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3161A - 자성 소자 - Google Patents

자성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3161A
KR20150043161A KR20130122256A KR20130122256A KR20150043161A KR 20150043161 A KR20150043161 A KR 20150043161A KR 20130122256 A KR20130122256 A KR 20130122256A KR 20130122256 A KR20130122256 A KR 20130122256A KR 20150043161 A KR20150043161 A KR 20150043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direction
bobbin
winding
coil
magnet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2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3161A/ko
Priority to US14/286,726 priority patent/US9324492B2/en
Priority to JP2014125450A priority patent/JP5964889B2/ja
Priority to EP14177924.9A priority patent/EP2860740B1/en
Priority to CN201410509404.3A priority patent/CN104575944A/zh
Publication of KR20150043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3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 소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부를 구비한 보빈과; 보빈의 외측에 감기는 코일과; 상기 보빈의 외측에서 상기 보빈과 결합되는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보빈은, 외측에 코일이 감기는 제1 권취부와, 상기 제1 권취부의 길이 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외측에 코일이 감기는 제1 권취부와, 상기 제1 권취부와 상기 제1 권취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공차 흡수부와, 상기 제1 권취부 및 상기 제1 권취부의 외측에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차 흡수부는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성 소자{MAGNETIC DEVICE}
본 발명은 자성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빈의 길이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제공되어 조립 공차를 흡수 가능한 자성 소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덕터 또는 트랜스포머와 같은 자성 소자는, 코어와 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코일의 회전수에 따라 인덕턴스가 조정된다.
코어는 일반적으로 2개 이상이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 자성 소자는, 코일과 코어 간의 절연과 원활한 회전수의 확보를 위해 보빈을 사용한다.
도1은 종래 자성 소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종래 자성 소자는, 코어(10)와 보빈(20)을 포함하며, 보빈(20)의 외측에 코일(30)을 감은 다음, 보빈(20)의 양측에 코어(10)를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코어는 제1 코어(11)와 제2 코어(12)의 2개가 구비되며, 2개의 코어 (11, 12)는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에 의해 결합된다. 2개의 코어(11, 12)가 접하는 부분에 접착제를 공급하거나, 2개의 코어(11, 12)의 단부를 서로 접촉시킨 다음 그 외측을 접착 테이프로 감싸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접착 과정에서 2개의 코어의 단부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면, 인덕턴스 값에 편차가 생겨 정확한 사양의 제품을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최근, 전자 기기 및 전자 부품이, 고성능화되고 소형화 됨에 따라, 이러한 간극을 없애고 조립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조립 정확도를 높이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성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 소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부를 구비한 보빈과; 보빈의 외측에 감기는 코일과; 상기 보빈의 외측에서 상기 보빈과 결합되는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보빈은, 외측에 코일이 감기는 제1 권취부와, 상기 제1 권취부의 길이 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외측에 코일이 감기는 제1 권취부와, 상기 제1 권취부와 상기 제1 권취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공차 흡수부와, 상기 제1 권취부 및 상기 제1 권취부의 외측에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차 흡수부는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코어의 길이 방향 외측면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차 흡수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으로 볼록하거나 오목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일은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공차 흡수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곡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공차 흡수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이 이격 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서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격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부의 길이 방향 외측 및 상기 체결부의 폭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는 상기 후크가 걸리는 엔드 플레이트와; 상기 엔드 플레이트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중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부가 상기 보빈의 중공부에 삽입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중심부의 폭방향 외측에서 상기 중심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외측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적어도 일 부분에서,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더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 정확도가 높아지고 제조 공정이 단순화 되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면서도, 보다 고성능의 자성 소자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 자성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 소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 소자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자성 소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도3을 AA선을 중심으로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 소자에 코일이 2개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성 소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성 소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 소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 소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 소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5는 도3을 AA선을 중심으로 절단한 측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 소자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 소자는 코어(100)와, 보빈(200)과, 코일(300)과, 케이스(400)를 포함한다.
코어(100)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즉, 2개 이상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어(100)가 2개 포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어(100)는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코어(110)와 제2 코어(120)를 포함한다.
