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204A - 생들기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들기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1204A
KR20150061204A KR1020130145012A KR20130145012A KR20150061204A KR 20150061204 A KR20150061204 A KR 20150061204A KR 1020130145012 A KR1020130145012 A KR 1020130145012A KR 20130145012 A KR20130145012 A KR 20130145012A KR 20150061204 A KR20150061204 A KR 20150061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lla
drying
oil
filter
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7558B1 (ko
Inventor
정준호
Original Assignee
정준호
주식회사 다지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호, 주식회사 다지인 filed Critical 정준호
Priority to KR1020130145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558B1/ko
Publication of KR20150061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2Pretreatment
    • C11B1/04Pretreatment of vegetable raw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생들기름 제조방법에 따르면, 들깨를 물을 이용하여 2회 이상 세척함에 따라 이물질, 돌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척단계; 세척된 상기 들깨를 곡물탈수기에 넣고 탈수시켜 물기를 제거하는 탈수단계; 탈수된 상기 들깨를 건조기에 넣고 -18℃ 내지 30℃로 건조시키되, 수분함량을 10% 이내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상기 들깨를 탈피기에 넣고 껍질을 벗겨내는 탈피단계; 탈피된 상기 들깨를 착유기에 넣고 15℃ 내지 3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압착하여 착유하는 착유단계; 착유된 기름을 필터 또는 120mesh 이상의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정제된 생들기름을 얻는 여과단계; 여과된 생들기름을 24시간 이상 침전시켜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저장된 생들기름을 일정량으로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냉풍과 더불어 자외선을 통해 건조 및 살균과정이 이루어지도록 건조단계를 거침으로써, 냉풍을 통한 단시간 건조로 건조과정의 시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여름과 같이 습도가 높을 때 들깨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패 또는 변질을 사전에 예방하고, 세척을 통해 제거되지 못한 미세 세균을 박멸하여 위생적인 생들기름을 제조할 수 있는 생들기름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들기름 제조방법{Perilla oil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생들기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들깨를 3차에 걸쳐 건조시킨 후 탈피시킨 들깨를 냉풍으로 선별하고, 선별된 들깨를 착유하여 여과시켜 저장시킨 뒤 일정량으로 들기름을 포장시키는 들기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 기름은 참깨, 들깨, 콩, 옥수수와 같은 곡물을 볶은 후 압착하여 추출한 것으로서 곡물 기름은 영양분이 풍부하면서도 고소한 맛과 향미(香味)에 의하여 각종 음식의 조리에 널리 사용되는 인체 매우 유익한 식품 중의 하나이다.
특히, 들깨는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일년생 초본 식물로서, 여러 가지 유용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이약작물, 유지작물 및 잎채소로 사용되고 있다.
즉, 들깨의 종실에는 오메가-3 계열의 지방산인 리놀렌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고혈압, 알레르기성 질환 등의 성인병을 일으키는 에이코사노이드 합성을 억제하고, 학습능력 향상 및 수명연장 효과 등의 생체조절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종실자체는 통깨로서 들깨차나 제과용으로 이용되고 있고, 종실로부터 추출한 오일은 식용이나 약제 첨가용, 공업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들깨 잎에는 식물성 정유로서 독특한 향기를 가진 페릴라 알데히드, 리모넨, 페릴라 케톤 등이 함유되어 있어 돼지고기나 생선회를 먹을 때 느끼한 맛이나 비린내를 없애주고 그 독특한 향은 입맛을 돋우어 줄수 있어 신선 잎채소로 이용되고 있으며, 들깨잎의 추출물은 화장품 색소나 향료로 이용되고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토코페롤이 심장혈관계 질환 및 암을 예방하고, 면역기능을 보조하며, 노화와 관련된 퇴행성 질환을 예방 및 완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지면서 이러한 토코페롤의 최대 천연 공급원 중의 하나인 들깨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대되고 있다.
