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2056A - 더블 너클 프레스의 슬라이더 스틱현상 방지구 - Google Patents

더블 너클 프레스의 슬라이더 스틱현상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2056A
KR20110012056A KR1020090069599A KR20090069599A KR20110012056A KR 20110012056 A KR20110012056 A KR 20110012056A KR 1020090069599 A KR1020090069599 A KR 1020090069599A KR 20090069599 A KR20090069599 A KR 20090069599A KR 20110012056 A KR20110012056 A KR 20110012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tick
rubber
plunger
knuckle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0380B1 (ko
Inventor
이균형
Original Assignee
(주)우리프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리프레스 filed Critical (주)우리프레스
Priority to KR1020090069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380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88Lubr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1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toggle mechanism
    • B30B1/14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toggle mechanism operated by cams, eccentrics, or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26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cams, eccentrics, or cranks
    • B30B1/266Drive systems for the cam, eccentric or crank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 너클 프레스의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 슬라이더의 스틱현상이 방지되어 압력유의 제거와 재충전이란 번거로움이 없고, 스틱현상으로 인한 슬라이더의 조작수고도 덜어 생산성 유지에도 도움이 되는 압력유 대용의 더블 너클 프레스의 슬라이더 스틱현상 방지구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슬라이더 상에 설치된 조절나사봉용 하우징의 오일실에 안장되어 압력유의 역할을 대행토록 한 저탄성 스틱현상 방지구를 특징으로 한다.
더블 너클 프레스, 슬라이더, 하우징, 오일실, 스틱현상 방지구.

