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479A - 엘리베이터 제어반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제어반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479A
KR20150058479A KR1020157010374A KR20157010374A KR20150058479A KR 20150058479 A KR20150058479 A KR 20150058479A KR 1020157010374 A KR1020157010374 A KR 1020157010374A KR 20157010374 A KR20157010374 A KR 20157010374A KR 20150058479 A KR20150058479 A KR 20150058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ivided
outer cover
control panel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0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5697B1 (ko
Inventor
도모히코 야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58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66B11/002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81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falling by means of safety fences or handrails, being operable or not, mounted on top of the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제어반에서는, 케이스의 전면의 개구부가 겉 커버에 의해 개폐된다. 겉 커버의 폭 방향 일단부에는, 굽힘부가 마련되어 있다. 굽힘부에는, 슬릿이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의 측면에는, 슬릿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겉 커버의 개폐 동작을 안내함과 아울러, 겉 커버가 케이스로부터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축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슬릿의 형상은, 겉 커버를 제어반 본체의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고 나서 상부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개구부가 개방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반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CONTROL PANEL AND ELEVATOR DEVICES USING SAME}
본 발명은, 제어반(制御盤) 본체의 케이스의 개구부가 겉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제어반에서는, 전면(前面) 커버가 상하 방향으로 3개로 분할되어 있다. 또, 이들의 커버는 덮개식이며, 본체 패널의 전면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본체 패널로부터 커버가 완전하게 떼어내어진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종래의 다른 엘리베이터 제어반에서는, 커버의 폭 방향 일단부가 복수의 힌지를 매개로 하여 상자체에 접속되어 있다(도어식). 이 때문에, 상자체의 전면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커버가 회동되어 전개(展開)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2-338152호 공보(도 1)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제2008-150161호 공보(도 3)
일반적으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제어반이 승강로 내에 설치된다. 이 때문에, 제어반의 설치 위치(높이)에 따라서는, 제어반에 대한 보수 작업을 엘리베이터 칸 위로부터 행할 필요가 생긴다. 이것에 대해서, 종래의 덮개식의 커버를 가지는 제어반에서는, 커버가 본체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낙하에 대한 예방 조치를 강구할 필요가 있었다.
또, 엘리베이터 칸 위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서 안전 펜스(fence)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도어식의 커버를 가지는 제어반에서는, 커버가 엘리베이터 칸 또는 안전 펜스와 간섭하여, 커버를 전개(展開)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겉 커버와 엘리베이터 칸 및 안전 펜스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겉 커버를 제어반 본체에 접속한 채로, 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반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제어반은, 전면(前面)에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케이스를 가지는 제어반 본체, 및 개구부를 개폐하는 겉 커버를 구비하며, 겉 커버의 폭 방향 일단부에는, 굽힘부가 마련되어 있고, 굽힘부에는, 슬릿(slit)이 마련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측면에는, 슬릿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겉 커버의 개폐 동작을 안내함과 아울러, 겉 커버가 케이스로부터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축 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며, 슬릿의 형상은, 겉 커버를 제어반 본체의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고 나서 상부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개구부가 개방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서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칸, 및 승강로 내에 마련되어 있고, 보수 작업이 엘리베이터 칸 위로부터 행해지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구비하며, 엘리베이터 제어반은, 전면(前面)에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케이스를 가지는 제어반 본체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겉 커버를 구비하고 있으며, 겉 커버의 폭 방향 일단부에는, 굽힘부가 마련되어 있고, 굽힘부에는, 슬릿이 마련되어 있고, 케이스의 측면에는, 슬릿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겉 커버의 개폐 동작을 안내함과 아울러, 겉 커버가 케이스로부터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축 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며, 슬릿의 형상은, 겉 커버를 제어반 본체의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고 나서 상부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개구부가 개방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반 및 엘리베이터 장치는, 겉 커버의 굽힘부에 슬릿이 마련되어 있고, 겉 커버의 개폐 동작을 안내함과 아울러 겉 커버가 케이스로부터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축 부재가 케이스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으며, 슬릿의 형상이, 겉 커버를 제어반 본체의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고 나서 상부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개구부가 개방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겉 커버와 엘리베이터 칸 및 안전 펜스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겉 커버를 제어반 본체에 접속한 채로, 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내지 제3 분할 커버를 전개(全開) 위치로 전개(展開)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제1 분할 커버의 개방 동작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제1 내지 제3 분할 커버를 전개 위치로 전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XII-XII선을 따르는 제1 및 제2 