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319B1 -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319B1
KR102544319B1 KR1020220172329A KR20220172329A KR102544319B1 KR 102544319 B1 KR102544319 B1 KR 102544319B1 KR 1020220172329 A KR1020220172329 A KR 1020220172329A KR 20220172329 A KR20220172329 A KR 20220172329A KR 102544319 B1 KR102544319 B1 KR 102544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ble oil
main body
vortex
cylind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숙
Original Assignee
윤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경숙 filed Critical 윤경숙
Priority to KR1020220172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08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filtration, e.g. including ultra filtration, dialys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은, 내부에 식물성 기름이 적재된 본체, 본체와 연결되어 본체 내부의 식물성 기름을 교반하는 교반기, 본체와 연결되어 본체에서 전달된 식물성 기름을 정화하는 필터부, 필터부와 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로부터 전달된 식물성 기름을 필터부로 주입하는 펌프부, 본체와 펌프부를 연결하는 유입유로 및 필터부와 본체를 연결하는 배출유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VEGETABLE OIL REFINAERY AND SYSTEM}
본 개시는 식물성 기름의 정제 효율이 개선된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들깨, 참깨 등 식물성 원료로부터 압착해 짜낸 기름으로 특유의 고소한 향미(香味)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건강식품으로 예로부터 널리 사용되는 조미료의 일종이다.
식물성 기름은 식물성 기름을 제조하는 과정 및 사용 과정에서 이물체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이물체는 식물성 기름의 품질에 악영향을 주므로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러한 이물체는 제거하는 정제장치에는 이물체에 의해 정제의 효율이 떨어지거나 식물성 기름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물체가 적층되어 식물성 기름이 이동하거나 정제하는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는 식물성 기름의 정제 효율이 개선된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는, 내부에 식물성 기름이 적재된 본체, 본체와 연결되어 본체 내부의 식물성 기름을 교반하는 교반기, 본체와 연결되어 본체에서 전달된 식물성 기름을 정화하는 필터부, 필터부와 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로부터 전달된 식물성 기름을 필터부로 주입하는 펌프부, 본체와 펌프부를 연결하는 유입유로 및 필터부와 본체를 연결하는 배출유로를 포함하는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화유로는, 상기 정화유로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배치된 혼합 노즐을 가지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정화유로의 하부에 제1 센서부가 배치된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부를 통해 내부에 적층된 이물체의 양을 측정하고, 측정된 이물체의 양과 기 저장된 이물체를 양을 비교하여 상기 혼합 노즐의 분사 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혼합 노즐의 분사 속도를 기초로, 상기 혼합 노즐을 결정된 분사 속도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정화유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실린더로 분사되는 재분사유로 및 상기 재분사유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재분사유로를 통과하는 식물성 기름을 온도를 조절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부는, 상기 유입유로에서 유입된 식물성 기름이 적재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가압하는 푸셔,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부로 상기 식물성 기름을 전달하는 배출부, 상기 푸셔 상에 배치되어 상기 푸셔 상의 이물체의 양을 측정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재분사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에 와류를 형성하는 복수의 와류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센서부에서 측정된 이물체의 양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와류 노즐을 통해 분사할 식물성 기름의 온도와 상기 와류 노즐의 재분사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온도를 기초로 가열부를 통해 상기 재분사유로를 통과하는 식물성 기름의 온도를 조절하며, 결정된 재분사속도로 상기 와류 노즐을 통해 식물성 기름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기 실린더 상부에 배치된 제1 와류 노즐, 상기 제1 와류 노즐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와류 노즐, 상기 제2 와류 노즐의 하부에 배치된 제3 와류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에서 측정된 이물체의 양을 기초로 상기 제1 와류 노즐 내지 상기 제3 와류 노즐에서 분사할 분사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와류 노즐에서 분사하는 식물성 기름의 제2 속도는 상기 제1 와류 노즐에서 분사하는 식물성 기름의 제1 속도보다 크고, 상기 제3 와류 노즐에서 분사하는 식물성 기름의 제3 속도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나타낸 실물 사진이다.