제1 코어(110)는 엔드 플레이트(111), 중심부(112), 외측 연장부(113)를 포함한다.
엔드 플레이트(111)는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대략 직시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폭 방향은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중심부(112)는 엔드 플레이트(111)의 중앙에서 길이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연장된다.
외측 연장부(113)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111)의 가장자리에서 길이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된다. 즉, 상기 외측 연장부(113)는 상기 중심부(112)의 폭방향 좌우 외측에서 상기 중심부(112)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외측 연장부(113)는 하나의 코어에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2 코어(120)는 제1 코어(110)와 마찬가지로 엔드 플레이트(121), 중심부(122), 외측 연장부(123)를 포함한다. 제2 코어(120)는 제1 코어(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비된다. 즉, 제2 코어(120)를 구성하는 엔드 플레이트(121), 중심부(122), 외측 연장부(123)가, 제1 코어를 구성하는 엔드 플레이트(111), 중심부(112), 및 외측 연장부(113)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칭이 된다. 따라서, 제2 코어(120)의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빈(200)은, 권취부(210)와, 공차 흡수부(220)와, 체결부(230)와, 격벽부(240)와, 보강부(25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보빈(200)의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부(260)가 구비된다. 즉, 보빈(200)은 내측이 빈 형상을 갖는다. 상기 중공부(260)는 보빈(200)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권취부(2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부분이며, 내측은 비어 있다. 중앙의 빈 공간에는 상기 코어(100)의 중심부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일측에는 상기 제1 코어(110)의 중심부(112)가 삽입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2 코어(120)의 중심부(122)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210)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대략 4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권취부(210)는 제1 권취부(211)와 제1 권취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권취부(211)와 제1 권취부(212)의 경계는 후술하는 공차 흡수부(22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즉, 공차 흡수부(220)를 중심으로 일측은 제1 권취부(211)가 되며, 타측은 제1 권취부(212)가 될 수 있다.
공차 흡수부(220)는 권취부(210)에서 소정 위치에 구비된다. 즉, 제1 권취부(211)와 제1 권취부(212)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공차 흡수부(220)는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차 흡수부(220)는 폭방향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차 흡수부(220)는 외측으로 볼록하거나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권취부(211), 제1 권취부(212) 및 공차 흡수부(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빈(200)을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키려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공차 흡수부(220)의 곡면이 펴지며, 즉 곡률이 작아지며, 보빈(200)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 소자의 조립 시, 보빈(200)의 길이 방향 길이와, 코어의 길이 방향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조립 공차를 공차 흡수부(220)가 늘어나면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공차 흡수부(220)에는, 늘어난 상태에서도,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 가려는 복원력이 작용한다.
한편, 권취부(210)의 외측에 감기는 코일(300)이 복수개인 경우, 공차 흡수부(220)가 각각의 코일(300)이 감기는 위치를 표시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차 흡수부(220)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 보다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공차 흡수부(220)가 복수의 코일(300) 사이에 위치하며, 코일(300) 사이의 경계를 나누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공차 흡수부(220)는 외측 또는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볼록하거나 오목한 형상적인 특징에 의해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소재가 갖는 특성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늘어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차 흡수부(220)는 제1 권취부(211) 및 제1 권취부(212)와는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고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공차 흡수부(220)는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체결부(230)는 권취부(210)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구비된다. 즉 제1 권취부(211)의 길이 방향 외측 단부와 제1 권취부(212)의 길이 방향 외측 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23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외측 단부에는 복수의 후크(231)가 구비된다.
격벽부(240)는, 상기 체결부(230)와 상기 권취부(210)의 경계에서, 폭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 연장된다. 격벽부(240)는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위치한다. 즉 제1 권취부(211)의 외측과, 제1 권취부(212)의 외측에 각각 구비된다.
