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2095A - 브레이크 페달 장치와 그 부착 방법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페달 장치와 그 부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2095A
KR20150052095A KR1020157006941A KR20157006941A KR20150052095A KR 20150052095 A KR20150052095 A KR 20150052095A KR 1020157006941 A KR1020157006941 A KR 1020157006941A KR 20157006941 A KR20157006941 A KR 20157006941A KR 20150052095 A KR20150052095 A KR 20150052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edal
master cylinder
dash panel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6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하루 이시즈키
토모야 마츠다
쇼타 타바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로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로즈
Publication of KR20150052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18Connection thereof to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6Mounting units comprising an assembly of two or more pedals, e.g. for facilitating moun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6Means, e.g. links, for connecting the pedal to the controlled uni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50Manufacturing of pedals; Ped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부착이 가능한 브레이크 페달 장치와 그 부착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브레이크 페달 장치는 브레이크 유압을 발생시키는 푸시로드(14)를 유지하는 마스터 실린더(10)와, 브레이크 페달(21)을 브래킷부(22)에 회전가능하게 축방향 지지한 페달 박스(20)와, 마스터 실린더가 삽통가능한 관통홀(40A)이 형성된 대시 페달(40)에 대하여 차실측으로부터 고정가능한 고정부(30)를 가지며, 마스터 실린더, 페달 박스 및 고정부는 푸시로드를 브레이크 페달로 연결하여 일체로 연결된 조립체를 구성하며, 조립체는 마스터 실린더의 축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홀에 삽통한 상태에서, 차실측으로부터 고정부를 대시 패달에 대하여 고정함으로써 차실측으로부터 대시 패달에 대해 고정가능하게 구성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페달 장치와 그 부착 방법{BRAKE PEDAL DEVICE AND ATTACH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 장치 및 그 부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솔린 엔진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는 운전자가 발을 디딜 브레이크 페달을 갖는 브레이크 페달 박스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하중을 엔진의 부압에 의해 증폭하는 마스터 백 및 브레이크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를 갖는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이러한 브레이크 페달 장치는 마스터 백의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2명의 작업자가, 대시 패널의 차실 측에서 브레이크 페달 박스를 나르고 그리고 대시 패널의 엔진 룸 쪽에서 마스터 백 및 마스터 실린더를 나르는 것에 의해 정렬(위치맞춤)을 하면서 부착한다.
최근 마스터 백을 운영시켰던 기존의 엔진 부압을 전기 모터에 의한 부압 펌프의 부압으로 바꾸어 운영시키는 시스템이 채용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어 마스터 백이 폐지될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1]특개2009-251674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브레이크 페달 장치는 대시 패널을 사이에 두고 차실 측과 엔진 룸 쪽에서 2 명의 작업자에 의해 부착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인건비가 높거나 정렬 작업이 복잡하거나 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마스터 백이 폐지된 경우에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 쉽게 부착 가능한 브레이크 페달 장치 및 그 부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다음 (1) ~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1) 브레이크 유압을 발생시키는 푸시로드를 유지하는 마스터 실린더; 브레이크 페달을 브래킷부에 회동 가능하게 축방향으로 지지한 페달 박스; 상기 마스터 실린더가 삽통가능한 관통홀이 형성된 대시 패널에 대해, 차실 측에서 고정 가능한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마스터 실린더, 상기 페달 박스 및 상기 고정부는 상기 푸시로드를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된 조립체를 구성하고, 상기 조립체는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축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관통홀에 삽통한 상태로, 상기 차실 측으로부터 상기 고정부를 상기 대시 패널에 대해 고정함으로써 상기 차실 측으로부터 상기 대시 패널에 대해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페달 장치.
(2) 상기 마스터 실린더, 상기 브래킷부 및 상기 고정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 조립체를 구성하고, 상기 대시 패널은 제 1 체결 부재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상기 관통홀에의 삽입 방향에서 선단측이 되는 전단보다 삽입 방향에서 후단측이 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부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부를 통해, 상기 제 1 체결 부재에 대하여 제 2 체결 부재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고정부를 상기 대시 패널에 대해 고정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브레이크 페달 장치.
(3) 상기 보조 조립체는 알루미늄 다이 캐스트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2)에 기재된 브레이크 페달 장치.
(4) 상기 대시 패널은 제 1 체결 부재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상기 관통홀로의 삽입 방향에서 선단측이 되는 전단보다 삽입 방향에서 후단측이 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을 통해 상기 제 1 체결 부재에 체결되는 제 2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브레이크 페달 장치.