도 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 및 프로세서를 나타낸 실물 사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상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1)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를 나타낸 실물 사진이며, 도 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50) 및 프로세서(6)를 나타낸 실물 사진이다.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1)은 식물성 기름을 보관함과 동시에 보관한 식물성 기름을 정제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1)은, 내부에 식물성 기름이 적재된 본체(10), 본체(10)와 연결되어 본체(10) 내부의 식물성 기름을 교반하는 교반기(20), 본체(10)와 연결되어 본체(10)에서 전달된 식물성 기름을 정화하는 필터부(50), 필터부(50)와 본체(10)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10)로부터 전달된 식물성 기름을 필터부(50)로 주입하는 펌프부(40), 본체(10)와 펌프부(40)를 연결하는 유입유로(2) 및 필터부(50)와 본체(10)를 연결하는 정화유로(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식물성 기름을 적재함과 동시에 적재된 식물성 기름을 정제하도록 유입유로(2)를 통해 펌프부(40) 및 필터부(50)로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10)는 정화유로(3)와 연결되어 필터부(50)를 통과하여 정화된 식물성 기름을 다시 저장할 수 있다.
본체(10)는 식물성 기름을 적재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본체(10)의 하면은 유입유로(2)와 연결되며 유압유로와 본체(10) 사이에 배치된 정화밸브를 통해 선택적으로 열려 본체(10)에 위치하는 식물성 기름이 유입유로(2)를 통해 펌프부(4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정화밸브는 프로세서(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6)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열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6)는 본체(10)의 하면에 위치하는 이물센서를 통해 이물체의 양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이물체의 양이 기 설정된 양을 초과하는 경우, 정화밸브(30)를 열어 본체(10) 내부에 있는 이물체 및 식물성 기름을 펌프부(4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6)는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1)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6)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6)(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6)(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6)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교반기(20)는 본체(10) 내부에 배치되어 본체(10) 내부에 적재된 식물성 기름을 교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성 기름은 다양한 원료에 의해 비중이 달리 배치될 수 있으며, 식물성 기름의 기름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반기(20)를 통해 식물성 기름을 일정 정도 교반시킬 수 있다.
유입유로(2)는 본체(10)와 펌프부(4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일정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배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펌프부(40)는 유입유로(2)에서 전달된 이물체와 식물성 기름을 가압하여 필터부(50)로 전달할 수 있다. 펌프부(40)는 프로세서(6)와 연결되어 프로세서(6)의 제어에 의해 필터부(50)를 통과하는 식물성 기름의 압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필터부(50)의 재질정보를 기초로 이물센서에서 측정된 이물체의 양에 비례하여 펌프부(40)의 가압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50)의 재질정보는 필터부(50)의 투과한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50)는 펌프부(40)에서 전달된 이물체 및 식물성 기름을 투과하여 이물체를 걸러내고 이물체가 없는 순수한 식물성 기름을 배출하여 정화유로(3)로 전달할 수 있다.
필터부(5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식물성 기름 내의 이물체를 걸러낼 수 있는 재질이면 다양할 수 있다.
정화유로(3)는 필터부(50)를 통과한 식물성 기름을 다시 본체(10)로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정화유로(3)는 일정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배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1)은 이물센서를 통해 측정된 이물체의 양을 기초로, 정제의 시작 및 펌프부(40)의 압력을 결정함으로써, 효율적이 식물성 기름의 정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1')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본체(10), 필터부(50), 정화유로(3)는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며, 전술한 바와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1)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프부(4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유입유로(2)는, 유입유로(2)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배치된 혼합 노즐(72)을 가지는 제1 영역(A1) 및 제1 영역(A1)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유입유로(2)의 