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3923A - 리드장치 - Google Patents

리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3923A
KR20150063923A KR1020140163668A KR20140163668A KR20150063923A KR 20150063923 A KR20150063923 A KR 20150063923A KR 1020140163668 A KR1020140163668 A KR 1020140163668A KR 20140163668 A KR20140163668 A KR 20140163668A KR 20150063923 A KR20150063923 A KR 20150063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lifter
lead
lock member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0737B1 (ko
Inventor
준페이 호리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50063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60K15/0409Provided with a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3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3/00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8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to effect movement of a bolt or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40Nuts or nut-like elements moving along a driven threaded ax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4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fuel inlet covers essentially flush with the vehic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2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screw-and-nut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60K2015/0538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with open or close mechanism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B60K2015/0576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with actuator fixed to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B60K2015/0584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the locking bolt is linearly moved to lock or un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3Nuts or nut-like elements moving along a driven threaded ax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2063/0026Elongated, e.g. stud-like, striker entering into an opening in which movable detent means engage the elongated strik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05Y2201/704Worm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4Fuel lids

Abstract

(과제) 소형화되어 조립작업성이 개선된 리드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리드장치(20)는 힌지(12)에 의해서 개폐하는 리드(10)를 폐쇄위치에서 해제 가능하게 로크한다. 리드장치는 리드를 밀어넣을 때마다 리드를 개폐시키는 푸시 리프터(38)와, 푸시 리프터의 근방에 배치되는 모터(54)와, 로크부재(18)와,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로크부재에 전달하는 전달기구(60, 64)를 구비한다. 푸시 리프터 및 구동장치가 푸시 리프터의 길이 방향과 구동장치의 길이 방향이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구동장치는 그 길이 방향에서 보아 적어도 일부가 푸시 리프터와 겹쳐지도록 배치된 것에 의해서, 리드장치는 소형화되어 조립작업성이 개선된다.

Description

리드장치{LID DEVICE}
본 발명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리드를 폐쇄위치에서 해제 가능하게 로크하는 기능과, 리드를 폐쇄위치에서 개방개시위치로 밀어내는 기능을 구비한 리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차량 본체의 연료공급용 개구를 힌지에 의해서 개폐하는 퓨얼리드를 폐쇄위치에서 해제 가능하게 로크하는 퓨얼리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퓨얼리드(연료급유구 덮개)는 힌지에 의해서 개폐하며, 폐쇄위치에 있어서는, 연료급유용 개구를 폐쇄함과 아울러, 그 표면이 차량의 보디 윤곽과 일치하도록 차량에 장착된다. 연료급유용 개구에는 캡을 장착 가능한 연료급유구가 배치되어 있다. 퓨얼리드가 의도하지 않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퓨얼리드는 로크된다.
예를 들면, 퓨얼리드가 닫히면 로크되고, 운전자가 운전석에 설치된 레버를 당김으로써 퓨얼리드의 로크가 해제됨과 동시에 퓨얼리드가 열리는 형식이 알려져 있다. 한편, 로크 및 그 해제조작과는 별도로, 급유자가 퓨얼리드를 차실내측으로 밀어넣는 것에 의해 퓨얼리드를 개폐하는 형식이 있다. 이와 같은 형식은 운전자가 스스로 급유하는 경우 등에 편리하다. 이와 같은 형식의 장치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장치에는 밀어 넣어질 때마다 출몰을 교호로 반복함으로써 퓨얼리드를 개폐하는 푸시 리프터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모터회전축과 푸시 리프터의 길이 방향이 직교하도록 모터가 배치되어 있으며, 모터회전축에는 나사가 동일 축에 장착되어 있다. 모터가 회전하면, 나사와 맞물리도록 동일 축에 배치된 플런저가 모터로부터 이간하도록 회전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고, 플런저의 선단이 퓨얼리드의 로크구멍으로 돌입되는 것에 의해 퓨얼리드가 로크된다. 모터를 역회전시키면, 플런저가 모터에 접근하도록 회전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고, 플런저의 선단이 퓨얼리드의 로크구멍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에 의해 퓨얼리드의 로크가 해제된다.
