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585B1 -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585B1
KR102278585B1 KR1020190129320A KR20190129320A KR102278585B1 KR 102278585 B1 KR102278585 B1 KR 102278585B1 KR 1020190129320 A KR1020190129320 A KR 1020190129320A KR 20190129320 A KR20190129320 A KR 20190129320A KR 102278585 B1 KR102278585 B1 KR 102278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pedal body
arm
positioning
pedal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5831A (ko
Inventor
김재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to KR1020190129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5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에 고정설치되는 회전축; 일측은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길게 연장되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단면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일측과 타측 사이의 중간 부분에 부스터와 연결되는 로드가 끼워져 결합되는 중간구멍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페달 아암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용 구멍이 형성된 페달 본체; 상기 페달 본체의 타단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페달 본체로부터 탑승자를 향하여 절곡되어 연장되는 페달 아암; 및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결합되고 탑승자의 발이 놓여지는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페달 본체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내부가 중공된 튜브형상을 가지고, 상기 페달 아암은, 내부가 중실된 바형상을 가지며 상기 페달 본체의 타측 개구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페달 본체는 상기 페달 아암보다 강도가 높은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Pedal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이 감소되고 강도가 높은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차량이 정상적으로 운행할 수 있기 위해서는 가속을 위한 가속페달과 감속 및 정지를 위한 페달이 반드시 필요하며, 수동변속기 차량의 경우에는 클러치 페달도 구비하고 있다.
한편, 페달은 대쉬보드 하부 공간의 중앙에서 약간 오른쪽에 위치하여 운전자가 가장 신속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강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달(1)은 상단이 대쉬패널(2)에 장착된 마운팅브라켓(3)에 핀(4)을 매개로 힌지고정되어 있고, 그 하부의 대쉬패널(2) 외측에 장착된 브레이크 부스터(5)와 로드(6)로 힌지연결되어 있어, 운전자가 발로 밟으면 상기 로드(6)가 밀려들어가면서 브레이크 부스터(5)를 작동시켜 이후, 마스터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서 발생한 유압이 각 휠의 휠실린더에 전달되어 제동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운전자가 페달의 단부에 마련된 패드를 밝으면 페달(1)은 마운팅 브라켓(3)의 핀(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페달(1)의 중앙에 연결된 로드(6)를 가압하면서 브레이크 부스터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페달에서 로드(6)가 연결된 부분이 가장 큰 하중을 받게 되는데, 빈번한 브레이크 조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로드(6)가 연결된 부분에서 파손이 발생할 염려가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페달(1)을 전체적으로 강성이 높은 소재로 하거나 두껍게 하는 방안이 있으나, 이 경우 전체적인 재료비가 증가되고 중량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이 감소되면서도 강도가 높은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는,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설치되는 회전축;
일측은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길게 연장되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단면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일측과 타측 사이의 중간 부분에 부스터와 연결되는 로드가 끼워져 결합되는 중간구멍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페달 아암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용 구멍이 형성된 페달 본체;
상기 페달 본체의 타단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페달 본체로부터 탑승자를 향하여 절곡되어 연장되는 페달 아암; 및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결합되고 탑승자의 발이 놓여지는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페달 본체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내부가 중공된 튜브형상을 가지고,
상기 페달 아암은, 내부가 중실된 바형상을 가지며 상기 페달 본체의 타측 개구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페달 본체는 상기 페달 아암보다 강도가 높을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에서,
상기 페달 본체는 상기 페달 아암보다 단위체적당 중량이 작을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에서,
상기 페달 아암에는, 상기 위치결정용 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결정부가 마련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위치결정용 구멍과 상기 위치결정부를 위치맞추어서 페달 아암을 페달 본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에서,
상기 페달 아암에는 상기 페달 본체의 단부가 걸리는 위치결정용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결정용 돌출턱이 상기 페달 본체의 단부에 걸림으로서 상기 페달 아암이 페달 본체에 위치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가 중실된 페달 레버;
일측은 상기 페달 레버가 길이조절 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길게 연장되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단면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일측과 타측 사이의 중간 부분에 부스터와 연결되는 로드가 끼워져 결합되는 중간구멍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페달 아암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용 구멍이 형성된 페달 본체;
상기 페달 본체의 타단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페달 본체로부터 탑승자를 향하여 절곡되어 연장되는 페달 아암; 및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결합되고 탑승자의 발이 놓여지는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페달 본체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내부가 중공된 튜브형상을 가지고,
상기 페달 아암은, 내부가 중실된 바형상을 가지며 상기 페달 본체의 타측 개구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페달 본체는 상기 페달 아암보다 강도가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로드가 연결되는 페달 본체가 중공의 튜브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패드가 마련되는 페달 아암은 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페달 본체게 고정결합되어 있어서 강도가 높아지면서도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에 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의 일부 확대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페달 조립체는, 가속을 위한 가속페달과 감속 및 정지를 위한 브레이크 페달을 포함하고, 수동변속기 차량의 경우에는 클러치 페달을 모두 포함하여 해석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100)는, 회전축(110), 페달 본체(120), 페달 아암(130), 패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110)은 차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페달 본체(12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축(110)은 데쉬보드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 페달 본체(120)는, 일측은 상기 회전축(1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길게 연장되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단면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일측과 타측 사이의 중간 부분에 부스터와 연결되는 로드가 끼워져 결합되는 중간구멍(121)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페달 아암(130)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용 구멍(122)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페달 본체(120)는 대략 사각단면을 가지는 직사각형 튜브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는 비어져 있게 된다.
