가이드컬럼(213)은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14a)의 통과공(H)보다 작은 직경을 갖기 때문에 승강테이블(14)은 가이드컬럼(213)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더 하강할 수 있다.
하부스토바아(220)는 비트 바닥면(B)에 고정되는 고정부(221)와, 고정부(221)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스토바아(210)의 풋베이스(214)와 접촉되는 충격완충부(222)로 구성된다. 고정부(221)와 충격완충부(222)는 탭(tap)가공을 통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충격완충부(222)는 상부스토바아(210)의 하강 접촉 시 상부스토바아(210)의 충격을 흡수하는 부분으로 우레탄(Urethane)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우레탄재질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충격완충부(222)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승강장치는, 지게차 진입이 불가한 곳에 설치되는 물류 출하라인 상에서 물류품이 적재된 파렛트를 해당위치에 하강시키고 평평한 지면과 같은 작업 환경을 제공하여 작업자가 핸드 파렛트용 트럭을 활용하여 파렛트를 손쉽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파렛트 승강유닛 11 : 파렛트 승강모듈
12 : 씨저아암부 13 : 엑츄에이터
14 : 승강테이블 14a :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
15 : 베이스프레임 20 : 파렛트 수평이송유닛
21 : 체인벨트 22 : 벨트구동부
30 : 파렛트 하강스토퍼유닛 100 : 파렛트 안착테이블
110 : 터널부 120 : 보강부재
130 : 펜스부재 200 : 스토바아
210 : 상부스토바아 211 : 테이블지지블럭
212 : 삽입제한블럭 213 : 가이드컬럼
214 : 풋베이스 215 : 탄성부재
220 : 하부스토바아 221 : 고정부
222 : 충격완충부 H : 통과공

Claims (14)

  1. 출하라인이 배치되는 제1 바닥면과 핸드 파렛트 트럭으로 파렛트 운반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바닥면 사이에 함몰 형성된 비트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출하라인 상의 파렛트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에서 상기 파렛트가 상부에 로딩되면 상기 파렛트를 승하강시키는 파렛트 승강유닛; 및
    상기 파렛트 승강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파렛트가 미리 결정된 높이에 위치되면 상기 파렛트가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상기 파렛트를 상기 비트 바닥면에 대해 이격되게 지지하는 파렛트 하강스토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 승강유닛은,
    상기 비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상하로 접근 또는 이격되게 마련되는 승강테이블; 및
    상기 승강테이블을 승하강되게 구동시키는 테이블 승강모듈을 포함하는 파렛트 승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 하강스토퍼유닛은,
    상기 승강테이블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테이블의 상승 시 상기 승강테이블에 지지되며, 상기 승강테이블의 하강 시 상기 제2 바닥면과 수평한 높이에서 상기 파렛트가 안착되는 파렛트 안착테이블; 및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에 결합되어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의 상면이 상기 제2 바닥면과 수평이 되도록 상기 비트 바닥면에 대해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을 이격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승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테이블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테이블과 일체로 승하강되며,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에 돌출 및 인입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승 시 상기 출하라인의 상기 컨베이어와 이웃하게 배치된 때, 상기 파렛트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파렛트 수평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승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에는 상기 파렛트 수평이송유닛이 승하강 시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에 돌출 및 인입될 수 있는 터널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승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테이블의 측면에는 상기 스토바아가 삽입되는 통과공이 형성된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이 마련되며,
    상기 스토바아는,
    상기 통과공을 통해 상기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을 관통하며, 상기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의 상부로 돌출된 영역이 상기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의 상단에 지지되게 마련되어 승하강되는 상부스토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승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스토바아는,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의 하면을 지지하는 테이블지지패드;
    상기 통과공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되어 상기 테이블지지패드에 결합되고 상기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에 삽입이 제한되는 삽입제한블럭; 및
    상기 삽입제한블럭과 일체로 형성되며 몸체가 상기 통과공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스토바아 연결용 브라켓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테이블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컬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승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스토바아는,
    상기 가이드컬럼의 말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컬럼보다 큰 직경을 갖는 풋베이스가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컬럼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테이블을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승강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바아는,
    상기 비트 바닥면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안착테이블을 지지하는 상기 상부스토바아가 하강 시 상기 상부스토바아와 접촉되어 상기 안착테이블이 제2 바닥면 아래로 하강하는 것을 저지하는 하부스토바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승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스토바아는,
    상기 비트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스토바아와 접촉될 때 상기 상부스토바아와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파렛트 승강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토바아는,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을 사각구도로 지지하도록 상기 승강테이블의 양측부에 각각 2개를 한 쌍으로 두 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승강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 수평이송유닛은,
    상기 승강테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승강테이블에 상호 대향되게 이격배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터널부를 통해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에 돌출 및 인입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체인벨트; 및
    상기 한 쌍의 체인벨트에 동력을 제공하는 벨트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승강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승강모듈은,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승강테이블 사이에 마련되어 씨저 방식으로 접힘 또는 펼침 동작되어 상기 승강테이블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씨저아암부; 및
    상기 씨저아암부에 연결되어 상기 씨저아암부를 접힘 또는 펼침 동작되게 가압하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승강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은,
    내부 개재되어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의 강도를 보강시키는 보강부재; 및
    상기 파렛트 안착테이블의 양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펜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승강장치.