(5) 상기 페달 박스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하중을 상기 푸시로드에 증폭율을 가변하여 전달하는 배력 장치를 더 가지는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브레이크 페달 장치.
(6) 상기 배력 장치는 링크기구인 상기 (5)에 기재된 브레이크 페달 장치.
(7) 상기 (1) ~ (6) 중 하나에 기재 브레이크 페달 장치를 상기 대시 패널에 부착하는 부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실 측으로부터 상기 조립체의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축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대시 패널의 상기 관통홀에 삽통하는 공정과, 상기 차실측으로부터 상기 고정부를 상기 대시 패널에 고정하여 상기 차실 측으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장치를 상기 대시 패널에 대해 고정하는 공정을 갖는 브레이크 페달 장치의 부착 방법.
상기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마스터 실린더, 페달 박스 및 고정부가 일체적으로 연결된 조립체를 차실측에서 대시 패널에 고정한다. 따라서 1명의 작업자에 의해 쉽게 부착이 가능한 브레이크 페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마스터 실린더, 브래킷부 및 고정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 조립체의 정밀도가 향상되어 보다 정밀한 브레이크 페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보조 조립체는 알루미늄 다이 캐스트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볍고 저렴한 비용으로 브레이크 페달 장치를 제공 할 수 있다.
상기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플랜지부에 관통하여 형성된 고정홀을 통해 제 1 체결 부재 및 제 2 체결 부재를 서로 체결함으로써 조립체를 대시 패널에 고정하기 때문에 고정 작업이 용이하다.
상기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페달 박스에 배력 장치가 마련됨으로써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마련되는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 모터가 불필요하다. 또한, 배력 장치가 가솔린 엔진 자동차에 부착되어 있는 마스터 백 대신에 사용되기 때문에 가솔린 엔진 자동차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배력 장치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하중을 푸시로드에 증폭율을 가변하여 전달하므로 푸시로드에 원하는 증폭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링크기구의 지지축의 위치를 적절하게 수정하여 소망의 레버비를 얻을 수 있으며, 푸시로드에 소망의 증폭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조립체를 대시 패널의 관통홀에 삽입 관통하고 차실측에서 고정부를 대시 패널에 고정하여 조립체가 대시 패널에 고정된다. 따라서,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 쉽게 부착이 가능한 브레이크 페달 장치의 부착 방법을 제공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장치 페달 박스와 플랜지 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링크기구인 배력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배력 장비의 하중 증폭율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장치의 부착 방법의 삽통 공정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장치의 부착 방법의 삽통 공정 종료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장치의 부착 방법의 고정 공정 종료 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1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치수 비율은 설명의 편리를 위해, 과장되어 실제 비율과 다를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장치(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장치(1)의 페달 박스(20)와 플랜지부(3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브레이크 페달 장치(1)는, 설명하자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 유압을 발생시키는 푸시로드(push rod)(14)를 유지하는 마스터 실린더(10)와, 브레이크 페달(21)을 브래킷부(22)에 회동 가능하게 축방향으로 지지한(축지한) 페달 박스(20)와, 마스터 실린더(10)가 삽통 가능한 관통홀(40A)이 형성된 대시 패널(40)에 대해, 차실 측으로부터 고정 가능한 고정부(30)를 가진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10), 페달 박스(20) 및 고정부(30)는 푸시로드(14)를 브레이크 페달(21)에 연결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된 조립체를 구성한다. 조립체는 마스터 실린더(10)를 관통홀(penetration hole)(40A)에 삽통한 상태에서, 차실 측으로부터 고정부(30)를 대시 패널(40)에 대해 고정함으로써 차실 측으로부터 대시 패널(40)에 대해 고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대시 패널(40)은 차실 측을 향해 돌출되어 마련된 스터드 볼트(stud bolt)(41)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스터드 볼트(41)는 제 1 체결 부재로서 작용한다.
고정부(30)는 마스터 실린더(10)가 관통홀(40A)로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서 선단 측이 되는 전단(10S)보다 삽입 방향에서 후단 측이 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플지플랜지부(31)와, 플랜지부(31)에 관통하여 형성되고 스터드 볼트(41)가 삽통되는 고정홀(fixed hole)(31A), (31B)(도 2 참조)과, 고정홀(31A), (31B)에 삽통된 스터드 볼트(41)에 체결되는 고정 너트(32)(도 1 참조)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너트(32)는 제 2 체결 부재로서 작용한다. 이하, 상술한다.