특허문헌 1: 독일 특허출원공개 제10 2008 057 860호 명세서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는 리드장치에서는, 모터와 플런저가 동일 축에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설치공간이 커져서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낮아짐과 아울러, 조립작업이 번잡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소형의 리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리드장치(20)의 일 구성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리드(10)를 폐쇄위치에서 개방개시위치로 밀어내고, 상기 리드를 상기 폐쇄위치에서 해제 가능하게 로크할 수 있는 리드장치로서, 유단측이 상기 리드에 의해서 밀어 넣어질 때마다 상기 리드를 상기 개방개시위치로 밀어내는 신장상태와 상기 리드의 상기 폐쇄위치를 허용하는 수축상태 사이의 상호변위를 교호로 반복하는 푸시 리프터(38)와, 상기 푸시 리프터의 근방에 배치되는 구동장치(54)와, 상기 폐쇄위치에 있어서, 상기 리드를 걸림 고정하는 걸림고정위치 및 상기 리드를 해방하는 해방위치의 사이를 이동하는 로크부재(18)와,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상기 로크부재에 전달하고,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걸림고정위치 및 상기 해방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는 전달기구(60, 64)를 구비하며, 상기 푸시 리프터 및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푸시 리프터의 길이 방향과 상기 구동장치의 길이 방향이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그 길이 방향에서 보아 적어도 일부가 상기 푸시 리프터에 겹쳐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리드장치는 푸시 리프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푸시 리프터의 길이 방향 및 구동장치의 길이 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리드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어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부재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구동장치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장치의 출력단측에서 그 반대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리드장치는 구동장치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모터회전축(56)을 가지는 모터(54)를 가지며, 상기 전달기구는 상기 모터회전축과 동일 축에 장착된 웜기어(60)와, 상기 로크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웜기어와 맞물리는 내접기어(62)가 형성되고, 상기 웜기어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모터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피동부재(6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간이 또한 소형의 구성에 의해, 모터의 회전력을 모터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로크부재를 움직이는 힘으로 변환할 수 있다.
혹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상기 구동장치는 소정의 구간 왕복 운동하는 액추에이터를 가지며, 상기 전달기구는 캠 또는 링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리드장치의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푸시 리프터,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전달기구를 유지하는 하우징(2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리드장치를 유닛화할 수 있기 때문에, 리드장치의 차량으로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푸시 리프터,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푸시 리프터의 상기 길이 방향과 상기 구동장치의 상기 길이 방향에 의해서 규정되는 평면 위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에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푸시 리프터 및 상기 로크부재의 최대폭은 상기 구동장치의 최대폭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리드장치는 그 폭이 얇아져 더욱더 소형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리드에 돌출 설치된 걸어맞춤편을 수용하는 오목부(30)를 가지며,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걸림고정위치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내로 돌입하여 상기 걸어맞춤편을 걸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리드가 폐쇄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확실하게 로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벽은,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걸림고정위치에서 지지하는 구멍(34, 3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로크부재는 걸어맞춤편과의 걸어맞춤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하우징에 지지되기 때문에, 로크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로크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관통구멍(34)과, 상기 로크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 1 밀봉부재 (78)를 더 구비하며, 혹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푸시 리프터의 상기 유단측을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개구(32)와 상기 푸시 리프터의 사이에 배치된 제 2 밀봉부재(52)를 더 구비하며, 또는 그 양쪽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하우징과 로크부재 혹은 푸시 리프터 또는 그 양쪽의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퓨얼리드구조(2)의 일 구성은, 차량 본체의 연료공급용 개구를 개폐하도록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퓨얼리드와, 상기 퓨얼리드를 폐쇄위치에서 로크 가능한 상기 구성의 리드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리드장치가 소형화되었기 때문에, 퓨얼리드에 리드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그 유닛을 차량에 조립할 수 있어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드장치는 푸시 리프터의 길이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할 수 있어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퓨얼리드장치가 장착된 퓨얼리드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퓨얼리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퓨얼리드장치의 비로크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퓨얼리드장치의 로크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를 차량에 장착했을 때의 차량의 방향에 따른다. 도 1은 퓨얼리드어셈블리(2)의 사시도이다. 이하, 퓨얼리드어셈블리(2)는 도시하지 않는 차량의 후방부의 좌측면에 장착되는 것에 대해 서 설명하지만, 퓨얼리드어셈블리(2)는 차량의 후방부나, 우측면 등의 다른 위치에 장착되어도 좋다.