종래의 들기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세척을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들깨를 저온에서 볶은 다음에 볶은 들깨를 분쇄하고 착유기에서 압착하여 기름을 추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거나, 세척을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들깨를 자연건조시킨 후 분쇄하고 착유기에서 압착하여 기름을 추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저온볶음 방식은 열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자연건조 방식은 그 공정상 대기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쇄공정은 건조된 들깨의 수분함량이 높아 통들깨가 받는 압력차가 커지기 때문에 압착 착유의 방법으로는 착유가 어려워 수율이 떨어지고 그로 인해 분쇄하는 과정에서 금속가루가 흡입되어 들기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름과 같이 습도가 높은 장마철에는 들깨를 건조함에 있어 수분함량이 많기 때문에 저온볶음 방식 또는 자연건조 방식에 따른 부패 또는 변질이 발생되어 품질저하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0349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냉풍과 더불어 자외선을 통해 건조 및 살균과정이 이루어지도록 건조단계를 거침으로써, 냉풍을 통한 단시간 건조로 건조과정의 시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여름과 같이 습도가 높을 때 들깨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패 또는 변질을 사전에 예방하고, 세척을 통해 제거되지 못한 미세 세균을 박멸하여 위생적인 생들기름을 제조할 수 있는 생들기름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들깨의 껍질을 탈피기를 통해 탈피시켜 제거 후, 생들기름을 제조함으로써, 껍질이 탈피된 들깨만을 이용한 생들기름이 제조되어 완제품에서 오해될 수 있는 부유물을 사전에 제거하고, 여과 단계의 시간을 줄여 생들기름의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생들기름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들기름 제조방법에 따르면, 들깨를 물을 이용하여 2회 이상 세척함에 따라 이물질, 돌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척단계; 세척된 상기 들깨를 곡물탈수기에 넣고 탈수시켜 물기를 제거하는 탈수단계; 탈수된 상기 들깨를 건조기에 넣고 -18℃ 내지 30℃로 건조시키되, 수분함량을 10% 이내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상기 들깨를 탈피기에 넣고 껍질을 벗겨내는 탈피단계; 탈피된 상기 들깨를 착유기에 넣고 15℃ 내지 3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압착하여 착유하는 착유단계; 착유된 기름을 필터 또는 120mesh 이상의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정제된 생들기름을 얻는 여과단계; 여과된 생들기름을 24시간 이상 침전시켜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저장된 생들기름을 일정량으로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조단계는, 자외선을 가하여 15℃ 내지 30℃의 온도로 상기 들깨를 건조 및 살균시키는 제1건조단계; 상기 제1건조단계 이후에 자외선을 가하여 0℃ 내지 15℃의 온도를 상기 들깨를 건조 및 살균시키는 제2건조단계; 및 상기 제2건조단계 이후에 자외선을 가하여 -18℃ 내지 0℃의 냉풍으로 상기 들깨를 건조 및 살균시키는 제3건조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탈피단계와 착유단계 사이에는, 탈피된 들깨와 들깨 껍질을 -18℃ 내지 0℃의 냉풍으로 분리시켜 탈피된 들깨만 선별하는 선별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여과 단계는, 프레스 필터 또는 카트리지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상기 프레스 필터 및 카트리지 필터는, 함초추출액에 20 내지 24시간 침지시킨 후, 살균건조시킨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냉풍과 더불어 자외선을 통해 건조 및 살균과정이 이루어지도록 건조단계를 거침으로써, 냉풍을 통한 단시간 건조로 건조과정의 시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여름과 같이 습도가 높을 때 들깨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패 또는 변질을 사전에 예방하고, 세척을 통해 제거되지 못한 미세 세균을 박멸하여 위생적인 생들기름을 제조할 수 있는 생들기름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들깨의 껍질을 탈피기를 통해 탈피시켜 제거 후, 생들기름을 제조함으로써, 껍질이 탈피된 들깨만을 이용한 생들기름이 제조되어 완제품에서 오해될 수 있는 부유물을 사전에 제거하고, 여과 단계의 시간을 줄여 생들기름의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생들기름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들기름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소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들기름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생들기름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들기름 제조방법의 건조단계와, 선별단계에서의 살균과정 없이 생들기름을 제조했을 때 세균검출 검사 성적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들기름 제조방법의 건조단계와, 선별단계에서의 살균과정이 이루지며 생들기름을 제조했을 때 세균검출 검사 성적서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생들기름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들기름 제조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생들기름 제조방법은, 세척단계, 탈수단계, 건조단계, 탈피단계, 착유단계, 여과단계, 저장단계 및 포장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세척단계는, 들깨를 물을 이용하여 2회 이상 세척함에 따라 이물질, 돌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또한, 세척단계는 들깨를 흐르는 물에 세척 하되, 손으로 들깨를 비비면서 세척하여 들깨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탈수단계는, 세척된 들깨를 곡물탈수기에 넣고 탈수시켜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탈수하는 시간은 2 내지 4분이 바람직하다.