분할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1 분할 커버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1 분할 커버를 바로 위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8의 커버 고정 나사를 느슨하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제1 분할 커버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눈사람 모양의 구멍으로부터 커버 고정 나사를 빼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제1 분할 커버를 폭 방향 좌측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제1 분할 커버를 바로 위로 이동시킨 후에 전개(展開)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2의 제2 분할 커버를 바로 위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제2 분할 커버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9의 제1 분할 커버의 상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9의 제2 분할 커버의 상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8의 제1 분할 커버의 하단을 커버 고정 나사에 건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XXV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제1 및 제2 분할 커버를 전개(全開) 위치로 전개(展開)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제2 분할 커버를 바로 위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결합 구멍에 결합핀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의 제1 분할 커버를 전개 위치로 전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후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후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후크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 내의 상부(꼭대기부)에는, 권상기(2)가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2)는, 구동 쉬브(sheave)(3)와. 구동 쉬브(3)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구동 쉬브(3)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3)에는, 현가체(4)가 감아 걸려 있다. 현가체(4)로서는, 복수개의 로프 또는 복수개의 벨트가 이용되고 있다. 현가체(4)는, 제1 단부(엘리베이터 칸측 단부)(4a)와, 제2 단부(균형추측 단부)(4b)를 가지고 있다. 제1 단부(4a)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 마련된 제1 로프 고정부(5a)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단부(4b)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 배치된 제2 로프 고정부(5b)에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는, 현가체(4)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고, 권상기(2)에 의해 승강로(1) 내에서 승강된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6)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과, 균형추(7)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6)의 하부에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suspending sheave)(8a, 8b)가 마련되어 있다. 균형추(7)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가 마련되어 있다. 현가체(4)는, 제1 단부(4a)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a),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b), 구동 쉬브(3)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에 감아 걸려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는, 2:1 로핑 방식으로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6)의 전면(前面)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10)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6) 상에는, 엘리베이터 칸(6) 상에서의 보수 작업시에 세워서 마련되는 안전 펜스(11)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6)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12)이 설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반(12)은, 엘리베이터 칸(6)과 간섭하지 않도록,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 칸(6)과 승강로벽(1a)과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제어반(12)으로서는, 상하 방향의 치수가 폭 방향(도 1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의 치수 보다도 크고, 두께 치수(도 1의 좌우 방향의 치수)가 폭 방향의 치수 보다도 작은 얇은 타입의 세로로 긴 제어반이 이용되고 있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반(12)에 대한 보수 작업은, 엘리베이터 칸(6) 상으로부터 행해진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제어반(12)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제어반(12)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제어반(12)은, 제어반 본체(21)와, 겉 커버인 제1 내지 제3 분할 커버(22 ~ 24)를 가지고 있다. 제어반 본체(21)는, 전면(前面)에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케이스(25)와, 케이스(25) 내에 수용되어 있는 복수의 제어 기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25)의 개구부는, 제1 내지 제3 분할 커버(22 ~ 24)에 의해 개폐된다.
제1 분할 커버(22)는, 케이스(25)의 하단(下段)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분할 커버(23)는, 제1 분할 커버(22)의 위에 인접하여 케이스(25)의 중단(中段)에 배치되어 있다. 제3 분할 커버(24)는, 제2 분할 커버(23)의 위에 인접하여 케이스(25)의 상단(上段)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분할 커버(22 ~ 24)는, 각각 독립하여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3 분할 커버(24)는,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경첩(힌지)(26a, 26b)을 매개로 하여 케이스(25)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3 분할 커버(24)는, 통상의 도어식의 커버이다.
제1 분할 커버(22)는, 케이스(25)의 개구부를 덮는 평판 모양의 커버 본체(22a)와, 커버 본체(22a)의 폭 방향의 일단부에 형성된 단면 Z형(2변 굽힘)의 굽힘부(22b)를 가지고 있다. 굽힘부(22b)는, 커버 본체(22a)의 폭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직각으로 돌출한 커버 측면부(22c)와, 커버 측면부(22c)의 커버 본체(22a)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직각으로 돌출한 돌출부(22d)를 가지고 있다.
제1 분할 커버(22)는, 커버 고정구로서의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커버 고정 나사(27a, 27b)에 의해 케이스(25)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25)의 측면에는, 굽힘부(22b)를 관통하는 제1 축 부재(28)가 세워서 마련되어 있다. 굽힘부(22b)에는, 슬릿(22e)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축 부재(28)는, 슬릿(22e)에 통과되어 있고, 슬릿(22e)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제1 분할 커버(22)의 개폐 동작을 안내한다.