퓨얼리드어셈블리(2)의 주된 외형을 형성하는 개구부 하우징(4)은 바닥부에 개구를 가지는 컵 형상을 이루며, 넓은 직경측의 차실외측단부에 플랜지(6)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 하우징(4)은 차체에 장착되었을 때, 연료탱크에 연통한 연료급유구가 차실내측단부에서 내부로 돌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연료급유구에는 캡이 장착된다(도시하지 않음). 개구부 하우징(4)의 차실외측단부에 형성된 연료급유용 개구(8)를 개폐하는 퓨얼리드(10)는 금속 또는 수지를 소재로 하고, 대략 원판 형상을 이루는 부재이며, 힌지(12)를 통하여 개구부 하우징(4)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퓨얼리드(10)의 형상은, 원판 형상에 대신하여 장방형 등의 다른 평판 형상이라도 좋다. 힌지(12)는 개구부 하우징(4)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그 회전축은 상하 방향을 향하고 있다. 퓨얼리드(10)는 힌지(12)의 회전축 주위로 회전 운동함으로써, 연료급유용 개구(8)를 개폐한다. 퓨얼리드(10)의 표면은 연료급유용 개구(8)를 폐쇄한 폐쇄위치에 있어서, 차량의 보디의 윤곽과 연속된다. 또, 퓨얼리드(10)의 이면측에는, 도시하지 않는 이너 리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너 리드에는 유단측[힌지(12)와 결합한 기단의 반대측] 근방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된 걸어맞춤편 (14)이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편(14)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걸어맞춤구멍 (16)이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구멍(16)으로 돌입하여 걸어맞춤편(14)을 걸림 고정하는 로크부재(18, 도 2 참조)를 구비한 퓨얼리드장치(20)는, 개구부 하우징(4)의 외면에 고정된다.
도 2는 퓨얼리드장치(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로크부재(18)를 통과하고, 또한 차실 내외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평행한 단면으로 자른 퓨얼리드장치(20)의 단면도(일부는 측면으로 나타낸다)이며, 각각, 퓨얼리드장치(20)의 비로크상태 및 로크상태를 나타낸다. 퓨얼리드장치(20)는 퓨얼리드(10)를 개폐하기 위한 기능과, 퓨얼리드(10)를 폐쇄위치에서 해제 가능하게 로크하기 위한 기능을 가진다.
퓨얼리드장치(20)의 주요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24)은 대체로 상자형이며, 케이스(26)및 덮개(28)에 의해서 구성된다. 덮개(28)는 도시하지 않는 나사에 의해서 케이스(26)에 고정된다. 하우징(24)은 개구부 하우징(4)의 외면에 고정된다. 덮개(28)에는 폐쇄위치에 있는 퓨얼리드(10)의 걸어맞춤편(14)을 수용하는 오목부 (30)와, 오목부(30)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차실 내외 방향을 관통하는 원형의 개구(3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0)는 덮개(28)의 차실외측표면에서 차실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으며, 오목부(30)가 둘러싸는 공간은 대략 직육면체를 이룬다. 오목부(30)를 획정하는 상방의 벽에는 상하 방향을 향한 관통구멍(34)이 형성되고, 오목부(30)를 획정하는 하방의 벽에는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폐관구멍(36)이 관통구멍(34)과 동일 축 또한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6)에는 폐쇄위치에 있어서 걸어맞춤편(14)이 통과하는 개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걸어맞춤편(14)은 폐쇄위치에 있어서 플랜지(6)의 개구를 통과하여 오목부(30)에 수용된다. 또, 퓨얼리드(10)가 폐쇄위치로 이동할 때에, 걸어맞춤편(14)이 오목부(30)에 수용되기 쉽게 하기 위해서, 걸어맞춤편(14)의 차실내측을 좁게 하고, 또는 오목부 (30)의 차실외측을 넓게 해도 좋으며, 그 양쪽의 형상을 채용해도 좋다. 또, 덮개 (28)의 표면은 평탄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플랜지(6)와의 사이의 밀봉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 하우징(24)은 차실 내외 방향의 차실외측단부 부근에서 케이스 (26)와 덮개(28)로 분할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각 부재를 장착할 수 있으면, 예를 들면, 전후 방향의 중앙 부근에서 분할되는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등, 다른 위치에서 분할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 케이스(26) 또는 덮개(28)는 개구부 하우징 (4)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퓨얼리드(10)를 개폐하기 위해서 하우징(24)에 수용된 푸시 리프터(38)는 푸시 버튼(40)과, 캠(42)과, 로드(44)와, 아우터 슬리브(46)와, 스프링(48)과, 이너 슬리브(50)를 구비한, 대체로 봉 형상을 이루는 부재이다. 푸시 리프터(38)는 푸시 버튼(40)이 눌러질 때마다, 신장상태와 수축상태가 교호로 반복된다. 