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947B1 - 변압장치 - Google Patents

변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947B1
KR101479947B1 KR20130033128A KR20130033128A KR101479947B1 KR 101479947 B1 KR101479947 B1 KR 101479947B1 KR 20130033128 A KR20130033128 A KR 20130033128A KR 20130033128 A KR20130033128 A KR 20130033128A KR 101479947 B1 KR101479947 B1 KR 101479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oil
pin
pane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3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9865A (ko
Inventor
권영주
권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to KR20130033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94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9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10Composite arrangements of magnetic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변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변압장치는: 내측코일이 권선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장착부 및 장착부에 연결되는 연결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압장치{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의 외형 치수 변화 없이도 연결핀부 사이의 간격을 넓게 확보하여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변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장치는, 전기를 각종 전기제품이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부품이다.
이러한 변압장치는, 고속 스위칭시킬때 사용되는 변압장치와, 산업용으로 저주파 대역에서 사용되는 변압장치로 분류할 수 있다.
변압장치의 양측에는 전기가 이동하는 연결핀부가 설치되며, 연결핀부를 통하여 전기가 입력되거나 출력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8-0031481호(2008.04.08 공개, 발명의 명칭: 트랜스포머의 제조 방법 및 트랜스포머)에 개시되어 있다.
전기적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연결핀부 사이의 간격을 넓히면 제품의 외형 치수가 증가하여 다른 부품에 간섭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제품의 외형 치수 변화 없이도 연결핀부 사이의 간격을 넓게 확보하여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변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압장치는: 내측코일이 권선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장착부 및 장착부에 연결되는 연결핀부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부는, 장착부에 연결되며 내측에 중공이 구비되는 베이스패널 및 베이스패널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코일이 둘레에 권선되며 중공과 연통되는 내측통공이 내측에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부는, 베이스부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 및 볼록부에 연이어 설치되며 베이스부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홈을 형성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록부와 오목부는 번갈아가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핀부는, 볼록부에 연결되는 제1핀부재 및 오목부에 연결되는 제2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핀부재와 제2핀부재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핀부재의 돌출길이보다 제2핀부재의 돌출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핀부재에서 하측으로 굽어진 부분과 제2핀부재에서 하측으로 굽어진 부분은 일렬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와 내측코일을 감싸는 형상으로 베이스패널에 고정되며, 외측에는 1차코일과 2차코일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권선이 이루어지는 보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빈부는, 베이스패널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측에는 1차코일의 권선이 이루어지는 제1보빈을 구비하는 제1패널과, 제1보빈에 연결되며 2차코일의 권선이 이루어지는 제2보빈을 구비하는 제2패널과, 제2보빈에 연결되며 1차코일과 2차코일이 걸리는 제1걸림돌기가 측부에 구비되는 커버부재 및 제1패널에서 연장되어 커버부재에 연결되며 지지부와 내측코일이 내측에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패널의 측부에는 1차코일과 2차코일이 걸리는 제2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제1돌기를 구비하는 제1코어부재 및 보빈부를 사이에 두고 제1코어부재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지지부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제2돌기를 구비하는 제2코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1차코일과 2차코일이 노출되는 보빈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절연재질로 성형되는 절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변압장치는, 볼록부에 제1핀부재가 설치되며, 오복부에 제2핀부재가 설치되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제품의 외형 치수 변화 없이도 연결핀부 사이의 간격을 넓게 확보하여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에 1차코일과 2차코일이 권선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에 1차코일과 2차코일이 권선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의 저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1)는, 내측코일(15)이 권선되는 베이스부(10)와, 베이스부(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장착부(20)와, 장착부(20)에 연결되는 연결핀부(3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는 베이스패널(12)과 지지부(17)를 포함하며,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부(20)가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한다.
베이스패널(12)의 타측(도 1 기준 좌측)에는 고정핀부(40)가 연결되며, 베이스패널(12)의 일측(도 1 기준 우측)에는 장착부(20)가 위치하며, 이러한 장착부(20)에 연결핀부(30)가 연결된다.