일측에 제1 센서부(71)가 배치된 제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혼합 노즐(72)은 유입유로(2) 중 본체(10)와 인접한 일측에 나선 방향으로 배치되며, 유체를 분사함으로써, 제2 영역(A2)에 볼텍스 유로(B)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 노즐(72)에 의해 형성된 볼텍스 유로(B)는 유입유로(2) 내부에 적층된 이물체를 볼텍스 유로(B)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혼합 노즐(72)은 외부의 노즐 펌프(미도시)와 연결되어 프로세서(6)에 의해 혼합 노즐(72)이 분사하는 유체의 분사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제2 영역(A2)은 유입유로(2) 중 펌프부(40)와 인접한 인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혼합 노즐(72)에 의해 볼텍스 유로(B)가 작동하는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A2) 내에는 제1 센서부(71)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서부(71)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는, 제1 센서부(71)를 통해 내부에 적층된 이물체의 양을 측정하고, 측정된 이물체의 양과 기 저장된 이물체를 양을 비교하여 혼합 노즐(72)의 분사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에서 이동하는 식물성 기름 내의 이물체는 펌프부(40)에 유입되기 전에 유입유로(2) 내에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영역(A2)에 대해 제1 센서부(71)를 배치하고 이물체의 퇴적 여부를 측정하여 혼합 노즐(72)의 분사 속도를 결정하여 제2 영역(A2)에 적층된 이물체 제거를 위한 혼합 노즐(72)의 최소화된 분사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6)는 결정된 혼합 노즐(72)의 분사 속도를 기초로, 혼합 노즐(72)을 결정된 분사 속도로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A2)에 적층된 이물체의 양이 많을수록 혼합 노즐(72)의 분사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펌프부(40)는, 유입유로(2)에서 유입된 식물성 기름이 적재된 실린더(41), 실린더(41) 내부에 연결되어 실린더(41) 내부를 가압하는 푸셔(42), 실린더(41)의 상부에 위치하여 필터부(50)로 식물성 기름을 전달하는 배출부(45), 푸셔(42) 상에 배치되어 푸셔(42) 상의 이물체의 양을 측정하는 제2 센서부(43) 및 재분사유로(4)와 연결되어 실린더(41) 내부에 와류를 형성하는 복수의 와류 노즐(46)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41)는 유입유로(2)와 연결되어 실린더(41)의 하부 영역으로 식물성 기름이 유입될 수 있으며, 실린더(41)의 상부 영역에 위치한 배출부(45)를 통해 필터부(50)로 식물성 기름이 전달될 수 있다.
실린더(41)는 내부에 식물성 기름이 위치하며, 푸셔(42)의 가압에 의해 압력이 조절되어 필터부(50)로 이동할 수 있다.
푸셔(42)는 실린더(41) 내부에 위치하여 실린더(41) 내부 공간을 가압할 수 있다. 푸셔(42)의 일단은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되어 구동부의 가압력으로 실린더(41) 내부를 가압하여 실린더(41) 내부에 위치하는 식물성 기름을 필터부(50)로 전달할 수 있다.
푸셔(42)의 상면에는 제2 센서부(43)가 배치되어 푸셔(42)의 상부에 적층된 이물체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센서부(43)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푸셔(42)는 실린더(41) 내부를 왕복 이동하며 실린더(41)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와류 노즐(46)은 재분사노즐과 연결되어 재분사유로(4)로부터 전달받은 식물성 기름을 실린더(41) 내부로 분사하여 실린더(41) 내부에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체가 제거된 식물성 기름을 재분사함과 동시에 분사된 식물성 기름이 와류를 형성하여 펌프부(40) 내부에 적층된 이물체를 분산시켜 배출구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와류 노즐(46)은, 실린더(41)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실린더(41) 상부에 배치된 제1 와류 노즐(46-1), 제1 와류 노즐(46-1)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와류 노즐(46-2) 및 제2 와류 노즐(46-2)의 하부에 배치된 제3 와류 노즐(4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류 노즐(46-1)은 적어도 두개가 실린더(41)의 길이 방향에 대해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와류 노즐(46-1)은 제1 높이에, 제2 와류 노즐(46-2)은 제2 높이에, 제3 와류 노즐(46-3)은 제3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높이는 제2 높이보다 크고, 제2 높이는 제3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제1 와류 노즐(46-1)은 실린더(41)에 연결되어 실린더(41)를 따라 이동하는 식물성 기름 및 실린더(41) 내부에 적층된 이물체에 나선 방향의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실린더(41) 내부에 적층된 이물체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1 와류 노즐(46-1)은 재분사유로(4)로부터 전달되는 식물성 기름을 통해 실린더(41) 내부에 이물체가 제거된 비교적 고온의 식물성 기름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분사유로(4)를 통해 전달된 식물성 기름은 비교적 고온의 상태인 것을 고려할 때, 실린더(41) 내부에 와류를 통해 기존의 실린더(41) 내부에 있는 식물성 기름과의 교반을 통해 실린더(41) 내부의 와류 및 상하 이동의 유로 형성을 통해 실린더(41) 내부의 이물체를 부유시켜 배출부(45)로 배출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2 와류 노즐(46-2)에서 분사하는 식물성 기름의 제2 속도는 제1 와류 노즐(46-1)에서 분사하는 식물성 기름의 제1 