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590A - 유통기한이 향상되고 오메가-3가 증가된 생들기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통기한이 향상되고 오메가-3가 증가된 생들기름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03590A KR20200103590A KR1020200106302A KR20200106302A KR20200103590A KR 20200103590 A KR20200103590 A KR 20200103590A KR 1020200106302 A KR1020200106302 A KR 1020200106302A KR 20200106302 A KR20200106302 A KR 20200106302A KR 20200103590 A KR20200103590 A KR 202001035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rilla oil
- powder
- raw
- licorice
- perill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2—Pretreatment
- C11B1/04—Pretreatment of vegetable raw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6—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08—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filtration, e.g. including ultra filtration, dia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통기한이 향상되고 오메가-3가 증가된 생들기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생들기름 제조 시 들깨에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혼합하여 착유함으로써 생들기름 제조 후 유통 및 보관 중 진행되는 산패가 억제되고, 토코페롤 및 오메가-3 함량이 증가되므로, 본 발명에서 확립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들기름은 산패 및 품질변화가 효율적으로 방지되어 저장성 및 유통기한이 향상됨과 동시에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통기한이 향상되고 오메가-3가 증가된 생들기름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산패가 억제되어 유통기한이 향상되고, 유용성분이 풍부한 생들기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 기름은 참깨, 들깨, 콩, 옥수수와 같은 곡물을 볶은 후 압착하여 추출한 것으로서 곡물 기름은 영양분이 풍부하면서도 고소한 맛과 향미에 의하여 각종 음식의 조리에 널리 사용되는 인체에 매우 유익한 식품 중의 하나이다.
특히, 들깨는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일년생 초본 식물로서, 여러 가지 유용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의약 작물, 유지 작물 및 잎 채소로 사용되고 있다. 들깨의 종실에는 오메가-3 계열의 지방산인 리놀렌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고혈압, 알레르기성 질환 등의 성인병을 일으키는 에이코사노이드 합성을 억제하며, 학습 능력 향상 및 수면 연장 효과 등의 생체 조절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들깨는 비타민 E인 토코페롤 함량이 높아 항산화 활성, 예컨대 노화 방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들깨의 종실 자체는 통깨로서 들깨차나 제과용으로 이용되고 있고, 종실로부터 추출한 오일은 식용이나 약제 첨가용, 공업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들기름은 지방산 가운데 오메가-3가 차지하는 비율이 60% 정도로 식물 기름 중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들기름 제조공정 차이에 따라 오메가-3 비율의 현저한 차이가 발생하므로, 오메가-3가 풍부한 들기름을 제조하는 최적 공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들기름을 제조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세척, 볶음, 연소, 착유 및 침전의 5가지 공정의 순으로 진행되어 제조된다. 종래, 들기름을 제조하는 방식은, 열압착 방식의 착유기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열압착 방식의 착유기는 들깨에 고온의 열을 가하여, 기름을 착유하는 방식으로, 고온에서 오래 볶아, 착유 시, 벤조피렌과 같은 성분이 발생할 수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들기름은 참기름과 달리 강력한 항산화 성분이 없어 열을 가하면 산패가 빨리 진행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30738호에는 벤조피렌이 발생하지 않는 들기름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07332호에는 열을 가하는 공정을 생략하여 유용성분의 변성을 주지않은 생들기름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74076호에는 벤조피렌이 발생하지 않는 생들기름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산패를 억제하여 유통기한을 늘림과 동시에 오메가-3와 같은 유용성분이 증가된 생들기름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통기한이 향상됨과 동시에 유용성분이 풍부한 생들기름을 제조하는 최적 공정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생들기름 제조 시에 들깨에 감초 분말 및/또는 단삼 분말을 혼합하여 착유함으로써 생들기름 제조 후 유통 및 보관 중 진행되는 산패가 억제되고, 토코페롤 및 오메가-3 함량이 증가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산패가 억제되어 유통기한이 향상되고, 토코페롤 및 오메가-3이 풍부한 생들기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생들기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들깨를 건조시키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들깨에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착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들기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생들기름 제조 시에 들깨에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혼합함으로써 생들기름 제조 후 유통 및 보관 중 진행되는 산패가 억제되고, 토코페롤 및 오메가-3 함량이 증가되므로, 본 발명에서 확립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들기름은 산패 및 품질변화가 효율적으로 방지되어 저장성 및 유통기한이 향상됨과 동시에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들기름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1) 들깨를 건조시키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들깨에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착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들기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의 들깨는 재배한 것, 시판되는 것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단계 1)의 건조는 23 내지 27℃에서 3 내지 7일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4 내지 26℃에서 4 내지 6일 건조시켜 수분을 15% 이하로 건조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3℃ 미만에서 건조시킬 경우, 최종 제조된 생들기름의 관능성이 떨어지고, 27℃를 초과하여 건조시킬 경우, 들기름의 고유의 향이 사라져 기호도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단계 1)의 