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980A - 직동 안내 장치에 있어서의 윤활제 공급 구조 및 직동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직동 안내 장치에 있어서의 윤활제 공급 구조 및 직동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980A
KR20150053980A KR1020157009104A KR20157009104A KR20150053980A KR 20150053980 A KR20150053980 A KR 20150053980A KR 1020157009104 A KR1020157009104 A KR 1020157009104A KR 20157009104 A KR20157009104 A KR 20157009104A KR 20150053980 A KR20150053980 A KR 20150053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nt
container
slider
moving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111B1 (ko
Inventor
히데유키 다지미
Original Assignee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53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16C33/102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grease as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16C33/1025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liquid, e.g. oil, as lubricant
    • F16C33/1045Details of supply of the liquid to the 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03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grease as lubricant
    • F16C33/6622Details of supply and/or removal of the grease, e.g. purging gre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37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liquid lubricant
    • F16C33/6659Details of supply of the liquid to the bearing, e.g. passages or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윤활제를 공급하는 타이밍과 그 물리적인 구조를 구체화하여, 리니어 가이드 장치의 슬라이더를 유효하게 윤활할 수 있게 한다. 슬라이더(20)의 이동 방향의 단면에, 내부에 윤할제(G)가 충전되며 또한 외부로부터의 압압력에 의해 용적이 감소되어 윤할제(G)가 압출되는 용기(30)를 장착하였다. 이 용기(30)와 슬라이더(20)의 윤활제 수입구(22a)를 연통시키고, 나아가 안내 레일(10)에, 슬라이더(20)의 이동에 의해 용기(30)를 압압하는 압착 지그(40)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직동 안내 장치에 있어서의 윤활제 공급 구조 및 직동 안내 장치{LUBRICANT FEEDING STRUCTURE IN LINEAR MOTION GUIDE DEVICE, AND LINEAR MOTION GUIDE DEVICE}
본 발명은, 직동 안내 장치에 있어서의 윤활제 공급 구조 및 직동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리니어 가이드 장치, 볼 나사 장치 등의 직동 안내 장치는, 부품이 미끄럼 접촉하는 위치나 롤링 접촉하는 위치로 윤활제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직선형상으로 신장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를 따라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 부재에는, 윤활제를 저장하거나, 그 저장된 윤활제를 부품의 접촉 부분에 공급하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그 윤활제 공급 구조로서는, 종래부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것은 직동 안내 장치의 구체예인 리니어 가이드 장치의 윤활제 공급 구조이다. 이 리니어 가이드 장치는, 가이드 부재인 안내 레일과, 이를 따라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 부재인 슬라이더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의 단면에는 윤활제의 수입구(受入口)가 마련되어 있는 한편, 슬라이더의 동 단면에는 윤활제를 충전한 용기가 배치되어, 이 윤활제를 충전한 용기가 슬라이더의 윤활제의 수입구에 접속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JP2007-16874A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은,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 단면에 용기가 배치되어 있어, 이 용기와 슬라이더의 윤활제의 수입구가 접속구(接續具)로 접속되어 있고, 용기로부터 슬라이더로 윤활제가 공급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상기 구조 및 용기를 교환하기 위한 구조와 동작의 설명이 기재되어 있을 뿐으로, 용기 내의 윤활제를 슬라이더에 공급하는 경우의 윤활제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나 윤활제를 공급하는 타이밍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하므로 효율적으로 윤활제를 공급하는 것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직동 안내 장치를 효율적으로 윤활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직동 안내 장치에 있어서의 윤활제 공급 구조는, 직선형상으로 신장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부재에 윤활제의 수입구가 마련된 직동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 단면에, 내부에 윤활제가 충전되며 또한 외부로부터의 압압력에 의해 용적이 감소되어 상기 윤활제가 압출되는 용기를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용기와 상기 윤활제의 수입구를 연통시키고, 나아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용기를 압압하는 압착 지그를 구비한 것이다.