제2 분할 커버(23)의 구성은, 제1 분할 커버(22)와 동일하다. 즉, 제2 분할 커버(23)는, 케이스(25)의 개구부를 덮는 평판 모양의 커버 본체(23a)와, 커버 본체(23a)의 폭 방향의 일단부에 형성된 단면 Z형(2변 굽힘)의 굽힘부(23b)를 가지고 있다. 굽힘부(23b)는, 커버 본체(23a)의 폭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직각으로 돌출한 커버 측면부(23c)와, 커버 측면부(23c)의 커버 본체(23a)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직각으로 돌출한 돌출부(23d)를 가지고 있다.
제2 분할 커버(23)는, 커버 고정구로서의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커버 고정 나사(29a, 29b)에 의해 케이스(25)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25)의 측면에는, 굽힘부(23b)를 관통하는 제2 축 부재(30)가 세워서 마련되어 있다. 굽힘부(23b)에는, 슬릿(23e)이 마련되어 있다. 제2 축 부재(30)는, 슬릿(23e)에 통과되어 있고, 슬릿(23e)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제2 분할 커버(23)의 개폐 동작을 안내한다.
도 4는 도 2의 제1 내지 제3 분할 커버(22 ~ 24)를 전개(全開) 위치로 전개(展開)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엘리베이터 제어반(12)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커버 고정 나사(27a, 27b)를 떼어내는 것에 의해, 제1 분할 커버(22)가 개방 동작 가능하게 되고, 커버 고정 나사(29a, 29b)를 떼어내는 것에 의해, 제2 분할 커버(23)의 개방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슬릿(22e, 23e)의 형상은, 분할 커버(22, 23)를 제어반 본체(21)의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고 나서 상부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케이스(25)의 개구부가 개방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슬릿(22e, 23e)의 형상은, 분할 커버(22, 23)를 상부로 슬라이드시키고 나서 축 부재(28, 30)를 중심으로 하여 분할 커버(22, 23)를 회전시켜 전개(展開)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6은 도 2의 제1 분할 커버(22)의 개방 동작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슬릿(22e)은, 상부 수평부(31), 수직부(32), 하부 수평부(33) 및 개방 유지부(34)를 가지고 있다. 상부 수평부(31)는, 커버 측면부(22c)의 상단부 근방에 수평하게 마련되어 있다. 하부 수평부(33)는, 굽힘부(22b)의 하단부 근방에, 커버 측면부(22c)와 돌출부(22d)에 걸쳐 수평하게 마련되어 있다.
수직부(32)는, 상부 수평부(31)의 커버 본체(22a)와는 반대측의 단부와, 하부 수평부(33)의 커버 본체(22a)측의 단부와의 사이에 수직으로 마련되어 있다. 개방 유지부(34)는, 하부 수평부(33)의 수직부(32)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상부로 수직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1 분할 커버(22)가 전폐(全閉) 위치에 있을 때, 제1 축 부재(28)는, 상부 수평부(31)의 커버 본체(22a)측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 제1 분할 커버(22)를 개방 동작시킬 때, 제1 축 부재(28)는, 슬릿(22e) 내를 상부 수평부(31), 수직부(32) 및 하부 수평부(33)의 순서대로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1 분할 커버(22)가 전개(全開) 위치에 있을 때, 제1 축 부재(28)는, 개방 유지부(34)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도 7은 도 6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 축 부재(28)는, 슬릿(22e)에 통과된 축부(35)와, 축부(35)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제1 축 부재(28)의 슬릿(22e)로부터의 빠짐을 저지하는 구(球) 모양의 머리부(36)를 가지고 있다.
머리부(36)와 제1 분할 커버(22)와의 사이에는, 클리어런스(clearance)(간극 또는 여유)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분할 커버(22)는, 클리어런스분(分) 만큼 케이스(25)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분할 커버(23)의 슬릿(23e)의 형상, 슬릿(23e)과 제2 축 부재(30)와의 위치 관계, 및 제2 축 부재(30)의 구성 등은, 슬릿(22e) 및 제1 축 부재(28)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제어반(12)의 보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칸(6) 상에 작업원이 타고 들어가, 도 2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6) 상의 바닥면이 엘리베이터 제어반(12)의 하단부 보다도 약간 하부에 위치하도록 엘리베이터 칸(6)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커버 고정 나사(27a, 27b)를 떼어낸다.