상기 페달 본체(120)의 일측에는 회전축(110)에 끼워걸리는 회전공(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페달 아암(130)이 끼워져서 결합되어 있게 된다.
상기 페달 본체(12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중간 부분에는 부스터와 연결되는 로드가 끼워질 수 있는 중간구멍(121)이 형성된다.
이러한 페달 본체(120)는 인발가공에 의하여 제조되며 금속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페달 본체(120)는 인발가공에 의하여 제조됨에 따라서 별도의 용접라인이 없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페달 본체(120)는 내부가 비어져 있기 때문에 내부가 채워진 페달 아암(130)에 비해서 중량이 감소될 수 있으며, 직사각형의 형상으로서 전체적인 체적이 커서 페달 아암(130)에 비해서 단면계수가 크게 되고 이에 따라 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페달 본체(120)의 강도가 증대됨으로서 고강성이 요구되는 부분인 로드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페달 본체(12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튜브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단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으므로 인발에 의하여 쉽게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즉, 튜브의 형상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변화되는 것이 아니라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일정한 단면형상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특정 위치에 응력이 집중되는 일이 없고 전체적으로 길이방향에 걸쳐서 일정한 응력이 걸리게 된다.
또한 페달 본체(120)의 중량이 작게 됨으로서 전체적인 페달 조립체(100)의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상기 페달 본체(120)의 타측으로서 페달 아암(130)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위치결정용 구멍(122)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위치결정용 구멍(122)은 페달 아암(130)이 삽입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페달 본체(120)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도록 한 쌍이 배치되어 있게 된다. 페달 본체(120)에 한 쌍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게 됨으로서 페달 아암(130)의 수평위치가 정밀하게 결정될 수 있다. 단일의 위치결정용 구멍(122)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개략적인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나, 일측면에 복수의 위치결정용 구멍(12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좌우 위치까지 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치결정용 구멍(122)이 일측면과 타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어느쪽에서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위치결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일측을 보면서 작업을 하거나 타측쪽에서 작업을 하던지 관계없이 위치결정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페달 아암(130)은, 상기 페달 본체(120)의 타단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페달 본체(120)로부터 탑승자를 향하여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페달 본체(120)는 회전축(110)에서 직선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어서 별도의 절곡이 필요없으면서 강한 하중이 받는 곳에 배치되어 있다. 페달 아암(130)은 상기 페달 본체(120)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운전자의 발이 접촉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대략 후크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페달 아암(130)은 인발로 제작되는 페달 본체(120)와는 달리 통상적인 프레스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페달 아암(130)은 그 절곡된 복잡한 구조 때문에 인발로 제작하기 어렵기 때문이며, 제조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프레스 방식으로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페달 아암(130)은 내부가 중실된 바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페달 본체(120)의 타측 개구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게 된다. 페달 아암(130)이 페달 본체(120)의 내부에 일부 삽입된 후에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상기 페달 본체(12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페달 아암(130)은 내부가 채워져서 중실되어 있으므로 중량이 페달 본체(120)보다는 크게 되나, 프레스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므로 복잡한 형상이면서도 제조는 용이하다.