이 직동 안내 장치에 있어서의 운활제 공급 구조는, 상기 용기에 윤활제를 공급할 수 있는 관 이음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용기는, 가요성이 있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압압력에 의해 찌그러져 용적이 감소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더욱이, 상기 용기는, 가용성이 있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압압력에 의해 찌그러져 용적이 감소되게 되어 있어, 상기 용기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 부재에서 먼 측의 면에, 상기 용기보다도 강성이 높으며 또한 판형상을 이루는 수압부(受壓部)를 구비하고, 상기 수압부의 상기 이동 부재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용기가 찌그러져 용적이 감소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직동 안내 장치는, 직선형상으로 신장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부재에 윤활제의 수입구가 마련된 직동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직동 안내 장치에 있어서의 윤활제 공급 구조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동 부재의 단면에 있는 용기를 압착 지그로 압압시키고, 이로써 용기 내부의 윤활제를 이동 부재를 향해 압출 공급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윤활제의 공급량이나 공급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하므로, 효율적으로 윤활제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용기의 측면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압착 지그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윤활제를 이동 부재에 공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제4 변형예에 있어서, 윤활제를 이동 부재에 공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의 제5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의 용기의 측면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압착 지그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의 (a)는 도 1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윤활제를 압출하기 시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b)는 도 1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윤활제를 이동 부재에 공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동 부재에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관 이음부를 앞면에 부착한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1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동 부재에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관 이음부를 용기에 부착한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a)는 윤할제를 압출하기 시작하는 모습을 나나태는 설명도이고, (b)는 윤활제를 이동 부재에 공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있어서의 용기의 도면으로서, (a)는 용기 내부의 측면도, (b)는 용기 외부의 측면도, (c)는 용기 내부의 평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아래에 본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리니어 가이드 장치에 적용한 것이다. 따라서, 직선형상으로 신장되어 있는 안내 레일(10)이 본 발명의 가이드 부재에 상당하고, 안내 레일(10)에 부착되어 안내 레일(10)을 따라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20)가 본 발명의 이동 부재에 상당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내 레일(10)은 기대(機台, 1)의 상면에 수평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20)는, 볼이나 롤러로 이루어지는 전동체를 개재시켜 안내 레일(10)에 부착되는 슬라이더 본체(21)와 그 이동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는 엔드 캡(22)으로 이루어지고, 안내 레일(10)을 따라 진퇴하도록 되어 있다. 엔드 캡(22)에 있어서의 슬라이더 본체(21)로부터 먼 측에는, 엔드 캡(22)과 안내 레일(10)과의 사이를 시일하는 사이드 시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된다. 이상의 구성은, 관용되어 있는 리니어 가이드 장치와 마찬가지이므로, 리니어 가이드 장치로서 추가적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리니어 가이드 장치는, 안내 레일(10)이 그 길이 방향과 그 좌우 방향으로 수평을 이루고, 그 배면인 상면에, 이동 방향을 안내 레일(10)의 길이 방향과 같게 하여 슬라이더(20)가 부착되는 예가 많다. 이 때문에,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길이 방향과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의 방향을 이 예를 따라 설명한다. 따라서 안내 레일(10) 및 슬라이더(20)의 길이 방향이나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의 경사 등의 변경이 가해진 경우에는, 그 자세를 모방하여 각 부분의 방향이나 기울어짐을 해석하는 것으로 한다.
양 엔드 캡(22)에는,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의 엔드 캡(22)에만 도시하고 있는데, 슬라이더 본체(21)로부터 먼 측의 단면에 윤활제(G)의 수입구(22a)가 개구되어 있다. 이 수입구(22a)는, 엔드 캡(22) 내의 도시하지 않은 윤활제 저류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20)의 이동 방향 양측의 단면에는, 도 1에서는 슬라이더(20)의 좌측만 도시되어 있는데, 내부에 윤활제(G)가 충전되며 또한 외부로부터의 압압력에 의해 용적이 감소되어 윤활제(G)가 압출되는 용기(30)가 장착된다.
용기(30)는, 소위 오일 탱크, 오일 리저버, 그리스 리저버이고, 소정량의 윤활제(G)(윤활유, 그리스 등)을 저축하고 있다. 그리고 리니어 가이드 장치에 사용하는 윤활제(G)로서는 윤활유와 그리스가 있다. 윤활유로서는, 광유, 디에스테르, 다가 에스테르, 실리콘유, 불소유, 합성탄화수소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리스로서는, 광유, 디에스테르, 다가 에스테르, 실리콘유, 불소유, 합성탄화수소유 등을 기유(基油)로 한 그리스 등을 들 수 있다.