속도보다 크고, 제3 와류 노즐(46-3)에서 분사하는 식물성 기름의 제3 속도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유로(2)에서 유입부(44)를 통해 식물성 기름이 유입되는 경우, 식물성 기름은 적층된 이물체 및 유동의 저항에 따라 유동속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와류 노즐(46-3)의 분사속도를 상호간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이물체의 부유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푸셔(42)와 인접한 실린더(41)의 하부 영역에서 이물체가 자중에 의해 쌓이며 많은 비율의 이물체가 배치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제3 와류 노즐(46-3)의 제3 분사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이물체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1)은, 정화유로(3)에서 분기되어 실린더(41)로 분사되는 재분사유로(4) 및 재분사유로(4) 상에 위치하여 재분사유로(4)를 통과하는 식물성 기름을 온도를 조절하는 가열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재분사유로(4)는 정화유로(3)에서 분기되어 가열부(60)를 통과한 식물성 기름을 실린더(41) 내부로 분사하는 유로를 의미할 수 있다. 재분사유로(4) 상에는 재분사벨브가 배치되어 프로세서(6)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재분사유로(4)가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가열부(60)는 재분사유로(4) 상에 배치되어 재분사유로(4)를 통과하는 식물성 기름의 온도를 선택적으로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6)는, 펌프부(40)의 제2 센서부(43)로부터 전달받은 이물체의 양의 기초로 제1 내지 제3 와류 노즐(46-3)에서 분사할 식물성 기름의 온도와 재분사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6)는 펌프부(40) 내부에 적층된 이물체의 양을 제2 센서부(43)를 통해 전달받아, 이물체의 양에 비례하여 재분사유로(4)를 이동하는 식물성 기름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6)는 결정된 온도를 기초로 가열부(60)를 통해 식물성 기름의 온도를 가열하며, 결정된 분사속도를 기초로 제1 내지 제3 와류 노즐(46-3)을 통해 식물성 기름을 분사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6)는, 제2 센서부(43)에서 측정된 이물체의 양을 기초로, 복수의 와류 노즐(46)을 통해 분사할 식물성 기름의 온도와 와류 노즐의 재분사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온도를 기초로 가열부(60)를 통해 재분사유로(4)를 통과하는 식물성 기름의 온도를 조절하며, 결정된 재분사속도로 상기 와류 노즐을 통해 식물성 기름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는 제1 센서부(71) 및 제2 센서부(43)에서 측정된 이물체의 양을 기초로 제1 와류 노즐(46-1) 내지 제3 와류 노즐(46-3)에서 분사할 분사 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분사 속도대로 제1 와류 노즐(46-1) 내지 제3 와류 노즐(46-3)을 통해 재분사유로(4)를 통해 전달받은 식물성 기름을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부(71) 및 제2 센서부(43)를 통해 측정된 이물체의 양이 많을수록 제1 내지 제3 와류 노즐(46-3)을 통해 분사하는 분사속도를 빠르게 조저하고, 가열부(60)의 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1')은 기존의 일차적으로 필터링된 식물성 기름을 활용함으로써, 이물체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분사제를 활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실린더(41)에 발생하는 이물체를 선택적으로 효율적으로 실시간으로 제거함으로써, 식물성 기름의 정제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상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1`: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
10: 본체 20: 교반기
40: 펌프부 50: 필터부

Claims (5)

  1. 내부에 식물성 기름이 적재된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식물성 기름을 교반하는 교반기;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서 전달된 식물성 기름을 정화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전달된 식물성 기름을 상기 필터부로 주입하는 펌프부;
    상기 본체와 상기 펌프부를 연결하는 유입유로; 및
    상기 필터부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정화유로;를 포함하고,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유로는,
    상기 유입유로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배치된 혼합 노즐을 가지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유입유로의 일측에 제1 센서부가 배치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부를 통해 내부에 적층된 이물체의 양을 측정하고,
    측정된 이물체의 양과 기 저장된 이물체를 양을 비교하여 상기 혼합 노즐의 분사 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혼합 노즐의 분사 속도를 기초로, 상기 혼합 노즐을 결정된 분사 속도로 분사하는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유로에서 분기되어 펌프부로 분사되는 재분사유로; 및
    상기 재분사유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재분사유로를 통과하는 식물성 기름을 온도를 조절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부는,
    상기 유입유로에서 유입된 식물성 기름이 적재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가압하는 푸셔;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부로 상기 식물성 기름을 전달하는 배출부;