판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패널(12)의 일측은 장착부(20)에 연결되며, 베이스패널(12)의 내측에는 중공(13)이 구비된다.
베이스패널(12)의 상측(이하 도 1기준)으로 돌출되는 지지부(17)의 외측 둘레에는 내측코일(15)이 권선된다.
지지부(17)의 내측에는 베이스패널(12)의 중공(13)과 연통되는 내측통공(18)이 구비된다.
베이스부(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요철 형상으로 장착부(20)가 형성된다. 베이스부(10)의 일측에만 장착부(20)가 연결된 경우, 베이스부(10)의 타측에는 "ㄱ"자로 굽어진 형상의 고정핀부(40)가 연결된다.
베이스부(10)의 일측에 연결된 장착부(20)는, 베이스부(10)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22)와, 볼록부(22)에 연이어 설치되며 베이스부(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홈을 형성하는 오목부(24)를 포함한다.
이러한 볼록부(22)와 오목부(24)는 번갈아가며 설치되므로, 장착부(20)에 연결된 연결핀부(30) 사이의 간격이 증가한다.
베이스패널(12)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볼록부(22)는 연결핀부(30)의 상측에 위치한다. 볼록부(22)와 오목부(24)에 각각 연결핀부(30)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부(30)는, 볼록부(22)에 연결되는 제1핀부재(32)와 오목부(24)에 연결되는 제2핀부재(34)를 포함한다.
제1핀부재(32)와 제2핀부재(34)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핀부재(32)에서 하측으로 굽어진 부분과 제2핀부재(34)에서 하측으로 굽어진 부분은 일렬로 평행하게 설치되므로, 연결핀부(30)가 다른 부재에 결합되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볼록부(22)에 연결된 제1핀부재(32)의 연결부위가 오목부(24)에 연결된 제2핀부재(34)의 연결부위 보다 전방(도 1 기준 우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장착부(20)에 연결된 제1핀부재(32)와 제2핀부재(34)의 연결부위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제1핀부재(32)와 제2핀부재(34)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여 전기적 간섭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변압장치(1)에서 변압이 이루어진 전기는 연결핀부(30)를 통해 외측으로 출력되며, 이러한 연결핀부(30)가 서로 어긋나게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연결핀부(30) 사이의 간격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핀부재(32)와 제2핀부재(34)의 하측으로 굽어진 부분이 서로 일렬로 위치하기 위해서는, 제1핀부재(32)의 돌출길이보다 제2핀부재(34)의 돌출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연결핀부(30)의 반대편에 위치한 고정핀부(40)는 베이스패널(12)을 따라 서로 같은 형상으로 설치된다.
베이스부(10)의 상측에 위치하는 보빈부(50)는, 지지부(17)와 내측코일(15)을 감싸는 형상으로 베이스패널(12)에 고정되며, 외측에는 1차코일(54)과 2차코일(58)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권선이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50)는, 제1패널(52), 제2패널(56), 커버부재(60) 및 내측부재(66)를 포함한다.
베이스패널(12)의 상측면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는 제1패널(52)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패널(52)의 상측으로 제1보빈(53)이 돌출된다.
제1보빈(53)의 외측에는 1차코일(54)이 권선되며, 이러한 제1보빈(53)의 상측에는 제2패널(56)이 연결된다.
제2패널(56)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2보빈(57)의 외측에는 2차코일(58)의 권선이 이루어진다. 1차코일(54)과 2차코일(58)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제1보빈(53)과 제2보빈(57)에 각각 권선된다.
제2보빈(57)의 상측에 커버부재(60)가 연결되며, 커버부재(60)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홀(64)은 제1패널(52)까지 연통된다.
1차코일(54)과 2차코일(58)이 걸리는 제1걸림돌기(62)가 커버부재(60)에 구비된다. 제1걸림돌기(62)는 커버부재(60)의 측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므로, 제1걸림돌기(62)와 이웃한 제1걸림돌기(62)의 사이에 1차코일(54) 또는 2차코일(58)이 걸린 후, 연결핀부(30)에 연결된다.