이 용기(30)는, 도 2,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레일(10)을 걸쳐지도록 문형(門型)을 이루고, 용기(30) 본체의 전체가 슬라이더(20)의 이동 방향이나 안내 레일(10)의 길이 방향으로 압축 가능한 가요성이 있는 재료로 성형되어 있다. 환언하면, 용기(30)는 상기 이동 방향으로 찌그러지기 쉽게 되어 있어, 찌그러졌을 때의 용적의 감소에 의해 내압이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용기(30)에는, 슬라이더(20)의 엔드 캡(22)에 형성된 윤활제(G)의 수입구(22a)에 삽입하여 감합되는 윤활제의 공급구(31)가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30) 내의 윤활제는, 내압의 증가에 의해 공급구(31)로부터 용기(30) 밖으로 압출되게 된다.
또한, 용기(30) 본체의 배면, 즉 슬라이더(20)로부터 먼 측의 면에는, 용기(30) 본체보다도 강성이 높으며 또한 판 형상을 이루는 수압부(32)를 구비하고, 이 수압부(32)의 슬라이더(20) 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용기(30) 본체의 용적이 두께 방향(도 1, 2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평균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용기(30)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연질, 내용제성, 내유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염화비닐,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클로로프렌 고무, 염화비닐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등의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내열성을 고려하면, 상기 수지 재료에 알루미늄 또는 실리콘을 코팅한 유리섬유를 함유시킨 수지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압부(32)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금속, 수지가 바람직하다.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어, 일반 구조용 압연강, 기계 구조용 탄소강, 기계 구조용 합금강, 탄소 공구강, 고속도 공구강, 합금 공구강,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합금, 동합금, 티탄합금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내유성이 뛰어난 폴리아세탈, 폴리에테르에텔 케톤, 페놀수지를 들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압부(32)는 앞면(41)에 충돌하기 때문에 강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강성을 고려하면 수지 중에서는 폴리아세탈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용기(30)는, 엔드 캡(22)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의 양태로서는, 착탈 가능하게 접착되는 것이라도 좋으며, 도시하지 않은 예를 들어 면 퍼스너와 같은 계합 기구에 의해 용기(30)가 엔드 캡(22)에 계합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 용기(30)는 엔드 캡(22)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 레일(10)에 접촉하는 것은 아니지만, 안내 레일(10)과의 사이의 마찰 저항이 작아지도록 궁리되어 있으면, 상기의 접촉을 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안내 레일(10)이 고정되어 있는 기대(1) 상에는, 안내 레일(10)의 단부에 있어서 안내 레일(10)을 걸쳐서 압착 지그(40)가 고정되어 있다. 압착 지그(40)는, 안내 레일(10)에 대한 소정 위치에 슬라이더(20)가 이동하였을 때에, 그 이동력을 이용하여 앞면(41)에 의해 용기(30)를 압압하는 것이다. 앞면(41)은 용기(30)와 마찬가지로 문형을 이루어 용기(30)의 수압부(32)를 효과적으로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압착 지그(40)는, 용기(30)를 상기한 바와 같이 압압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면, 안내 레일(10)에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안내 레일(10)이 고정되는 기대(1)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압착 지그(40)의 위치는,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안내 레일(10)의 단부와 같이, 슬라이더(20)의 통상 운전시의 왕복 이동 범위 밖에 있다. 이리하여, 압착 지그(40)의 위치는, 용기(30) 내로부터 슬라이더(20) 내로 윤활제를 공급하는 등, 메인테넌스의 필요성이 있을 때에만 슬라이더(20)가 이동하는 영역에 설정된다. 이 압착 지그(40)는, 도 1에 있어서 도시되지 않은 우측의 용기(30)를 압압하기 위해, 도 1에 있어서의 안내 레일(10)의 도시하지 않은 우단에도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다.
용기(30)로부터 윤활제(G)를 압출할 때에는, 슬라이더(20)를 통상의 운전 범위 외측에 있는 안내 레일(10)의 단부까지 이동시킨다. 용기(30)로부터 윤활제를 압출하는 타이밍은, 엔드 캡(22) 내의 윤활제 저류부의 윤활제(G)가 적어지는 시기, 혹은 엔드 캡(22) 내의 윤활제 경로에 윤활제(G)를 공급하는 시기 등의 적시이다. 따라서, 운전시간 혹은 운전횟수마다 정기적으로 공급하여도 좋으며, 혹은 다른 타이밍으로 공급하여도 좋다.