KR1020130150375A 2013-12-05 2013-12-05 파렛트 승강장치 KR101530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375A KR101530032B1 (ko) 2013-12-05 2013-12-05 파렛트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375A KR101530032B1 (ko) 2013-12-05 2013-12-05 파렛트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257A true KR20150065257A (ko) 2015-06-15
KR101530032B1 KR101530032B1 (ko) 2015-06-19

Family

ID=53504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375A KR101530032B1 (ko) 2013-12-05 2013-12-05 파렛트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0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1068A (zh) * 2019-11-06 2020-01-03 南通锻压设备如皋有限公司 一种开口可调移动台上压式液压机
CN112512939A (zh) * 2018-08-21 2021-03-16 系统科技公司 化学制剂容器自动运送装置及自动运送方法
GB2589120A (en) * 2019-11-21 2021-05-26 Moffett Automated Storage Ltd Pallet loader for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JP7330408B1 (ja) * 2023-03-24 2023-08-21 Jfeコンテイナー株式会社 水素供給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109Y2 (ja) * 1993-06-30 1995-11-29 株式会社メイキコウ トラック荷台用のリフト装置
JP2006264845A (ja) * 2005-03-23 2006-10-05 Daifuku Co Ltd リフト装置
JP2006264965A (ja) * 2005-03-25 2006-10-05 Daifuku Co Ltd リフタ装置
KR101084559B1 (ko) * 2010-02-02 2011-11-22 한상천 테이블 리프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2939A (zh) * 2018-08-21 2021-03-16 系统科技公司 化学制剂容器自动运送装置及自动运送方法
CN110641068A (zh) * 2019-11-06 2020-01-03 南通锻压设备如皋有限公司 一种开口可调移动台上压式液压机
GB2589120A (en) * 2019-11-21 2021-05-26 Moffett Automated Storage Ltd Pallet loader for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EP3825257A1 (en) 2019-11-21 2021-05-26 Moffett Automated Storage Limited Pallet loader for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JP7330408B1 (ja) * 2023-03-24 2023-08-21 Jfeコンテイナー株式会社 水素供給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032B1 (ko) 201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70223B (zh) 物品搬送車
JP2014177337A (ja) 物品搬送用箱の搬送装置
KR101530032B1 (ko) 파렛트 승강장치
JPWO2015075822A1 (ja) 搬送物の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KR20130072121A (ko) 물품 반송 설비
WO2015190387A1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JP4664747B2 (ja) 搬送物搬送方法
KR101398929B1 (ko) 반송차 시스템
KR20100112855A (ko) 자동 수직 적재 장치
CN210084502U (zh) 货物智能装卸系统
KR20150002139U (ko) 컨베이어가 구비된 고소작업대
KR101419354B1 (ko) 반송 시스템 및 그 대차승강장치
JP5509833B2 (ja) 搬出入装置
JP4269221B2 (ja) センタリング装置
JP6120033B2 (ja) 物品搬送用箱の搬送装置
JP4826900B2 (ja) 荷役作業用設備
JP4813580B2 (ja) ローダ装置
KR102459334B1 (ko)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
JP4834127B2 (ja) 搬送システム
JP4378640B2 (ja) 搬送設備
JP4966335B2 (ja) 保管兼搬送装置
JP3593299B2 (ja) 荷処理装置
JP2001301972A (ja) 荷処理装置
JP5821823B2 (ja) 物品収納設備
JP4650679B2 (ja) 物品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