제1걸림돌기(62)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걸림돌기(62)의 일측은 커버부재(60)에 연결되며, 제1걸림돌기(62)의 타측은 상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1보빈(53)에 권선된 1차코일(54)과 제2보빈(57)에 권선된 2차코일(58)은 서로 접하지 않게 구분되어 제1걸림돌기(62) 사이에 구비된 홈으로 인입되어 제1걸림돌기(62)에 걸리게 되며, 이러한 1차코일(54)과 2차코일(58)은 서로 다른 연결핀부(30)에 연결된다.
제2패널(56)의 측부에도 1차코일(54)과 2차코일(58)이 걸리는 제2걸림돌기(59)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걸림돌기(59)는 요철형상으로 돌출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반복되며, 제2걸림돌기(59)의 두께와 제2패널(56)의 두께는 같게 형성된다.
1차코일(54)과 2차코일(58)의 일부는 제1걸림돌기(62)에 걸린 후 연결핀부(30)로 연결되며, 나머지 1차코일(54)과 2차코일(58)은 제2걸림돌기(59)에 걸린 후 연결핀부(30)로 연결된다.
제1패널(52)의 측부에도 요철 형상의 제3걸림돌기(55)가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제3걸림돌기(55)에도 1차코일(54)과 2차코일(58)이 걸릴 수 있다.
보빈부(50)의 측부에 제1걸림돌기(62)와 제2걸림돌기(59)와 제3걸림돌기(55)가 구비되므로, 보빈부(50)의 외측에 권선된 1차코일(54)과 2차코일(58)이 서로 접하지 않고 연결핀부(30)로 안전하게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7)와 내측코일(15)이 내측에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부재(66)는, 제1패널(52)에서 연장되어 커버부재(60)에 연결된다.
보빈부(50)의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부재(66)는 제1보빈(53)과 제2보빈(57)의 내측에 위치하며, 내측부재(66)의 상측은 커버부재(60)의 내측홀(64)과 연통된다.
1차코일(54)은 제1보빈(53)의 외측에 권선되며, 2차코일(58)은 제2보빈(57)의 외측에 권선되므로, 1차코일(54)과 2차코일(58)이 각각 다른 지점에 분리되서 권취된다.
이러한 1차코일(54)과 2차코일(58)이 연결핀부(30)의 제1핀부재(32)와 제2핀부재(34)에 연결되는 경우, 커버부재(60)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62)와 제2패널(56)에 형성된 제2걸림돌기(59)와, 제1패널(52)에 형성된 제3걸림돌기(55)에 1차코일(54)과 2차코일(58)이 서로 분리되어 걸쳐지므로, 1차코일(54)과 2차코일(58) 사이의 합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차코일(54)과 2차코일(58)이 각각 다른 구역에 위치하므로, 전압특성이 향상되며, 전자파 발생이 억제된다. 그리고, 변압장치(1)가 결합된 제품에 전압이 추가로 요구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2차코일(58)에 보조전압이 입력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전압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및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부(50)의 하측에는 제1코어부재(70)가 위치하며, 보빈부(50)의 상측에는 제2코어부재(75)가 위치한다.
제1코어부재(70)와 제2코어부재(75)는 페라이트로 성형되며, 이러한 제1코어부재(70)와 제2코어부재(75)는 변압장치(1)의 자심으로 사용된다.
저주파용의 제1코어부재(70)와 제2코어부재(75)의 재료로 망간-아연계 페라이트가 사용되며, 고주파용의 제1코어부재(70)와 제2코어부재(75)의 재료로 구리-아연계 또는 니켈-아연계 페라이트가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코어부재(70)는, 베이스패널(12)의 하부에 위치하며 베이스패널(12)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코어몸체(71)와, 제1코어몸체(71)의 가운데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돌기(72)와, 제1코어몸체(71)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보빈부(50)의 양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1사이드부재(73)를 포함한다.