윤활제(G)의 압출에 대해서는, 도 5에 그 모습이 설명되어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20)가 안내 레일(10)의 단부까지 이동되(화살표 A)면, 용기(30)가 압착 지그(40)의 앞면(41)에 닿아, 용기(30)의 수압부(32)가 슬라이더(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피스톤과 같이 상대 이동하여 용기(30) 전체를 밀어 찌그러트리기 시작한다. 그렇게 하면, 용기(30)의 내압, 즉 윤활제(여기서는 그리스)(G)의 압력이 높아져 용기(30)의 공급구(31)로부터 윤활제(G)가 엔드 캡(22)의 수입구(22a) 내로 압출된다(화살표 B). 이 윤활제(G)는 수입구(22a)로부터 엔드 캡(22) 내의 도시하지 않은 윤활제 저류부 내지 윤활제 경로에 공급되어 슬라이더(20)의 특히 전동체의 순환로 등의 윤활에 사용된다.
용기(30) 내의 윤활제(G)의 양이나 1 회의 압출로 공급되는 윤활제(G)의 양은 적절하게 정해진다. 그리고 소정량의 윤활제(G)가 엔드 캡(22) 내에 공급된 다음에는, 통상 운전으로 되돌아가는데, 용기(30) 내의 잔류 윤활제량에 따라서, 필요에 의해 윤활제(G)가 충전된 새로운 용기(30)와 교환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새로운 예비 용기(30)는 리니어 가이드 장치의 가까이에 항상 준비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리 하여 용기(30) 내의 윤활제(G)를 슬라이더(20) 내에 보급할 수 있기 때문에, 리니어 가이드 장치의 윤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은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슬라이더(20)의 좌측만 도시되어 있고, 우측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우측도 좌측과 마찬가지로 윤활제의 수입구(22a), 압착 지그(40), 용기(30), 수압부(32), 및 윤활제의 공급구(31)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를, 도 6에 나타내는 제1 변형예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제1 변형예에 있어서는, 용기(30)는, 후술하는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그 전체가 안내 레일(10) 위에 위치하는 것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 제1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윤활제의 수입구(22a), 압착 지그(40), 용기(30), 수압부(32), 및 윤활제의 공급구(31)는 슬라이더(20)의 이동 방향 양측(도 6의 좌우 양측)에 마련하여도 좋다.
더욱이,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를, 도 7에 나타내는 제2 변형예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30) 내의 윤활제(G)가 공급구(31)보다도 연직 방향 아래쪽에 존재하였다고 하더라도,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 지그(40)에 의해 용기(30)가 찌그러지면, 윤활제(G)는 용기(30)의 내측의 측면(슬라이더 본체(21)에 대향되는 측면)을 따라 연직 방향 위쪽으로 이동하여 공급구(31)에 이르기 때문에, 윤활제(G)는 공급구(31)에 공급된다.
더욱이,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를, 도 8에 나타내는 제3 변형예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리니어 가이드 장치를 벽면 등의 수직면에 대해 안내 레일(10)의 길이 방향이 연직 방향을 따르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 윤활제(G)를 흡수 가능한 윤활제 도출 부재(35)를 용기(30) 내에 설치하면 좋다. 윤활제 도출 부재(35)는, 용기(30)의 내측의 측면 중 슬라이더 본체(21)에 대향되는 측면에 밀착하며, 또한 이 측면 중 적어도 공급구(31)의 근방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윤활제 도출 부재(35)에는 윤활제(G)가 함침되어 있다.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량의 윤할제(G)가 용기(30)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슬라이더(20) 방향으로 이동한 수압부(32)(우측의 화살표를 참조)에 밀어낸 윤활제(G)는, 윤활제 도출부재(35)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공급구(31)에 이르는 동시에, 우측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윤활제 도출 부재(35) 안을 통과하여 공급구(31)에 이른다. 즉, 수압부(32)에 의해 윤활제 도출 부재(35)가 밀리기 때문에, 윤활제 도출 부재(35) 안의 윤활제(G)는 방출되고, 우측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윤활제 도출 부재(35)의 안을 통과하여 공급구(31)에 이른다. 따라서, 용기(30) 내의 윤활제(G)는 문제없이 공급구(31)에 공급된다.