이러한 페달 아암(130)의 상단으로서 상기 페달 본체(120)의 타측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위치결정부(131)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위치결정부(131)는 설계자가 미리 정해놓은 길이에 맞게 작업자가 쉽게 결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페달 아암(130)에는, 상기 위치결정용 구멍(122)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결정부(131)가 마련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위치결정용 구멍(122)과 상기 위치결정부(131)를 위치맞추어서 페달 아암(130)을 페달 본체(120)에 결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위치결정부(131)로서 위치결정용 구멍(12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구멍을 마련하였다. 위치결정용 구멍(122)에 위치결정부(131)를 맞추어서 이를 작업자가 확인한 후에는, 페달 아암(130)과 페달 본체(120)의 접촉부분을 용접함으로서 결합고정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페달 아암(130)에는 상기 페달 본체(120)의 단부가 걸리는 위치결정용 돌출턱(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결정용 돌출턱(132)이 상기 페달 본체(120)의 단부에 걸림으로서 상기 페달 아암(130)이 페달 본체(120)에 위치결정된다.상기 패드(140)는, 페달 아암(130)의 단부에 결합되고 탑승자의 발이 놓여지는 것이다. 이러한 패드(140)에서 운전자의 발이 접촉되는 부분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10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실된 바 형태의 페달 아암(130)의 상단을 내부가 중공되고 중앙이 개구된 직사각형 단면의 튜브형태의 페달 본체(120)의 하단 개구와 대응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에 페달 아암(130)의 상단을 페달 본체(120)의 하단을 통해서 삽입하고, 상기 페달 본체(120)의 위치결정용 구멍(122)이 페달 아암(130)의 위치결정부(131)에 맞는 위치로 위치조정하게 된다.
위치조정이 완료되면 페달 본체(120)와 페달 아암(130)의 접촉부분을 용접함으로서 페달 본체(120)와 페달 아암(130)의 결합을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100)는, 로드가 결합되어 하중을 많이 받게 되는 페달 본체(120) 부분이 내부가 중공된 튜브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강도면에서 유리할 뿐 아니라, 중량면에서도 가벼운 장점이 있다.
한편, 페달 아암(130)은 페달 본체(120)와 달리 내부가 중실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프레스 방식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서 복잡한 형상을 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즉, 내부가 중공된 페달 아암(130)은 그 제조가 어렵고 제조에 노하우가 많이 필요하게 되나, 페달 아암(130)을 내부가 중실될 구조로 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페달 본체(120)만을 신규개발함으로서 이를 공용화하고 페달 아암(130)만 차종에 따라서 달리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설계비용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즉, 페달 본체(120)는 직육면체의 바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그 형상적 구조가 용이하여 전체적인 차종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바, 이 부분을 제외한 페달 아암(130)만 별도로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페달 아암(130)도 삽입되는 깊이만을 조절하여 대부분의 차종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페달 아암(130)이 페달 본체(120)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고 위치결정부(131)의 위치를 달리 설계함으로서 차종에 맞게 다양한 공용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는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위치결정용 돌출턱(132)의 형상을 도 2와 같이 페달 아암의 상단 본체의 가장자리로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달 아암(230)에는 상기 페달 본체(220)의 단부가 걸리는 위치결정용 돌출턱(232)이 페달 아암의 양측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결정용 돌출턱(232)이 상기 페달 본체(220)의 단부에 걸림으로서 상기 페달 아암(230)이 페달 본체(220)에 위치결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페달아암(230)의 돌출턱(232)이 페달 본체(220)의 단부에 걸리는 위치까지 일단 삽입한 후에, 위치결정용 구멍(222)과 위치결정부(231)의 위치맞춤을 이용하여 정밀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는 작업자의 위치결정을 보다 편하게 하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페달 본체가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 본체를 페달 레버(301)와, 페달 본체(320)로 분리하고, 페달 레버(301)는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가 중심된 구조로 하고, 페달 본체는 직사각형 튜브형태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페달 레버(301)는 페달 본체(320)의 상단 개구를 통해서 삽입되어 차종에 맞게 필요한 위치결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로드가 결합되는 위치도 차종마다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는데, 특히 회전축으로부터 로드 결합부인 중간구멍까지의 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페달 본체를 단일의 부재가 아닌 서로 결합가능한 구조로 분리한 후에, 이를 결합하여 용접고정함으로서 현장에서 작업자가 필요한 길이조절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페달 레버와 페달 본체에는 위치결정용 구조를 추가하여 작업자가 현장에서 쉽게 위치맞춤을 쉽게 할 수 있게 한다.