마스터 실린더(10)는 브레이크 유압을 발생시켜 자동차 타이어의 제동을 행한다. 마스터 실린더(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 본체부(11)와 리저버 탱크(reservoir tank)(12)와 마스터 실린더 연결부(13)와 푸시로드(14)를 가진다.
마스터 실린더 본체 (11)는 내부에 피스톤(미도시) 및 리턴 스프링(return spring)(미도시)을 가진다.
리저버 탱크(12)는 마스터 실린더 본체부(11)에 기름을 공급한다.
마스터 실린더 연결부(13)는 플랜지부(31)에 연결된다. 마스터 실린더 연결부(13)는 마스터 실린더(10), 플랜지부(31) 및 브래킷부(22)을 체결하는 체결 볼트 (B)를 삽통하기위한 연결홀(connection hole)(미도시)을 가진다.
푸시로드(14)는 마스터 실린더 본체(11)의 피스톤을 눌러, 브레이크 유압을 발생한다. 푸시로드(14)는 일단이 U자 형태를 가지며 U자의 갭 부분(gap portion)에서 후술하는 배력 장치(23)의 제 3 링크(236)의 타단을 삽입한 상태에서 제 3 지지축(237)에 회동 가능하게 축 방향으로 지지되며, 타단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마스터 실린더(10) 내의 피스톤을 누른다.
페달 박스(20)는 운전자가 밟는 하중(step load)을 마스터 실린더(10) 내의 실린더에 전달한다. 페달 박스(20)는 운전자가 밟는 브레이크 페달(21)과, 브레이크 페달(21)이 고정되는 지지축(24)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브래킷부(22)와 브레이크 페달(21)을 밟는 하중을 푸시로드(14)에 증폭율을 가변하여 전달하는 배력 장치(brake booster)(23)를 가진다.
브레이크 페달(21)은 곡선형태를 가지고, 일단에는 운전자가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킬 때 밟는 판재(211)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지지축(24)이 고정되는 고정홀(212)이 마련된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21)과 지지축(24)의 고정 방법은 예를 들어 용접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브래킷부(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브래킷(221)과 제 2 브래킷 (222)을 갖는다.
제 1 브래킷(221)은 제 1 플랜지(223)와 제 2 플랜지(224)를 갖는다. 제 1 플랜지(223)는 플랜지부(31)의 고정홀(31A), (31B)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스터드 볼트(41)를 삽통하기 위한 관통홀(223A), (223B)과, 마스터 실린더 연결부(13)의 연결홀에 대응하는 장소에 마련된 체결 볼트(B)를 삽통하기 위한 관통홀(223C)이 마련된다.
제 2 브래킷(222)은 제 3 플랜지(미도시)와 제 4 플랜지(225)를 갖는다. 제3 플랜지는 제 1 플랜지(223)와 동일하게 3개의 관통홀(미도시)을 가진다. 제 4 플랜지 (225)는 제 2 플랜지(224)에 의해 외주가 덮이도록 배치된다.
도 3은 링크 기구인 배력 장치(23)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배력 장치(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브레이크 페달(21)에 대해 지지축(24)의 축 방향으로 오프셋(offset)되고 지지축(24)에 고정되며, 타단이 마스터 실린더(10)측에 그리고 지지축(24)에 대해 하방에 마련된 제 1 지지축(232)에 회동 가능하게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직선형의 제 1 링크(231)를 가진다. 또한, 배력 장치(23)는 일단이 제 1 지지축(232)에 회동 가능하게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타단이 제 1 지지축(232)에 대해서 마스터 실린더(10)측에 그리고 하방에 마련된 제 2 지지축(234)에 회동 가능하게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직선형의 제 2 링크(233)를 가진다. 더욱이 배력 장치(23)는 L자 형태이며 일단이 제 2 지지축(234)에 회동 가능하게 축방향 지지되고, 타단이 제 2 지지축(234)에 대하여 마스터 실린더(10)측과 상방에 마련된 제 3 지지축(237)에 회동 가능하게 축방향 지지되며, L자형의 2개의 선이 교차하는 교차부에서 브래킷부(22)에 고정된 제 4 지지축(235)에 회동 가능하게 축방향 지지되는 제 3 링크(236)를 가진다. 배력 장치(23)는 상술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21)을 밟은 하중을 가변 증폭하여 푸시로드(14)에 전달하는 하중 증폭율 특성을 가진다.
지지축(24)은 브레이크 페달(21) 및 제 1 링크(231)와 고정되는 중공 형상의 외측 지지축(241)과, 외부 지지축(241)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브래킷부(22)에 축방향 지지되는 내부 지지축(242)을 가진다.