이에 대하여, 용기(30) 내의 윤활제(G)가 소비되는 등으로 하여,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량의 윤활제(G) 밖에 용기(30) 내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슬라이더(20) 방향으로 이동한 수압부(32) (좌측의 화살표를 참조)로 밀려도 윤활제(G)가 윤활제 도출 부재(35)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공급구(31)에 이르는 것은 용이하지는 않다. 그러나 수압부(32)에 의해 윤활제 도출 부재(35)가 밀려 윤활제 도출 부재(35) 안의 윤활제(G)가 방출되기 때문에, 윤할제(G)는 우측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윤활제 도출 부재(35) 안을 통과하여 공급구(31)에 이른다. 따라서, 공급구(3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 윤활제(G)라 하여도, 윤활제 도출 부재(35)를 개재시켜 문제없이 공급구(31)에 공급된다.
더욱이,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를, 도 9, 10에 나타내는 제4 변형예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용기(30)가 실린지형상의 구조를 하고 있어도 좋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윤활제(G)는 용기(30) 내에 수용되어 있으되, 슬라이더(20)가 이동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압부(32)가 압착 지그(40)의 앞면(41)에 닿아 밀리면, 수압부(32)는 슬라이더 본체(2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용기(30) 내를 이동한다, 그려면, 용기(30)와 수압부(32)에 둘러싸인 부분의 용적이 감소되어 용기(30) 내의 윤활제(G)가 수압부(32)로 압출되어 공급구(31)에 공급된다.
더욱이,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를, 도 11에 나타내는 제5 변형예와 같은 구조로 하여도 좋다. 즉, 용기(30)를 실린지로 하여도 좋다. 실린지는, 윤활제(G)를 수용하는 통체와, 통체 내에 진퇴 가능하게 수용되는 플런저로 이루어지고, 윤활제(G)를 방출하는 개구부가 통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가 공급구(31)에 접속되는 동시에, 플런저의 후미부가 압착 지그(40)의 앞면(41)에 대향되도록 실린지가 설치되어 있다. 플런저의 후미부가 압착 지그(40)의 앞면(41)에 닿아 플런저가 통체 내에 압입되면, 통체와 플런저에 둘러싸인 부분의 용적이 감소하기 때문에, 실린지 내의 윤활제(G)가 압출되어 상기 개구부로부터 공급구(31)에 공급된다(도 11의 (a), (b)를 참조).
[제2 실시 형태]
아래에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단, 제2 실시 형태의 리니어 가이드 장치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같으므로, 다른 부분만 설명하고 같은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2 내지 19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11과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도 1 내지 도 11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슬라이더(20)의 이동 방향 양측의 단면에는, 도 12에서는 슬라이더(20)의 좌측만 도시되어 있으되, 내부에 윤활제(G)가 충전되며 또한 외부로부터의 압압력에 의해 용적이 감소되어 윤활제(G)가 압출되는 용기(30)가 장착된다. 이 용기(30)는,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전체가 안내 레일(10)의 위에 위치하는 것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안내 레일(10)이 고정되어 있는 기대(1) 상에는, 안내 레일(10)이 단부에 있어서 안내 레일(10)을 걸쳐서 압착 지그(40)가 고정되어 있다. 압착 지그(40)는, 안내 레일(10)에 대한 소정 위치에 슬라이더(20)가 이동하였을 때에, 그 이동력을 이용하여 앞면(41)에 의해 상기 용기(30)를 압압하는 것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면(41)은 용기(31)와 마찬가지로 대략 장방형을 이루어 용기(30)의 수압부(32)를 효과적으로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윤활제(G)의 압출에 대해서는, 도 16(a), (b)에 그 모습이 설명되어 있다.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0)가 안내 레일(10)의 단부까지 이동되(화살표 A)면, 용기(30)가 압착 지그(40)의 앞면(41)에 닿아 용기(30)의 수압부(32)가 슬라이더(20) 방향으로 피스톤과 같이 상대 이동한다. 그렇게 되면,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30)의 내압, 즉 윤활제(G)(여기서는 그리스)의 압력이 높아져, 용기(30)의 공급구(31)로부터 윤할제(G)가 엔드 캡(22)의 수입구(22a) 내로 압출된다(화살표 B). 이 윤활제(G)는, 수입구(22a)로부터 엔드 캡(22) 내의 도시하지 않은 윤활제 저류부 내지 윤활제 경로에 공급되어 슬라이더(20)의 특히 전동체의 순환로 등의 윤활에 사용된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를, 도 17에 나타내는 제1 변형예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이 제1 변형예에 있어서는, 용기(30)는,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안내 레일(10)을 걸쳐지도록 문형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 제1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 17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윤활제의 수입구(22a), 압착 지그(40), 용기(30), 수압부(32), 및 윤활제의 공급구(31)는 슬라이더(20)의 이동 방향 양측(도 12의 좌우 양측)에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용기(30) 내의 윤할제(G)의 양이나 1 회의 압출로 공급되는 윤활제(G)의 양이 부족한 경우는, 용기(30) 내에 윤활제(G)를 공급할 수 있도록 리니어 가이드 장치는 관 이음부(50)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도 18의 제2 변형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 이음부(50)는 앞면(41)에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도 19의 제3 변형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 이음부(50)는 용기(30)에 마련하여도 좋다. 이로써, 용기(30) 내의 윤활제를 슬라이더(20) 내에 보급할 수 있기 때문에, 리니어 가이드 장치의 윤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관 이음부(50)로서는 니플 등이 있다.