    상기 푸셔 상에 배치되어 상기 푸셔 상의 이물체의 양을 측정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재분사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에 와류를 형성하는 복수의 와류 노즐;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센서부에서 측정된 이물체의 양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와류 노즐을 통해 분사할 식물성 기름의 온도와 상기 와류 노즐의 재분사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온도를 기초로 가열부를 통해 상기 재분사유로를 통과하는 식물성 기름의 온도를 조절하며,
    결정된 재분사속도로 상기 와류 노즐을 통해 식물성 기름을 분사하는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실린더 상부에 배치된 제1 와류 노즐;
    상기 제1 와류 노즐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와류 노즐; 및
    상기 제2 와류 노즐의 하부에 배치된 제3 와류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에서 측정된 이물체의 양을 기초로 상기 제1 와류 노즐 내지 상기 제3 와류 노즐에서 분사할 분사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와류 노즐에서 분사하는 식물성 기름의 제2 속도는 상기 제1 와류 노즐에서 분사하는 식물성 기름의 제1 속도보다 크고, 상기 제3 와류 노즐에서 분사하는 식물성 기름의 제3 속도보다 작은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KR1020220172329A 2022-12-12 2022-12-12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 KR102544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329A KR102544319B1 (ko) 2022-12-12 2022-12-12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329A KR102544319B1 (ko) 2022-12-12 2022-12-12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319B1 true KR102544319B1 (ko) 2023-06-15

Family

ID=86763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2329A KR102544319B1 (ko) 2022-12-12 2022-12-12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3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0193A (ja) * 2001-09-12 2003-03-18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配管洗浄用ストレーナおよびその清掃方法
KR100748209B1 (ko) * 2005-12-21 2007-08-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튀김유 여과장치
KR20110052061A (ko) * 2009-11-12 2011-05-18 박상일 식용유 정제장치
KR20150061204A (ko) * 2013-11-27 2015-06-04 정준호 생들기름 제조방법
KR102265114B1 (ko) * 2021-03-19 2021-06-14 강웅구 윤활유 정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0193A (ja) * 2001-09-12 2003-03-18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配管洗浄用ストレーナおよびその清掃方法
KR100748209B1 (ko) * 2005-12-21 2007-08-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튀김유 여과장치
KR20110052061A (ko) * 2009-11-12 2011-05-18 박상일 식용유 정제장치
KR20150061204A (ko) * 2013-11-27 2015-06-04 정준호 생들기름 제조방법
KR102265114B1 (ko) * 2021-03-19 2021-06-14 강웅구 윤활유 정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9613B1 (en) Machine and method for emulsification
CA1159770A (en) Filter
KR101255580B1 (ko) 유체 액적 배출
US6149716A (en) Method of cleaning a filter unit, and a filter unit for filtering gas
US3793809A (en) Ventri-sphere high energy scrubber
US4885083A (en) Single chamber filter vessel
JP6728157B2 (ja) クリーニング方法、制御装置及び接続デバイス
KR102544319B1 (ko) 식물성 기름 정제장치 및 시스템
JP2019006081A5 (ko)
JP7076105B2 (ja) 液体に溶解している気体成分を除去する脱気装置
JPH0647321A (ja) 流動床式スプレーコーティング装置
DE07751573T1 (de) Flüssigkeitssteuerstrahl bei teillastbetrieb in einer hydraulischen turbine
US20150132198A1 (en) Extractor
JP2011161844A5 (ko)
EP3103644A1 (en) A system for supplying an inkjet head
US4446030A (en) Liquid circulation and pressure tanks
US1117644A (en) Apparatus for granulating molten slag.
US20060107838A1 (en) Cleaning gas device cleaning the process gas of a reflow soldering system
JP4276230B2 (ja) 洗浄装置
US3061007A (en) Continuous pulping apparatus
JP2003230851A (ja) 噴霧ノズル
CN207430322U (zh) 浸渍喷淋设备
WO2020196486A1 (ja) 分離回収システムおよび分離回収方法
JP5801563B2 (ja) 連続加圧蒸煮装置のドレン排出装置及び連続加圧蒸煮装置のドレン排出方法
CH637490A5 (de) Schaltungsanordnung zum regeln des fluessigkeitsniveaus in einem behae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