제1코어부재(70)의 제1돌기(72)는 지지부(17)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전기의 변압을 유도한다.
보빈부(50)를 사이에 두고 제1코어부재(70)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코어부재(75)는, 제2코어몸체(76)와 제2돌기(77)와 제2사이드부재(78)를 포함한다.
제2코어몸체(76)는 제1코어몸체(71)와 마주하며 평행하게 설치된다. 커버부재(60)의 상측에 접한 상태로 설치된 제2코어몸체(76)는 커버부재(60)의 폭 방향으로 설치된다.
제2코어몸체(76)의 가운데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돌기(77)는 지지부(17)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제1돌기(72)와 마주한다.
제2코어몸체(76)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보빈부(50)의 양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사이드부재(78)도 제1사이드부재(73)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1차코일(54)과 2차코일(58)이 노출되는 보빈부(50)의 양측에 위치하는 절연판(80)은 절연재질로 성형되며, 1차코일(54)과 2차코일(58)이 제1코어부재(70)와 제2코어부재(75)에 접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제1코어부재(70)의 제1사이드부재(73)와 제2코어부재(75)의 제2사이드부재(78)의 내측에 절연판(80)이 위치한다.
절연판(8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빈부(50)의 측면에 위치하는 절연몸체(82)와, 절연몸체(82)의 상측과 하측에서 보빈부(50)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빈부(50)의 상측과 하측에 걸리는 걸림돌기(84)를 포함한다.
절연판(80)은 베이스부(10)와 보빈부(50)를 서로 결합시키며, 1차코일(54)과 2차코일(58)이 제1사이드부재(73)와 제2사이드부재(78)에 접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전기적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고정핀부(40)를 통하여 입력된 외부의 전기는 1차코일(54)과 2차코일(58)로 전달되며, 이러한 1차코일(54)과 2차코일(58)을 흐르는 전기는 내측코일(15)과 제1코어부재(70)와 제2코어부재(75)에 의해 변압되어 연결핀부(30)를 통해 외측으로 전달된다.
장착부(20)의 볼록부(22)에 제1핀부재(32)가 연결되며, 오목부(24)에 제2핀부재(34)가 연결되므로, 제1핀부재(32)의 연결부위와 제2핀부재(34)의 연결부위가 수평방향으로 볼 때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변압장치(1)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제1핀부재(32)와 제2핀부재(34) 사이의 간격을 넓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노이즈가 감소되며 전기적 안정성은 향상된다.
또한 보빈부(50)에 구비된 제1걸림돌기(62)와 제2걸림돌기(59)와 제3걸림돌기(55)에 1차코일(54)과 2차코일(58)이 서로 구분된 상태로 설치되어 절연이 이루어지므로, 1차코일(54)과 2차코일(58)의 연결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1차코일(54)과 2차코일(58)의 배선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장치(1)는, 볼록부(22)에 제1핀부재(32)가 설치되며, 오복부에 제2핀부재(34)가 설치되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제품의 외형 치수 변화 없이도 연결핀부(30) 사이의 간격을 넓게 확보하여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변압장치 10: 베이스부
12: 베이스패널 13: 중공
15: 내측코일 17: 지지부
18: 내측통공 20: 장착부
22: 볼록부 24: 오목부
30: 연결핀부 32: 제1핀부재
34: 제2핀부재 40: 고정핀부
50: 보빈부 52: 제1패널
53: 제1보빈 54: 1차코일
55: 제3걸림돌기 56: 제2패널
57: 제2보빈 58: 2차코일
59: 제2걸림돌기 60: 커버부재
62: 제1걸림돌기 64: 내측홀
66: 내측부재 70: 제1코어부재
71: 제1코어몸체 72: 제1돌기
73: 제1사이드부재 75: 제2코어부재
76: 제2코어몸체 77: 제2돌기
78: 제2사이드부재 80: 절연판
82: 절연몸체 84: 걸림돌기

Claims (13)

  1. 내측코일이 권선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는 연결핀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며 내측에 중공이 구비되는 베이스패널; 및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측코일이 둘레에 권선되며,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내측통공이 내측에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 및
    상기 볼록부에 연이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홈을 형성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내측코일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패널에 고정되며, 외측에는 1차코일과 2차코일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권선이 이루어지는 보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빈부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측에는 상기 1차코일의 권선이 이루어지는 제1보빈을 구비하는 제1패널;
    상기 제1보빈에 연결되며, 상기 2차코일의 권선이 이루어지는 제2보빈을 구비하는 제2패널;