건조 과정 전, 석발기 또는 찬물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찬물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경우, 생들기름의 품질의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하여 15 내지 20℃에서 1 내지 3분간 들깨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2)의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 각각은 재배한 후 분말화하여 제조한 것, 시판되는 것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단계 2)에서 생들기름의 우수한 산패 억제 효과를 통해 유통기한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0.1 내지 3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 내지 3.5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5 내지 2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3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생들기름의 고유성을 해칠 수 있다.
상기 단계 2)에서 생들기름의 보다 우수한 산패 억제 효과를 통해 유통기한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들깨에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혼합할 경우,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0.1 : 4 내지 4 : 0.1의 혼합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 : 3.5 내지 3.5 : 0.5의 혼합비로 혼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 : 3 내지 3 : 1의 혼합비로 혼합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3)의 착유는 건조된 들깨에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혼합한 단계 2)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기름을 짜는 단계로, 상온에서 압축기를 이용하여 착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 10 내지 30℃에서 7 내지 12분간 압출기를 이용하여 착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 내지 25℃에서 9 내지 11분간 압출기를 이용하여 착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착유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기름 착유에 사용되는 다양한 착유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착유된 생들기름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온에 방치하여 침전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거나,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생들기름은 익히지 않은 생들깨에 감초 분말 또는 산화 분말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대상으로 착유하여 제조함으로써 산패가 억제되어 유통기한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생들기름은 익히지 않은 생들깨에 감초 분말 및 산화 분말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대상으로 착유하여 제조함으로써 산패가 보다 억제되어 유통기한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 생들기름은 익히지 않은 생들깨에 감초 분말 또는 산화 분말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대상으로 착유하여 제조함으로써 토코페롤 및 오메가-3 함량이 증가된다. 또한, 상기 생들기름은 익히지 않은 생들깨에 감초 분말 및 산화 분말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대상으로 착유하여 제조함으로써 토코페롤 및 오메가-3 함량이 보다 증가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건조된 들깨에 감초 분말 및/또는 단삼 분말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생들기름을 제조하였다(도 1). 또한, 상기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혼합하지 않은 비교군 생들기름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제조된 생들기름을 대상으로 산패도를 측정한 결과, 비교군 생들기름에 비해 본 발명에 따라 건조된 들깨에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생들기름의 산패도가 감소하여, 산패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모두 혼합하여 제조한 생들기름의 산패도가 보다 감소하여, 산패 억제가 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제조된 생들기름을 대상으로 색도를 측정한 결과, 비교군 및 본 발명에 따라 건조된 들깨에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생들기름 모두 색의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상기 제조된 생들기름을 대상으로 토코페롤 및 오메가-3 함량을 측정한 결과, 비교군 생들기름에 비해 본 발명에 따라 건조된 들깨에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생들기름의 토코페롤 및 오메가-3 함량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들기름은 유통 및 보관 중 진행되는 산패가 억제되고, 토코페롤 및 오메가-3 함량이 증가되므로, 본 발명에서 확립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들기름은 산패 및 품질변화가 효율적으로 방지되어 저장성 및 유통기한이 향상됨과 동시에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발명으로 제조된 생들기름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된 생들기름은 다양한 식품에 첨가하여 사용될 수 있고, 식품의 예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생들기름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생들기름의 첨가 비율은 크게 중요하지 않지만 식품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들기름은 유통 및 보관 중 진행되는 산패가 억제되고, 토코페롤 및 오메가-3 함량이 증가되므로, 다양한 식품에 첨하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유통기한이 향상된 생들기름의 제조
생들기름의 생산 및 수출을 위하여 가장 큰 걸림돌인 유통기한을 늘리기 위해 생들기름의 산패를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들기름의 고유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산패를 억제하여 유통기한이 향상된 생들기름을 제조하기 위해, 감초 분말 및/또는 단삼 분말을 혼합하여 생들기름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들깨를 석발기를 이용하여 굵은 모래 등 이물질을 1차 제거한 후, 흐르는 수돗물에서 4회 세척한 후, 건조기에 넣고 25℃에서 5일간 건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건조된 들깨를 석발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2차 제거하였다. 상기 이물질을 제거한 들깨에 감초 분말(경북 영주-국내산) 및/또는 단삼 분말(경북 영천-국내산)을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혼합한 후, 압출기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10분간 착유한 다음, 24시간 침전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생들기름을 제조하였다(도 1).