이 후, 안전 펜스(11)와 제1 분할 커버(22)와의 사이의 간극을 이용하여, 제1 분할 커버(22)를 바로 앞(안전 펜스(11)측)으로 인출한다. 다음으로, 제1 분할 커버(22)를 케이스(25)의 폭 방향 좌측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2 분할 커버(23)와의 간섭을 피하고, 제1 분할 커버(22)를 상부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축 부재(28)가 수직부(32)의 하단부로 이동할 때까지, 제1 분할 커버(22)를 바로 위로 슬라이드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1 분할 커버(22)의 하단부는, 안전 펜스(11)의 상단부 보다도 상부로 이동된다. 즉, 제1 분할 커버(22)는, 엘리베이터 칸(6) 상의 바닥면을 제1 분할 커버(22)의 하단과 동일 높이로 했을 때, 안전 펜스(11)의 상단 보다도 상부까지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후, 제1 축 부재(28)를 중심으로 하여 제1 분할 커버(22)를 약 90° 전개(展開)시킨다. 그리고, 제1 축 부재(28)가 개방 유지부(34)의 상단으로 이동하도록, 제1 분할 커버(22)를 약간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제1 분할 커버(22)를 안전 펜스(11)에 놓고, 안전 펜스(11)에 의해 제1 분할 커버(22)를 지지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제1 분할 커버(22)를 전폐(全閉) 위치로 되돌리는 경우는, 상기의 반대의 순서이다.
또, 제2 분할 커버(23)의 개방 동작 및 폐쇄 동작은, 제1 분할 커버(22)의 경우와 동일하다. 엘리베이터 제어반(12)의 높이 치수가 큰 경우, 필요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6)을 상하 이동시키면서 엘리베이터 제어반(12)에 대한 보수 작업을 행하면 좋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제어반(12)에 의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와 엘리베이터 칸(6) 및 안전 펜스(11)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를 제어반 본체(21)에 접속한 채로, 케이스(25)의 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의 낙하에 대한 예방 조치를 강구할 필요가 없다.
또,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를 상부로 슬라이드시키고 나서 축 부재(28, 30)를 중심으로 하여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를 회전시켜 전개(展開)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를 동시에 전개(全開)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1 및 제2 축 부재(28, 30)의 머리부(36)와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clearance)가 마련되어 있고, 클리어런스분 만큼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가 케이스(25)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상측에 인접하는 커버와의 간섭을 용이하게 피하면서,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게다가 또, 제1 분할 커버(22)의 높이 치수는, 안전 펜스(11)의 높이 치수 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제1 분할 커버(22)는, 엘리베이터 칸(6) 상의 바닥면을 제1 분할 커버(22)의 하단과 동일 높이로 했을 때, 안전 펜스(11)의 상단 보다도 상부까지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안전 펜스(11)와의 간섭을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모든 분할 커버(22 ~ 24)가 좌측으로 전개(展開)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분할 커버(22 ~ 24)의 전부 또는 일부를 우측으로 전개(展開)해도 괜찮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3매의 겉 커버를 이용했지만, 겉 커버는, 1매, 2매 또는 4매 이상이라도 괜찮다. 2매 이상의 겉 커버를 이용하는 경우, 그들의 겉 커버 중 몇 매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괜찮다.
게다가, 2매 이상의 겉 커버를 이용하는 경우, 각 겉 커버의 높이 치수는 동일하지 않아도 좋고,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반(12)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엘리베이터 제어반(12)을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10은 도 8의 제1 내지 제3 분할 커버(22 ~ 24)를 전개 위치로 전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 제어반(12)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제1 분할 커버(22)의 커버 본체(22a)에는, 커버 고정 나사(27a, 27b)가 통과되는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눈사람 모양 구멍(snowman type holes) (22f, 22g)이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분할 커버(23)의 커버 본체(23a)에는, 커버 고정 나사(29a, 29b)가 통과되는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눈사람 모양 구멍(23f, 23g)이 마련되어 있다.