제 4 지지축(235)은 교차부와 고정되는 중공 형상의 외측 제 4 지지축(235A)과, 외부 제 4 지지축(235A)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브래킷부(22)에 고정되는 내부 제 4 지지축(235B)을 가진다.
내부 지지축(242), 제 1 지지축(232), 제 2 지지축(234) 및 제 3 지지축(237)은 도시하지 않지만, 일단에 이들 축이 삽입되는 삽통홀보다 큰 지름의 플랜지 형상을 가지며, 타단에 외주를 따라 홈부가 형성되고, 해당 홈부에 C링을 끼움으로써, 축의 누락을 방지한다. 또한, 누락 방지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부(30)는 마스터 실린더(10)를 대시 패널(40)에 고정한다. 고정부(30)는 플랜지부(31)와 고정 너트(32)를 가진다.
플랜지부(31)는 브래킷부(22)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킷부(22)의 관통홀(223A), (223B)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된 스터드 볼트(41)가 삽통되는 고정홀(31A), (31B)이 있다. 또한, 플랜지부(31)는 마스터 실린더 연결부(13)의 연결홀 및 제 1 플랜지(223)의 관통홀(223C)에 대응하는 장소에 마련되어 체결 볼트(B)가 삽통되는 고정홀(31C)을 가진다. 또한, 도 2에서 고정홀(31A), (31B) 및 고정홀(31C)은 도면의 편리성으로 플랜지부(31)의 왼쪽에만 도시되어 있지만, 플랜지부(31)의 오른쪽에도 동일하게 고정홀이 존재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1)을 밟음으로써 브레이크 페달(21)에 고정된 지지축(24)이 회전하고, 지지축(24)에 고정된 제 1 링크(231)가 브레이크 페달의 밟음에 동기하여 지지축(24) 주위로 회전한다.
제 1 링크(231)가 지지축(24) 주위로 회전하면, 제 1 지지축(232)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고, 제 2 링크(233)에 의해 제 2 지지축(234)도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제 2 지지축(234)이 들어 올려지면, 제 3 링크(236)는 교차부에서 제 4 지지축(235)에 회동 가능하게 축방향 지지되기 때문에, 제 4 지지축(235)의 축 주위에 제 3 링크(236)가 회전되며, 제 3 지지축(237)은 마스터 실린더(10) 측으로 이동한다.
제 3 지지축(237)이 마스터 실린더(10)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 3 지지축(237)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축방향 지지된 푸시로드(14)가 마스터 실린더(10) 내의 피스톤을 누른다. 이로써, 리저버 탱크(12)의 기름이 압축되어, 브레이크 유압을 발생시킨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1)에서 발을 떼면, 리턴 스프링에 의해 피스톤이 되밀려, 브레이크 유압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장치(1)의 부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홀(223A), (223B) 및 관통홀(223C) 그리고 고정홀(31A), (31B) 및 고정홀(31C)이 일치하도록 페달 박스(20)와 플랜지부(31)를 배치하고, 플랜지부(31)의 전방으로부터 마스터 실린더(10)를 부착하여, 조립체를 구성한다(조립체 구성 공정).
구체적으로는 마스터 실린더 연결부(13)를 플랜지부(31)의 전방으로부터 연결홀, 고정홀(31C), 관통홀(223C)이 일치하도록 플랜지부(31)에 닿은 상태에서, 체결 볼트 B를 마스터 실린더 연결부(13) 측으로부터 삽통하고, 제 1 플랜지(223) 측으로부터 너트(미도시)로 체결한다. 이 공정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10), 페달 박스(20) 및 고정부(30)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조립체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조립체가 된 브레이크 페달 장치(1)를 차실 측에 탑재하고, 마스터 실린더(10)를 대시 패널(40)의 관통홀(40A)에 삽통한다(삽통 공정).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장치(1)의 부착 방법의 삽통 공정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장치(1)의 부착 방법의 삽통 공정 종료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10)가 관통홀(40A)에 삽통 가능한 위치에 브레이크 페달 장치(1)를 세트한다. 그리고 마스터 실린더 (10)를 관통홀(40A)에 삽통하도록 브레이크 페달 장치(1)를 차실 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밀어 넣는다. 이때, 스터드 볼트(41)가 관통홀(223A) 및 고정홀(31A) 그리고 관통홀(223B) 및 고정홀(31B)에 삽통되도록 브레이크 페달 장치(1)를 회전하면서 밀어 넣는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31)의 전면이 대시 패널 (40)에 접촉할 때까지 밀어 넣는다.