곡물탈수기는, 고속 원심력을 이용하여 들깨에 뭍은 수분을 탈수하는 장치 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팬을 이용하여 들깨에 묻은 물을 강제 흡입하는 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건조단계는, 탈수된 상기 들깨를 건조기에 넣고 -18℃ 내지 30℃로 건조시키되, 수분함량을 10% 이내로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건조기는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건조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건조되는 동안 자외선이 방출되어 들깨를 살균소독한다.
건조단계는, 3단계를 통해 건조되며, 제1건조단계, 제2건조단계, 제3건조단계를 포함한다.
제1건조단계는, 자외선을 가하여 15℃ 내지 30℃의 온도로 상기 들깨를 건조 및 살균시키는 단계이다.
제2건조단계는, 제1건조단계 이후에 자외선을 가하여 0℃ 내지 15℃의 온도를 상기 들깨를 건조 및 살균시키는 단계이다.
제3건조단계는, 제2건조단계 이후에 자외선을 가하여 -18℃ 내지 0℃의 냉풍으로 상기 들깨를 건조 및 살균시키는 단계이다.
즉, 건조단계는 30℃에서 -18℃의 바람으로 들깨를 건조시킴에 따라, 단시간에 건조된다.
또한, 건조단계는, -18℃ 내지 0℃의 냉풍으로 건조된 뒤, 후술할 착유단계로 이동되는 동안, 실온에서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뒤, 착유단계가 이루어지기 시작하는 사이에 여름과 같이 습도가 높은 장마철에는 수분함량이 증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부패 및 변질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건조의 마지막 제3건조단계에서 -18℃ 내지 0℃의 냉풍으로 건조시키는 것이다.
탈피단계는 건조된 상기 들깨를 탈피기에 넣고 껍질을 벗겨내는 단계이다.
그리고, 착유단계가 이루어지는데, 이 사이에는, 탈피된 들깨와 들깨 껍질을 -18℃ 내지 0℃의 냉풍으로 분리시켜 탈피된 들깨만 선별하는 선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별단계도 건조단계와 마찬가지로, 탈피 후 착유단계가 이루어지기 시작하는 사이에 여름과 같이 습도가 높은 장마철에는 수분함량이 증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부패 및 변질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18℃ 내지 0℃의 냉풍으로 선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유단계는, 탈피된 상기 들깨를 착유기에 넣고 15℃ 내지 3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압착하여 착유하는 단계이다.
즉, 착유기의 온도 조건이 15℃ 내지 30℃이며, 압력 조건이 550kgf/㎠ 내지 600kgf/㎠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단계는 착유된 기름을 필터로 여과하여 정제된 생들기름을 얻는 단계이다.
여기서, 여과 단계는, 프레스 필터 또는 카트리지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순도 높은 생들기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필터 방법 외에 120mesh 이상의 여과망을 투과한 후, 침전탱크에서의 자연침전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들깨의 껍질을 탈피한 후 착유하였기 때문에 여과단계의 시간이 단축된다.
즉, 들깨를 착유하여, 저장단계까지 상온에서 생들기름이 보관되는데, 탈피단계를 통해 착유단계에서 저장단계까지 상온에서 보관되는 시간이 짧아져 생들기름의 향을 잡아줄 수 있으며 부패 또는 변질과정의 시간을 최소화하여 품질좋은 생들기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프레스 필터 및 카트리지 필터는, 함초추출액에 20 내지 24시간 침지시킨 후, 살균건조시킨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함초에는 다양한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생들기름을 여과시키는 과정에서 생들기름에 미네랄이 함유되어, 더욱 고품질의 생들기름을 얻을 수 있다.
저장단계는, 여과된 생들기름을 24시간 이상 침전시켜 저장하는 단계이다.