푸시 리프터 (38)는 수축상태에서는 폐쇄위치에 있는 퓨얼리드(10)에 간섭하지 않고, 퓨얼리드 (10)가 폐쇄위치로 유지되는 것을 허용하며, 신장상태에서는 퓨얼리드(10)가 조금 열린 상태에서 퓨얼리드(10)를 지지한다. 푸시 리프터(38)는 기단이 되는 스프링 (48)의 차실내측의 단부가 하우징(24)에 맞닿고, 아우터 슬리브(46)가 하우징(24)에 고정된다. 푸시 버튼(40)은 차실외측단부가 반구 형상을 이루며, 차실내측이 원통 형상을 이룬다. 푸시 버튼(40)의 차실내측단부는 덮개(28)에 설치된 개구(32)로 돌입함과 아울러, 신장상태 및 수축상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플랜지(6)에 설치된 구멍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퓨얼리드(10)에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관통구멍(34)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O링(52)이 밀봉부재로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푸시 버튼(40)이 하우징(24)의 개구(32)부를 차실 내외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해도, 액체가 하우징(24)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은 방지된다. 또한, 퓨얼리드(10)는 폐쇄위치에 있을 때라도 푸시 리프터(38)의 푸시 버튼(40)을 밀어넣을 수 있도록, 플랜지(6)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남도록 배치되어 있다. 푸시 리프터(38)는 도시한 구조를 포함하여 그 자체는 각종의 것이 공지이며, 그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푸시 버튼(40)의 차실외측단부에 완충재를 장착해도 좋다. 또, 푸시 버튼(40)이 퓨얼리드(10)에 맞닿았을 때에, 퓨얼리드(10)를 가고정하기 위한 걸어맞춤부재를 양자의 사이에 설치해도 좋다.
다음에, 퓨얼리드(10)를 폐쇄위치에서 해제 가능하게 로크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로크부재(18)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인 전동 모터(54)는 모터회전축(56)이 상하 방향을 향하여 푸시 리프터(38)의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도록 하우징(24) 내에 배치된다. 모터(54)는 모터회전축(56) 방향이 길이 방향이다. 모터회전축(56)은 상측이 모터하우징(58)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모터하우징(58)은 그 차실내측의 측면이 푸시 리프터(38)의 기단과 대략 같은 깊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24)에 고정된다. 모터하우징(58)은 모터회전축(56)에 직교하는 단면이 편평한 형상을 이루며, 그 장변 방향이 차실 내외 방향에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모터회전축(56)에는 웜기어(60)가 동일 축에 장착되어 있다. 웜기어(60)는 금속 또는 수지를 소재로 한다. 웜기어(60)에 맞물리는 내접기어(62)를 가지는 피동부재(64)는 웜기어(60)의 차실외측에 위치하고, 웜기어(60)의 회전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24)에 지지된다. 피동부재(64)는 수지를 소재로 하고,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본체부(66)와, 본체부(66)로부터 차실내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차실내측단부에 내접기어(62)가 형성된 반 너트부 (68)와, 본체부(66) 하단의 차실내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판(70)을 가진다. 본체부(66)에는 차실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홈(72)과, 홈(72)의 바닥에서 차실내측으로 향하는 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부(66)는 주면(主面)이 차실 내외 방향을 향한 평판 형상의 날개(76)가 전후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날개(76)가 피동부재(64)가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하우징(24)에 지지되어 있다. 피동부재(64)의 가장 상방으로 이동한 위치는, 본체부(66) 및 반 너트부(68)의 상단이 하우징(24)에 걸림 고정되는 위치로 정해지고, 가장 하방으로 이동한 위치는, 돌출판(70)의 하단이 오목부(30)의 관통구멍(34)을 형성하는 벽의 이면에 걸림 고정되는 위치로 정해진다. 또한, 웜기어(60)와 반 너트부(68)의 사이에 증폭기어 등의 다른 기어를 물려도 좋다.
피동부재(64)에 고정된 로크부재(18)는 금속 또는 수지를 소재로 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봉 형상 부재의 상단측이 차실내측으로 90°절곡된 형상을 하고 있다. 로크부재(18)는 차실내측을 향한 상단부가 피동부재(64)의 구멍(74)에 끼워 맞춰지고, 중앙부가 홈(72)에 유지됨으로써, 피동부재(64)에 고정된다. 로크부재 (18)는 피동부재(64)와 아울러 상하로 이동하지만, 가장 상방에 위치할 때에는, 로크부재(18)의 하단이 되는 유단은 관통구멍(34)의 속에 위치하고,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관통구멍(34)에서 오목부(30) 내로 돌출되며, 가장 하방에 위치할 때에는, 폐관구멍(36)에 수용된다. 또한, 로크부재(18)와 피동부재(64)를 일체의 수지 또는 금속으로 설치해도 좋다.