[제3 실시 형태]
아래에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단, 제3 실시 형태의 리니어 가이드 장치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이므로, 다른 부분만 설명하고 같은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20, 21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11과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도 1 내지 도 11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리니어 가이드 장치는,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30)의 내부에 윤활제 공급 부재(60)를 마련하고 있다. 윤활제 공급 부재(60)는, 엔드 캡(22)에 있어서의 슬라이더(20)의 이동 방향 단면에 마련되어 있다. 윤활제 공급 부재(60)는, 슬라이더(20)의 이동 방향이나 안내 레일(10)의 길이 방향으로 압축 가능(신축 가능)한 가요성이 있는 재료로 성형되어 있다. 환언하면, 윤활제 공급 부재(60)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찌그러지기 쉽게 되어 있다. 찌그러졌을 때의 용적의 감소에 의해, 윤활제 공급 부재(60)의 내압이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윤활제 공급 부재(60)에는, 슬라이더(20)의 엔드 캡(22)에 형성된 윤활제(G)의 수입구(22a)에 삽입하여 감합되는 윤활제(G)의 공급구(61)가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30) 내의 윤활제(G)는, 윤활제 공급 부재(60)의 내압의 증가로 인해 공급구(61)로부터 용기(30)의 바깥으로 압출되게 된다.
또한, 윤활제 공급 부재(60)의 배면, 즉 슬라이더(20)로부터 먼 측의 면에는, 용기(30)를 개재시켜, 강성이 높으며 또한 판 형상을 이루는 수압부(3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수압부(32)의 슬라이더(20) 측으로의 이동으로 인해 윤활제 공급 부재(60)의 용적이 길이 방향으로 평균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윤활제 공급 부재(60)로부터 윤활제(G)를 압출할 때에는, 슬라이더(20)를 통상의 운전 범위 외측에 있는 안내 레일(10)의 단부까지 이동시킨다. 윤활제 공급 부재(60)로부터 윤활제(G)를 압출하는 타이밍은, 엔드 캡(22) 내의 윤활제 저류부의 윤활제(G)가 적어지는 시기, 혹은 엔드 캡(22) 내의 윤활제 경로에 윤활제(G)를 공급하는 시기 등의 적시이다. 따라서, 운전시간 혹은 운전횟수마다 정기적으로 공급하여도 좋으며, 혹은 다른 타이밍으로 공급하여도 좋다.
또한, 윤활제(G)의 압출에 대해서는,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0)가 안내 레일(10)의 단부까지 이동되(화살표 A)면, 윤활제 공급 부재(60)가 용기(30)를 개재시켜 압착 지그(40)의 앞면(41)에 닿아 용기(30)의 수압부(32)가 슬라이더(20)의 이동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여 윤활제 공급 부재(60)를 밀어서 찌그러트리기 시작한다. 그렇게 되면, 윤활제 공급 부재(60)의 내압, 즉 윤활제(G)(여기서는 그리스)의 압력이 높아져, 윤활제 공급 부재(60)의 공급구(61)로부터 윤활제(G)가 엔드 캡(22)의 수입구(22a) 내로 압출된다(화살표 B). 윤활제(G)는, 수입구(22a)로부터 엔드 캡(22) 내의 도시하지 않은 윤활제 저류부 내지 윤활제 경로에 공급되어 슬라이더(20)의 특히 전동체의 순환로 등의 윤활에 사용된다.