도 8에서는 회전축에서 로드까지의 거리가 짧은 페달 조립체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9에서는 회전축에서 로드까지의 거리가 긴 페달 조립체를 예시한다. 이와 같이 페달 레버와 페달 본체를 상황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서 대부분의 차종에 공용화하여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들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100...페달 조립체 110...회전축
120...페달 본체 121...중간구멍
122...위치결정용 구멍 123...회전공
130...페달 아암 131...위치결정부
132...위치결정용 돌출턱 140...패드

Claims (5)

  1.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가 중실된 페달 레버;
    일측은 상기 페달 레버가 길이조절 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길게 연장되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단면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일측과 타측 사이의 중간 부분에 부스터와 연결되는 로드가 끼워져 결합되는 중간구멍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페달 아암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용 구멍이 형성된 페달 본체;
    상기 페달 본체의 타단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페달 본체로부터 탑승자를 향하여 절곡되어 연장되는 페달 아암; 및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결합되고 탑승자의 발이 놓여지는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페달 본체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내부가 중공된 튜브형상을 가지고,
    상기 페달 아암은, 내부가 중실된 바형상을 가지며 상기 페달 본체의 타측 개구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페달 본체는 상기 페달 아암보다 강도가 높으며,
    위치결정용 구멍은 페달 본체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도록 한쌍이 나란하게 배치되고, 페달 아암의 위치 결정부가 위치결정용 구멍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구멍으로 형성되며, 페달 레버와 페달 본체가 위치결정용 구멍과 위치결정용 구멍에 대응되는 형상의 구멍을 포함하여 길이조절되며, 페달 레버, 페달 본체, 페달 아암은 위치결정후 용접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본체는 상기 페달 아암보다 단위체적당 중량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아암에는 상기 페달 본체의 단부가 걸리는 위치결정용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결정용 돌출턱이 상기 페달 본체의 단부에 걸림으로서 상기 페달 아암이 페달 본체에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페달조립체.
  5. 삭제
KR1020190129320A 2019-10-17 2019-10-17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 KR102278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320A KR102278585B1 (ko) 2019-10-17 2019-10-17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320A KR102278585B1 (ko) 2019-10-17 2019-10-17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831A KR20210045831A (ko) 2021-04-27
KR102278585B1 true KR102278585B1 (ko) 2021-07-16

Family

ID=7572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320A KR102278585B1 (ko) 2019-10-17 2019-10-17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5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2994A (zh) * 2021-09-22 2021-12-07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制动踏板组件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194A (ko) * 2002-09-30 2004-04-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페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831A (ko)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8954B2 (ja) 車両用操作ペダル装置
CN101332810A (zh) 操作踏板的后退防止结构
KR102278585B1 (ko)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
WO2014034159A1 (ja) ブレーキペダル装置とその取付方法
US6273486B1 (en) Integrated tunable front crash support structure
US7201082B2 (en) Automobile pedal supporting structure
JP2004013301A (ja) 車両用ペダルの支持構造
CN111316190B (zh) 车辆用操作踏板装置
JP5364535B2 (ja) ブレーキペダル支持構造
JP4470670B2 (ja) 車両のペダル支持構造
EP3822736B1 (en) Operation pedal device for vehicle
JP4493312B2 (ja) ペダルブラケットの配設構造
US6662910B2 (en) Foot actuated brake
JP3737905B2 (ja) 車両用ペダル取付構造
KR20080100873A (ko) 차량용 브레이크 페달 유닛
KR20210090970A (ko) 브레이크 호스의 레이아웃 설정용 금구
JP4210812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EP0997805A2 (en) Foot pedal
WO2017006628A1 (ja) 車両用ペダル装置の後退防止装置
KR102296535B1 (ko) 브레이크 호스의 레이아웃 설정용 금구
CN109249913A (zh) 车辆的踏板后退防止构造体
US20220315108A1 (en) Subframe
JP2010218184A (ja) 車両の操作ペダル支持構造
JPH11171029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6199082A (ja) 車体前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