    상기 제2보빈에 연결되며, 상기 1차코일과 상기 2차코일이 걸리는 제1걸림돌기가 측부에 구비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제1패널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내측코일이 내측에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는 번갈아가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부는, 상기 볼록부에 연결되는 제1핀부재; 및
    상기 오목부에 연결되는 제2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부재와 상기 제2핀부재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부재의 돌출길이보다 상기 제2핀부재의 돌출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부재에서 하측으로 굽어진 부분과 상기 제2핀부재에서 하측으로 굽어진 부분은 일렬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널의 측부에는 상기 1차코일과 상기 2차코일이 걸리는 제2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제1돌기를 구비하는 제1코어부재; 및
    상기 보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코어부재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제2돌기를 구비하는 제2코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코일과 상기 2차코일이 노출되는 상기 보빈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절연재질로 성형되는 절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장치.
KR20130033128A 2013-03-27 2013-03-27 변압장치 KR101479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3128A KR101479947B1 (ko) 2013-03-27 2013-03-27 변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3128A KR101479947B1 (ko) 2013-03-27 2013-03-27 변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865A KR20140119865A (ko) 2014-10-13
KR101479947B1 true KR101479947B1 (ko) 2015-01-13

Family

ID=51991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3128A KR101479947B1 (ko) 2013-03-27 2013-03-27 변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071B1 (ko) * 2015-04-03 2016-06-20 동양이엔피 주식회사 보빈 타입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4679B1 (ko) * 2018-05-14 2020-02-07 한솔테크닉스(주) 변압장치
KR102087569B1 (ko) * 2018-07-31 2020-03-12 주식회사 필룩스 변압장치
KR102168694B1 (ko) * 2019-08-07 2020-10-21 주식회사 필룩스 트랜스포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8147A (ja) * 1995-11-17 1997-06-06 Tokin Corp トランス
KR20050021683A (ko) * 2003-08-25 2005-03-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트랜스포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8147A (ja) * 1995-11-17 1997-06-06 Tokin Corp トランス
KR20050021683A (ko) * 2003-08-25 2005-03-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트랜스포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865A (ko) 201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28894B (zh) 谐振型变压器及使用该变压器的电源单元
US8508144B2 (en) Power supp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489787Y1 (ko) 변압장치
JP6392649B2 (ja) 受電装置および送電装置
KR101479947B1 (ko) 변압장치
JP6546371B2 (ja) コイルユニット及び非接触給電装置
KR101852861B1 (ko) 트랜스포머
US10840014B2 (en) Coil unit, and power transmitting device, power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coil unit
US20140375409A1 (en) Transformer structure
US10804709B2 (en) Coil unit, and power transmitting device, power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coil unit
EP3038117B1 (en) Common mode choke coil
KR101732668B1 (ko) 변압장치
JP2016129164A (ja) 受電装置および送電装置
KR101588705B1 (ko) 초크 코일
JP6550718B2 (ja) 電力伝送システム
KR101475437B1 (ko)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제조되는 트랜스포머
JP2018190781A (ja) 車両用磁性部品
US20170047159A1 (en) Transformer and power source device
KR101422930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2237188A (zh) 薄型高电压变压器
KR101328286B1 (ko) 트랜스포머
JP2017191818A (ja) コイルユニット
KR101360532B1 (ko) 일체형 pfc 변압기
KR101779071B1 (ko) Llc 회로용 트랜스포머
JP2018081960A (ja) コイルユニット、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6