보강부(250)는 격벽부(240)의 길이 방향 외측 및 체결부(230)의 폭방향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격벽부(240)는 길이 방향 내측 단부가 격벽부(240)의 길이 방향 외측면에 접하며, 폭방향 내측 단부가 체결부(230)의 폭방향 외측면에 접한다. 상기 보강부(250)는, 길이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폭 방향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보강부(250)는 체결부(23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자성 조사의 결합 조립 과정에서 체결부(230)에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 체결부(230)에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보강부(250)가 구비되어 체결부(230)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코일(300)은 상기 보빈(200)의 외측에 감긴다. 보다 상세하게는 권취부(210)의 외측에 감기며, 한 쌍의 격벽부(240) 사이에 감긴다. 코일(300)이 복수개로 구성되는 경우, 공차 흡수부(220)를 경계로 하여 서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참고로, 도6은 코일(310, 320)이 복수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코일(310)과 제2 코일(320)이 서로 공차 흡수부(220)의 양쪽에 감겨 있으며, 공차 흡수부(2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 되어 있다. 코일(300)은 구리 등의 전도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케이스(4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00)의 외측을 감싼다. 상기 케이스(400)는 알루미늄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케이스(400)와 코어(100)의 사이에는 에폭시 몰딩(5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자성 소자의 조립 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보빈(200)의 외측에 코일(300)을 감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권취부(210)의 외측에서, 한 쌍의 격벽부(240)의 사이에 코일(300)을 감는다. 이 때, 코일(300)이 복수개인 경우, 공차 흡수부(220)를 경계로 하여 복수개의 코일을 서로 이격되게 감을 수도 있다.
보빈(200)의 외측에 코일(300)이 감기고 나면, 보빈(200)과 코어(100)를 결합시킨다. 제1 권취부(211)쪽에 제1 코어(110)를 결합시키고, 제1 권취부(212) 쪽에 제2 코어(120)를 결합시킨다.
보빈(200)과 코어(100)를 결합시킬 때에는, 보빈(200)의 체결부(230) 외측 단부에 구비된 후크(231)가 코어(100)의 길이 방향 외측면에 걸리도록 하며, 이 과정에서 공차 흡수부(220)의 길이가 신장될 수 있다. 공차 흡수부(220)가 탄성 변형하여 길이가 늘어난 상태에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 가려 하므로, 이 복원력에 의해 체결부(230)는 코어의 길이 방향 외측면을 내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코어(100)에는 항상 길이 방향 내측으로 당겨지는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한 쌍의 코어(110, 120)에는 상시 서로를 향해 밀착하려는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코어(110, 120) 사이가 벌어지는 일이 없게 되며, 조립이 용이해 진다. 즉, 제1 코어(110)와 제2 코어(120)가 서로 맞닿는 면에, 서로의 접착을 위한 별도의 처리가 필요 없게 되거나, 접착을 위한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되어,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성 소자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성 소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8은 도7에 도시된 자성 소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한 자성 소자는, 도2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의한 자성 소자와 비교할 때, 코어(600) 및 보빈(700)의 형상면에서 차이가 있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 소자는 코어(600)와, 보빈(700)과, 코일(300)을 포함한다. 또한 코어(600)의 외측을 감싸는 케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어(600)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즉, 2개 이상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어가 2개 포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어(600)는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는 제1 코어(710)와 제2 코어(720)를 포함한다.
제1 코어(610)는 엔드 플레이트(611), 중심부(612), 외측 연장부(613)를 포함한다.