다음은 차실 측으로부터 고정부(30)를 대시 패널(40)에 대해 고정하고, 차실 측으로부터 브레이크 페달 장치(1)를 대시 패널(40)에 고정한다(고정 공정).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장치(1)의 부착 방법의 고정 공정 종료 후를 나타내는 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 측으로 돌출된 스터드 볼트(41)에 고정 너트(32)를 조여, 조립체인 브레이크 페달 장치(1)를 대시 패널 (40)에 고정한다.
이상의 공정을 통해, 브레이크 페달 장치(1)가 대시 패널 (40)에 장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장치(1)는 브레이크 유압을 발생시키는 푸시로드(14)를 유지하는 마스터 실린더(10)와, 브레이크 페달(21)을 브래킷부(22)에 회동 가능하게 축방향 지지한 페달 박스(20)와, 마스터 실린더(10)가 삽통가능한 관통홀(40A)이 형성된 대시 패널(40)에 대해 차실 측으로부터 고정가능한 고정부(30)를 가진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10), 페달 박스(20) 및 고 정부(30)는 푸시로드(14)를 브레이크 페달(21)에 연결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된 조립체를 구성한다. 조립체는 마스터 실린더(10)를 관통홀(40A)에 삽통한 상태에서 차실 측으로부터 고정부(30)를 대시 패널(40)에 대해 고정함으로써 차실 측으로부터 대시 패널(40)에 고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 쉽게 부착이 가능한 브레이크 페달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시 패널(40)은 차실 측을 향해 돌출되어 마련된 스터드 볼트(41)를 가지며, 고정부(30)는 브래킷부(22)에 고정되어 마스터 실린더(10)의 관통홀(40A)로의 삽입 방향에서 선단 측이 되는 전단(10S)보다 삽입 방향에서 후단 측이 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플랜지부(31)와 플랜지부(31)에 관통하여 형성된 스터드 볼트 (41)를 삽통하는 고정홀(31A), (31B)과 고정홀(31A), (31B)에 삽통된 스터드 볼트 (41)에 체결되는 고정 너트(32)를 포함한다. 따라서, 플랜지부(31)에 관통하여 형성된 고정홀(31A), (31B)에 대시 패널(40)에 마련된 차실 측을 향해 돌출된 스터드 볼트(41)가 삽통하도록 조립체를 차실 측으로부터 대시 패널(40)의 관통홀(41A)에 삽통하여, 고정 너트(32)를 스터드 볼트 (41)에 조여, 조립체를 대시 패널(4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페달 박스(20)는 브레이크 페달(21)을 밟은 하중을 푸시로드(14)에 증폭율을 가변 증폭하여 전달하는 배력 장치(23)를 더 가진다. 따라서 페달 박스(20)에 배력 장치(23)가 마련됨으로써,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마련되는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 모터가 불필요하다. 또한, 배력 장치(23)가 가솔린 엔진 자동차에 마련된 마스터 백을 대체하기 때문에, 가솔린 엔진 자동차에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장치(1)가 적용 가능하다. 또한, 배력 장치(23)는 브레이크 페달 (21)을 밟는 하중을 푸시로드(14)에 증폭율 가변 증폭하여 전달하므로 푸시로드(14)에 소망하는 증폭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배력 장치(23)는 링크기구이다. 따라서, 링크기구의 지지축(24), 제 1 지지축(232), 제 2 지지축(234), 제 3 지지축(237) 및 제 4 지지축(235)의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소망의 레버 비를 얻을 수 있으며, 푸시로드(14)에 소망하는 증폭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장치(1)의 부착 방법은 브레이크 페달 장치(1)를 대시 패널(40)에 부착하는 부착 방법이며, 차실 측으로부터 조립체 마스터 실린더(10) 축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대시 패널(40)의 관통홀(40A)에 삽통하는 공정과, 차실 측으로부터 고정부(30)를 대시 패널(40)에 고정하여 차실 측으로부터 브레이크 페달 장치(1)를 대시 패널(40)에 고정하는 공정을 가지는 부착 방법이다. 따라서,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 쉽게 부착이 가능한 브레이크 페달 장치(1)의 부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장치(1)는 마스터 백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대시 패널(40)에 부착할 때의 공간적 자유도가 향상하며, 대시 패널(40)의 관통홀(40A)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으로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차종에도 동일한 브레이크 페달 장치(1)를 공유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고, 제 2 실시예에만 특징이 있는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비교하여, 마스터 실린더(510), 브래킷부(522) 및 고정부(530)가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 조립체(3)를 구성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장치(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장치(2)는 설명하자면 도 8 및 도 9와 같이 브레이크 유압을 발생시키는 부시 로드(14)를 유지하는 마스터 실린더(510)와, 브레이크 페달(21)을 브래킷부(522)에 회동 가능하게 축방향 지지한 페달 박스(520)와, 마스터 실린더(510)가 삽통가능한 관통홀(40A)이 형성된 대시 패널(40)에 대해 차실 측으로부터 고정가능한 고정부(530)를 가진다. 이하, 상술한다
마스터 실린더(510), 브래킷부(522) 및 고정부(530)는 알루미늄 다이 캐스트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 조립체(3)를 구성한다. 그리고 보조 조립체(3)는 도 9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21) 및 푸시로드(14)가 연결되어 조립체를 구성한다.