도 12는 도 8의 XII-XII선을 따르는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의 단면도이다. 제1 분할 커버(22)의 상단부에는, 커버 본체(22a)를 케이스(25)측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절곡부(22h)와, 절곡부(22h)의 단부를 상측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겹침부(22i)가 마련되어 있다. 즉, 커버 본체(22a)의 상단부에는, 단면 Z형의 굽힘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제2 분할 커버(23)의 하단부에는, 커버 본체(23a)를 케이스(25)측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절곡부(23h)와, 절곡부(23h)의 단부를 하측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겹침부(23i)가 마련되어 있다. 즉, 커버 본체(23a)의 하단부에는, 단면 Z형의 굽힘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겹침부(22i, 23i)는,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가 전폐(全閉) 위치에 있을 때, 엘리베이터 제어반(12)을 정면으로부터 보아 전후로 겹쳐 배치되어 있다. 또, 겹침부(23i)는, 겹침부(22i)의 후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제어반(12) 내로의 물의 침입이 방지되어 있다.
제2 분할 커버(23)를 케이스(25)에 고정한 상태에서 제1 분할 커버(22)를 개방하는 경우, 커버 고정 나사(27a, 27b)를 충분히 느슨하게 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겹침부(22i)가 제2 분할 커버(23)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제1 분할 커버(22)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후,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고정 나사(27a, 27b)가 눈사람 모양 구멍(22f, 22g)의 대경부(大徑部)에 들어갈 때까지, 제1 분할 커버(22)를 바로 위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1 분할 커버(22)를 재차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눈사람 모양 구멍(22f, 22g)으로부터 커버 고정 나사(27a, 27b)를 뺀다.
도 15는 도 8의 커버 고정 나사(27a, 27b)를 느슨하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제1 분할 커버(22)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눈사람 모양 구멍(22f, 22g)으로부터 커버 고정 나사(27a, 27b)를 뽑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고,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분할 커버(22)를 케이스(25)의 폭 방향 좌측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1 축 부재(28)가 수직부(32)의 하단부로 이동할 때까지, 제1 분할 커버(22)를 바로 위로 슬라이드시킨다. 이 후,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축 부재(28)를 중심으로 하여 제1 분할 커버(22)를 약 90° 전개(展開)시킨다. 그리고, 제1 축 부재(28)가 개방 유지부(34)의 상단으로 이동하도록, 제1 분할 커버(22)를 약간 하부로 이동시킨다. 또, 제1 분할 커버(22)를 전폐(全閉) 위치로 되돌리는 경우는, 상기의 반대의 순서이다.
한편, 제1 분할 커버(22)를 케이스(25)에 고정한 상태에서 제2 분할 커버(23)를 개방하는 경우, 커버 고정 나사(29a, 29b)를 느슨하게 하여,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겹침부(23i)가 겹쳐부(22i)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바로 위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커버 고정 나사(29a, 29b)가 눈사람 모양 구멍(23f, 23g)의 대경부에 들어간다. 즉, 겹침부(22i, 23i)의 겹침 치수는, 겹침을 해소하는 것에 의해 커버 고정 나사(29a, 29b)가 눈사람 모양 구멍(23f, 23g) 내를 소경부(小徑部)로부터 대경부로 이동하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 후,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분할 커버(23)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눈사람 모양 구멍(23f, 23g)으로부터 커버 고정 나사(29a, 29b)를 빼낸다. 이 후의 동작은, 제1 분할 커버(22)의 개방 동작과 동일하다. 또, 제2 분할 커버(23)를 전폐(全閉) 위치로 되돌리는 경우는, 상기의 반대의 순서이다.
도 21은 도 9의 제1 분할 커버(22)의 상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2의 슬릿(22e)에서는, 상부 수평부(31)와 수직부(32)와의 사이에, 눈사람 모양 구멍(22f, 22g)으로부터 커버 고정 나사(27a, 27b)를 빼내기 위한 L자형의 나사 빼냄부(37)가 마련되어 있다.