이 때, 들기름의 고유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감초 분말 및/또는 단삼 분말의 배합량은 2% 이하로 하였다.
실시예 | 시료량 (g) | 감초:단삼 비율 |
들깨 2000g 안에 함유하는 감초 및/또는 단삼 함량 (%) |
||
들깨 | 감초 | 단삼 | |||
1 | 2000 | 10 | 0 | 10 : 0 | 0.50% |
2 | 2000 | 20 | 0 | 20 : 0 | 1% |
3 | 2000 | 40 | 0 | 40 : 0 | 2% |
4 | 2000 | 0 | 10 | 0 : 10 | 0.50% |
5 | 2000 | 0 | 20 | 0 : 20 | 1% |
6 | 2000 | 0 | 40 | 0 : 40 | 2% |
7 | 2000 | 5 | 5 | 1 : 1 | 0.50% |
8 | 2000 | 10 | 10 | 1 : 1 | 1% |
9 | 2000 | 20 | 20 | 1 : 1 | 2% |
10 | 2000 | 3.3 | 6.6 | 1 : 2 | 0.50% |
11 | 2000 | 6.6 | 13.2 | 1 : 2 | 1% |
12 | 2000 | 13.2 | 26.4 | 1 : 2 | 2% |
13 | 2000 | 6.6 | 3.3 | 2 : 1 | 0.50% |
14 | 2000 | 13.2 | 6.6 | 2 : 1 | 1% |
15 | 2000 | 26.4 | 13.2 | 2 : 1 | 2% |
16 | 2000 | 2.5 | 7.5 | 1 : 3 | 0.50% |
17 | 2000 | 5 | 15 | 1 : 3 | 1% |
18 | 2000 | 10 | 30 | 1 : 3 | 2% |
19 | 2000 | 7.5 | 2.5 | 3 : 1 | 0.50% |
20 | 2000 | 15 | 5 | 3 : 1 | 1% |
21 | 2000 | 30 | 10 | 3 : 1 | 2% |
<비교예 1> 생들기름의 제조
하기 [표 2]의 조성과 같이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혼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들기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 시료량 (g) | 감초:단삼 비율 |
들깨 2000g 안에 함유하는 감초 및/또는 단삼 함량 (%) |
||
들깨 | 감초 | 단삼 | |||
1 | 2000 | 0 | 0 | 0 : 0 | 0 |
<실험예 1> 생들기름의 산패도 분석
상기 <실시예>의 생들기름 및 <비교예 1>의 생들기름의 산패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산패도 측정은 AOAC법을 이용하였다. 생들기름 시료 0.5 g을 취하여 다이에틸에테르(diethyl ether)와 에탄올(ethanol)이 2:1로 혼합된 용매 10 mL를 가한 후 충분히 혼합한 다음 1% 페놀프탈레인(phenolphthalein) 용액을 지시약으로 0.1 N KOH 용액으로 적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가를 구하였다.
