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303A -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2303A
KR20190072303A KR1020170173556A KR20170173556A KR20190072303A KR 20190072303 A KR20190072303 A KR 20190072303A KR 1020170173556 A KR1020170173556 A KR 1020170173556A KR 20170173556 A KR20170173556 A KR 20170173556A KR 20190072303 A KR20190072303 A KR 20190072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handle
housing
uni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6288B1 (ko
Inventor
조병기
김태원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3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2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2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손잡이부와, 하우징부에 내장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와 연결되어 작동되면서 하우징부에 삽입된 손잡이부를 직선 이동시켜 하우징부 외부로 돌출시키는 링크부를 포함하여, 손잡이부가 필요에 따라 하우징부에서 인출되어 작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성이 개선되고 평상시 도어에 수납되어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탑승객이 차를 타고 내리거나 또는 화물을 적재할 때 사용되는 다수의 도어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의 종류에는 앞좌석의 탑승객이 주로 사용하는 프론트 도어와 뒷좌석의 탑승객이 주로 사용하는 리어 도어가 있다. 또한, 차량의 종류에 따라서는 후방의 트렁크와 차 실내 부분을 동시에 개방하는 백 도어를 설치하거나 측면에 사이드 도어를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차량의 도어는 힌지에 의해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어느 한도 이상으로 열리지 않도록 제한하는 도어 체커(door checker)가 설치되며, 래치 조립체와 스트라이커로 구성되어 도어를 닫혀있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도어록킹 장치가 설치된다.
특히, 이와 같은 도어의 외측에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이 장착되고, 내측에는 도어 인사이드 핸들이 장착되어 있으며, 아웃사이드 핸들 또는 인사이드 핸들을 당기게 되면, 래치 조립체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고, 도어가 열리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아웃사이드 핸들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핸들이 도어에서 돌출되거나, 도어에 홈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주행 저항을 유발하여 연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70028호(2013.06.27. 공개, 발명의 명칭 : 자동차용 풀핸들 일체형 인사이드 핸들 구조)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작성이 개선되고 평상시 도어에 수납되어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손잡이부;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작동되면서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된 상기 손잡이부를 직선 이동시켜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돌출시키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구동부를 감싸는 내부커버부; 및 상기 내부커버부와, 상기 링크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감싸고, 상기 손잡이부가 직선 이동으로 외부에 노출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외부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되고, 상기 링크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손잡이몸체부; 및 상기 손잡이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에서 상기 손잡이몸체부가 돌출될 때 외부로 노출되어 파지 가능한 손잡이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는 손잡이지지부; 및 상기 손잡이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손잡이지지부와 접촉되고, 상기 손잡이몸체부의 직선 이동시 상기 손잡이지지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손잡이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되는 구동모터부; 상기 구동모터부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전달부; 상기 구동전달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구동회전부; 및 상기 구동회전부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구동회전부가 회전됨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구동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이동되고, 상기 하우징부에 안내되어 상승 가능한 제1링크부; 상기 하우징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부에 의해 상승 가능한 제2링크부;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링크부에 의해 상승 가능한 제3링크부; 상기 제3링크부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제4링크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4링크부에 의해 회전되면서 케이블을 당기는 제5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링크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1링크결합부; 상기 제1링크결합부에서 연장되는 제1링크연장부; 상기 제1링크연장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부에 안내되어 상기 제1링크연장부의 상하 이동을 유도하는 제1링크돌기부; 및 상기 제1링크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부와 연결되는 제1링크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링크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링크결합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링크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링크부는 상기 하우징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2링크이동부; 상기 하우징부를 가로지르는 제2링크작동부; 상기 제2링크작동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링크결합부; 및 상기 제2링크작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링크연결부가 관통되는 제2링크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링크부는 상기 하우징부를 가로지르며,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3링크작동부; 상기 제3링크작동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3링크결합부; 및 상기 제3링크작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작동부가 관통되는 제3링크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는 손잡이부가 직선 이동되어 하우징부와의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는 손잡이몸체부가 직선 이동시 손잡이볼부가 손잡이지지부에 지지되어 손잡이몸체부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는 제1링크결합부가 제1링크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므로, 돌출된 손잡이부의 자동 복귀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에서 손잡이부가 돌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손잡이부가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에서 하우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에서 손잡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에서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에서 손잡이부가 하우징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링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에서 손잡이부가 하우징부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링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손잡이부가 회전되어 케이블을 당기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에서 손잡이부가 돌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손잡이부가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1)는 하우징부(10)와, 손잡이부(20)와, 구동부(30)와, 링크부(4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는 도어에 장착되고, 손잡이부(20)는 하우징부(10)에 삽입된다. 구동부(30)는 하우징부(10)에 내장되고, 동력을 제공한다. 링크부(40)는 하우징부(10)에 내장되고, 구동부(30)와 연결되어 작동되면서 하우징부(10)에 삽입된 손잡이부(20)를 직선 이동시켜 하우징부(10) 외부로 돌출시킨다.