도 22는 도 9의 제2 분할 커버(23)의 상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2의 슬릿(23e)에서는, 겹침부(23i)의 겹침부(22i)와의 간섭을 해제하기 위한 간섭 해제부(38)가, 상부 수평부(31)의 커버 본체(23a)측의 단부로부터 상부로 수직하게 마련되어 있다. 제2 분할 커버(23)가 전폐(全閉) 위치에 있을 때, 제2 축 부재(30)는, 간섭 해제부(38)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 제어반(12)에 의하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와 엘리베이터 칸(6) 및 안전 펜스(11)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를 제어반 본체(21)에 접속한 채로, 케이스(25)의 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고,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1 분할 커버(22)에 눈사람 모양 구멍(22f, 22g)을 마련하고, 제2 분할 커버(23)에 눈사람 모양 구멍(23f, 23g)을 마련했으므로, 커버 고정 나사(27a, 27b, 29a, 29b)를 케이스(25)로부터 떼어내지 않고,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를 개방할 수 있고, 커버 고정 나사(27a, 27b, 29a, 29b)의 낙하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커버 고정 나사(27a, 27b, 29a, 29b)를 케이스(25)에 장착한 채로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를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1 분할 커버(22)만을 개방하는 경우에, 도 23 ~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로 슬라이드된 제1 분할 커버(22)의 하단을 커버 고정 나사(27a, 27b)에 거는 것에 의해, 개구부의 제1 분할 커버(22)에 대응하는 부분의 개방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축 부재(28, 30)의 축부(35)와 슬릿(22e, 23e)의 상부 수평부(31)의 폭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를 마련하고, 이 클리어런스를 이용하여, 눈사람 모양 구멍(22f, 22g)으로부터 커버 고정 나사(27a, 27b)를 뻬내거나, 겹침부(22i)와 겹침부(23i)와의 간섭을 해소하거나 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슬릿(22e, 23e)의 형상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단순화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반(12)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7은 도 26의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를 전개(全開) 위치로 전개(展開)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1, 2에서는 도어식의 제3 분할 커버(24)를 이용했지만, 실시 형태 3에서는,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만을 이용하고 있다. 또,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에는,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를 전개(展開)한 상태에서 결합하여 전개(展開)한 상태로 유지하는 결합부(40)가 마련되어 있다.
도 28은 도 26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결합부(40)는, 제1 분할 커버(22)의 겹침부(22i)에 마련된 결합 구멍(41)과, 제2 분할 커버(23)의 겹침부(23i)에 마련된 결합핀(42)을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가 전개(全開) 위치에 있을 때, 결합핀(42)은, 결합 구멍(41)과는 반대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결합 구멍(41)에 삽입되어 있지 않다.
도 29는 도 28의 제2 분할 커버(23)를 바로 위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0은 도 28의 결합 구멍(41)에 결합핀(42)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 3에서는,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가 전개(全開) 위치에 있을 때, 전폐(全閉) 위치에 있을 때에 대하여, 겹침부(22i, 23i)의 전후를 반대로 하고, 결합핀(42)을 결합 구멍(41)에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가 전개(展開)한 상태로 유지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 또는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의 가동 범위가 결합부(40)에 의해 구속되고, 다른 유지 수단(기구)을 이용하지 않고, 제1 및 제2 분할 커버(22, 23)를 전개(展開)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다음으로,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반(12)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2는 도 31의 엘리베이터 제어반(12)을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33은 도 31의 제1 분할 커버(22)를 전개(全開) 위치로 전개(展開)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4는 도 33의 엘리베이터 제어반(12)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제2 분할 커버(23)의 굽힘부(23b)(커버 측면부(23c))에는, 후크(44)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분할 커버(22)의 굽힘부(22b)(돌출부(22d))에는, 제1 분할 커버(22)가 전개(全開) 위치에 있을 때에 후크(44)가 통과되는 후크 구멍(45)이 마련되어 있다. 이 후크 구멍(45)을 이용하여, 제1 분할 커버(22)를 전개(展開)한 상태에서 후크(44)에 거는 것에 의해, 제1 분할 커버(22)의 전개(展開) 상태가 유지된다.
도 35는 도 34의 후크(44)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6은 도 35의 후크(44)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7은 도 36의 후크(44)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후크(44)는, 핀의 선단에 구 모양의 래치를 마련한 것이다. 단, 후크(44)의 형상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단순한 L자형의 고정구 등이라도 괜찮다. 물론, 제1 분할 커버(22)를 전개(全開)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후크(44)가 제1 분할 커버(22)에 간섭하지는 않는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 ~ 3 중 어느 것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제1 분할 커버(22)의 전개(展開) 상태를 보다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 후크 구멍(45)은, 제1 분할 커버(22)를 폐쇄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제어반(12)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부(22d)에 위치하기 때문에, 기능적 및 법규적으로 문제는 되지 않는다.
또, 실시 형태 4에서는, 제1 분할 커버(22)의 위에 인접하는 제2 분할 커버(23)에 후크(44)를 마련했지만, 겉 커버가 1매만인 경우는 케이스에 후크를 마련하거나, 위에 인접하는 겉 커버가 도어식 커버인 경우는 도어식 커버에 후크를 마련하거나 해도 괜찮다.
또, 실시 형태 1 ~ 4에서는, 커버 고정 나사(27a, 27b)를 커버 본체(22a)의 좌우에 배치했지만, 좌우 중 어느 일방에만 배치해도 괜찮다.