[수학식 1]
산가={(V1-V0)×5.611×F}/S,
V1 : 본 시험의 0.1 N KOH 용액의 적성 소비량(mL),
V0 : 공 시험의 0.1 N KOH 용액의 적성 소비량(mL),
F : 0.1 N KOH용액의 역가,
S : 시료 채취량(g).
그 결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혼합하지 않고 제조한 생들기름인 <비교예 1>에 비해 감초 분말 및/또는 단삼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생들기름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1> 모두 산패도가 감소하여, 산패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감초 분말 또는 단삼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생들기름보다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생들기름의 산패도가 보다 감소하여, 산패 억제 효과가 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시료 | 시료량 (g) | 감초:단삼 비율 |
들깨 2000g 안에 함유하는 감초 및/또는 단삼 함량 (%) |
산패도 (mg/g) |
||
들깨 | 감초 | 단삼 | ||||
비교예 1 | 2000 | 0 | 0 | 0 : 0 | 0 | 0.910.18 |
실시예 1 | 2000 | 10 | 0 | 10 : 0 | 0.50% | 0.70.16 |
실시예 2 | 2000 | 20 | 0 | 20 : 0 | 1% | 0.550.02 |
실시예 3 | 2000 | 40 | 0 | 40 : 0 | 2% | 0.560.01 |
실시예 4 | 2000 | 0 | 10 | 0 : 10 | 0.50% | 0.550.03 |
실시예 5 | 2000 | 0 | 20 | 0 : 20 | 1% | 0.490.04 |
실시예 6 | 2000 | 0 | 40 | 0 : 40 | 2% | 0.520.01 |
실시예 7 | 2000 | 5 | 5 | 1 : 1 | 0.50% | 0.550.03 |
실시예 8 | 2000 | 10 | 10 | 1 : 1 | 1% | 0.520.04 |
실시예 9 | 2000 | 20 | 20 | 1 : 1 | 2% | 0.520.06 |
실시예 10 | 2000 | 3.3 | 6.6 | 1 : 2 | 0.50% | 0.540.02 |
실시예 11 | 2000 | 6.6 | 13.2 | 1 : 2 | 1% | 0.520.03 |
실시예 12 | 2000 | 13.2 | 26.4 | 1 : 2 | 2% | 0.520.04 |
실시예 13 | 2000 | 6.6 | 3.3 | 2 : 1 | 0.50% | 0.560.01 |
실시예 14 | 2000 | 13.2 | 6.6 | 2 : 1 | 1% | 0.550.01 |
실시예 15 | 2000 | 26.4 | 13.2 | 2 : 1 | 2% | 0.520.02 |
실시예 16 | 2000 | 2.5 | 7.5 | 1 : 3 | 0.50% | 0.530.02 |
실시예 17 | 2000 | 5 | 15 | 1 : 3 | 1% | 0.450.01 |
실시예 18 | 2000 | 10 | 30 | 1 : 3 | 2% | 0.530.03 |
실시예 19 | 2000 | 7.5 | 2.5 | 3 : 1 | 0.50% | 0.530.03 |
실시예 20 | 2000 | 15 | 5 | 3 : 1 | 1% | 0.530.04 |
실시예 21 | 2000 | 30 | 10 | 3 : 1 | 2% | 0.520.04 |
<실험예 2> 생들기름의 색도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1>, 및 <비교예 1>의 생들기름의 색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생들기름 시료의 색은 색차계(CM-3500d, Konica)를 사용하여 명도를 나타내는 L값,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으로 나타내었으며, 3회 이상 반복 측정 하였다. 이때 표준백판의 L값은 99.06, a값은 -0.17, b값은 -0.31 이였다.