고정부(530)는 마스터 실린더(510)의 관통홀(40A)로의 삽입 방향에서 선단 측이 되는 전단(10S)보다 삽입 방향에서 후단 측이 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플랜지부(531)를 가진다. 또한, 플랜지부(531)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부(531A), (531B)에 스터드 볼트(41)를 삽통하고, 삽통된 스터드 볼트(41)에 고정 너트 N을 체결함으로써 고정부(530)를 대시 패널(40)에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터드 볼트(41)는 제 1 체결 부재로서 작용하고, 고정 너트 N은 제 2 체결 부재로서 작용한다.
홀부(531A), (531B)는 알루미늄 다이 캐스트에 의해 보조 조립체(3)가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형성되어도 좋고, 또한 알루미늄 다이 캐스트에 의해 형성된 보조 조립체(3)의 플랜지부(531)를 깎아 가공하여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 장치(2)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필요에 응하여, 보강 강도를 높이기 위한 보강부(550)가 마련된다. 보강부(550)는 마스터 실린더(510)와 고정부(530)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보강부(551) 및 고정부(530)의 플랜지부(531)와 브래킷부(522) 사이에 마련되는 제 2 보강부(552)로 구성된다. 또한, 보강부(550)는 알루미늄 다이 캐스트에 의해 보조 조립체(3)가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형성되어도 좋고, 또한 알루미늄 다이 캐스트에 의해 형성된 보조 조립체(3)에 별체로서 고정되어도 좋다. 고정 방법은 예를 들어 용접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보강부(550)의 배치 위치 및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장치(2)는 제 1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부착 방법으로 대시 패널(40)에 부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장치(2)는 마스터 실린더(510), 브래킷부(522) 및 고정부(530)는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 조립체(3)를 구성한다. 대시 패널(40)은 차실 측을 향해 돌출되어 마련된 스터드 볼트(41)를 가진다. 고정부(530)는 마스터 실린더(510)의 관통홀(40A)로의 삽입 방향에서 선단 측이 되는 전단(10S)보다 삽입 방향에서 후단 측이 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플랜지부(531)가 있다. 플랜지부(531)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부(531A), (531B)에 스터드 볼트(41)를 삽통하고, 삽통된 스터드 볼트(41)에 고정 너트N을 체결함으로써 고정부(530)를 대시 패널(40)에 대해 고정한다. 따라서, 보조 조립체(3)의 정밀도가 향상하고, 보다 정밀한 브레이크 페달 장치(2)를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조립체(3)는 알루미늄 다이 캐스트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경량과 저비용의 브레이크 페달 장치(2)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제 2 실시예에서는 마스터 실린더(10), (510)를 관통홀(40A)에 삽통한 상태에서 고정부(30),(530)를 대시 패널(40)에 대해 고정했다. 그러나 마스터 실린더(10), (510)의 축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홀(40A)에 삽통한 상태에서 고정부(30), (530)를 대시 패널(40)에 대해 고정해도 좋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는, 체결 볼트(B) 및 너트로 고정부(30)를 브래킷부(22)에 접합했다. 그러나 용접에 의해 고정부(30)를 브래킷부(22)에 접합해도 좋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는 대시 패널(40)에 마련된 스터드 볼트(41)에 고정 너트(32)를 조여, 플랜지부(31)를 대시 패널(40)에 고정했다. 그러나 플랜지부(31)를 대시 패널(40)에 고정 가능하면 좋고, 예를 들면, 대시 패널(40)에 부착된 너트에 볼트를 조여, 플랜지부(31)를 대시 패널(40)에 고정하거나, 용접에 의해, 플랜지부 (31)를 대시 패널(40)에 고정하거나 해도 좋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는 보조 조립체(3)는 알루미늄 다이 캐스트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었다. 그러나 보조 조립체(3)는 주조와 컷팅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1, 2 브레이크 페달 장치
3 보조 조립체
10, 510 마스터 실린더
10S 전단
14 푸시로드
20, 520 페달 박스
21 브레이크 페달
22, 522 브래킷부
23 배력 장치
232 제 1 지지축
234 제 2 지지축
235 제 4 지지축
237 제 3 지지축
24 지지축
30, 530 고정부
31, 531 플랜지부
31A, 31B 고정홀
531A, 531B 홀부
32 N 고정 너트
40 대시 패널
40A 관통홀
41 스터드 볼트

Claims (7)

  1. 브레이크 유압을 발생시키는 푸시로드를 유지하는 마스터 실린더와,
    브레이크 페달을 브래킷부에 회동 가능하게 축방향 지지한 페달 박스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가 삽통 가능한 관통홀이 형성된 대시 패널에 대해 차실 측으로부터 고정 가능한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마스터 실린더, 상기 페달 박스 및 상기 고정부는 상기 푸시로드를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된 조립체를 구성하고,