오목부(30)의 관통구멍(34)을 형성하는 벽의 이면에는, 로크부재(18)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O링(78)이 밀봉부재로서 장착되어 오목부(30)의 관통구멍(34)으로부터 액체가 하우징(24)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O링(78)의 상방에는, O링(78)이 하우징(24)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로크부재(18)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80)가 하우징(24)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부재(80)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구멍(82)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크부재(18)를 삽입시킨다. O링 (78) 및 가이드 부재(80)는 돌출판(70)보다도 차실외에 배치된다.
또한, 구동장치로서 모터(54)에 대신하여 솔레노이드밸브 등의 소정의 구간 왕복 운동하는 다른 액추에이터를 이용해도 좋으며, 전달기구로서 캠 또는 링크를 이용하여 로크부재(18)를 이동시켜도 좋다.
다음에, 퓨얼리드(10)의 개폐 및 로크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량의 주행중은 퓨얼리드(10)는 폐쇄위치에 있으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부재(18)는 걸어맞춤구멍(16)을 관통한 걸림고정위치에 있다. 로크부재 (18)는 피동부재(64)를 통하여 덮개(28)에 지지됨과 아울러, 오목부(30)의 관통구멍(34) 및 폐관구멍(36)을 형성하는 벽에 지지되어 양벽의 사이에서 걸어맞춤편 (14)을 걸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차실 내외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고 안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퓨얼리드(10)를 눌러 당겨도, 걸어맞춤구멍(16)이 로크부재(18)에 걸림 고정되기 때문에, 퓨얼리드(10)는 폐쇄위치로 로크되어 있다. 로크부재 (18)와 걸어맞춤구멍(16)의 걸어맞춤의 여유의 범위는, 퓨얼리드(10)가 차실내측으로 밀어 넣어져도 푸시 리프터(38)를 수축상태에서 신장상태로 변위시키지 않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54)는 차량의 스위치류나 전자제어유닛(ECU), 예를 들면 도어 로크 시스템과 연동하고 있으며, 차량의 정차중에 도어 로크가 해제되면, 모터(54)가 작동하여 모터회전축(56)이 회전한다. 모터(54)의 구동력은 웜기어(60)를 통하여 전달되어 피동부재(64) 및 피동부재(64)에 고정된 로크부재(18)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로크부재(18)는 폐관구멍(36), 퓨얼리드(10)의 걸어맞춤구멍(16)으로부터 차례로 이탈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30)로 돌출되지 않고 하우징(24)에 몰입되도록 그 유단이 관통구멍(34) 내에 수용된 해방위치까지 이동한다. 이때, 피동부재(64)의 상단이 하우징(24)에 맞닿아 있다.
로크부재(18)가 해방위치에 있을 때, 퓨얼리드(10)의 이너 리드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16)은 로크부재(18)로부터 해방되고, 퓨얼리드(10)의 로크는 해제되어 있다. 로크가 해제된 퓨얼리드(10)는 자력(磁力), 스프링의 탄지력 또는 래치기구 등에 의해, 소정의 값 이상의 힘이 가해질 때까지 폐쇄위치에 유지된다. 이때, 사용자가 폐쇄위치에 있는 퓨얼리드(10)를 차실내측으로 밀어넣으면, 푸시 버튼(40)이 차실내측으로 밀어 넣어진다. 그러면, 푸시 리프터(38)가 신장상태로 변형하여 퓨얼리드(10)를 차실외측으로 되돌린다. 이때, 푸시 버튼(40)은 퓨얼리드(10)를 차량의 보디의 윤곽보다도 외측으로 밀어내고, 퓨얼리드(10)가 조금 열린 개방개시위치에 배치시킨다. 상기 개방개시위치에서는 퓨얼리드(10)의 유단측을 사용자가 파 지할 수 있는 정도로 퓨얼리드(10)가 열려 있다. 사용자는 퓨얼리드(10)를 개방개시위치로부터 손으로 움직임으로써, 폐쇄위치에 대해서 90°이상 회전 운동시킨 전체개방위치까지 퓨얼리드(10)를 열 수 있다. 전체개방위치까지 열린 퓨얼리드(10)는 중력, 스프링의 탄지력 또는 래치기구 등에 의해, 소정의 값 이상의 힘이 가해질 때까지 전체개방위치에 유지된다. 전체개방위치에서는, 연료급유구로부터 캡을 떼어내어 차량에 급유할 수 있다.