그 결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혼합하지 않고 제조한 생들기름인 <비교예 1> 및 감초 분말 및/또는 단삼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생들기름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1> 모두 색의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시료 | 시료량 (g) | 감초:단삼 비율 |
들깨 2000g 안에 함유하는 감초 및/또는 단삼 함량 (%) |
색도 | ||||
들깨 | 감초 | 단삼 | 명도(L값) | 적색도(a) | 황색도(b) | |||
비교예 1 | 2000 | 0 | 0 | 0 : 0 | 0 | 31.6 | -0.82 | 4.51 |
실시예 1 | 2000 | 10 | 0 | 10 : 0 | 0.50% | 31.59 | -0.86 | 4.58 |
실시예 2 | 2000 | 20 | 0 | 20 : 0 | 1% | 31.62 | -0.85 | 4.71 |
실시예 3 | 2000 | 40 | 0 | 40 : 0 | 2% | 31.59 | -0.85 | 4.58 |
실시예 4 | 2000 | 0 | 10 | 0 : 10 | 0.50% | 31.4 | -0.71 | 5.48 |
실시예 5 | 2000 | 0 | 20 | 0 : 20 | 1% | 31.19 | -0.47 | 6.57 |
실시예 6 | 2000 | 0 | 40 | 0 : 40 | 2% | 31.01 | -0.22 | 7.31 |
실시예 7 | 2000 | 5 | 5 | 1 : 1 | 0.50% | 31.38 | -0.63 | 5.6 |
실시예 8 | 2000 | 10 | 10 | 1 : 1 | 1% | 31.39 | -0.65 | 5.49 |
실시예 9 | 2000 | 20 | 20 | 1 : 1 | 2% | 31.21 | -0.5 | 6.29 |
실시예 10 | 2000 | 3.3 | 6.6 | 1 : 2 | 0.50% | 31.42 | -0.68 | 5.55 |
실시예 11 | 2000 | 6.6 | 13.2 | 1 : 2 | 1% | 31.37 | -0.6 | 5.53 |
실시예 12 | 2000 | 13.2 | 26.4 | 1 : 2 | 2% | 31.06 | -0.35 | 6.97 |
실시예 13 | 2000 | 6.6 | 3.3 | 2 : 1 | 0.50% | 31.47 | -0.69 | 5.4 |
실시예 14 | 2000 | 13.2 | 6.6 | 2 : 1 | 1% | 31.45 | -0.67 | 5.45 |
실시예 15 | 2000 | 26.4 | 13.2 | 2 : 1 | 2% | 31.29 | -0.56 | 6.04 |
실시예 16 | 2000 | 2.5 | 7.5 | 1 : 3 | 0.50% | 31.38 | -0.61 | 5.77 |
실시예 17 | 2000 | 5 | 15 | 1 : 3 | 1% | 31.3 | -0.51 | 6.2 |
실시예 18 | 2000 | 10 | 30 | 1 : 3 | 2% | 31.14 | -0.32 | 6.88 |
실시예 19 | 2000 | 7.5 | 2.5 | 3 : 1 | 0.50% | 31.43 | -0.71 | 5.46 |
실시예 20 | 2000 | 15 | 5 | 3 : 1 | 1% | 31.47 | -0.7 | 5.38 |
실시예 21 | 2000 | 30 | 10 | 3 : 1 | 2% | 31.36 | -0.62 | 5.72 |
<실험예 3> 생들기름의 토코페롤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1>, 및 <비교예 1>의 생들기름의 토코페롤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생들기름 시료를 4000 rpm/40 분/27℃의 조건으로 2번 원심 분리하여 시료의 침전물을 제거하였다. 그 후, HPLC 수준의 메탄올 : 헥산 : 테트라히드로푸란(Tetrahydrofuran)을 8: 1: 1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에 50 mg/mL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이성체의 규명은 토코페롤 표준품 ((±)α-tocopherol 99.5%)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컬럼은 Athena c-18(5 um. 4.6×250 mm)로 이동상은 100% HPLC 수준 MeOH(유속 : 1.5 mL/min)을 사용하여 Fluorometric detector(Ext: 290 nm/ Emi: 325 nm)로 분석하였다. 상기 HPLC 분석 조건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분석기기 | JASCO LC-2000 |