엔드 플레이트(611)는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중앙 부분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원형의 부분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될수록 그 폭이 더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심부(612)는 엔드 플레이트(611)로부터 길이 방향 중앙쪽으로 향해 연장된다. 상기 중심부(612)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다. 상기 중심부(612)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611)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된다. 따라서, 한 쌍의 코어(610, 620)의 중심부(611, 621) 각각은 서로를 향해 연장되는 것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외측 연장부(613)는 상기 중심부의 폭방향 좌우 외측에서 상기 중심부(612)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즉,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외측 연장부(613)는 어느 하나의 코어에 대략 2개가 구비된다. 상기 외측 연장부(613)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611)의 가장자리에서 길이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외측 연장부(613)의 폭 방향 외측면은 상기 중심부(612)와 대략 동일한 곡률 중심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측 연장부(613)의 폭 방향 내측면은 상기 중심부의 폭 방향 외측면과 마주보며 평행하게 연장되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2 코어(620)는 제1 코어(610)와 마찬가지로 엔드 플레이트(621), 중심부(622), 외측 연장부(623)를 포함한다. 제2 코어(620)는 제1 코어(6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비되므로, 제2 코어(620)의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빈(700)은, 권취부(710)와, 공차 흡수부(720)와, 체결부(730)와, 격벽부(740)와, 보강부(75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보빈(7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부(760)가 구비된다. 상기 중공부(760)는 보빈(200)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권취부(7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 내측은 비어 있다. 중앙의 빈 공간에는 상기 코어(600)의 중심부(612, 622)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일측에는 상기 제1 코어(610)의 중심부(611)가 삽입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2 코어(620)의 중심부(622)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710)는 제1 권취부(711)와 제1 권취부(712)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1 권취부(711)와 제1 권취부(712)의 경계는 후술하는 공차 흡수부(72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즉, 공차 흡수부(720)를 중심으로 일측은 제1 권취부(711)가 되며, 타측은 제1 권취부(712)가 될 수 있다.
공차 흡수부(720)는 권취부(710)에서 소정 위치에 구비된다. 즉, 제1 권취부(711)와 제1 권취부(712)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공차 흡수부(720)는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차 흡수부(720)는 폭방향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차 흡수부(720)는 외측으로 볼록하거나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권취부(711), 제1 권취부(712) 및 공차 흡수부(7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빈(700)을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키려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공차 흡수부(720)의 곡면이 펴지며, 즉 곡률이 작아지며, 보빈(700)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성 소자의 조립 시, 보빈(700)의 길이 방향 길이와, 코어의 길이 방향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조립 공차를 공차 흡수부(720)가 늘어나면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권취부(710)의 외측에 감기는 코일(300)이 복수개인 경우, 공차 흡수부(720)가 각각의 코일(300)이 감기는 위치를 표시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차 흡수부(720)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 보다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공차 흡수부(720)가 복수의 코일(300) 사이에 위치하며, 코일(300) 사이의 경계를 나누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공차 흡수부(720)는 외측 또는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볼록하거나 오목한 형상적인 특징에 의해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소재가 갖는 특성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늘어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차 흡수부(720)는 제1 권취부(711) 및 제1 권취부(712)와는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고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공차 흡수부(720)는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체결부(730)는 권취부(710)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구비된다. 즉 제1 권취부(711)의 외측 단부와 제1 권취부(712)의 외측 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73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외측 단부에는 복수의 후크(731)가 구비된다.
격벽부(740)는, 상기 체결부(730)와 상기 권취부(710)의 경계에는 외측을 향해 폭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 연장된다. 폭방향이란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다. 격벽부(740)는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위치한다. 즉 제1 권취부(711)의 외측과, 제1 권취부(712)의 외측에 각각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자성 소자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보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는 체결부(74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코일(300)은 상기 보빈(700)의 외측에 감긴다. 보다 상세하게는 권취부(710)의 외측에 감기며, 한 쌍의 격벽부(740) 사이에 감긴다. 코일은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자성 소자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코어(600)의 외측을 감싸는 케이스(미도시)와, 케이스와 코어 사이에 구비되는 에폭시 몰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자성 소자의 조립 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보빈(700)의 외측에 코일(300)을 감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권취부(710)의 외측에서, 한 쌍의 격벽부(740)의 사이에 코일(300)을 감는다. 이 때, 코일(300)이 복수개인 경우, 공차 흡수부(720)를 경계로 하여 복수개의 코일(300)을 감을 수도 있다.
보빈(700)의 외측에 코일(300)이 감기고 나면, 코빈(700)과 코어(600)를 결합시킨다. 제1 권취부(711)쪽에 제1 코어(110)를 결합시키고, 제1 권취부(712) 쪽에 제2 코어(120)를 결합시킨다.