급유작업을 끝내면, 사용자는 캡을 연료급유구에 장착하고, 퓨얼리드(10)를 개방개시위치까지 되돌리며, 또한 퓨얼리드(10)를 차실내측을 향하여 밀어넣는다. 그러면, 퓨얼리드(10)가 푸시 버튼(40)을 차실내측으로 밀어넣고, 푸시 리프터(38)는 수축상태로 되며, 퓨얼리드(10)는 폐쇄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퓨얼리드(10)와 접촉하는 푸시 버튼(40)의 선단은, 반구 형상이기 때문에, 퓨얼리드(10)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그 후, 차량의 도어가 로크되면, 이것과 연동하여 모터(54)가 작동하고, 모터회전축(56)이 역회전하며, 피동부재(64)는 그 돌출판(70)의 하단이 오목부(30)의 관통구멍(34)을 형성하고 있는 벽의 이면에 맞닿을 때까지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로 인해, 로크부재(18)의 유단측이, 관통구멍(34)으로부터 돌출되고, 걸어맞춤구멍 (16) 및 폐관구멍(36)에 차례로 삽입되어 퓨얼리드(10)를 로크한다.
퓨얼리드장치(20)는 푸시 리프터(38)의 길이 방향과 모터(54)의 길이 방향인 회전축 방향이 동일 평면 형상으로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로크부재(18)가 차실 내외 방향에서 보아 모터(54)와 웜기어(60)에 겹쳐지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전후 방향 및 차실 내외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모터(54)에서 웜기어(60)로의 방향과, 피동부재(64)에서 로크부재(18)의 유단으로의 방향이, 대략 평행한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퓨얼리드장치(20)는 상하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로크부재(18)를 움직이기 위한 전달기구는, 웜기어(60) 및 웜기어 (60)에 맞물리는 내접기어(62)를 가지는 피동부재(64)에 의해서 구성되기 때문에, 퓨얼리드장치(20)의 소형화를 저해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퓨얼리드장치(20)를 소형화함으로써, 퓨얼리드(10)와 퓨얼리드장치(20)는 서로 조합된 상태, 즉 퓨얼리드어셈블리(2)로서, 차량에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퓨얼리드장치(20)는 와이어식의 장치에 비해서도, 차량으로의 조립공정수가 적고 부품점수가 적다.
이상으로 구체적 실시형태의 설명을 끝내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없이 폭넓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24)은 2색 성형에 의해, 푸시 버튼(40) 및 로크부재(18)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부위 및, 플랜지(6)와 접촉하는 부분의 모두 또는 일부를 연질재로서 밀봉성을 갖게 하여 O링(52, 78)을 생략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부품점수 및 조립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2: 퓨얼리드어셈블리 4: 개구부 하우징
6: 플랜지 8: 연료급유용 개구
10: 퓨얼리드 12: 힌지
14: 걸어맞춤편 16: 걸어맞춤구멍
18: 로크부재 20: 퓨얼리드장치
24: 하우징 30: 오목부
32: 개구 34: 관통구멍
36: 폐관구멍 38: 푸시 리프터
52: O링 54: 모터
60: 웜기어 62: 내접기어
64: 피동부재 68: 반 너트부
70: 돌출판 78: O링

Claims (11)

  1.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리드를 폐쇄위치에서 개방개시위치로 밀어내고, 상기 리드를 상기 폐쇄위치에서 해제 가능하게 로크할 수 있는 리드장치로서,
    유단측이 상기 리드에 의해서 밀어 넣어질 때마다 상기 리드를 상기 개방개시위치로 밀어내는 신장상태와 상기 리드의 상기 폐쇄위치를 허용하는 수축상태 사이의 상호변위를 교호로 반복하는 푸시 리프터와,
    상기 푸시 리프터의 근방에 배치되는 구동장치와,
    상기 폐쇄위치에 있어서, 상기 리드를 걸림 고정하는 걸림고정위치 및 상기 리드를 해방하는 해방위치의 사이를 이동하는 로크부재와,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상기 로크부재에 전달하고,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걸림고정위치 및 상기 해방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는 전달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푸시 리프터 및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푸시 리프터의 길이 방향과 상기 구동장치의 길이 방향이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그 길이 방향에서 보아 적어도 일부가 상기 푸시 리프터에 겹쳐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구동장치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장치의 출력단측에서 그 반대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모터회전축을 가지는 모터를 가지며,
    상기 전달기구는 상기 모터회전축과 동일 축에 장착된 웜기어와, 상기 로크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웜기어와 맞물리는 내접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웜기어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모터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피동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소정의 구간 왕복 운동하는 액추에이터를 가지며, 상기 전달기구는 캠 또는 링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 리프터,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전달기구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푸시 리프터,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푸시 리프터의 상기 길이 방향과 상기 구동장치의 상기 길이 방향에 의해서 규정되는 평면 위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에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푸시 리프터 및 상기 로크부재의 최대폭은 상기 구동장치의 최대폭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리드에 돌출 설치된 걸어맞춤편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걸림고정위치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내로 돌입하여 상기 걸어맞춤편을 걸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벽은,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걸림고정위치에서 지지하는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로크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관통구멍과, 상기 로크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 1 밀봉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푸시 리프터의 상기 유단측을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개구와 상기 푸시 리프터의 사이에 배치된 제 2 밀봉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장치.