즉, 평상시 손잡이부(20)는 하우징부(10)에 삽입되고, 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근접되면 구동부(30)에 전원이 인가되어 링크부(40)가 구동되고, 링크부(40)에 의해 손잡이부(20)가 하우징부(10)에서 돌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돌출된 손잡이부(20)를 파지하여 잡아당기면 손잡이부(20)가 회전되면서 케이블(100)을 잡아당겨 도어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에서 하우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는 내부커버부(11)와 외부커버부(12)를 포함한다.
내부커버부(11)는 구동부(30)를 감싼다. 일 예로, 내부커버부(11)는 구동부(30)를 밀폐시켜 구동부(30)에 이물질이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커버부(12)는 내부커버부(11)와, 손잡이부(20)와, 링크부(40)를 감싼다. 이러한 외부커버부(12)는 손잡이부(20)가 직선 이동으로 외부에 노출 가능하도록 유도한다. 일 예로, 한 쌍의 외부커버부(12)가 나사 결합되고, 손잡이부(20) 유도를 위한 커버홀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에서 손잡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20)는 손잡이몸체부(21)와 손잡이홀부(22)를 포함한다.
손잡이몸체부(21)는 하우징부(10)에 삽입되고, 링크부(4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손잡이홀부(22)는 손잡이몸체부(21)에 형성되고, 하우징부(10)에서 손잡이몸체부(21)가 돌출될 때 외부로 노출되어 파지 가능하다.
일 예로, 손잡이몸체부(21)는 링크부(40)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됨으로써,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몸체부(21)가 회전되어 링크부(40)와 연결된 케이블(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20)는 손잡이지지부(23)와 손잡이볼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지지부(23)는 하우징부(10)에 장착되고, 손잡이볼부(24)는 손잡이몸체부(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손잡이지지부(23)와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몸체부(21)가 직선 이동될 때, 손잡이볼부(24)가 손잡이지지부(23)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손잡이몸체부(21)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예로, 손잡이지지부(23)는 손잡이몸체부(21)의 하방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바닥부(231)와, 지지바닥부(231)의 양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손잡이몸체부(2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측벽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볼부(24)는 구 형상을 하여 손잡이몸체부(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지지측벽부(232)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손잡이몸체부(21)가 상하 이동되면, 손잡이볼부(24)가 지지측벽부(232)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손잡이몸체부(21)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에서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30)는 구동모터부(31)와, 구동전달부(32)와, 구동회전부(33)와, 구동이동부(34)를 포함한다.
구동모터부(31)는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된다. 구동전달부(32)는 구동모터부(31)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고, 구동회전부(33)는 구동전달부(32)와 맞물려 회전된다. 구동이동부(34)는 구동회전부(33)와 나사 결합되고, 구동회전부(33)가 회전됨에 따라 직선 이동된다.
일 예로, 구동모터부(31)와, 구동전달부(32)와, 구동회전부(33)는 기어간의 맞물림에 의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회전부(33)는 구동전달부(32)와 기어로 연결되는 회전기어부(331)와, 회전기어부(331)의 중심축에 형성되는 회전나사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이동부(34)는 회전나사부(332)와 나사 결합되고, 내부케이스부(11)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어 직선 이동될 수 있다. 구동이동부(34)는 내부케이스부(11)를 통과하여 내부케이스부(11)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에서 손잡이부가 하우징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링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에서 손잡이부가 하우징부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링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손잡이부가 회전되어 케이블을 당기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40)는 제1링크부(41)와, 제2링크부(42)와, 제3링크부(43)와, 제4링크부(44)와, 제5링크부(45)를 포함한다.
제1링크부(41)는 구동부(30)에 연결되어 이동되고, 하우징부(10)에 안내되어 상승 가능하다. 일 예로, 제1링크부(41)는 내부커버부(11)에서 외부로 노출된 구동이동부(34)와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고 하우징부(10)에 의해 경사 이동될 수 있다.