보빈(700)과 코어를 결합시킬 때에는, 보빈(700)의 체결부(730) 외측 단부에 구비된 후크(731)가 코어(600)의 길이방향 외측면에 걸리도록 하며, 이 과정에서 공차 흡수부(720)의 길이가 길이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공차 흡수부(720)가 탄성 변형하여 길이가 늘어난 상태에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 가려 하므로, 이 복원력에 의해 체결부(730)는 코어의 길이 방향 외측면을 내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코어에는 항상 길이 방향 내측으로 당겨지는 힘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코어에는 상시 서로를 향해 밀착하려는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코어 사이가 벌어지는 일이 없게 되며, 조립이 용이해 진다. 즉, 제1 코어(610)와 제2 코어(620)가 서로 맞닿는 면에, 서로의 접착을 위한 별도의 처리가 필요 없게 되어,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설 실시예에서는, 공차 흡수부(220, 720)가 권취부(210, 710)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성가 공차 흡수부(220, 720)는 반드시 권취부(210, 710)에만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체결부(230, 730)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코어 110: 제1 코어
111: 엔드 플레이트 112: 중심부
113: 외측 연장부 120: 제2 코어
121: 엔드 플레이트 122: 중심부
123: 외측 연장부 200: 보빈
210: 권취부 211: 제1 권취부
212: 제1 권취부 220: 공차 흡수부
230: 체결부 231: 후크
240: 격벽부 250: 보강부
260: 중공부 300: 코일
310: 제1 코일 320: 제2 코일
400: 케이스 500: 에폭시 몰딩
600: 코어 610: 제1 코어
611: 엔드 플레이트 612: 중심부
613: 외측 연장부 620: 제2 코어
621: 엔드 플레이트 622: 중심부
623: 외측 연장부 700: 보빈
710: 권취부 711: 제1 권취부
712: 제1 권취부 720: 공차 흡수부
730: 체결부 731: 후크
740: 격벽부 750: 보강부
760: 보강부

Claims (9)

  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부를 구비한 보빈과;
    보빈의 외측에 감기는 코일과;
    상기 보빈의 외측에서 상기 보빈과 결합되는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보빈은,
    외측에 코일이 감기는 제1 권취부와,
    상기 제1 권취부의 길이 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외측에 코일이 감기는 제1 권취부와,
    상기 제1 권취부와 상기 제1 권취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공차 흡수부(220)와,
    상기 제1 권취부 및 상기 제1 권취부의 외측에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차 흡수부는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자성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코어의 길이 방향 외측면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하는
    자성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차 흡수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으로 볼록하거나 오목한 곡면 형상을 갖는
    자성 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공차 흡수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곡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공차 흡수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이 이격 되어 배치되는
    자성 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서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격벽부를 더 포함하는
    자성 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의 길이 방향 외측 및 상기 체결부의 폭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자성 소자.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후크가 걸리는 엔드 플레이트와;
    상기 엔드 플레이트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중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부가 상기 보빈의 중공부에 삽입 가능한
    자성 소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의 폭방향 외측에서 상기 중심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외측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자성 소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적어도 일 부분에서,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더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
    자성 소자.