포장단계는, 저장된 생들기름을 일정량으로 포장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생들기름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생들기름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해본 결과 표 2와 같이 분석되었다. 표 2는 도 2의 분석결과 부분을 발췌한 표이다.
Figure pat00001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생들기름의 특징인 알파-리놀렌산 C18:3n-3(오메가3)의 함유량이 64.893% 임을 확인할 수 있고, 나머지 수치를 통해서도 들깨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이 추출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들기름 제조방법의 건조단계와, 선별단계에서의 살균과정 없이 생들기름을 제조했을 때 세균검출 검사 성적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세균과 대장균이 검출되어 부적합의 판정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들기름 제조방법의 건조단계와, 선별단계에서의 살균과정이 이루지며 생들기름을 제조했을 때 세균검출 검사 성적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반세균 미검출과, 대장균의 음성반응 결과를 통하여 적합판정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생들기름을 제조함에 있어서 건조단계와, 선별단계에서 살균과정이 이러지면, 청결하며 위생적인 생들기름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 세척단계
S20: 탈수단계
S30: 건조단계
S40: 탈피단계
S50: 착유단계
S60: 여과단계
S70: 저장단계
S80: 포장단계

Claims (4)

  1. 들깨를 물을 이용하여 2회 이상 세척함에 따라 이물질, 돌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척단계;
    세척된 상기 들깨를 곡물탈수기에 넣고 탈수시켜 물기를 제거하는 탈수단계;
    탈수된 상기 들깨를 건조기에 넣고 -18℃ 내지 30℃로 건조시키되, 수분함량을 10% 이내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상기 들깨를 탈피기에 넣고 껍질을 벗겨내는 탈피단계;
    탈피된 상기 들깨를 착유기에 넣고 15℃ 내지 3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압착하여 착유하는 착유단계;
    착유된 기름을 필터 또는 120mesh 이상의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정제된 생들기름을 얻는 여과단계;
    여과된 생들기름을 24시간 이상 침전시켜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저장된 생들기름을 일정량으로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는 생들기름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자외선을 가하여 15℃ 내지 30℃의 온도로 상기 들깨를 건조 및 살균시키는 제1건조단계;
    상기 제1건조단계 이후에 자외선을 가하여 0℃ 내지 15℃의 온도를 상기 들깨를 건조 및 살균시키는 제2건조단계; 및
    상기 제2건조단계 이후에 자외선을 가하여 -18℃ 내지 0℃의 냉풍으로 상기 들깨를 건조 및 살균시키는 제3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생들기름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단계와 착유단계 사이에는,
    탈피된 들깨와 들깨 껍질을 -18℃ 내지 0℃의 냉풍으로 분리시켜 탈피된 들깨만 선별하는 선별단계;를 더 포함하는 생들기름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단계는,
    프레스 필터 또는 카트리지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상기 프레스 필터 및 카트리지 필터는,
    함초추출액에 20 내지 24시간 침지시킨 후, 살균건조시킨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들기름 제조방법.

KR1020130145012A 2013-11-27 2013-11-27 생들기름 제조방법 KR101557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012A KR101557558B1 (ko) 2013-11-27 2013-11-27 생들기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012A KR101557558B1 (ko) 2013-11-27 2013-11-27 생들기름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204A true KR20150061204A (ko) 2015-06-04
KR101557558B1 KR101557558B1 (ko) 2015-10-08

Family

ID=53499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012A KR101557558B1 (ko) 2013-11-27 2013-11-27 생들기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55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255B1 (ko) * 2015-06-05 2016-08-29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산들 생들깨, 생산초로부터 오메가 지방산을 추출하는 방법
WO2018021776A1 (ko) * 2016-07-25 2018-02-01 주식회사 강림오가닉 저온 냉장보관시의 응고 부유물 발생을 억제하는 저온처리 들기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11669A (ko) * 2018-03-23 2019-10-02 농업회사법인 정다운식품 주식회사 생들기름 생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103590A (ko) * 2020-08-24 2020-09-02 김봉현 유통기한이 향상되고 오메가-3가 증가된 생들기름 제조방법
KR20210004588A (ko) * 2019-07-05 2021-01-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조림 캔의 기능성 첨가유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통조림 캔의 기능성 첨가유