Description

더블 너클 프레스의 슬라이더 스틱현상 방지구{PREVENTING DEVICE STICK PHENOMENON FOR SLIDER OF DOUBLE KNUCKLE PRESS}
본 발명은 더블 너클 프레스의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플런저의 하단에 연직방향으로 결합된 슬라이더 행정조정용 조절나사봉의 하단과 슬라이더 상에 설치된 조절나사봉용 하우징 사이에 장전되어 슬라이더의 스틱현상을 방지하는 데 유효한 더블 너클 프레스의 슬라이더 스틱현상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특허 제368009호와 공개특허공보 제2001-89호는 플런저의 하단에 연직방향으로 결합된 슬라이더 행정조정용 조절나사봉의 하단과 슬라이더 상에 설치된 조절나사봉용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오일실에 압력유를 충전하여 플런저를 통해 조절나사봉으로 전달되는 연직방향의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는 한편으로, 슬라이더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가동다이와 고정다이 상호간, 공작물과 다이 상호간에 스틱현상이 발생했을 때 압력유를 제거하여 수동 조작(손작업)으로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스틱현상을 해제시킨 후 압력유를 재충전하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더의 스틱현상이 발생하는 것도 문제지만, 스틱현상이 벌어질 때마다 압력유를 빼내고 스틱현상이 해제된 후에 압력유를 재충전하는 작업은 생각만 해도 너무 번거롭고, 생산성도 저하된다.
또, 누유에 따른 압력유의 수시 보충도 성가시고, 재충전 압력유의 비용도 만만치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더의 스틱현상이 방지되어 압력유의 제거와 재충전이란 번거로움이 전무하고, 슬라이더의 조작수고도 덜어 생산성유지에도 도움이 되는 압력유 대용의 더블 너클 프레스의 슬라이더 스틱현상 방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플런저의 하단에 연직방향으로 결합된 슬라이더 행정조정용 조절나사봉의 직하방 슬라이더 상에 설치된 조절나사봉용 하우징의 오일실에 안장하여 압력유의 역할을 대행토록 한 저탄성 스틱현상 방지구로 달성할 수 있다.
스틱현상 방지구는 플런저를 통해서 조절나사봉에 전달되는 연직방향의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며, 설령 슬라이더가 순간적으로 오작동을 하더라도 스틱방지구의 저탄성 때문에 스틱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슬라이더의 스틱현상이 방지됨에 따라 압력유의 제거 및 재충전의 번거로움이 사라지고, 슬라이더의 조작수고도 덜어지며, 프레스 가공물의 생산성도 유지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1에서, 도시하지 아니한 모터에 의해 한쌍의 구동기어(1,1)가 회전하면서 콘로드(2,2)에 링크핀(5,5)으로 연결된 상부 너클(3,3)과 하부 너클(4,4)이 레버운동하면서 하부 너클(4,4)의 너클축(6,6)에 상단이 연결된플런저(7,7)를 반복적으로 승강시키고, 각 플런저(7,7)의 하단에는 슬라이더(8)의 상면에 부착된 암나사관(9,9)에 체결되어 슬라이더(8)의 행정을 조절하는 조절나사봉(10,10)이 결합되어 있으며, 조절나사봉(10,10)의 직하방 슬라이더(8) 상에 설치된 하우징(11,11)에는 외부에서 주유와 배유가 가능한 주유팁(도시 생략)이 딸린 빈 공간, 즉 오일실(12,12)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13,13)은 더블 너클 프레스의 지주에 부착된 슬라이더용 안내구이다.
본 발명은 상기 오일실(12,12)에 압력유를 대체하는 스틱방지구(20)가 삽입되어 완충 및 스틱현상을 방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스틱현상 방지구(20)는 디스크형으로서, 슬라이더에 연직방향으로 가해지는 플런저의 하강압력으로 인한 층격을 흡수하여 완화하면서 슬라이더의 오작동으로 인한 스틱현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탄성체, 그 중에서도 저탄성체이다.
저탄성체로는 천연고무 및 그 유도체의 군에서 저탄성으로 선택된 탄성체, 저탄성으로 조정된 점성체, 저탄성으로 조정된 니트릴-부타디엔(nitrile-butadinene) 고무, 저탄성으로 조정된 이소부틸렌-이소프렌(isobuthylene-isoprene)고무, 저탄성으로 조정된 폴리노르보넨(polynorbornene) 및 할로겐화 부 틸(buthyl halogenide)고무, 저탄성으로 조정된 엘라스토머(점성탄성체+감쇠고무), 고무형상의 저탄성 플라스틱, 다양한 저탄성 합성고무 중의 1종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가능한 2종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저탄성 스틱현상 방지구(20)는 또 연직방향의 하중에 대한 지지능력이 우수하다. 또, 내구성도 우수하여 교체주기가 길다.
스틱현상 방지구(20)에는 완충 및 진동소산용 소산공(21)과 상면 쪽으로 주입되는 윤활유가 저면으로도 흘러들게 유도하는 윤활유 확산공(22)이 판면을 관통하도록 뚫렸고, 스틱현상 방지구(20)의 상면에는 윤활유 확산공(22)을 중심으로 널리 윤활유가 퍼지도록 유도하는 윤활홈(23)이 방사상으로 파여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된 더블 너클 프레스의 부분 절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틱현상 방지구의 사시도
도 3은 동 종단면도
[도면의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7: 플런저
8: 슬라이더
10: 조절나사봉
11: 하우징
12: 오일실
20: 스틱현상 방지구
21: 소산공
22: 윤활유공
23: 윤활홈

Claims (3)

  1. 모터에 의해 한쌍의 구동기어(1,1)가 회전하면서 콘로드(2,2)에 링크핀(5,5)으로 연결된 상부 너클(3,3)과 하부 너클(4,4)이 레버운동하면서 하부 너클(4,4)의 너클축(6,6)에 상단이 연결된 플런저(7,7)를 반복적으로 승강시키고, 각 플런저 (7,7)의 하단에는 슬라이더(8)의 상면에 부착된 암나사관(9,9)에 체결되어 슬라이더(8)의 행정조절용 조절나사봉(10,10)이 결합되어 있으며, 조절나사봉(10,10)의 직하방 슬라이더(8) 상에 설치된 하우징(11,11)에는 외부에서 주유와 배유가 가능한 주유팁이 딸린 오일실(12,12)에 압력유 대체용으로 삽입하는 스틱현상 방지구(2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너클 프레스의 슬라이더 스틱현상 방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스틱현상 방지구(20)는 완충 및 진동소산용 소산공(21)과 윤활유 확산공(22) 및 윤활홈(2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너클 프레스의 슬라이더 스틱현상 방지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틱현상 방지구(20)는 천연고무 및 그 유도체의 군에서 저탄성으로 선택된 탄성체, 저탄성으로 조정된 점성체, 저탄성으로 조정된 니트릴-부타디엔(nitrile-butadinene) 고무, 저탄성으로 조정된 이소부틸렌-이소프렌(isobuthylene-isoprene)고무, 저탄성으로 조정된 폴리노르보넨(polynorbornene) 및 할로겐화 부틸(buthyl halogenide)고무, 저탄성으로 조정된 엘라스토머(점성탄성체+감쇠고무), 고무형상의 저탄성 플라스틱, 다양한 저탄성 합성고무 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너클 프레스의 슬라이더 스틱현상 방지구.
KR1020090069599A 2009-07-29 2009-07-29 더블 너클 프레스의 슬라이더 스틱현상 방지구 KR101040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599A KR101040380B1 (ko) 2009-07-29 2009-07-29 더블 너클 프레스의 슬라이더 스틱현상 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599A KR101040380B1 (ko) 2009-07-29 2009-07-29 더블 너클 프레스의 슬라이더 스틱현상 방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056A true KR20110012056A (ko) 2011-02-09
KR101040380B1 KR101040380B1 (ko) 2011-06-10