  11. 차량 본체의 연료공급용 개구를 개폐하도록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퓨얼리드와, 상기 퓨얼리드를 폐쇄위치에서 로크 가능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드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얼리드구조.
KR1020140163668A 2013-12-02 2014-11-21 리드장치 KR101620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49241 2013-12-02
JP2013249241A JP6211909B2 (ja) 2013-12-02 2013-12-02 リッ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923A true KR20150063923A (ko) 2015-06-10
KR101620737B1 KR101620737B1 (ko) 2016-05-12

Family

ID=53273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668A KR101620737B1 (ko) 2013-12-02 2014-11-21 리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11170B2 (ko)
EP (1) EP3078531B1 (ko)
JP (1) JP6211909B2 (ko)
KR (1) KR101620737B1 (ko)
CN (1) CN105793092B (ko)
MX (1) MX371132B (ko)
WO (1) WO201508335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6822A1 (en) * 2015-08-11 2017-02-16 Nifco Korea Inc.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fuel tank inlet cover of vehicle
KR20190033715A (ko) * 2017-09-22 2019-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도어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7641B2 (ja) * 2013-09-26 2017-08-09 株式会社ニフコ 蓋体取付部材
DE102015001180A1 (de) * 2015-01-30 2016-08-04 Hella Kgaa Hueck & Co.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 bewegliches Teil
US10822836B2 (en) * 2015-05-19 2020-11-03 Piolax, Inc. Electric lock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body
JP6447417B2 (ja) * 2015-08-26 2019-01-09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の蓋体開閉装置
JP6682299B2 (ja) * 2016-03-03 2020-04-15 株式会社城南製作所 フューエルリッド用アクチュエータ
CN107882443A (zh) * 2016-09-30 2018-04-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充电口盖的解锁装置和车辆
IT201600104772A1 (it) * 2016-10-18 2018-04-18 Cebi Italy Spa Sistema per la chiusura di un portello del serbatoio carburante.
EP3333435B1 (en) 2016-12-08 2020-02-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unway lighting
IT201600131138A1 (it) * 2016-12-27 2018-06-27 Cebi Italy Spa Dispositivo di chiusura perfezionato di un portello del serbatoio carburante di un veicolo.
CN108533099A (zh) * 2017-03-01 2018-09-14 上海度邦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油箱盖电子锁
CN106740068B (zh) * 2017-03-07 2018-10-30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开关控制结构
USD839809S1 (en) * 2017-04-27 2019-02-05 Turn 5, Inc. Fuel door
DE102017008108B4 (de) * 2017-08-26 2021-09-02 Daimler Ag Verschlussvorrichtung zum Verschließen einer Durchgangsöffnung in einer Fahrzeugkarosserie und Fahrzeug mit einer solchen Verschlussvorrichtung
CN107724844B (zh) * 2017-09-19 2018-05-25 浙江农林大学暨阳学院 一种汽车油箱盖的自动开闭方法
IT201800006901A1 (it) * 2018-07-03 2020-01-03 Serratura per portello di veicolo con sensore di posizione.