KR20130122256A 2013-10-14 2013-10-14 자성 소자 KR20150043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2256A KR20150043161A (ko) 2013-10-14 2013-10-14 자성 소자
US14/286,726 US9324492B2 (en) 2013-10-14 2014-05-23 Magnetic device
JP2014125450A JP5964889B2 (ja) 2013-10-14 2014-06-18 磁性素子
EP14177924.9A EP2860740B1 (en) 2013-10-14 2014-07-22 Magnetic device with a bobbin which is lengthwise elastically deformable
CN201410509404.3A CN104575944A (zh) 2013-10-14 2014-09-28 磁性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2256A KR20150043161A (ko) 2013-10-14 2013-10-14 자성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161A true KR20150043161A (ko) 2015-04-22

Family

ID=51211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2256A KR20150043161A (ko) 2013-10-14 2013-10-14 자성 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24492B2 (ko)
EP (1) EP2860740B1 (ko)
JP (1) JP5964889B2 (ko)
KR (1) KR20150043161A (ko)
CN (1) CN1045759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0954B2 (ja) * 2016-04-28 2020-11-04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リアクトル
JP2017220493A (ja) * 2016-06-03 2017-12-14 田淵電機株式会社 電磁誘導器及び電磁誘導器の製造方法
JP6561953B2 (ja) * 2016-09-21 2019-08-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磁性コア、及びリアクトル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63421U (ko) * 1972-09-14 1974-06-04
JPS5824406Y2 (ja) * 1978-11-09 1983-05-25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ンス素子
DE2850107A1 (de) 1978-11-18 1980-06-04 Basf Ag Verfahren zum herstellen kleinteiliger, mit globulaeren additiven versehener polyolefin-formmassen und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formkoerpern
JPS55110010A (en) * 1979-02-19 1980-08-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urrent transformer
JPH051049Y2 (ko) * 1983-09-19 1993-01-12
JPH0659767B2 (ja) 1983-10-28 1994-08-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重荷重用ラジアルタイヤ
JPS6094806U (ja) * 1983-12-02 1985-06-28 東北金属工業株式会社 コイルボビン
JPS61112611A (ja) 1984-11-08 1986-05-30 Kyoraku Co Ltd 中空成形物の分離装置
JPS61112611U (ko) * 1984-12-26 1986-07-16
JPS6489304A (en) 1987-09-29 1989-04-03 Murata Manufacturing Co Coil
JPH0167712U (ko) * 1987-10-23 1989-05-01
JPH0587931U (ja) * 1992-04-22 1993-11-26 松下電工株式会社 ボビン
JPH11186077A (ja) 1997-12-22 1999-07-09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03036745A (ja) 2001-07-23 2003-02-07 Hitachi Cable Ltd 引き出しボビン
JP2006237420A (ja) 2005-02-28 2006-09-07 Hitachi Media Electoronics Co Ltd 変圧器及び電源装置
JP2009246219A (ja) * 2008-03-31 2009-10-22 Sumitomo Electric Ind Ltd ボビン、リアクトル及びリアクトルの組立方法
TWI381612B (zh) 2008-08-04 2013-01-01 Delta Electronics Inc 變壓器結構
US8018314B2 (en) * 2008-09-18 2011-09-13 Silitek Electronic (Guangzhou) Co., Ltd. Center-tapped transformer
US8922322B2 (en) * 2012-08-31 2014-12-30 Delta Electronics, Inc. Combined structure of hollow bobbin and conductive sheet, hollow bobbin, and conductive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60740A1 (en) 2015-04-15
CN104575944A (zh) 2015-04-29
US9324492B2 (en) 2016-04-26
JP5964889B2 (ja) 2016-08-03
EP2860740B1 (en) 2017-01-04
US20150102894A1 (en) 2015-04-16
JP2015079934A (ja)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0826B2 (ja) 巻線部品
KR20120003008A (ko) 표면 실장 자성 부품 조립체
KR101851653B1 (ko) 트랜스포머
JP6497521B2 (ja) トランス
KR20130043343A (ko) 모터의 스테이터 코어 및 그 제조방법
US10102963B2 (en) Coil component
JP2002043136A (ja) リアクトル
KR20150043161A (ko) 자성 소자
EP3038117B1 (en) Common mode choke coil
US20140085030A1 (en) Transformer
JP5740873B2 (ja) トランス
US11482784B2 (en) Antenna
JP6561460B2 (ja) コイル部品
US20160314888A1 (en) Integrated inductor
KR101479947B1 (ko) 변압장치
KR101855039B1 (ko) 변압기용 철심 구조물의 소음 저감 장치
US20150028980A1 (en) Transformer
CN202871506U (zh) 变压器
US9251949B2 (en) Magnetic element
EP2226918B1 (en) Stator for rotary electric machine
JP6485071B2 (ja) ノイズ対策部品
KR101456525B1 (ko) 양방향 고주파 변압기
CN212032833U (zh) 电感装置
CN213905093U (zh) 电感器芯组件和包括电感器芯组件的电感器
JP5690572B2 (ja) 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