제2링크부(42)는 하우징부(10)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손잡이부(20)와 연결되며, 제1링크부(41)에 의해 상승 가능하다. 제3링크부(43)는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손잡이부(20)와 연결되며, 제2링크부(42)에 의해 상승 가능하다.
일 예로, 제2링크부(42)와 제3링크부(43)는 교차 배치되고, 제2링크부(42)는 하우징부(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제3링크부(43)는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4링크부(44)는 제3링크부(43)에 장착되어 회전된다. 일 예로, 제4링크부(44)는 제3링크부(43)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제3링크부(43)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제5링크부(45)는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제4링크부(44)에 의해 회전되면서 케이블(100)을 당긴다. 일 예로, 제4링크부(44)와 제5링크부(45)는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제4링크부(44)가 제3링크부(43)에 의해 회전되면서 제5링크부(45)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링크부(41)는 제1링크결합부(411)와, 제1링크연장부(412)와, 제1링크돌기부(413)와, 제1링크연결부(414)를 포함한다.
제1링크결합부(411)는 구동부(30)에 연결된다. 일 예로, 제1링크결합부(411)는 노출된 구동이동부(34)와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구동이동부(34)에 밀려 이동될 수 있다. 제1링크결합부(411)의 양단부는 한 쌍의 외부커버부(12)에 각각 형성되는 수평가이드부(15)를 따라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제1링크연장부(412)는 제1링크결합부(411)에서 연장되고, 제1링크돌기부(413)는 제1링크연장부(412)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하우징부(10)에 안내되어 제1링크연장부(412)의 상하 이동을 유도한다. 일 예로, 제1링크돌기부(413)는 외부커버부(12)에 각각 형성되고, 마주보는 한 쌍의 경사가이드부(16)를 따라 경사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링크연결부(414)는 제1링크연장부(412)의 단부에 형성되고, 제2링크부(42)와 연결된다. 일 예로, 제1링크연결부(414)는 제2링크부(42)를 관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링크부(41)는 제1링크탄성부(4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탄성부(415)는 하우징부(10)에 장착되고, 제1링크결합부(411)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제1링크탄성부(415)는 코일 스프링 형상을 하여 수평가이드부(15)에 내장되고, 제1링크결합부(411)를 지지할 수 있다. 제1링크탄성부(415)에 의해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부(20)의 자동 삽입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링크부(42)는 제2링크이동부(421)와, 제2링크작동부(422)와, 제2링크결합부(423)와, 제2링크홀부(424)를 포함한다.
제2링크이동부(421)는 하우징부(10)에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일 예로, 한 쌍의 외부커버부(12) 사이에는 내부판부(17)가 배치되고, 내부판부(17)의 상부에는 수평으로 길이를 갖는 내부홀부(171)가 형성되며, 제2링크이동부(421)는 내부홀부(171)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2링크작동부(422)는 하우징부(10)를 가로지른다. 일 예로, 제2링크작동부(422)는 제3링크부(43)를 관통하고, 단부가 수직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링크결합부(423)는 제2링크작동부(422)의 단부에 형성되고, 손잡이부(20)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제2링크결합부(423)는 손잡이부(20)의 회전축이 될 수 있다.
제2링크홀부(424)는 제2링크작동부(42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링크연결부(414)가 관통되어 이동될 수 있다.
그 외, 제2링크부(42)는 제2링크작동부(422)의 상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되, 제3링크부(43)의 하방에 배치되어 제3링크부(43)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2링크돌기부(4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링크부(43)는 제3링크작동부(431)와, 제3링크결합부(432)와, 제3링크홀부(433)를 포함한다.
제3링크작동부(431)는 하우징부(10)를 가로지르며,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제3링크작동부(431)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제3링크핀부(439)가 손잡이부(20)를 지지하여 손잡이부(20)의 직선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제3링크결합부(432)는 제3링크작동부(431)의 단부에 형성되고, 손잡이부(20)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제3링크결합부(432)는 제3링크작동부(431)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제2링크이동부(421)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링크홀부(433)는 제3링크작동부(431)에 형성되고, 제2링크작동부(422)가 관통된다. 일 예로, 제3링크홀부(433)는 제3링크작동부(431)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링크부(44)는 제4링크결합부(441)와, 제4링크홀부(442)와, 제4링크걸림부(443)와, 제4링크연결부(444)를 포함한다.