도 2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벨로우즈형상의 윤활제 공급 부재(60)는, 용기(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30)의 외부로부터 윤활제 공급 부재(60)에 충전된 윤활제(G)의 잔존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용기(30)에 구멍(62)을 마련한다. 또한, 윤활제 공급 부재(60)의 잔존량이 적어지면, 덮개(63)를 열어 윤활제 공급 부재(60)에 윤활제(G)를 충전한다. 덮개(63)는, 용기(30)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지 않고, 덮개(63)는 용기(30)의 좌우의 측면 또는 상기 이동 방향의 단면에 마련하여도 좋다. 그리고 도 2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윤활제 공급 부재(60)는, 1 개에 한정되지 않고 윤활제 공급 부재(60)의 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병렬로 복수 개(도면에서는 2개)를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윤활 공급 부재(60)로서는, 펌프, 스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리니어 가이드 장치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볼 나사 장치, 기타의 직동 안내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볼 나사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는, 나사축이 본 발명의 가이드 부재에 상당하고, 그것에 볼을 개재시켜 나합하는 너트가 본 발명의 이동 부재에 상당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윤활제(G)(그리스, 윤활유)의 점도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다. 슬라이더(20)가 압착 지그(40)의 앞면(41)에 충돌하되, 슬라이더(20)는 충돌 전후에서 이동 방향이 바뀌므로 충돌 시에 정지한다. 그리스가 부드러운 경우 또는 윤활유가 저점도일 경우는, 이 정지 시에 그리스 또는 윤활유에 관성력이 발생한다. 그리하여 그리스 또는 윤활유는 안정되지 않아 공급구(31)로의 그리스 또는 윤활유의 공급이 충분하게 행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그리스가 딱딱한 경우 또는 윤활유가 고점도일 경우는, 수압부(32)가 그리스 또는 윤활유에 충돌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그리스의 혼화조도는 180 이상 2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윤활유의 점도는 1 mm2이상 200 mm2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0: 안내 레일 (가이드 부재)
20: 슬라이더 (이동 부재)
21: 슬라이더 본체
22: 엔드 캡
22a: 윤활제의 수입구
30: 용기
31: 윤활제의 공급구
32: 수압부
40: 압착 지그
41: 앞면
50: 관 이음부
60: 윤활 공급 부재
G: 윤활제

Claims (5)

  1. 직선 형상으로 신장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부재에 윤활제의 수입구가 마련된 직동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의 단면에, 내부에 윤활제가 충전되며 또한 외부로부터의 압압력에 의해 용적이 감소하여 상기 윤활제가 압출되는 용기를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용기와 상기 윤활제의 수입구를 연통시키고, 나아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용기를 압압하는 압착 지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 안내 장치에 있어서의 윤활제 공급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윤활제를 공급할 수 있는 관 이음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 안내 장치에 있어서의 윤활제 공급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가요성이 있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압압력에 의해 찌그러져 용적이 감소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 안내 장치에 있어서의 윤활제 공급 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가요성이 있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압압력에 의해 찌그러져 용적이 감소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용기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 부재에서 먼 측의 면에, 상기 용기보다도 강성이 높으며 또한 판형상을 이루는 수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압부의 상기 이동 부재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용기가 찌그러져 용적이 감소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 안내 장치에 있어서의 윤활제 공급 구조.
  5. 직선 형상으로 신장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부재에 윤활제의 수입구가 마련된 직동 안내 장치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동 안내 장치에 있어서의 윤활제 공급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 안내 장치.