    상기 조립체는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축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관통홀에 삽통한 상태에서 상기 차실 측으로부터 상기 고정부를 상기 대시 패널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차실 측으로부터 상기 대시 패널에 대해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페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 상기 브래킷부 및 상기 고정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 조립체를 구성하고,
    상기 대시 패널은 제 1 체결 부재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상기 관통홀로의 삽입 방향에서 선단 측이 되는 전단보다 삽입 방향에서 후단 측이 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부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부를 통해, 상기 제 1 체결 부재에 대하여 제 2 체결 부재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고정부를 상기 대시 패널에 대해 고정하는 브레이크 페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조립체는 알루미늄 다이 캐스트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브레이크 페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시 패널은 제 1 체결 부재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상기 관통홀로의 삽입 방향에서 선단측이 되는 전단보다 삽입 방향에서 후단 측이 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을 통해 상기 제 1 체결 부재에 체결되는 제 2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페달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박스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하중을 상기 푸시로드에 증폭율을 가변한 증폭으로 전달하는 배력 장치를 더 가지는 브레이크 페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력 장치는 링크기구인 브레이크 페달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브레이크 페달 장치를 상기 대시 패널에 부착하는 부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실 측으로부터 상기 조립체의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축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대시 패널의 상기 관통홀에 삽통하는 공정과,
    상기 차실 측으로부터 상기 고정부를 상기 대시 패널에 대해 고정하여 상기 차실 측으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장치를 상기 대시 패널에 대해 고정하는 공정을 갖는 브레이크 페달 장치의 부착 방법.
KR1020157006941A 2012-08-31 2013-03-01 브레이크 페달 장치와 그 부착 방법 KR201500520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2/072248 2012-08-31
PCT/JP2012/072248 WO2014033930A1 (ja) 2012-08-31 2012-08-31 ブレーキペダル装置とその取付方法
PCT/JP2013/055726 WO2014034159A1 (ja) 2012-08-31 2013-03-01 ブレーキペダル装置とその取付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095A true KR20150052095A (ko) 2015-05-13

Family

ID=50182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6941A KR20150052095A (ko) 2012-08-31 2013-03-01 브레이크 페달 장치와 그 부착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274142A1 (ko)
EP (1) EP2891585A4 (ko)
JP (1) JPWO2014034159A1 (ko)
KR (1) KR20150052095A (ko)
CN (1) CN104755335A (ko)
RU (1) RU2015109208A (ko)
WO (2) WO20140339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4335A1 (ko) * 2015-07-21 2017-01-26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장비의 페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2117B (zh) * 2016-07-28 2018-04-0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离合主缸安装结构
US11691505B2 (en) * 2018-11-07 2023-07-04 Darío Ernesto GONZÁLEZ CALDERÓN Support for the anchoring of an automotive clutch hydraulic pump
JP7068245B2 (ja) * 2019-08-22 2022-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ブレーキマスタシリンダユニットの取り付け構造
JP2021091345A (ja) * 2019-12-12 2021-06-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ブレーキマスタシリンダユニットの取り付け構造
KR20230131979A (ko) * 2022-03-07 2023-09-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시스템의 자동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EP4307076A1 (en) * 2022-07-14 2024-01-17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Ped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29123B (sv) * 1979-01-16 1983-08-15 Saab Scania Ab Arrangemang for pedalstell i fordon
US4297550A (en) * 1979-03-01 1981-10-27 Betty Leighton Method and construction for vehicle brake pedal and switch assembly