KR20210062813A (ko) * 2019-11-22 2021-06-0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한국동백연구소 동백오일의 정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백오일의 정유방법
KR102471364B1 (ko) * 2021-10-29 2022-11-25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압착 추출된 동백씨 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44319B1 (ko) * 2022-12-12 2023-06-15 윤경숙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736B1 (ko) * 2016-10-13 2018-04-11 천원기 생참기름 또는 생들기름 제조방법
KR101844209B1 (ko) 2018-02-02 2018-03-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보관성이 향상된 들기름의 제조 방법
KR102129471B1 (ko) * 2018-06-22 2020-07-02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생들기름의 제조방법
KR102320390B1 (ko) 2021-04-28 2021-11-02 김양희 살균 및 비가열에 의한 들기름 제조방법
KR102641665B1 (ko) * 2021-08-25 2024-02-28 이정옥 유해 성분이 저감된 식용 기름 제조 방법
KR102611178B1 (ko) 2023-04-26 2023-12-07 일품에스피 주식회사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255B1 (ko) * 2015-06-05 2016-08-29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산들 생들깨, 생산초로부터 오메가 지방산을 추출하는 방법
WO2018021776A1 (ko) * 2016-07-25 2018-02-01 주식회사 강림오가닉 저온 냉장보관시의 응고 부유물 발생을 억제하는 저온처리 들기름 및 이의 제조방법
US10457889B2 (en) 2016-07-25 2019-10-29 Soobook LIM Low-temperature treated perilla oil for suppressing generation of coagulated suspended materials during low-temperature cold storag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20190111669A (ko) * 2018-03-23 2019-10-02 농업회사법인 정다운식품 주식회사 생들기름 생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004588A (ko) * 2019-07-05 2021-01-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조림 캔의 기능성 첨가유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통조림 캔의 기능성 첨가유
KR20210062813A (ko) * 2019-11-22 2021-06-0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한국동백연구소 동백오일의 정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백오일의 정유방법
KR20200103590A (ko) * 2020-08-24 2020-09-02 김봉현 유통기한이 향상되고 오메가-3가 증가된 생들기름 제조방법
KR102471364B1 (ko) * 2021-10-29 2022-11-25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압착 추출된 동백씨 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44319B1 (ko) * 2022-12-12 2023-06-15 윤경숙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558B1 (ko)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558B1 (ko) 생들기름 제조방법
CN102807918B (zh) 富含活性成分的原香山茶油及其制作方法
KR101613484B1 (ko) 참기름 또는 들기름의 제조방법
KR100830349B1 (ko) 생기름 제조방법
KR102061047B1 (ko) 동애등에 분말을 포함하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5023B1 (ko) 생들기름 및 그 제조방법
CN101124934A (zh) 酸枣叶茶的加工生产方法
KR101674076B1 (ko) 생 들기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595903B1 (ko) 고구마말랭이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고구마말랭이
KR101576453B1 (ko) 고구마 잎을 이용한 차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고구마 잎 차
KR101654212B1 (ko) 여주를 함유하는 메주와 이를 이용한 된장의 제조방법
KR101952904B1 (ko) 보리소금을 이용한 보리성분 함유 굴비 및 그 제조방법
KR101400871B1 (ko) 들깨가루의 제조 방법
KR20160062873A (ko) 한방국화차 제조방법
KR101658484B1 (ko) 감을 이용한 말랭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말랭이 또는 곶감말랭이
KR101788393B1 (ko) 식물성 기름 제조방법
KR102320390B1 (ko) 살균 및 비가열에 의한 들기름 제조방법
CN113633690A (zh) 川青皮及其制备方法
KR101742975B1 (ko) 쇠비름 당침액이 함유된 김치 제조방법
KR101746488B1 (ko) 고로쇠 수액을 이용하여 풍미를 개선한 된장의 제조방법
KR20150068643A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축산물 및 수산물의 특이냄새제거제 및 제조방법
CN105255580B (zh) 一种鲜花生制油工艺
CN107164192A (zh) 小曲固态法白酒的制备工艺
KR101778977B1 (ko) 생들기름의 제조방법
KR101184914B1 (ko) 블루베리를 이용한 생선 가공방법 및 그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간생선, 간고등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