컬럼 | Athena c-18(5 um. 4.6×250 mm) |
유량 | 1.5 mL/min |
주입농도 | 50 mg/mL |
검출조건 | Ext: 290 nm/ Emi: 325 nm |
주입량 | 20 μL |
컬럼온도 | 30℃ |
이동상 | (이동상 A) 0.1% trifluoroacetic acid in 물 (이동상 B) 메탄올 % B: 0~5min (0~50%), 5~15min (50~75%), 15~17min (75~90%), 17~21min (90~100%), 21~23min (100~0%), 23~33min (0~0%), |
그 결과,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혼합하지 않고 제조한 생들기름인 <비교예 1>에 비해 감초 분말 및/또는 단삼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생들기름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1> 모두 토코페롤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감초 분말 또는 단삼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생들기름보다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생들기름의 토코페롤 함량이 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료 | 시료량 (g) | 감초:단삼 비율 |
들깨 2000g 안에 함유하는 감초:단삼 함량 (%) |
α-tocopherol (ug/ml) |
||
들깨 | 감초 | 단삼 | ||||
비교예 1 | 2000 | 0 | 0 | 0 : 0 | 0 | 6.09 |
실시예 1 | 2000 | 10 | 0 | 10 : 0 | 0.50% | 6.17 |
실시예 2 | 2000 | 20 | 0 | 20 : 0 | 1% | 6.59 |
실시예 3 | 2000 | 40 | 0 | 40 : 0 | 2% | 6.75 |
실시예 4 | 2000 | 0 | 10 | 0 : 10 | 0.50% | 6.67 |
실시예 5 | 2000 | 0 | 20 | 0 : 20 | 1% | 6.87 |
실시예 6 | 2000 | 0 | 40 | 0 : 40 | 2% | 6.59 |
실시예 7 | 2000 | 5 | 5 | 1 : 1 | 0.50% | 6.95 |
실시예 8 | 2000 | 10 | 10 | 1 : 1 | 1% | 6.77 |
실시예 9 | 2000 | 20 | 20 | 1 : 1 | 2% | 6.69 |
실시예 10 | 2000 | 3.3 | 6.6 | 1 : 2 | 0.50% | 6.67 |
실시예 11 | 2000 | 6.6 | 13.2 | 1 : 2 | 1% | 6.37 |
실시예 12 | 2000 | 13.2 | 26.4 | 1 : 2 | 2% | 6.09 |
실시예 13 | 2000 | 6.6 | 3.3 | 2 : 1 | 0.50% | 6.83 |
실시예 14 | 2000 | 13.2 | 6.6 | 2 : 1 | 1% | 6.72 |
실시예 15 | 2000 | 26.4 | 13.2 | 2 : 1 | 2% | 6.68 |
실시예 16 | 2000 | 2.5 | 7.5 | 1 : 3 | 0.50% | 6.69 |
실시예 18 | 2000 | 10 | 30 | 1 : 3 | 2% | 6.76 |
실시예 19 | 2000 | 7.5 | 2.5 | 3 : 1 | 0.50% | 6.18 |
실시예 20 | 2000 | 15 | 5 | 3 : 1 | 1% | 6.76 |
실시예 21 | 2000 | 30 | 10 | 3 : 1 | 2% | 6.77 |
<실험예 4> 생들기름의 오메가-3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1>, 및 <비교예 1>의 생들기름의 오메가-3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생들기름 시료 10 mg을 유리튜브에 취하여 메탄올에 용해한 0.5 N NaOH 용액 2 mL를 가하고 질소를 불어 넣은 후 뚜껑을 닫아 100℃ heating block에서 5분간 가열하였다. 가열 후 상온에서 30℃ 미만으로 충분히 냉각시킨 다음 14% methanolic boron trichloride 3 mL를 첨가한 후 질소를 충전하고, 뚜껑을 덮어 균질하였다. 100℃ heating block에서 2분간 재가열한 후 꺼내서 다시 상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헥산 2 mL을 가하고 질소를 불어 넣은 후 뚜껑을 덮고 30초간 교반하였다. 이어 포화염화나트륨 용액 5 mL를 가하고 충분히 교반한 후 상이 분리되도록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분리된 상의 상층인 헥산층을 무수황산나트륨이 들어있는 튜브에 취하여 잔여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을 제거된 헥산은 회전식진공농축기를 이용해 용매를 제거한 다음 헥산에 일정 농도가 되도록 다시 용해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상기 GC/MS 분석 조건은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분석기기 | Agilent 6890 |