KR1020157009104A 2012-10-09 2013-10-08 직동 안내 장치에 있어서의 윤활제 공급 구조 및 직동 안내 장치 KR101643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24155 2012-10-09
JPJP-P-2012-224155 2012-10-09
JPJP-P-2013-002211 2013-01-10
JP2013002211 2013-01-10
JPJP-P-2013-076112 2013-04-01
JP2013076112 2013-04-01
PCT/JP2013/005974 WO2014057653A1 (ja) 2012-10-09 2013-10-08 直動案内装置における潤滑剤供給構造及び直動案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980A true KR20150053980A (ko) 2015-05-19
KR101643111B1 KR101643111B1 (ko) 2016-08-10

Family

ID=5047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104A KR101643111B1 (ko) 2012-10-09 2013-10-08 직동 안내 장치에 있어서의 윤활제 공급 구조 및 직동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78287B1 (ko)
KR (1) KR101643111B1 (ko)
CN (1) CN104040197B (ko)
TW (1) TWI521152B (ko)
WO (1) WO20140576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1727A1 (ko) * 2017-01-10 2018-07-19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윤활제 자동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69104A1 (en) * 2014-12-12 2016-06-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Variable bleed valve systems including a stop mechanism with a self-lubricating follower nut assembly
TWI593899B (zh) * 2015-12-29 2017-08-01 Hiwin Tech Corp Linear actuator with lubrication unit
JP2017150648A (ja) * 2016-02-26 2017-08-31 日本精工株式会社 直動装置用給脂装置
CN113928022A (zh) * 2021-09-13 2022-01-14 赵启发 一种热敏打印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2122A (ja) * 2005-04-13 2006-10-26 Shangyin Sci & Technol Co Ltd 貯油装置
JP2007016874A (ja) 2005-07-06 2007-01-25 Shangyin Sci & Technol Co Ltd 油タンク取替え可能なリニアガイドウェー
JP2007270856A (ja) * 2006-03-30 2007-10-18 Thk Co Ltd 運動案内装置用潤滑剤充填容器
JP2011012789A (ja) * 2009-07-03 2011-01-20 Tokyo Electron Ltd 直線案内装置及び基板搬送装置並びに基板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99Y2 (ja) * 1989-12-25 1995-01-18 日本グリース株式会社 グリース容器用のアダプタ
JPH0462427U (ko) * 1990-09-28 1992-05-28
CN1840940A (zh) * 2005-04-01 2006-10-04 上银科技股份有限公司 储油装置
CN101260931B (zh) * 2007-03-06 2011-05-25 上银科技股份有限公司 具自润单元的线性传动模块
JP2013152020A (ja) * 2011-12-27 2013-08-08 Nsk Ltd 直動案内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2122A (ja) * 2005-04-13 2006-10-26 Shangyin Sci & Technol Co Ltd 貯油装置
JP2007016874A (ja) 2005-07-06 2007-01-25 Shangyin Sci & Technol Co Ltd 油タンク取替え可能なリニアガイドウェー
JP2007270856A (ja) * 2006-03-30 2007-10-18 Thk Co Ltd 運動案内装置用潤滑剤充填容器
JP2011012789A (ja) * 2009-07-03 2011-01-20 Tokyo Electron Ltd 直線案内装置及び基板搬送装置並びに基板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1727A1 (ko) * 2017-01-10 2018-07-19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윤활제 자동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30232A (zh) 2014-08-01
CN104040197A (zh) 2014-09-10
CN104040197B (zh) 2016-08-17
WO2014057653A1 (ja) 2014-04-17
JP5578287B1 (ja) 2014-08-27
TWI521152B (zh) 2016-02-11
JPWO2014057653A1 (ja) 2016-08-25
KR101643111B1 (ko)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111B1 (ko) 직동 안내 장치에 있어서의 윤활제 공급 구조 및 직동 안내 장치
US7437831B2 (en) Linear guide apparatus
CN100387170C (zh) 家具滑动部分的减速关闭装置
US8998491B2 (en) Linear actuator
CN102713318A (zh) 直动引导装置
TW200745455A (en) Motion guide device and attachment for motion guide device
US20060204151A1 (en) Lubrication device for linear slide guide
KR20160086400A (ko) 가이드 홈 실을 포함하는 그리핑 장치
US9028148B2 (en) Motion guide device
TW201331487A (zh) 具一潤滑劑裝置之線性導引
WO2014064917A1 (ja) 直動案内装置
JP3490385B2 (ja) 案内装置の潤滑装置
CN206480706U (zh) 抽真空装置
JP5131225B2 (ja) 直動案内装置
JP2004028345A (ja) 案内装置の潤滑装置
CN211423347U (zh) 一种用于运动组件的注油装置
CN215333980U (zh) 一种便于注油的精密导轨
KR20110012056A (ko) 더블 너클 프레스의 슬라이더 스틱현상 방지구
JP2017150566A (ja) 直動案内装置
CN101497228B (zh) 注塑机注射机构
KR20110111081A (ko) 직선운동기구용 가이드
CN208247385U (zh) 注塑机直线导轨保护装置
CN117017124B (zh) 悬挂装置及轮式机器人
CN210756401U (zh) 一种工作稳定的直线滑台
US11391306B2 (en) Linear actu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