제4링크결합부(441)의 일단부는 제3링크작동부(431)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제4링크결합부(441)의 타단부에는 제4링크홀부(442)가 형성된다. 제4링크걸림부(443)는 제4링크결합부(441)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4링크연결부(444)는 한 쌍의 제4링크결합부(441)의 하단부를 연결한다. 이때, 제3링크작동부(431)의 하단부가 회전되면서 제4링크연결부(444)를 밀어내면, 제4링크홀부(442)를 회전축으로 제4링크결합부(441)가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5링크부(45)는 제5링크축부(451)와, 제5링크날개부(452)와, 제5링크결합부(453)를 포함한다.
제5링크축부(451)는 외부커버부(12)에 형성되는 커버축부(19)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커버축부(19)는 제4링크홀부(442)에 삽입되어 제4링크결합부(441)의 회전축이 될 수 있다.
제5링크날개부(452)와 제5링크결합부(453)는 제5링크축부(451)에 결합된다. 제5링크날개부(452)는 제4링크걸림부(443)의 회전 경로상에 배치되고, 제5링크결합부(453)는 케이블(100)과 결합된다.
그 외, 제5링크부(45)에는 제5복원탄성부(454)가 포함되어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에 근접하면, 구동모터부(31)가 구동되어 구동이동부(34)가 제1링크결합부(411)를 밀어낸다. 이로 인해 제1링크결합부(411)는 제1링크탄성부(415)를 수축시킨다(도 10 참조).
제1링크결합부(411)가 이동됨에 따라 제2링크돌기부(413)는 경사가이드부(16)를 따라 상승하고, 제1링크연결부(414)는 제2링크작동부(425)를 상승시킨다. 제2링크작동부(425)가 상승하면, 제3링크작동부(431)가 회전된다.
이때, 제2링크결합부(423)와 제3링크결합부(432)가 상승하여, 이들과 결합된 손잡이부(20)가 하우징부(10)에서 직선 이동되어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제4링크결합부(441)가 회전되어 제4링크걸림부(443)가 제5링크날개부(452)와 접촉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20)를 잡아당기면, 제3링크작동부(431)가 추가로 상승하고, 제4링크결합부(441)가 추가로 회전되어 제4링크걸림부(443)가 제5링크날개부(452)를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제5링크결합부(453)가 회전되면서 케이블(100)을 잡아당겨 도어의 록킹 상태를 해제한다(도 11 참조).
도어의 록킹 상태가 해제될 때 또는 설정시간이 지난 후 구동모터부(31)의 구동으로 구동이동부(34)가 내부커버부(11) 방향으로 이동되고, 사용자가 손잡이부(20)를 놓으면 제1링크탄성부(415)의 복원력에 의해 제1링크부(41)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러한 제1링크부(41)가 원위치로 복귀되면, 이와 연동된 제2링크부(42)와 제3링크부(43)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손잡이부(20)가 하우징부(10)에 수납된다.
한편, 손잡이부(20)가 상하 이동되어 하우징부(10)에서 인출되거나 수납될 때, 손잡이볼부(24)가 손잡이지지부(23)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손잡이부(20)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1)는 손잡이부(20)가 직선 이동되어 하우징부(10)와의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1)는 손잡이몸체부(21)가 직선 이동시 손잡이볼부(24)가 손잡이지지부(23)에 지지되어 손잡이몸체부(21)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1)는 제1링크결합부(411)가 제1링크탄성부(415)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므로, 돌출된 손잡이부(20)의 자동 복귀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부 11 : 내부커버부
12 : 외부커버부 20 : 손잡이부
21 : 손잡이몸체부 22 : 손잡이홀부
23 : 손잡이지지부 24 : 손잡이볼부
30 : 구동부 31 : 구동모터부
32 : 구동전달부 33 : 구동회전부
34 : 구동이동부 40 : 링크부
41 : 제1링크부 42 : 제2링크부
43 : 제3링크부 44 : 제4링크부
45 : 제5링크부

Claims (7)

  1.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손잡이부;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작동되면서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된 상기 손잡이부를 직선 이동시켜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돌출시키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구동부를 감싸는 내부커버부; 및
    상기 내부커버부와, 상기 링크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감싸고, 상기 손잡이부가 직선 이동으로 외부에 노출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외부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되고, 상기 링크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손잡이몸체부; 및
    상기 손잡이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에서 상기 손잡이몸체부가 돌출될 때 외부로 노출되어 파지 가능한 손잡이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는 손잡이지지부; 및
    상기 손잡이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손잡이지지부와 접촉되고, 상기 손잡이몸체부의 직선 이동시 상기 손잡이지지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손잡이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되는 구동모터부;
    상기 구동모터부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전달부;
    상기 구동전달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구동회전부; 및
    상기 구동회전부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구동회전부가 회전됨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구동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이동되고, 상기 하우징부에 안내되어 상승 가능한 제1링크부;
    상기 하우징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부에 의해 상승 가능한 제2링크부;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링크부에 의해 상승 가능한 제3링크부;
    상기 제3링크부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제4링크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4링크부에 의해 회전되면서 케이블을 당기는 제5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1링크결합부;
    상기 제1링크결합부에서 연장되는 제1링크연장부;