게다가, 실시 형태 1 ~ 4에서는, 커버 본체(22a, 23a)의 폭 방향 일단부를 휨 가공하여 굽힘부(22b, 23b)를 형성했지만, 커버 본체(22a, 23a)의 폭 방향 일단부에 별도 부재를 고정하여 굽힘부로 해도 좋다.
게다가 또,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레이아웃은 도 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반은, 다른 레이아웃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해도 괜찮다.

Claims (11)

  1. 전면(前面)에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케이스를 가지는 제어반 본체,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겉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겉 커버의 폭 방향 일단부에는, 굽힘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굽힘부에는, 슬릿(slit)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상기 슬릿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겉 커버의 개폐 동작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겉 커버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축 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슬릿의 형상은, 상기 겉 커버를 상기 제어반 본체의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고 나서 상부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형상은, 상기 겉 커버를 상부로 슬라이드시키고 나서 상기 축 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겉 커버를 회전시켜 전개(展開)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는, 상기 겉 커버의 폭 방향 일단부를 단면 Z형으로 굽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는, 상기 슬릿에 통과된 축부와, 상기 축부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축 부재의 상기 슬릿으로부터의 빠짐을 저지하는 머리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머리부와 상기 겉 커버와의 사이에는 클리어런스(clearance)가 마련되어 있고, 클리어런스분(分) 만큼 상기 겉 커버가 상기 케이스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겉 커버는, 전폐(全閉) 위치에 있을 때 커버 고정 나사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겉 커버에는, 상기 커버 고정 나사를 통과하는 눈사람 모양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부로 슬라이드된 상기 겉 커버의 하단을 상기 커버 고정 나사에 거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겉 커버는, 제1 분할 커버와, 상기 제1 분할 커버의 위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분할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분할 커버의 각각에 상기 굽힘부 및 상기 슬릿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축 부재는, 상기 제1 분할 커버에 대응한 제1 축 부재와, 상기 제2 분할 커버에 대응한 제2 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할 커버의 상기 슬릿의 형상은, 상기 제1 및 제2 분할 커버를 상부로 슬라이드시키고 나서 상기 제1 및 제2 축 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 및 제2 분할 커버를 회전시켜 전개(展開)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분할 커버에는, 상기 제1 및 제2 분할 커버를 전개(展開)한 상태에서 결합하여 전개(展開)한 상태로 유지하는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
  9. 청구항 7 있어서,
    상기 제1 분할 커버의 상기 슬릿의 형상은, 상기 제1 분할 커버를 상부로 슬라이드시키고 나서 상기 제1 축 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 분할 커버를 회전시켜 전개(展開)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2 분할 커버의 상기 굽힘부에는, 후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분할 커버를 전개(展開)한 상태에서 상기 후크에 거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분할 커버의 전개(展開)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
  10. 승강로 내에서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승강로 내에 마련되어 있고, 보수 작업이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로부터 행해지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구비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은, 전면(前面)에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케이스를 가지는 제어반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겉 커버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겉 커버의 폭 방향 일단부에는, 굽힘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굽힘부에는, 슬릿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상기 슬릿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겉 커버의 개폐 동작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겉 커버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축 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슬릿의 형상은, 상기 겉 커버를 상기 제어반 본체의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고 나서 상부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안전 펜스(fence)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겉 커버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의 바닥면을 상기 겉 커버의 하단과 동일 높이로 했을 때, 상기 안전 펜스의 상단 보다도 상부까지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57010374A 2012-10-03 2012-10-03 엘리베이터 제어반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KR101725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75663 WO2014054134A1 (ja) 2012-10-03 2012-10-03 エレベータ制御盤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479A true KR20150058479A (ko) 2015-05-28
KR101725697B1 KR101725697B1 (ko) 2017-04-10

Family

ID=50434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374A KR101725697B1 (ko) 2012-10-03 2012-10-03 엘리베이터 제어반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96562B2 (ko)
JP (1) JP5944008B2 (ko)
KR (1) KR101725697B1 (ko)
CN (1) CN104703902B (ko)
DE (1) DE112012006976B4 (ko)
HK (1) HK1205991A1 (ko)
WO (1) WO20140541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50300B (zh) * 2014-08-05 2016-10-19 苏州德朗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电梯控制柜