JPH0514949Y2 (ko) * 1987-04-02 1993-04-20
IT1217911B (it) * 1988-06-23 1990-03-30 Bendix Italia Spa Complesso di servofreno pneumatico
JPH06219327A (ja) * 1993-01-22 1994-08-09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3134617B2 (ja) * 1993-09-06 2001-02-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操作ペダルブラケットの取付構造
JP3892968B2 (ja) * 1998-04-23 2007-03-14 日信工業株式会社 液圧発生用アクチュエータの取付け構造
FR2787211B1 (fr) * 1998-12-11 2001-03-09 Wabco France Dispositif de montage pour des organes de commande a pedale
JP2001047985A (ja) * 1999-08-03 2001-02-20 Daihatsu Motor Co Ltd 車両用フットペダル
JP2002178893A (ja) * 2000-12-12 2002-06-26 Fuji Heavy Ind Ltd 自動車用マスタシリンダの取付構造
ATE343501T1 (de) * 2001-01-10 2006-11-15 Ksr Ind Corp Bremspedalmodul mit variabler übersetzung
JP3794624B2 (ja) * 2001-10-05 2006-07-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ブレーキ液圧発生装置の車体取付構造
JP4613001B2 (ja) * 2003-10-17 2011-01-1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ペダルモジュール
US7219576B2 (en) * 2003-11-26 2007-05-22 Ventra Group Inc. Variable ratio pedal assembly
JP4858806B2 (ja) * 2005-07-01 2012-01-18 スズキ株式会社 ペダル装置
JP4486605B2 (ja) * 2006-03-23 2010-06-23 豊田鉄工株式会社 レバー比切替型ブレーキペダル装置
US7717495B2 (en) * 2007-03-16 2010-05-18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with space utilization
JP2009090933A (ja) * 2007-10-11 2009-04-30 Honda Motor Co Ltd 制動装置
JP2009251674A (ja) 2008-04-01 2009-10-29 Nissan Motor Co Ltd ブレーキ装置
DE102008037923A1 (de) * 2008-08-14 2010-02-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remsbetätigungsvorrichtung eines Fahrzeugs
FR2960202B1 (fr) * 2010-05-18 2013-06-1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Agencement pour le montage d'elements d'un systeme de commande de frein principal d'un vehicule, et vehicule comportant un tel agencement
JP2012121379A (ja) * 2010-12-06 2012-06-28 Yorozu Corp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4335A1 (ko) * 2015-07-21 2017-01-26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장비의 페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1585A4 (en) 2016-01-13
EP2891585A1 (en) 2015-07-08
WO2014034159A1 (ja) 2014-03-06
CN104755335A (zh) 2015-07-01
RU2015109208A (ru) 2016-10-20
US20150274142A1 (en) 2015-10-01
WO2014033930A1 (ja) 2014-03-06
JPWO2014034159A1 (ja) 201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2095A (ko) 브레이크 페달 장치와 그 부착 방법
KR100719279B1 (ko) 자동차의 조작 페달 장치
JP5268954B2 (ja) 車両用操作ペダル装置
US20020170761A1 (en) Driver control module
US9032836B2 (en) Device for preventing inward shifting of brake pedal during collision
US7318370B2 (en) Tie rod for booster and booster comprising such a tie rod
EP1215070B1 (en) Vehicle master cylinder mounting structure
US20050109149A1 (en) Operating pedal supporting device in automobile
CN210793358U (zh) 设有双安全气囊安装固定机构的铝合金汽车仪表板横梁总成
CN101962012B (zh) 自动档汽车的双刹车系统
JP4724166B2 (ja) ブレーキマスタシリンダ取付構造
US20180232003A1 (en) Vehicle operation pedal device
US10108218B2 (en) Brake assembly for retrofitting a motor vehicle with a dual-position brake system
KR102278585B1 (ko)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
JP2001233187A (ja) 車両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US8567550B2 (en) Booster assembly for vehicles
KR100911542B1 (ko) 자동차용 배력식 유압제동장치
WO2017006628A1 (ja) 車両用ペダル装置の後退防止装置
JP2722954B2 (ja) 走行操作系補機部品の取付構造
JP3210622U (ja) ブレーキペダルブレース
KR20110133219A (ko) 차량용 가속 페달장치
JPS6232115Y2 (ko)
JP2000185632A (ja) ブレーキ踏力伝達装置
JPS63258259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2001010537A (ja) 車体のダッシュボード用スティフ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