    상기 제1링크연장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부에 안내되어 상기 제1링크연장부의 상하 이동을 유도하는 제1링크돌기부; 및
    상기 제1링크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부와 연결되는 제1링크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
KR1020170173556A 2017-12-15 2017-12-15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 KR102006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556A KR102006288B1 (ko) 2017-12-15 2017-12-15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556A KR102006288B1 (ko) 2017-12-15 2017-12-15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303A true KR20190072303A (ko) 2019-06-25
KR102006288B1 KR102006288B1 (ko) 2019-08-06

Family

ID=67065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556A KR102006288B1 (ko) 2017-12-15 2017-12-15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2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92771A1 (en) * 2018-03-09 2020-12-17 Alpha Corporatio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KR20210073276A (ko) *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이엠티 차량용 출몰형 도어핸들 제어용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도어핸들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41215A1 (en) * 2010-01-15 2013-09-19 Jaguar Cars Ltd Retractable handle for a door or the like
US20140000167A1 (en) * 2012-06-29 2014-0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ployable door handle for vehicles
US8786401B2 (en) * 2009-12-23 2014-07-22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Extendable flush door handle for vehicle
KR101637820B1 (ko) *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JP6078647B2 (ja) * 2012-09-25 2017-02-08 ジャガー・ランド・ローバー・リミテッドJaguar Land Rover Limited 引込み式ハンドル構造
US20170292297A1 (en) * 2014-09-18 2017-10-1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Flush comfort hand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6401B2 (en) * 2009-12-23 2014-07-22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Extendable flush door handle for vehicle
US20130241215A1 (en) * 2010-01-15 2013-09-19 Jaguar Cars Ltd Retractable handle for a door or the like
US20140000167A1 (en) * 2012-06-29 2014-0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ployable door handle for vehicles
JP6078647B2 (ja) * 2012-09-25 2017-02-08 ジャガー・ランド・ローバー・リミテッドJaguar Land Rover Limited 引込み式ハンドル構造
US20170292297A1 (en) * 2014-09-18 2017-10-1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Flush comfort handle
KR101637820B1 (ko) *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92771A1 (en) * 2018-03-09 2020-12-17 Alpha Corporatio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US11939799B2 (en) * 2018-03-09 2024-03-26 Alpha Corporatio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KR20210073276A (ko) *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이엠티 차량용 출몰형 도어핸들 제어용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도어핸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288B1 (ko) 201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0198A (en) Motor driven lock device for trunk lid and the like
US7770946B2 (en)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US7926857B2 (en)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JP4755528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US6519986B2 (en) Locking device
US8029028B2 (en) Door lock device
US20090267359A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JP6318423B2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EP1703048A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JP6318421B2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US20120000258A1 (en) Vehicle door locking device
WO2016006124A1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US7625020B2 (en) Vehicle door lock control
EP2792829A2 (en) Vehicle door latch system
JP4953711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15031132A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JP6264342B2 (ja) 車両用の蓋体開閉装置
KR20190072303A (ko) 자동차 도어용 핸들장치
JP4132723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WO2012144414A1 (ja) チャイルドプロテクタ機構
CN112996974B (zh) 汽车用门锁装置
KR102540933B1 (ko) 차량용 파워 차일드록 시스템
WO2017145405A1 (ja) チャイルドロック機構付きドアラッチ装置及びチャイルドロック機構の組付方法
US11384563B2 (en) Spring retaining assembly for vehicle latch actuator mechanism
JP4700561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