컬럼 | SP-2560(100 m × 0.25 mm × 0.2 μm) |
이동 가스 및 유량 | N2, 1 mL/min |
컬럼 온도 | 140℃(5 min) → 4℃/min → 240℃(30 min) |
주입온도 | 220℃ |
검출기 및 검출온도 | FID, 240℃ |
주입량 | 1 μL |
그 결과,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혼합하지 않고 제조한 생들기름인 <비교예 1>에 비해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생들기름의 오메가-3 함량이 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료 | 시료량 (g) | 감초:단삼 비율 |
들깨 2000g 안에 함유하는 감초:단삼 함량 (%) |
오메가-3 (mg/g) |
|||
들깨 | 감초 | 단삼 | 함량 (mg/g) |
오차범위 | |||
비교예 1 | 2000 | 0 | 0 | 0 : 0 | 0 | 573.43 | 2.43 |
실시예 1 | 2000 | 10 | 0 | 10 : 0 | 0.50% | 495.16 | 0.21 |
실시예 2 | 2000 | 20 | 0 | 20 : 0 | 1% | 382.83 | 1.20 |
실시예 3 | 2000 | 40 | 0 | 40 : 0 | 2% | 262.50 | 0.85 |
실시예 4 | 2000 | 0 | 10 | 0 : 10 | 0.50% | 512.05 | 0.49 |
실시예 5 | 2000 | 0 | 20 | 0 : 20 | 1% | 459.31 | 0.42 |
실시예 6 | 2000 | 0 | 40 | 0 : 40 | 2% | 730.96 | 3.72 |
실시예 7 | 2000 | 5 | 5 | 1 : 1 | 0.50% | 701.83 | 5.44 |
실시예 8 | 2000 | 10 | 10 | 1 : 1 | 1% | 580.51 | 0.14 |
실시예 11 | 2000 | 6.6 | 13.2 | 1 : 2 | 1% | 696.74 | 4.38 |
실시예 12 | 2000 | 13.2 | 26.4 | 1 : 2 | 2% | 779.63 | 3.70 |
실시예 13 | 2000 | 6.6 | 3.3 | 2 : 1 | 0.50% | 600.57 | 1.34 |
실시예 14 | 2000 | 13.2 | 6.6 | 2 : 1 | 1% | 709.21 | 3.07 |
실시예 15 | 2000 | 26.4 | 13.2 | 2 : 1 | 2% | 669.51 | 1.07 |
실시예 16 | 2000 | 2.5 | 7.5 | 1 : 3 | 0.50% | 701.93 | 1.23 |
실시예 17 | 2000 | 5 | 15 | 1 : 3 | 1% | 753.12 | 3.32 |
실시예 18 | 2000 | 10 | 30 | 1 : 3 | 2% | 796.67 | 2.24 |
실시예 19 | 2000 | 7.5 | 2.5 | 3 : 1 | 0.50% | 746.54 | 2.77 |
실시예 20 | 2000 | 15 | 5 | 3 : 1 | 1% | 780.69 | 3.46 |
실시예 21 | 2000 | 30 | 10 | 3 : 1 | 2% | 779.40 | 2.98 |
Claims (7)
1) 들깨를 건조시키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들깨에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착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들기름 제조방법.
2) 상기 단계 1)의 들깨에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착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들기름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건조는 23 내지 27℃에서 3 내지 7일간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3)의 착유는 10 내지 30℃에서 7 내지 12분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들기름 제조방법.