JP6710342B2 (ja) * 2017-09-13 2020-06-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P3564174B1 (en) 2018-05-03 2021-06-30 Otis Elevator Company Openable elevator car wall panels
JP7070801B2 (ja) * 2019-06-19 2022-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操作盤
KR102214454B1 (ko) 2020-06-15 2021-02-09 강은희 승강기 제어반 유지 보수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9452A (ja) * 1998-11-24 2000-06-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2338152A (ja) 2001-05-16 2002-11-2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ー
JP2007106512A (ja) * 2005-10-11 2007-04-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8150161A (ja) 2006-12-18 2008-07-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制御盤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5552A (en) * 1986-07-29 1989-10-24 Montgomery Elevator Company Modular elevator cab construction
US5829554A (en) * 1995-04-03 1998-11-03 Innovation Industries Inc. Hinged modular elevator control housing
US5592780A (en) * 1995-06-07 1997-01-14 Checkovich; Peter Door position controlling apparatus
JPH106512A (ja) 1996-06-24 1998-01-13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の製造方法
US6378660B1 (en) * 1997-12-22 2002-04-30 Otis Elevator Company Hydraulic elevator without a machineroom
KR100415746B1 (ko) * 1998-07-16 2004-01-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4130020B2 (ja) * 1998-09-07 2008-08-0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盤開閉装置
DE69927609T2 (de) * 1999-10-07 2006-07-13 Mitsubishi Denki K.K. Aufzugs-wartungs- und betriebsvorrchtung
CN100556791C (zh) * 2002-11-18 2009-11-04 因温特奥股份公司 安装在门柱上的电梯控制单元
ES2283217B1 (es) * 2006-04-11 2009-02-16 Elevadores Goian S.L. Ascensor modular con cabina automotriz sobre mastil.
JP4650636B2 (ja) 2006-05-19 2011-03-16 内外電機株式会社 電気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EP2361211B1 (en) * 2008-12-05 2013-10-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including control electronics supported on an elevator machine support
ES2535219T3 (es) * 2008-12-19 2015-05-07 Otis Elevator Company Marco de puerta de ascensor con caja para componentes electrónicos
WO2012161674A1 (en) * 2011-05-20 2012-11-29 Otis Elevator Company Machine roomless hydraulic elevator system
EP2530043A1 (de) * 2011-05-30 2012-12-05 Inventio AG Aufzugschachtabschluss mit einer Aufzugkontrollanordnung
EP2530044A1 (de) * 2011-05-30 2012-12-05 Inventio AG Aufzugschachtabschluss mit einer Aufzugkontrollanordnung
US9573791B2 (en) * 2013-02-13 2017-02-21 Kone Corporation Elevators and elevator arrangements with maintenance cabinet in landing wall
JP2014189386A (ja) * 2013-03-28 2014-10-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盤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9452A (ja) * 1998-11-24 2000-06-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2338152A (ja) 2001-05-16 2002-11-2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ー
JP2007106512A (ja) * 2005-10-11 2007-04-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8150161A (ja) 2006-12-18 2008-07-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制御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2006976T5 (de) 2015-06-25
WO2014054134A1 (ja) 2014-04-10
DE112012006976B4 (de) 2019-08-14
CN104703902B (zh) 2016-08-17
JPWO2014054134A1 (ja) 2016-08-25
KR101725697B1 (ko) 2017-04-10
US20150210508A1 (en) 2015-07-30
JP5944008B2 (ja) 2016-07-05
CN104703902A (zh) 2015-06-10
HK1205991A1 (zh) 2015-12-31
US9796562B2 (en)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697B1 (ko) 엘리베이터 제어반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US6230845B1 (en) Moveable control panel for elevators
JP2014189386A (ja) エレベータ制御盤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KR20120003577U (ko) 선실 천장의 정비용 해치
JP2013116807A (ja) エレベータのホールドア装置
JP5832808B2 (ja) 横引き扉の非常時閉鎖システム
JP55721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10719882B (zh) 电梯的底坑梯子装置
JP5579159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ロック機構
JP6456519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開放装置
JP6570764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JP2009155094A (ja) エレベータのドアシステム
JP2013189294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210055488A (ko) 해치 어셈블리
JP2015016964A (ja) エレベータ制御盤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JP4293855B2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644086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7176643A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類のクライミング工法におけるトップシーブ装置
JP5846811B2 (ja) エレベータの昇降体
JP6239038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6094292A (ja) エレベータ用乗りかご天井照明装置
EP1710191B1 (en) Elevator system
JP2006143418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
CN114920114A (zh) 电梯轿顶和电梯轿厢
JP2008100838A (ja) エレベータ用品据え付け用ゴンド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