Family

ID=43772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599A KR101040380B1 (ko) 2009-07-29 2009-07-29 더블 너클 프레스의 슬라이더 스틱현상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3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9531A1 (ko) 2013-01-11 2014-07-17 (주)아모레퍼시픽 탄력적인 직립형 노즐이 형성된 누름버튼을 갖는 화장품 용기
CN109435322A (zh) * 2018-10-19 2019-03-08 合肥合锻智能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防顶出转动的液压机
CN113492547A (zh) * 2020-03-19 2021-10-12 赵珠显 肘节式冲床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9643A (en) * 1993-06-02 1995-07-04 Gnb Battery Technologies Inc. Method of assembling a bipolar lead-acid battery and the resulting bipolar battery
JPH09248700A (ja) * 1996-03-15 1997-09-22 Japan Automat Mach Co Ltd クランク形機械プレス
KR100368009B1 (ko) 2000-03-09 2003-01-14 (주) 한얼 더블식 너클프레스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9531A1 (ko) 2013-01-11 2014-07-17 (주)아모레퍼시픽 탄력적인 직립형 노즐이 형성된 누름버튼을 갖는 화장품 용기
CN109435322A (zh) * 2018-10-19 2019-03-08 合肥合锻智能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防顶出转动的液压机
CN113492547A (zh) * 2020-03-19 2021-10-12 赵珠显 肘节式冲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0380B1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96439B (zh) 链条张紧装置
US4280600A (en) Self-refilling hydraulic actuator
KR101040380B1 (ko) 더블 너클 프레스의 슬라이더 스틱현상 방지구
DE112014002852B4 (de) Hydraulischer Kettenspanner
KR20180071333A (ko) 내통의 잠금 기구 및 세탁기
KR20170085040A (ko) 엔진의 동작 간극들을 보상하기 위한 디바이스
JP2006292122A (ja) 貯油装置
KR101643111B1 (ko) 직동 안내 장치에 있어서의 윤활제 공급 구조 및 직동 안내 장치
DE102011088214A1 (de) Hydraulischer Automatikspanner
CN112901699B (zh) 一种缓冲元件及具有该元件的动力头缓冲装置
JP5998333B2 (ja) 液体吐出バルブ
CN105358843A (zh) 流体压缸
CN211820529U (zh) 一种用于机动车辆的振动阻尼器
CN104405715A (zh) 两级速度液压缸及应用该两级速度液压缸的升降机构
US7021609B2 (en) Gas spring
JPS5817891B2 (ja) チエンの緊張装置
CN210949361U (zh) 一种新型活塞杆传动装置
TWI686547B (zh) 液壓缸之緩衝控油裝置
CN201636129U (zh) 油缸浮动缓冲装置
DE102014207205B3 (de) Hydraulischer Riemenspanner
CN116460191B (zh) 一种主缸活塞的冷挤压装置及其控制方法
CN220792761U (zh) 一种采煤机行走轮轴自动润滑装置
CN217683011U (zh) 调节阀及具有其的减震器
US20230258246A1 (en) An apparatus for eliminating slack and vibrations in the chain of a chain drive
CN217350543U (zh) 一种气动千斤顶的油缸限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