JP2020062902A (ja) * 2018-10-15 2020-04-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フューエルリッド装置
CN110080911A (zh) * 2019-06-12 2019-08-02 温岭正峰动力有限公司 一种发动机的燃料箱
JP7100267B2 (ja) 2019-08-26 2022-07-13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の蓋体開閉装置
JP7037081B2 (ja) * 2019-09-06 2022-03-16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の蓋体開閉装置
JP7096502B2 (ja) 2019-11-25 2022-07-06 株式会社アンセイ 往復動装置
JP7279895B2 (ja) * 2019-12-25 2023-05-23 朝日電装株式会社 燃料タンクキャップのロック装置
CN113696719A (zh) * 2020-05-21 2021-11-26 武汉飞恩微电子有限公司 基于压力传感器的燃油箱盖智能控制系统
US11352825B2 (en) * 2020-09-24 2022-06-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ort-door release assembly and a door assembly that utilizes the port-door release assembly
EP4209375A3 (en) * 2021-11-18 2024-01-17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td. Electrical charging flap
US11871867B1 (en) 2023-03-22 2024-01-16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bottom cov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C20060150A1 (it) * 2006-11-13 2008-05-14 So Ge Mi Spa Dispositivo di apertura e di chiusura per sportelli.
DE102006061218A1 (de) * 2006-12-20 2008-06-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Tankklappenmodul
TR201005484T1 (tr) * 2008-02-22 2011-04-21 Honda Motor Co., Ltd. Taşıtın yakıt doldurma borusu ağzı için kapak yapısı.
DE102008057860A1 (de) * 2008-11-18 2010-07-2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Tankklappenmodul
JP2011080338A (ja) * 2009-10-09 2011-04-21 Hi-Lex Corporation フューエルロック機構および運動変換機構
KR101209793B1 (ko) * 2010-08-31 2012-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도어 개폐장치
AU2010362384B2 (en) * 2010-10-12 2013-11-21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Device for detecting opening/closing of charger lid
JP2012097503A (ja) * 2010-11-04 2012-05-24 Mitsuba Corp リニア駆動装置
KR101245173B1 (ko) * 2011-10-31 2013-03-19 (주) 코스텍 차량용 연료주입구의 도어 개폐장치
JP5523434B2 (ja) * 2011-11-29 2014-06-18 豊田合成株式会社 フューエルリッド構造
JP5864242B2 (ja) * 2011-12-14 2016-02-1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リッドロック制御装置
DE102012004078A1 (de) * 2012-03-02 2013-09-05 Illinois Tool Works Inc. Betätigungsvorrichtung
JP5947202B2 (ja) * 2012-12-13 2016-07-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ロック装置
JP6177641B2 (ja) * 2013-09-26 2017-08-09 株式会社ニフコ 蓋体取付部材
KR101620736B1 (ko) * 2013-12-02 2016-05-12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리드장치
JP6180992B2 (ja) * 2014-04-25 2017-08-16 株式会社ニフコ リッド装置
JP6396163B2 (ja) * 2014-10-08 2018-09-26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進退移動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6822A1 (en) * 2015-08-11 2017-02-16 Nifco Korea Inc.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fuel tank inlet cover of vehicle
KR20190033715A (ko) * 2017-09-22 2019-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3351A1 (ja) 2015-06-11
US20160375761A1 (en) 2016-12-29
EP3078531A1 (en) 2016-10-12
EP3078531A4 (en) 2017-07-12
JP2015105062A (ja) 2015-06-08
US10011170B2 (en) 2018-07-03
JP6211909B2 (ja) 2017-10-11
MX2016006960A (es) 2017-02-17
CN105793092B (zh) 2018-12-11
CN105793092A (zh) 2016-07-20
KR101620737B1 (ko) 2016-05-12
EP3078531B1 (en) 2020-03-11
MX371132B (es)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737B1 (ko) 리드장치
KR101620736B1 (ko) 리드장치
CN110392763B (zh) 进退移动装置
CN109070736B (zh) 油箱翻盖装置或充电口翻盖装置
WO2015162861A1 (ja) リッド装置
US20060087129A1 (en) Automotive door latch device
US20180162219A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fuel tank inlet cover of vehicle
JP6406183B2 (ja) リッド用ロック装置
CN112752892A (zh) 进退移动装置
US11597270B2 (en) Actuat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cover in or on a vehicle on demand and cover with such an actuating device
JP2011214241A (ja) 車両用ロック装置、車両用リッドロック装置および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CN112204216B (zh) 燃料加注口盖开启器
JP5320646B2 (ja) フューエルリッドロック装置
JP2015137509A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2008190191A (ja) 錠装置
KR20190072303A (ko)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
JP2014095267A (ja) ドアロック装置
WO2019087860A1 (ja) 開閉体の開閉装置
CN114450189A (zh) 用于机动车的充电设备
KR101695459B1 (ko) 연료 주입구 모듈
JP2022128853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21130920A (ja) 進退移動装置
JP2006137224A (ja) 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