상기 단계 3)의 착유는 10 내지 30℃에서 7 내지 12분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들기름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은 0.1 내지 3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들기름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0.1 : 4 내지 4 : 0.1의 혼합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들기름 제조방법.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감초 분말 및 단삼 분말을 0.5 : 3.5 내지 3.5 : 0.5의 혼합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들기름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착유한 들기름을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들기름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들기름은 산패 억제, 토코페롤 함량 증가 및 오메가-3 함량 증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 것인, 생들기름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6302A KR102249821B1 (ko) | 2020-08-24 | 2020-08-24 | 유통기한이 향상되고 오메가-3가 증가된 생들기름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6302A KR102249821B1 (ko) | 2020-08-24 | 2020-08-24 | 유통기한이 향상되고 오메가-3가 증가된 생들기름 제조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0169A Division KR20200023787A (ko) | 2018-08-27 | 2018-08-27 | 유통기한이 향상되고 오메가-3가 증가된 생들기름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3590A true KR20200103590A (ko) | 2020-09-02 |
KR102249821B1 KR102249821B1 (ko) | 2021-05-10 |
Family
ID=72469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6302A KR102249821B1 (ko) | 2020-08-24 | 2020-08-24 | 유통기한이 향상되고 오메가-3가 증가된 생들기름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982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8576B1 (ko) | 2022-06-03 | 2022-09-01 | 이우락 | 최대의 오메가 3 지방산 함유량을 가지는 생들기름의 제조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51593A (ja) * | 1991-08-26 | 1993-03-02 | Nisshin Oil Mills Ltd:The | 食用油の製造法 |
KR20150061204A (ko) * | 2013-11-27 | 2015-06-04 | 정준호 | 생들기름 제조방법 |
-
2020
- 2020-08-24 KR KR1020200106302A patent/KR1022498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51593A (ja) * | 1991-08-26 | 1993-03-02 | Nisshin Oil Mills Ltd:The | 食用油の製造法 |
KR20150061204A (ko) * | 2013-11-27 | 2015-06-04 | 정준호 | 생들기름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김윤화 외 3명,‘단삼 추출물의 항산화능 검색 및 약과에의 첨가효과’ 한국조리과학회지, 제19권제4호, 463~469쪽, (2003.08.31.) 1부.*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9821B1 (ko) | 2021-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7659B1 (ko) | 대추 와인 및 그 제조방법 | |
CN109527329B (zh) | 一种针对调味面制品的护色护味复配抗氧化剂及其制备方法 | |
KR102249821B1 (ko) | 유통기한이 향상되고 오메가-3가 증가된 생들기름 제조방법 | |
KR20210069863A (ko) | 시금치 및 참나물을 이용한 페스토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384450B1 (ko) | 피나무 결정꿀을 이용한 매실청 제조 방법 | |
KR101663384B1 (ko) | 저염·저당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고추장 | |
KR101962325B1 (ko) | 홍삼 모나카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14964B1 (ko) | 흑보리를 함유하는 엿기름 분말의 제조방법 | |
KR20200023787A (ko) | 유통기한이 향상되고 오메가-3가 증가된 생들기름 제조방법 | |
KR102433551B1 (ko) | 홍국쌀을 이용한 고구마 쌀빵의 제조방법 | |
KR20190077802A (ko) | 감, 잡곡 및 약용식물을 이용한 찹쌀떡의 제조방법 | |
KR100777622B1 (ko) | 항균성이 개선된 구기자함유 고추장 | |
KR101817570B1 (ko) | 발아 향미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아 향미차 | |
KR101159204B1 (ko) | 고수를 함유하는 고추장 조성물 | |
KR20130050502A (ko) | 오미자 석류혼합차의 제조방법 | |
KR101714963B1 (ko) | 삼색 현미를 이용한 삼색 발아현미 분말의 제조방법 | |
KR101516242B1 (ko) | 뽕잎추출물을 이용한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청국장 | |
KR102690541B1 (ko) | 밀과 보리를 이용한 기능성 및 관능성이 개선된 국수의 제조방법 | |
KR20020030677A (ko) | 녹차성분을 함유한 탁주의 제조방법 | |
KR101814418B1 (ko) | 수박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수박 고추장 | |
CN105105248B (zh) | 一种树莓饮料及其制备方法 | |
KR20160026174A (ko) | 토마토를 이용한 토마토 된장의 제조방법 | |
KR20090124303A (ko) | 천연 치자 색소를 이용한 감귤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 |
KR20140064494A (ko) | 풍미가 향상된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 |
KR20180117274A (ko) | 오메가3가 풍부한 들기름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